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634Y1 -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 - Google Patents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634Y1
KR200434634Y1 KR2020060027184U KR20060027184U KR200434634Y1 KR 200434634 Y1 KR200434634 Y1 KR 200434634Y1 KR 2020060027184 U KR2020060027184 U KR 2020060027184U KR 20060027184 U KR20060027184 U KR 20060027184U KR 200434634 Y1 KR200434634 Y1 KR 200434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fering
main shaft
chip
adjus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박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범 filed Critical 박용범
Priority to KR2020060027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6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6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3Devices for removing chips using the gravit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칩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100)는 지지기능을 하는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에 고정되어 주축(14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베어링(130)이 개재되어 장착되는 주축(140)과, 상기 주축(140)의 하방에 고정되어 전동기의 벨트에 연결되는 풀리(150)와, 상기 주축(140)의 상방으로 끼워져서 하우징(1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면취량조절기(160)와, 상기 면취량조절기(160)에 고정되어 주축(140)이 노출되는 판상의 작업대(170)로 구성되는 내경면취기(100)에 있어서, 면취량조절기(160)의 관통구(163)와 주축(140) 사이의 틈(A)을 통해 칩이 유입되어 베어링(130)을 손상시키며 베어링(130)과 면취량조절기(160) 사이의 공간(B)에 칩이 누적되어 주축(140)의 회전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팁(147) 교환 후 면취량을 재세팅할 필요가 없고, 정확한 치수로 면취량을 조정할 수 있으며, 수공구 필요 없이 용이하게 면취량조절기(160)의 이송이 고정되도록 고안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100)에 관한 것이다.
내경면취기, 주축, 하우징, 칩수거통, 커버, 볼플런저

Description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The inside diameter chamfer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내경면취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에서 작업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의 칩수거통에서 바닥면만 절취해서 표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0: 테이블 120: 하우징
123: 장착홀 126: 볼플런저
140: 주축 141: 상단
147: 팁 148, 167: 수나사부
149: 커버 150: 풀리
160: 면취량조절기 163: 관통구
169: 고정수단 168: 홈
170: 작업대 171: 통공
173: 돌출벽 175: 치수
180: 칩수거통 181: 바닥면
182: 배출홀 183: 칩저장통
본 고안은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칩의 수거가 용이하고, 주축에 장착된 베어링으로의 칩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공구 없이 면취량조절기를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고, 정확한 치수에 의한 면취량의 조정이 가능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내경면취기를 도시한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작동례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내경면취기(1)는 제품(M)에 형성된 홀(H)의 모서리(C)를 챔퍼링하는 기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지지기능을 하는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에 고정되어 주축(4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베어링(30)이 개재되어 장착 되는 주축(40)과 상기 주축(40)의 하방에 고정되어 전동기의 벨트에 연결되는 풀리(50)와 상기 주축(40)의 상방으로 끼워져서 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면취량조절기(60)와 상기 면취량조절기(60)에 고정되어 주축(40)의 상단(41)이 노출되는 판상의 작업대(70)로 구성된다.
상기 주축(40)은 상단(41)이 원뿔형으로 형성되고, 맨 선단에는 제품(M)의 홀(H)의 내측면에 접하여 롤링되는 베어링(43)이 고정되며, 상기 원뿔형으로 형성된 상단(41)의 빗면에는 홈(45)이 형성되어 홀(H)의 모서리(C)를 절삭하는 팁(47)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면취량조절기(60)는 관형상의 바디(61)와 상기 바디(6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주축(40)이 관통하는 관통구(63)와 상기 바디(61) 상단에 형성되어 작업대(70)에 고정되는 플랜지(65)와 상기 바디(61) 외측면에 형성되어 하우징(20)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67)와 상기 면취량조절기(60)의 이송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고정수단(69)으로 구성되는 데, 상기 고정수단(69)은 상기 수나사부(67)에 체결되어 하우징(20) 상방에 위치하는 너트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원통형의 바디(21)와 상기 바디(21)에 베어링(30)이 개재된 주축(40)이 장착되는 장착홀(23)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23) 상부에는 면취량조절기(60)의 수나사부(67)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대(70)에는 상기 관통구(63)에 연통되어 상기 주축(40)의 팁(47)과 베어링(43)이 노출되는 통공(71)이 형성된다.
상기 종래 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먼저 면취량조절기(60)를 회전시켜서 하우징(20)의 장착홀(23)에서 상하 조정이 되도록 하는 데, 이것은 면취량조절기(60)와 하우징(20)이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면취량조절기(60)를 풀고 죔에 따라서 상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작동에 의해 작업대(70)의 통공(71)을 통해서 적당한 양만큼 팁(47)이 노출되도록 한 후, 스패너 등의 수공구로 상기 고정수단(69)이 하우징(20)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죔으로써 면취량조절기(60)의 상하이송이 방지되어 일정한 면취량이 절삭되도록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전동기를 구동시키므로 풀리(50)가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주축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품(M)에 형성된 홀(H) 내부에 상기 베어링(43)이 들어가도록 한 후, 제품(M)을 작업대(70)에 압착한 상태에서 베어링(43)이 홀(H)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롤링되도록 제품(M)을 돌리게 되면, 홀(H)의 모서리(C)가 회전하는 팁(47)에 의해 절삭되면서 챔퍼링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과 작동례에 의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작업대(70)의 통공(71)을 통해 면취량조절기(60)의 관통구(63)와 주축(40) 사이의 틈(A)으로 칩이 유입되어 베어링(30)을 손상시키게 되며, 베어링(30)과 면취량조절기(60) 사이의 공간(B)에 칩이 누적되어 주축(40)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칩을 제거하거나 팁(47)을 교환할 목적으로 상기 고정수단(69)을 해제한 후, 면취량조절기(60)를 풀어서 상향시키게 되면, 세팅해두었던 면취량을 상 실하게 되어 다시 재세팅하기가 곤란하였으며, 정확한 치수로 면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은 상기 면취량조절기(60)의 상하 이송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수단(69)인 너트를 회전시켜서 하우징(20)을 가압하게 되는 데, 이때, 스패너 등의 수공구를 필요로 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대와 면취량조절기 사이에 칩저장통이 장착된 칩수거통을 개재하고, 주축의 상단 하방으로 커버가 체결되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면취량조절기의 관통구와 주축 사이의 틈을 통해 칩이 유입되어 베어링을 손상시키고 베어링과 면취량조절기 사이의 공간에 칩이 누적되어 주축의 회전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칩수거통 상방에 작업대가 커버되도록 함으로써 면취량조절기의 이송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를 분리하여 면취량의 재세팅 없이 팁의 교환이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 볼플런저를 내장하고 면취량조절기에 볼플런저에 대응하는 홈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하며 작업대 상단에 원주를 따라 치수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치수로 면취량을 조정할 수 있고, 하우징에 탭을 형성하여 상기 탭을 통해 체결된 볼트를 고정수단으로 함으로써 수공구 없이도 용이하게 면취량조절기의 이송이 고정되도록 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과 작동례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에서 작업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의 칩수거통에서 바닥면만 절취해서 표현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내경면취기(100)는 제품에 형성된 홀의 모서리를 챔퍼링하는 기계로서, 지지기능을 하는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에 고정되어 주축(14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베어링(130)이 개재되어 장착되는 주축(140)과 상기 주축(140)의 하방에 고정되어 전동기의 벨트에 연결되는 풀리(150)와 상기 주축(140)의 상방으로 끼워져서 하우징(1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면취량조절기(160)와 상기 면취량조절기(160)에 고정되어 주축(140)이 노출되는 판상의 작업대(170)로 구성된다.
상기 주축(140)은 상단(141)이 원뿔형으로 형성되고, 맨 선단에는 홀의 내측면에 접하여 롤링되는 베어링(143)이 고정되며, 상기 원뿔형으로 형성된 상단(141)의 빗면에는 홈(145)이 형성되어 홀의 모서리를 절삭하는 팁(147)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면취량조절기(160)는 관형상의 바디(161)와 상기 바디(16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주축(140)이 관통하는 관통구(163)와 상기 바디(161) 상단에 형성되어 작업대(170)에 고정되는 플랜지(165)와 상기 바디(161) 외측면에 형성되어 하우징(120)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67)와 상기 면취량조절기(160)의 상하이송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고정수단(169)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원통형의 바디(121)와 상기 바디(121)에 베어링(130)이 개재된 주축(140)이 장착되는 장착홀(123)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123) 상부에는 면취량조절기(160)의 수나사부(167)가 체결되는 암나사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대(170)에는 상기 관통구(163)에 연통되어 상기 주축(140)의 팁(147)과 베어링(143)이 노출되는 통공(171)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면취량조절기(160)의 관통구(163)와 주축(140) 사이의 틈(A)을 통해 칩이 유입되어 베어링(130)을 손상시키며 베어링(130)과 면취량조절기(160) 사이의 공간(B)에 칩이 누적되어 주축(140)의 회전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팁(147) 교환 후 면취량을 재세팅할 필요가 없고, 정확한 치수로 면취량을 조정할 수 있고, 수공구 필요없이 용이하게 면취량조절기(160)의 이송이 고정되도록 고안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면취량조절기(160)의 상방에 칩이 수거되는 용기 형상의 칩수거통(180)이 고정되고 상기 칩수거통(180)의 바닥면(181)에는 칩이 배출되는 배출홀(182)이 다수 개 구성되고 상기 배출홀(182)에는 칩이 모이는 칩저장통(183)이 결합되는 데, 상기 칩저장통(183)과 배출홀(182)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방으로는 탭홀(185)이 형성되어 볼트(186)가 체결되므로 작업대(17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면취량조절기(160)의 관통구(163)와 주축(140) 사이의 틈(A)을 통해 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축(140)의 원뿔형 상단(141) 하방에 수나사부(148)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수나사부(148)에 체결되도록 중앙에 탭홀(146)이 형성된 디스크 형상의 커버(149)가 구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칩수거통(180)의 바닥면(181)은 칩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도 5에서처럼, 종단면형상이 하방으로 만곡진 형상이 되므로 원주를 따라 도랑처럼 형성되며, 도 6에서처럼, 일측 배출홀(182)에서 주축(140)의 회전방향으로 마지막으로 지나는 최종지점(W)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단턱(184)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84)에서 다음 배출홀(182)의 최종지점(W1)까지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최종지점(W1)에서 단턱(184)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최종지점(W1)의 단턱(184)에서 다음 배출홀(182)의 최종지점(W2)까지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후, 단턱(184)이 형성되어 높아진 후 다음 배출홀(182)의 최종지점(W)까지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통공(171)으로 유입된 칩은 주축(140)과 함께 회전하는 커버(149)의 회전력에 의해 주축(140)의 회전방향으로 하향경사진 바닥면(181)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홀(182)로 유입되며 각 배출홀(182)의 최종지점(W, W1, W2)에 형성된 단턱(184)에 부딪쳐서 다시 배출홀(182)로 수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20)에는 볼플런저(126)가 장착홀(123) 내측으로 볼(127)이 노 출되도록 측방에 장착되어 면취량조절기(160)의 회전을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또한 측방에 탭홀(128)이 형성되고 상기 탭홀(128)에는 상기 고정수단(169)인 볼트가 체결되어 면취량조절기(160)를 손으로 용이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69)인 볼트의 헤드에는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면취량조절기(160)는 하방 외측면에 상기 볼플런저(126)의 볼(127)이 삽입되는 홈(168)이 수직으로 길게 다수 개 형성되는 데, 일정 간격으로 구성됨으로써 면취량조절기(160)가 일정한 수치로 상하 이송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작업대(170)는 하방으로 칩수거통(180) 내측으로 접하여 삽입되도록 돌출벽(17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칩수거통(180)에 체결된 볼트(186)가 돌출벽(173)을 가압함으로 칩수거통(180)에 장착되며, 상면에는 원주를 따라 치수(175)가 표현되어 면취량조절기(160)의 회전량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상기 치수(175)의 기준점은 테이블(110) 상면에 표시함으로써 가능한 데, 작업자가 편의상 하우징(120)의 고정수단(169) 등 원하는 곳에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된 작업대(170)와 칩수거통(180)을 손으로 잡고서 돌리게 되면 면취량조절기(160)가 회전하면서 상하이송하게 되므로, 상기 작업대(170)와 칩수거통(180)을 정역으로 회전시켜 작업대(170)의 통공(171)으로 팁(147)이 노출되도록 하는 데, 볼플런저(126)에 의해 정확한 치수로 면취량조절기(160)가 이송하게 되며, 치수(175)를 통해 정확한 면취량을 세팅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세팅된 면취량이 유지되도록 하우징(120)의 측방에 체결된 고정수단(169)을 손으로 돌려서 면취량조절기(160)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세팅된 상태에서 전동기를 구동시켜 상기 풀리(150)를 회전시키면 주축(140)도 따라서 회전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제품에 형성된 홀 내부에 상기 베어링(143)이 들어가도록 한 후, 제품을 작업대(170)에 압착한 상태에서 베어링(143)이 홀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롤링되도록 제품을 돌리게 되면, 홀의 모서리가 회전하는 팁(147)에 의해 절삭되면서 챔퍼링된다.
이때, 절삭된 칩은 작업대(170)의 통공(171)을 통해 칩수거통(180)에 수거되는 데, 주축(140)의 회전방향으로 와류를 일으키며 통공(171) 내부로 유입되어 커버(149)의 회전력에 의하여 칩수거통(180)의 바닥면(181)에 부딪친 후 배출홀(182)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바닥면(181)의 단면 형상이 하방으로 만곡진 형상이므로 칩은 중앙으로 모이게 되고, 바닥면(181)이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배출홀(182)로 집중되어 유출된다. 즉, 주축(140)의 회전 방향으로 와류를 일으키며 유입된 칩은 바닥면(181)에 부딪히게 되고, 상기 칩은 중력에 의해 경사진 바닥면(181)을 타고 배출홀(182)로 유입되거나 단턱(184)에 부딪쳐서 칩저장통(183)에 모이게 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149)에 의해 베어링(130)으로의 칩 유입이 차단됨은 물론이다.
절삭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칩수거통(180)에 체결된 볼트(186)를 풀어서 작업대(170)를 이탈시킨다. 그리고 칩수거통(180)의 바닥면(181)에 잔류하는 칩을 솔 등으로 쓸어서 칩저장통(183)에 배출되도록 한 후, 상기 칩저장통(183)을 분리하여 칩을 폐기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되는 데, 이때, 상기 면취량조절기(160)는 이송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구성과 작동례에 의한 본 고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칩수거통(180)과 칩저장통(183)에 의해 칩의 수거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커버(149)에 의해 면취량조절기(160)의 관통구(163)와 주축(140) 사이의 틈(A)으로 칩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베어링(13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고, 베어링(130)과 면취량조절기(160) 사이의 공간(B)에 칩이 누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주축(14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칩을 제거하거나 팁(147)을 교환할 목적으로 상기 작업대(170)를 분리하더라도 상기 고정수단(169)을 풀어서 면취량조절기(160)를 이송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면취량을 재세팅하지 않아도 되며, 볼플런저(126)에 의해 면취량조절기(160)의 회전이 일정 간격으로 조정되고 치수에 의해 정확한 면취량을 세팅할 수 있으며 면취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면취량조절기(16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69)은 볼트로 구비되어 수공구 없이 손으로 용이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칩수거통과 칩저장통에 의해 칩의 수거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커버에 의해 면취량조절기의 관통구와 주축 사이의 틈으로 칩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고, 베어링과 면취량 조절기 사이의 공간에 칩이 누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주축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고, 칩을 제거하거나 팁을 교환할 목적으로 상기 작업대를 분리하더라도 상기 고정수단을 풀어서 면취량조절기를 이송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면취량을 재세팅하지 않아도 되며, 볼플런저에 의해 면취량조절기의 회전이 일정 간격으로 조정되고 치수에 의해 정확한 면취량을 세팅할 수 있고, 면취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면취량조절기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볼트로 구비되어 수공구 없이 손으로 용이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지기능을 하는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에 고정되어 주축(14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베어링(130)이 개재되어 장착되는 주축(140)과,
    상기 주축(140)의 하방에 고정되어 전동기의 벨트에 연결되는 풀리(150)와,
    상기 주축(140)의 상방으로 끼워져서 하우징(1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면취량조절기(160)와,
    상기 면취량조절기(160)에 고정되어 주축(140)이 노출되는 판상의 작업대(170)로 구성되는 내경면취기(100)에 있어서;
    상기 면취량조절기(160)의 상방에 고정되어 칩이 수거되는 용기 형상의 칩수거통(180)과,
    상기 칩수거통(180)의 바닥면(181)에 칩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홀(182)과,
    상기 배출홀(182)에 나사 결합되고 칩이 모이는 칩저장통(183)과,
    상기 칩수거통(180)에 측방에 형성된 탭홀(185)과,
    상기 탭홀(185)에 체결되어 작업대(170)가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186)가 구성되고,
    상기 주축(140)의 원뿔형 상단(141) 하방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48)와,
    상기 수나사부(148)에 체결되어 베어링(130)으로의 칩의 유입을 차단하는 디스크 형상의 커버(149)가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20)에 장착되어 면취량조절기(160)가 일정 간격으로 이송하도록 장착홀(123) 내측으로 볼(127)이 노출되는 볼플런저(126)와,
    상기 하우징(120)의 측방에 형성된 탭홀(128)과,
    상기 탭홀(128)에 체결되어 면취량조절기(160)를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볼트로 구비되는 고정수단(169)이 구성되고,
    상기 볼플런저(126)의 볼(127)이 삽입되도록 면취량조절기(160)의 하방 외측면에 수직으로 길게 다수 개가 형성된 홈(168)이 구성되고,
    상기 작업대(170)는 칩수거통(180)에 결합되도록 하방에 칩수거통(18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벽(173)와,
    상기 작업대(170) 상면에 면취량조절기(160)의 회전량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 치수(17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81)은 종단면 형상이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182)의 최종지점(W, W1, W2)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단턱(184)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84)에서 주축(140)의 회전 방향으로 다음에 위치하는 배출홀(182)의 최종지점(W, W1, W2)까지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
KR2020060027184U 2006-09-30 2006-09-30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 KR200434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184U KR200434634Y1 (ko) 2006-09-30 2006-09-30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184U KR200434634Y1 (ko) 2006-09-30 2006-09-30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634Y1 true KR200434634Y1 (ko) 2006-12-22

Family

ID=4178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184U KR200434634Y1 (ko) 2006-09-30 2006-09-30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6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235B1 (ko) * 2008-06-27 2010-08-17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버 커팅장치
KR20230035739A (ko) * 2021-09-06 2023-03-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부재의 내경 및 외경을 면취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면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235B1 (ko) * 2008-06-27 2010-08-17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버 커팅장치
KR20230035739A (ko) * 2021-09-06 2023-03-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부재의 내경 및 외경을 면취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면취장치
KR102559816B1 (ko) * 2021-09-06 2023-07-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부재의 내경 및 외경을 면취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면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693B2 (en) Machine tool
KR20110108604A (ko) 로울러 표면 연마장치의 심압대 이송장치 구조
CN210877627U (zh) 一种废屑防漏式钻床
KR200434634Y1 (ko) 칩 수거가 가능한 내경면취기
EP1440765B1 (en) Cylindrical grinding machine
JP6267139B2 (ja) 転造タッピング装置
CN111085701B (zh) 一种高效的银触点打孔设备
KR20110009413U (ko) 로울러 표면 연마장치의 절삭수나 절삭유 재활용수거함의 구조
CN210147481U (zh) 一种用于数控加工中心的锁定台
CN204075280U (zh) 一种加工轴的扩铰孔机
CN209773558U (zh) 一种多功能自动换刀铣床
CN208556728U (zh) 一种微型球工件加工装置
CN107695379B (zh) 一种挺柱钻孔专用数控机床
CN218904534U (zh) 一种可调整排屑器出屑角度的装置
CN110640845A (zh) 木托盘异形孔用打孔装置
JPS6144757Y2 (ko)
CN219503751U (zh) 一种新型数控平面钻
CN220971584U (zh) 一种数控机床的供料装置
KR101175177B1 (ko) 칩 배출장치
KR101175185B1 (ko) 칩 배출방법
CN211728473U (zh) 一种主轴中间进料装置
CN218611924U (zh) 一种圆钢加工用的圆钢截断装置
CN212552931U (zh) 一种便于清理铁屑的端面铣床
CN213317693U (zh) 高精车床
CN214559626U (zh) 一种转子轴自动去毛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