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561A -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561A
KR20040105561A KR1020040022632A KR20040022632A KR20040105561A KR 20040105561 A KR20040105561 A KR 20040105561A KR 1020040022632 A KR1020040022632 A KR 1020040022632A KR 20040022632 A KR20040022632 A KR 20040022632A KR 20040105561 A KR20040105561 A KR 20040105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error diffusion
dot
lin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1845B1 (ko
Inventor
마스지시게히로
Original Assignee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5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error diffu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8Improving the black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극히 어두운 저계조부분의 면적이 많이 존재하는 화상에 대해 오차확산처리를 실행했을 때에 나타나는 주기적인 패턴 노이즈 등의 화질방해를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유효영상기간의 복수 라인을 일 영역으로 하고, 복수의 필드 또는 복수의 프레임인 복수의 화면에 걸친 상기 일 영역을 일 시간영역으로 한다. 일 영역에서 라인마다,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를 좌우방향으로 비주기적으로 변위시킨다. 일 시간영역 각각의 라인에서,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를 좌우방향으로 비주기적으로 변위시킨다. 변위량은 미리 정한 고정값으로 하면 되고, 반드시 좌우대칭이 아니어도 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METHOD OF PROCESSING ERROR DIFFUSION IN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오차확산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표시장치 (PDP),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 장치 (FED),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 (DMD),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EL) 등과 같이, 디지털적으로 한정된 중간계조를 표현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오차확산처리에 의한 다계조화처리에 수반하여 발생되는 화질방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중, 예를 들면 1 필드를 복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하여 계조표시하는 PDP 나, 펄스폭 변조 (PWM) 에 의해 계조표시하는 FED, 나아가서는 DMD 등의 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구동방법에 따라서는 디지털적으로 제한된 계조수로밖에 영상을 표현할 수 없다.
통상, 수상기를 음극선관 (CRT) 으로 상정하고 있는 텔레비젼 방송 등에서는, 미리 송신기측에서 감마 특성을 실시하고 있어 수상기측의 CRT 가 갖는 역감마 특성과 함께 선형 계조특성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적으로 제한된 계조수로 화상표시하는 상기와 같은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CRT 와는 달리, 표시장치 자체는 선형 계조특성이다. 따라서, 보통 익숙해진 CRT 에 의한 표시장치와 동일한 계조특성으로 화상표시하는 데에는, 표시장치의 입력영상신호에 2.2 승의 역감마 보정처리를 실시하여, 선형 계조특성으로 되돌려 화상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이들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입력신호의 계조수 (비트수) 가 표시장치로 표현할 수 있는 계조수 (비트수) 보다 큰 경우가 있다. 또, 표시장치로 표현하는 계조수 (비트수) 를 의도적으로 입력신호의 계조수 (비트수) 보다 줄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역감마 보정회로에 의해 역감마 보정처리를 실시하여 선형 계조로 되돌릴 때, 표시장치로 표현할 수 있는 비트수보다도 일단 비트수를 올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역감마 보정처리를 실시하여 선형 계조로 되돌릴 때, 저휘도 레벨의 계조수가 손상되어, 종종 계조의 연속성이 없어지는 것에 기인하는 화질방해를 초래하는 일이 있다. 특히, PDP 의 경우에 있어서는, 1 필드를 발광량의 가중치가 다른 복수의 서브필드에 의해 구성하고, 그 서브필드를 복수 선택함으로써 계조를 표현한다.
따라서, 서브필드의 선택상황에 따라서는, 인접 계조에 대한 시각적인 휘도차가 커져, 그 결과, 의사윤곽형상의 화질방해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최대한 계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신호의 비트수보다도 높은 비트수로 역감마 보정처리를 실시하여, 비트수를 올려 출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된 영상신호의 비트수 혹은 역감마 보정회로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계조수 (제 1 비트수) 가, 표시장치에 의해 표현하는 계조수 (제 2 비트수) 보다도 큰 경우에는, 계조수 (비트수) 를 삭감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계조수 (비트수) 를 삭감하면 계조가 손상되므로, 오차확산법을 이용하여 다계조화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오차확산법에 의한 다계조화처리는, 상기 디지털적으로 제한된 제 2 비트수를 초과하는 제 1 비트수에 상당하는 영상을 얻기 위해, 일례로서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도 10 에 있어서, P 는 주목 화소를 구성하는 3개의 도트내의 하나이고, 제 2 비트수에서는 그대로 표현할 수 없는 계조수를 갖는 도트이다. A 는 오른쪽 옆의 도트, B 는 왼쪽 아래의 도트, C 는 바로 아래의 도트, D 는 오른쪽 아래의 도트이다.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목도트 P 에 있어서 표현할 수 없는 제 1 비트수-제 2 비트수를 복수의 주변 도트 A∼D 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확산시킴으로써, 외관상 제 1 비트수에 상당하는 영상이 되도록 다계조화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가 8 비트의 계조능력밖에 없고, 12 비트의 도트 데이터의 상위 8 비트에 의해 계조표시하는 경우는, 나머지의 하위 4 비트분의 도트 데이터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주변 도트 A∼D 에 확산함으로써, 시각적인 적분효과를 이용하여 12 비트 상당의 계조표시를 실행한다. 도 10 에 있어서, 주변 도트 A∼D 에 붙인 7/16, 3/16, 5/16, 1/16 은, 가중치의 정도를 표시하는 오차확산계수의 일례이다. 또한, R, G, B 의 3원색 신호에 대해 공통되는 오차확산계수를 이용한다.
종래의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선원,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2-135608 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발명은, 주목 화소의 1 라인 이상 후방에 위치하는 화소로의 오차 데이터의 확산장소를, R, G, B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해 변경하거나, 라인마다 변경시킴으로써, 오차확산처리를 실행했을 때에 나타나는 주기적인 패턴 노이즈 등의 화질방해의 발생확률을 격감시켜, 고화질의 표시를 실현시키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표시장치, 특히 PDP 의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오차확산법에 의한 다계조화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외관상의 계조수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의사윤곽형상의 화질방해를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R, G, B 의 3원색 신호에 대해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를 공통의 비트수로 하고, 공통의 오차확산계수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오차확산을 실행함으로써, 특히 고정 패턴 등을 표시할 때에, 오차확산 특유의 주기적인 패턴 노이즈 등의 화질방해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DP 등의 표시장치는 패널의 구조나 패널 내부를 구성하는 재료 등의 개량에 의해 성능이 계속 향상되고 있어 패널의 고휘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오차확산 특유의 주기적인 패턴 노이즈 등의 화질방해가 점점 두드러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저계조부분이 많이 존재하는 화상에서는 패널의 고휘도화가 진행되면 화질의 열화도 더욱 커져 버린다는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2-135608 호에 기재된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대개 해소할 수 있으나, 이하와 같은 새로운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오차 데이터의 확산장소를 R, G, B 마다 또는 라인마다 변경시켜도, 상기 공보에기재된 발명에서는 확산장소의 변경이 규칙적이고, 일정표시면적에 대한 각 도트의 발광확률 (발광회수) 이 불균형해진다. 이에 의해 발광이 많은 도트와 발광이 적은 도트 사이에서 농담의 차가 확실해져, 인접 도트 사이에 대한 시각적인 휘도차가 커진다. 그리고, 극히 어두운 저계조부분의 면적이 많이 존재하는 화상에서는, 암부의 S/N 이 나빠 노이즈감을 많이 느끼게 된다.
또, 전체화면에 흑 근방의 아주 미소한 레벨의 영상신호가 일정하게 존재하는 정지화상인 경우, 신호 레벨에 따라서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오차확산에 의한 발광이 생기는 결과 매회 발광하는 도트와 매회 발광하지 않는 도트의 2가지 값을 갖는 상태로 되어 세로선이나 사선의 비트형상 화상이 되는 화질방해를 일으키거나, 입상 정지화상으로 된다. 또한, 인쇄물 등의 2차원 화상인 경우에는, 입상 정지화상으로 되어도 문제없지만, 3차원 화상을 취급하는 표시장치, 특히 텔레비젼 용도인 경우에는, 입상 정지화상이 되면 종래의 CRT 표시장치에는 없는 위화감을 느끼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극히 어두운 저계조부분의 면적이 많이 존재하는 화상에 대해 오차확산처리를 실행했을 때에 나타나는 주기적인 패턴 노이즈 등의 화상방해를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을 이용한 표시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는 도 1 중의 오차확산처리회로 (3) 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신호처리회로 2 : 역감마보정회로
3 : 오차확산처리회로 4 : PDP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비트수를 갖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 1 비트수보다 비트수가 작은 제 2 비트수로 삭감할 때에,색성분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트로 구성되는 각각의 주목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비트수와 상기 제 2 비트수의 차인 상기 제 1 비트수의 하위 비트의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오차확산계수를 곱한 오차 데이터를, 상기 주목 화소가 위치하는 라인의 후방의 라인에 위치하는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변 화소에 확산시키는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유효영상기간내의 적어도 일부의 복수라인을 일 영역으로 했을 때, 이 일 영역내에서, 상기 주목 화소의 라인방향의 위치를 기준위치로 하고, 상기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도트를 상기 기준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미리 설정한 화소수의 범위내에서 라인마다 비주기적으로 변위시키고, 복수의 필드 또는 복수의 프레임인 복수의 화면에 걸친 상기 일 영역을 일 시간영역으로 했을 때, 이 일 시간영역내 각각의 라인에서, 상기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도트를 상기 기준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미리 설정한 화소수의 범위내에서 화면마다 비주기적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을 사용한 표시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는 도 1 중의 오차확산처리회로 (3) 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3∼도6 은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도 9 는 본 발명의 오차확산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적으로 제한된 계조수로밖에 영상을 표현할 수 없는 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PDP 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표시장치로서는 PDP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에 있어서, 색성분인 R, G, B 신호로 이루어지는 3 계통의 영상신호는, 영상신호처리회로 (1) 에 입력된다. 영상신호처리회로 (1) 는 이들 영상신호에 각종 영상신호처리를 실시하고, 역감마 보정회로 (2) 에 입력한다. R, G, B 신호는 일례로서 8 비트의 디지털 신호, 즉 256 계조의 신호이다.
역감마 보정회로 (2) 는 입력된 R, G, B 신호에 대해, 각각 동일한 특성의 역감마 보정처리를 실시하고, 일례로서 12 비트의 디지털 신호, 즉 4096 계조의 신호로서 출력한다. 8 비트의 디지털 신호를 12 비트의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역감마 보정처리에 의해 계조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역감마 보정회로 (2) 에서 출력된 R, G, B 신호는 오차확산처리회로 (3) 에 입력된다. 오차확산처리회로 (3) 는 R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R), G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G), B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B) 로 구성되고, R, G, B 신호는 각각의 오차확산처리회로 (3R, 3G, 3B) 에 입력된다. 오차확산처리회로 (3R, 3G, 3B) 는, 입력된 R, G, B 신호 각각에 대해, 오차확산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한다. 즉, 12 비트의 디지털 신호 중의 예를 들면 하위 4 비트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한 오차 데이터를 상위 8 비트로 확산하여, 8 비트의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때, 주목 화소가 위치하는 라인의 후방의 라인 (적어도 1 라인 후방의 라인) 에 위치하는 화소 각각의 도트에 오차 데이터를 확산할 때에, 도 10 에서의 화소 B, C, D 와 같이 확산장소를 일정하게 하는 것은 아니고,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를 동일한 라인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변위시켜, 확산장소를 다르게 한다. 이 확산장소의 변경을 라인마다 연속적으로 실행한다. 확산장소의 변경량이나 변경순서가 라인방향 및 필드 방향으로 비주기적으로 되도록 오차 데이터를 확산한다. 비주기적인 오차 데이터의 확산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나중에 후술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오차 데이터를, 유효영상기간외, 즉, 수평 블랭킹 기간이나 수직 블랭킹 기간에 있어서, 0 으로 클리어 (리세트) 하지 않도록 한다. 상세하게 말하면, 상기 영상신호의 유효영상기간외에서 유효영상기간으로 이행할 때에, 유효영상기간에 도달하기 직전의 주목 화소에서 얻어진 하위 4 비트를 0 으로 클리어하지 않고, 오차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상, 유효영상기간에 도달하기 직전의 주목 화소는, 영상신호의 유효영상기간의 최상위 라인 및 각각의 라인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화소이지만, 구동방법에 따라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0 으로 클리어 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효영상기간에 도달하기 직전의 주목 화소에서 얻어진 하위 4 비트를 유지해 두거나, 하위 4 비트에 상당하는 값으로서 랜덤한 값을 대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처리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오차확산에 의한 발광이 발생하여, 매회 발광하는 도트와 매회 발광하지 않는 도트의 2 가지 값을 갖는 상태로 됨으로써, 세로선이나 사선의 비트형상 화상이나 입상 정지화상으로 되어 버리는 화질상의 방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확산장소의 변경이나 이에 추가하여 오차 데이터를 유효영상기간외에서0 으로 클리어하지 않는 처리는, R, G, B 신호의 도트로 구성되는 주목 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도트) 에 대해 실행한다. R, G, B 신호 중의 2 개의 신호 (도트) 에 대해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R, G, B 신호의 모든 신호 (도트) 에 대해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더욱 바람직한 예로서, 확산장소의 변경에 추가하여, R, G, B 신호에 대해 공통의 오차확산계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계수를 다른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계수와 다르게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 즉, 상위 8 비트에 확산하는 비트수를 다른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와 다르게 한다.
그리고, 도 1 에서 오차확산처리회로 (3R, 3G, 3B) 에 의해 오차확산처리된 R, G, B 신호는 PDP (4) 에 입력된다. PDP (4) 는 서브필드 처리 등의 각종 구동처리를 실시한 후에, 화면상에 R, G, B 신호를 화상표시한다. 여기에서의 PDP (4) 는 패널과 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도 2 를 사용하여, 오차확산처리회로 (3)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R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R), G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G), B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B) 는 전부 동일한 구성이지만, R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R), G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G), B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B)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대상으로 하는 도트를 변위시킨다. 또 이에 추가하여, 오차확산계수나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를 다르게 한다. G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G) 와 B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B) 의 구성은, R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R) 와 공통되기 때문에 도시를 간략화함과 동시에 그 동작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2 에 있어서, 역감마 보정회로 (2) 에서 입력된 12 비트의 R 신호는, 후술하는 가산기 (31 및 32) 를 거쳐 출력되고, 가산기 (32) 에서 출력된 12 비트 데이터 중, 하위 4 비트가 R용 오차검출회로 (33R) 에 입력된다. 이 하위 4 비트는, 12 비트의 디지털 신호 (4096 계조) 를 8 비트의 디지털 신호 (256 계조) 로 삭감함으로써 손상된 계조의 차분에 상당하는 것이다. R용 오차검출회로 (33R) 는, 입력된 하위 4 비트의 데이터에 대해, 도 3(A) 또는 도 4(A) 에 나타내는 주변 도트 A'∼D' 에 따른 오차확산계수를 곱하여 오차 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이다.
R용 오차검출회로 (33R) 의 단자 a∼d 로부터는 각각 하위 4비트의 데이터에 주변 도트 A'∼D' 에 따른 오차확산계수를 곱한 오차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도 3(A) 또는 도 4(A) 의 경우에서 설명하면, 단자 a∼d 로부터는, 각각 하위 4 비트의 데이터에 7/16, 3/16, 5/16, 1/16 을 곱한 오차 데이터가 출력된다. 주변 도트 A'∼D' 와 주변 도트 A∼D 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자 a 에서 출력된 오차 데이터는 가산기 (32) 에 입력되고, 단자 b 에서 출력된 오차 데이터는 가산기 (35) 에 입력되고, 단자 c 및 d 에서 출력된 오차 데이터는 가산기 (34) 에 입력된다. 가산기 (34) 는 입력된 단자 c 및 d 로부터의 오차 데이터를 가산하여 가산기 (35) 에 입력한다. 가산기 (35) 는 단자 b 에서 출력된 오차 데이터와 가산기 (34) 의 출력을 가산하여 라인메모리 (36) 에 입력한다.
난수발생기 (38) 에는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와 변위량 설정값이 입력된다. 변위량 설정값은 주목 화소의 후방의 라인에 위치하는 화소에 오차 데이터를 확산할 때에, 주목 화소의 라인방향의 위치를 기준위치로 하고, 기준위치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몇 화소분,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 (적어도 하나의 도트) 를 변위시키는 값을 말한다. 이 변위량 설정값은 미리 정한 고정값으로 하면 된다. 변위량 설정값의 설정방법으로서는 변위량이 반드시 좌우대칭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오른방향으로 3 화소, 왼방향으로 4 화소의 범위내로 설정해도 된다. 변위량은 너무 크게 하지 않고, 몇 화소정도로 하는 것이 노이즈감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일 방향으로 10 화소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수발생기 (38) 에서 발생되는 난수는, 변위량 설정값의 범위내에서 라인마다 발생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오른쪽 방향으로 1∼3 화소의 3가지, 왼쪽 방향으로 1∼4 화소의 4가지, 그리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통상의 처리 (0 화소) 의 합계 8가지 중에서 선택된 난수를, 라인마다 랜덤 (실질적으로 랜덤을 포함) 하게 발생한다. 또 난수의 값은 전후의 출현순서, 즉, 상하방향의 출현순서와 필드 (또는 프레임) 방향의 출현순서가 모두 비주기적으로 되도록 제어하면서 발생한다. 변위량의 비주기적인 변경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수직동기신호의 타이밍으로 변위량 설정값을 가변하여 변위량을 변경하면 더욱 좋다.
판독측 리세트신호 (38A) 와 기록측 리세트신호 (38B) 의 타이밍은, 입력된 난수의 값과 수평동기신호의 타이밍에 의거하여, 각각 라인마다 설정되어 난수발생기 (38) 에서 출력된다. 난수발생기 (38) 에서 출력된 판독측 리세트신호 (38A) 및 기록측 리세트신호 (38B) 는 라인메모리 (36) 에 입력된다. 라인메모리 (36) 는, 판독측 리세트신호 (38A) 및 기록측 리세트신호 (38B) 의 타이밍에 의거하여, 가산기 (35) 의 출력을 1 라인분보다 약간 짧은 시간만큼 지연시켜 가산기 (31) 에 입력한다. 이상의 동작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런데, 통상 라인메모리 (36) 에 기록하는 오차 데이터는, 유효영상기간외에서 0 으로 클리어 (리세트)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인메모리 (36) 를 유효영상기간외, 즉, 수평 블랭킹 기간이나 수직 블랭킹 기간에서도 0 으로 클리어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의 유효영상기간외에서 유효영상기간으로 이행할 때에, 유효영상기간에 도달하기 직전의 주목 화소에서 얻어진 하위 4 비트를 0 으로 클리어하지 않고, 오차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산기 (31) 는 입력된 R 신호와 라인메모리 (36) 의 출력을 가산하여 가산기 (32) 에 입력한다. 입력된 R 신호를 도 3(A) 또는 도 4(A) 에 나타내는 주목 도트 (P') 로 하면, 가산기 (31) 는, 주목 도트 (P') 에 대해, 대략 1 라인분 과거에 발생한 오차 데이터인 라인메모리 (36) 의 출력, 즉 B'×3/16+C'×5/16 +D'×1/16 을 가산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가산기 (32) 는 가산기 (31) 의 출력과 R용 오차검출회로 (33R) 의 단자 a 에서 출력된 오차 데이터를 가산한다. 즉, 가산기 (32) 는 주목 도트 P' 에 대해 대략 1 라인분 과거에 발생한 오차 데이터를 가산한 가산기 (31) 의 출력에 대해, 또한 1 도트 과거에 발생한 오차 데이터인 A'×7/16 을 가산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3(A) 또는 도 4(A) 에 나타내는 주목 도트 P' 에 주변 도트 A'∼D' 에 각각의 오차확산계수를 곱한 오차 데이터를 가산한다. 가산기 (32) 에서 출력된 12 비트의 데이터 중, 다시 하위 4 비트가 R용 오차검출회로 (33R) 에 입력되어, 이상의 동작이 반복된다.
가산기 (32) 에서 출력된 12 비트의 데이터 중의 상위 8 비트는 리미터 (37) 에 입력된다. 리미터 (37) 는 주목 도트 P' 에 대한 오차 데이터의 가산처리에 의해 얻은 데이터의 값의 8 비트를 초과한 분 (오버플로우) 을 제한하여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주목 도트 P' 에 대한 오차 데이터의 가산처리를 도트마다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도 3(A) 또는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목 도트 P 에서의 하위 4 비트분의 데이터에 7/16, 3/16, 5/16, 1/16 의 오차확산계수를 곱하여 주변 도트 A∼D 로 확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G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G) 중의 G용 오차검출회로 (33G) 에 설정하는 오차확산계수를 R용 오차검출회로 (33R) 에 설정하는 오차확산계수와 동일하게 하고, B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B) 중의 B용 오차검출회로 (33B) 에 설정하는 오차확산계수나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를 R용 오차검출회로 (33R) 및 G용 오차검출회로 (33G) 에 설정하는 오차확산계수와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와 다르게 한다.
도 3 은 오차확산계수를 다르게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B 신호에 대해서는, 주목 도트 P 에 있어서의 하위 4 비트분의 데이터에 9/16, 2/16, 4/16, 1/16 의 오차확산계수를 곱하여 주변 도트 A∼D 에 확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오차확산처리회로 (3R, 3G, 3B) 는, R, G, B 신호의 3개의 도트로 구성되는 주목 화소에 있어서 R, G, B 신호에 있어서의 1개의 신호 혹은 모든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계수를 다르게 하여, R, G, B 신호에 오차확산처리를 실시함으로써, 12 비트의 데이터를 8 비트의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또한, 주변 도트 A∼D 에 대한 오차확산계수의 전부를 다르게 해도 되고, 일부만을 다르게 해도 된다. 도 3 의 예에서는, 주변 도트 (D) 에 대한 오차확산계수는 1/16 으로 공통이고, 다른 주변 도트 A∼C 에 대한 오차확산계수가 다르다. 오차확산계수는 대폭 다르게 하는 것보다도 약간 다르게 하는 정도가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8 비트의 표시능력밖에 없는 PDP (4) 에서도, 시각적인 적분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외관상 12 비트 상당의 표시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R, G, B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계수로서 공통의 오차확산계수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주목 화소의 적어도 1 라인 이상 후방에 위치하는 화소로의 확산장소가, R, G, B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라인마다 연속하여 랜덤하게 변경되므로, 고정 패턴 등을 표시할 때에서도, 예를 들면 입상 또는 비트형상 등으로 대표되는 오차확산 특유의 주기적인 패턴 노이즈 등의 화질방해가 시각상 매우 인식되기 어렵다. 따라서, 보다 고화질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 는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를 다르게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 신호에 대해서는, 주목 도트 P 에서의 하위 4 비트째부터 하위 2 비트째까지의 3 비트분의 데이터에 4/8, 1/8, 2/8, 1/8 의 오차확산계수를 곱하여 주변 도트 A∼D 로 확산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2 비트의 B 신호에 있어서의 하위 4 비트째부터 하위 2 비트째까지의 3 비트를 사용하여 오차확산하도록 하였으나, B 신호에 대해, 역감마 보정회로 (2) 에서의 역감마 보정처리의 단계에서, R, G 신호와 동일한 역감마 보정특성으로 11 비트의 디지털신호, 즉, 2048 계조의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하위 3 비트분의 데이터에 상기 오차확산계수를 곱하여 주변 도트 A∼D 로 확산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B 신호의 역감마 보정처리를, 롬 (ROM) 을 사용한 룩 업 테이블 (LUT) 에서 실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만큼 롬의 용량이 절약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역감마 보정처리가 11 비트인 경우, B용 오차확산회로 (3B) 에서 실행하는 처리가 전부 3 비트분의 처리회로로 끝나므로, 회로용량이 절약된다. 라인메모리 (36) 에서의 대략 1 라인분 지연도 1 비트분 적어도 된다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오차확산처리회로 (3R, 3G, 3B) 는, R, G, B 신호의 3개의 도트로 구성되는 주목 화소에 있어서, R, G, B 신호에서의 하나의 신호 혹은 모든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에 사용하는 비트수를 다르게 하여, R, G, B 신호에 오차확산처리를 실시함으로써, 12 비트 (B 신호는 11 비트) 의 데이터를 8 비트의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또한,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는 대폭 다르게 하는 것보다 약간 다르게 하는 정도가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8 비트의 표시능력밖에 없는 PDP (4) 에서도, 시각적인 적분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외관상 12 비트 상당 (B 신호는 11 비트 상당) 의 표시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R, G, B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를 공통으로 하지 않고, 또한 주목 화소의 1 라인 이상 후방에 위치하는 화소로의 확산장소가 R, G, B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라인마다 연속하여 랜덤하게 변경되므로, 고정 패턴 등을 표시할 때에도, 예를 들면 입상 또는 비트형상 등으로 대표되는 오차확산특유의 주기적인 패턴 노이즈 등의 화질방해가 시각상 매우 인식되기 어렵다. 따라서, 보다 고품질인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B 신호의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를 3 비트로 하고, R, G 신호의 오차확산에 사용하는 비트수를 4 비트로 하고 있으나, 오차확산에 사용하는 비트수는 3 비트나 4 비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비트수와 제 2 비트수의 차분인 제 1 비트수의 하위 비트의 전부를 오차확산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를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그 하위 비트의 최상위 비트 (상기의 예에서는, 하위 4 비트째) 로부터의 연속된 상위 비트를 이용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R, G 신호의 오차확산에 사용하는 비트수를 4 비트로 하고, 각각의 주변 도트의 오차확산계수는 동일하게 되어 있으나, 주변 도트의 오차확산계수를 다르게 해도 된다.
일례로서, R 신호에 대해서는,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목 도트 P 에서의 하위 4 비트분의 데이터에 7/16, 3/16, 5/16. 1/16 의 오차확산계수를 곱하여 주변 도트 A∼D 로 확산되도록 하고, G 신호에 대해서는, 도 5(B) 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주목 도트 P 에 있어서의 하위 4 비트분의 데이터에 9/16, 2/16, 4/16, 1/16 인 오차확산계수를 곱하여 주변 도트 A∼D 로 확산되도록 하고, B 신호에 대해서는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목 도트 P 에서의 하위 4 비트째부터 하위 2 비트째까지의 3 비트분의 데이터 (혹은 역감마 보정처리가 11 비트인 경우는 하위 3 비트분의 데이터) 에 4/8, 1/8, 2/8, 1/8 인 오차확산계수를 곱하여 주변 도트 A∼D 로 확산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오차확산처리회로 (3R, 3G, 3B) 는, R, G, B 신호의 3개의 도트로 구성되는 주목 화소에 있어서, R, G, B 신호에서의 1개의 신호 혹은 모든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계수를 다르게 하거나, 혹은 R, G, B 신호에서의 1개의 신호 혹은 모든 신호에 대한 오차확산에 이용하는 비트수를 다르게 하여, R, G, B 신호에 오차확산처리를 실시함으로써, 12 비트 혹은 11 비트의 데이터를 8 비트의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다음으로, 주목 화소의 후방의 라인에 위치하는 화소 도트로의 확산장소를, R, G, B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해, 라인마다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확산장소를 R, G, B 신호마다 다르게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주목 화소의 적어도 1 라인 후방에 위치하는 화소의 도트로의 확산장소를 R, G, B 신호마다 변경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 7 은 주목 화소의 적어도 1 라인 후방에 존재하는 화소의 도트로의 확산장소를 라인마다 변경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6 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B), (C) 에 나타내는 주목 도트P 는, 동일한 장소에 위치하는 화소로, 주목 화소를 구성하는 3개의 도트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A, B, C, D 에 확산되는 각각의 오차확산계수는, 예를 들면 도 3∼도 5 에 나타낸 도트 A, B, C, D 로 확산되는 각각의 오차확산계수와 동일하다. 도 6 에서는, 도트 A, B, C, D 로 확산되는 각각의 오차확산계수의 값 그 자체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6(A) 의 R 신호에 대해서는, 주목 도트 P 에서의 오른쪽 옆의 도트 A, 바로 아래의 도트 B, 오른쪽 아래의 도트 C, 2 화소 오른쪽 아래의 도트 D 에 확산되도록 되어 있다. 도 6(B) 의 G신호에 대해서는, 주목 도트 P 에서의 오른쪽 옆의 도트 A, 왼쪽 아래의 도트 B, 바로 아래의 도트 C, 오른쪽 아래의 도트 D 에 확산되도록 되어 있다. 도 6(C) 의 B 신호에 대해서는, 주목 도트 P 에서의 오른쪽 옆의 도트 A, 2 화소 왼쪽 아래의 도트 B, 왼쪽 아래의 도트 C, 바로 아래의 도트 D 에 확산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목 화소의 1 라인 이상 후방에 위치하는 화소 (여기에서는 1 라인 후방에 위치하는 화소) 의 도트로의 확산장소를 R, G, B 신호마다 다르게 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R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R), G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G), B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B) 는, 회로구성 그 자체는 동일하지만,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R, G, B 신호마다의 확산장소의 변경은, 예를 들면 각각의 라인메모리 (36) 의 판독측 리세트신호의 판독 개시위치를 R, G, B 신호마다 어긋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확산장소의 변경을 라인메모리 (36) 의 판독 개시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실현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트 B, C, D의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관계 (순번이나 각각의 도트 사이의 거리) 는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 라인 내에서, 도트 B, C, D 의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어긋나게 하거나, 도트 B, C, D 를 다른 라인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R 신호는 주목 도트 P 의 1 라인 아래로 확산하고, G 신호는 주목 도트 P 의 2 라인 아래로 확산하고, B 신호는 주목 도트 P 의 3 라인 아래로 확산하도록 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예를 들면 필드마다, 도트 A 도 포함시켜 도트 B, C, D 의 주목 화소 P 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변경해도 된다. 또 라인메모리 (36) 의 기록측 리세트신호의 개시위치를 어긋나게 하거나, 기록측 리세트신호와 판독측 리세트신호의 양방을 어긋나게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7 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에서 제 1 라인∼제 5 라인…는, PDP (4) 의 표시라인을 표시하고 있다. 주목 도트 P 가 제 1 라인의 도 7 에 나타낸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주목 도트 P 는, R, G, B 신호의 어느 하나의 신호이고, 제 2 라인 이후에 나타낸 도트 B 로부터 도트 N 은, 주목 도트 P 와 동일 색의 신호인 것으로 한다.
제 1 라인의 주목 도트 P 로부터는, 오른쪽 옆의 도트 A, 바로 아래의 도트 B, 오른쪽 아래의 도트 C, 2 화소 오른쪽 아래의 도트 D 에 오차 데이터를 확산한다. 제 1 라인에 있어서의 주변 화소로의 오차 데이터의 확산장소는, 도시한 주목 도트 P 이외에도 동일하고, 오른쪽 옆의 도트를 A, 바로 아래의 도트를 B, 오른쪽 아래의 도트를 C, 2 화소 오른쪽 아래의 도트를 D 로서 확산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도트 A, B, C, D 로 확산되는 각각의 오차확산계수는, 예를 들면 도 3∼도 5 에 나타낸 도트 A, B, C, D 로 확산되는 각각의 오차확산계수와 동일하면 된다. 도 7 에서는 도트 A, B, C, D 에 확산되는 각각의 오차확산계수의 값 그 자체의 기재는 생략한다.
다음에 제 2 라인에서는 도트 B 를 주목 도트, 제 3 라인에서는 도트 F 를 주목 도트, 제 4 라인에서는 도트 J 를 주목 도트로 하고 있다. 제 2 라인의 주목 도트 B 로부터는, 오른쪽 옆의 도트 C, 왼쪽 아래의 도트 E, 바로 아래의 도트 F, 오른쪽 아래의 도트 G 로 확산된다. 오른쪽 옆의 도트 C, 왼쪽 아래의 도트 E, 바로 아래의 도트 F, 오른쪽 아래의 도트 G 로 확산되는 오차확산계수의 값은, 제 1 라인의 주목 도트 P 로부터 확산되는 도트 A, B, C, D 에서의 각각의 오차확산계수와 동일하다.
제 3 라인의 주목 도트 F 로부터는, 오른쪽 옆의 도트 G, 2 화소 왼쪽 아래의 도트 H, 왼쪽 아래의 도트 I, 바로 아래의 도트 J 로 확산된다. 오른쪽 옆의 도트 G, 2 화소 왼쪽 아래의 도트 H, 왼쪽 아래의 도트 I, 바로 아래의 도트 J 로 확산되는 오차확산계수의 값은, 제 1 라인의 주목 도트 P 로부터 확산되는 도트 A, B, C, D 에서의 각각의 오차확산계수와 동일하다. 제 4 라인의 주목 도트 J 로부터는 오른쪽 옆의 도트 K, 바로 아래의 도트 L, 오른쪽 아래의 도트 M, 2 화소 오른쪽 아래의 도트 N 로 확산된다. 오른쪽 옆의 도트 K, 바로 아래의 도트 L, 오른쪽 아래의 도트 M, 2 화소 오른쪽 아래의 도트 N 으로 확산되는 오차확산계수의 값은, 제 1 라인의 주목 도트 P 로부터 확산되는 도트 A, B, C, D 에서의 각각의 오차확산계수와 동일하다.
도 2 에 나타내는 R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R), G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G), B용 오차확산처리회로 (3B) 는 회로구성 그 자체는 동일하지만,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라인마다의 확산장소의 변경은, 예컨대 각각의 라인메모리 (36) 의 판독측 리세트신호의 판독 개시위치를 라인마다 어긋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확산장소의 변경을 라인메모리 (36) 의 판독 개시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실현하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목 도트 P, B, F, J…의 1 라인 후방에 위치하는 도트의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관계 (순번이나 각각의 도트 사이의 거리) 는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 라인내에서, 1 라인 후방에 위치하는 3개의 도트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어긋나게 하거나, 라인마다 확산되는 후방 라인의 위치를 전환하여, 3개의 도트를 다른 라인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라인의 주목 도트 P 로부터는 1 라인 아래로 확산하고, 제 2 라인의 주목 도트 (B) 로부터는 2 라인 아래로 확산하고, 제 3 라인의 주목 도트 (F) 로부터는 3 라인 아래로 확산하거나 하여, 라인 방향으로 확산되는 거리를 다르게 하여도 된다. 나아가서는 예를 들면 필드 또는 프레임마다 주목 화소와 동일한 라인에 위치하는 도트 (제 1 라인에서는 도트 A) 도 포함시켜, 주목 화소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변경해도 된다.
또 라인메모리 (36) 의 기록측 리세트신호의 개시위치를 어긋나게 하거나, 기록측 리세트신호와 판독측 리세트신호의 양방을 어긋나게 해도 된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내는 확산장소의 변경을 라인메모리 (36) 의 기록측 리세트신호와 판독측 리세트신호의 양방을 어긋나게 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8(A)∼(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라인의 판독측 리세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판독측 리세트와 기록측 리세트의 딜레이량 (판독측 리세트가 1 라인분보다 약간 짧은 시간에 설정) 을 일정하게 유지한 후에, 제 2 라인 이후, 양방의 리세트신호 개시위치를 플러스측이나 마이너스측으로 동시에 어긋나게 함으로써, 확산장소의 변경을 실현하고 있다.
도 2 의 예에서는, 난수발생기 (38) 를 사용하여, 도 8 과 같은 확산장소의 변경을 실현하고 있으나, 확산장소를 변경하는 수단은 난수발생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M 계열을 적용한 발생회로일 수도 있다. 확산장소의 변경의 구체적 수단은 임의이다.
여기에서 도 9 를 사용하여, 비주기적인 오차 데이터의 확산방법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에서 종방향은 라인번호를, 횡방향은 필드 (또는 프레임) 번호를 나타낸다. 도 1 의 표시장치에 공급하는 영상신호로서는 PDP (4) 의 구동형태에 따라, 인터레이스 신호의 경우와, 비인터레이스 신호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9 의 예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의 변위량을, 오른쪽 방향으로 3 화소, 왼쪽 방향으로 4 화소로 하고, 변위시키지 않은 0 화소를 포함하여, 8가지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에서는, 왼쪽 방향을 +(플러스), 오른쪽 방향을 -(마이너스) 로 하여 나타낸다. 또한 도 9 의 예는 도 8 과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드 (프레임) 1 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유효영상기간의 최상위 라인인 라인 1 의 변위량은 +4, 그 다음의 라인 2 의 변위량은 +3, 다시 그 다음의 라인 3 변위량은 -2 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의 변위량을 라인마다 변위량 설정값의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유효영상기간의 라인수가 480인 경우, 그 480개 전체의 라인에서 변위량을 랜덤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간략화를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즉, 도 9 에 나타내는 라인 1∼8 의 8 라인을 일 영역으로 하고, 이 일 영역내에서 변위량을 비주기적으로 선택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동일한 변위량이 일 영역내에서 나타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그 다음의 일 영역인 라인 9∼16 에서도, 라인 1∼8 과 동일한 변위량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영역간에서 보면, 주기적으로 되고 있으나, 일 영역내에서는 비주기적으로 실질적으로 랜덤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라인 1 에 있어서, 필드 (프레임) 1 의 변위량은 +4, 그 다음의 필드 (프레임) 2 의 변위량은 +2, 다시 그 다음의 필드 (프레임) 3 의 변위량은 -3 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의 변위량을 필드 또는 프레임의 화면마다 변위량 설정값의 범위내에서 순차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필드 (프레임) 방향으로 항상 변위량을 랜덤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간략화를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즉, 도 9 에 나타내는 필드 (프레임) 1∼8 의 8 개의 필드 (프레임) 을 일 시간영역으로 하고, 이 일 시간영역내에서 변위량을 비주기적으로 선택하고 있다. 굵은 실선으로 둘러싼 범위가 일 시간영역이다. 이 예에서는 동일한 변위량이 일 시간영역내에서 나타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그 다음의 일 시간영역인 필드 (프레임) 9∼16 에서도, 필드 (프레임) 1∼8 와 동일한 변위량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시간영역간에서 보면, 주기적으로 되어 있으나, 일 시간영역내에서는 비주기적으로 실질적으로 랜덤하게 되어 있다.
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세로선이나 사선의 비트형상 화상이나 입상 정지화상으로 되는 화질방해를 방지한다는 점에서는 충분히 효과적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에 의하면, 극히 어두운 저계조부분의 면적이 많이 존재하는 화상에 대해 오차확산처리를 실행했을 때에 나타나는 주기적인 패턴 노이즈 등의 화질방해를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패널의 고휘도화가 진행되어 저계조부분의 휘도 스텝차가 커졌다고 해도, 일정 면적에서 각 도트의 발광확률 (발광회수) 이 보다 평균화되므로, 저계조부근이 많은 화상이 있어도, 오차확산에 기인하는 노이즈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 패널의 고휘도화에 의한 화질의 열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

  1. 제 1 비트수를 갖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 1 비트수보다 비트수가 작은 제 2 비트수로 삭감할 때에, 색성분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트로 구성되는 각각의 주목 화소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수와 상기 제 2 비트수의 차인 상기 제 1 비트수의 하위 비트의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오차확산계수를 곱한 오차 데이터를, 상기 주목 화소가 위치하는 라인의 후방의 라인에 위치하는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변 화소에 확산시키는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유효영상기간내의 적어도 일부의 복수라인을 일 영역으로 했을 때, 이 일 영역내에서, 상기 주목 화소의 라인방향의 위치를 기준위치로 하고, 상기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도트를 상기 기준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미리 설정한 화소수의 범위내에서 라인마다 비주기적으로 변위시키고,
    복수의 필드 또는 복수의 프레임인 복수의 화면에 걸친 상기 일 영역을 일 시간영역으로 했을 때, 이 일 시간영역내 각각의 라인에서, 상기 오차 데이터를 확산하는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도트를 상기 기준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미리 설정한 화소수의 범위내에서 화면마다 비주기적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유효영상기간외에서 유효영상기간으로 이행할 때, 유효영상기간에 도달하기 직전의 주목 화소에서 얻어진 상기 제 1 비트수의 하위 비트를 0 으로 클리어하지 않고, 상기 오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KR1020040022632A 2003-06-09 2004-04-01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KR100701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3340 2003-06-09
JP2003163340A JP4172331B2 (ja) 2003-06-09 2003-06-09 表示装置の誤差拡散処理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680A Division KR100888577B1 (ko) 2003-06-09 2005-10-29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561A true KR20040105561A (ko) 2004-12-16
KR100701845B1 KR100701845B1 (ko) 2007-03-30

Family

ID=340551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632A KR100701845B1 (ko) 2003-06-09 2004-04-01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KR1020050102680A KR100888577B1 (ko) 2003-06-09 2005-10-29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680A KR100888577B1 (ko) 2003-06-09 2005-10-29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72331B2 (ko)
KR (2) KR1007018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549B1 (ko) * 2004-12-09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KR100730614B1 (ko) * 2005-10-17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차 확산을 이용한 화상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38816B1 (ko) 2005-08-30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517B1 (ko) 2005-03-14 2006-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JP2006284647A (ja) * 2005-03-31 2006-10-19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133206A (ja) * 2005-11-11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誤差拡散装置
JPWO2008108075A1 (ja) * 2007-03-01 2010-06-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2685B2 (ja) * 1994-10-13 2004-10-0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擬似中間調処理方法および回路
JP3334440B2 (ja) * 1995-06-30 2002-10-1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誤差拡散回路
KR100251551B1 (ko) * 1997-03-06 2000-04-15 구자홍 디지탈영상양자화를위한비인과성오차확산계수의위치및결정방법
JP3540683B2 (ja) 1998-09-22 2004-07-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階調画像表示方法
KR100403698B1 (ko) * 2001-07-13 2003-10-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계조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20210A (ko) * 2001-09-03 2003-03-08 주식회사 유피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계조 의사윤곽을 저감하기 위한오차확산방법
KR100475721B1 (ko) * 2001-10-25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템포럴 효과를 이용한 오차확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549B1 (ko) * 2004-12-09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KR100738816B1 (ko) 2005-08-30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0730614B1 (ko) * 2005-10-17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차 확산을 이용한 화상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577B1 (ko) 2009-03-12
KR100701845B1 (ko) 2007-03-30
JP4172331B2 (ja) 2008-10-29
JP2004361885A (ja) 2004-12-24
KR20050111726A (ko) 2005-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6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366035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구동 펄스 제어기
US7710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video signal processing for matrix display apparatus
KR100888577B1 (ko) 표시장치의 오차확산처리방법
KR100825341B1 (ko) Pdp의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
US7990342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JP4325171B2 (ja) 画像表示装置
JP3785922B2 (ja) 表示装置の誤差拡散処理方法
JP3562707B2 (ja) 画像表示装置
JP3473454B2 (ja)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映像信号処理回路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US77103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rrecting dynamic false contours
US7443365B2 (en) Display unit and display method
JP4606735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3912079B2 (ja) 表示装置の誤差拡散処理回路及び方法
JP2003345288A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映像信号処理方法
JP3625192B2 (ja)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映像信号処理回路及び方法
JP3994401B2 (ja) 表示装置の誤差拡散処理方法
JP2001117528A (ja) 画像表示装置
JP3906867B2 (ja) 表示装置の誤差拡散処理方法及び誤差拡散処理装置
JP200610614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5055687A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052142B2 (ja) 画像表示装置
JPH0918534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45642A (ja) 誤差拡散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1092407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