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415U - 안전조끼 - Google Patents

안전조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415U
KR20080006415U KR2020080014951U KR20080014951U KR20080006415U KR 20080006415 U KR20080006415 U KR 20080006415U KR 2020080014951 U KR2020080014951 U KR 2020080014951U KR 20080014951 U KR20080014951 U KR 20080014951U KR 20080006415 U KR20080006415 U KR 200800064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witch
indicator
driving
v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filed Critical 이준
Priority to KR2020080014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415U/ko
Publication of KR20080006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15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4Reflective safety signalling devices attached on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주행 전에 착용하는 방향 전환 표시 가능한 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자전거 주행 시 안전 거리 확보는 물론,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시에 후미에 있는 운전자 또는 사람에게 미리 방향을 알릴 수 있도록 방향표시등이 부착된 안전 조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전 조끼는 좌측과 우측의 방향을 각각 가리킬 수 있도록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의 점등 선택을 위한 스위치, 및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방향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조끼 착용 후 야간에 자전거 주행시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을 미리 명확하게 알릴 수 있으므로,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전조끼{Safety vest}
본 고안은 자전거를 탈 때 자전거 운전자가 착용하는 안전 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야간 주행 시 운전자가 착용하여 표시등의 점멸에 의해 자전거의 주행 상황을 알려주어 후방 주행 차량과의 안전 거리 확보는 물론,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표시등의 점멸에 의해 후방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회전 방향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조끼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운전자가 페달을 구동함에 따라 주행되기 때문에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유지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보통 단거리의 이동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요즘에는 운동을 위한 수단으로도 많이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자전거는 안전장치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에 많은 사고에 노출이 되어 있었다. 즉, 자전거에는 표시등 또는 방향표시등과 같은 발광장치 및 안전표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야간에 자전거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타인에게 특히, 차량 운전자에게 존재감을 주지 못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자전거의 야간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자전거 바퀴의 살 또는 의자 뒷부분에 반사경 또는 야광 물체를 설치하여 타인 특히,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을 도모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반사경은 다른 불빛의 반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빛의 반사 각도에 따라서는 후방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전거가 직선 주행을 하는 경우에는 반사경에서의 반사에 의해 자전거의 존재를 알 수 있으나, 자전거의 방향 전환 시에는 빛의 반사 각도가 변화하면서 반사량이 감소되어 자전거의 존재를 놓치게 되었다.
또한, 야광 물체는 사용 시간이 증가되면 야광 성능이 저하되어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전거의 운전석 뒷부분에 외부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표시등을 장착하고 표시등의 점등에 의해 자전거의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 또는 오토바이 등의 운전자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자전거에 장착된 표시등은 자전거가 주행 중임은 알릴 수 있으나 자전거가 주행 도중 방향을 전환할 때 전환 방향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인지하지 못한 후방 차량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의 야간 주행 시 자전거 운전자가 착용하여 자전거의 후방 운전자에게 주행중인 자전거의 존재를 쉽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안전조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전거의 야간 주행 도중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전환할 때 방향 표시등을 점등함으로써 후방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주행 방향 전환을 알려주고 이에 따라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 안전조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자전거 주행시 운전자의 상체에 착용하는 안전 조끼로서, 좌측과 우측의 방향을 각각 가리킬 수 있는 발광 소자, 및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방향 표시부와 상기 발광 소자의 점등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자전거가 주행할 때 점등되는 방향 표시부가 부착된 안전조끼를 운전자가 착용함으로써 차량이 많은 도로 또는 야간에 자전거를 이용하여 주행할 때 먼 거리에서도 자전거의 후방 운전자의 눈에 띄어 안전 거리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시부가 부착된 안전조끼를 운전자가 착용함으로써, 방향 표시부를 구성하는 좌우 표시등을 필요에 따라 점등시켜 자전거가 주행하는 방향을 미리 알림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하고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조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방향전환 표시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조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안전 조끼 102l, 302l: 좌측 표시등
102r, 302r: 우측 표시등 104a, 104b, 304a, 304b: 반사천
110, 310: 스위치 120, 328: 제1 전원
130,306: 전선 312: 송신 회로부
320: 수신 회로부 318: 제2 전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조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안전조끼는 크게 조끼(100)와 조끼(100)의 등 부위에 부착되는 방향 표시부(102)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향 표시부(102)는 좌측 표시등(102l) 및 우측 표시등(102r)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방향 표시부(102)에는 스위치(110)와 제1 전원(120)이 전선(130)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조끼(100)는 자전거 운전자 운전자가 착용하고 후술하는 방향 표시부(102)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주행 중 자전거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용 반사천 또는 야광천이 부착되어 있는 일반적인 조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술하는 방향 표시부(102)를 부착하여 자전거 운전자가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면, 조끼(100)의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조끼(100)를 포함한 운전자의 의복 상의에 착용 할 수 있는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방향 표시부(102)는 벨크로(velcro) 등을 사용하여 조끼의 등 부분에 필요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방향의 전환을 알리기 위한 수단이므로, 기본적으로 좌측 방향으로 전환을 표시하기 위한 좌측 표시등(102l)와 우측 방향으로의 전환을 표시하기 위한 우측 표시등(102r)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좌측 표시등(102l), 우측 표시등(102r)은 밝기에 비하여 전원의 소모량이 적고, 수명이 긴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좌측 표시등(102l)은 좌측을 향하는 화살표 모양을 하고 있고, 우측 표시등(102r)은 우측을 향하는 화살표 모양을 하고 있으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방향 표시부를 구성하는 좌측 표시등(102l)과 우측 표시등(102r)은 방향 표시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자전거 운전자의 스위치(110)의 조작에 의해 선별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00)의 조작에 의해 좌측 표시등(102l) 또는 우측 표시등(102r)을 선별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고, 좌우 표시등을 동시에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110)는 사용자의 필요에 2단 이상의 동작 단수를 갖는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토글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10)는 자전거 주행 중 자전거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한 위치 즉, 자전거 핸들에 스위치(1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링과 같은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에 의하여 스위치는 자전거 핸들에 자유롭게 탈 부착 가능하고 이동도 가능 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110)와 방향 표시부(102)는 유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조끼(100)에 장착된 상기 방향 표시부의 전원공급을 위한 제1 전원(120)로서 건전지와 같은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향 표시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전거가 직선 주행하는 있음을 알리는 중앙 표시등(202m)이 좌측 표시등(202l)과 우측 표시등(202r)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좌측 표시등(202l), 우측 표시등(202r) 및 중앙 표시등(202m)은 밝기에 비하여 전원의 소모량이 적고, 수명이 긴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 표시부(202)는 벨크로(velcro) 등을 사용하여 조끼의 등 부분에 필요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전거를 이용하는 자전거 운전자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조끼(100)를 착용하도록 한다. 이때, 안전 조끼(100)의 등 부분에는 방향 표시부(102)를 부착하고, 방향 표시부(102)는 전원선을 이용하여 스위치(110)와 제1 전원(120)를 연결한다.
자전거에는 자전거의 주행시 라이트의 점등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자전거 발전기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자전거 발전기를 제1 전원(120)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나, 자전거 발전기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외부에 노출되어 자전거 주행을 방해하거나, 자전거 주행 도중 다른 물체에 닿아 파손될 수 있으므로, 제1 전원(120)으로는 자전거 발전기 보다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원(120)이 연결된 후, 자전거의 주행이 시작되면 운전자는 스위치(110)를 조작하여 자전거의 주행 방향에 따라 방향 표시부(102)를 구성하는 표시등이 점등되도록 한다.
즉, 다음과 같이 방향 표시부가 동작되도록 한다.
자전거의 주행이 시작되면, 운전자는 스위치(110)를 조작하여 스위치(110)가 오프(OFF) 상태에서 중립 상태로 설정하고, 주행을 시작한다.
방향 표시부(102)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 표시등(102l, 102r)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스위치(110)가 중립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점등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좌측과 우측 표시등(102l, 102r)이 모두 점등되도록 한다.
좌측과 우측 표시등(102l, 102r)이 모두 소등된 상태라면 자전거 후방에서 자전거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가 단축되므로, 좌측과 우측 표시등(102l, 102r)을 모두 점등시켜 원거리에서도 자전거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전거가 직선 주행을 하는 도중 좌측 또는 우측으로 주행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자전거 운전자는 스위치(110)을 조작하여 좌측 표시등(102l) 또는 우측 표시등(102r)을 점등시킨다. 즉, 좌측으로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측 표시등(102l)이 점등되도록 스위치(110)를 조작하고, 우측으로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측 표시등(102r)이 점등되도록 스위치(110)을 조작한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표시등(202l)과 우측 표시등(202r)을 구비하고, 좌측 표시등(202l)과 우측 표시등(202r)의 사이에 중앙 표시등(202m)을 추가로 설치하여 방향 표시부(20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중앙 표시등(202m)은 사각형 또는 원형과 같이 특정한 방향을 나타내지 않는 도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a 내지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향 표시부(202)가 좌측 표시등(202l), 우측 표시등(202r) 및 중앙 표시등(202m)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자전거의 주행이 시작되면, 운전자는 스위치(110)을 오프(OFF) 상태에서 중립 상태로 설정하고, 주행을 시작한다.
스위치(110)가 중립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좌측 표시등(202l)과 우측 표시등(202r)이 모두 소등되고, 중앙 표시등(202m)만 점등되어 후방의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존재를 나타낸다(도2a).
자전거가 직선 주행을 하는 도중 좌측 또는 우측으로 주행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자전거 운전자는 스위치(110)를 조작하여 좌측 표시등(202l) 또는 우측 표시등(202r)을 점등시킨다.
이때, 좌측으로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측 표시등(202l)이 점등되도록 스위치(110)를 조작하면,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측 표시등(202l)과 중앙 표시등(202m)이 동시에 점등되고, 우측 표시등(202r)이 점등되도록 스위치(110)를 조작하면,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측 표시등(202r)과 중앙 표시등(202m)이 동시에 점등되어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자전거의 주행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방향 표시부가 동작할 때, 표시등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면 후방 운전자의 인지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안전 조끼에는 방향 표시부가 장착된 부분 외의 다른 부분에는 상하로 반사천 또는 야광천(104a, 104b)을 사용함으로써, 야간에 먼 거리에서도 후미에 있는 사람의 눈에 쉽게 띌 수 있도록 하여 안전거리를 확보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안전 조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안전 조끼(300)와 안전 조끼(300)의 등 부분에 부착되는 방향 표시부(302)가 좌측 표시등(302l)과 우측 표시등(302r)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한 안전조끼는 방향 표시부(302)의 동작을 무선으로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310)를 사용하므로, 스위치(310)와 방향 표시부(302)를 연결하는 전선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스위치(310)에 의한 방향 표시부(302)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 가능하게 구성하되, 블루투스 개념의 무선 조종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을 강구 할 수 있게 되었다.
블루투스란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단말기, 가전제품 등 무선으로 연결하여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는 규격 또는 그 규격에 맞는 제품을 이르는 말이며 두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전송이나 모노/스테레오 무선 헤드셋/핸즈프리, 각종 GPS 수신기 및 무선 프린터/리모콘 등 매우 많은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해 개발된 규격으로 하드웨어의 소형화에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한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차폐물 투과성이 있어 장치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은 채로도 통신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블루투스의 회로 구성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안전조끼의 스위치와 방향 표시부 두 디바이스간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310)에는 송신 회로부(312)를 연결하고, 안전조끼에 부착된 방향 표시부(302)에는 수신 회로부(320)를 연결한다.
그리고 방향 표시부(302)와 스위치(310)의 동작을 위해 방향 표시부(302)에는 제1 전원(328)을 연결하고, 스위치(310)에는 제2 전원(318)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위치 버튼(314)을 조작하면 스위치 버튼(314)의 조작 상태는 송신 회로부(312)를 통해 무선 신호로 전송되고, 전송된 무선 신호는 수신 회로부(320)에 수신된 후 안전조끼에 부착된 방향 표시부(302)로 입력되어, 스위치(310)의 조작 상태에 따라 방향 표시부(302)를 동작시킨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전거를 이용하는 자전거 운전자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안전 조끼(300)를 착용하도록 한다. 이때, 안전 조끼(300)의 등 부분에는 방향 표시부(302)를 부착하고, 방향 표시부(302)에는 제1 전원(328)을 연결하며, 스위치(310)에는 제2 전원(318)을 연결한 후, 자전거 운전자는 스위치(310)를 중립 조작한다.
여기서, 방향 표시부(302)와 스위치(310)에 연결되는 제1 전원(328)과 제2 전원(318)은 자전거 발전기 보다는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자전거의 주행이 시작되면 운전자는 스위치(310)를 조작하여 자전거의 주행 방향에 따라 방향 표시부(302)를 구성하는 표시등이 점등되도록 한다.
즉, 스위치(310)를 조작하면 스위치(310)의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송신 회로부(312)를 통해 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되고, 전송된 무선 신호는 수신 회로부(320)에 수신된다.
수신된 신호는 동작 신호로 변화되어 안전조끼에 부착된 방향 표시부(302)로 입력되어, 스위치(310)의 조작 상태에 따라 방향 표시부(302)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스위치(310)의 조작에 의한 방향 표시부(302)의 동작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이전의 실시예와 같이 방향 표시부를 구성하는 좌측 표시등과 우측 표시등의 사이에 중앙 표시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방향 표시부(302)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 가능하게 구성하되, 블루투스 개념의 무선 조종 구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GPS 와 같은 안내 장치의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 자전거의 주행 도중 방향 전환 위치에 도달하면 방향 표시부(302)가 GPS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방향 전환을 알릴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안전 조끼에는 방향 표시부가 장착된 부분 외의 다른 부분에는 상하로 반사천 또는 야광천(304a, 304b)을 사용함으로써, 야간에 먼 거리에서도 후미에 있는 사람의 눈에 쉽게 띌 수 있도록 하여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고안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자전거 주행시 자전거 운전자가 상체에 착용하는 안전 조끼로서,
    조끼의 등 부분에 설치되고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
    상기 방향 표시부의 동작 전환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방향 표시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향 표시부는 좌측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을 알려주는 좌측 표시등, 우측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을 알려주는 우측 표시등 및 직선 주행 중임을 알려주는 중앙 표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표시부와 상기 스위치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표시부와 상기 스위치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제2 전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표시부는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KR2020080014951U 2008-11-10 2008-11-10 안전조끼 KR200800064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951U KR20080006415U (ko) 2008-11-10 2008-11-10 안전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951U KR20080006415U (ko) 2008-11-10 2008-11-10 안전조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586 Division 2007-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15U true KR20080006415U (ko) 2008-12-22

Family

ID=4132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951U KR20080006415U (ko) 2008-11-10 2008-11-10 안전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41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60A2 (ko) * 2011-02-15 2012-08-23 Seo Young Dae 자전거 운전자용 입는 안전장치
KR101302409B1 (ko) * 2011-04-25 2013-09-03 곽의성 교통안전 경광장비
KR20190014769A (ko) * 2017-08-03 2019-02-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알림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60A2 (ko) * 2011-02-15 2012-08-23 Seo Young Dae 자전거 운전자용 입는 안전장치
WO2012111960A3 (ko) * 2011-02-15 2012-11-29 Seo Young Dae 자전거 운전자용 입는 안전장치
KR101302409B1 (ko) * 2011-04-25 2013-09-03 곽의성 교통안전 경광장비
KR20190014769A (ko) * 2017-08-03 2019-02-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알림 장치
WO2019027146A3 (ko) * 2017-08-03 2019-04-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알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5393B (ko)
US20100253501A1 (en) Synchronized luminated safety apparel
KR101098640B1 (ko) 휴대용 방향지시등
US20160091188A1 (en) Helmet and a lighting system for a helmet
US20090158508A1 (en) Safety Helmet Especially for Motorcyclists Integrating a Light-Signalling Device
US20140104055A1 (en) Helmet-Mounted Motorcycle Rider Visualization Device
US11903429B2 (en) Turn direction indicator garment
KR20180014055A (ko) 이륜 동적 호버보드
CN204969665U (zh) 一种自行车警示头盔
KR101413145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CN104960617A (zh) 一种智能自行车
KR20080006415U (ko) 안전조끼
KR101101584B1 (ko) 자전거의 지시등 제어장치
CN207075634U (zh) 一种带转向指示灯的安全头盔
JP3139351U (ja) 二輪車用ヘルメットの安全装置
JP3128726U (ja) Rf無線ランプ信号制御装置
KR20170089680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
TWM525892U (zh) 腳踏車輔助系統
KR102406684B1 (ko) 개인형 이동 장치용 깜빡이
WO2020175770A1 (ko) 스트랩 발광기
JP2002059781A (ja) 無線式ブレーキ警告灯
CN216861660U (zh) 安全灯以及自行车
CN117944795A (zh) 具有与路上骑乘工具连接控制的显示模块
JP3222819U (ja) 方向指示機付き自転車
US20240065349A1 (en) Turn Direction Indicator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