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361B1 -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361B1
KR102421361B1 KR1020210100522A KR20210100522A KR102421361B1 KR 102421361 B1 KR102421361 B1 KR 102421361B1 KR 1020210100522 A KR1020210100522 A KR 1020210100522A KR 20210100522 A KR20210100522 A KR 20210100522A KR 102421361 B1 KR102421361 B1 KR 102421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head
appl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박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규 filed Critical 박민규
Priority to KR102021010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B60K2370/152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맵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맵 애플리케이션과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속도, 목적지 방향 안내, 과속 카메라, 잔여 거리, 방위 등의 주변 정보와 주행 속도, 차종, 기타 운행상 필요한 정보 등의 차량 정보 등과 같은 맵소프트웨어의 정보 일체를 단말기의 광원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시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포함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복수의 형상으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MOVABLE TYPE HEAD UP DISPLAY LINKED TO APPLICATION USING VARIABLE UI}
본 발명은 헤드업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의 맵 애플리케이션과 실시간으로 연동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형상을 차량의 전방 유리에 표출할 수 있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 정보와 주변 상황 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주는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도 그 중 하나이다.
이러한 헤드업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는 운전자의 시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량의 주행 정보나 내비게이션 정보를 차량의 전방 유리에 표출해준다.
초기의 헤드업디스플레이는 항공기에 부착되어 비행시 비행사에게 비행 정보를 제공하고자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원리가 차량에 적용되도록 개발된 것이 차량용 헤드업디스플레이다.
최근, 자동차 제조사에서도 최근 헤드업디스플레이를 기본 또는 옵션으로 적용하여 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사 헤드업디스플레이는 데시보드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에 내장된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장치 내부에 맵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이를 광학식 또는 광원으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투영하여 속도, 방향, 거리, 목적지 방향 안내 등을 상징적인 표출을 통해 정보를 표출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차량 내부에 장치가 매립되어 있어서 차량 구매시 고가의 옵션으로 구매하여야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차에 내장되지 않고 단품으로 판매되는 헤드업디스플레이가 있다.
하지만, 종래 단품으로 판매되는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장치 내에 내장된 맵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이나 정보를 안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의해, 자동차에 내장된 헤드업디스플레이는 비용적으로 고가이고, 단품으로 판매되는 헤드업디스플레이는 기능적으로 불편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저가로 헤드업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849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맵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맵 애플리케이션과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속도, 목적지 방향 안내, 과속 카메라, 잔여 거리, 방위 등의 주변 정보와 주행 속도, 차종, 기타 운행상 필요한 정보 등의 차량 정보 등과 같은 맵소프트웨어의 정보 일체를 단말기의 광원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시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해드업디스플레이가 구현하지 못하는 실시간 운행 정보 또는 주행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 구동 소프트웨어와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통해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시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에 내장되지 않아 이동이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포함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복수의 형상으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은 법정 속도, 목적지 방향 안내, 과속 카메라, 잔여 거리, 방위 중 하나 이상의 주변 정보와 주행 속도, 차종, 기타 운행상 필요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차량 정보를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복수의 형상으로 표출되는 복수의 정보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정보의 추가, 삭제, 확대 또는 축소, 광원 밝기 조절, 표시 정보의 위치 변경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의해 복수의 정보에 대한 표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정보를 상기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우선 순위, 고정, 표출 생략 중 하나 이상의 자유도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지인 또는 119에 구난 문자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 1 위급 상황 대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은,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지인 또는 119에 구난 문자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 2 위급 상황 대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제 1 통신부의 통신 단절 또는 구동 오류가 발생시 최신의 정보 상태로 복구시키는 정보 복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 또는 복수의 정보를 전달받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집광셀; 및 집광된 상기 태양광을 직류 전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태양 전지셀;을 포함하며,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상기 태양 전지셀에 저장된 직류 전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부재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작동 불능시 자동차의 속도, 위치, 주행 정보, 안전 운전 안내 중 하나 이상을 독립적으로 구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의 맵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맵애플리케이션과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속도, 목적지 방향 안내, 과속 카메라, 잔여 거리, 방위 등의 주변 정보와 주행 속도, 차종, 기타 운행상 필요한 정보 등의 차량 정보 등과 같은 맵소프트웨어의 정보 일체를 단말기의 광원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해드업디스플레이가 구현하지 못하는 실시간 운행 정보 또는 주행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 구동 소프트웨어와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통해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에 내장되지 않아 이동이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로부터 LED를 이용한 발광부와 투광 패널에 의해 편성된 표시 영역이 전방 유리에 표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로부터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발광부와 투광 패널에 편성된 표시 영역이 홀로그램으로 표출된 도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는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와, 이동 통신 단말(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시간 교통 정보를 포함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이동 통신 단말(200)에 설치하고,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의 전원을 인가하고 맵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와 이동 통신 단말(2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된다.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2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무선 통신으로는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200)은 실시간 교통 정보를 포함한 맵 애플리케이션(210)을 구동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200)은 설치된 맵 애플리케이션(210)을 통해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와 교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로써,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이때,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맵 애플리케이션(210)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복수의 형상으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한다.
이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수신부(110)와, 제 1 통신부(120)와, 발광부(130)와, 제어부(140)와, 표출부(150)와, 구동부(160)와, 정보 복구부(170)와, 제 1 위급 상황 대처부(18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후술하는 이동 통신 단말(200)의 맵 애플리케이션(210)으로부터 제공받는 복수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복수의 정보로는 맵 애플리케이션(210)을 통해 구동하는 맵 소프트웨어의 정보 일체, 즉 법정 속도, 목적지 방향 안내, 과속 카메라, 잔여 거리, 방위 등과 같은 주변 정보와, 주행 속도, 차종, 기타 운행상 필요한 정보 등의 차량 정보일 수 있다.
제 1 통신부(120)는 후술하는 맵 애플리케이션(210)의 제 2 통신부(212)와 서로 통신한다.
즉, 맵 애플리케이션(210)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다.
이와 같은 제 1 통신부(120)와, 제 2 통신부(212)를 통해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200)의 맵 애플리케이션(210)과 단방향 또는 쌍방향 모두를 포함하여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발광부(130)는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이동 통신 단말(200)의 맵 애플리케이션(210)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정보를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할 수 있도록 광을 발광한다.
이러한 발광부(130)의 광원으로는 LCD, LED, OLED, 램프, 레이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신호를 광원으로 표출할 수 있는 모든 발광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맵 애플리케이션(210)으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복수의 정보를 발광부(13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복수의 형상으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상기 복수의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종래의 해드업디스플레이가 구현하지 못하는 실시간 운행 정보 또는 주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출해 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발광부(130)가 광원을 표출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표출할 수 있도록 광을 발광한다.
자동차의 운전석에 사용자가 착석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되는 정보가 운전자의 시야에 잘 보이도록 발광부(130)가 광원을 표출해야 한다.
예컨대, 운전자는 근시이거나 또는 원시일 수 있다.
즉, 운전자가 근시일 경우 전방 유리에 표출된 정보가 근거리에서 잘보일 수도 있고, 운전자가 원시일 경우 전방 유리에 표출된 정보가 원거리에서 잘보일 수도 있다.
이에 의거하여, 발광부(130)는 광원을 축소해서 표출하거나 또는 확대해서 표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원의 표출 거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발광부(130)는 30㎝ ~ 내지 50㎝ 범위의 광원 표출 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정도 거리의 범위 내에서는 근시 또는 원시인 사용자가 각각 용이하게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맵 애플리케이션(210)의 입력부(213)는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맵 애플리케이션(210)의 입력부(213)는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복수의 형상으로 표출되는 복수의 정보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정보의 추가, 삭제, 확대 또는 축소, 광원 밝기 조절, 표출 정보의 위치 변경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입력부(213)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의해 복수의 정보에 대한 표출을 제어한다.
종래의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장치 내부의 맵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거나 본체의 맵 소프트웨어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져서 설치된 지도 정보와 주행 정보만을 불러들여 안내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실시간으로 이동 통신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맵 애플리케이션(210)의 구동 소프트웨어가 실시간 정보를 취득하여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로 정보를 전달하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그 정보를 소비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자동차 전방 유리에 표출해 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잡하고 변화 무상한 도로 정보와 주행 상황을 사용자가 손쉽게 인지하게 하고, 실시간 주행 정보와 지도 안내 정보, 그 외 유용한 정보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소비자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기 위해, 맵 애플리케이션(210)의 입력부(213)를 통해 특정 정보의 추가, 삭제, 확대 또는 축소, 광원 밝기 조절, 표출 정보의 위치 변경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헤드업디스플레이가 장치 내부의 맵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거나 본체의 맵 소프트웨어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설치된 지도 정보와 주행 정보만을 불러들여 안내해 주는 것과 차별되는 본원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맵 소프트웨어(210)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정보를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우선 순위, 고정, 표출 생략 중 하나 이상의 자유도로 표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출 우선 순위를 정하거나, 고정 표출 방식을 선택하거나 복수의 정보 중 일부 정보의 표출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표출되는 정보에 대한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에 의한 정보의 표출은 사용자 편의에 따라 특정 정보의 추가, 삭제, 확대 또는 축소, 광원 밝기 조절, 표시 정보의 위치 변경 등과 같이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한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에 의한 정보의 표출시 정보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으며, 우선, 고정, 표출 생략 등의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숫자, 문자, 단위(㎞, mile, m, ft 등) 등과 소비자 선택에 따라 다양한 글꼴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사용 편의에 따라 표시할 정보의 종류, 위치, 크기, 등을 이동 통신 단말(200)의 맵 애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자유로운 설정을 할 수 있다.
표출부(150)는 맵 소프트웨어(210)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정보를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의 표출부(150)에 의해 자동자 전방 유리에 정보를 표출시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주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는 자동차의 운전석에 사용자가 착석시, 사용자들마다 눈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표출부(150)는 자동차의 운전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눈높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맞추어 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구동부(160)는 이동 통신 단말(200)의 부재 또는 이동 통신 단말(200)의 작동 불능시 자동차의 속도, 위치, 주행 정보, 안전 운전 안내 중 하나 이상을 독립적으로 구현한다.
즉, 상기 언급한 이동 통신 단말(200)의 부재나 작동 불능 상태시,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의 구동부(160)에 탑재된 기본 구동 소프웨어를 통해 속도, 안전 운전 안내(과속 카메라, 위험구간 등), 위치, 주행 정보 등을 맵 애플리케이션(210) 없이도 독립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정보 복구부(170)는 제 1 통신부(120)의 통신 단절 또는 구동 오류가 발생시 최신의 정보 상태로 복구시킨다.
물론, 이동 통신 단말(200)의 제 2 통신부(212)의 통신 단절 또는 구동 오류가 발생시에도 최신의 정보 상태로 복구시키게 된다.
즉,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의 정보 복구부(170)는 자가 복구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일시적인 통신 단절이나, 구동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최신의 정보 상태로 복구되는 기능도 구현한다.
제 1 위급 상황 대처부(180)는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200)에 저장된 지인 또는 119에 구난 문자를 자동으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전개되었을 경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의 제 1 위급 상황 대처부에 설치된 구동 애플리케이션의 긴급 상황 버튼을 누를 경우, 위급 상황에 대해 사용자의 지인이나 119로 구난 문자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위급 상황 대처 기능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태양광 집광셀과, 태양 전지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태양광 집광셀은 태양광을 집광한다.
또한, 태양 전지셀은 집광된 태양광을 직류 전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이에 의해,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태양 전지셀에 저장된 직류 전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이동 통신 단말(200)은 앱 애플리케이션(210)을 포함한다.
맵 애플리케이션(210)은 제 2 위급 상황 대처부(211)와, 제 2 통신부(212)와, 입력부(213)를 포함한다.
이러한 맵 애플리케이션(210)은 이동 통신 단말(200)에 설치되며, 복수의 정보를 제 2 통신부(212)와,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러한 복수의 정보로는 맵 애플리케이션(210)을 통해 구동하는 맵 소프트웨어의 정보 일체, 즉 법정 속도, 목적지 방향 안내, 과속 카메라, 잔여 거리, 방위 등과 같은 주변 정보와, 주행 속도, 차종, 기타 운행상 필요한 정보 등의 차량 정보일 수 있다.
즉, 맵 애플리케이션(210)은 속도, 목적지 방향 안내, 과속 카메라, 잔여 거리, 방위 중 하나 이상의 주변 정보와 주행 속도, 차종, 기타 운행상 필요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차량 정보를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제 2 위급 상황 대처부(211)는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200)에 저장된 지인 또는 119에 구난 문자를 자동으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전개되었을 경우, 맵 애플리케이션(210)의 제 2 위급 상황 대처부에 설치된 구동 애플리케이션의 긴급 상황 버튼을 누를 경우, 위급 상황에 대해 사용자의 지인이나 119로 구난 문자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위급 상황 대처 기능도 포함한다.
제 2 통신부(212)는 입력부(213)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 또는 복수의 정보를 전달받아 제 1 통신부(120)로 전달한다.
물론,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부(110)로 입력부(213)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 또는 복수의 정보를 전달받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헤드업디스플레이는 단순히 차량의 정보와 저장된 맵 프로그램을 표시해 주는 오프라인 개념의 구동 원리를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와, 이에 의한 표출부와, 이동 통신 단말(200)의 맵 애플리케이션(210)으로 분리되어 있어 자동차가 바뀌어도 이동 설치가 용이하여 활용의 범위가 넓다.
또한, 업데이트된 추가 정보가 자동으로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와 이동 통신 단말(200)의 맵 애플리케이션(210)에서 업그레이드되어 별도의 업그레이드 작업이 필요없는 점도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종래의 자동차에 내장된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고가의 광원 표출 장치와 순정 네비게이션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구현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비용적인 부담이 상당하고 이동 설치도 불가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대중화된 이동 통신 단말(안드로이드, iOS 등)에 구동 소프트웨어(무료)를 탑재하고 합리적 가격의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직접 설치 사용이 가능하여, 종래의 헤드업디스플레이와는 가격, 설치 용이성, 이동 설치 등의 차별화 특성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는 제어 기판(20)과, 투광 패널(30)과, 발광부(130)와, 집광 패널(50)을 포함하는 본체(10)를 가진다.
본체(10)는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를 포함하며, 제어 기판(20)과, 투광 패널(30)과, 발광부(130)와, 집광 패널(50)을 수납하는 케이스이다.
즉, 제어 기판(20)과, 투광 패널(30)과, 발광부(130)와, 집광 패널(50)이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에 수납되어 고정된 케이스를 본체(10)라 한다.
이러한 본체(10)는 원형 내지 각형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본체(10)의 형상을 각진 형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형상이 원형, 사각, 육각 등과 같이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체(10)는 양면 테이프나 젤리 패드 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데시 보드의 상단에 고정 거치된다.
제어 기판(20)은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2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표출되게 신호를 처리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100)의 주요 구성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투광 패널(30)은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고, 자동차의 전방 유리를 향해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화상 정보로 비춰준다.
이러한 투광 패널(30)은 발광부(130)로부터 발산된 빛을 문자, 숫자, 로고 등으로 표출해주는 복수의 표시 영역들이 편성된다.
즉, 표시 영역은 발광부(130)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부위로, 투명이나 소정의 색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투광 패널(30)이 표출하는 표시 영역으로는 예를 들어, 방향 표시부와, 현재 차량 속도와, 남은 거리와, 거리 단위와, 안전 운행 정보와, 과속 카메라와, 어린이 보호 구역과, 구간 단속 구간과, 과속 카메라 남은 거리와, 조도 센서와, GPS 연결 상태와, 근거리 통신 상태와, 타이어 공기압과, 외부 카메라 동작 상태와, 맵 애플리케이션 상태와, 동작 이상 표시 상태와, 전화 연결 알림과, 문자 수신 알림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맵 애플리케이션(210)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표시를 할 수 있다.
발광부(130)는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이동 통신 단말(200)의 맵 애플리케이션(210)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정보를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할 수 있도록 광을 발광한다.
이러한 발광부(130)의 광원으로는 LCD, LED, OLED, 램프, 레이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신호를 광원으로 표출할 수 있는 모든 발광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맵 애플리케이션(210)으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복수의 정보를 발광부(13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복수의 형상으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상기 복수의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종래의 해드업디스플레이가 구현하지 못하는 실시간 운행 정보 또는 주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출해 줄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30)는 예를 들어 제어 기판(20)의 상면에 격자 방식(예를 들면, 전광판 등)으로 복수 개의 LED가 각각 실장되어 각기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130)의 일례로, LED는 백색과 같이 단색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RGB 3색 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단색의 LED로 구성할 경우 투광 패널(30)을 통해 표출 정보에 색상을 부여한다.
집광 패널(50)은 제어 기판(20)과 투광 패널(30) 사이에 개재되어 빛의 산란을 방지해준다.
이러한 집광 패널(50)에는 투광 패널(30)에 편성된 표시 영역의 모양과 위치대로 복수의 집광홀들이 관통 배열된다.
즉, 집광홀은 각각의 발광부(130)로부터 발산된 빛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해당 표시 영역에만 집중시켜준다.
여기서 집광홀은 발광부(130)로부터 발산된 빛이 해당 표시 영역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상광하협형으로 구배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광부(130)의 실장 개수는 최소화하면서도 비교적 큰 크기의 표시영역을 표출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로부터 LED를 이용한 발광부와 투광 패널에 의해 편성된 표시 영역이 전방 유리에 표출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로부터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발광부와 투광 패널에 편성된 표시 영역이 홀로그램으로 표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발광부(130)는 예를 들어 제어 기판(20)의 상면에 격자 방식(예를 들면, 전광판 등)으로 복수 개의 LED가 각각 실장되어 각기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130)의 일례로, LED는 백색과 같이 단색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RGB 3색 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단색의 LED로 구성할 경우 투광 패널(30)을 통해 표출 정보에 색상을 부여한다.
집광 패널(50)은 발광부(130)에서 발광하는 광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 기판(20)의 상면에는 격장 방식의 발광부(130)가 각각 실장되어 발광할 경우, 집광 패널(50)은 투광 패널(30)에 편성된 표시 영역의 모양과 위치대로 복수의 집광홀들이 관통 배열되어 투광 패널(30)을 통해 표출된다.
이때, 표시 영역 이외의 모양과, 위치는 복수의 집광홀들이 관통 배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투광 패널(30)을 통해 표출되지 못하며, 이는 발광부(130)의 일부 광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집광 패널(50)의 다양한 선택을 통해 다양한 모양과 위치의 표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제어 기판(20)의 상면에 복수의 레이저 포인터(예를 들어 3개의 포인터)가 발광할 경우, 집광 패널(50)은 복수의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발생하는 레이저 광을 통해 자동차의 전방에 표출되는 정보에 대한 입체감을 줄 수 있다.
이는 복수의 레이저 포인터의 발광에 대응하는 집광 패널(50)의 필터링을 통해 입체감 있는 정보를 표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기판(20)의 상면에 LCD가 형성될 경우, 제어 기판(20)은 백라이트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광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백라이트에 의해 생성된 광은 마찬가지로 생성된 광에 대응하는 집광 패널(50)의 필터링을 통해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다양한 정보를 표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발광부(130)의 광원 종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집광 패널(50)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집광 패널(50)은 사용자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다양한 모양과 위치의 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광원 종류에 대응함과 아울러 원하는 모양과 위치의 표시 영역이 형성된 집광 패널(50)을 선택하여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의 맵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맵애플리케이션과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속도, 목적지 방향 안내, 과속 카메라, 잔여 거리, 방위 등의 주변 정보와 주행 속도, 차종, 기타 운행상 필요한 정보 등의 차량 정보 등과 같은 맵소프트웨어의 정보 일체를 단말기의 광원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해드업디스플레이가 구현하지 못하는 실시간 운행 정보 또는 주행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 구동 소프트웨어와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통해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에 내장되지 않아 이동이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
110 : 수신부
120 : 제 1 통신부
130 : 발광부
140 : 제어부
150 : 표출부
160 : 구동부
170 : 정보 복구부
180 : 제 1 위급 상황 대처부
200 : 이동 통신 단말
210 : 맵 애플리케이션
211 : 제 2 위급 상황 대처부
212 : 제 2 통신부
213 : 입력부

Claims (10)

  1. 실시간 교통 정보를 포함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복수의 형상으로 자동차의 전방 유리창에 표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정보를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2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통해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되는 복수의 정보에 대한 표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제 1 통신부;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정보를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할 수 있도록 광을 발광하되, 디지털 신호를 광원으로 표출할 수 있는 발광체로 구현되며, 근시 또는 원시인 운전자가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원을 축소해서 표출하거나 또는 확대해서 표출하는 발광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명령에 따라 복수의 정보에 대한 표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정보를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하되,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운전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맵 애플리케이션은,
    법정 속도, 목적지 방향 안내, 과속 카메라, 잔여 거리, 방위 중 하나 이상의 주변 정보와 주행 속도, 차종 중 하나 이상의 차량 정보를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발광부가 LCD, OLED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복수의 형상으로 표출되는 복수의 정보 중에서 특정 정보의 추가, 삭제, 확대 또는 축소, 광원 밝기 조절, 표시 정보의 위치 변경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정보를 상기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표출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명령에 따라 표출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 고정 표출, 표출 생략 중 하나 이상의 자유도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지인 또는 119에 구난 문자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 1 위급 상황 대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된 지인 또는 119에 구난 문자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 2 위급 상황 대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 1 통신부의 통신 단절 또는 구동 오류가 발생시 최신의 정보 상태로 복구시키는 정보 복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집광셀; 및
    집광된 상기 태양광을 직류 전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태양 전지셀;을 더 포함하며,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상기 태양 전지셀에 저장된 직류 전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업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부재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작동 불능시 자동차의 속도, 위치, 주행 정보, 안전 운전 안내 중 하나 이상을 독립적으로 구현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KR1020210100522A 2021-07-30 2021-07-30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KR102421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22A KR102421361B1 (ko) 2021-07-30 2021-07-30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22A KR102421361B1 (ko) 2021-07-30 2021-07-30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361B1 true KR102421361B1 (ko) 2022-07-15

Family

ID=8240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522A KR102421361B1 (ko) 2021-07-30 2021-07-30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36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6766A (ja) * 2006-11-07 2008-05-22 Shimadzu Corp 表示器および虚像表示装置
KR20100070973A (ko) * 2008-12-18 2010-06-28 박호철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장치, 시스템 및 서비스 구현방법
KR101224849B1 (ko) 2011-05-02 2013-02-12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차량용 허드 장치
JP3183407U (ja) * 2013-02-27 2013-05-16 怡利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スマートフォ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20130068357A (ko) * 2011-12-15 2013-06-26 김종섭 차량용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01358A (ko) * 2014-06-27 2016-01-06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 및 내비게이션정보 표시방법
WO2016103395A1 (ja) * 2014-12-25 2016-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KR20170029194A (ko) * 2015-09-07 201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20040541A (ja) * 2018-09-11 2020-03-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情報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6766A (ja) * 2006-11-07 2008-05-22 Shimadzu Corp 表示器および虚像表示装置
KR20100070973A (ko) * 2008-12-18 2010-06-28 박호철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장치, 시스템 및 서비스 구현방법
KR101224849B1 (ko) 2011-05-02 2013-02-12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차량용 허드 장치
KR20130068357A (ko) * 2011-12-15 2013-06-26 김종섭 차량용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JP3183407U (ja) * 2013-02-27 2013-05-16 怡利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スマートフォ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20160001358A (ko) * 2014-06-27 2016-01-06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 및 내비게이션정보 표시방법
WO2016103395A1 (ja) * 2014-12-25 2016-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KR20170029194A (ko) * 2015-09-07 201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20040541A (ja) * 2018-09-11 2020-03-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情報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4414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ell phone control signal in front of a driver
CN108688554B (zh) 车辆用灯泡
US10302941B2 (e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safe-driving support method, and safe-driving support program
US20060103590A1 (en) Augmented display system and methods
US201400980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enabled visual augmentation
EP3128356B1 (en)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automobile windshiel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201903173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reality assistance for vehicular navigation
JP2016024778A (ja) 車両用報知システム、報知制御装置、及び報知装置
US11551590B2 (en) Messaging display apparatus
US20180196425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US20210179289A1 (en) Aerial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60070101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form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N105661731A (zh) 可穿戴导航设备和导航系统
CN113219655B (zh) 一种多视角显示的车辆显示系统
KR201800711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5213226A (ja) ウエアラ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01358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 및 내비게이션정보 표시방법
KR101677032B1 (ko) 이동단말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구호 시스템
KR20130068357A (ko) 차량용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421361B1 (ko)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KR1017368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3196377A (zh) 显示光射出装置、平视显示装置、图像显示系统及头盔
KR101525351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는 차량의 표시 제어시스템
CN103112522B (zh) 具有投影装置的照明装置
CN115891644A (zh) 显示方法、设备、交通工具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