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602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602A
KR20150089602A KR1020140010430A KR20140010430A KR20150089602A KR 20150089602 A KR20150089602 A KR 20150089602A KR 1020140010430 A KR1020140010430 A KR 1020140010430A KR 20140010430 A KR20140010430 A KR 20140010430A KR 20150089602 A KR20150089602 A KR 20150089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bicycle
bik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422B1 (ko
Inventor
권구락
김정묵
김지인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4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20Cycle computers as cycle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3/00Arrangements for warming rid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각 부분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된 상기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 자전거 작동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스마트 자전거 작동요청신호에 응하여 작동하는 스마트 자전거를 포함한다. 이로써, 자전거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나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도 자전거 조작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User customized Smart Bicycle Using Smartphone and system for monitoring Smart Bicycl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각 부분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한 생활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에 건강을 위한 운동으로 자전거를 대표적으로 뽑고 있다. 이에 따라 인근 공원에서 주부와 아이들이 타는 생활자전거는 물론, 도심지역 도로를 따라 달리는 출퇴근용 자전거, 도시 외곽 국도를 시원스럽게 달리는 레저용 자전거에 이르기까지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자전거는 기능별로 부품을 구입하여 설치해야 는 번거로움이 있고 단순히 자전거를 타는 것을 추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일본 특개평 제 10-16868 호[발명의 명칭 : 전기 자전거] 일본 특개 제 2004-58993 호[발명의 명칭 : 전기 자동 변속 자전거, 자동 변속 시스템, 자전거 컨트롤 유닛 제어 방법 및 자전거 시프트 제어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3-0131907 호[발명의 명칭 : 전기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4-0000357 호[발명의 명칭 :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각 부분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미등 및 전조등을 터치패널을 통해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타이어의 공기압을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가의 자전거를 구비하고 있는 고객들에게 자전거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도록 개별 인식 코드를 부착, 분실 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자전거의 기능을 지속적인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는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된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에 응하여 작동하는 스마트 자전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복수의 메뉴항목들로 이루어진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복수의 메뉴항목들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지는 터치패널과,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 실행요청에 응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터치패널을 통해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터치패널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메뉴항목을 인식하고 해당 메뉴항목에 따른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스마트 자전거로 출력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자전거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되는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통신부와, 스마트 자전거의 구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운용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에 따라 자전거의 각 구성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자전거는 제어부의 요청에 응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공기압 센서부와, 제어부의 요청에 응하여 자전거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마그네틱 센서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후미등을 점등 또는 멸등시키는 후미동 작동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전조등을 점등 또는 멸등시키는 전조등 작동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열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으로는 후미등 작동 메뉴항목, 전조등 작동 메뉴항목, 속도계 메뉴항목, 발열 요청 메뉴항목, 이동거리 산출 메뉴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마그네틱 센서부는 자전거 앞바퀴에 부착되는 자석과 상기 자전거 앞바퀴 프레임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지며, 마그네틱 센서는 상기 자석과 맞물리는 시점에 1바퀴 회전신호를 송출하며, 제어부는 상기 1바퀴 회전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마트 자전거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폰과 스마트 자전거는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스마트 자전거, 스마트 자전거의 RFID 태그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RFID 리더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외부로 송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통해 인증확인정보가 수신되면 잠금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잠금해제 제어신호에 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진 자전거 거치대 및 스마트 자전거의 RFID 태그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발행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한편 스마트 자전거로 제공하고, 자전거 거치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자전거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자전거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인증확인정보를 자전거 거치대로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자전거는 중앙서버에서 발행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읽어들여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RF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중앙서버는 RF 송수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제공하는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자전거의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중앙서버는 인증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 자전거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결되어 등록된 스마트폰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스마트 자전거의 위치 변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각 부분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자전거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나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도 자전거 조작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미등 및 전조등을 터치패널을 통해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타이어의 공기압을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가의 자전거를 구비하고 있는 고객들에게 자전거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도록 개별 인식 코드를 부착, 분실 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실염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실한 경우에도 자전거의 현재 위치 파악이 용이하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자전거의 기능을 지속적인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자전거의 성능을 큰 어려움 없이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마트 자전거와 스마트 거치대 상호 간에 이루어지는 정보 송수신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마트 자전거, 스마트 거치대 및 중앙서버 상호 간에 이루어지는 정보 송수신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 터치패널 상에 제공되는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의 일예이다.
도 6은 바퀴에 구비된 마그네틱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는 스마트폰(100) 및 스마트 자전거(200)로 이루어진다.
스마트폰(100)은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된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스마트 자전거(200)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송출되는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에 응하여 작동한다.
스마트폰(100)은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0)와,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복수의 메뉴항목들로 이루어진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복수의 메뉴항목들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지는 터치패널(120)과, 터치패널(120)을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 실행요청에 응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터치패널(120)을 통해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터치패널(12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메뉴항목을 인식하고 해당 메뉴항목에 따른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130)와, 제어부(130)의 제어에 응하여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스마트 자전거(200)로 출력하는 송수신부(140)와, 스마트폰(10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0)와, 배터리(150)를 충전시키기 위해 배터리(150)에 외부 배터리를 연결시키는 전원공급부(160)로 이루어진다.
스마트 자전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마트 자전거(200)와 충전용 배터리(3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 스위치(210)와, 스마트폰(100)의 송수신부(140)를 통해 송출되는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통신부(220)와, 스마트 자전거(200)의 구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운용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30)와,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에 따라 자전거의 각 구성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0)와, 제어부(240)의 요청에 응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공기압 센서부(290)와, 제어부(240)의 요청에 응하여 자전거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마그네틱 센서부(250)와, 제어부(240)의 제어에 응하여 후미등을 점등 또는 멸등시키는 후미동 작동부(260)와, 제어부(240)의 제어에 응하여 전조등을 점등 또는 멸등시키는 전조등 작동부(270)와,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발열되는 히터(280)와, 스마트 자전거(200)의 현재 위치를 알리기 위한 RF 송수신부(295)로 이루어진다.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미등 작동 메뉴항목, 전조등 작동 메뉴항목, 속도계 메뉴항목, 발열 요청 메뉴항목, 이동거리 산출 메뉴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으로 이루어진다.
마그네틱 센서부(2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앞바퀴에 부착되는 자석(291)과 자전거 앞바퀴 프레임(292)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센서(293)로 이루어지며, 마그네틱 센서(293)는 자석(291)과 맞물리는 시점에 1바퀴 회전신호를 송출하며, 제어부(240)는 1바퀴 회전신호를 수신받아 스마트 자전거의 속도를 산출한다.
스마트폰(100)과 스마트 자전거(200)는 블루투스 방식 등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마트 자전거와 스마트 거치대 상호 간에 이루어지는 정보 송수신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의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스마트폰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시작신호를 입력한 후 사용자의 터치패널(120) 조작에 따라 현재 자전거 주행속도 요청 메뉴항목이 선택되어지면, 스마트폰(100)의 제어부(130)는 자전거 주행속도 요청정보가 송수신부(140)를 통해 송출된다.
그러면 스마트 자전거(200)에서도 통신부(220)를 통해 현재 자전거 주행속도요청정보를 수신받아 마그네틱 센서부(250)를 통해 수신되는 자전거 바퀴의 회전신호를 입력받아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산출한 후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한다. 속도는 거리÷시간이므로, 자전거의 주행속도는 (바퀴의 둘레)÷(한바퀴 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그러므로 스마트 자전거(100)의 제어부(240)는 한바퀴 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마그네틱 센서부(250)를 통해 도출하여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패널(120) 조작에 따라 후미등 또는 전조등 점등 또는 멸등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후미등 또는 전조등 점등 또는 멸등 요청신호를 스마트 자전거(200)의 제어부(240)로 송출한다.
스마트 자전거(200)의 제어부(240)는 후미등 또는 전조등으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후미등 또는 전조등이 점등 또는 멸등되도록 한다.
스마트폰(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패널(120) 조작에 따라 발열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히터 작동 요청신호를 스마트 자전거(200)의 제어부(240)로 송출하고, 스마트 자전거의 제어부(240)는 히터(280)를 작동시켜 자전거에 구비된 안장이 따뜻해지도록 한다.
스마트폰(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패널(120) 조작에 따라 이동거리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이동거리 산출요청신호를 스마트 자전거(200)의 제어부(240)로 송출하고, 스마트 자전거(200)의 제어부(240)는 마그네틱 센서부(250)로부터 입력되는 바퀴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현재까지의 이동거리, 이동시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제공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자전거(200), 중앙서버(500), 데이터베이스(600) 및 자전거 거치대(700)를 포함한다.
스마트 자전거(200)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297)가 구비되어 있다.
자전거 거치대(700)는 스마트 자전거(100)의 RFID 태그(297)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RFID 리더부(720)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외부로 송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통해 인증확인정보가 수신되면 잠금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30)와, 제어부(730)의 잠금해제 제어신호에 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장치(750)와, RF 송수신부(740)로 이루어진다.
중앙서버(500)는 자전거 거치대(700) 및 스마트 자전거(200)의 RFID 태그(720)(297)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발행시켜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시키는 한편 스마트 자전거(200)로 제공하고, 자전거 거치대(7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자전거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자전거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인증확인정보를 자전거 거치대(700)로 전송한다.
스마트 자전거(200)는 중앙서버(600)에서 발행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30)와,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저장부(23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읽어들여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와, 제어부(240)의 제어에 응하여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RF 송수신부(295)로 이루어진다.
중앙서버(500)는 RF 송수신부(295)를 통해 출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제공하는 중계기(4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자전거(200)의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중앙서버(500)는 인증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 자전거(200)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결되어 등록된 스마트폰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스마트 자전거의 위치 변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마트 자전거, 스마트 거치대 및 중앙서버 상호 간에 이루어지는 정보 송수신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 자전거(200)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PC를 이용하여 중앙서버(5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회원등록을 수행하면 중앙서버(500)는 스마트 자전거(200)의 사용자에게 자전거 식별정보를 발행하여 제공하는 한편 자전거 식별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결시켜 저장한다.
그러면 스마트 자전거(200)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자전거 식별정보를 RFID 태그(297)에 저장시켜 스마트 자전거의 일정 위치에 구비시킨다. 이렇게 RFID 태그(297)가 구비된 자전거를 이용하여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700)를 이용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자전거(200)에 구비된 RFID 태그(297)가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700)에 구비된 RFID 리더부(720)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러면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700)에 구비된 RFID 리더부(720)는 RFID 태그(297)에 저장된 자전거 식별정보를 읽어들여 중앙서버(500)로 제공한다. 그러면 중앙서버(500)는 자전거 거치대(7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자전거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자전거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인증확인정보를 자전거 거치대(700)로 전송한다.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700)는 중앙서버(500)의 인증확인정보에 응하여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고 스마트 자전거(2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7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마트 자전거 보관이 완료된 후 완료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자동으로 소정 시간이 지나면 잠금장치(750)가 다시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스마트 자전거(200)의 사용자가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700)로부터 스마트 자전거(200)를 꺼내려고 하는 경우도 중앙서버(500)로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마트 자전거 보관이 완료된 후 완료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자동으로 소정 시간이 지나면 잠금장치(750)가 다시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폰 110 : 저장부
120 : 터치패널 130 : 제어부
140 : 송수신부 150 : 배터리
160 : 전원공급부 200 : 스마트 자전거
210 : 전원공급 스위치 220 : 통신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부
250 : 마그네틱 센서부 260 : 후미등 작동부
270 : 전조등 작동부 280 : 히터
290 : 공기압 센서부 295 : RF 송수신부
297 : RFID 태그

Claims (10)

  1.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된 상기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 자전거 작동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스마트 자전거 작동요청신호에 응하여 작동하는 스마트 자전거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복수의 메뉴항목들로 이루어진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복수의 메뉴항목들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지는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 실행요청에 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메뉴항목을 인식하고 해당 메뉴항목에 따른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자전거로 출력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자전거는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통신부와,
    상기 스마트 자전거의 구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운용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스마트 자전거 제어신호에 따라 자전거의 각 구성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자전거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응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공기압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응하여 자전거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마그네틱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후미등을 점등 또는 멸등시키는 후미동 작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전조등을 점등 또는 멸등시키는 전조등 작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열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자전거 제어 화면으로는 후미등 작동 메뉴항목, 전조등 작동 메뉴항목, 속도계 메뉴항목, 발열 요청 메뉴항목, 이동거리 산출 메뉴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센서부는 자전거 앞바퀴에 부착되는 자석과 상기 자전거 앞바퀴 프레임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상기 자석과 맞물리는 시점에 1바퀴 회전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바퀴 회전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마트 자전거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 자전거는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8.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스마트 자전거;
    상기 스마트 자전거의 RFID 태그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RFID 리더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외부로 송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통해 인증확인정보가 수신되면 잠금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잠금해제 제어신호에 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진 자전거 거치대; 및
    상기 스마트 자전거의 RFID 태그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발행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한편 상기 스마트 자전거로 제공하고, 상기 자전거 거치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자전거 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자전거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인증확인정보를 상기 자전거 거치대로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자전거는 상기 중앙서버에서 발행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읽어들여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RF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자전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제공하는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자전거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인증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자전거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결되어 등록된 스마트폰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상기 스마트 자전거의 위치 변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KR1020140010430A 2014-01-28 2014-01-28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KR10154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430A KR101547422B1 (ko) 2014-01-28 2014-01-28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430A KR101547422B1 (ko) 2014-01-28 2014-01-28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02A true KR20150089602A (ko) 2015-08-05
KR101547422B1 KR101547422B1 (ko) 2015-08-25

Family

ID=5388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430A KR101547422B1 (ko) 2014-01-28 2014-01-28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4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8525A1 (zh) * 2015-08-14 2017-02-23 深圳市家信信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电动车控制系统、检测系统及控制方法
KR20170130967A (ko) * 2016-05-20 2017-11-2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전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23378A (ko) * 2016-08-25 2018-03-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공공자전거와 개인자전거를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 시스템 작동방법
KR20210050171A (ko) *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브이스페이스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유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US20220153369A1 (en) * 2020-11-18 2022-05-19 Darad Innovation Corporation Electronic loc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955B1 (ko) * 2007-12-20 2010-09-27 권혁숙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구비된 자전거 및 그 자전거의보관장치
KR100948573B1 (ko) * 2009-04-03 2010-03-19 주식회사 이고 전자식 자전거 잠금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대여 자전거 운영 시스템
KR20100120329A (ko) * 2009-05-06 2010-11-16 조민제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자전거 보관대 시스템
KR101566897B1 (ko) * 2009-12-03 2015-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전거 관리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83213B1 (ko) * 2012-05-25 2014-04-09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KR101395227B1 (ko) * 2012-06-18 2014-05-14 주식회사 코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8525A1 (zh) * 2015-08-14 2017-02-23 深圳市家信信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电动车控制系统、检测系统及控制方法
KR20170130967A (ko) * 2016-05-20 2017-11-2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전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23378A (ko) * 2016-08-25 2018-03-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공공자전거와 개인자전거를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 시스템 작동방법
KR20210050171A (ko) *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브이스페이스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유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US20220153369A1 (en) * 2020-11-18 2022-05-19 Darad Innovation Corporation Electronic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422B1 (ko)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42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식 지능형 자전거 및 지능형 자전거 관리 시스템
US11110981B2 (en) Controller for a light electric vehicle
US20210291922A1 (en) Bicycle System
EP3626548A1 (en) Methods for locking and/or unlocking electric vehicle and associated apparatus
US10974782B2 (en) Controller for a light electric vehicle
CN105023364A (zh) 一种基于gps定位的公共自行车互锁式租赁系统
JP6396063B2 (ja) 自転車錠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これらに使用する自転車錠装置
CN103129655A (zh) 行车状态警示系统及其控制方法
US109946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vehicle and vehicle
KR20160100085A (ko) 무선통신 제어모듈을 갖춘 자전거와 그 제어방법
CN205721148U (zh) 骑行系统和自行车
CN104960617A (zh) 一种智能自行车
KR100922321B1 (ko) 자전거 주행거리 확인을 통한 탄소배출 절감량 산출시스템
KR20190035239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라이더 헬멧의 방향지시 표시시스템
KR20190035214A (ko) 스마트 밴드
KR20170106014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스마트 발광 표시 시스템
EP4347367A1 (en) Controller for a light electric vehicle
TW202229093A (zh) 電動自行車之控制裝置
CN210603332U (zh) 一种用于单车骑行的导航装置
KR101150257B1 (ko) 무선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전기 바이크의 무선 충전 장치
CN203318571U (zh) 山地车无线转向灯及预警系统
KR20190035219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CN209463335U (zh) 一种多功能头盔
KR20190035233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KR20190035222A (ko) 플렉시블 밴드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벤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