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055B1 - 핸드폰용 변환젠더 - Google Patents

핸드폰용 변환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055B1
KR101023055B1 KR1020090022501A KR20090022501A KR101023055B1 KR 101023055 B1 KR101023055 B1 KR 101023055B1 KR 1020090022501 A KR1020090022501 A KR 1020090022501A KR 20090022501 A KR20090022501 A KR 20090022501A KR 101023055 B1 KR101023055 B1 KR 101023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gender
connection connector
external devi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224A (ko
Inventor
박용수
Original Assignee
(주)상영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영이텍 filed Critical (주)상영이텍
Priority to KR102009002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05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용 변환젠더에 관한 것으로서, 일 측 영역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일측 영역에 보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을 구비한 젠더본체와, 상기 보호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된 핸드폰연결커넥터와, 상기 삽입홈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핸드폰연결커넥터의 핀단자와 다른 개수의 핀단자를 갖는 외부기기커넥터와, 상기 핸드폰연결커넥터와 상기 외부기기연결커넥터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핸드폰연결커넥터와 상기 외부기기연결커넥터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정합부를 갖는 핸드폰용 변환젠더에 있어서, 상기 젠더본체에 설치된 핸드폰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핸드폰의 화면을 편하게 볼 수 있다.
핸드폰, 변환, 젠더, 거치대, 커넥터

Description

핸드폰용 변환젠더{Gender Changer for Handphon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분해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결합사시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분해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분해사시도,
도8은 종래의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분해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바디부의 사시도,
도10은 종래의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젠더본체 11, 111 : 바디부
12, 112 : 보호캡 21, 121 : 핸드폰연결커넥터
22, 122 : 외부기기연결커넥터 30 : 핸드폰거치대
본 발명은 핸드폰용 변환젠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핀수를 달리하는 핸드폰커넥터(핸드폰에 형성됨)와 외부기기커넥터(외부기기에 형성됨)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변환젠더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에는 충전, 데이터 다운로드 등을 위해 외부기기(충전기, 다른 통신단말기 등)를 접속할 수 있는 핸드폰커넥터가 마련되어 있고, 핸드폰커넥터에 접속되는 외부기기에는 외부기기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핸드폰이라는 용어는 화면이 있고 손에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들 핸드폰커넥터와 외부기기커넥터의 핀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그대로 외부기기를 핸드폰에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핸드폰커넥터의 핀수와 외부기기커넥터의 핀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외부기기를 핸드폰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변환젠더(Gender Changer)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8은 종래의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도8에 도시된 바디부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핸드폰용 변환젠더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본체(110)와, 젠더본체(110)에 설치된 핸드폰연결커넥터(121) 및 외부기기연결커넥터(122)와, 핸드폰연결커넥터(121)와 외부기기연결커넥터(122)사이에 개재하는 커넥터정합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젠더본체(110)는 일 측 영역에 삽입홈(111a)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111)와, 바디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112)을 갖고 있다.
보호캡(112)은 일 측 영역에 보호홈(112a)이 형성되어 있다.
핸드폰연결커넥터(121)는 보호홈(112a)에 수용되도록 바디부(111)에 설치된다.
그리고 핸드폰연결커넥터(121)는 핸드폰커넥터(201)와 동일한 개수의 핀단자를 갖고 있다.
외부기기연결커넥터(122)는 삽입홈(111a)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바디부(111)에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기기연결커넥터(122)는 외부기기커넥터(202a)와 동일한 개수의 핀을 갖고 있다.
커넥터정합부(도시되지 않음)는 핸드폰연결커넥터(121)와 외부기기연결커넥터(122)사이 즉, 핸드폰연결커넥터(121)에 속하는 핀단자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외부기기연결커넥터(122)에 속하는 핀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핸드폰용 변환젠더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기기는 양단에 전원플러그(202b)와 외부기기커넥터(202a) 즉, 충전기커넥터를 갖고 있는 충전기(202)인 것으로 가정한다.
핸드폰을 충전시키고자 할 때 보호캡(112)을 바디부(111)로부터 분리한 후, 핸드폰연결커넥터(121)를 핸드폰커넥터(201)에 결합한다.
다음에 외부기기커넥터(202a)를 외부기기연결커넥터(122)에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전원플러그(202b)를 전원소켓에 연결한다.
그런데 종래의 핸드폰용 변환젠더에 따르면, 핸드폰의 화면을 통해 동영상을 보거나 디엠비 티브이(DMB TV)를 볼 때 손 등과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화면을 지지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핸드폰용 변환젠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 측 영역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일측 영역에 보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을 구비한 젠더본체와, 상기 보호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된 핸드폰연결커넥터와, 상기 삽입홈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핸드폰연결커넥터의 핀단자와 다른 개수의 핀단자를 갖는 외부기기연결커넥터와, 상기 핸드폰연결커넥터와 상기 외부기기연결커넥터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핸드폰연결커넥터와 상기 외부기기연결커넥터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정합부를 갖는 핸드폰용 변환젠더에 있어서, 상기 젠더본체에 설치된 핸드폰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변환젠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핸드폰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드폰거치대는 상 기 젠더본체와 협조하여 핸드폰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관중의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핸드폰거치대는 자유단이 상기 젠더본체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젠더본체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변환젠더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변환젠더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본체(10)와, 젠더본체(10)에 설치된 핸드폰연결커넥터(21) 및 외부기기연결커넥터(22)와, 핸드폰연결커넥터(21)와 외부기기연결커넥터(22)사이에 개재하는 커넥터정합부(도시되지 않음)와, 젠더본체(10)에 결합된 핸드폰거치대를 갖고 있다.
젠더본체(10)는 일 측 영역에 삽입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11)와, 바디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12)을 갖고 있다.
바디부(11)는 일 측면에 한 쌍의 바디도피홈(11b)이 니은자 형태로 절취 형성되어 있다.
보호캡(12)은 일 측면에 한 쌍의 캡도피홈(12b)이 바디도피홈(11b)에 정렬되도록 절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캡(12)은 일 측 영역에 보호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핸드폰연결커넥터(21)는 보호홈(12a)에 수용되도록 바디부(11)에 설치된다.
그리고 핸드폰연결커넥터(21)는 핸드폰커넥터(201)와 동일한 개수의 핀단자를 갖고 있다.
외부기기연결커넥터(22)는 삽입홈(11a)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바디부(11)에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기기연결커넥터(22)는 외부기기커넥터(202a)와 동일한 개수의 핀을 갖고 있다.
커넥터정합부(도시되지 않음)는 핸드폰연결커넥터(21)와 외부기기연결커넥터(22)사이 즉, 핸드폰연결커넥터(21)에 속하는 핀단자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외부기기연결커넥터(22)에 속하는 핀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드폰거치대(30)는 장방형상의 바닥면부(31)와, 바닥면부(31)의 양 측 연부로부터 상호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32)와, 측벽부(32)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가압면부(33)를 갖고 있다.
각 측벽부(32)에는 한 쌍의 안착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핸드폰거치대(30)는 한 쌍의 측벽부(32)를 관통하는 회동핀(34)을 통해 바디부(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핸드폰거치대(30)는 자유단이 젠더본체(10)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핸드폰거치대(30)가 젠더본체(10)에 접근할 때 가압면부(33)는 보호캡(12)에 가압 접촉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변환젠더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기기는 양단에 전원플러그(202b)와 외부기기커넥터(202a) 즉, 충전기커넥터를 갖고 있는 충전기(202)인 것으로 가정한다.
핸드폰을 충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바디부(11)로부터 이반되도록 핸드폰거치대(30)를 회동시킨다.
다음에 보호캡(12)을 바디부(11)로부터 분리한 후, 핸드폰연결커넥터(21)를 핸드폰커넥터(201)에 결합한다.
다음에 외부기기커넥터(202a)를 외부기기연결커넥터(22)에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전원플러그(202b)를 전원소켓에 연결한다.
한편 핸드폰의 화면을 통해 동영상을 보거나 디엠비 티브이(DMB TV)를 볼 때에는 먼저 바디부(11)로부터 이반되도록 핸드폰거치대(30)를 회동시킨다.
다음에 안착홈(32a)과 젠더본체(10)에 지지되도록 핸드폰을 설치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안착홈(32a)을 핸드폰거치대(30)에 복수개 형성하고 있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거치대(30')에 하나의 안착홈(32'a)을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바디부(11)에 핸드폰거치대(30)를 결합하고 있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2)에 핸드폰거치대(30")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젠더본체(10)와 협조하여 핸드폰을 지지할 수 있 도록 핸드폰거치대(30)를 구성하고 있으나, 핸드폰거치대에 핸드폰을 억지 끼움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핸드폰거치대만으로 핸드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폰거치대(30)를 젠더본체(10)에 결합함으로써, 핸드폰의 화면을 편하게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젠더본체(10)와 협조하여 핸드폰을 지지하도록 핸드폰거치대(30)를 구성함으로써, 핸드폰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유단이 젠더본체(10)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핸드폰거치대(30)를 구성함으로써, 보관중의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폰거치대를 젠더본체에 결합함으로써, 핸드폰의 화면을 편하게 볼 수 있다.

Claims (3)

  1. 일 측 영역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일측 영역에 보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을 구비한 젠더본체와, 상기 보호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된 핸드폰연결커넥터와, 상기 삽입홈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핸드폰연결커넥터의 핀단자와 다른 개수의 핀단자를 갖는 외부기기연결커넥터와, 상기 핸드폰연결커넥터와 상기 외부기기연결커넥터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핸드폰연결커넥터와 상기 외부기기연결커넥터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정합부를 갖는 핸드폰용 변환젠더에 있어서,
    상기 젠더본체에 설치된 핸드폰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변환젠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거치대는 상기 젠더본체와 협조하여 핸드폰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변환젠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거치대는 자유단이 상기 젠더본체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젠더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변환젠더.
KR1020090022501A 2009-03-17 2009-03-17 핸드폰용 변환젠더 KR101023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01A KR101023055B1 (ko) 2009-03-17 2009-03-17 핸드폰용 변환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01A KR101023055B1 (ko) 2009-03-17 2009-03-17 핸드폰용 변환젠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24A KR20100104224A (ko) 2010-09-29
KR101023055B1 true KR101023055B1 (ko) 2011-03-24

Family

ID=4300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501A KR101023055B1 (ko) 2009-03-17 2009-03-17 핸드폰용 변환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62B1 (ko) * 2012-12-24 2014-09-12 스카이파워텔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거치기능을 가진 확장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740B1 (ko) 2001-10-12 2004-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 수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세트
KR100566158B1 (ko) 1999-03-10 2006-03-2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KR100663503B1 (ko) 2003-12-29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
KR100701233B1 (ko) 2005-04-29 2007-03-29 주식회사 알.에프.텍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158B1 (ko) 1999-03-10 2006-03-2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KR100462740B1 (ko) 2001-10-12 2004-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 수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세트
KR100663503B1 (ko) 2003-12-29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
KR100701233B1 (ko) 2005-04-29 2007-03-29 주식회사 알.에프.텍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24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3610U (ja) 複数の電気コネクタを備えたケーブル
US20060089171A1 (en) Mobile phone with USB interface
WO2009137433A3 (en) Charging and security station for multiple wireless tablets
KR200469127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023055B1 (ko) 핸드폰용 변환젠더
KR101397859B1 (ko) 공간 활용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결합 구조
CN202285299U (zh) 通用串行总线插头连接器及其组合
CN211720289U (zh) 移动电源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CN202134932U (zh) 手机座充组件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CN201066755Y (zh) 一种插接器的结构
CN205864010U (zh) 移动电子设备充电装置
US20140292255A1 (en) Usb charging structure of mobile power pack
KR101220142B1 (ko) 접점식 단말 충전기
JP3201362U (ja) プラグ電気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
CN216121074U (zh) 一种插座
CN213637098U (zh) 一种蓝牙耳机充电组件
CN215185970U (zh) 充电组合结构
CN210669577U (zh) 充电器
KR101808619B1 (ko) 슬라이드형 컨넥터 모듈
CN214255783U (zh) 一种多功能移动电源
CN210608618U (zh) 一种简易的充电座
CN214101729U (zh) 一种无线耳机蓝牙充电盒
CN211018309U (zh) 供电装置及组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