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194A -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194A
KR20170029194A KR1020150126210A KR20150126210A KR20170029194A KR 20170029194 A KR20170029194 A KR 20170029194A KR 1020150126210 A KR1020150126210 A KR 1020150126210A KR 20150126210 A KR20150126210 A KR 20150126210A KR 20170029194 A KR20170029194 A KR 20170029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emergency
mobi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412B1 (ko
Inventor
최성하
정두경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4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8System arrangements wherein both parent and child units can emit and receiv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08B21/0283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via a telephone network, e.g. cellular G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91Housing and user interface of child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를 요청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 긴급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긴급 구조 서비스 관련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센서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부터 차량의 긴급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긴급 상황으로 검출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접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service using terminal in the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 기기에 대한 연구와 소비자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 중에서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되어, 현재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의 플레이, 방송의 수신 등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의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와 차량과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의 제어로 차량 내의 출력 수단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서비스나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등의 사용자 편의 기능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을 통한 기능 들은 대부분 사용자의 편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에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를 요청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 긴급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긴급 구조 서비스 관련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센서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부터 차량의 긴급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긴급 상황으로 검출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접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전술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는 긴급 상황 검출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에 효과적으로 구조 요청을 하여, 차량 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는 긴급 상황 관련 정보를 구조 서버에 전송하여, 긴급 상황에 맞는 적절한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는 승객의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외부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긴급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및 타차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는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포함하는 차량(700), 이동 단말기(600) 및 서비스 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700)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 또는/및 유선으로 통신 가능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이하,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700)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 정보를 주고 받으며 긴급 구조 서비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차량(700)의 유닛 중 일부의 집합을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로 정의할 수도 있다.
별도의 장치일 때,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각 유닛들 중 일부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포함되지 않고, 차량(700) 또는 차량(700)에 탑재된 다른 장치의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나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함으로써,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도 2의 유닛들을 직접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구조 서비스 제공 서버(이하 “서비스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이동 단말기(600)는 장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긴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받은 서비스 서버(10)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긴급 상황 정보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접수 정보를 다시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0)는 소방 기관, 경찰 기관 등의 공공기관 서버, 차량(700) 정비 서비스 센터 서버 및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접수 정보를 수신하고, 접수 정보를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접수 정보를 수신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긴급 구조 서비스가 접수됨과 구조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600)는 추가적으로 서비스 서버(10)와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중계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세히, 이동 단말기(600)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에서 생성한 긴급 상황 정보를 서비스 서버(10)에 전달하여, 서비스 서버(10)가 긴급 상황을 미리 판단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이때,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와 서비스 서버(10)를 연결하여 통화 모드도 제공할 수 있다.
즉, 긴급 구조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600)의 중계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와 서비스 서버(10) 간의 데이터 통신을 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모니터링부(150), 카메라(160),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 기능을 온/오프하거나,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실행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구조 서비스 요청이 디폴트가 아닌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구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타차량(500) 및 이동 단말기(600) 등과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구조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6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특별하게 지칭하여 설명하지 않는 이동 단말기(600)는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타차량(500), 타차량(500) 내에 배치된 타인의 이동 단말기(600), 차량(700) 주변에 불특정인의 이동 단말기(600), 차량(700) 안에 있는 이동 단말기(600) 등 차량 내외에 위치한 모든 이동 단말기(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단거리 통신만 가능한 차량(700)은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타차량(500)을 통해서도 구조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600)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대한 설명이 타차량(500)의 통신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타차량(500)과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차량(700)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또는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와 블루투스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1.0~4.0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700) 내 승객의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paring) 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차량(700) 내)에 기 승인된 이동 단말기(600)가 검색되면 검색된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한 후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20)는 긴급 상황 정보를 미리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해 놓을 수 있으며, 정보 갱신시 동기화하여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상황 정보는 구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트랜젝션 아이디Transaction ID) 내비게이션 정보(실시간 차량 위치, 주행 방향, 목적지, 이동 경로), 차량 정보, 소유자 정보, 차량 유형, 사용 유종, 상황 영상 정보(차량 내부 영상, 차량 외부 영상) 및 승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4.0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블루투스 4.0 데이터 통신 방식은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하고, 반경 50m 내의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긴급 상황 발생시에 통신부(120)는 반경 50m 내의 이동 단말기(600)를 스캔하여 구조 요청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자세히,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이 오프되어 있더라도, 단말기의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근거리 통신 요청 신호를 감지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승인 또는/및 디폴트로 근거리 통신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구조 요청 메시지가 감지되면, 블루투스 4.0 통신 기능을 활성화 하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장거리 통신을 통해 서비스 서버(10)에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근거리 통신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되어 있을 때, 통신부(120)의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서 마스터가 되어 일정 반경 내의 복수의 이동 단말기(600)를 슬레이브로 설정하고 구조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긴급 상황 정보를 전송할 때, 긴급 상황 정보를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서버에 요청 메시지를 좀더 확실하게 서비스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타차량(500)으로부터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를 내비게이션으로 이용할 경우,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700) 주행과 관련된 맵(map) 정보, 차량(700)의 위치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700)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차량(700)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정보는 프로세서(170)가 긴급 상황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긴급 상황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및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700)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및 센서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및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및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700)의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전후방 차량(700)과의 거리 정보, 차량(700)과 차선과의 거리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700)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700) 속도 센서, 에어백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700) 내부 온도 센서, 차량(700)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정보는 프로세서(170)가 긴급 상황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에어백 센서가 에어백을 작동했다는 신호를 통해 교통 사고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연료 센서, 오일 센서, 엔진 온도, 습도 센서 등을 통해 차량(700)이 긴급 정비가 필요한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700)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700)의 사용자 입력부(720, 도 11 참조)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0)가 차량(700) 자체 내에 구성으로 배치된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서버로부터 획득된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는 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소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700)의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로부터 교통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교통 정보를 제어부(77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40)에는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긴급 상황 정보가 저장되고, 정보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로 교통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차선, 교통 표지판과 같은 소정의 교통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교통 정보가 또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다음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150)는 승객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생체 인식 정보는 승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인식 정보는 승객을 촬영한 영상 정보, 승객 수, 승객 특성,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50)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150)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50)는 차량(700) 내부에 배치된 영상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150)는 차량(700) 내부를 촬영하여, 내부 영상을 긴급 상황 정보에 포함시켜, 상황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구조 서비스 센터에서는 내부 영상을 통해 사고 경중, 사고자 상태, 사고자 수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차량(700)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를 통해 촬영된 차량(700) 주변 영상은 긴급 상황 정보 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황 영상 정보는 차량 내부 영상 또는/및 차량 외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긴급 상황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긴급 상황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상황에 따른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구조 서비스 센터에서는 외부 영상을 통해 사고 경중, 차량(700) 사고 상태, 사고 차량(700) 수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복수의 카메라(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카메라(160)는 각기 다른 방향을 촬영하여, 상황 영상 정보의 정보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히, 도 3을 보면, 복수의 카메라(160a 160b, 160c, 160d)는, 각각 차량(700)의 좌측, 후방, 우측 및 전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카메라(160d)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160a)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방에서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700)을 탑뷰에서 바라본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긴급 상황 발생시에는 사방에서 촬영된 영상을 각각 상황 영상 정보에 포함시켜,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사고 발생시 사고 상황을 파악을 위해 카메라(160)의 촬영 방향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사고 상황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평소에 카메라(160) 촬영방향을 하측으로 기울이게 설정하여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촬영방향을 지면과 수직방향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여 긴급 상황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긴급 구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부(180)는 긴급 상황 발생시 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구조 요청 메시지를 보낼지 여부를 선택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700) 이상 상태 발견시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긴급 정비 요청을 선택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긴급 구조 서비스가 접수되었는지 여부와, 서비스가 어떠한 과정으로 제공됨을 설명하는 접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접수 정보는 접수 완료 여부, 접수한 서버의 기관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예상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700)의 윈드실드(W)(windshield)에 이미지를 투사하여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부(181)는 HUD(Head Up Display)로, 윈드실드(W)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 모듈이 투사하는 투사 이미지는 일정 투명도를 가져, 사용자는 투사 이미지 뒤 모습과 투사 이미지를 동시에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디스플레이부(181)에서 표시되는 투사 이미지는 윈드실드(W)에 투영되는 투영 이미지와 겹쳐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이룰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700)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제 2 디스플레이부(183)는 차량(700)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나 차량(700)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부(18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디스플레이부(183)는 터치 입력부(11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이룰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고시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작동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검색하고, 작동 가능한 디스플레이에 긴급 상황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출력부(185)는 긴급 구조 서비스에 대한 설명, 실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한 시각적인 표시와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185)의 오디오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부(185)는 접수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85)는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와 통화 연결시,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전술한 각 유닛을 동작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잇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거나, 제어부를 통해 차량(700)을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거나, 제어부를 통해 차량(700)을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7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모듈(610), 서비스 메니저 모듈(620), UI 입력 버튼(630) 및 장거리 통신 모듈(640)을 포함할 수 있고, 긴급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프로세서(170), 입력부(110) 및 통신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동 단말기(600) 감지하고 연결할 수 있다. (S101) 프로세서(170)가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를 검색한 경우만으로도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단순히 이동 단말기(600)를 감지하고 대기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가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 되면,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에 긴급 상황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해 놓을 수 있다. (S103)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요청 메시지와 함께 긴급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긴급 상황 발생시, 차량(700)의 손상으로 인하여 파악된 긴급 상황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없을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70)는 미리 긴급 상황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가 기존에 사용자에게 승인된 단말기일 때만 긴급 상황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정보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센서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영상 정보 등을 통해 긴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센서 정보 중 차량(700) 외부 충격량을 통해 차량(700) 사고 긴급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에어백 센서가 에어백을 작동했다는 신호를 통해 교통 사고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연료 센서, 오일 센서, 엔진 온도, 습도 센서 등을 통해 차량(700)이 긴급 정비가 필요한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영상 정보에 포함된 오브젝트들을 영상 처리하여 검출한 후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긴급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107)
여기서, 긴급 상황 정보는 구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트랜젝션 아이디Transaction ID) 내비게이션 정보(실시간 차량 위치, 주행 방향, 목적지, 이동 경로), 차량 정보, 소유자 정보, 차량 유형, 사용 유종, 상황 영상 정보(차량 내부 영상, 차량 외부 영상) 및 승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 된 이동 단말기(600)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되어 있을 때, 통신부(120)의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600)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이 오프되어 있더라도,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근거리 통신 요청 신호를 감지하면 단말기 사용자의 승인 또는/및 디폴트로 근거리 통신을 활성화 하여 요청 메시지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구조 요청 메시지가 감지되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 하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장거리 통신을 통해 서비스 서버(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블루투스 통신시 마스터가 되어 일정 반경 내의 복수의 이동 단말기(600)를 슬레이브로 설정하고 구조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긴급 상황 정보를 전송할 때, 긴급 상황 정보를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서버에 요청 메시지를 좀더 확실하게 서비스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접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출력할 수 있다. (S109)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가 접수되었는지 여부와, 서비스가 어떠한 과정으로 제공됨을 설명하는 접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접수 정보는 접수 완료 여부, 접수한 서버의 기관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예상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사고시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작동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검색하고, 작동 가능한 디스플레이에 긴급 상황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에 대한 설명, 실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한 시각적인 표시와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185)의 오디오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보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긴급 상황 정보를 추가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S111)
프로세서(170)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긴급 상황 정보를 수집 및 업데이트하고,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업데이트 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의 중계로 서비스 서버(10)와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S113)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가 서비스 서버(10)와 통화 연결시켜주면, 입력부(110)의 마이크로 폰과 오디오 출력부(185)를 이용하여 승객과 서비스 서버(10)의 서비스 제공자와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은 사고 상황을 직접 서비스 제공자에게 설명하고, 서비스 제공자는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나 서비스 제공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7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600, 650)는 근거리 통신모듈(610), 서비스 메니저 모듈(620), UI 입력 버튼(630) 및 장거리 통신 모듈(640)을 포함할 수 있고, 긴급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프로세서(170), 입력부(110) 및 통신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70)는 센서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긴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S301)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센서 정보 중 차량(700) 외부 충격량을 통해 차량(700) 사고 긴급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에어백 센서가 에어백을 작동했다는 신호를 통해 교통 사고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연료 센서, 오일 센서, 엔진 온도, 습도 센서 등을 통해 차량(700)이 긴급 정비가 필요한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영상 정보에 포함된 오브젝트들을 영상 처리하여 검출한 후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70)는 기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303)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기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와 긴급 상황 이후에도 연결이 가능한지를 검출할 수 있다. (S305)
프로세서(170)는 기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가 있고, 긴급 상황 이후에도 연결이 가능하면,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로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307)
그러나 기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가 없거나, 연결되었던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주변 이동 단말기(600)를 검색할 수 있다. (S309)
먼저, 프로세서(170)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차량(700) 내에 이동 단말기(600)를 검색할 수 있다.
차량(700) 내에 이동 단말기(600)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차량(700)으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600)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블루투스 4.0 통신 방식으로 반경 50m 내에 블루투스가 활성화 된 이동 단말기(600)가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되어 있을 때, 통신부(120)의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600)를 검색할 수 있다.
자세히,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이 오프되어 있더라도,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근거리 통신 요청 신호를 감지하면 단말기 사용자의 승인 또는/및 디폴트로 근거리 통신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구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구조 요청 메시지가 감지되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잇다.
프로세서(170)는 검색된 이동 단말기(600)를 선택할 수 있다. (S311)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를 검출하고 후 통신 감도가 높은 이동 단말기(60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고 위치 변화가 적은 이동 단말기(60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블루투스 통신시 마스터가 되어 일정 반경 내의 복수의 이동 단말기(600)를 슬레이브로 설정하여, 검색된 모든 이동 단말기(6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단말기를 통해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313)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상황 정보는 구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트랜젝션 아이디Transaction ID) 내비게이션 정보(실시간 차량 위치, 주행 방향, 목적지, 이동 경로), 차량 정보, 소유자 정보, 차량 유형, 사용 유종, 상황 영상 정보(차량 내부 영상, 차량 외부 영상) 및 승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긴급 상황 정보를 암호화 하여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가 기 승인된 이동 단말기(600)인지 여부에 따라 암호화 여부를 결정한 후, 승인되지 않은 이동 단말기(600)의 경우 긴급 상황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차량(700) 외부의 불특정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구조 요청시 정보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접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출력할 수 있다. (S315)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가 접수되었는지 여부와, 서비스가 어떠한 과정으로 제공됨을 설명하는 접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접수 정보는 접수 완료 여부, 접수한 서버의 기관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예상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사고시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작동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검색하고, 작동 가능한 디스플레이에 긴급 상황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에 대한 설명, 실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한 시각적인 표시와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185)의 오디오를 통해 긴급 구조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보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긴급 상황 정보를 추가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S317)
프로세서(170)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긴급 상황 정보를 수집 및 업데이트하고,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긴급 상황 정보를 암호화 하여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가 기 승인된 이동 단말기(600)인지 여부에 따라 암호화 여부를 결정한 후, 승인되지 않은 이동 단말기(600)의 경우 긴급 상황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차량(700) 외부의 불특정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구조 요청시 정보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업데이트 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의 중계로 서비스 서버(10)와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S319)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가 서비스 서버(10)와 통화 연결시켜주면, 입력부(110)의 마이크로 폰과 오디오 출력부(185)를 이용하여 승객과 서비스 서버(10)의 서비스 제공자와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은 사고 상황을 직접 서비스 제공자에게 설명하고, 서비스 제공자는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나 서비스 제공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7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모듈(610), 서비스 메니저 모듈(620), UI 입력 버튼(630) 및 장거리 통신 모듈(640)을 포함할 수 있고, 긴급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프로세서(170), 입력부(110) 및 통신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동 단말기(600) 감지하고 연결할 수 있다. (S501) 프로세서(170)가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를 검색한 경우만으로도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단순히 이동 단말기(600)를 감지하고 대기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가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 되면,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에 차량(700) 센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해 놓을 수 있다. (S503)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긴급 정비상황 발생시 정비 요청 메시지와 함께 차량(700) 센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긴급 정비상황 발생시, 차량(700)의 손상으로 인하여 파악된 차량(700) 센서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없을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70)는 미리 차량(700) 센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가 기존에 사용자에게 승인된 단말기일 때만 차량(700) 센서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정보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센서 정보를 통해 긴급 정비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S505)
또한, 프로세서(170)는 연료 센서, 오일 센서, 엔진 온도, 습도 센서 등을 통해 차량(700)이 긴급 정비가 필요한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연료가 없다는 정보를 연료 센서로부터 전달 받아 차량(700)에 연료 보충이 필요한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긴급 정비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170)는 긴급 정비가 필요함을 표시하고, 긴급 정비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S507)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긴급 정비 서비스를 요청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긴급 정비 필요 상황을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600)는 긴급 정비 필요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긴급 정비 서비스 요청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S509)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터치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긴급 정비 서비스 요청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에서 긴급 정비 서비스 요청 입력이 있음을 수신할 수 있다.
정비 요청이 없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정비 센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전달받고 표시하여, 사용자로하여금 정비를 유도할 수 있다. (S511)
정비 요청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긴급 정비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513)
여기서, 긴급 정비상황 정보는 정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트랜젝션 아이디Transaction ID) 내비게이션 정보(실시간 차량 위치, 주행 방향, 목적지, 이동 경로), 차량 정보, 소유자 정보, 차량 유형, 사용 유종, 상황 영상 정보(차량 내부 영상, 차량 외부 영상) 및 승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 된 이동 단말기(600)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정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되어 있을 때, 통신부(120)의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정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긴급 정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600)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긴급 정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이 오프되어 있더라도, 이동 단말기(600)의 긴급 정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근거리 통신 요청 신호를 감지하면 이동 단말기(600) 사용자의 승인 또는/및 디폴트로 근거리 통신을 활성화 하여 요청 메시지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정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정비 요청 메시지가 감지되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 하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장거리 통신을 통해 서비스 서버(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블루투스 통신시 마스터가 되어 일정 반경 내의 복수의 이동 단말기(600)를 슬레이브로 설정하고 정비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긴급 정비상황 정보를 전송할 때, 긴급 정비상황 정보를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서버에 요청 메시지를 좀더 확실하게 서비스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접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출력할 수 있다. (S515)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긴급 정비 서비스가 접수되었는지 여부와, 정비 서비스가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접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접수 정보는 내비게이션 정보, 접수 완료 여부, 접수한 서버의 기관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예상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긴급 정비 서비스에 대한 설명, 실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한 시각적인 표시와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185)의 오디오를 통해 긴급 정비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보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서비스 서버(10)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S517) 그리고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700)이 정비를 위해 이동해야 할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수신한 내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차량(70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표시할 수 있다. (S519)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수신된 차량(700) 정비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목적지로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긴급 정비 상황 발생 근처 갓길을 목적지로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긴급 정비상황 정보를 추가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긴급 정비상황이 발생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긴급 정비상황 정보를 수집 및 업데이트하고,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업데이트 된 긴급 정비상황 정보에 따라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의 중계로 서비스 서버(10)와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S521)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가 서비스 서버(10)와 통화 연결시켜주면, 입력부(110)의 마이크로 폰과 오디오 출력부(185)를 이용하여 승객과 서비스 서버(10)의 서비스 제공자와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은 사고 상황을 직접 서비스 제공자에게 설명하고, 서비스 제공자는 긴급 정비상황에 대한 대처나 서비스 제공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는 차량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차량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차량과 이동 단말기 사이, 차량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과 타차량(52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차량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하 설명 도 2참조)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D),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722)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50)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50)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31에서는 모니터링부(150)와 카메라(722)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7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50)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정비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차량 구동부(750)를 통해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량 구동부와 제어부 사이에는 데이터 전송은 세큐리티부(79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히,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770)와 차량 구동부(750) 연결 사이에 세큐리티부(790)로 리소스 프록시(Resource Proxy)를 배치하여, 차량 구동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600)가 제어부(770)를 해킹하더라도, 차량 구동부(750)에 물리적으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전달 가능한 데이터 외에 안전에 중요한 데이터는 원천적으로 보호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긴급 상황 정보는 퍼블릭 키(Public Key) 로 암호화되어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기 때문에, 익명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해당 정보를 받더라도 해석할 수 없으며, 서비스 서버에서만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석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70)은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의 실행 신호 전달에 따라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즉,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의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제어부(770)에 직접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는 차량의 일부 구성들을 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정비,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정비,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장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에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구조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상기 차량 내에 구비된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긴급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긴급 구조 서비스 관련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센서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에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을 판단하고,
    상기 긴급 상황을 검출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긴급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접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로 상기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내 위치한 이동 단말기가 장거리 통신이 안되면, 상기 차량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은 상기 차량의 안전한 주행이 어려운 상황으로서, 상기 차량의 교통 사고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정비 필요 상황을 포함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 정보는 트랜젝션 아이디Transaction ID),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차량 정보, 소유자 정보, 차량 유형, 사용 유종, 상황 영상 정보 및 승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영상 정보는 차량 내부 영상 및 차량 외부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외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메시지 전송시, 상기 긴급 상황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중계로 서비스 제공자와 통화를 제공하는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각종 구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구동부와,
    상기 차량 구동부를 포함한 상기 차량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차량 구동부 사이에 보안을 위한 세큐리티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KR1020150126210A 2015-09-07 2015-09-07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1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210A KR101917412B1 (ko) 2015-09-07 2015-09-07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210A KR101917412B1 (ko) 2015-09-07 2015-09-07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94A true KR20170029194A (ko) 2017-03-15
KR101917412B1 KR101917412B1 (ko) 2018-11-09

Family

ID=5840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210A KR101917412B1 (ko) 2015-09-07 2015-09-07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4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6030A (zh) * 2017-08-30 2017-11-2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的处理方法及调度控制端
KR20190113183A (ko) * 2018-03-28 2019-10-08 박준영 긴급차량 임무정보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CN113438624A (zh) * 2020-03-20 2021-09-24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车辆救援方法及其装置
US11202189B2 (en) 2019-11-22 2021-12-14 Hyundai Motor Company Infotainment system for emergency rescue request no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421361B1 (ko) * 2021-07-30 2022-07-15 박민규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CN115079811A (zh) * 2021-03-11 2022-09-20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系统、终端、汽车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5201B2 (en) * 2008-06-05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eterministic control of foreground access of the user interface
KR101080335B1 (ko) * 2010-03-22 2011-11-04 김용균 차량 비상 상황 통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26343B1 (ko) * 2014-04-03 2015-06-10 한국과학기술원 무인 자동차 시스템에서 애드혹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링크 설정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6030A (zh) * 2017-08-30 2017-11-2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的处理方法及调度控制端
CN107396030B (zh) * 2017-08-30 2020-02-1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的处理方法及调度控制端
KR20190113183A (ko) * 2018-03-28 2019-10-08 박준영 긴급차량 임무정보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US11202189B2 (en) 2019-11-22 2021-12-14 Hyundai Motor Company Infotainment system for emergency rescue request no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CN113438624A (zh) * 2020-03-20 2021-09-24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车辆救援方法及其装置
CN115079811A (zh) * 2021-03-11 2022-09-20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系统、终端、汽车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21361B1 (ko) * 2021-07-30 2022-07-15 박민규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412B1 (ko) 201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396B1 (ko) 차량 내 휴대 기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50178B1 (ko) 차량 외부 알람방법, 이를 실행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00508B1 (ko)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KR1018264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6915302B (zh) 用于车辆的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732983B1 (ko)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17412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60615B1 (ko)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58188A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23230B1 (ko) 외장형 모듈 및 이와 연결되는 차량
KR101843538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
KR101962348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54849A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32263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26963A (ko) 차량 도난 방지방법 및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102420922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97350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KR101843535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41072A (ko) 차량용 소음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020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69646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KR101985496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81689B1 (ko) 가상 영상 생성장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차량
KR101894636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29291B1 (ko) 차량 통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