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056A - 고온 멸균이 가능한 점안 용기 - Google Patents

고온 멸균이 가능한 점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056A
KR20040093056A KR10-2004-7012514A KR20047012514A KR20040093056A KR 20040093056 A KR20040093056 A KR 20040093056A KR 20047012514 A KR20047012514 A KR 20047012514A KR 20040093056 A KR20040093056 A KR 20040093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drop
container
drop container
liquid injec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638B1 (ko
Inventor
구스유키오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2Moulds with means for moulding parts of the parisons in an auxiliary cavity, e.g. moulding a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87Mould halves consisting of an independent neck and main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45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Joining
    • B29C49/42802Joining a closure or a sealing foil to the article or pincing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08Filling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2Combined thermoform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71Lower closure of the 17-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및 멸균이 용이하고, 무균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점안 조작성이 우수한 점안 용기(A)를 제공하기 위해, 121℃ 조건 하에서 20분간 유지시켜 멸균한 경우에 용융, 변형되지 않는 수지 재료로부터 본 발명의 점안 용기(A)를 일체로 성형한다.

Description

고온 멸균이 가능한 점안 용기{HIGH-TEMPERATURE-STERILIZABLE INSTILLATOR}
의료용 점안액을 충전하는 점안 용기를 예시하면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즉, 중공(中空) 원통형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10)에 중간 마개(11)를 장착하고 캡을 포함시키면, 전체적으로 3개의 부재로 형성된 점안 기구, 이른바 3피스형 점안 용기(도 6)나, 블로우 성형 기술을 이용하여 액체 주입통부와 용기 본체를 일체로 형성한 일체 성형 몰드 용기(도 7), 이른바, 보틀 팩(bottle pack) 점안 용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보틀 팩 점안 용기에서는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소정량의 약액(藥液)이 충전·밀봉된다. 특히 도 7의 용기는, 가요성이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용기 본체(A)의 수나사(5a)에, 용기 본체(A)의 선단부에 액체 주입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하기 위한 침상 돌기(9)를 일체로 형성한 캡(B)을 탈착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전술한 도 7의 용기에서는 캡(B)이 닫히는 통상적인 위치보다도 더 깊게 나사를 조이는 쪽으로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캡(B)의 침상 돌기(9)로 용기 본체(A) 선단의 액체 주입부에 액체 주입 구멍(6c)을 형성한다. 또한, 전술한 것 이외의점안 용기를 예시하면, 일본 특개2001-12063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틀 팩 점안 용기의 선단 부분을 중간 마개 기능을 갖는 선단 형상으로 하고, 아울러, 중간 마개 기능을 갖는 선단에 미리 액체 주입 구멍(6c)을 형성한, 이른바, 개구 보틀 팩 점안 용기를 들 수 있다.
점안약은 인체에서도 특히 예민한 기관인 눈에 직접 투여되기 때문에, 점안 시까지 무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엄격하게 요구된다. 이 때문에, 상기 3피스형 점안 용기 등은 EO(ethylene oxide) 가스, 전자선 또는 γ선을 이용하여 각각의 부재를 멸균한 다음, 약액을 충전하여 제조된다.
한편, 보틀 팩 점안 용기나 개구 보틀팩 점안 용기의 경우에는 블로우 성형법 등을 이용하여 가열 조건 하에서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별도로 용기를 멸균할 필요 없이 약액을 충전할 수 있다.
그런데, 어느 경우라도 멸균되어 있는 상태에서 약액을 점안 용기에 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증기 멸균법이나 막 여과기(membrane filter)를 이용한 여과 멸균법 등에 따라 멸균한 다음, 엄격한 조건이 갖추어져 있는 무균실에서 무균 충전한다. 단, 이러한 충전법에 따르면, 충전 작업이 번잡하고 작업 효율이 낮아지고, 또한, 고액의 설비 투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만약 전술한 기술에서 약액을 충전한 후, 약액과 통합하여 점안 용기째 가열 멸균할 수 있다면, 멸균 조작을 한번에 집약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무균 충전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고액의 설비 투자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각각의 멸균 조작마다 멸균 상태에 대한 점검도 세심하게 해야 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점안 용기를 통합하여 가열 멸균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점검 작업도 최종 멸균 작업을 수행한 후에 해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랜 세월에 걸쳐 점안 용기를 약액과 함께 통합하여 멸균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성공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기술을 실행할 수 있는 점안 용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3피스형 점안 용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용기 본체와 중간 마개가 서로 다른 재질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3피스형 점안 용기에서의 용기 본체는 약액의 압출, 토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연질의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간 마개는 약액의 정량 토출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교적 경질인 수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와 중간 마개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각각의 수지 재료간에 열수축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용기 본체와 중간 마개를 일체로 조립한 후에 가열 멸균하는 경우에는 중간 마개가 용기 본체에 탈락되거나, 조립 접착 부위가 느슨해져, 액밀성(液密性)을 확보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와 중간 마개를 비교적 경질인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양자를 감합 조립(嵌合組合) 시에 치수 정밀도가 문제시되기 쉽고, 또한, 액밀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도 문제가 생기기 쉬웠다.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가 경질인 경우에는 약액의 압출, 토출 시에 큰 힘을 요하므로 조작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된다.
한편, 상기 보틀 팩 점안 용기나 개구 보틀 팩 점안 용기에서처럼, 일체로성형되는 경우에는 중간 마개가 없기 때문에 중간 마개가 탈락될 우려는 없으나, 약액의 압출, 토출을 용이하게 하고, 성형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연질 수지로 형성한다.
그러나, 연질 수지로 성형한 용기는 가열 멸균 공정시에 용융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이로 인해, 액체 주입 구멍(6c)의 형상이 불안정하게 되고, 약액의 점안 토출량이 변동되는 등, 의료용 등의 용도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의료용 점안액이 점안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의료용 점안 용기(이하, 간단히 점안 용기라고 칭함) 및 점안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안 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캡과 점안 용기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점안 용기 선단 근방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점안 용기에 캡을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의 점안 용기 선단 근방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점안 용기의 전체 측면도.
도 5는 약액의 적하 투여 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중간 마개를 구비한 점안 용기를 갖는 점안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액체 주입 구멍을 관통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안 용기의 측단면도.
도 8은 점안 용기의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에 의한 성형 공정도.
도 9는 점안 기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설명도.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및 멸균이 용이하고, 무균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점안 조작성이 우수한 점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121℃에서 20분간 가열하면 모든 균이 사멸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이 조건을 견디어 내고, 아울러, 용융,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원하는 점안 용기가 얻어지는 것은 아닌가하고 생각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의 점안 용기는 121℃의 조건 하에서 20분간 유지시켜 멸균한 경우에 실질적으로 용융, 변형되지 않은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지 재료로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폴리에틸렌 함유율이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안 용기는 가요성이 있는 중공 원통형 몸통부에 두 개의 손가락 끝으로 잡을 수 있는 리세스(recess)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의료용 점안 용기를 이용한 점안 기구는 의료용 점안 용기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 가능한 캡을 구비하고, 상기 의료용 점안 용기의 선단부에 구비된 액체 주입통부에, 선단측으로 내경(內徑)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 오목부가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저부(底部)에 액체 주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점안 용기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와 중간 마개를 개별적으로 멸균한 다음, 이들을 무균 조건 하에서 조립하여, 반드시 멸균해야 하는 약액을 무균 충전해야 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점안 용기는 121℃의 조건 하에서 20분간 유지시켜 멸균하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용융, 변형되지 않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약액을 충전한 후, 121℃, 20분간의 조건으로 멸균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번잡했던 작업 공정을 점안 용기를 제조하고, 약액을 충전한 다음, 1회의 멸균으로 종료할 수 있고, 제조 작업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멸균 처리는 통상의 세균류가 전부 사멸한다고 알려져 있는 엄격한 멸균 처리이기 때문에, 1회의 멸균 조작으로도 무균 상태를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내열성이 높고, 전술한 바와 같은 멸균 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질이라고 해도 비교적 점안 조작이 용이한 정도로 유연한 재료이기 때문에, 가공성이높고, 용기 본체와 중간 마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안 용기의 작업성이 양호하도록 제조할 수 있고, 또, 점안 조작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폴리에틸렌 함유율이 1∼10%, 특히 3∼5%이기 때문에, 전술한 내열성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가공성과 점안 작업성 모두가 양호할 수 있는 경도의 수지 재료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안 용기가, 가요성이 있는 중공 원통형 몸통부에 두 개의 손가락 끝으로 잡을 수 있는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용기 내의 약액을 투여 시, 용기 몸통부에 형성된 리세스부를 두 개의 손가락 끝으로 잡기 때문에, 손끝으로 잡는 위치가 안정하다. 또한, 용기의 몸통부를 가압 조작하는 경우, 그 손끝에 접촉해 있는 몸통부의 일부가 이미 움푹 들어가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형 몸통부의 일부를 탄성복원력에 저항하여 오목하게 변형시키는 경우에 비해 가압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공 원통형 몸통부에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고, 종래의 점안 용기에 비해 소지하기 쉽고, 가압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어 점안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내 약액을 정확하고도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안 용기를 이용한 점안 기구가 상기 점안 용기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 가능한 캡을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점안 용기에 상기 캡을 나사 결합으로 장착하여 위생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 상태와 상기 캡을 떼어 점안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장착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의료용 점안 용기의 선단부에 구비된 액체 주입통부에, 선단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를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 액체 주입부를 설치함으로써 중간 마개 기능을 갖게 하여, 점안 시의 액적량(液滴量)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5는 주로 의료용 용도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점안 기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점안 기구는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과 동시에 소정량의 약액이 충전되며, 가요성이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점안 용기(A), 및 상기 점안 용기(A)의 나사통부(5)에 형성된 수나사(5a)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캡(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안 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캡과 점안 용기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점안 용기 선단 근방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점안 용기가 캡과 나사 결합하여 일체화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용기의 전체 측면도이며, 도 5는 약액을 적하 투여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점안 용기(A)는 내측으로 만곡한 원형의 저부(底部)(1), 상기 저부 주위 에지에 연속한 중공 원통형의 몸통부(2)와, 상기 몸통부(2)의 어깨 부분(2a)에 연속한 원통형의 목부(3), 상기 목부(3)의 위쪽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膨出)한 원환형 단부(段部)(4), 상기 원환형 단부 위쪽에 연속한 수나사(5a)를 구비한 나사통부(5), 및 상기 나사통부 상측에 연속한 액체 주입구(6a)를 구비한액체 주입통부(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점안 용기(A)를 구성하는 재료는 121℃의 조건 하에서 20분간 유지시켜 멸균하는 경우에 용융, 변형되지 않는 수지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등이 있으며, 성형된 점안 용기(A) 전체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전술한 재료의 특성으로서 용융 지수(MI: melt index)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료의 MI가 0.2∼2.5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1.5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용기의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를 예로 들면, 상기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로는 1∼10%, 특히 3∼5%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중합체를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성형 가공성이 충분하고, 전술한 멸균 조건에도 충분히 견디기 때문에, 점안 용기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용기의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적용하는 경우, 전술한 멸균 조건에는 충분히 견디나, 점안 용기의 형상에 따라 성형이 곤란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단순한 형상의 점안 용기를 성형하는데 적합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점안 용기(A)의 액체 주입통부(6)에는 액체 주입구(6a)측(선단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가 움푹 들어가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6b)의 저부에 형성된 액체 주입부에는 소직경의 액체 주입 구멍(6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6b)의 깊이는 2∼7 ㎜ 범위, 바람직하게는 5∼7 ㎜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6 ㎜이고, 아울러, 상기 액체 주입구(6a)의 구경(口徑, 입구 직경)은 약액의 액성에 맞추어 f2 ㎜∼f4 ㎜ 범위에서 조정한다.
약액 한 방울의 양을 일정하게(목적에 따라, 1방울량 당 25∼50 ㎕ 범위의 양으로 조정) 하기 위해서, 표면 장력이 큰 액성의 약액인 경우에는 상기 액체 주입구(6a)의 구경을 작게 하고, 표면 장력이 작은 액성의 약액인 경우에는 상기 액체 주입구(6a)의 구경을 크게 한다.
또한, 상기 액체 주입 구멍(6c)은 f0.1 ㎜∼f0.8 ㎜ 범위의 직경을 갖는 바늘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바늘의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이 f0.2 ㎜ 정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바늘 직경이 너무 작으면 기술적으로 곤란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직경이 f0.4 ㎜∼f0.6 ㎜ 범위인 바늘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액체 주입구(6a)의 구경, 상기 오목부(6b)의 깊이, 그리고 상기 액체 주입 구멍(6c)의 구경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몸통부(2)를 손가락으로 가압 조작 하는 경우에 점안 용기(A)에서 압출되는 액적량을 설정한 양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점안 용기(A)의 몸통부(2)에는 두 개의 손가락 끝으로 잡을 수 있는 리세스부(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세스부(7)는 몸통부(2) 원주 방향의 2개 부분에서, 용기 축선(X)을 사이에 끼고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부위에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된 편평한 또는 거의 편평한 한 쌍의 협지면(挾持面)(7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협지면(7a)은 용기 축선(X) 방향에서 볼 경우에는 몸통부(2)의 다른 부위의 곡률보다도 작은 곡률로 완만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축선(X) 방향과 직행하는 직경 방향에서 볼 때(정면으로 볼 때) 경우에는 용기 축선(X) 방향의 양단 부분을 제외한 중간 부분이 용기 축선(X)과 평행한 직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 협지면 전체를 만곡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캡(B)에는, 상기 캡(B)을 점안 용기(A)의 수나사(5a)에 나사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점안 용기(A)의 오목부(6b)에 내측으로 결합되어 밀봉하는 제1 밀봉 볼록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밀봉 볼록부(15)의 돌출 높이는 0.6∼1.0 ㎜ 정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캡(B)을 상기 점안 용기(A)에 양호하게 나사 결합시켜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캡(B)의 재료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이다.
[점안 기구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점안 기구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점안 용기의 제조, 캡과의 일체화의 순으로 설명한다.
상기 오목부(6b) 및 상기 액체 주입 구멍(6c)을 형성하기 전의 점안 용기(A)의 제조 방법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 것이기 때문에 도 8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점안 용기(A)의 원환형 단부(4)부터 저부(1)까지의 부분을 성형하기 위해 제1 캐비티(cavity)(20)를 구비한 한 쌍의 주성형(主成形) 금형(21), 상기 점안 용기(A)의 나사통부(5) 및 액체 주입통부(6)를 성형하도 위해 제2 캐비티(22)를 구비한 한 쌍의 부성형 금형(23)을 열어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금형들의 상부에 배치된 압출기 헤드(24)로부터 양 금형(21, 23) 사이를 통해서 수직 방향을 따라, 중공 튜브형의 반용융 열가소성 재료인 파리손(parison)을 가늘고 길게 소정 길이로 압출한다.
그런 다음,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성형 금형(21)을 닫고 작동시키면서 동시에, 압축 공기의 블로잉(blowing) 작용 또는 진공 작용에 의해 주성형 금형(21)의 성형면(21a)을 따라 파리손(25)을 팽창시키면서 성형한다. 이 상태에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공급관(26)으로부터 소정량의 액체(약액)를 충전한다.
이 액체 충전 공정이 종료되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성형 금형(23)을 닫고 작동시키면서 동시에, 압축 공기의 블로잉 작용 또는 진공 작용에 의해 부성형 금형(23)의 성형면을 따라 파리손(25)을 팽창시키면서 성형하고, 성형과 동시에 충전된 액체를 밀봉(봉입)한다. 이렇게 하여, 도 8(d)의 공정에서 작업이 완료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된 점안 용기(A)의 선단부인 액체 주입통부(6)에,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 및 소직경의 액체 주입 구멍(6c)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9(d)에 도시한 제1 방식의 제조 방법에서는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를 성형하기 위해 금속으로 제조된 볼록형 성형 몰드(30) 및 상기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으로 제조된 침상(針狀) 성형 몰드(31)를 이용한다.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는 장착 축(30A)의 선단부에,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를 성형하는 원추형 성형 돌기(30B), 및 점안 용기(A)의 액체 주입통부(6)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주발형(椀狀)(종 모양)의 성형면(30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침상 성형 몰드(31)는 장착 축(31A)의 선단부에, 소직경의 액체 주입 구멍을 형성하는 침상 성형 돌기(3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방식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안 용기(A)의 선단부인 액체 주입통부(6)의 일부를 온풍 또는 할로겐 램프, 레이저 광선 등의 제1 가열 수단(C)을 이용하여 실온 또는 70℃∼150℃로 가열한다. 이 때의 가열 온도는 점안 용기(A)의 재질, 형상에 따르지만, 점안 용기(A)의 선단이 약간 연화되는 온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안 용기(A)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재료가 폴리에틸렌과 같이 부드러운 수지 재료인 경우에는 가열하지 않으면 선단부가 휘기 때문에, 성형 전에, 적어도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로 성형되는 부위를 제1 가열 수단(C)을 이용하여 좌굴(座屈)하지 않는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점안 용기(A)에 이용되는 재료가 좌굴에 견딜 수 있는 수지 재료나 형상인 경우, 즉,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의 용기 축선(X) 방향에서의 가압에 견딜 수 있는 재료인 경우에는 실온에서도 성형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열 수단(C)으로 가열된 점안 용기(A)의 액체 주입통부(6) 중 일부가 냉각되기 전에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를 용기 축선(X) 방향으로 꽉 눌러, 점안 용기(A)의 액체 주입통부(6)에 액체 주입구(6a)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 오목부(6b)를 성형한다.
이 때,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의 주발형 성형면(30C)에 의해, 점안 용기(A)의 액체 주입통부(6)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블로우 성형 시에 생성되는 팰릿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 그 자체의 온도는 성형되는 점안 용기(A)의 액체 주입통부(6)의 형상과 두께에 맞춰, 실온 내지 150℃의 범위로 제어한다. 가열 온도는 액체 주입통부(6) 선단의 냉각, 고화를 고려하여 될 수 있는 한 낮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형 성형 몰드(30)는 충전되는 액체의 액성에 따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9(c) 및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점안 용기(A)의 액체 주입통부(6)에 형성된 오목부(6b)의 저부(底部)의 중앙 위치에 대하여 침상 성형 몰드(31)를 용기 축선(X)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몸통부(2)를 손끝으로 가압 조작하여 점안 용기(A)에서 압출되는 액적량을 설정량에 맞게 제어할 수 있는 소직경의 액체 주입 구멍을 형성한다.
이 침상 성형 몰드(31)의 침상 돌기(31B)에 의한 액체 주입 구멍(6c)의 형성공정에서는 침상 돌기(31B)를 실온에서 작업하는 방법과 침상 돌기(31B)를 가열한 후 작업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형성할 액체 주입 구멍(6c)의형상이나 오목부(6b)의 형상, 나아가 용기 이외의 형상이나 재질, 제조 비용 등의 조건에 따라 전술한 방법을 선택하여 이용한다. 상기 침상 돌기를 가열해야 하는 경우에는 침상 성형 몰드(31)의 침상 돌기(31B)를 적어도 용기 재질 수지가 용융하는 온도, 즉, 130℃∼180℃의 범위로 가열하는 것이 적절하다.
침상 성형 몰드(31)의 가열은 고주파 유도 가열, 할로겐 램프, 온풍 등의 제2 가열 수단(D)에 의해 수행하고, 침상 성형 몰드(31)의 연결부인 장착축(31A)은 워터 재킷(water jacket), 압축 공기 등의 냉각 수단(E)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침상 성형 몰드(31)가 정해진 온도로 냉각되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점안 용기(A)의 액체 주입통부(6)로부터 용기 축선(X) 방향을 따라 상기 침상 성형 몰드(31)를 빼낸다.
수지의 박리성, 이형성(離型性)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상기 침상 성형 몰드(31)의 표면에 도금 또는 플루오르 수지 코팅, 특수 도금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같은 표면 처리는 고온에 견딜 수 있고, 아울러,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A)를 얻을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본원 발명에 사용하는 캡(B)을 미리, 지금까지 설명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해 놓는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A)의 제조를 종료한 다음, 용기 본체(A)에 대해 캡을 최초로 장착하는 초기 장착 시에는, 상기 용기 본체(A)의 열가소성 재료가 그 가소성을 유지하고, 아울러, 캡(B)을 용기 본체(A)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하더라도 용기 본체(A) 외형의 개략적인 형상이 붕괴되지 않을 정도의 가소성을 갖는 상태에서, 용기 본체(A)에 캡(B)을 나사 결합시킨다.
이 때, 캡(B)측에는 상기 제1 밀봉 볼록부(15)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밀봉 볼록부(15)가 오목부(6b)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그 기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밀봉성이 우수하고, 사용감이 좋은 점안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성형 조건, 멸균 온도 조건 하에서 용량이 5 ㎖인 점안 용기를 얻고, 리세스부(7)에 있어서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액 압출 성능이 얻어졌다.
(표 1)
이 표를 통해, 전술한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점안 용기를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1.8 g의 수지로 5 ㎖ 용기를 성형한 경우라도, 121℃의 온도에서 20분간의 멸균 조작에도 견딜 수 있는 용기를 쉽게 성형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경우에 약액 압출 조작성에 있어서도 10∼12N 정도의 양호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압출 조작성은 하기와 같이 측정한다.
물이 담긴 점안 용기(A)의 액체 주입통부(6)를 아래로 향하게 하고, 이 점안 용기(A)의 리세스부(7) 외측면의 중앙 부분을 가압할 수 있게 협지(挾持)한, 상기 액체 주입통부(6)의 오목부(6b)를 제외한 내부에 물이 가득 차지 않은 것(상기 액체 주입구(6a) 부근에 공기가 체류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 상기 점안 용기의 협지 간격을 좁혀서 리세스부(7)를 가압하고, 점안 용기의 액체 주입구(6a)에서 1방울의 물을 적하하는 데 필요한 가압 조작력을 디지털 포스 게이지(digital force gauge)로 측정했다.
압출 응력에 대해 설명하자면, 압출 응력이 20N 이상인 경우에는 점안 조작 시에 사용자가 손끝에 강한 저항을 느끼게 되므로, 15N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동일한 수지 재료이며 동일한 멸균 조건에 견디는 리세스부를 갖지 않는 점안 용기를 형성한 경우, 그 압출 응력이 35.3N(3.64 ㎏f) 정도인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점안 용기는 그 점안 조작성이 대단히 우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된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에, 액체 주입구(6a)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 및 몸통부(2)를 손끝으로 가압 조작함으로써 용기 본체(A)에서 압출되는 액적량을 설정량에 맞게 제어할 수 있는 소직경의 액체 주입 구멍(6c)을 미리 형성한 점안 용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러한 점안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과 동시에 소정량의 약액이 충전·밀봉된, 가요성이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용기 본체(A)의 수나사(5a)에, 용기 본체(A)의 선단부에 액체 주입 구멍을 관통 형성하기 위한 침상 돌기(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캡(B)을 탈착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하여, 상기 캡(B)이 닫히는 통상적인 위치보다도 더 깊게 나사를 조이는 쪽으로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캡(B)의 침상 돌기(9)로 용기 본체(A) 선단의 액체 주입부에 액체 주입 구멍(6c)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타 구성은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예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안 용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원통형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고, 그 형상은 이용되는 수지 재료,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및 멸균이 용이하고, 무균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점점안 조작성이 우수한 점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21℃ 조건 하에서 20분간 유지시켜 멸균한 경우에 용융, 변형되지 않는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로 성형된 의료용 점안 용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재료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점안 용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의 폴리에틸렌 함유율이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점안 용기.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이 있는 중공(中空) 원통형의 몸통부에, 두 개의 손가락 끝으로 잡을 수 있는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점안 용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의료용 점안 용기(A)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 가능한 캡(B)을 구비하고,
상기 의료용 점안 용기의 선단부에 구비된 액체 주입통부(6)에, 선단측(6a)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 오목부(6b)가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6b)의 저부(底部)에 액체 주입부가 구비된 점안 기구.
KR1020047012514A 2002-03-18 2003-03-13 고온 멸균이 가능한 점안 용기 KR101014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4205 2002-03-18
JPJP-P-2002-00074205 2002-03-18
PCT/JP2003/003036 WO2003077824A1 (fr) 2002-03-18 2003-03-13 Instillateur, sterilisable a haute tempera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056A true KR20040093056A (ko) 2004-11-04
KR101014638B1 KR101014638B1 (ko) 2011-02-16

Family

ID=2803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514A KR101014638B1 (ko) 2002-03-18 2003-03-13 고온 멸균이 가능한 점안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159715A1 (ko)
EP (1) EP1486192A4 (ko)
KR (1) KR101014638B1 (ko)
CN (1) CN100475175C (ko)
AU (1) AU2003221379A1 (ko)
CA (1) CA2477418A1 (ko)
TW (1) TWI287980B (ko)
WO (1) WO2003077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8703B2 (en) * 2004-11-23 2007-02-20 Allergan, Inc. Autoclaveable small-volume dropper bottle
US20080039807A1 (en) * 2006-08-08 2008-02-14 Jerrold Scott Pine Ophthalmic Drug Dispensing Tip
CN101553406B (zh) 2006-12-07 2011-05-04 太阳医药高级研发有限公司 用于施加微升量的液滴形式的液体的可计量的滴瓶
US20140350492A1 (en) * 2013-05-26 2014-11-27 Ever Rojas Escalante Eyedrop dispenser
CN105233397A (zh) * 2015-10-14 2016-01-13 广东三蓝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滴眼剂瓶
USD826068S1 (en) 2016-11-13 2018-08-21 Eyad Aboabdo Dispensing bottle kit
EP3618782B1 (en) * 2017-05-06 2021-05-26 Novaliq GmbH Drop dispenser
CA184963S (en) 2017-07-13 2019-06-12 Chubby Gorilla Inc Bottle
CN108464928A (zh) * 2018-05-09 2018-08-31 赵金巧 一次性预冲式泪冲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005A (ja) * 1983-09-07 1985-03-29 Showa Denko Kk 耐放射線性成形品
JPS60125628A (ja) * 1983-12-13 1985-07-04 Mitsui Toatsu Chem Inc 透明性に優れたブロ−成形容器
US5425480A (en) * 1992-12-17 1995-06-20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Dose dispenser having a molded plastic housing with a cavity and a metallic foil wall covering the cavity
CN1146423C (zh) * 1998-07-14 2004-04-21 阿尔康实验室公司 前列腺素产品
JP2000202002A (ja) * 1998-11-13 2000-07-25 Tosoh Corp 医療用耐熱容器
AU759894B2 (en) * 1999-05-28 2003-05-01 Novartis Ag Package for a pharmaceutical product and method of sterilising the package
CA2380612C (en) * 1999-08-17 2010-01-05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Eye drop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S2386343T3 (es) * 1999-08-17 2012-08-17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Pieza rebajada que forma un recipiente de instilación
JP3694446B2 (ja) 1999-08-17 2005-09-14 参天製薬株式会社 開口点眼容器及びそれの製造方法
AR029768A1 (es) * 1999-10-18 2003-07-16 Novartis Ag Paquete de plastico para un producto farmaceutico y metodo para fabricar y esterilizar un paquete farmaceutico
JP2001181344A (ja) * 1999-12-27 2001-07-03 Sumitomo Chem Co Ltd プロピレン重合体樹脂および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638B1 (ko) 2011-02-16
CA2477418A1 (en) 2003-09-25
TW200304805A (en) 2003-10-16
TWI287980B (en) 2007-10-11
CN1642511A (zh) 2005-07-20
US20050159715A1 (en) 2005-07-21
EP1486192A1 (en) 2004-12-15
AU2003221379A1 (en) 2003-09-29
EP1486192A4 (en) 2010-07-14
WO2003077824A1 (fr) 2003-09-25
CN100475175C (zh)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4482C (en) Eyedropper with step portion
CN101553406B (zh) 用于施加微升量的液滴形式的液体的可计量的滴瓶
EP1779833B1 (en) Artificial nipple, feeder, and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nipple
KR101014638B1 (ko) 고온 멸균이 가능한 점안 용기
EP1213003B1 (en) Recessed part forming instillation container
HU213805B (en) Prefilled disposable device for introducing a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 into a body cavity of a pati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device and mould apparatus for making said device
JP4818752B2 (ja) シリンジ用外筒の射出成形用金型、シリンジ用外筒の製造方法、シリンジ用外筒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H045462B2 (ko)
US11377263B2 (en) Dispenser with applicator tip
KR20100040290A (ko) 복실 용기
JP4754948B2 (ja) シリンジ用外筒の射出成形用金型、シリンジ用外筒の製造方法、シリンジ用外筒およびシリンジ
JP4594147B2 (ja) シリンジ用外筒、シリンジ、シリンジ用外筒の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シリンジ用外筒の製造方法
JP4477216B2 (ja) キャップ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薬剤容器
JP5008294B2 (ja) 樹脂射出成形品、射出成形用金型、シリンジ用外筒およびシリンジ用外筒の射出成形用金型
JP2003339822A (ja) 高温滅菌可能点眼容器
JPH09276369A (ja) 輸液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25506A (ja) 薬液入り注射器
JP3363094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WO2006046647A1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5605181B2 (ja) 薬液用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の製造方法及び薬液用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
JP2020090324A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511999A (ja) 絞り出し式容器
JP2006151514A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FI104540B (fi) Esitäytetty kertakäyttöinen laite farmakologisesti aktiivisen aineen viemiseksi potilaan ruumiinonteloon, menetelmä laitteen valmistamiseksi ja muottilaite laitteen valmistamisek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