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605A -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605A
KR20040102605A KR1020030034125A KR20030034125A KR20040102605A KR 20040102605 A KR20040102605 A KR 20040102605A KR 1020030034125 A KR1020030034125 A KR 1020030034125A KR 20030034125 A KR20030034125 A KR 20030034125A KR 20040102605 A KR20040102605 A KR 20040102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exhaust
cooking
intak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숙
Original Assignee
박용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숙 filed Critical 박용숙
Priority to KR102003003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605A/ko
Publication of KR2004010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6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사각면체로 몸체정면 상측에 설치된 전원스위치와 가스노브와 공기량조절팬노브와, 그 하부에는 내측으로 요부가 형성되어 레일에 의해 출입하는 재받이와, 그 하측에 내부를 개폐시키는 캐비넷도어와, 상단은 캐비넷도어 내부 양측단에 배설되고 하단은 배출팬이 장착되어 후방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가스공급관과 숯을 갖는 숯통과 석쇠가 안착된 조리구를 갖는 조리몸체와, 내측면에 흡기공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하부도어가 각각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하부도어에 의해 각각 개방되고 조리몸체의 배출관 상단과 연결되는 배기관을 갖으며 조리몸체의 상단 좌우측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설치되는 배기측벽과, 배기측벽사이의 조리몸체 후방선단에 고정된 투명전시창 및 배기측벽과 투명전시창 상단에 위치되어 저면 중심에 배기측벽의 배기관 상단과 연결되는 흡입관을 갖고 흡입관 저면 선단에는 필터보호망과 흡기필터를 갖으며 조리몸체에서 상부로 발산되는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갖는 흡기몸체를 구비하여 숯불에 의해 조리하는 중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동시에 흡수하여 필터링하면서 냄새와 연기를 제거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게 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게 되고, 별도의 인테리어 및 덕트 공사비용이 절감되며, 민원이 많이 발생되는 주택가와 아파트단지 상가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숯불구이기{charcoal fire roaster}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숯불에 의해 조리하는 중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동시에 흡수하여 필터링하면서 냄새와 연기를 제거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게 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게 되고, 별도의 인테리어 및 덕트 공사비용이 절감되며, 민원이 많이 발생되는 주택가와 아파트단지 상가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구이기는 숯불을 주열원으로 하여 석쇠위에서 고기를 굽는기계로, 석쇠에서 숯불에 의해 고기를 구울 때에는 기름이 타서 연기가 발생되고, 냄새가 사방으로 퍼지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먹기 어려워 숯불구이를 전문적으로 하기 전문식당에 가서 시식하게 된다.
이런 숯불구이 전문식당 등에서는 별도의 배기시설을 하여 석쇠에서 발생된 식당 내부의 연기와 냄새를 배기팬과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연기나 냄새에 시달리지 않고 숯불구이를 시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고기중 치킨이나 오리구이 등을 숯불에 구어서 판매하는 조그마한 치킨집이나 호프집의 경우에는 영세한 업체가 대부분인 관계로, 별도의 배기시설은 장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업체를 운영하기 때문에 업체 주위로는 숯불구이 냄새가 널리퍼져 주위업체로 부터 민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조리시 발생하는 불완전 연소 연기와 냄새로 인해 사람들이 밀집한 주택가나 아파트 단지의 상가에는 입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지 못해 대기중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숯불에 의해 조리하는 중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동시에 흡수하여 필터링하면서 냄새와 연기를 제거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게 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게 되고, 별도의 인테리어 및 덕트 공사비용이 절감되며, 민원이 많이 발생되는 주택가와 아파트단지 상가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숯불에 의해 고기를 굽는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사각면체로 몸체정면 상측에 설치된 전원스위치와 가스노브와 공기량조절팬노브와, 그 하부에는 내측으로 요부가 형성되어 레일에 의해 출입하는 재받이와, 그 하측에 내부를 개폐시키는 캐비넷도어와, 상단은 캐비넷도어 내부 양측단에 배설되고 하단은 배출팬이 장착되어 후방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몸체 상면에 재받이 측으로 개방되어 내측에 가스공급관과 숯을 갖는 숯통과 석쇠가 안착된 조리구를 갖는 조리몸체와;
내측면에 흡기공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하부도어가 각각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하부도어에 의해 각각 개방되고 조리몸체의 배출관 상단과 연결되는 배기관을 갖으며 조리몸체의 상단 좌우측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설치되는 배기측벽과;
배기측벽사이의 조리몸체 후방선단에 고정된 투명전시창과;
배기측벽과 투명전시창 상단에 위치되어 저면 중심에 배기측벽의 배기관 상단과 연결되는 흡입관을 갖고 흡입관 저면 선단에는 필터보호망과 흡기필터를 갖으며 조리몸체에서 상부로 발산되는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갖는 흡기몸체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배기측벽 상부도어 내측의 배기관 내부에는 불연소 및 열반사작용하는 촉매제로 형성된 비발열반사판이 격자로 형성되어 연소장치안착편에 의해 고정되고 비발열반사판 외면에는 500~750와트 이상의 고열을 발생하는 고열발생코일이 감겨져 불순물을 연소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배기측벽 하부도어 내측의 배기관 내부 상측에는 천연 세라믹필터가 장착되고 하측에는 참숯필터가 장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조리몸체의 조리구 저면에는 재받이가 안착되고 재받이 상측에는 브라켓에 의해 내측면에 공기공급관이 형성된 가스공급관이 안착되며 가스공급관 상측에는 다수개의 돌출구멍을 갖는 숯통이 바이브레터와 연결되어 안착되고 숯통의 외측하부에는 물통이 안착되며 물통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열팽창방지구멍을 갖는 석쇠가 석쇠받침 상단에 안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인 흡기팬의 연기흡입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로 흡기팬 설치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를 절취한 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 실시예인 공기공급장치와 가스버너의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K부분 확대도,
도 7c는 도 7a의 A-A선부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B-B선부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 실시예인 석쇠와 석쇠받침의 부분확대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 실시예인 석쇠와 석쇠받침을 정면에서 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인 배기측벽의 배기관 모습을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 실시예인 고열발생코일의 측면도,
도 10b는 도 10a의 평면도,
도 10c는 도 10a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인 흡기팬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에인 캐비넷도어 내부의 배기팬과 배출관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인 조리몸체의 요부절취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숯불구이기 10 : 조리몸체
11 : 배출팬 12 : 배출관
13 ; 캐비넷도어 14 : 공기량조절팬노브
15 : 가스노브 16 : 전원스위치
17 : 오염방지글래스 18 : 격벽
20 : 조리구 21 : 재받이
21a : 레일 22 : 가스공급관
22a : 버너구멍 22b : 가스방출구멍커버
22c : 가스버너 23 : 공기공급관
23a : 공기공급구멍 24 : 브라킷
25 : 숯통 26 : 돌출구멍
27 : 바이브레터 28 : 물통
29 : 석쇠 29a : 열팽창방지구멍
29b : 석쇠받침 29c : 그릴손잡이
30,30a : 배기측벽 31,31a : 배기관
32,34 : 상부도어 33,35 : 하부도어
36,36a : 흡기공 37,37a : 고열발생코일
38,38a : 비발열반사판 39,39a : 연소장치안착편
40 : 투명전시창 50 : 흡기몸체
51 : 흡기팬 52 : 흡기필터
53 : 필터보호망 54 : 흡입관
60 : 세라믹필터 62 : 참숯필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인 흡기팬의 연기흡입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로 흡기팬 설치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를 절취한 측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 실시예인 공기공급장치와 가스버너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K부분 확대도이며, 도 7c는 도 7a의 A-A선부단면도이고, 도 7d는 도 7a의 B-B선부단면도이며, 도 8a는 본 발명 실시예인 석쇠와 석쇠받침의 부분확대 평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 실시예인 석쇠와 석쇠받침을 정면에서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인 배기측벽의 배기관 모습을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10a는본 발명 실시예인 고열발생코일의 측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평면도이고, 도 10c는 도 10a의 측면도인며,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인 흡기팬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실시에인 캐비넷도어 내부의 배기팬과 배출관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인 조리몸체의 요부절취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숯불에 의해 닭고기 바베큐, 오리고리 바베큐 등의 고기를 맛나게 익히는 조리구를 갖고 배기측벽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갖는 조리몸체와, 조리몸체의 상부양측에 형성되어 내부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냄새와 연기를 태우고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배기측벽과, 조리몸체에서 요리하는 모습을 외부에 보여주는 투명전시창과, 조리몸체에서 발산되는 냄새와 불완전 연소된 연기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갖고 배기측벽으로 배출하는 흡기몸체로 구성된다.
조리몸체(10)는 사각면체 형상의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몸체정면 상측에 설치된 전원스위치(16)와 가스노브(15)와 공기량조절팬노브(14)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내측으로 요부가 형성되어 레일(21a)에 의해 출입하는 재받이(21)를 형성하며, 그 하측에 내부를 개폐시키는 캐비넷도어(13)를 형성하고, 상단은 캐비넷도어(13) 내부 양측단에 배설되고 하단은 배출팬(11)이 장착되어 후방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2)을 형성하며, 몸체 상면에 재받이(21) 측으로 개방되어 내측에 가스공급관(22)과 숯을 갖는 숯통(25)과 석쇠(29)가 안착된 조리구(20)로 구성된다. 조리몸체(10) 상단 전방측에는 오염방지글래스(17)가 고정되어 좌우측으로 오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조리몸체(10)의 조리구(20)는 하나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격벽(18)을 형성하여 2개로 구획시킴이 바람직하다.
조리몸체(10)의 조리구(20) 저면에는 재받이(21)가 안착되고, 재받이(21) 상측에는 브라켓(24)에 의해 내측면에 공기공급관(23)이 형성된 가스공급관(22)이 안착되며, 가스공급관(22) 상측에는 다수개의 돌출구멍(26)을 갖는 숯통(25)이 바이브레터(27)와 연결되어 안착되고, 숯통(25)의 외측하부에는 물통(28)이 안착되며, 물통(28)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열팽창방지구멍(29a)을 갖는 석쇠(29)가 석쇠받침(29b) 상단에 안착된다.
숯통(25)은 사각형의 틀로 구성하되 그 틀은 강철선 또는 파이프로 프레임을 형성하여 내부상면에는 숯불을 피웠을 때 공기구멍이 메워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상향 돌출구멍(26)을 다수개 형성한 판체를 결합하여서 형성한다.
특히, 일측에는 바이브레터(27)를 장착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숯불에 의해 생성되는 재를 자동으로 제거하게 된다.
가스버너(22c)는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 천공한 버너구멍(22a)을 가진 파이프를 사각형모양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한쪽으로부터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가스공급관(22)을 형성하고, 상부내측 사면에는 공기공급구멍(23a)이 일정한 간격으로 상향 천공된 공기공급관(23)을 결합 형성한다.
공기공급관(23)은 한쪽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공급관(23)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의 공기공급관(23)은 가스공급관(22)과 겹쳐지는 부분을 양분하여 아래위에서 합쳐지는 모양으로 형성하며, 또 상측 사면에는 상부의숯통(25)에서 떨어지는 재에 의하여 버너구멍(22a)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는 가스방출구멍커버(22b)를 형성한다.
재받이(21)는 서랍과 같이,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수시로 쌓이는 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재는 숯이 연소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받이(21)로 떨어지기도 하지만, 양호한 화력을 위해서는 바이브레터(27)를 작동시켜서 강제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숯불은 가스버너(22c)를 점화시켜서 자동으로 점화하며, 급속한 점화 및 많은 량의 바베큐를 급속하게 요구할 때(손님이 많을 때)에는 공기의 공급량과 가스버너(22c)의 가스량을 늘려서(터보작동효과) 숯불의 화력을 보다 키워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캐비넷도어(13) 내부 하부에 장착된 배출팬(11)은 양쪽의 배기측벽(30)(30a)의 배기관(31)(31a)과 연결되어 흡기몸체(50)의 흡기팬(51)에 의해 끌어 올려진 연기나 냄새가 양측의 배기관(31)(31a)을 통해 밑으로 배출되도록 끌어 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배기측벽(30)(30a)은 목재나 합성수지 및 금속재질로, 내측면에 흡기공(36)(36a)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하부도어(32,33)(34,35)가 각각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하부도어(32,33)(34,35)에 의해 각각 개방되고 조리몸체(10)의 배출관(12) 상단과 연결되는 배기관(31)(31a)을 갖으며, 조리몸체의 상단 좌우측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설치된다.
배기측벽(30)(30a) 상부도어(32)(34) 내측의 배기관(31)(31a) 내부에는 불연소 및 열반사작용하는 촉매제로 형성된 비발열반사판(38)(38a)이 격자로 형성되어 연소장치안착편(39)(39a)에 의해 고정되고, 비발열반사판(38)(38a) 외면에는 500~750와트 이상의 고열을 발생하는 고열발생코일(37)(37a)이 감겨져 불순물을 연소시킨다.
배기측벽(30)(30a) 하부도어(33)(35) 내측의 배기관(31)(31a) 내부 상측에는 천연 세라믹필터(60)가 장착되고 하측에는 참숯필터(62)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들은 모두 꺼내서 청소할 수 있으며 교체할 수도 있다.
투명전시창(40)은 유리 또는 열에 강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배기측벽(30)(30a)사이의 조리몸체(10) 후방선단에 고정된다. 투명전시창(40)은 배기측벽(30)(30a)과 함께 조리몸체(10)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위로 상승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조리하는 모습을 지나가는 사람들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전시효과와, 바베큐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육즙(기름 및 수분 등)이 가게 내부의 벽이나 창문이 튀어 번지는 오염 예방 기능을 제공한다.
흡기몸체(50)는 목재나 합성수지 및 금속재질로, 배기측벽(30)(30a)과 투명전시창(40) 상단에 위치되어 저면 중심에 배기측벽(30)(30a)의 배기관(31)(31a) 상단과 연결되는 흡입관(54)이 형성되고, 흡입관(54) 저면 선단에는 필터보호망(53)과 흡기필터(52)가 형성되며, 조리몸체(10)에서 상부로 발산되는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는 흡기팬(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리몸체(10) 조리구(20)의 숯통(25)에 숯을 충진시키고, 물통(28)에물을 충진시킨 후, 전원스위치(16)를 " 온 " 시키고 가스노브(15)와 공기량조절팬노브(14)를 적당량으로 조절하여 화력을 유지한다.
가스노브(15)로 자동점화되어 발화된 버너구멍(22a)의 불꽃에 의해 숯통(25)의 숯불이 어느정도 달구어져 뜨거워지면 조리구(20) 상단의 석쇠(29)에 바베큐용 치킨을 올려 놓고 서서히 뒤집으면서 요리한다.
이때, 숯불은 가스버너(22c)를 점화시켜서 자동으로 점화하며, 손님이 많아서 급속한 점화 및 많은 량의 바베큐를 급속하게 요리하여야 항 경우에는 공기량조절팬노브(14)를 조절하여 가스버너(22c)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과 가스버너(22c)의 방출량을 늘림으로써 실제로 숯불에서 발산되는 화력을 보다 최대한으로 크게 키워서 요리를 센불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스버너(22c)의 버너구멍(22a)을 통해 방출되는 불꽃외에도, 공기공급구멍(23a)을 통해 버너구멍(22a)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량을 공기량조절팬노브(14)로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가스노브(15)와 공기량조절팬노브(14)로 보다 섬세하게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리중 숯불의 화력이 너무 세게 되면, 석쇠(29)의 양측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그릴손잡이(29c)를 잡고 일측단을 격벽(18)의 상단에 올려서 기울게 놓음으로써 숯불과 조리물과의 간격을 멀리하여 조리물이 센불에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조리중 일정시간마다 조리구(20) 내부에서 바이브레터(27)가 숯통(25)을 흔들어 재를 낙하시키고 낙하되는 재는 재받이(21) 내부로 유입되어 담긴다. 사용자는 일정시간 후 조리몸체(10) 정면에서 재받이(21)를 레일(21a)의 안내로 빼내면 된다.
바베큐용 치킨을 조리하면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는 흡기몸체(50)의 흡기팬(51)에 의해 투명전시창(40)과 배기측벽(30)(30a)을 타고 내부로 흡입된다. 또한, 양측의 배기측벽(30)(30a) 내측면에 형성된 흡기공(36)(36a)을 통해서 배기측벽(30)(30a)의 배기관(31)(31a)으로 흡입된다.
흡기팬(51)에 의해 흡기몸체(50) 내부로 흡입되는 냄새와 연기는 흡기필터(52)를 통과하며 일부 정화되고, 일부 정화된 냄새와 연기는 흡기팬(51)에 의해 흡입관(54)을 통해 배기측벽(30)(30a)의 배기관(31)(31a)으로 유입된다.
배기측벽(30)(30a)의 배기관(31)(31a) 내부로 유입된 냄새와 연기는 외측에 상부도어(32)(34)가 위치된 곳에 연소장치안착편(39)(39a)에 의해 각각 고정된 고열발생코일(37)(37a)과 비발열반사판(38)(38a)에 의한 고열의 열반사로 공기에 함유된 불순물들을 모두 태워서 없애게 된다. 이곳에서 거의 대부분의 냄새나 연기는 정화된다.
고열발생코일(37)(37a)과 비발열반사판(38)(38a)은 상부도어(32)(34)를 통해 배기측벽(30)(30a)의 배기관(31)(31a) 내부에 결합 또는 분리된다.
배기측벽(30)(30a)의 상부도어(32)(34)측 배기관(31)(31a)을 통과한 공기는 상부도어(32)(34) 하부에 위치된 하부도어(33)(35)측 배기관(31)(31a)에서 먼저 세라믹필터(60)를 통과한 후, 참숯필터(62)를 바로 통과하면서 바베큐냄새와 연기는 모두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조리몸체(10) 내부의 배출팬(11)에 의해 배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세라믹필터(60)와 참숯필터(62)는 하부도어(33)(35)를 통하여 배기측벽(30)(30a)의 배기관(31)(31a) 내부에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숯불에 의해 조리하는 중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동시에 흡수하여 필터링하면서 냄새와 연기를 제거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게 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게 되고, 별도의 인테리어 및 덕트 공사비용이 절감되며, 민원이 많이 발생되는 주택가와 아파트단지 상가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숯불에 의해 고기를 굽는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사각면체로 몸체정면 상측에 설치된 전원스위치(16)와 가스노브(15)와 공기량조절팬노브(14)와, 그 하부에는 내측으로 요부가 형성되어 레일(21a)에 의해 출입하는 재받이(21)와, 그 하측에 내부를 개폐시키는 캐비넷도어(13)와, 상단은 캐비넷도어(13) 내부 양측단에 배설되고 하단은 배출팬(11)이 장착되어 후방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2)과 내측에 가스공급관(22)과 숯을 갖는 숯통(25)과 석쇠(29)가 안착된 조리구(20)를 갖는 조리몸체(10)와;
    내측면에 흡기공(36)(36a)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하부도어(32,33)(34,35)가 각각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하부도어(32,33)(34,35)에 의해 각각 개방되고 조리몸체(10)의 배출관(12) 상단과 연결되는 배기관(31)(31a)을 갖으며 조리몸체(10)의 상단 좌우측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설치되는 배기측벽(30)(30a)과;
    배기측벽(30)(30a)사이의 조리몸체(10) 후방선단에 고정된 투명전시창(40)과;
    배기측벽(30)(30a)과 투명전시창(40) 상단에 위치되어 저면 중심에 배기측벽(30)(30a)의 배기관(31)(31a) 상단과 연결되는 흡입관(54)을 갖고 흡입관(54) 저면 선단에는 필터보호망(53)과 흡기필터(52)를 갖으며 조리몸체(10)에서 상부로 발산되는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는 흡기팬(51)을 갖는 흡기몸체(5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측벽(30)(30a) 상부도어(32)(34) 내측의 배기관(31)(31a) 내부에는 불연소 및 열반사작용하는 촉매제로 형성된 비발열반사판(38)(38a)이 격자로 형성되어 연소장치안착편(39)(39a)에 의해 고정되고 비발열반사판(38)(38a) 외면에는 500~750와트 이상의 고열을 발생하는 고열발생코일(37)(37a)이 감겨져 불순물을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측벽(30)(30a) 하부도어(33)(35) 내측의 배기관(31)(31a) 내부 상측에는 천연 세라믹필터(60)가 장착되고 하측에는 참숯필터(62)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몸체(10)의 조리구(20) 저면에는 재받이(21)가 안착되고 재받이(21) 상측에는 브라켓(24)에 의해 내측면에 공기공급관(23)이 형성된 가스공급관(22)이 안착되며 가스공급관(22) 상측에는 다수개의 돌출구멍(26)을 갖는숯통(25)이 바이브레터(27)와 연결되어 안착되고 숯통(25)의 외측하부에는 물통(28)이 안착되며 물통(28)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열팽창방지구멍(29a)을 갖는 석쇠(29)가 석쇠받침(29b)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KR1020030034125A 2003-05-28 2003-05-28 숯불구이기 KR20040102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125A KR20040102605A (ko) 2003-05-28 2003-05-28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125A KR20040102605A (ko) 2003-05-28 2003-05-28 숯불구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653U Division KR200326405Y1 (ko) 2003-06-05 2003-06-05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605A true KR20040102605A (ko) 2004-12-08

Family

ID=3737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125A KR20040102605A (ko) 2003-05-28 2003-05-28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6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675B1 (ko) * 2005-08-22 2006-08-09 정원진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튀김기.
CN113208460A (zh) * 2018-06-06 2021-08-06 来福太制品有限公司 具有呈堆叠布置的热源的烹饪设备
KR102521256B1 (ko) * 2022-10-07 2023-04-14 주식회사 한빛이엔에스 초벌 구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675B1 (ko) * 2005-08-22 2006-08-09 정원진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튀김기.
CN113208460A (zh) * 2018-06-06 2021-08-06 来福太制品有限公司 具有呈堆叠布置的热源的烹饪设备
KR102521256B1 (ko) * 2022-10-07 2023-04-14 주식회사 한빛이엔에스 초벌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9440C2 (ru) Печь для жарения пищи
US4884554A (en) Spit roaster
KR20080024948A (ko) 요리용 석쇠 조립체
KR100870582B1 (ko)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KR101425896B1 (ko) 조립체로 된 훈연 오븐
KR100794233B1 (ko) 직화구이기
KR200326405Y1 (ko) 숯불구이기
KR200169830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20040102605A (ko) 숯불구이기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JPH08173327A (ja) 無煙ロースター
KR200264439Y1 (ko) 테이블용 구이기
JP2010233805A (ja) 電気着火式炭火ロースターとその使用法
KR200257557Y1 (ko) 숯불 숙성기
KR200324111Y1 (ko) 숯불 구이기
KR20050041664A (ko) 고기 구이장치
KR100207442B1 (ko) 가스구이 화덕용 필터장치
JP2004232932A (ja) 薪焚き調理ストーブ
KR200238367Y1 (ko) 장어구이용 매연제거장치
JPH0740344Y2 (ja) ロースター
KR200186583Y1 (ko) 열을 다중으로 활용한 쾌속바베큐기계 겸용 다기능조리기
CN217659390U (zh) 一种碳烤炉
KR200348574Y1 (ko) 휴대용 가스렌지
JPH0543729Y2 (ko)
KR200315632Y1 (ko) 구이용 화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