KR102666055B1 -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055B1
KR102666055B1 KR1020220000885A KR20220000885A KR102666055B1 KR 102666055 B1 KR102666055 B1 KR 102666055B1 KR 1020220000885 A KR1020220000885 A KR 1020220000885A KR 20220000885 A KR20220000885 A KR 20220000885A KR 102666055 B1 KR102666055 B1 KR 10266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evice
helmet
light
accident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467A (ko
Inventor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이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윤 filed Critical 이정윤
Priority to KR102022000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055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는 광원;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충격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센서값으로 사용자에게 충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며, 위급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 상기 광원의 발광 및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각각의 센서값을 수신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위급신호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광원 및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원, 제어부 및 전원부의 외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몸체 및 하부 커버 마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커버 마운트는 헬멧의 외부에 부착 가능하게 설계된다.

Description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ACCIDENT DETECTION DEVICE ATTACHED TO 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 센서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표적인 이동수단은 대중교통 및 자가용을 포함하는 자동차, 오토바이, 전동킥보드 및 자전거를 포함하는 이륜차 등이 있다. 자동차와 달리 이륜차를 운전하는 운전자들은 반드시 헬멧을 착용해야 한다.
다수의 사람들이 이러한 이동수단을 이용하면서 불가역적으로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 중 전동킥보드와 자전거는 공유서비스의 등장으로 최근 몇 년 사이에 이용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사고의 건수도 증가하였다.
또, 오토바이, 전동킥보드 및 자전거는 자동차와 비교하여 프레임이나 에어백과 같이 운전자를 보호하는 수단이 적거나 없고, 특히 오토바이의 경우 자전거와 비교하여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사고의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오토바이가 포함된 교통사고는 대부분 사상자가 발생하는 사고일 수 밖에 없다. 자동차와 이륜차 또는 이륜차와 이륜차가 부딪히는 사고의 경우, 상대방이 경미할 경우 구급대 또는 경찰에 신고하여 사고처리가 가능하고, 주변의 목격자가 신고하는 등 현재 대부분 이러한 방법으로 신고되어 처리가 되고 있다.
그러나 한적한 도로에서 싱크홀이나 요철 등의 장애물에 의해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운전자가 심하게 다친 경우 골든타임을 놓쳐 피해가 크게 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 직접 사고를 알릴 수 있지만 의식을 잃고 쓰러지면 스스로 신고를 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현재 운행되는 교통수단 중 이륜차는 사고에 많이 노출되고, 사고 발생 시 피해가 크며, 단독 사고 발생의 경우 신고가 어려울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이륜차 운행 중 발생하는 사고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하므로 필수적으로 헬멧을 착용하고, 추가적인 보호구를 착용해야 하고, 사고의 발생을 인식하여 운전자의 비상연락처, 구급대 및 경찰서 등으로 연락을 해주는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헬멧에 사고감지 센서 및 조명장치를 부착하여 사고 발생 시 사고를 인지하고, 조명장치 및 소리를 통해서 사고자의 위치를 주변에 알리며, 자동으로 사용자의 비상연락처, 구급대 및 경찰서 등으로 연락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는 광원;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충격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센서값으로 사용자에게 충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며, 위급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 상기 광원의 발광 및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각각의 센서값을 수신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위급신호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광원 및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원, 제어부 및 전원부의 외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몸체 및 하부 커버 마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커버 마운트는 헬멧의 외부에 부착 가능하게 설계된다.
상기 제어부의 상기 위급신호 송출에 위급신호음을 발산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자극을 위한 음파 송출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전원 버튼, 상기 하부 커버와 결합하는 하부 커버 마운트 및 상기 하부 커버 마운트와 결합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복수개의 광원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평면 상에 정렬되어 실장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주행 시 일부 상기 광원이 발광하다가, 위급상황의 레벨이 기 설정 된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 되는 경우, 상기 광원 전부를 발광한다.
상기 일부 광원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ㅅ형상으로 대칭적인 형태로 정렬 배치된다.
상기 상부 커버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원 전부를 발광할 때에 상부커버의 전면과 측면에서 모두 발광 된 광원이 보여지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신호에 포함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충격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한 센서값을 기초로 사용자 충격량을 연산하고, 상기 충력량을 기초로 위급상황의 레벨을 판단한다.
상기 충격량이 인지된 이후, 상기 센서값의 변화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반응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위급상황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위급상황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 된 긴급연락망에 대응하는 서버로 위급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위급신호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GPS 신호와 함께 상기 위급신호를 외부 서버로 송출하여 구조요청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헬멧에 부착하는 사고감지장치는 충격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를 통해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값, 부딪히며 발생하는 순간 가속도 및 운전자가 착용중인 헬멧의 비정상적인 기울어짐 등의 다양한 센서값을 통해 운전자의 현재 상황이 기설정된 센서값보다 높은 레벨로 위급상황인지 인지하고, 미리 저장된 비상연락처 및 구급대에 자동으로 신속하게 비상 연락한다.
또, 발광면을 통해 어두운 상황에서 후방에서 따라오는 차량에도 이륜차가 있음을 인지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의 대기상황과 비상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가 비상 시 긴급연락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모빌리티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하는 운전자들에게 필요한 장치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동킥보드, 자전거, 오토바이 등을 타고 운전하는 운전자들은 별다른 라이트가 없어 밤에 잘 보이지 않는데,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발광하는 신호를 상시 제공함에 따라 뒤따라오는 차량 운전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
또한, 사고발생시에는 모빌리티 장치로부터 튕겨져 나가는 등의 큰 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긴급대처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사고가 발생된 순간의 주변 운전자들에 의한 신고가 이루어지거나, 인적이 드문 곳에서는 별다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행태들이 많아 운전자들에게 위험한 상황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치가 운전자의 사고발생을 감지하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로 곧바로 전송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 단말의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로 사고사실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 이를 알린 후, 서버가 적정한 응급조치객체에게 연락함으로써, 신속한 사고발생시의 초동 대처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고감지장치가 센서기반으로 사고 충격량을 계산 후, 사용자가 움직이는지 여부를 인지함으로써, 사고 심각성을 판단하고, 심각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알림을 제공한다. 사용자단말에는 비상연락망으로 미리 저장된 연락처가 있어서, 119나 112와 같은 공공기관서버로 바로 연락이 갈수도 있고 비상연락망으로 연락이 갈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신속한 사고신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고감지장치(1)는 도1과 같이 상부캡(10), 발광면(20), 전원버튼(30) 및 충전단자(4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의 구조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고감지장치(1)는 상부캡(10), 상부 커버(21), 전원버튼(30), 충전단자(40), 스피커(50), 광원(61) 및 제어 모듈(62)을 포함하는 제어부(60), 전원부(70), 측부 커버(80), 하부 커버(90), 하부 커버 마운트(100) 및 스커트(110)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21)는 내부에 공간이 있는 원형의 캡형태로 구성되어 바깥쪽 윗면에 발광면(20)을 포함하고, 중앙에 원형의 형태로 구성된 상부캡(10)이 위치한다. 내부의 광원(61)에서 발산하는 광을 발광면(20)을 통해 외부로 발산하는 기능을 갖는다. 발광면(20)을 위에서 바라보면 일반대기상태에서 ㅅ의 형상을 하고, 사고 상황에서는 ㅅ형상과 ㅅ형상을 감싸고 있는 원형태의 광이 함께 발광을 하게 된다. 이때, 일반 대기 상태란 사용자가 별다른 사고 없이 주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발광면은 측면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며, 상부커버의 윗면과 측면이 모두 발광면(20)에 해당한다. 발광면(20)의 밝기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단계별로 조절이 가능하다.
스피커(50)는 원형의 형태로 상부 커버(21)의 안쪽에 위치하며, 비상상황 발생 시 의식이 없을 수 있는 사용자의 인지자극을 위하여 음파 송출기능을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추가 실시예로서, 스피커(50) 외에 사용자 인지자극을 위한 저주파수 송출 센서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광원(61)은 원형의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 커버(21) 안쪽에 위치하며 중앙에 공간이 있어서 스피커(50) 바깥쪽에서 감싸는 형태로 위치한다. 광원(61)은 제어모듈(62)에서 위급상황의 레벨이 기 설정된 센서값보다 높은 경우, 비상상황으로 인식하고, 광원(61)을 통해 위험신호를 광으로 발광하여 외부에 위험을 알리는 기능을 갖는다. 광원(61)이 발산한 광은 발광면(20)을 통하여 발산될 수 있다.
제어 모듈(62)은 복수의 센서들을 탑재한 PCB이다. 통신모듈,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충격센서를 포함한 원형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광원(61)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충격센서는 기울기, 순간 발생 속도 및 충격을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가해진 전체 충격량을 계산하고, 충격량이 기 설정된 허용치보다 높을 경우 위급상황의 레벨을 판단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위급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충격량이 기 설정된 위급상황의 레벨보다 높은 것이 인지된 후, 추가적인 센서값의 변화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반응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위급상황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 위급신호를 전송할 때, 통신모듈이 이용하는 통신망은 블루투스이다. 사고감지장치와 사용자 단말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은 도5 내지 도6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전원부(70)는 직사면체의 형태로 구성되어 광원(61) 및 제어 모듈(62)을 포함하는 제어부(60)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제어부(60)의 가동이 가능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측부 커버(80)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커버(21)와 맞닿아 위치하고, 상부 커버(21)와 함께 광원(61), 스피커(50), 제어 모듈(62) 및 전원부(70)를 감싸며 내부의 오염을 막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측부 커버(80)의 옆면에는 제어 모듈(62) 면상에 위치해 있는 전원버튼(30) 및 충전단자(40)를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버튼(30) 및 충전단자(40)와 모양이 일치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부 커버(80)의 하부에는 하부 커버(90)에 돌출되어 있는 조립부(91)가 통과 할 수 있도록 조립부(91)의 모양과 일치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90)는 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측부 커버(80)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측부 커버(80)에 있는 복수개의 홀에 통과하여 상부 커버(21)와 나사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조립부(91)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되어 있다. 조립부(91)는 제어 모듈(62)의 바깥 면에 형성 되어있는 제어 모듈 홈(63)에 끼워져서 제어 모듈(62)이 사고감지장치(1)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부 커버(90)의 면상에는 하부 커버 마운트(100)에 위치하는 결합부(101)와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결합부홀(9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90)는 하부 커버 마운트(100)와 결합되어 사고감지장치(1)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하부 커버 마운트(100)는 판형의 형태로 하부 커버(90)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하부 커버(90)에 있는 복수개의 결합부홀(92)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101)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스커트(110)와 결합되어 사고감지장치(1)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하부 커버 마운트(100)의 바깥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커트(110)와 결합하게 된다.
스커트(110)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커버 마운트(100)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링형태 안쪽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 커버 마운트(100)와 결합하게 된다. 스커트(110)의 밑부분에는 접착테이프 및 접착제가 도포되어 헬멧에 부착된 사고감지장치(1)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0)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처음 실행을 한 경우 블루투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사고감지장치(1)를 상호 연결한다.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과 사고감지장치(1)가 서로 통신을 주고 받게 된다.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정보 및 비상연락처를 수신 및 저장한다.(S1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내 정보 등록 및 비상연락처 등록 메뉴에서 사용자의 성명, 나이, 혈액형, 주소 등의 인적사항과 비상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상황을 송출할 비상연락처를 등록한다. 비상연락처는 휴대폰에 저장된 연락처와 연결할 수 있고, 최대 5개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은 위급상황 발생 시 GPS 신호와 함께 저장된 비상연락처에 대응하는 서버로 위급신호를 전송하여 구조요청을 수행한다.
사고감지장치(1)가 작동한다.(S120) 예를 들어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광원(61)이 발광하여 사고감지장치(1) 윗면으로 광이 발하게 된다. 각 각의 상황에 따라 광원(61)이 발광하는 모습은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의 대기상황과 비상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일반 대기상태에서 광원(61)이 발광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부의 ㅅ모양에만 불광이 들어오게 된다. 일반 대기 상태란 사용자가 별다른 사고 없이 주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사용자에게 운전 중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도 4b처럼 상부 전체에 불광이 들어오게 된다. 즉, 일반 대기 상태에서 발하는 광 패턴과 사고 상황에서 발하는 광패턴이 상이하며, 사고 상황의 광패턴의 면적이 훨씬더 클 수 있다. 또한, 일반 대기 상태의 광패턴이 발하는 부분은 ㅅ 모양의 1차원 평면에 해당되지만, 사고상황에서 발하는 광패턴 부분은 그 외의 상부커버의 입체적 구조 모두에 해당된다, 즉, 도 4b의 나머지 상부 영역 및 상부커버의 두께 부분에 해당하는 측면 영역까지 광이 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사고감지장치(1)의 상태를 표시한다.(S130) 예를 들어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조명의 밝기 외에도 대기상태, 비상사항, 달리는 속도, 시간, 배터리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하는 사고감지장치(1)의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도 5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화면 상단의 삼각형 모양이 점점 밝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밝기를 조절하면 사고감지장치(1)에서 광원(61)의 밝기도 변경이 된다.
사고감지장치(1)가 사고발생을 인지 및 사고발생 패턴을 발광한다.(S14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륜차 운전 중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충격센서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충격량보다 클 경우 사고발생을 인지하고, 광원(61)을 통해 사고발생 패턴을 발광한다. 발광패턴은 SOS 구조 신호이거나 빠른 패턴으로 깜박임을 주어 외부로 사고를 알리게 된다. 광원(61)을 통해 사고를 알림과 동시에 스피커(50)를 통해 소리로 사고를 알리게 된다.
사용자 단말이 사고감지장치(1)로부터 사고발생신호를 수신하고, 비상연락처로 SOS 메시지 전송 및 응급사운드를 발생한다.(S15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토바이 운전 중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사고발생신호를 발신하고, 사용자 단말은 기 저장된 5개의 비상연락처, 119구조대 및 경찰서로 동시에 GPS 신호 및 위급신호를 전송하고, 스피커(50)를 통해 사용자의 인지자극을 위한 음파를 송출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사고감지장치(1)는 제어 모듈(62)에 3G, LTE, 5G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설치하여 사고발생 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기 설정된 비상연락처, 119구조대 및 경찰서로 SO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가 비상 시 긴급연락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이 사고발생 시 비상연락처로 SOS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하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충격 센서에서 사용자에게 가해진 충격을 인식하고, 충격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을 경우 사고발생을 인지한다. 그리고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사고발생을 전송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카운트다운을 하게 된다. 이 때, 사고가 경미한 경우 사용자는 괜찮음 버튼을 탭하여 사고를 초기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의식을 잃었거나 움직일 수 없는 경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면 SOS 메시지 및 GPS 신호를 비상연락처, 119구조대 및 경찰서로 전송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사고감지장치 10: 상부캡
20: 발광면 21: 상부 커버
30: 전원버튼 40: 충전단자
50: 스피커 60: 제어부
61: 광원 62: 제어 모듈
63: 제어 모듈 홈 70: 전원부
80: 측부 커버 90: 하부 커버
91: 조립부 92: 결합부홀
100: 하부 커버 마운트 101: 결합부
110: 스커트

Claims (10)

  1.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에 있어서,
    광원;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충격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센서값으로 사용자에게 충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며, 위급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 상기 광원의 발광 및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충격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값을 수신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위급신호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광원 및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원, 제어부 및 전원부의 외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측부 커버 및 하부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커버는 헬멧의 외부에 부착 가능하게 설계되고,
    상기 광원은 복수개의 광원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평면 상에 정렬되어 실장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주행 시 일부 상기 광원이 발광하다가, 위급상황의 레벨이 기 설정 된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 되는 경우, 상기 광원 전부를 발광하고,
    상기 발광면은 일반대기상태에서 ㅅ의 형상을 하고, 사고 상황에서는 ㅅ형상과 ㅅ형상을 감싸고 있는 원형태의 광이 함께 발광을 하고,
    상기 발광면은 상부커버의 상면과 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일부 광원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ㅅ형상으로 대칭적인 형태로 정렬 배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는 내부에 공간이 있는 원형의 캡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의 외측부 상면에 발광면을 포함하고, 중앙에 원형의 형태로 구성된 상부캡이 위치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내부의 상기 광원에서 발산하는 광을 상기 발광면을 통해 외부로 발산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원 전부를 발광할 때에 상부커버의 전면과 측면에서 모두 발광 된 광원이 보여지도록 설계되고,
    상기 측부 커버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커버와 맞닿아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광원, 스피커, 제어 모듈 및 상기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감지장치 내부의 오염을 막고,
    상기 하부 커버는 판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 커버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측부 커버에 구성된 복수개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커버와 나사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조립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어 모듈의 외측 면에 형성 되어있는 제어 모듈 홈과 결합되어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사고감지장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인,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위급신호 송출에 위급신호음을 발산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자극을 위한 음파 송출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커버에 설치되는 전원 버튼, 상기 하부 커버와 결합하는 하부 커버 마운트 및 상기 하부 커버 마운트와 결합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신호에 포함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충격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한 센서값을 기초로 사용자 충격량을 연산하고,
    상기 충격량을 기초로 위급상황의 레벨을 판단하는 것인,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량이 인지된 이후, 상기 센서값의 변화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반응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위급상황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상황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 기 저장 된 긴급연락망에 대응하는 서버로 위급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신호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GPS 신호와 함께 상기 위급신호를 외부 서버로 송출하여 구조요청을 수행하는 것인,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KR1020220000885A 2022-01-04 2022-01-04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KR10266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85A KR102666055B1 (ko) 2022-01-04 2022-01-04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85A KR102666055B1 (ko) 2022-01-04 2022-01-04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467A KR20230105467A (ko) 2023-07-11
KR102666055B1 true KR102666055B1 (ko) 2024-05-20

Family

ID=8715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885A KR102666055B1 (ko) 2022-01-04 2022-01-04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997B1 (ko) * 2023-10-10 2024-05-20 주식회사 아이로나 스마트 헬멧 장치를 이용한 안전운행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6071A (ja) * 2017-08-10 2019-03-07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
KR102063881B1 (ko) * 2019-07-01 2020-01-08 이한구 도로주행 사고방지헬멧 및 이의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5591A (ko) * 2007-03-20 2008-09-24 장위덕 발광장치 및 이를 부착한 안전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6071A (ja) * 2017-08-10 2019-03-07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
KR102063881B1 (ko) * 2019-07-01 2020-01-08 이한구 도로주행 사고방지헬멧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467A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249B1 (ko)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CN107508635B (zh) 一种基于lifi信号的智能城市照明控制系统及其方法
CN1930593A (zh) 车辆接近警报系统和方法
WO2006123365A1 (en) A drowsy driving alarm system
JP6839625B2 (ja) 飛行体、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2666055B1 (ko)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US20140104055A1 (en) Helmet-Mounted Motorcycle Rider Visualization Device
ES2814725T3 (es) Sistema para detectar e informar accidentes de motocicleta
WO2011076956A1 (es) Aparato portable y método de detección y notificación de accidentes de vehículos
KR102129110B1 (ko) 사고 예방 기능을 갖는 농업용 기계 안전사고 감지장치
JP2014197344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13171445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US20170072840A1 (en) Helmet with turn signal indicators
KR101778614B1 (ko)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JP2017215915A (ja) トランシーバを用いた騒音環境下作業者間安全システム,作業者間安全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情報伝達方法
CN108430829B (zh) 信号警示灯
US20120112900A1 (en) Safety belt compliance indicator
KR20180106160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101251753B1 (ko)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ES1162035U (es) Dispositivo emisor/receptor para aviso automático de accidentes en vehículos de dos ruedas, trimotos y cuatrimotos
CN217467768U (zh) 联动警示系统
KR101775840B1 (ko) 차량 충돌시 충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023459A (ja) 発光性ヘルメット
TWM486580U (zh) 傾倒閃光警報裝置
KR20100009898U (ko) 구조요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