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663A -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663A
KR20190007663A KR1020170088934A KR20170088934A KR20190007663A KR 20190007663 A KR20190007663 A KR 20190007663A KR 1020170088934 A KR1020170088934 A KR 1020170088934A KR 20170088934 A KR20170088934 A KR 20170088934A KR 20190007663 A KR20190007663 A KR 20190007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heeled vehicle
detecting
vehicl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하
정주현
Original Assignee
송재하
정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하, 정주현 filed Critical 송재하
Priority to KR1020170088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663A/ko
Publication of KR2019000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36Cycles; Motorcycle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2J2099/0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행 중 차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킬 때, 또는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핸들을 돌리거나 한쪽 방향으로 차량을 눕힐 때, 차선 변경하는 방향으로 후방 또는 측면에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경보하여 차선 변경 시 발생되는 인접 차량과의 충돌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향지시등 작동 시 작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장치(10); 이륜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20); 이륜차량의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30); 이륜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후방감지센서(40); 상기 방향지시등장치(10), 기울기센서(20) 및 회전감지센서(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차선 변경에 따른 감지신호가 검출되고 동시에 상기 후방감지센서(40)를 통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인접된 물체가 검출되면 진동수단(60)을 구동시켜주는 제어부(50); 및 핸들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50)의 구동명령에 따라 진동 동작하여 핸들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Description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Change lane of two-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 중 차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킬 때, 또는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핸들을 돌리거나 한쪽 방향으로 차량을 눕힐 때, 차선 변경하는 방향으로 후방 또는 측면에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경보하여 차선 변경 시 발생되는 인접 차량과의 충돌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와 자전거와 같은 이륜차량은 주행 중 차선 변경 시 주위하지 않으면 측면 또는 후방에서 추월하려던 차량 등과 추돌 또는 충돌하여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오토바이의 경우 방향표시 등이 설치되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때, 이를 뒤따르던 차량에게 알려주게 되는 데, 운전자가 후방 차량을 인식하지 않거나 또는 후방의 차량이 사각지대에 있는 경우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토바이 차선변경 시 사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른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7217, 공개특허공보 10-1999-0038615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행 중 차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킬 때, 또는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핸들을 돌리거나 한쪽 방향으로 차량을 눕힐 때, 차선 변경하는 방향으로 후방 또는 측면에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경보하여 차선 변경 시 발생되는 인접 차량과의 충돌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 작동 시 작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장치; 이륜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와; 이륜차량의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와; 이륜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후방감지센서와; 상기 방향지시등장치, 기울기센서 및 회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차선 변경에 따른 감지신호가 검출되고 동시에 상기 후방감지센서를 통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인접된 물체가 검출되면 진동수단을 구동시켜주는 제어부; 및 핸들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의 구동명령에 따라 진동 동작하여 핸들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후방감지센서는 안장 또는 그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구조물에 설치되며, 좌측을 감지하는 제1센서, 좌측 후방을 감지하는 제2센서, 우측을 감지하는 제3센서, 우측 후방을 감지하는 제4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진동수단의 구동 시 연동되는 경보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행 중 차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킬 때, 또는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핸들을 돌리거나 한쪽 방향으로 차량을 눕힐 때, 차선 변경하는 방향으로 후방 또는 측면에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경보하여 차선 변경 시 발생되는 인접 차량과의 충돌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가 적용된 오토바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의 회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가 적용된 오토바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는,
방향지시등 작동 시 작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장치(10)와, 이륜차량이 일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20)와, 이륜차량의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30)와, 이륜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후방감지센서(40)와, 상기 방향지시등장치(10), 기울기센서(20) 및 회전감지센서(30) 중 어느 하나에서 차선 변경에 따른 감지신호가 검출되고 동시에 상기 후방감지센서(40)를 통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인접된 물체가 검출되면 진동수단(60)을 구동시켜주는 제어부(50)와, 핸들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50)의 구동명령에 따라 진동 동작하여 핸들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수단(60)을 포함한다.
또한 경보기(70)가 더 포함되어 상기 진동수단(60)과 함께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향지시등장치(10)는 핸들(11)에 설치되는 방향지시등 작동장치의 조작을 검출하여 작동방향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기울기센서(20)는 이륜차량이 일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 핸들(11)의 중앙에 형성되는 계기판부(13)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토바이(이륜차량) 본체가 방향전환을 위하여 지면으로 눕혀지는 각도를 검출하게 된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체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된 각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임을 알 수 있는 방향을 판별할 수 있고, 설정된 각도에 의해 방향전환 운전인지 아니면 단순 주행운전인지도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30)는 이륜차량의 핸들(1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 핸들(11) 하부의 축부(1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핸들(1)과 함께 연동하는 회전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핸들(11)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11)이 회전한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된 각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의 방향을 판별할 수 있고, 설정된 각도에 의해 방향전환 운전인지 아니면 단순 주행운전인지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방감지센서(40)는 이륜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 안장(15) 또는 그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구조물(16)에 설치되며, 좌측을 감지하는 제1센서(41), 좌측 후방을 감지하는 제2센서(42), 우측을 감지하는 제3센서(43), 우측 후방을 감지하는 제4센서(미 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방향지시등장치(10), 기울기센서(20) 및 회전감지센서(30) 중 어느 하나에서 차선 변경에 따른 방향 전환 감지신호가 검출되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후방감지센서(40)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검출하여,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인접된 물체가 검출되면 진동수단(60)으로 구동명령을 출력한다.
상기 진동수단(60)은 핸들(11)의 양측 그립부(12) 내부에 장착되도록 설치되어 진동에 발생되면 그립부(12)가 진동되어 운전자는 손으로 이 진동을 쉽게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보기(70)는 계기판부(13)에 설치되어 진동수단(60)의 구동 시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의 전체 동작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륜차량의 운행이 개시되고, 모든 구동회로가 활성화되면 제어부(50)는 방향지시등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값을 감출한다.(S11 단계)
상기 단계(S11)에서 방향지시등장치(10)로부터 방향전환에 따른 지시등 표시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울기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값을 검출한다.(S12 단계)
상기 단계(S12)에서 기울기센서(20)로부터 차량 방향전환에 따른 기울기 각도(설정값)가 입력되지 않으면 회전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값을 검출한다.(S13 단계)
상기 단계(S13)에서도 상기 회전감지센서(30)로부터 차량 방향전환에 따른 핸들(11) 회전각도(설정값)가 입력되지 않으면 프로그램 리턴 하고,
상기 단계(S11)에서 방향지시등장치(10)로부터 방향전환에 따른 지시등 표시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단계(S12)에서 기울기센서(20)로부터 차량 방향전환에 따른 기울기 각도(설정값) 입력되거나, 상기 단계(S13)에서 상기 회전감지센서(30)로부터 차량 방향전환에 따른 핸들(11) 회전각도(설정값)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방향지시등장치(10) 또는 기울기센서(20) 또는 회전감지센서(20)로부터 입력된 값이 좌측방향인지 우측방향인지를 판단한다.(S14 단계)
상기 단계(S14)에서 좌측방향으로 판단되면 후방감지센서(40)에서 좌측 및 좌측후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41) 및 제2센서(42)로부터 근접된 물체가 있는가를 판단한다.(S15 단계)
상기 단계(S15)에서 좌측 및 좌측후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41) 및 제2센서(42)로부터 근접된 물체가 없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리턴하고, 상기 제1센서(41) 및 제2센서(42)로부터 근접된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진동수단(60)을 구동시켜준다.(S17 단계)
따라서 운전자는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 할 때, 핸들(11)의 그립부(12)가 강하게 진동(및 경보 포함)을 하게 되어, 미처 보지 못한(사각지대 포함) 좌측 또는 좌측 후방의 물체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S14)에서 우측방향으로 판단되면 후방감지센서(40)에서 우측 및 우측후방을 감지하는 제3센서(43) 및 제4센서로부터 근접된 물체가 있는가를 판단한다.(S16 단계)
상기 단계(S16)에서 우측 및 우측후방을 감지하는 제3센서(43) 및 제4센서로부터 근접된 물체가 없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리턴하고, 상기 제3센서(43) 및 제4센서로부터 근접된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진동수단(60)을 구동시켜준다.(S17 단계)
따라서 운전자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 할 때, 핸들(11)의 그립부(12)가 강하게 진동( 및 경보 포함)을 하게 되어, 미처 보지 못한(사각지대 포함) 우측 또는 우측 후방의 물체를 인식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10: 방향지시등장치 20: 기울기센서
30: 회전감지센서 40: 후방감지센서
50: 제어부 60: 진동수단

Claims (3)

  1. 방향지시등 작동 시 작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장치(10)와,
    이륜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20);
    이륜차량의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30);
    이륜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후방감지센서(40);
    상기 방향지시등장치(10), 기울기센서(20) 및 회전감지센서(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차선 변경에 따른 감지신호가 검출되고 동시에 상기 후방감지센서(40)를 통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인접된 물체가 검출되면 진동수단(60)을 구동시켜주는 제어부(50); 및
    핸들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50)의 구동명령에 따라 진동 동작하여 핸들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감지센서(40)는 안장(15) 또는 그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구조물(16)에 설치되며, 좌측을 감지하는 제1센서(41), 좌측 후방을 감지하는 제2센서(42), 우측을 감지하는 제3센서(43), 우측 후방을 감지하는 제4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60)의 구동 시 연동되는 경보기(7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KR1020170088934A 2017-07-13 2017-07-13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KR20190007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934A KR20190007663A (ko) 2017-07-13 2017-07-13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934A KR20190007663A (ko) 2017-07-13 2017-07-13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663A true KR20190007663A (ko) 2019-01-23

Family

ID=6528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934A KR20190007663A (ko) 2017-07-13 2017-07-13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6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155B1 (ko) * 2019-08-06 2021-01-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킥보드
IT202100018089A1 (it) * 2021-07-09 2023-01-09 To Tem S R L Monopattino elettrico provvisto di sistema anti-collisione e relativo metodo di controllo
EP4163176A1 (de) * 2021-10-11 2023-04-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fahrerunterstützung in einem 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17Y1 (ko) 2009-08-14 2010-01-06 장현주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17Y1 (ko) 2009-08-14 2010-01-06 장현주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155B1 (ko) * 2019-08-06 2021-01-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킥보드
IT202100018089A1 (it) * 2021-07-09 2023-01-09 To Tem S R L Monopattino elettrico provvisto di sistema anti-collisione e relativo metodo di controllo
WO2023281391A1 (en) * 2021-07-09 2023-01-12 To.Tem S.R.L. Electric scooter equipped with anti-collis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EP4163176A1 (de) * 2021-10-11 2023-04-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fahrerunterstützung in einem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1938B2 (ja) 走行制御装置
JP6757738B2 (ja) 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JP2010073134A (ja) 車両周辺認知支援システム
JP2012073925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WO2006016433A1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KR20190007663A (ko)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JP2006331323A (ja) 車両逸脱警報装置
JP2005271756A (ja) 車両の警報装置
US20230008012A1 (en) Rider-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rider-assistance system
KR101876295B1 (ko) 보행자 충돌 경고 장치
JP2008299779A (ja) 移動体接近報知装置
CN113147964A (zh) 一种摩托车并线辅助系统、控制方法及摩托车
JP2007038941A (ja) 車両用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069323A (ja) 車両の車線逸脱警報装置
KR101562236B1 (ko) 차량의 사고위험 경고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6168614A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WO2021060357A1 (ja) Fcw制御装置を備えたリーン車両
JP6354745B2 (ja) ウインカの制御装置
KR20140012364A (ko) 차량의 주행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JP2003141694A (ja) 車両の安全運転支援装置
KR100240681B1 (ko) 보행자 감지장치
JP2007050865A (ja) 方向指示灯スイッチの切り忘れ警告システム
US20240067267A1 (en) Lane departure suppression device
JP2019111857A (ja) 車両
JP2000233699A (ja) 物体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