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214A - 스마트 밴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214A
KR20190035214A KR1020170124194A KR20170124194A KR20190035214A KR 20190035214 A KR20190035214 A KR 20190035214A KR 1020170124194 A KR1020170124194 A KR 1020170124194A KR 20170124194 A KR20170124194 A KR 20170124194A KR 20190035214 A KR20190035214 A KR 20190035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splay
smart ba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팝
Priority to KR102017012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214A/ko
Publication of KR20190035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에 LED를 배열설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모듈과 스마트폰 또는 외부 이벤트 장치와 무선통신하도록 근거리 통신수단 및 제어모듈을 구비하여 스마트 밴드를 구성하고, 스마트밴드를 팔이나 손목에 착용하도록 구성하여 응원문구 표시수단, 결제수단, 위치정보 제공수단, 미아방지 경보수단 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벤트장치와 통신하여 이벤트성 메시지나 문구 및 표시제어를 활용해 이벤트나 경기장 응원도구로 이용할 수 있고, 헤어밴드나 허리벨트에 부착구성하여 폐션 용품 및 야간 시인성 향상 용품으로 제공할 수 있고, 헬멧에 부착시키고 네비게이션에 연동하여 방향지시등이나 시인성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응용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밴드{Smart band}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팔에 착용하는 스마트 밴드로 구성하여 LED 응원도구, 미아방지용 표시수단, 결제수단으로 활용하고, 스마트폰과의 연동으로 위치추적 및 위치 트레킹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옷, 시계 또는 안경처럼 자유롭게 몸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는 장치로서, 그중에서도 손목이나 팔목에 밴드형으로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밴드형으로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한국특허등록공보 10-1369122호), 무선으로 동작하는 태그와 전자칩이 내장된 물품보관함용 손목 밴드 키홀더(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5124호), 손목밴드 무인입장권 발매시스템(한국등록특허공보 10-1726563호),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5-0134141호) 등등이 있고,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액서세리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는, 인식라벨지를 탈부착하는 손목밴드이고, 손목밴드 키홀더는, 손목밴드속에 무선태그를 내장한 정도이며, 무인입장권발매시스템은, 바코드가 인쇄된 손목밴드형태의 입장권을 발권하는 것이며, 상기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은, 손 터치에 의해 사용자 생체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것으로서 모두 디스플레이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원거리 시인성을 제공하거나, 응원도구나 기타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정보 표시용으로 활용할 수 없었다.
또한, 최근 들어 다양한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용 스마트 워치는, 다양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으나, 고가의 정보기기이며, 특히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로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용도로는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마트워치는 시계와 같은 착용방식으로 인하여 그 착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며, 착용부위가 손목에 한정되고, 시계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의 부피가 커서 미관이 유려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10-1369122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512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10-172656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5-0134141호
본 발명은 손목이나 팔에 착용하는 착용밴드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렉시블 LED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문자, 그래픽 및 조명 출력이 가능하게 하여 외부 시인성을 향상시켜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밴드는, 이벤트용, 응원문구 표출, 스마트폰과의 연동에 의한 결제를 포함하는 스마트 결제기능, 미아방지기능, 위치정보제공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 밴드는,
플렉시블 기판에 복수의 LED를 배열 설치하여 조명 및 메시지 표출이 가능한 밴드타입의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스위치 모듈과;
충전식 밧데리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각 모듈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과;
스마트 밴드와 무선통신하여 스마트 밴드에서 표시할 정보를 입력하고, 표시모드를 설정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동시켜 메시지, 조명, 그래픽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창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모듈을 감싸는 몰드부와;
상기 전원모듈,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이 설치되고, 작동상태 표시기와, 스위치모듈의 스위치들과, 유선으로 전원연결 및 통신연결을 위한 USB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헤드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팔이나 손목에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착용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통신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할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표시정보와, 표시모드에 대한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두고, 설정된 표시정보를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출력을 제어하는 표시제어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위치확인 신호와 연동하여 주기적으로 위치확인 신호를 주고받고, 위치확인신호의 통신신호 세기에 의거하여 모바일 단말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미아경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외부로 표출함과 아울러 상기 모바일 단말로 미아경보를 통지하는 미아방지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밴드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로서, 헤드부 대신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배면을 지지하고 디스플레이모듈이 전면으로 원호형을 이루도록 디스플레이모듈을 고정하며, 상기 스위치모듈, 전원모듈,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가 보이도록 전면부가 투명창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 설치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하우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NFC태그를 이용한 선불충전, 결제, 출입 인증을 처리하는 NFC 통신모듈과,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에 의해 데이터 통신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 또는/및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NFC 통신모듈의 충전, 결제 및 승인 정보를 입력받아 모바일 단말로 사용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승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비콘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비콘 통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비콘 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에서, 상기 비콘 시스템과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밴드의 위치정보를 추출해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비콘 통신장치가 설치되고, 위치정보 제공영역의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디스플레이모듈, 스위치, 전원모듈, 비콘통신부와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헤어밴드나 암밴드와 같이 착용형 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비콘신통장치의 비콘신호에 의해 제어모듈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정보를 모바일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밴드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 제공영역의 지도정보를 다운받아 저장해두고, 상기 스마트밴드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지도정보에 맵핑시켜 위치정보를 네비게이션 시키는 위치정보 서비스 앱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밴드의 제어모듈은, 스마트밴드의 표시제어를 위한 표시제어부, 비콘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비콘신호에 의해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검출부, Wi-Fi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모바일단말과 통신하여 스마트밴드 표시제어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모바일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시스템은,
위치정보 제공영역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도정보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위치정보 서비스앱을 제공하는 위치정보 앱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서비스앱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 서비스앱을 다운받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정보 서비스 앱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은,
위치정보 서비스앱을 앱 마켓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해당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 앱에 의거하여 비콘통신을 제어함과 아울러 및 지도정보를 비콘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위치정보 앱 서비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밴드는, 비콘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 및 지도정보를 상기 제어모듈에서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앱마켓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 서비스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스마트밴드에서 수신되는 지도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함과 아울러 해당 지도에 위치정보를 맵핑시켜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밴드에서 비콘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에 의거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해 모바일 단말에서 해당 위치의 지도에 매핑시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일반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옥내외 경기장의 좌석위치나, 초대형 마트의 실내위치정보, 또는 대형 공원에서의 상세 권역의 상세 위치정보 등을 차별화하여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렉시블 밴드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벤트 시스템은,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 및 미리 저장된 메시지를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의거하여 출력하되, 자체 제어 또는 원격제어에 의해 제어되고, 사용자에게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마트 밴드와;
상기 스마트 밴드에서 출력할 메시지나 출력모드를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입력받아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밴드로 출력하여, 상기 스마트 밴드를 통해 이벤트 메시지 및 조명모드를 제어하는 이벤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 밴드와 페어링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시킬 메시지와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벤트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으로서 비콘 통신시스템이 설치되고, 비콘 통신시스템을 이용해 상기 스마트 밴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스마트 밴드에서 해당 위치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서 해당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상기 이벤트제어장치에서 송신하는 무선신호를 채널별로 선택하여 수신받도록 복수의 통신채널 및 채널선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이벤트 제어장치는, 복수의 채널별로 서로 다른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여 스마트 밴드의 채널 그룹별로 서로 다른 이벤트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플렉시블 기판에 복수의 LED를 배열 설치하여 조명 및 메시지 표출이 가능한 밴드타입의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스위치 모듈과;
충전식 밧데리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각 모듈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과;
스마트 밴드와 무선통신하여 스마트 밴드에서 표시할 정보를 입력하고, 표시모드를 설정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출력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동시켜 메시지, 조명, 그래픽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양단이 디스플레이모듈의 양단과 서로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모듈, 전원모듈,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가 투명하게 몰딩되는 몰드부로 이루어진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고,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착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용수단은, 탄성을 갖는 헤어밴드이고, 헤어밴드에 상기 하우징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벤트 시스템의 스마트 밴드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모바일 단말이나 외부 메시지 송신시스템으로부터 무선통신신호로 전송되는 실시간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실시간 메시지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으로서, 블루투스통신, NFC통신, 비콘통신, 와이파이(Wi-Fi)통신중 적어도 어느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플렉시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헬멧의 방향지시 표시등 및 표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무선통신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제어를 하되, 사용자의 헬멧에 부착되어 좌우 방향지시등, 전조등 출력제어와 아울러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 밴드와;
상기 스마트 밴드와 페어링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시킬 메시지와 디스플레이 모드의 설정 및 출력제어를 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의 방향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지시 제어정보를 생성해 상기 스마트 밴드로 전송하는 스마트밴드 제어앱이 설치된 모바일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단말의 스마트밴드 제어앱은, 네비게이션 앱과 분리된 독립된 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네이게이션 앱에 포함되는 부가기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헬멧의 앞뒤에 각기 하나씩 한쌍이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이동수단의 차체에 직접 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스마트밴드 제어앱은,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설정에 의한 주행경로 상에서 네비게이션의 이동주체가 방향전환 포인트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설정된 거리에서 방향전환에 대응되는 방향지지 제어정보를 생성해 스마트 밴드로 전송하여, 네비게이션의 이동주체가 방향전환 포인트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방향지시 표시를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스마트밴드 제어앱은,
목적지 설정 없이 네비게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방향지시 제어정보로서 일정간격의 점멸 표시 제어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스마트밴드 제어앱은,
이동속도를 근거로 적어도 2가지 이상으로 구분하여 이동속도별로 서로 다른 메시지의 출력 및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밴드에는,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카메라의 촬영 및 촬영된 영상의 저장을 제어하는 촬영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상기 전원모듈의 전원충전과, 상기 제어모듈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USB포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밴드는, 헬멧의 앞뒤에 부착하기 위하여 2개가 구비되고, 2개의 스마트 밴드는, 양끝단에 각각 길이조절이 가능하거나, 탄력적으로 인장 수축되는 착용수단이 더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팔이나, 손목, 목에 밴드형태로 착용하는 스마트 밴드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점등 제어에 의해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고, 응원 문구를 표시하여 응원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수단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과의 통신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분실경보를 하게하여 스마트폰의 분실방지 또는 마아방지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핀테크 기술을 접목하여 결제수단으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경기장과 같은 곳의 실내 위치정보 추출방식에 의해 경기장 위치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에 실시간 문자표시기능 및 실시간 원격제어기능을 부가하여 이벤트장치에서 출력하는 실시간 문자를 출력하거나, 실시간으로 그룹핑하여 원격제어하여 이벤트 표시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를 헤어밴드나, 허리 벨트에 부착하여 착용하고 문구 표시나 그래픽 효시 점멸 표시등으로 패션 용품으로 제공될 수 있고 야간 시인성 향상 효과가 있다.
또한, 자전거나 모터 싸이클 또는 전동주행장치 탑승시 착용하는 헬멧에 장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의 네비게이션과 연동시켜, 방향지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 사진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통신모듈과 제어모듈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다기능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응원 메시지 출력 기능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미아방지 경보기능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결제처리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경기장 내 위치정보 제공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마트 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진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이벤트 시스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개념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개념도이다.
도 1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헤어밴드와, 헷멧 방향지시 표시용 스마트밴드의 사용 예르를 보인 사진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 사진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밴드(100)는,
밴드타입의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그 디스플레이모듈(110)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장치로서 마이컴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모듈(150), 스위치모듈(120), 2차 전지를 구비하는 전원모듈(130),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플렉시블 기판에 복수의 LED가 배열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를 이루고, 정면부에 투명창이 형성되게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보호하기 위해 수지로 몰딩시킨 몰드부(102)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모듈에 LED 구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브부가 구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브부가 제어모듈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50), 스위치모듈(120), 전원모듈(130) 및 통신모듈(140)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헤드부(101) 내에 설치되고, 헤드부(101)는 각 모듈들을 수납시킨 케이스 형태로 디스플레이모듈(1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헤드부(101)에는 전원모듈(130)의 충전 전원 입력과 데이터통신을 위한 USB포트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10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는 각각 외측단부로 체결고리가 형성되고, 체결고리에 착용벨트(103)의 일측 및 타측 벨트부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착용벨트는 예를 들어, 손목시계용 벨트와 같은 구성으로 팔이나 손목에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는 고무밴드를 결합하여 고무밴드의 탄성을 이용해 팔이나 손목에 착용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밴드(100)는, 팔이나 손목에 착용하여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시지 디스플레이와, 이벤트나 시인성을 위한 조명 디스플레이, 미아방지 경보장치, 실시간 메시지 출력 장치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 밴드 내에 미리 출력할 메시지와, 디스플레이 출력모드에 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이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출력할 메시지와 출력(표시)모드 제어프로그램은, 헤드부(101)에 있는 USB포트를 통해 외부 단말(예; 모바일 단말, 테블릿PC, 스마트 패드, 등등)과 연결하여 미리 저장 및 출력모드를 설정해둘 수 있다.
이렇게 메시지와 출력모드가 저장 설정되면, 스위치모듈(120)의 스위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모듈(110)로 구동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메시지 출력과, 조명 출력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USB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하여 메시지 및 출력모드를 설정해두고, 스위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할 수 있지만, 통신모듈(140)을 구비하여 무선으로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출력할 메시지와 출력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해두고, 스위치 조작으로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온/오프를 위한 온오프 스위치만 구비되어도 되지만, 출력모드가 다종류인 경우 출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가 필요하며, 통신채널이 다채널일 경우 채널선택 스위치도 필요하다. 이는 실시 예에 따라 설치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통신모듈과 제어모듈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의 다기능 설명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다기능으로서, 응원메시지 출력, 미아방지 서비스, 결제수단, 경기장내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기능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통신모듈(140)과 제어모듈(150)에 각 기능에 적합한 수단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통신모듈(14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0)과 페어링에 의해 출력 응원문구 및 메시지를 입력받고 사용자 모바일단말(10)로 사용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41, 142), 결제수단으로 스마트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NFC 모듈(143), 경기장 내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비콘 통신모듈(14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40)에 대응하여 제어모듈(150)에는, 메모리(151), 표시제어부(152), 미아방지 경보부(153), 결제승인 관리부(154) 및 위치정보 제공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i-Fi 통신모듈(141)과 블루투스 통신모듈(142)은, 페어링에 의해 근거리 통신을 하는 통신수단으로서, Wi-Fi 및 블루투스 통신수단이 구비된 단말 즉, 모바일 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100)의 통신모듈과 페어링을 설정한 후 통신하여 메시지 및 출력모드 제어 그리고, 미아방지 경보를 위한 주기적 위치확인신호의 송수신 및 거리 판단에 따른 미아방지 경보를 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 제어앱이 설치되어야 한다.
NFC 통신모듈(143)은, NFC태그를 설치하여 근접 통신을 하는 일반적인 NFC통신모듈과 같은 것으로서, NFC 통신모듈이 설치된 NFC 통신단말과 근접 통신하여 선불충전과, 결제, 출입승인 등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밴드(100)를 이용해 지불수단으로 전자지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해 스마트밴드(100)에서 블루투스 또는 WiFi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10)에서 확인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비콘통신모듈(144)은, 경기장과 같은 일정한 권역에 비콘 통신수단을 설치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페어링없이 통신이 가능한 통신수단으로서, 스포츠 경기장과 같은 곳에서 복수의 비콘 통신수단을 설치하고, 중앙 서버에서 통신을 제어하게 되면, 스마트밴드(100)에서 비콘신호를 수신받아 자신의 위치 즉, 스마트밴드(100)의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취득된 위치정보는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해줌으로써, 모바일 단말(10)은 경기장 내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확인해 가고자 하는 자리를 쉽게 찾아갈 수도 있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제3자에게 정확한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콘 통신을 활용하게 되면 페어링 없이 통신이 가능한 것이므로, 중앙 서버 즉, 이벤트 장치(40)에서 이벤트 정보를 송출하면, 스마트밴드(100)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이벤트 정보에 따른 메시지 출력이나 조명 출력을 제어하여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는 스마트 밴드(100)는, 제어모듈(150)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모듈(150)에는, 메모리(151), 표시제어부(152), 미아방지 경보부(153), 결제승인 관리부(154) 및 위치정보 제공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1)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본으로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통해 출력할 메시지와, 출력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둔다. 메모리(151)는 제어모듈(150) 속에 내장된 메모리일 수도 있지만, 외장형 메모리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응원 메시지 출력 기능 설명도이다.
상기 표시제어부(152)는, 모바일단말(10)이나 이벤트제어장치(40)로부터 송신되는 디스플레이시킬 메시지나 표시(출력)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모듈(10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통해 표시할 메시지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맞게 자동으로 출력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경기장과 같은 곳에서는 자신이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설정 입력한 응원문구나 응원하고자 하는 선수 이름 등을 표시하고, 그래픽 표시도 가능하며, 칼라 변화와, 점멸과 같은 점등 방식의 변화 등등의 출력 모드에 따른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응원문구 표출이 가능한 공연장이나, 방송 등에서 자신이 응원하는 문구를 표출시켜 응원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미아방지 경보기능 설명도이다.
미아방지 경보부(153)는, 통상의 휴대전화와 휴대장치를 이용한 미아방지 경보기능과 같은 것으로서, 스마트 밴드(100)에 미아방지 경보기능을 설치하게 되면, 스마트 밴드(100)를 어린이에게 착용하여두고,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하여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자동 경보가 발생 된다. 이는 주기적으로 위치확인신호를 부고받으면서 각각 통신신호 세기를 검출하고, 통신신호 세기에 의해 거리를 검출하며, 검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미아방지 경보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미아방지 경보부(153)와, 비콘통신을 이용하는 위치정보 제공부(155)를 구비하게 되면, 경기장이나, 놀이공원 또는 백화점이나 아울렛과 같은 초대형 매장 등에서 비콘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면, 미아방지 경보 발생시 즉시 스마트 밴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미아를 즉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결제승인 관리부(154)는, NFC 통신모듈(143)을 설치하여, NFC태그에 의한 근접통신으로 결제 및 출입승인과 선불 충전 기능 등을 수행하고, 이때 발생된 결제 관리정보를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에서는 스마트 밴드(100)를 이용한 결제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이는 NFC 통신단말(30)을 설치한 기기에 스마트 밴드(100)를 근접시켜 NFC 통신에 의해 구현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결제처리 설명도이다.
상기 결제처리방식으로 NFC태그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비콘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비콘통신은, 거리도 비교적 원거리 통신(예; 50 - 100m)이 가능하고 페어링 없이 통신되며 일대다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결제요청이나 승인처리시 스마트 밴드에서 승인이 이루어져야 결제가 이루어지도록구성하고 스마트밴드를 식별하는 코드를 이용해 구별하여 결제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결제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결가장 내의 모든 결제를 하나의 스마트 밴드로 처리할 수 있고, 숙박, 음식, 놀이기구 탑승을 하나의 스마트 밴드를 이용해 처리할 수 있다. 입장권이나 탑승권과 같이 미리 티켓을 구매하여 그 티켓을 이용하는 경우는, 미리 모바일 단말로 다운받아 입장권 정보를 스마트 밴드에 저장해두고, 결제 요청장치로 입장권 정보를 전송해 입장승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경기장내 위치정보 제공 설명도이다.
위치정보 제공부(155)는, 비콘 콘신모듈(144)을 설치하여 비콘 통신 시스템(30)이 설치된 지역에서 비콘신호로부터 스마트 밴드(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는 대형 스포츠 경기장이나, 놀이공원, 대형 쇼핑몰 등등에서 해당 권역에 비콘 송수신기를 설치하고, 중앙장치에서 비콘통신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비콘신호를 수신받는 스마트 밴드(100)에서 해당 권역에서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경기장내 현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면 모바일 단말(10)에서는 해당 권역에서 제공된 지도정보에 의거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으로 위치 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고, 해당 권역의 지도정보에 스마트 밴드(100)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줌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신의 현재위치를 인지하여 가고자 하는 위치나 좌석을 쉽게 찾아갈 수도 있고,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제3자에게 알려 쉽게 서로 찾아갈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밴드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기장 내 위치정보 제공과, 결제 수단, 미아방지수단 및 응원 도구로 활용할 수 있어서, 하나의 스마트 밴드로 다목적의 다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팔이나 팔목에 착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8을 참조해 설명한 경기장내 위치정보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실내외 경기장이나 공연장 및 공원이나 대형 건물내의 실내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비콘 통신장치(30)가 설치되고, 위치정보 제공영역의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50)과;
디스플레이모듈(110), 스위치(120), 전원모듈(130), 비콘통신부(144)와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부(141, 142)를 포함하는 통신모듈(140)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하여 헤어밴드나 암밴드와 같이 착용형 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모듈(140)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비콘신통장치(30)의 비콘신호에 의해 제어모듈(150)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정보를 모바일단말(10)로 전송하는 스마트밴드(100)와;
상기 서버시스템(50)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 제공영역의 지도정보를 다운받아 저장해두고, 상기 스마트밴드(100)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지도정보에 맵핑시켜 위치정보를 네비게이션 시키는 위치정보 서비스 앱(13)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10);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기장이나 대형 쇼핑몰 및 공원과 같이 위치정보를 정확히 제공하기 어려운 장소에 비콘 통신장치(30)를 설치하고, 서버 시스템(50)이 위치정보 제성 서비스를 위한 해당 권역의 지도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밴드(10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헤어밴드나 암밴드 타입으로 착용될 수 있다.
스마트밴드(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에 LED를 배열 설치하여 문자나 그래픽 및 조명 제어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고, 전원모듈, 스위치모듈,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스마트밴드(100)가 실내위치정보 즉, 비콘통신을 통해 스마트밴드(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정확히 추출할 수 있다. 통상의 비콘 통신장치는 복수의 위치에 복수의 비콘 송수신기를 설치해 스마트밴드가 복수 위치의 비콘신호에 의거하여 정확한 자신의 위치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비콘통신을 이용한 위치추출방식은 기존에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하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100)가 비콘신호를 이용해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0)에는 위치정보 서비스앱(13)이 설치되어, 상기 서버시스템(50)에서 제공하는 지도정보에 상기 스마트밴드(100)에서 송신하는 위치정보를 맵핑시켜 네비게이션 모드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밴드(100)의 제어모듈(150)은, 스마트밴드(100)의 표시제어를 위한 표시제어부(151), 비콘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비콘신호에 의해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검출부(152),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부(141 또는 142)를 통해 모바일단말(10)과 통신하여 스마트밴드 표시제어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모바일 송수신부(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100)는, 모바일 단말(10)과 통신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나 메시지, 그래픽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표시하는 기본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표시제어부(151)가 구비된다. 위치검출부(152)는 비콘통신부(144)를 통해 수신되는 비콘신호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송수신부(153)에서 모바일단말(10)로 송신한다. 따라서 스마트밴드(100)에는 표시제어부(151)를 통해서 문자나 메시지 및 그래픽을 표시할 수도 있고, 점등제어와 점멸제어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시스템(50)은,
위치정보 제공영역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도정보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위치정보 서비스 앱을 제공하는 위치정보 앱 서비스부(51)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10)의 위치정보 서비스앱(13)은, 상기 서버시스템(50)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 서비스앱을 다운받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지도정보가 필요 한다. 지도정보는 서버시스템(50)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서버시스템(50)에서 인터넷 서비스로 위치정보 서비스 앱을 제공하여 지도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모바일단말(10)과 직접 통신하여 지도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Wi-Fi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모바일단말(10)이 서버시스템(50)으로부터 지도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지도정보는 실내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도정보이다.
또한, 위치정보 서비스 앱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 시스템(50)은, 비콘통신을 제어함과 아울러 및 지도정보를 비콘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위치정보 앱 서비스부(51)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밴드(100)는, 비콘통신부(144)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 및 지도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50)에서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10)로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10)은, 앱마켓으로부터 위치정보 서비스앱(13)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스마트밴드(100)를 통해 서버시스템(50)으로 지도정보를 요청하여 중계받아 저장하고,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지도에 위치정보를 맵핑시켜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밴드(100)가 비콘통신을 통해 서버시스템(50)으로부터 지도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단말(10)로 중계하고, 비콘신호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실내지도정보에 위치정보를 맵핑시켜 출력함으로써 실내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일반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옥내외 경기장의 좌석위치나, 초대형 마트의 실내위치정보, 또는 대형 공원에서의 상세 권역의 상세 위치정보 등을 차별화하여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마트 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진 도면이다.
상기 헤드부(101) 대신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의 배면을 지지하고 디스플레이모듈(110)의 중간부가 정면으로 원호형을 이루도록 디스플레이모듈(110)을 고정하며, 상기 스위치모듈(120), 전원모듈(130), 통신모듈(140) 및 제어모듈(150)이 설치되는 원호형의 베이스부(101a)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정면부가 보이도록 정면부가 투명창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101a)에 결합 설치되는 커버부(101b)로 이루어진 하우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101b)는, 투명재질의 몰딩 수지로 커버부(101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모듈(110)의 배면에 탄성재질의 지지부재로서 베이스부(101a)를 설치하고, 베이스부(101a)의 양단과 디스플레이모듈(110)의 양단을 고정연결하되, 중간부분에서 디스플레이모듈(110)이 소정간격 베이스부(101a)로부터 이격되어 원호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게하고, 그 사이에 전자부품 즉, 스위치모듈(120), 전원모듈(130), 통신모듈(140) 및 제어모듈(150)을 패키지화하여 설치함으로써, 스페이서 역할도 하게 하고, 전체를 투명 수지로 몰딩된 커버부(102b)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는 디스플레이모듈(110)이 원호형으로 형상을 유지하고, 베이스부(101a)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팔이나 손목에 잦은 탈착에서도 디스플레이모듈(110) 즉, 플렉시블 기판에 LED를 설치한 디스플레이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인 베이스부(101a)가 탄성재질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구성하기 때문에 팔이나 손에 착용할 때 원호형상으로 구브러져 착용 밀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디스플레이모듈(110)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이벤트 시스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렉시블 밴드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벤트 시스템은,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 및 미리 저장된 메시지를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의거하여 출력하되, 자체 제어 또는 원격제어에 의해 제어되고, 사용자에게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마트 밴드(100)와;
상기 스마트 밴드(100)에서 출력할 메시지나 출력모드를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입력받아 무선통신장치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밴드(100)로 출력하여, 상기 스마트 밴드(100)의 이벤트 메시지 및 조명모드 출력을 제어하는 이벤트 제어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 밴드(100)와 페어링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시킬 메시지와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 제어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벤트 시스템은, 상기 도 1 내지 도 10의 스마트 밴드(100)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스마트 밴드(100)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고, 일부 기능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벤트 제어장치(40)는, 통상의 무선통신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서버장치와 같은 것으로서, 공연장이나 경기장 등등에서 다수의 스마트 밴드에 문자나 그래픽 정보를 송신해 이벤트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벤트 시스템은,
통신모듈(140)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으로서 비콘 통신시스템이 설치되고, 스마트밴드(100)는 비콘 통신신호를 수신받아 위치를 검출하고, 스마트 밴드(100)에서 해당 위치정보를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10)에서 해당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밴드(100)는, 상기 이벤트제어장치(40)에서 송신하는 무선신호를 채널별로 선택하여 수신받도록 복수의 통신채널 및 채널선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이벤트 제어장치(40)는, 복수의 채널별로 해당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여 스마트 밴드(10)의 채널 그룹별로 각기 해당 이벤트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벤트 시스템 스마트 밴드(100)의 제어모듈(150)은,
모바일 단말(10)이나 외부 이벤트 제어장치(40)로부터 실시간 메시지를 상기 통신모듈(140)을 통해 수신받아 표시제어부(152)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본 발명의 이벤트 시스템에서 스마트 밴드(100)는 헤어밴드나 암밴드와 같이 노출이 잘 보이도록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착용벨트가 구성되고, 착용벨트에 본 발명의 스마트밴드가 설치된 구성이다.
스마트밴드(100)는, 스마트밴드 제어앱(11)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10)과 통신 페어링을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출력할 메시지나 표시모드를 설정하고, 스마트 밴드(100)에 설치된 스위치모듈의 스위치를 이용해 전원온 온시켜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점멸 조명 제어를 하게된다. 메시지 출력은 다양한 표시모드를 이용해 단순하게 문자를 표시하는 방식, 문자를 점멸시키는 방식, 문자가 흘러가는 방식 등등으로 다양한 표시모드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스마트 밴드를 이용해 이벤트 밴드로서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이벤트 제어장치(40)에서 전송하는 출력정보를 스마트밴드(100)가 직접 수신하여 출력시키는 방식이다.
경기장이나 공연장 등등에서 스마트 밴드에 칼라조명, 점멸조명, 문자, 메시지, 그래픽 등등을 스마트 밴드(100)를 통해 출력시켜 이벤트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벤트 제어방치는, 응원문구나 칼라표시 및 점멸 표시등등을 제어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스마트밴드(100)에서 수신하여 표출하는 방식이다. 이벤트 장치(40)와 스마트밴드(100)는 일대 다의 통신이 필요한 것이므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으로서 비콘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콘통신을 이용하게되면 페어링이 필요 없고, 이벤트 제어장치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통신가능 범위내에 있는 모든 스마트밴드가 수신받아 이벤트 출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벤트 제어장치(40)는, 다수의 스마트 밴드(100)에 대해 그룹화하여 제어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스마트 밴트(100)에서 그룹화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채널 선택수단을 구비한다, 채널선택수단을 구비하여 스마트밴드(100)들을 채널별로 그룹화하고, 이벤트 제어장치(40)는 그룹별로 이벤트 출력을 구분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기장이나 공연장과 같은 곳에서 앉은 자리에 따라 스마트밴드의 수신 채널 선택을 다르게 설정시켜두고, 이벤트 제어장치(40)에서 채널별로 다른 표시제어정보를 출력해 그룹별로 출력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제어방식으로 노래 가사를 출력시키거나, 응원문구나, 그래픽 등을 그룹별 연출방식으로 이벤트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에 LED를 배열설치하여 밴드형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110), 디스플레이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스위치모듈(120), 스마트 밴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30),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40), 방향지지신호 발생수단(200)으로부터 방향지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을 통해 방향지지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스마트밴드(100)로 이루어져 자전거나, 전동주행수단 또는 모터 싸이클 라이더의 헬멧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방향지시신호 발생수단(200)은,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를 설치하고, 자이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방향전환 각속도 변화에 의거하여 일정속도 이상으로 소정회수 연속해서 변화되는 방향에 대해 방향지시신호로 발생하도록 상기 스마트 밴드(100)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밴드(100)의 통신모듈(140)은 없어도되고, 제어모듈(150)에 초기 설정치로 메시지와, 방향지시 출력모드에 대한 프로그램을 설정하여두고, 방향지시신호에 의거하여 해당되는 설정되어 있는 출력모드로 방향지시 출력을 하게 할 수 있다. 통신모듈(140)을 구비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메시지나 출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이로센서와 방향지시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방향지시신호 발생수단(200)을 스마트밴드(100)내에 포함시켜 구성한다. 이러한 스마트밴드(100)를 라이더의 헷멧(300)에 부착 설치한다. 사용자가 헬멧(300)을 착용하고, 고개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반속도 이상으로 빠르게 연속 소정횟수(예; 2회) 돌리면 해당 방향으로의 방향지시 신호로 인식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는 자이로센서가 방위각을 인식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을 인식할 수 있고, 각속도를 검출해 일반 움직임에서 발생하는 방향전환과는 다르게 연속 2회 고개를 돌려주면 방향지시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방향지시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모듈(150)은 디스플레이모듈(110)을 제어하여 방향지시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방향지시신호의 출력방법은, 다향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디스플레이부의 좌측단부 또는 우측 단부를 점등시켜 점멸시키거나, 방향지시 화살표로 표시하거나, 해당방향으로 화살표가 진행하는 표시방식으로 표시하는등 다양한 표시방식으로 방향지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중 정지하거나 회전중일때, 디스플레이모듈을 점등시켜 점멸시키는 비상점멸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자전거나 모터싸이클 또는 전동주행장치를 타고 있던 라이더가 제자리 회전이나, 주행이 아닌 정지 또는 움직임 일때는 비상등과 같은 점멸신호로 표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밴드(100)는 헬멧(300)의 앞뒤에 각각 부착 설치하여 앞뒤 방향에서 모두 방향지시 및 비상점멸 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에 LED를 배열설치하여 밴드형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110), 디스플레이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스위치모듈(120), 스마트 밴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30),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40), 방향지지신호 발생수단(200)으로부터 방향지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을 통해 방향지지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스마트밴드(100)로 이루어져 자전거나, 전동주행장치 또는 모터 싸이클 라이더의 헬멧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방향지시신호 발생수단(20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1), 좌우 방향을 구별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좌우스위치(202)(203)와, 좌우 스위치(202)(203)의 신호에 의거하여 방향지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마트 밴드(100)로 전송하는 무선신호발생수단(2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방향지시신호 발생수단(200)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방향지시신호 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스마트밴드(100)를 통해 방향지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향지시신호 발생장치는, 좌우 스위치(202)(203)를 설치하고, 이를 조작하면 좌우 방향지시신호를 발생시켜 스마트밴드(100)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좌우 스위치(202)(203)는, 좌우 두개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스위치를 누르는 방식에 따라 좌우 방향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 스위치(202)와 우 스위치(203)를 분리구성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좌우 스위치로 구성하고, 좌우 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좌방향신호로, 일정시간내에 2회이상 반복해서 누르면 우방향신호로 구별하고, 설정해둔 소정시간이상 지속적으로 누르면 비상점멸등으로 표시하게 할 수 있으며, 해제는 정해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눌러주고 있으면 해제되게 할 수 있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지시신호 발생장치(200)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정확하게 방향지시 및 점멸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에 LED를 배열설치하여 밴드형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110), 디스플레이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스위치모듈(120), 스마트 밴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30),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40), 방향지지신호 발생수단(200)으로부터 방향지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을 통해 방향지지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스마트밴드(100)로 이루어져 자전거나, 전동주행장치 또는 모터 싸이클 라이더의 헬멧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방향지시신호 발생수단(200)은,
상기 스마트밴드(100)와 근거리 무선통신하여 메시지 및 표시모드 설정을 함과 아울러 네비게이션 앱(12)으로부터 실시간 방향전환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방향지시신호로 상기 스마트밴드(100)로 전송하여, 스마트밴드(100)에서 방향지시표시를 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헬멧의 방향지시 표시등 및 표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밴드(100)는, 외부의 무선통신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제어를 하되, 사용자의 헬멧에 부착되어 좌우 방향지시등, 전조등 출력제어와 아울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상기 스마트 밴드(100)와 페어링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시킬 메시지와 디스플레이 모드의 설정 및 출력제어를 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의 방향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지시 제어정보를 생성해 상기 스마트 밴드(100)로 전송하는 방향지시 제어를 하게된다.
상기 모바일단말(10)의 스마트밴드 제어앱(11)은, 네비게이션 앱(12)과 분리된 독립된 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네이게이션 앱에 포함되는 부가기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네비게이션 앱(12)에서 방향전환 안내 메시지 발생시 이를 방향지시신호로 추출해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부가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마트 밴드(100)는, 헬멧(300)의 앞뒤에 각기 하나씩 한쌍이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헬멧의 앞뒤에 부착함으로써 앞뒤 방향에서 방향지시 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 밴드(100)는, 헬멧 말고, 자전거나, 전동주행장치 또는 모터 싸이클 즉, 이동수단의 차체에 직접 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스마트 밴드(100)를 탈부착형으로 구성하여 손쉽게 원하는 위치나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10)의 스마트밴드 제어앱(11)은,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설정에 의한 주행경로 상에서 네비게이션의 이동주체가 방향전환 포인트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설정된 거리에서 방향전환에 대응되는 방향지지 제어정보를 생성해 스마트 밴드로 전송하여, 네비게이션의 이동주체가 방향전환 포인트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방향지시 표시를 하도록 한다. 이는 네비게이션의 방향전환 안내와 마찬가지로 방향전환 포인트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방향지시 표시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스마트밴드 제어앱(11)은,
목적지 설정 없이 네비게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방향지시 제어정보로서 일정간격의 점멸 표시 제어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정지하거나 완전정지는 아니더라도 주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점멸표시하게 하여 사고 예방을 하며, 불필요시에는 스마트밴드 자체의 스위치로 오프시켜둘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스마트밴드 제어앱(11)은,
이동속도를 근거로 적어도 2가지 이상으로 구분하여 이동속도별로 서로 다른 메시지의 출력 및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이동중 또는 정지나 서행시 메시지를 출력하되, 메시지를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밴드(100)에는,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카메라의 촬영 및 촬영된 영상의 저장을 제어하는 촬영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저장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별도의 메모리칩에 저장하여 메모리침을 분리해 영상 재생장치를 이용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 밴드(100)는, 상기 전원모듈의 전원충전과, 상기 제어모듈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USB포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B포트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충전과, 데이터의 입출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밴드(100)는, 헬멧의 앞뒤에 부착하기 위하여 2개가 구비되고, 2개의 스마트 밴드는, 양끝단에 각각 길이조절이 가능하거나, 탄력적으로 인장 수축되는 착용수단이 더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쉽게 헬멧의 앞뒤에 착용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앞뒤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방향지시신호 발생수단(200)으로서, 모바일 단말(10)의 네비게이션앱(12)과 연동되어 네비게이션에서 방향전환 안내멘트에 대응되는 방향지시신호를 스마트밴드 제어앱(11)이 생성하여 스마트밴드(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즉, 자전거나 모터 싸이클을 이용할때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을 활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활용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앱(12)은 통상의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목적지가 설정되어 네비게이션이 실행되면, 주행중 이동 경로상에서 방향전환이 필요한 포인트에 접급하게 되면 미리 방향전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밴드 제어앱(11)은 네비게이션 앱(12)과 연동시켜 상기한 방향전환 안내 메시지 출력시, 해당 방향전환 안내정보에 의거하여 방향지시 신호를 생성해 스마트밴드(100)에서 방향지시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방향 전환 포인트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방향지시 표시를 할 수 있는 것이고, 진행하는 도로의 방향전환에 동기되어 방향지시 표시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행중이 아니거나 정지시 자동으로 점멸표시를 설정하여 점멸표시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는 야간에 정지하거나 회전하는 경우등에 시인성을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헤어밴드와, 방향지시 표시용 스마트밴드의 사용 예르를 보인 사진 도면으로서, 도 15의 (가)와 같이 스마트밴드(100)를 헤어밴드로 구성하여 머리에 착용하고,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문자나 그래픽을 출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5의 (나)와 같이 라이더의 헬멧(300)에 스마트밴드(100)를 부착 설치하여 시인성을 위한 조명출력을 하고, 아울러 방향지시표시를 하게 하거나 정지시 비상 점멸 표시를 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방향지시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쉽게 확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모바일 단말 20 : NFC통신단말
30 : 비콘통신시스템 40 : 이벤트제어장치
100 : 스마트밴드 101 : 헤드부
102 : 몰드부 103 : 착용벨트
110 : 디스플레이모듈 120 : 스위치 모듈
130 : 전원모듈 140 : 통신모듈
141 : Wi-Fi 통신모듈 142 : 블루투스 통신모듈
143 : NFC 통신모듈 144 : 비콘통신모듈
150 : 제어모듈 151 : 메모리
152 : 표시제어부 153 : 미아방지 경보부
154 : 결제 승인 관리부 155 : 위치정보 제공부
200 : 방향지시신호 발생수단 201 : 전원부
202,203 : 좌 우 스위치 204 : 무선신호 발생수단
300 : 헬멧

Claims (11)

  1. 플렉시블 기판에 복수의 LED를 배열 설치하여 조명 및 메시지 표출이 가능한 밴드타입의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스위치 모듈과;
    충전식 밧데리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각 모듈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과;
    스마트 밴드와 무선통신하여 스마트 밴드에서 표시할 정보를 입력하고, 표시모드를 설정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동시켜 메시지, 조명, 그래픽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창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모듈을 감싸는 몰드부와;
    상기 전원모듈,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이 설치되고, 작동상태 표시기와, 스위치모듈의 스위치들과, 유선으로 전원연결 및 통신연결을 위한 USB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헤드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팔이나 손목에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착용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통신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할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표시정보와, 표시모드에 대한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두고, 설정된 표시정보를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출력을 제어하는 표시제어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위치확인 신호와 연동하여 주기적으로 위치확인 신호를 주고받고, 위치확인신호의 통신신호 세기에 의거하여 모바일 단말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미아경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외부로 표출함과 아울러 상기 모바일 단말로 미아경보를 통지하는 미아방지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NFC태그를 이용한 선불충전, 결제, 출입 인증을 처리하는 NFC 통신모듈과,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에 의해 데이터 통신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NFC 통신모듈의 충전, 결제 및 승인 정보를 입력받아 모바일 단말로 사용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승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비콘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비콘 통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비콘 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에서, 상기 비콘 시스템과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밴드의 위치정보를 추출해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5. 플렉시블 기판에 복수의 LED를 배열 설치하여 조명 및 메시지 표출이 가능한 밴드타입의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모드를 변경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스위치 모듈과;
    충전식 밧데리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각 모듈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과;
    스마트 밴드와 무선통신하여 스마트 밴드에서 표시할 정보를 입력하고, 표시모드를 설정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동시켜 메시지, 조명, 그래픽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배면을 지지하고 디스플레이모듈이 전면으로 원호형을 이루도록 디스플레이모듈을 고정하며, 상기 스위치모듈, 전원모듈,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가 보이도록 전면부가 투명창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 설치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단부에 연결되고, 팔이나 손목에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착용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통신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할 이벤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표시정보와, 표시모드에 대한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두고, 설정된 표시정보를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출력을 제어하는 표시제어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위치확인 신호와 연동하여 주기적으로 위치확인 신호를 주고받고, 위치확인신호의 통신신호 세기에 의거하여 모바일 단말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미아경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외부로 표출함과 아울러 상기 모바일 단말로 미아경보를 통지하는 미아방지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NFC태그를 이용한 선불충전, 결제, 출입 인증을 처리하는 NFC 통신모듈과,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에 의해 데이터 통신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NFC 통신모듈의 충전, 결제 및 승인 정보를 입력받아 모바일 단말로 사용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승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비콘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비콘 통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비콘 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에서, 상기 비콘 시스템과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밴드의 위치정보를 추출해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밴드는,
    헤어밴드 또는 허리벨트에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나 그래프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실시간 출력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11. 상기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밴드는,
    상기 전원모듈의 전원충전과, 상기 제어모듈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USB포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밴드.
KR1020170124194A 2017-09-26 2017-09-26 스마트 밴드 KR20190035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94A KR20190035214A (ko) 2017-09-26 2017-09-26 스마트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94A KR20190035214A (ko) 2017-09-26 2017-09-26 스마트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14A true KR20190035214A (ko) 2019-04-03

Family

ID=6616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94A KR20190035214A (ko) 2017-09-26 2017-09-26 스마트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2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617A (ko) 2019-07-05 2021-01-13 손승우 절단방지시스템을 이용한 범죄 예방 스마트 밴드
KR20210052937A (ko) * 2019-11-01 2021-05-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KR102253543B1 (ko) * 2020-08-14 2021-06-09 주식회사 케이에스티인텔리전스 지능형 전동 킥보드 안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124Y1 (ko) 2003-02-10 2003-06-09 주식회사 케이맥 무선으로 동작하는 태그와 전자칩이 내장된 물품보관함용 손목 밴드 키홀더
KR101369122B1 (ko) 2013-07-12 2014-03-06 천자경 병원 환자용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
KR20150134141A (ko) 2014-05-21 201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KR101726563B1 (ko) 2016-06-21 2017-04-13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손목밴드 무인입장권 발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124Y1 (ko) 2003-02-10 2003-06-09 주식회사 케이맥 무선으로 동작하는 태그와 전자칩이 내장된 물품보관함용 손목 밴드 키홀더
KR101369122B1 (ko) 2013-07-12 2014-03-06 천자경 병원 환자용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
KR20150134141A (ko) 2014-05-21 201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KR101726563B1 (ko) 2016-06-21 2017-04-13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손목밴드 무인입장권 발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617A (ko) 2019-07-05 2021-01-13 손승우 절단방지시스템을 이용한 범죄 예방 스마트 밴드
KR20210052937A (ko) * 2019-11-01 2021-05-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KR102253543B1 (ko) * 2020-08-14 2021-06-09 주식회사 케이에스티인텔리전스 지능형 전동 킥보드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1589B2 (en) Smart safety garment with signal lights
US10123396B2 (en)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interactive illuminated apparel and accessories
JP6531299B2 (ja) 多機能スマートバックパック
US10611422B2 (en)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for intelligent accessories
CN108399738B (zh) 一种辅助盲人出行的智能交通装置
KR20190035214A (ko) 스마트 밴드
KR20190035239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라이더 헬멧의 방향지시 표시시스템
CN105547318A (zh) 一种智能头戴设备和智能头戴设备的控制方法
JP5864800B1 (ja) ウェアラブル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指輪・腕時計・腕輪、プログラム
JP2016090318A (ja) 投影端末
JP6146264B2 (ja) 歩行者安全システム及び発光機能付き装着物
US9521732B1 (en) Wearable motion-signaling bag
US9994145B2 (en) Software application product, traffic signalling kit and method for performing traffic signalling
WO2017153708A1 (en) Cyclist accessory system
KR20190035222A (ko) 플렉시블 밴드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벤트 시스템
KR20190035219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190035233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KR2015008960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KR20190035231A (ko) 라이더 헬멧 방향지시 표시장치
KR101894526B1 (ko)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JP2021507493A (ja) 移動用機械の使用者の背中に載せて運ばれる内蔵式加速度計を備えた信号装置
CN207011760U (zh) 一种智能手套
WO2020175770A1 (ko) 스트랩 발광기
US20200367598A1 (en) Cycling shoe
US11879625B1 (en) Versatile arm-wearable illumination device with wireless control and glitter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