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851A - 경첩식 하우징을 구비한 전압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경첩식 하우징을 구비한 전압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851A
KR20040087851A KR1020030086414A KR20030086414A KR20040087851A KR 20040087851 A KR20040087851 A KR 20040087851A KR 1020030086414 A KR1020030086414 A KR 1020030086414A KR 20030086414 A KR20030086414 A KR 20030086414A KR 20040087851 A KR20040087851 A KR 20040087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former
housing part
plug
hous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316B1 (ko
Inventor
미카엘 보테
카이 반젠하센트
미카엘 벡크스
Original Assignee
프리보 모빌 파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보 모빌 파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보 모빌 파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8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6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mounted on directly pluggable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전압원에 접속가능한 주 플러그(3, 4)와, 단말기에 접속가능한 단말기 플러그(8)와, 전압 변환 회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12)을 포함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2)은 제1 하우징 부품(2)과, 안내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에 움직일수 있게 접속되며 그 안에 상기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9)으로 구현되는 제2 하우징 부품(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1)는 운반 위치로부터 충전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충전 중에, 특히 운반 중에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1)의 휴대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부품들(2, 6)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점유된 공간이 상기 충전 위치에서 점유된 공간 보다 작아지도록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다.

Description

경첩식 하우징을 구비한 전압 트랜스포머{Voltage transformer with hinged housing}
본 발명은 전압 트랜스포머(voltage transformer)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는 주 전압원(mains voltage source)에 접속가능한 주 플러그(mains plug)와, 단말기(terminal)에 접속가능한 단말기 플러그(terminal plug)와, 전압 변환 회로(voltage transforming circuit)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부품과, 안내 수단(guide means)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에 움직일 수 있게 접속되며 그 안에 상기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reception means)으로 구현되는 제2 하우징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는 운반 위치로부터 충전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통신과 연예 오락 기술 분야에 사용되는 현대의 이동 단말기들, 특히 MP3 플레이어, 이동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하 'PDA'라 함)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에는 전류 저장 어큐뮬레이터 장치(current-storing accumulator unit)들이 구비되어 주로 독립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지금도, 이러한 이동 단말기들은 상기 어큐뮬레이터 장치들을 충전하기 위해서 주 전압원에 접속되어야만 한다. 이용가능한 주 전압이 상기 어큐뮬레이터 유닛들을 충전하는데 필요한 충전 전압과 다를 때에는, 전압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주 전압을 충전 전압으로 변환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전압 트랜스포머는 주 전압원에 대한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접속 용이성을 가져야만 하고 또한 충전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접속 용이성을 가져야만 한다.
종래 기술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류를 공급하고 충전하기 위한 여러 전압 트랜스포머들이 개시되어 있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전압 트랜스포머들로는 2차 케이블을 통하여 단말기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전원공급장치(plug-in power supply unit)들이 있다. 일부 전압 트랜스포머들의 경우, 전압 변환 회로가 상기 주 플러그의 하우징 안에 일체로 형성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변환 회로의 2차 측면은 플러그인형 케이블(plug-in type cable)을 통해서 상기 단말기에 접속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로 인해 전압 손실이 상기 2차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한 전압 손실은 현대 단말기들의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유럽특허공보 제1 060 559호(EP 1 060 559 B1)는 트랜스포머 회로가 상기 단말기 플러그와 함께 강성 구조 유닛(rigid structural unit)을 한정하고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2차 라인들의 길이는 이런 방식으로 가능한 한 짧게 유지된다. 상기 구조 유닛은 상기 트랜스포머 회로의 1차 측면 상의 케이블을 통하여 주 전압원에 접속된다.
종래 공지된 전압 트랜스포머들은 그들의 구조적 형상이 운반용으로는 간편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동 단말기용 전압 트랜스포머들은 상기 단말기가 언제라도 충전될 수 있도록 단말기처럼 그 자체로 자주 운반된다. 따라서,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는 구조적 형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특허 제6,462,975호에서 절첩식 주 플러그 핀(mains plug pin)들을 제공함으로써 전압 트랜스포머의 휴대성을 개선하고자 하였지만, 접속 케이블로 인해서 기초 수준의 성공이었으며, 전압 트랜스포머는 운반용으로는 아직도 간편하지 않다.
또한, 공지된 전압 트랜스포머들이 작동될 때, 상기 단말기가 놓여질 수 있는 특정 장소가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가 접속될 수 있도록 주 소켓(mains socket)에 가까운 장소에 놓여져야만 한다.
가장 가까운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독일실용신안공개공보 제 202 11 132호(DE 202 11 132 U1)는 상술한 두 문제점들의 해결책에 대한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는 이동 전화용 휴대 충전 수단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이동전화는 전원 유닛, 선, 플러그, 이동 전화용 접속부가 하우징과 함께 하나의 본체를 형성하도록 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는 그 상부면 상에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접속부 위에 안전하게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독일실용신안공개공보 제 202 11 132호에서 상기 휴대 충전 수단은 상기 충전 위치로부터 운반 위치로 옮겨질 수 있으며,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휴대 충전 수단의 하우징은, 필요하다면, 별도의 보호 커버(protective cover)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충전 수단이 보호될 수 있으며 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휴대 충전 수단은 그 크기 때문에 여전히 간편하지 않은데, 이는 상기 운반 위치에 부착된 상기 보호 커버에 의해서 그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 중에, 특히 운반 중에 휴대성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종래에 공지되어 있던 전압 트랜스포머들을 개선함에 있다.
앞서 언급된 전압 트랜스포머의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점유된 공간이 상기 충전 위치에서 점유된 공간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움직여질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해결책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전압 트랜스포머의 크기를 상기 충전 위치에서의 크기보다 실질적으로 작아지게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는 수하물 안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심지어 예를 들면 바지 주머니로 운반될 수도 있다.
도 1은 제1 충전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트랜스포머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2 충전 위치에서 도 1의 전압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운반 위치에서 도 1의 전압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도면.
이와 같이 개선된 전압 트랜스포머의 성능은 여러 상호 독립적인 다른 태양들에 의해 개선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태양들은 각각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을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에 움직일 수 있게 접속시키는 상기 안내 수단은 바람직한 다른 태양에 따르면 로킹 위치(locking position)들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에 대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의 고정 위치들을 한정할 수 있으며, 다른 일 및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의 충전 위치들에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상기 제2 하우징 부품간의 상기 안내 수단은 회전 안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두 하우징 부품들이 서로에 대해 다른 각도를 갖는 위치들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주 플러그를 둘러싸며 상기 충전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를 수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은 상기 하우징 부품과 상기 주 플러그, 각각에 대해 보호 케이싱(protective casing)으로 작용한다.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은 특히 상기 주 플러그의 주 플러그 핀들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주 플러그 핀들이 운반 중에 걸리거나 끊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전압트랜스포머는 상기 운반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때, 예를 들면 옷 주머니 안에서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본질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는 제2 충전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충전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부품들은 상기 제1 충전 위치와는 다른 서로에 대한 위치들을 차지한다. 상기 다른 충전 위치들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는 주 소켓들의 다른 위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충전 위치는 벽 소켓(wall socket)에서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다른 충전 위치는 테이블 소켓(table socket)에서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양 충전 위치들은 상기 로킹 위치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수단은 채널(channel)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안에서 상기 단말기는 충전을 위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에 회전 안내 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주 플러그가 주 소켓에 플러그되는 플러그 방향에 대한 상기 삽입 방향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안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하우징 부품들 간의 각도는 약 0°를 이루며, 이로 인해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의 크기가 운반에 바람직한 크기가 된다. 상기 삽입 방향과 플러그인 방향은 이런 경우 서로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부품들은 약 165°내지 195°범위 내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약 180°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전압트랜스포머는 예를 들면 테이블 소켓에서 충전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되며, 상기 삽입 방향과 상기 플러그인 방향은 이 경우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부품들은, 상기 제2 충전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 약 75°내지 90°범위 내의 각도에서,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직각을 이루어 서로로부터 멀리 연장되며, 이로써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는 예를 들면 벽 소켓에서 동작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 방향과 상기 플러그인 방향은 본질적으로 서로를 가로질러 배향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 플러그를 보호하면서 둘러싸고 상기 충전 위치에서 주 소켓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을 움직일 수 있게 상호 접속시키는 상기 안내 수단은 자신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부품까지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면 외부로 연장하는 추가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상기 주 플러그는 국가별 주 소켓(country-specific mains socket)들 또는 예를 들면 자동차 소켓에 적합하게 여러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트랜스포머는 많은 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변환 회로는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안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특히 많은 공간이 절약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포크(fork)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의 피봇 위치들은 상기 포크 단부들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포크형 구조로 인해서, 넓은 단말기들이 수용 수단으로 구현된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킨다.
특히,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독립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을 구현할 수 있으며, 매우 다양한 단말기 플러그들에 적합하게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많은 단말기 제조업자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단지 상기 제2 하우징 부품만이 교체되어야 하는 반면에,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전체 생산라인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특징들은 개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트랜스포머(voltage transformer) 1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은 제1 하우징 부품(first housing component) 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주 전압원(mains voltage source)에 접속하기 위한 두 개의 주 플러그 핀(mains plug pin)들 3과 여기서 육각형상인 본체(body) 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는 주 플러그 3, 4를 한정하며, 그 내부에 전압 변환 회로(미도시), 예를 들면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 상기 주 플러그 3, 4는 플러그인 방향 S에서 주 소켓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 플러그 핀들 3과 상기 주 플러그 본체 4를 포함하는 상기 주 플러그는 적용가능한 주 소켓의 유형에 따라서, 다른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형태는 예를 들면 유럽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현된 유형의 유로 주 플러그(Euro mains plug)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들은 예를 들면 미국 플러그 또는 중국 플러그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주 플러그 핀들 3에 추가하여 접지 접속부(earth contact)를 구비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에는 제2 하우징 부품 6에 접속하기 위한 안내 수단(guide means)이 구비된다. 도 1에서, 상기 안내 수단은 예시적으로 경첩(hinge) 형태의 회전 안내 수단 10으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는 상기 회전 안내 수단 10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에 움직일 수 있게 접속된다.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는 상기 주 플러그 본체 4 다음 단면이 포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 안내 수단 10은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의 포크 단부들 5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하우징 부품들 2, 6이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로킹 위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은 안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 7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의 상기 본체 7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에 움직일 수 있게 접속된다. 도 1에서, 이러한 안내 수단은 예시적으로 회전 안내 수단 10으로 구현된다. 상기 본체 7은 상기 단말기를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에 접속시키는 단말기 플러그 8을 본체 상에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 상기 단말기 플러그 8은 예시적으로 상기 본체 너머로 돌출하는 동축 플러그(coaxialplug)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상기 단말기 플러그 8은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이 여러 다양한 다른 단말기들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은 다양한 접속부들을 갖는 단말기들을 제공하는 여러 단말기 제조업자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은 추가적으로 수용 수단(reception means) 9를 한정한다. 상기 수용 수단 9는 상기 단말기 플러그에 부착된 단말기를 고정적으로 둘러싸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에 잘 나타나 있듯이, 상기 수용 수단 9는 단말기가 삽입 방향 E로 삽입될 수 있도록 채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수단 9는 해당 단말기에 따라 다른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수용 수단 9는 얇은 벽이 있는 U-형 트레이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은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와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은 쉽게 교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이 마멸된 경우에 본질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이 동일 제1 하우징 부품 2에 접속되는 여러 실시예들을 허용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가 다른 단말기에 사용되는 경우이다.
도 1에서, 제1 충전 위치(first charging position)에 있는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을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상기 제1 충전 위치에서, 상기 주 플러그 3, 4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는 상기 단말기 플러그 8을 포함하는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과 약 165°내지 195°범위 내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안내 수단 10에 대해서 약 180°의 각도에서 일렬을 이루고 있다. 삽입 방향 E와플러그인 방향 S는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은 예를 들면 수평하게 연장하는 주 소켓(mains socket), 소위 테이블 소켓에서 작동될 수 있다.
도 2에서, 제2 충전 위치에 있는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을 나타내었다. 상기 제2 충전 위치에서,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은 주 소켓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상기 제1 충전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다. 또한, 이러한 충전 위치에서,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은 상기 단말기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기 제2 충전 위치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와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은 약 75°내지 90°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직각을 이루어 배치되며, 삽입 방향 E와 플러그인 방향 S는 본질적으로 서로를 가로지르는 배향을 이룬다. 상기 제2 충전 위치에서, 상기 주 플러그 3, 4를 포함하는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은 수직하게 연장하는 조 소켓, 소위 벽 소켓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런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는 수직 배향으로 상기 단말기 플러그 8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나서 상기 수용 수단 9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충전 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두 하우징 부품들 2, 6의 배향은 대략적으로 직각 또는 일렬 배향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이로써 예를 들면 단말기, 예를 들면 이동 전화의 경사진 디스플레이가 보다 용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3에서, 운반 위치에 있는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을 나타내었다. 이런 위치에서, 상기 두 하우징 부품들 2, 6은 상기 부품들이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에의해 점유된 공간이 가능한 한 작아지는 이상적인 전압 트랜스포머 운반 위치를 점유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와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은 서로 약 0°의 각도로 배치되며 따라서 서로 접어 포개진다. 삽입 방향 E와 플러그인 방향 S는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런 위치에서,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의 부피는 감소되며,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은 본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주 플러그 핀들은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 너머로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 안에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의 외부 형상은 특히 운반용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 수단 9가 도 1에서 U-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 수단은 공간 절약 방식으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를 보호하면서 둘러싼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플러그 8은 운반 위치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단말기 플러그 8은 매우 민감하여, 보호되지 않으면, 운반 중에 쉽게 끊어진다. 도 3에 나타낸 전압 트랜스포머 1의 경우, 이러한 보호가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 안의 리세스(recess) 11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리세스 11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 플러그 8을 보호하면서 둘러싼다.
상기 두 하우징 부품들 2와 6은 하나의 하우징 12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 안내 수단 10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운반 위치 및 충전 위치들에서, 각각 상기 하우징 부품들은 로킹 위치들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2와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6 사이에 제공된 상기 회전 안내 수단 10은 적어도 상기 충전 위치들에서 상기 주 플러그 3으로부터 상기 전압 변환 회로(미도시)를 통과하는 전류를 상기 단말기 플러그 8로 전달한다. 이러한 전류의 전달은 상기 회전 안내 수단 10의 어느 한쪽 측면에서 전도성 와이핑 접촉 디스크들(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의 바깥에 추가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 1의 고장을 유발하는 케이블 파손 위험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트랜스포머는 충전, 특히 운반 중에 휴대하기 편리하게 구성되어 운반 시 공간을 작게 차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압 트랜스포머의 바깥에 추가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아 케이블 파손 위험이 방지된다. 주 플러그는 국가별 주 소켓들 또는 예를 들면 자동차 소켓에 적합하게 여러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트랜스포머는 많은 지역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주 전압원에 접속가능한 주 플러그(3, 4)와, 단말기에 접속가능한 단말기 플러그(8)와, 전압 변환 회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12)을 포함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로서, 상기 하우징(12)은 제1 하우징 부품(2)과, 안내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에 움직일 수 있게 접속되며 그 안에 상기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9)으로 구현되는 제2 하우징 부품(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1)는 운반 위치로부터 충전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1)에 있어서,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부품들(2, 6)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점유된 공간이 상기 충전 위치에서 점유된 공간 보다 작아지도록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품(6)을 상기 제1 하우징 부품(2)에 움직일 수 있게 접속시키는 상기 안내 수단은 적어도 두 개의 로킹 위치들을 한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품(6)을 상기 제1 하우징 부품(2)에 움직일 수 있게 접속시키는 상기 안내 수단은 회전 안내 수단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품(6)은 보호 케이싱으로 구현되며, 상기 보호 케이싱은 운반 위치에서, 적어도 그 일정 부분들에서 상기 주 플러그(3, 4)를 둘러싸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1)는 상기 제1 충전 위치 및 상기 운반 위치와는 다른 제2 충전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1)는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2)이 상기 제1 하우징 부품(6) 위로 접혀지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플러그(3, 4)와 상기 단말기 플러그(8)는 그들이 상기 제1 충전 위치에서 서로 일렬을 이루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 위치에서, 상기 주 플러그(3, 4)는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로 상기 단말기 플러그(8)로부터 멀리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2)은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단말기 플러그(8)를 보호하면서 둘러싸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품(6)을 상기 제1 하우징 부품(2)에 움직일 수 있게 접속시키는 상기 안내 수단은 전기 전도 방식으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과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을 접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플러그(3, 4)는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1)에 사용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배치되어, 다른 국가별 주 소켓들과 호환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 회로는 상기 제1 하우징 부품(2)에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품(2)은 포크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포그 단부들(5)에 회전 안내 수단이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플러그(8)는 상기 전압 트랜스포머(1) 상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위치에서, 삽입 방향(E)과 플러그인 방향(S)은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 위치에서, 상기 삽입 방향(E)과 플러그인 방향(S)은 본질적으로 서로 가로질러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위치에서, 상기 삽입 방향(E)과 플러그인 방향(S)은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트랜스포머(1).
KR1020030086414A 2003-04-09 2003-12-01 경첩식 하우징을 구비한 전압 트랜스포머 KR100549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08261A EP1467446B1 (de) 2003-04-09 2003-04-09 Spannungswandler mit Klappgehäuse
EP03008261.4 2003-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851A true KR20040087851A (ko) 2004-10-15
KR100549316B1 KR100549316B1 (ko) 2006-02-02

Family

ID=3286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414A KR100549316B1 (ko) 2003-04-09 2003-12-01 경첩식 하우징을 구비한 전압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75779B2 (ko)
EP (1) EP1467446B1 (ko)
JP (1) JP4263112B2 (ko)
KR (1) KR100549316B1 (ko)
AT (1) ATE300106T1 (ko)
DE (1) DE50300808D1 (ko)
ES (1) ES224485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1851B1 (en) * 2005-05-25 2006-10-17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sitional power supply adaptor
US7354286B1 (en) * 2006-12-13 2008-04-08 Xyz Science Co., Ltd. Adapter for connectors
JP4945804B2 (ja) * 2008-04-21 2012-06-0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及び端末装置
JP3151847U (ja) * 2009-04-24 2009-07-09 株式会社クレイツ ホットカーラー用プラグイン加熱器
EP2328255A1 (de) 2009-11-27 2011-06-01 GIRA Giersiepen GmbH & Co. KG Ladevorrichtung mit schwenkbarer Geräteablage
US10063088B2 (en) 2014-06-29 2018-08-28 William J. Warren Computing device inductive charging cases and methods of use
US9620911B2 (en) * 2014-06-29 2017-04-11 William J. Warren Electrical charging devices and assemblies
US10027149B2 (en) 2014-06-29 2018-07-17 William J. Warren Electrical charging device chassis and cases
US10153649B2 (en) 2014-06-29 2018-12-11 William J. Warren Computing device charging cases and methods of use
US10608449B2 (en) 2017-02-27 2020-03-31 William J. Warren Electrical charging devices with translating stabilizers
US10177584B2 (en) 2017-02-27 2019-01-08 William J. Warren Electrical charging devices and assemblies
US9997882B1 (en) 2017-02-27 2018-06-12 William J. Warren Electrical charging devices and assemblies
US10608384B2 (en) 2017-02-27 2020-03-31 William J. Warren Electrical charging devices with bar stabilizers and assemblies
USD886733S1 (en) 2017-04-11 2020-06-09 William J. Warren Charger
US10355501B2 (en) 2017-10-11 2019-07-16 William J. Warren Electrical charging devices with resilient actuation
TWI681286B (zh) * 2018-11-29 2020-01-0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供應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774A (ja) * 1981-07-03 1983-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装置
DE3413809A1 (de) 1984-04-12 1985-10-17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Explosionsgeschuetzter oder schlagwettergeschuetzter stecker mit einem in einem druckfesten raum untergebrachten transformator
US4636703A (en) * 1984-09-03 1987-01-13 Sanyo Electric Co., Ltd. Charging apparatus
JPS6434774A (en) 1987-07-30 1989-02-06 Seiko Epson Corp Electronic typewriter
JP2536662B2 (ja) 1990-05-10 1996-09-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スイ―パ―のダストボックス
TW268155B (en) * 1994-02-24 1996-01-11 Asian Micro Sources Inc Collapsible plug device for battery charger
JPH09213434A (ja) 1996-02-05 1997-08-15 Mitsumi Electric Co Ltd さし込みプラグ
DE19704130A1 (de) * 1996-02-05 1997-08-07 Mitsumi Electric Co Ltd Wechselstromadapter
US6057610A (en) * 1997-05-21 2000-05-02 Selfcharge Inc. Lighter plug DC outlet and single AC and DC plug with adapter circuit
DE19802175C2 (de) * 1998-01-19 1999-11-25 Omnitronix Inc Transformationseinrichtung
DE19808089A1 (de) 1998-02-20 1999-09-09 Rehfeld Magnetic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Umwandlung von Netzspannung in Niederspannung
JP3474466B2 (ja) * 1998-11-13 2003-12-08 ホシデン株式会社 充電装置
JP2000315529A (ja) * 1999-05-06 2000-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器
JP2000324221A (ja) * 1999-05-13 2000-11-24 Kyoichi Yao 携帯電話等のハードホルダー
JP4165006B2 (ja) 1999-11-26 2008-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充電器
JP2001223032A (ja) * 2000-02-09 2001-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器
TW568433U (en) 2001-05-23 2003-12-21 Hon Hai Prec Ind Co Ltd Device having rotary plug
JP2003100354A (ja) * 2001-09-25 2003-04-04 Sharp Corp 充電器
TW539335U (en) 2002-01-18 2003-06-21 Cheng Tai Technology Co Ltd Constant voltage regulator for mobile phone travel charger
JP3098364U (ja) * 2003-04-03 2004-02-26 魏 国揚 台座付きの充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300808D1 (de) 2005-08-25
ES2244854T3 (es) 2005-12-16
JP4263112B2 (ja) 2009-05-13
ATE300106T1 (de) 2005-08-15
EP1467446B1 (de) 2005-07-20
US20040201950A1 (en) 2004-10-14
US7075779B2 (en) 2006-07-11
JP2004343053A (ja) 2004-12-02
EP1467446A1 (de) 2004-10-13
KR100549316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316B1 (ko) 경첩식 하우징을 구비한 전압 트랜스포머
WO1999003250A1 (en) Universally interchangeable and modular power supply with integrated battery charger
CA2904324A1 (en) Multiple plug sliding adapter with flexible extension
CN105874669B (zh) 对电子设备充电的可收回线缆卷盘
EP1729487B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KR20060009100A (ko) 절첩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
US20070238350A1 (en) Electrical adapter
CN207801095U (zh) 一种转接装置及充电设备
CN216389958U (zh) 滑动式双接头连接线
CN207588111U (zh) 一种数据线转接器
GB2377825A (en) Device with expansion adaprot slotted into battery
JP4047167B2 (ja) 電気リード及びそれを使用した充電方法
KR20210007468A (ko) 모바일 멀티 연결 디바이스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CN214798921U (zh) 集成装置
CN209016765U (zh) 一种无线耳机充电盒
KR200217312Y1 (ko)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CN209134104U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器
CN208226591U (zh) 一种移动电源
CN210838370U (zh) 一种反充电的obd装置
JPH0878113A (ja) アダプタ
EP1158645A1 (en) A compact charger for an electronic device
CN220421015U (zh) 插线板的可折叠插头结构
KR101023055B1 (ko) 핸드폰용 변환젠더
CN213093902U (zh) 无线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