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436A - 세척장치 연수기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436A
KR20040101436A KR10-2004-7016202A KR20047016202A KR20040101436A KR 20040101436 A KR20040101436 A KR 20040101436A KR 20047016202 A KR20047016202 A KR 20047016202A KR 20040101436 A KR20040101436 A KR 20040101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ght
brine
container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운셀스테판로버트
블레어다니엘워위크
Original Assignee
피셔 앤 페이켈 어플라이언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92450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10143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피셔 앤 페이켈 어플라이언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피셔 앤 페이켈 어플라이언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10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4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29Water softening arrangements
    • A47L15/42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alt container or the ion exchang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29Water softe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75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water sof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80Automatic regeneration
    • B01J49/85Controlling or regulat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특히 식기세척기에 사용하기 위한 연수기를 개시한다. 연수기는 1차 공급 밸브와 세척 챔버 사이의 식기세척기 급수장치(238)내에 배치된다. 연수기는 이온 교환 수지(290)를 구비하는 수지 용기(207)를 포함하고 있다. 식기세척기에 공급되는 물은 수지 용기(207)를 통과한다. 염수를 재생시키는 것은 염수 용기(203)내에서 이루어진다. 염수 용기(203)에는 고체상의 염류(270)와 에어 브레이크(203)에서의 주 공급관으로부터 용기내로 전환된 물이 수동으로 공급된다. 재생 사이클에서, 염수는 펌프(206)에 의해 염수 용기(203)로부터 수지 용기(207)로 공급된다. 펌프(206)의 듀티 사이클은 수지(290)의 재생의 정도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세척장치 연수기{WASHING APPLIANCE WATER SOFTENER}
연수가 의류, 식기 또는 기타 물품을 세척함에 있어 경수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경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척장치 또는 식기세척기에 결합된 작은 연수기가 장치내로 유입되는 물을 연화시키는 데 사용되어져 왔다.
연수기에서는, 수지 용기를 포함할 수 있는 탈석회기(decalcifier)가 물 속에 함유된 칼슘 이온(Ca2+)과 마그네슘 이온(Mg2+) 양자 모두를 수지 용기내에 위치된 적당한 수지에 함유된 나트륨 이온(Na+)과 교환시킨다. 이 수지는 일반적으로 불활성 폴리머 구조로 되어 있는 아주 작은 비드이다.
수지 또는 기타 유사한 물질은 일정 사용 시간 후에 소진된다. 물 속에 함유된 Ca2+과 Mg2+과 교환되는 수지 또는 기타 유사한 물질의 Na+가 소모되면; 그 결과로서, 물은 계속해서 수지 용기를 관류하겠지만 물의 경도는 감소되지 않는다. 이 단점은 수지 재생 사이클을 통해 방지된다. 염수 용액(NaCl)이 수지를 재생시킬 목적으로 도입된다.
상이한 레벨의 물경도를 조절하기 위해 Milocco 등에 의한 EP219704와 Bongini에 의한 EP433676에서는 연수화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수지 용기를 통한 물의 평균 경로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그와 같은 장치는 사용하기가 쉽지 않고 제작하기가 어렵다.
염류를 보충할 시기에 관한 어려움이 Jerg 등에 의한 EP0351564에서 설명되고 있으며, EP0351564에서는 염류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는 기계식 플로우트를 사용하고 있다. 기계식 플로우트 장치는 고착되어 잘못된 지시를 줄 수 있어, 그 결과 염류가 부족하여 세척장치로 유입되는 물이 결과적으로 충분히 연성이 아닐 때에 염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지시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연수기는 물의 연성을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소정의 범위를 성취하기 위해 수지 용기내의 수지는 나트륨 이온(Na+)으로 충전되어 유지될 것을 필요로 한다. Zucholl에 의한 EP900765에서는 수지를 재생해야할 필요성을 검출하기 위한 전기 전도도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Carli에 의한 EP919178과 역시 Carli에 의한 EP1048776에서는 수지의 소진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그와 같은 센서는 수지의 물리적 체적, 스위치상에 수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수지 용기내에 수용된 요소의 이동을 이용한다. 그와 같은 장치는 연수기를 제조함에 있어 복잡함을 더한다.
수지 용기를 통해 분출되는 염수의 체적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물의 연성을 제어할 수 있다. Fontana에 의한 EP0367062; Milocco에 의한 EP545127 및 Carli에의한 EP0860140에서는 수지 용기를 통해 분출되는 염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물 챔버들을 사용하고 있다. 다수의 물 챔버를 사용하는 것은 그와 같은 연수기를 제조하고 그와 같은 장치를 조절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더한다.
본 발명은 자동 세척장치용 연수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것만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수기를 주기적으로 재생시키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바람직한 형태의 식기세척기의 종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에 채용된 배관 및 배선 시스템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수기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
도 4A는 염수 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도관내에 구멍을 구비한 본 발명의연수기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도,
도 5는 염수 탱크내의 수준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트 밸브를 구비한 본 발명의 연수기의 제 3 실시예의 개략도,
도 6은 염수 탱크내의 수준을 제어하기 위해 또다른 플로우트 밸브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연수기의 제 4 실시예의 개략도,
도 7은 염류를 보충해야할 필요성을 지시하기 위한 라이트 및 광파이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연수기의 염류 검출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연수기의 염류 보충장치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세제 분배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상기 단점들을 극복하고 대중에게 유용성을 제공하는 특정 장치를 위한 연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1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사용에 있어 급수장치에 연결되고 세척 챔버, 연수기, 및 프로그램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있는 세척장치로서, 상기 연수기가:
물을 연화시키는 데 적합한 수지를 수용하고,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물을 받아들이고, 물을 상기 세척 챔버로 공급하는 수지 용기;
염류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 물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진 염수 용기;
상기 프로그램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로서, 상기 염수 용기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염수를 받아들이고, 염수를 펌핑하여 상기 수지 용기를 통과시켜, 급수의 물경도에 따라 선택되는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수지를 재생시키도록 하는 상기 펌프;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의 세척장치로 이루어진다.
제 2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물을 연화시키는 데 적합한 수지를 수용하고,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물을 받아들이는 수지 용기;
염류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 물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진 염수 용기;
상기 프로그램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로서, 상기 염수 용기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염수를 받아들이고, 염수를 펌핑하여 상기 수지 용기를 통과시켜, 급수의 물경도에 따라 선택되는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수지를 재생시키도록 하는 상기 펌프; 및
연화된 물의 공급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연수기로 이루어진다.
제 3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사용에 있어 주방가구내의 또는 프리스탠딩 캐비넷내의 캐비티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장치로서, 상기 세척장치는:
접근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당겨내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캐비티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세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세척 시스템이:
세척될 물품을 수용하고 내부에서 물이 순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개방형 상부 챔버;
상기 개방형 상부 챔버와 결합되는 연수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개방형 상부 챔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상기 챔버로부터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캐비티내로의 세척 챔버의 후퇴시에 상기 개방형 상부 챔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세척 챔버 덮개;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의 세척장치로 이루어진다.
제 4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연수기의 염수 용기용 염류 부재 지시기로서, 상기 염류 부재 지시기가:
상기 염수 용기의 바닥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광원 및 광센서,
광원과 광센서 사이의 광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광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값으로서 수신하는 제어기, 및
상기 광원과 광센서 사이의 광로가 광전도가능할 때 상기 광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지시기 라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염류 부재 지시기로 이루어진다.
제 5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연수기의 염수 용기용 염류 부재 검출 지시기로서, 상기 지시기가:
상기 염수 용기와 가시점 사이에 뻗어있는 광파이프; 및
상기 광파이프의 바닥부와 정렬되어 상기 염수 용기의 바닥부에 배치된 라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라이트와 광파이프의 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염류가 없어졌을 때 상기 라이트로부터의 광선이 상기 광파이프를 통과하게 되는 염류 부재 검출 지시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은 이것만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식기세척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모든 세척요소가 끼워맞춤된 세척 챔버(101) 및 전방 패널(102)이 캐비티(103)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세척 챔버(101)는 개방된 상부(104)를 가지고 있고, 식기의 장입 및 취출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화살표(105) 방향으로 캐비티(103)로부터 당겨내어지고, 세척시에는 캐비티(103)내로 후퇴된다. 세척 및 배수 시스템이 모터, 펌프 및 급수회로를 포함하여 세척 챔버 내부에 끼워맞춤된다. 가요성 연결 배선 및 배관(107)이 세척 챔버(101)를 캐비티(103) 내부의 해당 단자들에 연결시킨다. 이것은 도 2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덮개(106)가 식기 세척시에 챔버를 밀봉시킨다. 연수기는 식기세척기의 중공형 벽(108)내에 배치된다.
식기세척기의 작동은 공지된 형태의 프로그램된 제어기(110)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은 특히 식기세척기내에서 사용되는 연수기이다. 연수기는 1차 공급 밸브와 식기세척기 챔버 사이의 식기세척기 급수장치내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수기는 이온 교환 수지를 담는 수지 용기(207)를 포함하고 있다. 식기세척기 챔버(101)에 공급되는 물은 선택적으로 수지 용기(207)를 통과한다. 염수를 재생시키는 것은 염수 용기(203)내에서 이루어진다. 염수 용기(203)에는 고체상의 염류와 에어 브레이크(201)에 있는 주 공급관으로부터 전환된 물이 수동으로 공급된다. 재생 사이클에서 염수는 펌프(206)에 의해 염수 용기(203)로부터 수지 용기(207)로 공급된다. 펌프(206)의 작동 사이클은 수지의 재생의 정도를 결정한다.
정규의 세척 사이클에서 물은 주 유동 제어 밸브로부터 유입구(238)를 통해 공급 도관(214)으로 유입된다. 공급 도관(214)은 에어 브레이크(201)로 이어져있다. 하나의 에어 브레이크(201)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물 흐름은 에어 브레이크(211)를 통하여 유동 제어 밸브(211)로 흐른다. 유동 제어 밸브(211)는 장치 제어기(110)에 의해 제어되어 세척 챔버(101)로 유입되는 물이 연화되었는 지 또는 수지 용기(207)를 우회하여 세척 챔버(101)내로 유입되기 전에 연화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한다.
물이 연화되어져야 할 때, 유동 제어 밸브(211)는 위치(225)에 있고, 물은 도관(216)을 경유하여 유동 제어 밸브(211)를 통과하고 도관(217)을 경유하여 수지 용기(207)로 유동한다. 물은 수지 용기(207)내의 수지(209)에 의해 연화되어 도관(219) 및 배출구(218)를 경유하여 식기 세척 챔버(101)내로 유입된다. 물이 연화되어질 필요가 없을 때, 유동 제어 밸브(211)는 위치(226)에 있고, 물은 도관(219) 및 배출구(218)를 경유하여 세척 챔버(101)로 유동한다. 세척 챔버(101)로 유동하는 물은 도 10에 도시된 세제 분배기(1001)를 통과할 수 있다. 세제 분배기 유입구(1002)는 배출구(218)로부터 물을 받아들여, 물을 세제 분배기 배출구(1003)를 경유하여 세척 챔버(101)로 공급한다. 세제 분배기(1001)는 장치의 중공형 수직벽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그램된 제어기(110)도 세척 챔버(101)로 공급되는 물의 연성도 레벨을 변화시키기 위해 급수시에 유동 제어 밸브(211)를 전환시킬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211)는 세척 챔버(107)로 공급되는 물의 소정의 연성도 레벨을 성취하기 위해 연화되지 않은 물과 연화된 물을 혼합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세척 프로그램내의 몇 개의 사이클은 예컨대 초기 린스와 같이 연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제어기(210)는 각각의 사이클을 위한 소정의 물 연성도를 성취하도록 유동 제어 밸브(211)를 전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의 제어밸브
염수를 사용하는 수지 재생 시스템을 이제 설명한다. 염수는 물과 염류를 혼합함으로써 염수 용기(203)내에서 생성된다.
염수 용기(203)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급수회로내의 에어 브레이크(201)는 통과하는 일정 비율의 물을 유출시키는 배출구 오리피스(202)를 가지고 있다. 오리피스(202)를 통한 누출수는 도관(222)을 경유하여 염수 용기(203)내로 유동한다. 배출구(202)로부터의 이 누출수를 이용하여 염수 용기(203)에 물이 공급된다. 이것은 염수 용기(203)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능동 부품을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염수 용기(203)내의 과잉의 유체는 둑부(204, 230)를 넘쳐 에어 브리더(231)를 경유하여 세척 챔버(101)내로 유입되거나 드러나지 않은 도관(도시 안됨)에 의해 식기세척기 배수구 또는 배수조로 유동한다. 에어 브레이크(211)로부터의 과잉의 누출수도 에어 브리더(231)를 경유하여 수로를 통해 버려지거나 드러나지 않은 도관(도시 안됨)에 의해 식기세척기 배수구 또는 배수조로 유동한다.
도 4A에 도시된 변경예에서는, 도관(215)내의 작은 구멍(291)이 작은 비율의 물의 유출을 제공한다. 이 구멍(291)은 보다 크게 만들어질 수 있어 제작이 보다 쉽도록 고속 지점(단면 감소 지점)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291)으로부터의 과잉의 누출수는 둑부(230)를 넘쳐 에어 브리더(231)를 경유하여 수로를 통해 버려지거나 드러나지 않은 도관(도시 안됨)에 의해 식기세척기 배수구 또는 배수조로 유동한다. 설명하는 임의의 변경예에서, 물은 에어 브레이크(201)로부터의 누출을 통해, 도관(215)내의 작은 구멍으로부터 누출을 통해 또는 에어 브레이크(201)로부터의 누출과 도관(215)내의 작은 구멍으로부터의 누출의 조합된 구성의 누출을 이용하여 염수 용기(203)에 공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트 밸브(250)가 염수 용기(203)내의 유체 레벨을 제어한다. 도관(222)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레벨(232)에 있거나 그 위에 있을 때에는 플로우트 밸브(250)에 의해 염수 용기(203)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에어 브레이크(201)로부터의 과잉의 누출수는 둑부(230)를 넘쳐 에어 브리더(231)를 경유하여 수로를 통해 버려지거나 드러나지 않은 도관(도시 안됨)에 의해 식기세척기 배수구 또는 배수조로 유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다른 변경예에 있어서, 물은 에어 브레이크(201)를 통해 도관(251)을 경유하여 염수 용기(203)내로 유동한다. 수지 용기의 유체 레벨이 레벨(232)에 있거나 그 위에 있을 때에는 플로우트 밸브(250)가 물이 염수 용기(203)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염류 충전 오리피스(208)가 염수 용기(203)내에 염류를 수동으로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염류 충전 오리피스(208)는 재충전을 위해 개방되지 않을 때에는 뚜껑 또는 마개(224)로 막혀진다. 염수 용기(203)내의 유체는 충전 오리피스(208) 아래의 레벨(232)에 있다.
도 9에 도시된 적합한 장치(901)는 염류를 보충하는 데 사용된다. 이 장치는, 염류 알갱이가 염수 용기(203)내로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형상은 염수 용기(203)의 염류 충전 오리피스(208)가 세척장치의 중공형 수직벽(108)내에 있는 이유 때문에도 필요하게 된다.
염수 용기(203)가 염류로 충전될 때, 염수 용기내의 물의 레벨은 과잉의 유체를 둑부(204, 230)를 흘러 넘치게 함으로써 유지된다. 이는 염류를 재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901)가 젖지도 않고 염류가 씻겨져 나가 낭비되지도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둑부(204, 230)를 흘러 넘치는 임의의 유체는 염수 용기(203)의 상부로부터 유출되고 낮은 함량의 용해 염류를 가지게 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수 용기(203)내의 유체 레벨은 염류가 더해질 때 상승하게 되지만, 플로우트 밸브(250)의 사용으로 인해, 레벨이 플로우트 밸브 레벨 아래에 있을 때까지는 어떠한 유체도 더해지지 않는다. 유체 레벨(232)이 염류 레벨(270) 아래에 있기 때문에, 염류가 더해질 때 유체 레벨이 상승하지만 흘러 넘칠 만큼 충분히 상승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기공(234, 235)은 도관(236)에 의한 공기의 제거를 가능하게 해준다.
염수 용기(203)내에 존재하는 고체상의 염류는 염류 센서(209)에 의해 감지된다. 센서(209)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염류 센서(209)는 염수 용기(203)의 바닥부에 위치된 광트랜지스터(213)와 같은 광센서 및 라이트(212)를 포함하고 있다. 고체상의 염류는 빛을 굴절시켜 라이트(212)로부터 광센서(213)에 받아들여지는 빛의 세기를 고체상의 염류의 존재가 고체상의 염류의 부재와 구별될 수 있을 정도로 감소시키기 때문에, 고체상의 염류의 존재가 검출될 수 있다. 광센서(213)의 출력 신호는 제어기(110)의 아날로그 입력부에 공급된다.
염류 부재 지시기(210)가 염류 부재 지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발광 다이오드가 지시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지시기는 프로그래된 제어기에 의해 전류가 공급된다. 염류 부재 지시기(210)가 켜지는 타이밍은 염류 센서(209)가 고체상의 염류의 부재를 첫번째로 검출하는 때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의 지연은 염수 용기(203)내의 용해된 염류의 존재를 고려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염류 부재 지시기는 도시되지 않은 염류 센서 제어 회로에 의해 직접적으로 켜질 수 있다.
염류 지시기(210)는 염수 용기(203)의 마개(224)내에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라이트(290)는 광파이프(292)를 통해 빛을 비추고 지시기(210)로서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또다른 변경예에서는, 염류 센서(209)는 라이트(260)와 광파이프(262)로 교체되고, 빛은 고체상의 염류가 없을 때에만 광파이프(262)를 통해 빛을 비춘다. 고체상의 염류가 존재할 때에는, 빛은 굴절되어 광파이프를 통해 빛을 비추지 않는다. 갭(261)이 라이트(260)와 광파이프(262) 사이에 존재하고, 고체상의 염류가 존재할 때 염류는 빛을 굴절시킨다.
염수 용기(203)내의 배출구(205)가 염수를 도관(221)을 경유하여 펌프(206)로 공급한다. 염수 용기(203)로부터 유동하는 염수는 펌핑되어 수지 용기(207)를 통과하여 물의 경도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되는 수지(290)를 보충한다. 메시(240)는 고체상의 염류가 수지 용기(207)를 통해 펌핑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지 용기(207)를 통해 펌핑된 과잉의 유체는 도관(219) 및 배출구(218)를 경유하여 식기세척기 배수구로 배수된다. 펌프(206)는 프로그램가능한 제어기(110)에 의해 직접 제어되고, 수지 용기(207)로 전환되는 유체의 양은 펌프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된다. 펌핑 사이클은 제어기(110)에 부착된 키패드(111)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수지 용기(207)를 통해 펌핑되는 염수의 양은 수지(290)의 전체 보충량에 영향을 미친다. 수지(290)가 어떻게 보충되는지가 물을 연화시키는 수지(29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공급되는 수지(290)가 많으면 많을수록, 도관(217)을 경유하여 수지 용기(207)로 유입되는 물과 도관(219)과 배출구(218)를 경유하여 수지 용기(207)를 빠져나가는 물 사이의 차이도 커질 것이다. 소정의 물 연성도가 염수의 양을 조절하여 수지(290)를 보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고, 이는 염수 펌프(206)의듀티 사이클을 변경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수지(290) 보충 사이클에서, 유동 제어 밸브(211)는 위치(226)에 있고, 염수는 염수 펌프(206)에 의해 염수 용기(203)로부터 수지 용기(207)내로 펌핑된다. 염수가 펌핑되어 유입될 때 수지 용기(207)를 빠져나가는 물은 도관(219)과 배출구(219)를 통과하여 식기세척기 챔버(101)내로 유입된 다음 배수될 것이다.
하나의 변경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동 제어 밸브(211)는 위치(225)에 있게 되고, 수지 용기(207)를 빠져나가는 물의 일정 퍼센티지는 도관(215)의 누출부(202) 및 도관(222)을 통과하여 염류 용기(203)내로 흐르게 된다. 일정 퍼센티지는 여전히 세척 챔버(101)내로 흘러 들어간 다음 배수된다. 이는 물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염수 펌프(206)를 사용하면 수지 용기(207)내에서의 수지(290)의 재생은 수지 용기(207)가 세척 챔버(101)로 공급될 물을 연화시키고 있을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 명세서에 언급된 부품, 요소 및 특징들 개개로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부품, 요소 및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 그리고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등가의 구성은 본원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42)

  1. 사용에 있어 급수장치에 연결되고 세척 챔버, 연수기, 및 프로그램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있는 세척장치로서, 상기 연수기가:
    물을 연화시키는 데 적합한 수지를 수용하고,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물을 받아들이고, 물을 상기 세척 챔버로 공급하는 수지 용기;
    염류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 물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진 염수 용기; 및
    상기 프로그램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로서, 상기 염수 용기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염수를 받아들이고, 염수를 펌핑하여 상기 수지 용기를 통과시켜, 급수의 물경도에 따라 선택되는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수지를 재생시키도록 하는 상기 펌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로의 공급을 위한 하나의 배출구 및 상기 세척 챔버로의 공급을 위한 제 2 배출구를 가진 상기 급수장치에 연결된 유동 안내 밸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동 안내 밸브는 상기 세척 챔버에 급수와 연수의 혼합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2개의 배출구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유동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세척 챔버내에서 물의 소정의 연성도를 성취하기 위해 상기 혼합수의 물 성분비를 결정하도록 상기 유동 안내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밸브는 2방향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제 분배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수기에 의해 상기 세척 챔버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세제 분배기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는 상기 세척장치의 중공형 벽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 용기는 상기 염수 용기내의 최대 물 레벨의 유지를 위한 물넘침 둑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넘침 둑부 방수로가 세척장치 배수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넘침 둑부 배수구가 세척장치 배수조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 용기내의 상기 물 레벨은 플로우트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는 염류의 부재를 지시하기 위한 사용자 지시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기는 라이트 및 광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프는 상기 염수 용기와 가시점 사이에 뻗어있고, 상기 라이트는 상기 광파이프의 바닥부와 정렬되어 상기 염수 용기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라이트와 광파이프의 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염류가 없어졌을 때 상기 라이트로부터의 광선이 상기 광파이프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기는 상기 염수 용기내에 배치된 라이트와 광센서를 사용하여 염수가 없다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전류가 공급되는 지시기 라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기 라이트의 전류 공급은 상기 프로그램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광센서는 상기 염수 용기의 바닥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광원과 광센서 사이의 광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어기가 상기 광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값으로서 수신하고, 상기 지시기 라이트는 상기 광원과 광센서 사이의 광로가 광전도가능할 때 상기 광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고체상의 염류의 부재가 검출된 후에 일정 지연 기간동안 상기 지시기 라이트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사용에 있어 주방가구내의 또는 프리스탠딩 캐비넷내의 캐비티 내부에 수용되고,
    접근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당겨내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캐비티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세척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세척 시스템이:
    세척될 물품을 수용하고 내부에서 물이 순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개방형 상부 챔버;
    상기 챔버로부터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캐비티내로의 세척 챔버의 후퇴시에 상기 개방형 상부 챔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세척 챔버 덮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식기세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0. 물을 연화시키는 데 적합한 수지를 수용하고,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물을 받아들이는 수지 용기;
    염류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 물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가진 염수 용기;
    상기 프로그램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로서, 상기 염수 용기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염수를 받아들이고, 염수를 펌핑하여 상기 수지 용기를 통과시켜, 급수의 물경도에 따라 선택되는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수지를 재생시키도록 하는 상기 펌프; 및
    연화된 물의 공급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로의 공급을 위한 하나의 배출구 및 연수 공급을 위한 제 2 배출구를 가진 상기 급수장치에 연결된 유동 안내 밸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동 안내 밸브는 급수와 연수의 혼합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2개의 배출구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유동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세척 챔버내에서 물의 소정의 연성도를 성취하기 위해 상기 혼합수의 물 성분비를 결정하도록 상기 유동 안내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밸브는 2방향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 용기는 상기 염수 용기내의 최대 물 레벨의 유지를 위한 물넘침 둑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 용기로의 상기 급수는 플로우트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 용기는 염류의 부재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기는 라이트 및 광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프는 상기 염수 용기와 가시점 사이에 뻗어있고, 상기 라이트는 상기 광파이프의 바닥부와 정렬되어 상기 염수 용기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라이트와 광파이프의 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염류가 없어졌을 때 상기 라이트로부터의 광선이 상기 광파이프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기는 상기 염수 용기내에 배치된 라이트와 광센서를 사용하여 염수가 없다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전류가 공급되는 지시기 라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기 라이트의 전류 공급은 상기 프로그램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및 광센서는 상기 염수 용기의 바닥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광원과 광센서 사이의 광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어기가 상기 광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값으로서 수신하고, 상기 지시기 라이트는 상기 광원과 광센서 사이의 광로가 광전도가능할 때 상기 광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제어기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고체상의 염류의 부재가 검출된 후에 일정 지연 기간동안 상기 지시기 라이트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3. 사용에 있어 주방가구내의 또는 프리스탠딩 캐비넷내의 캐비티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장치로서, 상기 세척장치는:
    접근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당겨내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캐비티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세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세척 시스템이:
    세척될 물품을 수용하고 내부에서 물이 순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개방형 상부 챔버;
    상기 개방형 상부 챔버와 결합되는 연수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개방형 상부 챔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상기 챔버로부터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캐비티내로의 세척 챔버의 후퇴시에 상기 개방형 상부 챔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세척 챔버 덮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세제 분배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수기에 의해 상기 세척 챔버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세제 분배기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 수단은 상기 세척장치의 중공형 벽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6. 제 3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식기세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7. 연수기의 염수 용기용 염류 부재 지시기로서, 상기 염류 부재 지시기가:
    상기 염수 용기의 바닥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광원 및 광센서,
    광원과 광센서 사이의 광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광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값으로서 수신하는 제어기, 및
    상기 광원과 광센서 사이의 광로가 광전도가능할 때 상기 광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지시기 라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류 부재 지시기.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광전도가능한 상태인 상기 광로에 상응하여 상기 광센서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지시기 라이트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류 부재 지시기.
  39. 연수기의 염수 용기용 염류 부재 검출 지시기로서, 상기 지시기가:
    상기 염수 용기와 가시점 사이에 뻗어있는 광파이프; 및
    상기 광파이프의 바닥부와 정렬되어 상기 염수 용기의 바닥부에 배치된 라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라이트와 광파이프의 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염류가 없어졌을 때 상기 라이트로부터의 광선이 상기 광파이프를 통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류 부재 검출 지시기.
  40.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도면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세척장치.
  41.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도면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세척장치.
  42.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도면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연수기의 염수 용기용 염류 부재 검출 지시기.
KR10-2004-7016202A 2002-04-10 2003-04-10 세척장치 연수기 KR200401014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518288A NZ518288A (en) 2002-04-10 2002-04-10 Washing appliance water softner
NZ518288 2002-04-10
PCT/NZ2003/000064 WO2003087460A1 (en) 2002-04-10 2003-04-10 Washing appliance water softe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436A true KR20040101436A (ko) 2004-12-02

Family

ID=2924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202A KR20040101436A (ko) 2002-04-10 2003-04-10 세척장치 연수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88790B2 (ko)
EP (1) EP1497491B1 (ko)
JP (1) JP4095967B2 (ko)
KR (1) KR20040101436A (ko)
AU (1) AU2003222524B2 (ko)
CA (1) CA2482089C (ko)
NZ (1) NZ518288A (ko)
WO (1) WO2003087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42283A1 (en) * 2001-03-27 2002-10-03 Sigurgeir Sveinss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luid ice
DE10238302A1 (de) * 2002-08-21 2004-02-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Anpassen eines Spülprogramms i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und Geschirrspülmaschine
ITTO20060269A1 (it) * 2006-04-11 2007-10-12 Bitron Spa Dispositivo integrato di alimentazione e trattamento di acqua per macchina lavastoviglie
KR101252303B1 (ko) * 2006-09-22 201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E102007041312B4 (de) * 2007-08-31 2009-07-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r Wasserenthärtungsvorrichtung
DE102007053558A1 (de) * 2007-11-07 2009-05-14 Aweco Appliance Systems Gmbh & Co. Kg Salzbehälter für die Bereitstellung von Sole zur Regeneration eines Ionentauschermaterials
US20100263689A1 (en) * 2009-04-21 2010-10-21 Ecolab Us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hardness
DE102010028756A1 (de) 2010-05-07 2011-11-10 Judo Wasseraufbereitung Gmbh Verfahren zur Regeneration einer Wasserenthärtungsanlage
US9386904B2 (en) 2010-11-18 2016-07-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movable liquid conduit
EP2554738B1 (en) 2011-08-01 2018-04-1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EP2554739B1 (en) 2011-08-01 2018-04-1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EP2554736B1 (en) 2011-08-01 2014-04-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EP2554737B1 (en) 2011-08-01 2014-03-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US9193610B2 (en) 2011-08-10 2015-11-24 Ecolab USA, Inc. Synergistic interaction of weak cation exchange resin and magnesium oxide
ITTO20110788A1 (it) * 2011-09-02 2013-03-03 Bitron Spa Dispositivo decalcificatore contenente sale anidro
ITTO20110787A1 (it) * 2011-09-02 2013-03-03 Bitron Spa Dispositivo decalcificatore con rigenerazione a circuito chiuso
ITTO20110984A1 (it) 2011-10-28 2013-04-29 Bitron Spa Dispositivo distributore di acqua
EP2657388A1 (en) * 2012-04-24 2013-10-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EP2657387A1 (en) * 2012-04-24 2013-10-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 water softening device
EP2657389A1 (en) 2012-04-24 2013-10-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EP2954112B1 (en) * 2013-02-06 2021-06-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 water softening device
EP2843101B1 (en) * 2013-08-30 2021-10-13 ELECTROLUX PROFESSIONAL S.p.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e-scaling apparatus
JP6105683B2 (ja) * 2014-07-21 2017-03-2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食器洗い機
JP6871179B2 (ja) * 2015-06-19 2021-05-12 ビトロン エセ.ピ.ア. 食器洗浄機のカルシウム除去手段を再生するポンプ
KR20180036689A (ko) 2015-06-19 2018-04-09 비트론 에스.피.에이. 식기세척기용 통합 콤포넌트
EP3216909A1 (en) * 2016-03-11 2017-09-1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me laundry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DE102017116403A1 (de) * 2017-07-20 2019-01-24 Sanhua Aweco Appliance Systems Gmbh Haushaltsmaschine zum Reinigen von Haushaltsgegenständen
CN107550421B (zh) * 2017-09-18 2021-03-0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软水器控制方法和装置以及洗碗机
CN107752952B (zh) * 2017-11-24 2024-04-0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水槽式洗碗机
EP3494860A1 (en) * 2017-12-06 2019-06-12 BITRON S.p.A. Control system for a household appliance, water treatment system controlled by the system and related program and method
CN109879370A (zh) * 2018-12-28 2019-06-14 中国环境科学研究院 高效软化水处理装置
CN109884724B (zh) * 2019-03-18 2021-10-26 唐维 基于光在水中的直线传播进行污物排出给水排水监控机构
CN111839393A (zh) * 2019-04-29 2020-10-3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水软化器及洗碗机
WO2022015178A1 (en) * 2020-07-16 2022-01-20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Washing appliance with water softener
CN114468906B (zh) * 2020-10-23 2023-10-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洗碗机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215275A1 (en) * 2022-01-21 2023-07-26 Acqua Brevetti S.R.L. Water softener for a plumb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42646A (de) * 1966-01-08 1967-08-31 Rowenta Metallwarenfab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Wasserenthärtung
DE1548889A1 (de) * 1966-02-23 1969-08-21 Bosch Hausgeraete Gmbh Vorrichtung zum Anzeigen des Verbrauchs der Salzfuellung eines von Wasser durchstroemten Behaelters
US3807425A (en) * 1972-05-15 1974-04-30 Don Boirum Bypass valve
DE2851541A1 (de) * 1978-11-29 1980-06-12 Licentia Gmbh Verfahren zum reinigen von geschirr in einer haushaltgeschirrspuelmaschine
DE2911366A1 (de) 1979-03-23 1980-10-02 Licentia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ueberwachung des fuellstandes des salzvorrats in der wasserenthaertungseinrichtung von geschirrspuel- oder waschmaschinen
DE3209501C2 (de) * 1982-03-16 1984-01-05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Enthärtungseinrichtung für Haushaltgeräte, insbesondere für Geschirrspülmaschinen
DE8511185U1 (de) * 1985-04-16 1985-05-23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
JPS6234599A (ja) 1985-08-09 1987-02-14 株式会社東芝 脱水すすぎ機の給水装置
JPS6265401A (ja) 1985-09-18 1987-03-24 安田 繁之 感熱電気抵抗組成物における定常発熱温度の調整方法
IT1187299B (it) 1985-09-26 1987-12-23 Zanussi Elettrodomestici Lavastoviglie con addolcitore d'acqua e dispositivo di rigenerazione dello stesso
DE3544580C1 (en) * 1985-12-17 1987-06-19 Bosch Siemens Hausgeraete Device for introducing salt into the salt container of a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JPS63141427A (ja) 1986-12-03 1988-06-13 Nec Corp ロ−カルエリア通信網の同報送達確認方式
FR2615617B1 (fr) * 1987-05-22 1992-01-17 Esswein Sa Reservoir a sel et a produits cristallises muni d'un systeme de surveillance de niveau de produit
DE3824565A1 (de) 1988-07-19 1990-01-25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geschirrspuelmaschine
IT215222Z2 (it) 1988-11-04 1990-09-11 Prealpina Tecnoplastica Dispositivo addolcitore d'acqua per lavastoviglie.
JPH02134682A (ja) 1988-11-15 1990-05-23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機器の状態表示装置
IT1237277B (it) 1989-11-21 1993-05-27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Perfezionamenti al sistema di addolcimento dell'acqua in una macchina di lavaggio
DE4118586C2 (de) * 1991-06-06 2003-02-20 Aweco Appliance Sys Gmbh & Co Verfahren zur Wasserenthärtung und Haushaltsmaschine, insbesondere Geschirrspüler,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DE4135820C2 (de) * 1991-10-30 1994-10-06 Bosch Siemens Hausgeraete Enthärtungseinrichtung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oder dergleichen
IT1256275B (it) 1991-12-05 1995-11-29 Zanussi Elettrodomestici Lavastoviglie con circuito idraulico di alimentazione
JPH07275569A (ja) 1994-04-05 1995-10-24 Sharp Corp 洗濯機の洗剤自動投入装置
IT1279191B1 (it) * 1995-05-09 1997-12-04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Disposizione per la rigenerazione delle resine di addolcimento della acqua in una macchina di lavaggio
JPH095021A (ja) * 1995-06-20 1997-01-10 Mitsubishi Cable Ind Ltd 光ファイバセンサ
FR2758742B1 (fr) * 1997-01-28 1999-04-23 Esswein Sa Adoucisseur a encombrement reduit pour machine electro-domestique
NZ314155A (en) * 1997-01-30 1999-07-29 Fisher & Paykel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located in door recess, having open top and being flushed out by overhead nozzle
US5968053A (en) 1997-01-31 1999-10-19 Cardiac Assis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anting a graft in a vessel of a patient
IT1291036B1 (it) 1997-02-18 1998-12-14 Prealpina Tecnoplastica Sistema di dolcificazione dell'acqua in una macchina lavastoviglie.
EP0900765B1 (de) 1997-09-03 2003-03-12 AWECO APPLIANCE SYSTEM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Wasserenthärtung
JPH11151397A (ja) 1997-11-21 1999-06-08 Sharp Corp 洗濯機
IT1296210B1 (it) * 1997-11-27 1999-06-11 T & P Spa Dispositivo per l'abbattimento della durezza dell'acqua (dolcificatore) dotato di un sensore di esaurimento resine e macchina
IT1307228B1 (it) 1999-03-30 2001-10-30 T & P Spa Dispositivo per l'abbattimento della durezza dell'acqua(dolcificatore) dotato di sensore di esaurimento resine e relativo
IT1311704B1 (it) * 1999-08-05 2002-03-19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Macchina lavastoviglie, in particolare per uso domestico,avente una porta di caricamento funzionale
NZ516953A (en) * 1999-10-08 2003-10-31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Gasket for a dishwasher
DE19960307A1 (de) * 1999-12-14 2001-06-2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programmgesteuerten Geschirrspülmaschine
JP2002028647A (ja) 2000-07-17 2002-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軟水化装置
JP2002035743A (ja) * 2000-07-21 2002-02-05 Kurita Water Ind Ltd 軟水装置
US6696966B2 (en) * 2001-04-16 2004-02-24 Usf Consumer & Commercial Watergroup, Inc. Automatic salt level monitor for a water softening device
FR2825176A1 (fr) * 2001-05-22 2002-11-29 Jean Paul Clovis Dispositif de detection optique a grande portee utilisable en atmosphere explosible en securite intrinse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95967B2 (ja) 2008-06-04
CA2482089A1 (en) 2003-10-23
EP1497491A1 (en) 2005-01-19
AU2003222524A1 (en) 2003-10-27
NZ518288A (en) 2004-09-24
JP2005522290A (ja) 2005-07-28
US20050224100A1 (en) 2005-10-13
US7988790B2 (en) 2011-08-02
EP1497491A4 (en) 2006-09-13
CA2482089C (en) 2008-04-08
WO2003087460A1 (en) 2003-10-23
EP1497491B1 (en) 2012-12-12
AU2003222524B2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1436A (ko) 세척장치 연수기
JP2005522290A5 (ko)
US8789226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flushing a bulk dispensing system in a cleaning appliance
EP2141276B1 (en) A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a dispensing system operable between a single use dispensing system and a bulk dispensing system
AU2016399229B2 (en) Laundry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ter softening device
MX2008010977A (es) Conjunto de salinometro y sensor de velocidad de flujo.
EP1785084B1 (en) System for reducing the hardness of water in a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dishwasher, and method thereof
AU2017281507B2 (en) Operating method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implementing such method
EP2954112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 water softening device
US20230263362A1 (en) Washing appliance with water softener
KR20040023103A (ko) 식기세척기의 연수장치
KR100328192B1 (ko) 세탁기
WO2015051826A1 (en) Improved three-way valve suitable for use in a dishwasher
KR101615258B1 (ko) 식기세척기
KR101086538B1 (ko) 연수기의 재생수 제조 유니트
EP3433408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ter softening device
JP2004148161A (ja) 軟水生成器
CN111762844A (zh) 软水器和具有该软水器的软水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