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290A - 복실 용기 - Google Patents

복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290A
KR20100040290A KR20107000939A KR20107000939A KR20100040290A KR 20100040290 A KR20100040290 A KR 20100040290A KR 20107000939 A KR20107000939 A KR 20107000939A KR 20107000939 A KR20107000939 A KR 20107000939A KR 20100040290 A KR20100040290 A KR 20100040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medicine bag
opening
medicin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700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257B1 (ko
Inventor
야스히로 무라마츠
카오루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41Separating means having removable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배출 포트를 통상은 폐쇄하여 두고, 약제 백 개통 시에 약제 백의 변형과 연동하여 배출 포트를 개방시키는 복실 용기에 관한 것으로, 격벽 개통 시의 배출 포트의 개통을 보다 확실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약제 백(10) 외주의 강시일부(14-1)에 강고하게 용착되는 배출 포트 기부(12-1)로부터 직사각형 단면부(12-6)가 일체로 약제 백 내부에 연장되어 돌출된다. 직사각형 단면부(12-6)의 상면은 U자형 홈을 형성하고, 그 저면(30')이 취약부가 된다. 직사각형 단면부(12-6)의 상벽에 있어서의 U자형 홈(30)에 약제 백 대향면이 포인트 시일(34)로써 강고하게 용착된다. 약제 백 개통 시의 팽창은 부위(33)에 외력을 가하고, 취약부(30')에서 파괴되고, 부위(33)는 풀탭(pull-tab)식으로 회동되고, 약제 백 내부를 배출 포트 내부에 연통시키는 개구(36)가 미개통 시 부위(33)가 차지하고 있던 배출 포트의 부위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복실 용기{Double-chamber container}
본 발명은 배출 포트를 통상은 폐쇄해 두고, 약제 백(drug bag) 개통 시에 약제 백의 변형과 연동하여 배출 포트를 개방시키는 복실 용기에 관한 것이다.
수액(輸液)용 복실 용기로서, 가요성 또는 연약 필름을 소재로 하는 약제 백의 대향면을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용착하여 이루어지는 약(弱)시일부에 의해 각각 다른 약액을 수용하는 복수의 격실로 분리한 것이 있다. 약제 백의 외주에는, 플라스틱 성형품으로서의 배출 포트가 설치되고, 배출 포트는 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 공동은 일단측에서 한쪽의 격실로 개구하고 있지만, 타단에는 고무마개가 설치되어 있다. 환자에 대한 약액의 투여에 앞서 약제 백을 외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약시일부가 박리 개통되어, 약제 백의 내부 공동은 일실(一室)이 되기 때문에 2종류의 약액은 혼합되고, 수액 세트의 천자침(穿刺針)에 의해 고무마개를 천자(穿刺)하여, 약제 백으로부터의 약액의 투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의료용 혼합형 복실 용기에 있어서는 약액의 투여에 앞서 약시일부의 개통으로부터 양 액을 혼합시키는 작업은 필수이며, 다른 한편, 약시일부의 개통을 행하지 않은 채로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고무마개의 천자를 행하면, 배출 포트측의 격실에 있어서의 약액만이 투여되어 버리는 오조작의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는 종래 기술로서, 약제 백에 대한 배출 포트의 단면을 파단(破斷)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파괴 가능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되는 응력 부여부를 약액 백의 대향면에 강고하게 용착하고, 격실 개통 시의 약액 백의 팽창 변형에 응력 부여부를 연동하여 확장 개방시킴으로써 배출 포트의 단면을 파단시켜, 배출 포트를 약액 백 내부로 개통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1:일본공개특허공보2006-87904호
특허문헌 1은 배출 포트의 단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되는 응력 부여부를 격벽 개통 시의 약액 백의 팽창 변형에 연동시켜 확장 개방시킴으로써 응력 부여부로부터 배출 포트 단면에 응력을 부여하고, 이 응력에 의해 배출 포트 단면(파단 가능부)을 파괴시켜, 배출 포트를 약액 백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특허문헌에서는, 응력 부여부는 배출 포트 단면에 있어서의 파단 가능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하고, 이격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개통 시의 약제 백이 크게 변형하는 부위에 응력 부여부를 연결함으로써, 응력 부여부를 크게 확장 개방시켜서, 그 밑 부분에 일체화된 파단 가능부의 확실한 파단·개통을 행하게 할 의도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파단 가능부는 배출 포트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파단 가능부에서 얻어지는 변위량 자체는 작기 때문에, 개통 시의 파단 가능부의 파괴가 확실하게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또,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파단 가능부는 통상 시에 배출 포트를 완전 폐쇄하고 있어, 약액 백 내의 약액 증기에 의한 습열 하의 멸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습열 하에서의 멸균을 위해서는 배출 포트에 액체를 별도 충전할 필요가 있거나, 방사선에 의한 멸균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멸균 공정이 복잡화 및 고비용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격벽 개통 시의 배출 포트의 개통을 보다 확실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약액 백 내의 약제 증기에 의한 습열 하에서의 멸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복실 용기는,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상기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약제 백 내부를 향한 연장 돌출 부위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통상 상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약제 백의 대향면에 연결되고,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밀봉 부재는 개방되고, 미개통 시에 밀봉 부재가 점유하고 있던 배출 포트의 부위가 그대로 약제 백 내부를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개구가 된다.
제 2 발명의 복실 용기는,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상기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약제 백 내부를 향하여 연장 돌출 부위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통상 상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개방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약제 백 대향면에 연결되어, 배출 포트의 개통이 실질적으로 한쪽에서만 행해지도록 된다.
제 3 발명의 복실 용기는,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상기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약제 백 내부를 향한 연장 돌출 부위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통상 상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개방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약제 백 대향면에 연결되고, 또한 밀봉 부재가 설치되는 배출 포트의 상기 연장 돌출 부위는 배출 포트 축선에 대하여 오프셋 배치되어 있다.
제 4 발명의 복실 용기는,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약액 백 내부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의 부위에 설치되고, 통상 상태에 있어서 배출 포트를 약액 백 내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폐쇄하고,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개방하여,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연통시키는 제 1 개구부를 형성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배출 포트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의 습열 하의 멸균 시에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개구시키고, 통상 시에는 약액 백의 대향면에 의해 밀봉되는 제 2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5 발명에 따르면,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상기 배출 포트에 설치되고, 수액 시에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개구시키는 개구부와, 약액 백 대향면에 연결되어, 통상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한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포트의 습열 하에서의 멸균 방법으로서, 상기 배출 포트에 제 2 개구부를 천공하여, 제 2 개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복실 용기 내의 약제를 가열함으로써 배출 포트의 습열 하에서의 멸균을 행하고, 멸균 후에 제 2 개구부를 약액 백 대향면으로써 밀봉하는 복실 용기의 멸균 방법이 제공된다.
제 6 발명에 따르면,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약액 백 내부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의 부위에 설치되고, 통상 상태에 있어서 배출 포트를 약액 백 내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폐쇄하고,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개방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연통시키는 제 1 개구부를 형성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배출 포트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의 습열 하의 멸균 시에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개구시키고, 통상 시에는 약액 백의 대향면에 의해 밀봉되는 제 2 개구부를 구비한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型) 성형할 때, 배출 포트의 윤곽 형상에 따른 공동(空洞)을 형성하는 외형과 중심부로 이루어지는 금형을 준비하고, 금형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의 형성 부위와 대향한 금형의 부위에 제 2 개구부를 형성하는 금형의 부위를 위치시켜, 금형의 공동부에 용융 플라스틱 소재를 주입함으로써 성형을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 1 발명에 따르면, 배출 포트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는 약제 백 개통 시의 팽창에 의해 파괴 또는 회동함으로써 밀봉 부재가 미개통 시 밀봉 부재가 차지하고 있던 배출 포트의 부위가 그대로 약제 백을 배출 포트에 연통하는 개구가 되기 때문에, 약제 백 개통 시에 배출 포트를 확실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 따르면 배출 포트의 개통을 실질적으로 한쪽만으로 함으로써 개폐 부재가 하나로 충분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제 3 발명에 따르면,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의 설치 부위를 배출 포트 축선에 대하여 오프셋 시킴으로써, 약제 백 개통 시에 용착부를 통하여 밀봉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을 크게 하여, 보다 확실한 개통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있어서 밀봉 부재를 오프셋이 큰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확실한 개통 동작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측에 대한 반대측의 용착부를 약제 백 내부 공동측으로 옮겨 놓음으로써 큰 외력을 밀봉 부재에 가할 수 있다.
제 4 및 제 5 발명에 따르면, 멸균 시에 제 2 개구부를 개방시켜 둠으로써, 약액 백 내의 약제가 가열에 의해 증기가 되어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 포트 내에 충만되고, 배출 포트의 멸균을 습열 하에서 행할 수 있어, 멸균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발명을 통하여, 밀봉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취약부에 의해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성형의 용이성과 개통 동작의 확실성을 실현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통상 상태에 있어서 박육부(薄肉部)에 의해 배출 포트의 잔여 부위와 일체화되고, 개통 시에 있어서 박육부가 파괴되도록 하고, 이로써 개통의 확실화를 실현할 수 있다. 배출 포트는 수지로부터의 사출 성형품으로 할 수 있고, 이 경우 형 추출 상태에서는 개방 구조로 하는 것이 두께 관리상에서의 금형 수명 연장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방 구조의 선단 부분은 형 성형 후의 용착 등의 2차 가공에 의한 밀봉 부분으로 한다.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의 설치면의 경사 구조에 의해 확실한 개방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수지에 의한 배출 포트의 형 성형 시에 수지의 유동 저항에 관계없이 중심부를 금형에 대한 센터링을 유지하여 성형을 행할 수 있어, 성형품인 배출 포트의 두께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실 용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실 용기의 부분적 단면도이며, 도 1의 II-II선을 따라서 나타나는 화살표로 본 도면.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 전단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IV-IV선에 따른 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V-V선에 따른 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6은 약제 백 개통 시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 접속부의 부분도.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백 개통 시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 접속부의 부분도이며, 도 7a는 폐쇄 상태, 도 7b는 개통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백 개통 시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 접속부의 부분도이며, 도 8a는 폐쇄 상태, 도 8b는 개통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의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백 개통 시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 접속부의 부분도이며, 도 9a는 폐쇄 상태, 도 9b는 개통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의 선단 단면도이며, 도 10a는 성형 마무리 상태를 도시하고, 도 10b는 선단을 2차 가공으로써 밀봉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의 선단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의 선단부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a는 폐쇄 상태, 도 14b는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XV-XV선에 따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의 부분적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의 멸균 공정 실시 시의 부분적 단면도.
도 18은 약제 백 개통 시에 있어서의 도 16의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 접속부의 부분도.
도 19는 도 16의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의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금형 배치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복실 용기는 약제의 수납을 위한 평탄형의 약제 백(외부 백; 10)과, 약제 백(10)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배출 포트(12)로 구성된다. 약제 백(10)은 두께 200미크론과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다층 구조의 가요성 필름(본 발명의 가요성 소재)을 소재로 한다. 2장의 합성수지 필름 절단편(切片)은 그 외주에서 그 연화 온도보다 충분히 높은 고온(폴리에틸렌의 경우는 130℃)에서 가압됨으로써 형성된 강(强)시일부(14)에 의해 밀봉되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주머니 모양을 하고 있다. 이 약제 백(10)은, 상기와 같은 필름으로부터의 주머니 제작(制袋)에 의한 것 외에, 튜브형 인플레이션 필름으로의 주머니 제작이나, 블로우 성형에 의한 용기로 할 수도 있다. 강시일부(14)에는 매닮 구멍(16; 懸垂孔)이 천공되고, 이 매닮 구멍(16)에 의해 약제 백(10)을 점적대(点滴臺) 등에 매달아 보유하고, 점적이나 투석(透析) 작업을 행하게 된다.
약제 백(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간 부위에 있어서 전체 폭에 걸쳐 약시일부(18; 본 발명의 격벽)가 연장되어 있고, 약시일부(18)에 의해 약제 백(10)의 표리 대향 내면이 접착되고, 약제 백(10)의 내부 공동은 제 1 격실(20)과 제 2 격실(22)로 구획된다. 제 1 격실(20)에 제 1 약액이 충전되고, 제 2 격실(22)에 제 2 약액이 충전된다. 약시일부(18)는 약제 백(10)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 절단편의 표리면을 그 연화 온도보다 약간 높은 저온(폴리에틸렌의 경우는 120℃)에서 가압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격실(20)과 제 2 격실(22)에 각각의 약액을 수용한 상태로 격실(20, 22)의 부위에 있어서 약제 백(10)에 있어서의 약액을 외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강시일부(14)는 그대로 약시일부(18)를 유체압(가압시의 약액의 압력)으로 파괴·개통시켜, 제 1 약액과 제 2 약액을 혼합할 수 있다.
배출 포트(12)는,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성(剛性)을 가진 두께를 가진 합성수지(약제 백(10)과의 밀착성을 얻기 위해서 약제 백(10)과 동일 플라스틱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의 성형품이다. 배출 포트(12)는 전체로서는 통형을 이루고, 원형 단면의 기부(12-1)의 외주에 약제 백(10)을 구성하는 상하의 합성수지 필름이 강고하게 용착되어 강시일부(14)에 있어서의 배기 포트(12)의 외주 부분(14-1)을 구성하고 있다. 기부(12-1)보다 외측에서는 테이퍼부(12-2)를 사이에 두고 직경 확대부(12-3)에 연결되고, 직경 확대부(12-3)의 단부의 플랜지부(12-4)에는 캡(24)이 충돌하여 용착되고, 캡(24)의 저면 개구부에는 고무제 내측 뚜껑(26)이 장착되어 점적 등의 수액 시에는 수액 세트의 천자침에 의해 내측 뚜껑(26)을 천자하여, 약제 백(10)의 내부 공동을 수액 튜브에 연통시켜, 수액을 행하게 된다. 원형 단면의 기부(12-1)는 약제 백(10)의 내부 공동에 연장되어 돌출하고, 테이퍼부(12-5)를 사이에 두고 직사각형 단면부(12-6; 본 발명의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약제 백 내부를 향한 연장 돌출 부위)에 연결된다. 직사각형 단면부(12-6)는 단면(12-6')은 상면으로부터 보아 둥그스름함을 띠면서 폐쇄되어 있다(도 3). 약제 백 내부에 연장되어 돌출하여 위치하고 있는 직사각형 단면부(12-6) 상벽면에 그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홈부(30)가 형성되고, 홈부(30)는 상면으로부터 보아 U형상을 이루고, U형상의 다리부는 테이퍼부(12-5)와의 연결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고, 홈부(30)의 저면에 있어서의 박육 부분(30')은 약제 백 개통 시의 외력에 의해 파괴되는 취약부를 구성하고, 그 내측의 본래의 두께가 두꺼운 U형 윤곽부(33)가 남겨지고, 이 U형 윤곽부(33)가 본 발명의 밀봉 부재가 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부재로서의 U형 윤곽부(33)는 취약부로서의 홈부(30)를 사이에 두고 배출 포트(12)의 잔여의 부위와 일체화되어 있어, 통상 시에는 배출 포트(12)를 약제 백(10)으로부터 밀봉·분리하고 있다. 또한, 직사각형 단면부(12-6) 상벽면에 있어서의 내측면에 폭 방향으로 홈부(32)가 형성되고, 홈부(32)는 약시일부(18) 개통 시의 외력에 의해 홈부(30)를 따라서 직사각형 단면부(12-6) 상벽면이 파괴·분리되었을 때, 이 파괴·분리 부분의 내측 부분인 U형 윤곽부(33)를 풀 탭 방식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기점(일체 경첩)이 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즉, 배출 포트(12)에 대향하는 약제 백의 상하면만에 있어서 U형 윤곽부(33)는 설치되고, 본 발명은 U형 윤곽부(33)는 배출 포트(12)의 한쪽만에 있어서 배출 포트(12)의 개폐를 행하도록 기능한다.
U형 윤곽부(33)는 약제 백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필름 내층에 레이저 용착 등에 의해 포인트형으로 용착(포인트 시일)되어 있다. 포인트 시일부를 34로 나타낸다. 이 포인트 시일부(34)는, 용착 온도는 강시일부(14) 형성 시의 온도와 동등하고, U형 윤곽부(33)를 박리 불능으로 강고하게 접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시일부(18)의 개통 시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와의 접합부에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시켜서, U형 윤곽부(33)에 인장 방향의 외력을 가하여, U형 윤곽부(33)를 취약부(30')에서 파괴·개통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한편, 약제 백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팽창 변형에 의한 외력을 포인트 시일부(34)에 효율적으로 가하기 위해서, 포인트 시일부(34)와 반대측(U형 윤곽부(33)의 형성면과 대향한 직사각형 단면부(12-6)의 하면측)에 있어서도 배출 포트(12)는 약제 백 대향면과 박리 불능으로 용착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용착부를 34'로 나타낸다.
약제 백(10)의 개통 시, 약제 백(10)은 책상 위 등에 재치되고, 약제 백은 격실(22) 또는 격실(20) 또는 쌍방에 있어서의 약액 수용 부위에서 손바닥 등으로 가압되고, 가압에 의해 액체압이 약시일부(18)의 부위에 가해져, 약시일부(18)를 구성하는 상하의 합성수지 필름층을 박리·개통시킨다. 약시일부(18)의 개봉 시에, 약제 백(10)은 확장 개방되고, U형 윤곽부(33)는 약제 백(10)의 대향 내면에 포인트 시일부(34)로써 강고하게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U형 윤곽부(33)에 약제 백 확장 개방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고, 취약부(30')에서 파괴가 야기되고, U형 윤곽부(33)는 일체 경첩부(32)를 힌지로서 도 6과 같이 반경 외방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약제 백 내부를 배기 포트(12) 내부에 연통시키는 개구(36; 본 발명의 개구부 또는 제 1 개구부)가 형성되어, 약제 백 내부의 약제를 배기 포트(12)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미개통 시에 밀봉 부재로서의 U형 윤곽부(33)가 점유하고 있던 배출 포트(12)의 부위가 그대로 약제 백(10) 내부를 배출 포트(12)에 연통시키는 개구(36)를 형성한다. 즉, 개통 시의 밀봉 부재로서의 U형 윤곽부(33)의 개도가 그대로 약제 백 내부를 배출 포트(12)에 연통시키는 개구의 크기가 되기 때문에, 약제 백(10)의 개통 시의 배출 포트(12)의 확실한 개통과 필요한 개도(유량)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배출 포트(12)의 기부(12-1)로부터 통형부(40)가 약제 백 내부에 연장되어 돌출하고 있고, 통형부(40)의 단면(40-1)은 닫혀 있고, 통형부(40)는 그 전체가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다. 약제 백(1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의 상하층은 박육의 통형부(40)의 대향면에 강고하게(박리 불능으로) 용착되고, 용착부를 34로 나타낸다. 통형부(40)가 본 발명의 밀봉 부재가 된다.
약제 백 개통 시에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백이 팽창됨으로써 약제 백에 용착된 배출 포트의 박육부(40)에 외력이 가해져, 박육 통형부(40)는 이 외력에 의해 파괴되고, 약제 백 내부 공동이 배출구(12)의 내부에 연통된다. 도 7b는 박육 통형부(40)에 있어서의 약제 백 용착부(40-1)가 분리되고, 배출 포트(12)에 약제 백 내부를 배출 포트 내부에 연통시키는 개구부(42)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박육 통형부(40)의 파괴 형태는 도 7b에 한정되지 않고, 약제 백 개통 시에 전체가 조각조각으로 파괴되어 버려도 상관없으며, 한쪽만 파괴되어도 상관없다.
도 8a, 도 8b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미개통 상태를 도시하는 도 8a에 있어서 배출 포트(12)에 있어서의 약제 백 내부 공동을 향한 연장 돌출 부위인 직사각형 단면부(12-6)는 배출 포트(12)의 축선에 대하여 오프셋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 단면부(12-6)는 하면이 배출 포트 기부(12-1)와 한 면이며, 상면측은 높이 H의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직사각형 단면부(12-6)의 상면측에 본 발명의 밀봉 부재가 되는 U형 윤곽부(33)가 형성되고, 취약부를 구성하는 U자홈(30)을 사이에 두고 잔여 부위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제 1 실시형태(도 3)와 같다. 도 8에 있어서, 약제 백(1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은 상층이 U형 윤곽부(33)에 포인트 시일(34)되고, 하층은 직사각형 단면부(12-6)의 하면에 포인트 시일(34')되어 있는 것은 이전의 실시형태와 같다. 도 8(이하의 도 9에서도 동일함)에서는, 다른 부위와의 구별을 위해 포인트 시일부(34, 34')는 다른 부위보다 굵은 선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도 8b는 개통 시의 약제 백(10)의 확장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화살표f 방향으로 힘이 U형 윤곽부(33)에 가해져, 취약부로서의 홈(30)에서 파단함으로써 U형 윤곽부(33)가 회동하여, 배출 포트(12)가 개통 상태에 이르는 것은 같다. 그리고, 약제 백(1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필름 상층이 용착되는 U형 윤곽부(33; 본 발명의 밀봉 부재)는 배출 포트(12)에 대한 약제 백의 용착부(14-1; 강시일부)에 대하여 크게 오프셋하고 있으므로(오프셋량 H), 약제 백(10)의 확장 개방 변위에 의해 U형 윤곽부(33)에 가해지는 힘 f가 커져, 확실한 개통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9a, 도 9b는 도 9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변경 부분은, 밀봉 부재로서의 U형 윤곽부(33)에 대한 약제 백(10)의 상층의 포인트 시일부(34)에 대하여, 반대측에 있어서의 약제 백(10)의 하층의 포인트 시일부(34')를 약제 백 내부 공동측으로 옮겨 놓은 것이다. 이 경우, 개통 시의 약제 백(10)의 확장 개방(팽창)에 의해 U형 윤곽부(33)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도 9b가 되고, 도 8b의 f와 비교하여 U형 윤곽부(33)에 대하여 보다 직각에 가까운 방향에서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밀봉 부재로서의 U형 윤곽부(33)에 가해지는 힘의 값은 커져, 보다 확실한 개통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0a, 도 10b는 도 1, 도 8, 도 9와 같이 표면에 U형상 홈(30)을 형성함으로써 그 저면에 박육부(30')를 설치한 경우의 변형 실시형태이다. 즉, 이들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출 성형품인 배출 포트(12)는 단면(12-6')에서 폐쇄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한편, 사출 성형 시, 배출 포트(12)의 외형에 따른 내측 오목면을 구비한 외금형 내에 배출 포트(12)의 중심 구멍 형상에 따른 외형의 코어 핀(중심부)을 배치하고, 그 사이의 형 틈에 수지를 따라 넣어 성형한다. 박육부(30')를 구비한 배출 포트(12)를 성형한 경우에 사출 성형 금형 내에 있어서의 박육부(30')의 형성에 주어지는 오목형 부위로의 수지의 흐름이 좋지 않지만, 폐쇄 구조이기 때문에 그 오목형 부위까지의 수지의 충분한 흐름을 얻기 위해서 사출 압력을 어떻게든 높일 필요가 생기지만, 압력 증대는 코어 핀의 휘어짐을 야기시켜, 박육부(30')의 두께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코어 핀의 휘어짐은 금형의 수명을 단축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에 대처하기 위해 도 1O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포트(12)는 선단에 박육 통형부(50)를 내주에서 한 면이 되도록 연장하여 돌출시켜, 단면 개방 구조의 사출 성형품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성형 시에 있어서 박육부가 되는 오목형 부위로의 두께의 흐름이 안정되어, 설정 두께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고, 또 금형 수명의 연장을 실현할 수 있다. 금형으로부터 추출하는 물품에 있어서는 박육 통형부(50)는 개방된 상태이지만, 2차 가공에서 가압 가온 하에서 눌러 용착함으로써 도 10b와 같이 밀봉부(50)로 하여, 폐쇄 구조화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밀봉 부재(33)를 약제 백(10)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시킨 것이다. 즉, 배출 포트(12)의 원형 단면의 기부(12-1)로부터의 일체 연장 돌출부(12-6)는 의(擬)삼각형상 또는 주먹밥 형상의 단면을 이루고, 일체 연장 돌출부(12-6)의 상면(의삼각형상의 경사면; 52)은 약제 백(10)의 평면(수평면)에 대하여 약 45도와 같은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 상면에 밀봉 부재(33)는 박육 취약부를 형성하기 위한 U형상 홈(30)으로 둘러싸여 있고, 포인트 시일부(34)에 의해 약제 백(10)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 상층에 강고하게 용착되고, 또 경사면(52)에 대향하는 일체 연장 돌출부(12-6)의 수평인 저면(54)에 약제 백(10)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 하층이 포인트 시일부(34')에 의해 강고하게 용착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제 백 개통 시(약시일부 박리시)에 있어서의 약제 백(10)의 팽창은 배출 포트(12)의 일체 연장 돌출부(12-6)에 있어서의 상하의 용착부(34, 34')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힘을 가하지만, 용착부(34, 34')사이의 간격이 좁은 측으로 맨 먼저 집중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U형상 홈(30)에 있어서의 하측 부위(30A)에 있어서의 박육부(30')가 맨 먼저 파괴되어, 여기에서부터 파괴가 약제 백(10)의 확장 개방에 동반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밀봉 부재(33)의 확실한 파괴 개통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배출 포트(12)의 일체 연장 돌출부(12-6)는 그 전단면(54)이 경사져 있고, 이 경사면(54)에, 박육 취약부를 형성하기 위한 U형상 홈(30)으로 둘러싸인 밀봉 부재(33)가 형성되고, 밀봉 부재(33)는 약제 백(10)의 대향 상층에 용착부(34)에서 포인트 시일되고, 약제 백의 하층은 용착부(34')에서 배출 포트(12)의 일체 연장 돌출부(12-6)의 하면에 용착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형상 홈(30)의 양단은 경사면(54) 상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또한 일체 연장 돌출부(12-6)의 상면에 있어서는 양측의 직선형 홈(30-1)에 연결되고, 직선형 홈(30-1)은 배출 포트 기부(12-1)와의 접속부 부근(밑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밀봉 부재(33)가 경사면(54)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 백 개통 시의 팽창에 의해, 간격이 좁은 측의 취약부를 구성하는 U형상 홈(30)에 있어서의 하방 부위(30A; 도 14a)에 힘이 집중적으로 가해져, 이 부위가 맨 먼저 파괴되기 때문에, 이후의 약제 백의 팽창에 의해 파괴를 진행시켜, 밀봉 부재(33)의 확실한 개방 동작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b는 약제 백(10)의 팽창에 의해 밀봉 부재(33)가 분리되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U형상 홈(30)에 연결되는 직선형 홈(30-1; 도 13)이 배출 포트 기부(12-1)와의 접속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 포트(12)의 내부 통로(12')는 약제 백(10)을 매단 수액 상태에 있어서의 약제 백 내부에 그 바닥 부근에 있어서 개구하기 위해 약제 백(10)내의 약액을 잔여액 없이 또는 최소한으로 하여 배출할 수 있다.
도 16 이하는 도 1 내지 도 6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으로서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이 실시형태는 복실 용기의 제조 시에 배출 포트의 멸균을 약액 백에 수용된 약액을 가열하고, 그 결과 생긴 약액 증기에 의해 습열 하에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습열 하의 가열에 의해 멸균이 효율적으로 되어, 건식에서의 멸균보다 우수하다. 구성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은, 밀봉 부재로서의 U형 윤곽부(33)에 대향한 배출 포트(12)의 직사각형 단면부(12-6)에 연통 구멍(60; 본 발명의 제 2 개구부)이 형성되어 있고, 출하 상태에서는 연통 구멍(60)은 용착부(34')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이다. 즉, 용착부(34')는 약제 백(1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필름 절단편을 박리 불능인 온도로 가압함으로써 배출 포트(12)의 직사각형 단면부(12-6)에 용착됨으로써 구성된다. 연통 구멍(60)의 치수로서는 액 흐름의 자유로운 유통은 저지하지만 약액 증기의 연통은 가능하게 하는 예를 들면 0.1mm 내지 3mm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의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의 멸균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멸균 공정전의 복실 용기를 도 17에서 도시하고, 약액 백(10)의 U형 윤곽부(33) 및 이것에 대향한 직사각형 단면부(12-6)에 대한 약액 백 대향면의 용착, 즉, 용착부(34, 34')의 형성은 미완료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약액 백(10)의 외주 강시일부로의 배출 포트(12)의 장착 및 약시일부(18)에 의해 형성된 격실(20, 22)로는 약액의 충전은 완료되어 있다. U형 윤곽부(33)는 배출 포트(12)와 일체이지만, 연통 구멍(60)이 개방이기 때문에, 격실(20)은 연통 구멍(60)을 통하여 배출 포트(12)에 개방하고 있지만, 연통 구멍(60)의 개구 면적은 작기 때문에 배출 포트(12)로의 자유로운 액 흐름은 실질적으로 저지되어 있다. 연통 구멍의 멸균을 위해 약액 백(10)은 적당한 온도로 가열되고, 배출 포트(12)에 근접측인 격실(20)의 약액의 증기가 발생하고, 이 약액 증기는 연통 구멍(60)을 통하여 배출 포트(12)에 화살표와 같이 유입되고, 배출 포트(12)에 유입되는 약액 증기에 의해 배출 포트(12)의 멸균이 행해진다. 멸균 공정 완료 후에 배출 포트의 직사각형 단면부(12-6)를 끼워서 약액 백(16)을 구성하는 상하 합성수지 필름 절단편은 용착 도구에 의해 협착되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착부(34, 34')가 형성된다.
도 18은 격실 간의 약액 혼합을 위한 개통 시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12)와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약액 백(10)의 확장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기본적으로는 도 6과 같고, 약액 백(10)이 용착부(34, 34')에 의해 용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개통 시의 약액 백(10)의 확장 개방은 밀봉 부재로서의 U형 윤곽부(33)를 개방시켜, 개구(36)가 형성되고, 혼합 약액이 배출 포트(12)에 유입된다.
도 18은 도 16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12)의 합성수지에 의한 성형 공정을 설명하면, 성형용 금형은 한 쌍의 분할형(외형; 72, 74)과, 중심부(코어 핀; 76)로 이루어지고, 분할형(72, 74)과, 중심부(76) 사이에 도 16의 배출 포트(12)의 윤곽 형상에 따른 공동(78)이 형성된다. 도 16의 배출 포트(12)에 있어서의 U형 윤곽부(33)를 형성하는 분할형(72)의 오목부는 72A로 나타나고, 홈부(30)를 형성하는 분할형의 볼록줄은 72B로 나타난다. 그리고, 중심부(76)의 돌기(76A)는 배출 포트(12)에 있어서의 일체 경첩부(32)를 형성하는 부위가 된다. 다른 한편, 분할형(74)의 돌출부(74A)는 도 16의 배출 포트(12)에 있어서의 연통 구멍(60)의 형성 부위이며, U형 윤곽부(33)를 형성하는 분할형(72)의 오목부(72A)와 대향하여 위치한다. 배출 포트(12)의 형(型) 성형을 위해, 분할형(72, 74)과, 중심부(76) 사이의 형 공동에 합성수지 용액이 파선 화살표와 같이 유입되지만, 중심부(76)의 돌출부(76A)나 분할형(72)의 볼록부(72B)는 유로가 좁아지고 있어, 저항이 되기 때문에, 하단에서 프리인 중심부(76)는 분할형(74) 측에 즉 가로방향으로 가압되지만, 분할형(74)의 돌출부(74A)가 중심부(76)의 선단에 접촉한 배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방향의 가압력에 관계없이 중심부(76)는 본래의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품으로서의 배출 포트(12; 도 16)의 홈부(30)의 저면의 박육 부분(30')의 두께를 원하는 대로 유지할 수 있다. 박육 부분(30')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도 6에서 설명한 개통 시에 있어서의 박육 부분(30')의 파단 및 그것에 동반하는 밀봉 부재로서의 U형 윤곽부(33)가 소기의 해리 동작을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형 성형 시의 중심부의 위치 관계를 원하는 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께를 언제나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O : 약제 백 12 : 배출 포트
12-1 : 배출 포트 기부 12-6 : 배출 포트 직사각형 단면부
14 : 강(强) 시일부 18 : 약(弱) 시일부(본 발명의 격벽)
20,22 : 제 1 , 제 2 격실 26 : 고무제 내측 뚜껑
30 : 홈부 30' : 취약부
32 : 일체 경첩부 33 : U 형상부
34 : 포인트 시일부 36 : 개구부

Claims (15)

  1.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상기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약제 백 내부를 향한 연장 돌출 부위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통상 상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약제 백의 대향면에 연결되어,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밀봉 부재는 개방되고, 미개통 시에 밀봉 부재가 점유하고 있던 배출 포트의 부위가 그대로 약제 백 내부를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되는 복실 용기.
  2.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상기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약제 백 내부를 향한 연장 돌출 부위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통상 상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개방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약제 백 대향면에 연결되어, 배출 포트의 개통이 실질적으로 한쪽에서만 행해지는 복실 용기.
  3.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와,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상기 배출 포트에 있어서의 약제 백 내부를 향한 연장 돌출 부위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통상 상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개방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약제 백 대향면에 연결되고, 또한 밀봉 부재가 설치되는 배출 포트의 상기 연장 돌출 부위는 배출 포트 축선에 대하여 오프셋 배치되어 있는 복실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배출 포트의 상기 연장 돌출 부위에 있어서의 오프셋량이 큰 측에만 설치되는 복실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약제 백 대향면과의 용착 부위는 밀봉 부재측에 있어서의 약제 백 대향면과의 용착 부위에 대하여 약제 백 내부 공동측으로 옮겨 놓는 복실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배출 포트에 대하여 외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복실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배출 포트에 대하여 외력에 의해 파괴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복실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통상 상태에 있어서 박육부에 의해 배출 포트의 잔여의 부위와 일체화되어, 개통 시에 있어서 박육부는 파괴되는 복실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포트는 수지로부터의 성형품이며, 형 추출 상태에서는 개방 구조인 선단 부분이 2차 가공에 의한 밀봉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복실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가 설치되는 배출 포트의 면은 경사져 있는 복실 용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육부는 약제 백과의 연결 부위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는 복실 용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포트에 멸균 시의 연통용의 제 2 개구부를 설치하고, 제 2 개구부를 통상 시에 있어서 약액 백 대향면에서 밀봉하는 복실 용기.
  13.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약액 백 내부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의 부위에 설치되고, 통상 상태에 있어서 배출 포트를 약액 백 내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폐쇄하고,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개방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연통시키는 제 1 개구부를 형성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배출 포트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의 습열 하의 멸균 시에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개구시키고, 통상 시에는 약액 백의 대향면에 의해 밀봉되는 제 2 개구부를 구비한 복실 용기.
  14.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상기 배출 포트에 설치되고, 수액 시에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개구시키는 개구부와, 약액 백 대향면에 연결되고, 통상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한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포트의 습열 하에서의 멸균 방법으로서, 상기 배출 포트에 제 2 개구부를 천공하고, 제 2 개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복실 용기 내의 약제를 가열함으로써 배출 포트의 습열 하에서의 멸균을 행하고, 멸균 후에 제 2 개구부를 약액 백 대향면에서 밀봉하는 복실 용기의 멸균 방법.
  15.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된 약제 백과, 약제의 배출을 위해 약제 백에 장착된 배출 포트와, 약제 백 내부를 각각의 약제의 수납을 위한 복수의 격실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에 수납된 약제의 혼합을 위해 약제 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박리 개통되도록 약제 백의 대향 내면을 용착하여 구성되는 격벽과, 약액 백 내부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의 부위에 설치되고, 통상 상태에 있어서 배출 포트를 약액 백 내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폐쇄하고, 격벽의 박리 개통 시의 약제 백의 확장 개방에 연동한 외력에 의해 개방하고,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연통시키는 제 1 개구부를 형성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배출 포트에 설치되고, 배출 포트의 습열 하의 멸균 시에 배출 포트를 약제 백 내부에 대하여 개구시키고, 통상 시에는 약액 백의 대향면에 의해 밀봉되는 제 2 개구부를 구비한 복실 용기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 성형할 때, 배출 포트의 윤곽 형상에 따른 공동을 형성하는 외형과 중심부로 이루어지는 금형을 준비하고, 금형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의 형성 부위와 대향한 금형의 부위에 제 2 개구부를 형성하는 금형의 부위를 위치시키고, 금형의 공동부에 용융 플라스틱 소재를 주입함으로써 성형을 행하는 방법.
KR1020107000939A 2007-07-17 2008-06-05 복실 용기 KR101532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6024 2007-07-17
JPJP-P-2007-186024 2007-07-17
PCT/JP2008/060334 WO2009011179A1 (ja) 2007-07-17 2008-06-05 複室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290A true KR20100040290A (ko) 2010-04-19
KR101532257B1 KR101532257B1 (ko) 2015-06-29

Family

ID=4025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939A KR101532257B1 (ko) 2007-07-17 2008-06-05 복실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17133B2 (ko)
EP (1) EP2177199A4 (ko)
JP (2) JP5365871B2 (ko)
KR (1) KR101532257B1 (ko)
WO (1) WO20090111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13783A1 (en) * 2017-05-31 2020-04-16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5722B2 (ja) * 2010-03-30 2014-07-02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容器
JP5594687B2 (ja) * 2010-06-02 2014-09-24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剤排出具、及び薬剤排出具を用いた複室容器
FR2987036B1 (fr) * 2012-02-22 2014-02-28 Maco Pharma Sa Recipient pourvu d'une chambre d'etancheite traversee par un conduit d'ecoulement
US20190045620A1 (en) * 2014-07-09 2019-02-07 Schreiner Group Gmbh & Co. Kg Sensor device with a flexible electrical conductor structure
CN104443467B (zh) * 2014-11-28 2016-10-05 山东新华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多室输液软袋生产线
USD927683S1 (en) * 2017-07-17 2021-08-10 B. Braun Melsungen Ag Clinical application system for the administration of drugs and feeds
USD900311S1 (en) 2018-05-18 2020-10-27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EP3796883A2 (en) * 2018-05-18 2021-03-31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method of making and drug product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196A (ja) * 1994-08-09 1996-02-27 Material Eng Tech Lab Inc 薬剤連結口を有する輸液容器
JP4041303B2 (ja) * 2001-11-27 2008-01-30 テルモ株式会社 輸液用容器
WO2004047714A1 (en) 2002-11-28 2004-06-10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Multiple-chamber medical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299553B2 (ja) 2003-02-20 2009-07-22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容器
JP2005245960A (ja) * 2004-03-08 2005-09-15 Terumo Corp 医療用容器
EP1762213B1 (en) * 2004-04-08 2013-07-10 Ajinomoto Co., Inc. Sealedbody containing medicine
JP4679838B2 (ja) * 2004-06-02 2011-05-11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用薬液容器
EP1779831B1 (en) * 2004-07-09 2013-08-21 Ajinomoto Co., Inc. Sealed article having drug stored therein
JP4599918B2 (ja) * 2004-07-09 2010-12-15 味の素株式会社 薬剤収納封止体及び薬剤収納封止体の形成方法
JP4472571B2 (ja) 2004-08-25 2010-06-02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容器用筒状体、医療用容器用薬剤容器、医療用容器用排出ポートおよび医療用容器
JP4928799B2 (ja) * 2005-02-17 2012-05-09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複室容器
JP4962733B2 (ja) 2005-11-14 2012-06-27 味の素株式会社 複室容器
JP4391503B2 (ja) * 2006-08-04 2009-12-24 株式会社クラレ ジエン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61669A (ja) * 2006-09-05 2008-03-21 Ajinomoto Co Inc 複室容器
WO2008056605A1 (fr) * 2006-11-06 2008-05-15 Ajinomoto Co., Inc. Récipient à multiples chambres
KR20090105943A (ko) * 2007-02-01 2009-10-07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복실 용기
WO2008136452A1 (ja) 2007-04-27 2008-11-13 Ajinomoto Co., Inc. 複室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13783A1 (en) * 2017-05-31 2020-04-16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497683B2 (en) * 2017-05-31 2022-11-15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744776B2 (en) 2017-05-31 2023-09-05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7199A1 (en) 2010-04-21
JP5365871B2 (ja) 2013-12-11
US8617133B2 (en) 2013-12-31
JP5418649B2 (ja) 2014-02-19
WO2009011179A1 (ja) 2009-01-22
EP2177199A4 (en) 2014-06-11
KR101532257B1 (ko) 2015-06-29
US20100179505A1 (en) 2010-07-15
JP2013006060A (ja) 2013-01-10
JPWO2009011179A1 (ja)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290A (ko) 복실 용기
JP4463205B2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10084B1 (ko) 복실 용기
JP4958581B2 (ja) 輸液バッグ用ポート部材、及び輸液バッグ
WO2014104281A1 (ja) 複室容器
CN202426872U (zh) 多立管密封盖
JP6564491B2 (ja) 複室容器
RU2675782C2 (ru) Контейнер, имеющий головку контейнера, который заполнен или может быть заполнен веществом
WO2010082649A1 (ja) 複室容器
JP6091156B2 (ja) 医療用容器、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シール金型
JP2007190161A (ja) 複室容器
JP4834260B2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容器の製造方法
JP5078385B2 (ja) 医療用容器
JP5491814B2 (ja) 複室容器
JP5594687B2 (ja) 薬剤排出具、及び薬剤排出具を用いた複室容器
JP5605181B2 (ja) 薬液用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の製造方法及び薬液用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
JP7007387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製品
JP4599918B2 (ja) 薬剤収納封止体及び薬剤収納封止体の形成方法
JP5223244B2 (ja) 複室容器
JP7373990B2 (ja) 輸液用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薬剤容器
JP4962734B2 (ja) 複室容器
KR101964383B1 (ko) 의료용 수액백
JP2001314484A (ja) 医療用複室容器および製造方法
JPH08295351A (ja) 2室輸液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