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496A -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 Google Patents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496A
KR20040099496A KR1020030031490A KR20030031490A KR20040099496A KR 20040099496 A KR20040099496 A KR 20040099496A KR 1020030031490 A KR1020030031490 A KR 1020030031490A KR 20030031490 A KR20030031490 A KR 20030031490A KR 20040099496 A KR20040099496 A KR 2004009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oker body
stone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옥
Original Assignee
문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옥 filed Critical 문진옥
Priority to KR102003003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496A/ko
Publication of KR2004009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49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상으로 상부내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턱을 갖고 상부 외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환상날개를 갖으며 환상날개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갖는 밥솥몸체와, 원형판체로 몸체에 다수개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밥솥몸체의 환상턱 상단에 얹혀져 밥솥몸체를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보온공간으로 분리 밀폐시키는 속뚜껑 및 반원구형으로 중심측이 상측으로 둥글게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31)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배출구멍이 형성되며 밥솥몸체의 상단에 얹혀져 보온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겉뚜껑을 구비하여 소음이 거의 없고 사용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뜨거워져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회수함으로써 수분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영양성분이 증기와 함께 증발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찰지고 맛나는 밥맛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력을 집중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밥을 지을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저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rice pot of ceramics or stone having duplication lid}
본 발명은 내부에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뜨거워져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회수함으로써 수분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영양성분이 증기와 함께 증발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찰지고 맛나는 밥맛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력을 집중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밥을 지을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솥은 밥을 짓거나 물을 끓이는 데 사용되는 취사용구로, 한국에서는 석기시대에는 돌솥이, 그리고 토기시대에는 토기솥이 사용되었으리라 생각된다. 그후 주철기술(鑄鐵技術)이 발달함에 따라 무쇠솥이 오랜 시일에 걸쳐 사용되어 오다가 오늘날에는 알루미늄제·스테인리스 솥이 사용된다.
이러한 솥들의 특징은 냄비와는 달리 솥 밑의 두께가 두꺼워서 음식이 잘 타지 않는다. 솥의 모양은 한국 건물 양식의 특징에 따라 다른 나라 솥과 달랐다. 즉, 한국에서는 부엌에 부뚜막이 있어, 그곳에 솥을 걸고 음식을 만드는 동시에 방을 덥게 하였다. 그러므로 솥의 모양은 밑이 그다지 우묵하지 않고 약간 편평한 편이다.
솥의 종류는 크게 부(釜)·정(鼎)·노구의 세 가지로 나누고, 이러한 재래식 솥은 모두 연료로서 나무나 석탄을 사용하여 조리하였는데, 근래에는 연탄, 가스, 전기 등이 사용됨에 따라 솥의 모양도 많이 달라졌다. 솥의 깊이가 깊어지고 들기에 편리하게 손잡이가 옆으로 돌아가며 달려 있다.
근래에 와서는 전기 밥솥이 발달하여 밥을 짓거나 뜸들이는 것이 자동으로 되도록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고, 그 외에 압력솥이 개발되어 단시간에 밥을 지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전기밥솥은 전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야외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장소의 제약이 있으며, 전기비용이 많이 들고, 증기압의 배출에 따른 안전상의 문제가 있으며, 많은 증기가 다량으로 배출됨에 따라 소음이 크고 제품이 비싸 구입비용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음이 거의 없고 사용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뜨거워져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회수함으로써 수분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영양성분이 증기와 함께 증발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찰지고 맛나는 밥맛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력을 집중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밥을 지을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저렴한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자기밥솥 또는 돌밥솥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상부내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턱을 갖고 상부 외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환상날개를 갖으며 환상날개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갖는 밥솥몸체와;
원형판체로 몸체에 다수개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밥솥몸체의 환상턱 상단에 얹혀져 밥솥몸체를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보온공간으로 분리 밀폐시키는 속뚜껑 및
반원구형으로 중심측이 상측으로 둥글게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31)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배출구멍이 형성되며 밥솥몸체의 상단에 얹혀져 보온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겉뚜껑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밥솥몸체의 저면에는 환상으로 하부로 돌출된 화기배출지연턱이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밥솥몸체 하단의 최외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화기배출지연턱에는 화기배출구멍이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겉뚜껑의 선단 저면에는 밥솥몸체의 상단 내측면에 밀착되는 뚜껑환턱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밥솥몸체의 하단면은 중간에 공간부가 형성된 속바닥과 겉바닥의 이중바닥면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로, 화기배출지연턱이 밥솥몸체 저면 중심측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로, 화기배출지연턱이 밥솥몸체 저면 중심측과 외측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로, 밥솥몸체 저면의 이중바닥면의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밥솥몸체 11 : 환상턱
12 : 환상날개 13 : 손잡이
14,15 : 화기배출지연턱 16 : 화기배출구멍
18 : 이중바닥면 18a : 속바닥
18b : 겉바닥 18c : 공간부
20 : 속뚜껑 21 : 통공
22,31 : 손잡이 30 : 겉뚜껑
32 : 배출구멍 34 : 뚜껑환턱
a : 조리공간 b : 보온공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로, 화기배출지연턱이 밥솥몸체 저면 중심측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로, 화기배출지연턱이 밥솥몸체 저면 중심측과 외측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로, 밥솥몸체 저면의 이중바닥면의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자기 또는 돌 밥솥은 원통형상으로 상부내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턱(11)을 갖는 밥솥몸체(10)와, 원형판체로 몸체에 다수개의 통공(21)이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2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밥솥몸체(10)의 환상턱(11) 내측에 밀착되어 밥솥몸체(10) 내부를 조리공간(a)과 보온공간(b)으로 구분시키는속뚜껑(20)과, 반원구형상으로 중심측이 둥글게 상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밥솥몸체(10)의 상단에 얹혀지며 일측에 배출구멍(32)이 형성된 겉뚜껑(30)으로 이루어진다.
밥솥몸체(10)는 재래식 독(옹기)과 동일하게 흙을 빚은 후 구워서 만든 도자기 재질이나, 자연석을 가공하여서 만든 것으로, 밑바닥면은 만곡형일 수도 있고, 수평면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밥솥몸체(10)의 내주면 상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내측으로 환상턱(1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 외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환상날개(12)를 갖으며, 환상날개(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3)를 갖는다.
도 2a 내지 도 3b와 같이, 밥솥몸체(10)의 저면에는 환상으로 하부로 돌출된 화기배출지연턱(14)(15)이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중 밥솥몸체(10) 하단의 최외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화기배출지연턱(15)에는 화기배출구멍(16)을 형성시켜 화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중시킨다.
또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밥솥몸체(10)의 하단면은 중간에 공간부(18c)가 형성된 속바닥(18a)과 겉바닥(18b)의 이중바닥면(18)으로 형성시켜 중탕의 효과를 갖도록 하여 밥이나 요리가 타지 않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환상턱(11)과 그 하단의 내주면은 둥글게 라운딩으로 처리되어 밥솥몸체(10)를 기울였을때 밥알이나 다른 조리물 및 찌개와 같은 액상의 조리물이 남김없이 흘러나오게 형성시켜 설것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턱(11)과 그 상단의 내부면은 직각면으로 형성시킨다.
속뚜껑(20)은 둥근 원판형의 흙을 구워 소성하는 자기재질로, 3개 또는 4개의 통공(21)이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밥의 조리시 증기압이 하부의 조리공간(a)에서 서서히 상부의 보온공간(b)으로 방출되는 출구로 사용되고 또한, 증기가 식어서 생성된 응축수가 하부의 조리공간(a)으로 유입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속뚜껑(20)의 상단 중앙에는 손잡이(22)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저면에는 환턱(도시않음)을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그 외측면이 환상턱(11)의 내측면과 밀착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겉뚜껑(30)은 중앙부가 상부 또는 하부로 만곡되게 돌출된 둥근 반원구형상의 목재 또는 자기재질로, 상단에 손잡이(31)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선단 저면에는 뚜껑환턱(34)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외측면이 밥솥몸체(10)의 내측면과 밀착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증기압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멍(3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밥솥몸체(10)의 내측에 물에 적당히 불린 쌀을 적당한 물과 함께 넣은 다음, 속뚜껑(20)을 환상턱(11)상에 위치시켜 조리공간(a)을 밀폐시키고, 다시 밥솥몸체(10)의 상단에 겉뚜껑(30)을 닫아 보온공간(b)을 밀폐시킨다.
속뚜껑(20)의 선단부 저면은 밥솥몸체(10)의 환상턱(11) 내측면에 밀착되고, 겉뚜껑(30)의 선단부는 밥솥몸체(10)의 선단에 얹혀져 밀착되거나,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저면의 뚜껑환턱(34) 외측면은 밥솥몸체(10) 상단의 내측면에 끼워져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밥솥몸체(10)의 저면에 버너(도시않음)를 점화시키면 버너의 열기는 저면에 형성된 화기배출지연턱(14)(15)에 의해 모여져 보다 큰 열기로 밥솥몸체(10) 저면을 서서히 달구게 된다.
이렇게 적당한 시간동안 버너의 고열에 의해 밥솥몸체(10) 내부의 내용물이 완전히 익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압은 속뚜껑(20)의 통공(21)을 통하여 하부 조리공간(a)에서 상대적으로 덜 뜨거운 상부의 보온공간(b)으로 배출된다.
이때의 보온공간(b)에는 보온작용을 하는 뜨거운 증기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하부 조리공간(a)의 온도가 외부온도에 의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부의 보온공간(b)으로 배출된 뜨거운 증기는 상부의 보온공간(b)에 충전되면서 조리공간(a)이 식지 않게 보온작용을 하고 그 상단은 외부온도와 접해서 상대적으로 차가운 겉뚜껑(30)의 저면과 접하면서 냉각, 응결되어 응축수로 변하게 된다.
이때, 여분의 뜨거운 증기는 겉뚜껑(30)의 조그만 배출구멍(32)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어 밥솥몸체(10)의 상부 선단에서 증기압력에 의해 겉뚜껑(30)이 들썩이는 일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겉뚜껑(30)은 무겁기 때문에 밥솥몸체(10)를 압력솥과 같이 일정 압력으로 누르게 되어 밥맛을 보다 쫀득하게 하며, 속뚜껑(20)을 넘치는 물은 이내 다수개의 통공(21)을 통해 다시 조리공간(a)으로 회수되고 겉뚜껑(30)의 외부로는 물이 끓어 넘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 항상 깨끗하고 청결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뜨거운 증기가 보온공간(b)에서 체류하면서 겉뚜껑(30)과 접촉된 부위는 냉각되고 이렇게 생성된 응축수는 겉뚜껑(30)의 저면에서 점차 모여서 속뚜껑(20)의 상단면으로 떨어지게 되며, 속뚜껑(20)위로 떨어진 응축수는 다시 모여서 다수개의 통공(21)을 통하여 하부의 조리공간(a)으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밥솥몸체(10) 내부에서 겉뚜껑(30)의 배출구멍(32)을 통한 증기와 냄새의 증발은 최대한 억제되어 그 밥맛은 아주 좋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밥솥은 압력솥과 같은 작용으로 밥을 짓는 용도 외에도 삼계탕 등의 요리시 각종 영양분이 증기와 함께 배출되는 양이 극히 적어 약효가 그대로 내용물에 담겨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음이 거의 없고 사용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뜨거워져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회수함으로써 수분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영양성분이 증기와 함께 증발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찰지고 맛나는 밥맛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력을 집중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밥을 지을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저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도자기밥솥 또는 돌밥솥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상부내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턱(11)을 갖고 상부 외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환상날개(12)를 갖으며 환상날개(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3)를 갖는 밥솥몸체(10)와;
    원형판체로 몸체에 다수개 통공(21)이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2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밥솥몸체(10)의 환상턱(11) 상단에 얹혀져 밥솥몸체(10)를 하부의 조리공간(a)과 상부의 보온공간(b)으로 분리 밀폐시키는 속뚜껑(20) 및
    반원구형으로 중심측이 상측으로 둥글게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31)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배출구멍(32)이 형성되며 밥솥몸체(10)의 상단에 얹혀져 보온공간(b)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겉뚜껑(3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밥솥몸체(10)의 저면에는 환상으로 하부로 돌출된 화기배출지연턱(14)(15)이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3. 제 2 항에 있어서;
    밥솥몸체(10) 하단의 최외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화기배출지연턱(15)에는 화기배출구멍(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4. 제 1 항에 있어서;
    겉뚜껑(30)의 선단 저면에는 밥솥몸체(10)의 상단 내측면에 밀착되는 뚜껑환턱(34)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5. 제 1 항에 있어서;
    밥솥몸체(10)의 하단면은 중간에 공간부(18c)가 형성된 속바닥(18a)과 겉바닥(18b)의 이중바닥면(18)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KR1020030031490A 2003-05-19 2003-05-19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KR20040099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490A KR20040099496A (ko) 2003-05-19 2003-05-19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490A KR20040099496A (ko) 2003-05-19 2003-05-19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320U Division KR200323687Y1 (ko) 2003-05-19 2003-05-19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496A true KR20040099496A (ko) 2004-12-02

Family

ID=3737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490A KR20040099496A (ko) 2003-05-19 2003-05-19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94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705B1 (ko) * 2005-04-13 2007-03-26 이양희 조리용기용 뚜껑
US8079303B2 (en) * 2004-04-30 2011-12-20 Opinion Leaders S.R.L. Lid with permanent vacuum layer and ventilation channels
KR102560003B1 (ko) * 2023-02-24 2023-07-25 백승현 밥솥 속뚜껑 손잡이봉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9303B2 (en) * 2004-04-30 2011-12-20 Opinion Leaders S.R.L. Lid with permanent vacuum layer and ventilation channels
KR100699705B1 (ko) * 2005-04-13 2007-03-26 이양희 조리용기용 뚜껑
KR102560003B1 (ko) * 2023-02-24 2023-07-25 백승현 밥솥 속뚜껑 손잡이봉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5244A (zh) 锅具的锁水防溢结构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200323687Y1 (ko)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KR20040099496A (ko)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JP2002300966A (ja) 容器兼用蒸し器
KR200370793Y1 (ko) 다용도 솥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JP2000023828A (ja) 炊飯釜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20060095426A (ko) 항아리 가마솥
KR20070008240A (ko) 이중 항아리 가마솥
CN211883404U (zh) 锅具的锁水防溢结构
JPH1014776A (ja) 焼き物調理器具
CN215127544U (zh) 用于无水烘烤烹饪的砂锅
CN215127140U (zh) 烹饪器具
KR200369953Y1 (ko) 음식물의 조리용기
KR200323627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0377867Y1 (ko) 착탈식 2단 고기 구이판
JPH0556965B2 (ko)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0279278Y1 (ko) 개량된 찜통
KR200339232Y1 (ko) 고기 구이판
JPH0540846Y2 (ko)
KR200279277Y1 (ko) 개량된 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