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158B1 -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158B1
KR100566158B1 KR1019990062563A KR19990062563A KR100566158B1 KR 100566158 B1 KR100566158 B1 KR 100566158B1 KR 1019990062563 A KR1019990062563 A KR 1019990062563A KR 19990062563 A KR19990062563 A KR 19990062563A KR 100566158 B1 KR100566158 B1 KR 100566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adapter
cordless
charg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232A (ko
Inventor
아베겐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63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619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06330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1100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성이 우수하고 또한 충전중의 휴대 전화기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AC 어댑터(14)를 피복할 수 있는 스탠드(15)와, 휴대 전화기(3)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24) 및 해당 커넥터 설치단부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25)를 갖고 또한 휴대 전화기(3)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삽입되는 다른 커넥터를 개재시킬 수 있는 공간(26)이 형성된 거치대(16)와,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접속할 수 있도록 거치대(16)에 설치되고 또한 AC 어댑터(14)로부터 직류 전류가 공급되는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구비하고, 거치대(16)에 지지된 휴대 전화기(3)가 기립 상태로 되는 위치와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되는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거치대(16)가 스탠드(15)의 단부에 축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CHARGING APPARATUS FOR A WIRELESS TELE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만 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III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IV-IV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에 대해 충전함과 동시에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면도,
도 6은 도 5의 VI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만 충전하되, 책상 등의 상면에서 실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면도,
도 9는 도 8의 Ⅸ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에 대한 충전을 벽 등의 수직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전기 공급용 AC 콘센트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XI-XI 방향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7에 있어서의 스탠드 및 거치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화살표를 따라 절취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에 대한 충전을 책상 등의 상면에서 실행함과 동시에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ⅩⅤ부분의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AC 어댑터를 스탠드로부터 취출한 상태를 안쪽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AC 어댑터를 스탠드내에 수납하고 또한 권취 부재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권취하고 있는 상태를 안쪽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AC 어댑터를 스탠드내에 수납하고 또한 권취 부재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면 파 스너에 의해 피복한 상태를 안쪽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19는 도 7에 있어서의 권취 부재에 대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의 권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7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21은 도 7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AC 어댑터를 스탠드로부터 취출한 상태를 안쪽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23은 종래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4는 종래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5는 휴대 전화기의 일례인 커넥터 설치단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휴대 전화기(무선 전화기) 4 : 인터페이스용 커넥터
5 : 충전용 단자 14, 64 : AC 어댑터
15, 65 : 스탠드 16 : 거치대
17 : 전기 공급용 접속편 20 : 오목부
21 : 전기 공급용 케이블 24 : 후방 지지부
25 : 측방 지지부 26 : 공간
27 : 오목홈 28 : 돌기
29 : 홈 30 : 볼록부
33 : 레그부 39, 66 : 권취 부재
40 : 면 파스너 44 : 스토퍼
58, 68 : 리브 59, 69 : 플랜지
60, 70 : 절결부 74 : 제 1 스토퍼
75 : 제 2 스토퍼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 혹은 유선 방식의 전화기에 부속하는 무선 기기 등의 각종 무선 전화기가 보급되어 있지만, 이러한 무선 전화기에는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얻기 위한 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도 23은 종래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는 실내 전기 공급용 AC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는 플러그(1)에 의해서 얻은 교류 전류(AC100V)를 소정 전압값으로 강압하고 또한 정류하는 AC 어댑터(2)와, 휴대 전화기(3)의 안테나의 반대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삽입되었을 때에 해당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내에 구비된 충전용 단자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편(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전기 공급용 커 넥터(6)와, 상기 AC 어댑터(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커넥터(6)의 접속편에 공급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3)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보호 커버(8)에 의해서 덮여져서,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빗물이나 먼지 등이 닿지 않게 보호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에 대한 충전을 실행할 때에는,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를 덮고 있는 보호 커버(8)를 휴대 전화기(3)로부터 분리한 후,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전기 공급용 커넥터(6)를 삽입하여, 해당 전기 공급용 커넥터(6)의 접속편과 휴대 전화기(3)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내의 충전용 단자를 접속시킨다.
다음에, AC 어댑터(2)의 플러그(1)를 AC 콘센트에 삽입하여, AC 어댑터(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케이블(7) 및 전기 공급용 커넥터(6)의 접속편을 거쳐서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내의 충전용 단자에 전기 공급하여, 휴대 전화기(3)의 전지를 충전한다.
이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는, 외형이 비교적 작은 AC 어댑터(2) 및 전기 공급용 커넥터(6)와, 굴곡성을 갖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7)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성이 우수하다.
도 24는 종래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는 앞서 기술한 AC 어댑터(2), 전기 공급용 커넥터(6) 및 전기 공급용 케이블(7)에 부가하여, 거치대(9)를 갖고 있다.
거치대(9)는 휴대 전화기(3)의 커넥터 설치단부 부분이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오목홈부(10)를 갖고 있고, 해당 오목홈부(10)에 커넥터 설치단부 부분이 삽입된 휴대 전화기(3)를, 그 전면의 안테나측 단부가 약간 후방으로 기운 기립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오목홈부(10)의 내측 바닥면에는, 전술한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의 충전용 단자와는 별도로 구비된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도 25 참조)가 각각 접속 가능한 2개의 전기 공급용 접속편(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또한 거치대(9)의 후면에는, 전기 공급용 커넥터(6)가 삽입되었을 때에 해당 전기 공급용 커넥터(6)의 접속편에 접속 가능한 전기 수용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전기 수용 커넥터(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기 공급용 접속편과 전기 수용 단자는 리드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도통하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를 충전할 때에는, 거치대(9)의 전기 수용 커넥터(11)에 전기 공급용 커넥터(6)를 삽입하여, 해당 전기 공급용 커넥터(6)의 접속편과 전기 수용 커넥터(11)의 전기 수용 단자를 접속시킨다.
또, 휴대 전화기(3)의 커넥터 설치단부 부분을 거치대(9)의 오목홈부(10)에 삽입하여, 해당 오목홈부(10)의 내측 바닥부의 전기 공급용 접속편과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를 접속시킨다.
이어서, AC 어뎁터(2)의 플러그(1)를 AC 콘센트에 삽입해서, AC 어뎁터(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케이블(7), 전기 공급용 커넥터(6), 전기 수용 커넥터(11), 리드선,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거쳐서 충전용 단자(5)에 전기 공급하여, 휴대 전화기(3)의 전지에 대한 충전을 실행한다.
이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는, 휴대 전화기(3)를, 그 전면의 안테나 부근 단부가 약간 후방으로 기운 기립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거치대(9)를 갖고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3)가 충전중이더라도, 안테나 이득의 저하에 기인한 수신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휴대 전화기(3)의 발광 다이오드 표시부(12) 및 액정 표시부(13)의 시인성(視認性)도 저하하지 않는다.
이 때, 벽에 부착된 실내 전기 공급용 AC 콘센트로부터 교류 전류를 공급받는 경우에는 거치대(9)를 책상의 상면 등에 탑재하고, 전기 공급용 케이블(7)을 늘어뜨려 연장하여, 상기 AC 콘센트에 AC 어뎁터(2)의 플러그(1)를 삽입한다.
또한, 책상 상면 등에 설치한 테이블 탭으로부터 교류 전류를 공급받는 경우에는 거치대(9)를 책상 상면 등에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서 전기 공급용 케이블(7)을 늘어뜨려 연장하여, 상기 테이블 탭에 AC 어댑터(2)의 플러그(1)를 삽입한다.
그러나, 도 23에 도시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충전시에 휴대 전화기(3)가 책상 상면 등에 직접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놓여지게 되기 때문에, 안테나 이득의 저하에 의한 수신 불량이 발생하거나, 발광 다이오드 표시부(12) 및 액정 표시부(13)를 시인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부가하여, 충전함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3)로부터 보호 커버(8)를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보호 커버(8)를 분실하거나, 혹은 충전 완료 후에 보호 커버(8)를 장착하지 않게 되면,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가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와 전기 공급용 커넥터(6)의 삽입 및 분리 보증 회수는 일반적으로 5000회 정도이고, 충전시의 삽입 및 분리에 의해서,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 및 전기 공급용 커넥터(6)가 열화 손상될 우려가 있다.
도 24에 도시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휴대 전화기(3)의 커넥터 설치단부 부분을 둘러싸는 형상의 큰 거치대(9)를, 휴대 전화기(3)와 전기 공급용 커넥터(6) 사이에 개재시키기 때문에, 휴대성이 우수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충전중에는 마이크로 컴퓨터, 팩시밀리 등의 기기에 접속되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3)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할 수 없다.
또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7)을, 실내 전기 공급용 AC 콘센트의 설치 위치를 감안하여, 일반적인 책상의 상면에서 바닥면까지의 거리(약 75 내지 80㎝ 정도)에 권취의 여유를 부가한 길이(약 130㎝ 정도)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운반에 있어서는, 결속용 밴드 등에 의해 전기 공급용 케이블(7)을 묶는다고 하는 번잡한 작업을 해야 한다.
또한, AC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는 벽과 거치대(9)를 배치하는 책상의 상면 등과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벽측의 AC 어댑터(2)로부터 거치대(9)로 늘어뜨려 연장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7)에 의해, 상기 통로를 보행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성이 우수하고 또한 충전중의 휴대 전화기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의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휴대성이 우수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AC 어댑터와 거치대를 일체화한 상태, 혹은 이것들을 분리한 상태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도 사용 가능하고 또한 휴대성이 우수한 휴대 전화기용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해당 AC 어댑터를 피복하는 스탠드와, 무선 전화기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해당 커넥터 설치단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를 갖고 또한 무선 전화기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된 거치대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에 접속 가능하게 거치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직류 전류가 공급되는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구비하고, 스탠드의 단부에 거치대를 해당 거치대에 지지된 무선 전화기가 기립 상태로 되는 위치와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되는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축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거치대가 무선 전화 기를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할 때, 무선 전화기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후면에 형성된 오목홈에 끼워맞출 수 있는 돌기를 거치대의 후방 지지부에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 혹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무선 전화기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커넥터 설치단부로부터 안테나 설치단부로 연장되는 홈에 걸어맞출 수 있는 볼록부를 거치대의 측방 지지부에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거치대가 무선 전화기를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에 회동하였을 때에, 거치대의 회동을 억제하도록 스탠드 탑재면에 접촉 가능한 레그부를 거치대에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AC 어댑터의 스탠드에 의해 피복되는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AC 어댑터에 대하여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오목부에 수납되는 위치와 오목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축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도, 무선 전화기를 거치대에 지지시킴으로써,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에 거치대의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접속시키고,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 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거쳐서 충전용 단자로 공급하여, 무선 전화기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를 충전한다.
또한, 휴대시에는, 스탠드로 AC 어댑터를 피복하여, 장치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충전만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스탠드에 대하여 거치대를, 무선 전화기가 기립 상태로 지지되는 위치에 회동시켜 두고, 안테나 이득의 저하에 기인하는 수신 불량이나, 무선 전화기에 부속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부 및 액정 표시부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한다.
충전중에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스탠드에 대하여 거치대를, 무선 전화기가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위치에 회동시켜 놓고,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무선 전화기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에 송수신 대상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를 삽입하여, 커넥터를 거치대에 형성한 공간에 개재시켜, 수신 대상 기기와 무선 전화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상호 전달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거치대가 무선 전화기를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하고 있을 때에, 무선 전화기의 오목홈에 걸어맞추는 거치대의 돌기가, 무선 전화기의 안테나 설치단부측으로의 변위를 억제하여, 전기 공급 접속편과 충전용 단자의 도통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거치대가 무선 전화기를 기립 상태로 지지하고 있을 때에, 무선 전화기의 홈에 걸어맞추 는 거치대의 볼록부가, 무선 전화기의 두께 방향으로의 전도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거치대가 무선 전화기를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하고 있을 때에, 거치대의 레그부가 스탠드 탑재면에 접촉하여, 거치대의 회동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오목부에 플러그가 수납된 AC 어댑터를 스탠드로 피복하고, 휴대시의 플러그의 노출을 방지한다.
상기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해당 AC 어댑터를 피복할 수 있는 스탠드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 설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해당 충전용 단자에 접속 가능한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갖는 거치대와, 상기의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과, 해당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스탠드에 설치한 권취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스탠드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브와, 해당 리브의 스탠드 부근 가장자리부 반대측에 설치한 플랜지에 의해, 권취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해당 AC 어댑터가 삽입되는 스 탠드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 설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해당 충전용 단자에 접속 가능한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갖는 거치대와, 상기의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과, 해당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AC 어댑터에 설치한 권취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AC 어댑터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와, 해당 리브의 AC 어댑터 부근 가장자리부 반대측에 설치한 플랜지 등에 의해 권취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기단 부분이 전기 공급용 테이블에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권취 부재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권취 방향으로 피복할 수 있는 면 파스너 혹은 신축성을 갖는 무단 띠형상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 및 청구항 7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도, AC 어댑터를 스탠드로 피복해서 외형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장치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권취 부재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권취함에 의해, 휴대시의 전기 공급 케이블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청구항 8 및 청구항 9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도, AC 어댑터를 스탠드에 삽입해서 외형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장치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권취 부재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권취함에 의해, 휴대시의 전기 공급 케이블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 및 청구항 9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도, 리브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의 탈락을 플랜지에 의해서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권취 부재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면 파스너 혹은 신축성을 갖는 무단 띠형상체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피복하여, 간단한 구조이며 염가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세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전기 공급용 콘센트로부터 교류 전류를 공급받는 플러그를 갖고 또한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해당 AC 어댑터를 피복할 수 있는 스탠드와, AC 어댑터가 스탠드에 피복될 때에 해당 스탠드를 AC 어댑터에 걸어맞출 수 있는 스토퍼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 설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해당 충전용 단자에 접속 가능한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갖는 거치대와,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구비하고, 스탠드의 단부에 거치대를, 스탠드가 거의 수직면에 접할 때에 무선 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와 스탠드가 거의 수평면에 접할 때에 무선 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위치 설정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전기 공급용 콘센트로부터 교류 전류를 공급받는 플러그를 갖고 또한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해당 AC 어댑터가 삽입되는 스탠드와, AC 어댑터가 스탠드에 삽입될 때에 해당 스탠드를 AC 어댑터에 걸어맞출 수 있는 스토퍼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 설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해당 충전용 단자에 접속 가능한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갖는 거치대와,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구비하고, 스탠드의 단부에 거치대를, 스탠드가 거의 수직면에 접할 때에 무선 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와 스탠드가 거의 수평면에 접할 때에 무선 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위치 설정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구성에 부가하여, AC 어댑터에 플러그를, AC 어댑터가 스탠드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해당 스탠드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위치와 스탠드내에 저장되는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AC 어댑터를 스탠드에 의해 피복하여 외형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스토퍼를 거쳐서 AC 어댑터에 스탠드를 걸어맞추고, AC 어댑터와 스탠드의 분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AC 어 댑터를 스탠드에 삽입하여 외형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스토퍼를 거쳐서 AC 어댑터에 스탠드를 걸어맞춰, AC 어댑터와 스탠드의 분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플러그를 스탠드내에 수납되는 위치로 회동시켜, 휴대시의 플러그의 노출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1 실시예이고, 도면중 도 23 내지 도 25와 동일 부호를 부여한 부분은 동일물을 나타내고 있다.
이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는 AC 어댑터(14), 스탠드(15), 거치대(16) 및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구비하고 있다.
AC 어댑터(14)는 실내 전기 공급용의 AC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는 플러그(18)에 의해 공급받은 교류 전류(AC100V)를 소정 전압값으로 강압하고 또한 정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AC 어댑터(14)의 케이스(19)에는 플러그(18)가 수납되는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18)는 오목부(20)내에 수납되는 위치와 오목부(20) 외측으로 돌출되어 AC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19)에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0)는 케이스(19)의 측부 외측 방향을 향하여 관통되어 있고, 해당 관통 부분에 손가락을 끼워넣어, 오목부(20)내에 수납되어 있는 플러그(18)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탠드(15)는 바닥면과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상 중공체이고, 책상 상면 등의 평탄면에 안정된 상태로 탑재되도록 또한 AC 어댑터(14)를 플러그(18) 돌출면측으로부터 거의 전체적으로 피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스탠드(15)의 측부에는, AC 어댑터(14)가 스탠드(15)에 의해 피복되었을 때에, AC 어댑터(14)의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삽입 통과되는 절결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15)의 내측면의 복수 개소에는, AC 어댑터(14)가 스탠드(15)에 의해 피복되었을 때에, AC 어댑터(14)의 양측에 접하는 평탄면(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면(23)에 의해, 스탠드(15)로부터 외부로 AC 어댑터(14)가 간단히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된다(도 4 참조).
거치대(16)는 휴대 전화기(3)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24) 및 커넥터 설치단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25)를 갖고, 좌우의 측방 지지부(25) 사이에, 휴대 전화기(3)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대응하는 공간(26)이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거치대(16)의 후방 지지부(24)에는 휴대 전화기(3)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후면에 형성된 오목홈(27)에 끼워맞출 수 있는 돌기(28)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거치대(16)의 측방 지지부(25)에는 휴대 전화기(3)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양측면에 형성한 커넥터 설치단부로부터 안테나 설치단부로 연장하는 홈(29)에 걸어 맞출 수 있는 볼록부(30)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거치대(16)의 양측부의 후방 지지부(24) 부근에는, 상기 스탠드(15)의 양측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아암(31)에 설치된 축 지지용 돌기(32)가 삽입되는 축 지지용 오목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축 지지용 돌기(32) 및 축 지지용 오목홈에 의해서, 스탠드(15)의 전단부에 대하여 거치대(16)가, 해당 거치대(16)에 지지된 휴대 전화기(3)가 그 안테나 설치단부가 약간 후방측으로 기운 기립 상태로 되는 위치(도 2 및 도 3 참조)와, 안테나 설치단부가 커넥터 설치단부보다도 약간 상방으로 된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되는 위치(도 5 및 도 6 참조)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거치대(16)에는, 해당 거치대(16)가 휴대 전화기(3)를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에 회동하였을 때에, 선단부가 스탠드(15)가 탑재되어 있는 책상면 등에 접촉하여 거치대(16)의 회동을 억제하는 레그부(33)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레그부(33)에는 거치대(16)가 휴대 전화기(3)를 기립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로 회동한 때에, 상기 스탠드(15)의 양측부 전단 부근에 설치한 고정용 돌기(34)가 끼워지는 고정용 오목홈(35)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스탠드(15)의 양측부 전단 부근에는, 거치대(16)가 휴대 전화기(3)를 기립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와는 반대측으로 회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36)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은,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접속 가능하 게 거치대(16)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은 거치대(16)에 내장된 비틀림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에 의해, 거치대(16)에 지지되는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가압된다.
또한,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에는 거치대(16)에 장착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연결되어, 상기 AC 어댑터(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가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통해서 공급된다.
앞서 기술한 볼록부(30)의 휴대 전화기(3) 전후 방향의 외측 치수는, 홈(29)의 휴대 전화기(3) 전후 방향의 내측 수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거치대(16)에 대한 휴대 전화기(3)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고, 거치대(16)가 휴대 전화기(3)가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되는 위치로 회동한 때에는, 휴대 전화기(3)의 안테나 설치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자 하는 모멘트에 의해, 휴대 전화기(3)의 오목홈(27)과 후방 지지부(24)의 돌기(28)가 걸어맞추어져서, 휴대 전화기(3)가 거치대(16)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억제되고,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가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에 확실히 접속하여, 전기 공급용 접속편(17)과 충전용 단자(5)의 도통이 확보된다.
또한, 도면중 참조부호(37)는 데이터 송수신용 커넥터, 참조부호(38)는 데이터 송수신용 케이블이고, 데이터 송수신용 케이블(38)은 마이크로 컴퓨터, 팩시밀리 등의 기기에 접속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의해서,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에 대한 충전만을 행하는 경우에는,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치대(16)를, 휴대 전화기(3)가 기립 상태로 지지되는 위치로 회동시킨다(도 2 참조).
이어서, 휴대 전화기(3)를 거치대(16)에 지지시킴으로써,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거치대(16)의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접속시키고, AC 어댑터(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거쳐서 충전용 단자(5)로 공급하여,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를 충전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는 안테나 설치단부가 약간 후방으로 기운 기립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 이득의 저하에 기인하는 수신 불량이나, 휴대 전화기(3)에 부속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부(12) 및 액정 표시부(13)(도 23 참조)의 시인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3)로부터 보호 커버(8)를 분리하지 않고서 충전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중에 보호 커버(8)를 분실하거나, 충전 완료후에 보호 커버(8)를 장착하지 않게 되는 일은 없어진다.
또한, 전기 공급용 커넥터(6)(도 23 참조)를 이용하지 않고서 충전을 실행하기 때문에, 전기 공급용 커넥터(6)의 삽입 및 분리에 기인한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의 열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3)의 홈(29)에 거치대(16)의 볼록부(30)가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3)의 두께 방향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를 충전하면서, 휴대 전화기(3)를 이용 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치대(16)를, 휴대 전화기(3)가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위치로 회동시킨다(도 5 참조).
또한, 휴대 전화기(3)로부터 보호 커버(8)를 분리한 뒤, 데이터 송수신용 케이블(38)을 거쳐서 마이크로 컴퓨터, 팩시밀리 등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송수신용 커넥터(37)를, 휴대 전화기(3)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삽입한다.
이어서, 휴대 전화기(3)를 거치대(16)에 지지시킴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용 커넥터(37)를 거치대(16)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26)에 개재시킴과 동시에,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거치대(16)의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접속시키고, AC 어댑터(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거쳐서 충전용 단자(5)로 공급하여,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를 충전하면서, 휴대 전화기(3)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는 거치대(16) 및 스탠드(15)를 거쳐서 책상 상면 등에 놓여지게 되기 때문에, 안테나 이득의 저하에 기인하는 송수신 불량이 억제된다.
또한, 거치대(16)에 설치한 레그부(33)의 선단부가, 스탠드(15)가 탑재되는 책상 상면 등에 접하기 때문에, 거치대(16)의 회동이 억제되어, 휴대 전화기(3)가 거치대(16)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3)의 안테나 설치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자 하는 모멘트에 의해, 휴대 전화기(3)의 오목홈(27)과 후방 지지부(24)의 돌기(28)가 걸어맞추어져서, 휴대 전화기(3)가 거치대(16)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되고, 휴대 전 화기(3)의 충전용 단자(5)가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에 확실히 접속되어, 전기 공급편(17)과 충전용 단자(5)의 도통이 확보되기 때문에,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해 충전용 단자(5)와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이 이격되는 일이 없다.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를 휴대할 때에는, 플러그(18)가 오목부(20)에 저장된 상태의 AC 어댑터(14)를, 플러그 돌출면측으로부터 스탠드(15)에 의해 거의 전체적으로 피복하여, 장치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또한, 플러그(18)가 오목부(20)에 수납됨에 의해, 장치 전체 형상의 소형화가 촉진되고, 또한 플러그(18)가 스탠드(15)에 의해 피복되기 때문에, 플러그(18)에 의한 의복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2 실시예이고, 도면중 도 24 및 도 25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부분은 동일물을 나타내고 있다.
이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는 AC 어댑터(14), 스탠드(15), 거치대(16), 전기 공급용 케이블(21), 권취 부재(39) 및 면 파스너(40)를 구비하고 있다.
AC 어댑터(14)는 실내 전기 공급용의 AC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는 플러그(18)에 의해서 공급받은 교류 전류(AC100V)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AC 어댑터(14)의 케이스(19)의 소재로는 ABS 수지 등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를 이용하고 있다.
케이스(19)의 한쪽 단부면에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41)이 뚫리고 또한 원형단면의 주연부로부터 구멍(41)을 향하여 사발 형 상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케이블좌(42)가 설치되어 있다(도 16 내지 도 18 참조).
케이스(19)의 다른쪽 단부 부근에는 플러그(18)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20)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18)는, 케이블좌(42)가 상측 혹은 하측으로 되도록 케이스(19)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공간(20)내에 수납되는 위치와 공간(20) 외측으로 돌출되어 AC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선(X)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19)에 축 지지되어 있다(도 7, 도 10 및 도 18 참조).
또한, 공간(20)은 케이스(19)의 일측부 외측 방향을 향해서도 개방되어 있어, 해당 개구 부분에 손가락을 넣어, 공간(20)내에 수납되어 있는 플러그(18)을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9)의 플러그(18) 돌출면의 다른쪽 단부 가장자리부의 좌우에는 작은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15)는 안쪽측이 개방되고 또한 AC 어댑터(14)를 플러그(18) 돌출면을 제외하고 피복하도록 수납 가능한 상자형상 중공체이다(도 16 내지 도 18 참조).
이 스탠드(15)의 소재로는 ABS 수지 등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를 이용하고 있다.
스탠드(15)의 한쪽 단부에는 스탠드(15)내에 AC 어댑터(14)를 수납할 때에, 케이스(19)의 케이블좌(42)와 스탠드(15)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15)의 다른쪽 단부에는 스탠드(15)내에 AC 어댑터(14)를 수납할 때 에, 케이스(19)의 좌우의 오목부(43)에 접촉하여 걸어맞출 수 있는 스토퍼(44)가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15)내에는, 케이스(19)의 일측부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가압 부재(45) 및 스탠드(15)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쪽 단부로 세로로 통하는 벽형상의 가압 부재(46)가 설치되어 있고, AC 어댑터(14)를 스탠드(15)내에 수납할 때에, 가압 부재(45, 46)가 케이스(19)의 양측부에 접촉하고 또한 스토퍼(44)가 케이스(19)의 오목부(43)에 접촉하여 결합함으로써, 스탠드(15)로부터 외부로 AC 어댑터(14)가 간단히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가압 부재(46)와 스탠드(15)의 다른쪽 측부 사이의 공간(47)에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삽입되어 통과되어 있고, 가압 부재(46)에는 공간(47)으로부터 외부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도 11, 도 16 내지 도 18 참조).
또한, 스탠드(15)의 양측부에는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개구 가장자리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선형상의 절결부(49)가 형성되어 있어, 예컨대 엄지 손가락 및 검지 손가락에 의한 상호 가압 정도의 힘(P)에 의해, 스탠드(15)의 양측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7, 도 11 및 도 16 내지 도 18 참조).
거치대(16)는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 설치단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24) 및 해당 충전용 단자(5) 설치단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25)를 갖고, 좌우의 측방 지지부(25) 사이에, 휴대 전화기(3)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대응하는 공간(26)을 형성하고 있다(도 7 참조).
이 거치대(16)의 소재로는 ABS 수지 등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를 이용하고 있다.
거치대(16)의 후방 지지부(24)에는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 설치단부의 후면에 형성된 오목홈(27)에 끼워맞출 수 있는 돌기(28)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7 및 도 9 참조).
거치대(16)의 측방 지지부(25)에는,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 설치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충전용 단자(5) 설치단부로부터 안테나 설치단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홈(29)에 결합될 수 있는 볼록부(3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16)의 양측부에는 상기 스탠드(15)의 양 측부로부터 거치대(16)측으로 연장하는 지지 아암(31)이 삽입되는 오목부(50)와, 양 지지 아암(31)에 설치한 짧은 힌지 축(32)이 삽입되는 축 지지 구멍(51)과, 양 지지 아암(31)에 설치한 스탠드측 위치 결정용 돌기(52)가 축 지지 구멍(51)을 중심으로 하여 변위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용 오목홈(53)과, 안내용 오목홈(53)내에 위치하고 또한 스탠드측 위치 결정용 돌기(52)에 결합될 수 있는 거치대측 위치 결정용 돌기(54)와, 스탠드(15)를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스탠드(15)의 양측부에 설치한 오목부(55)에 끼울 수 있는 레그부(33)와, 오목부(55)의 고정용 구멍(35)에 결합될 수 있도록 레그부(33)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용 돌기(34)가 형성되어 있고, 거치대(16)가 짧은 힌지 축(32)을 중심으로 스탠드(15)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상기 스탠드측 위치 결정용 돌기(52)는 짧은 힌지 축(32)의 축선 방향으로 보면, 거의 눈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내용 오목홈(53)은 짧은 힌지 축(32)의 축선 방향으로 보면, 거의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거치대측 위치 결정용 돌기(54)를 지지 아암(31)의 스탠드측 위치 결정용 돌기(52)에 결합되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15)를 책상의 상면 등의 평탄면에 탑재한 상태에 있어서는,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치대(16)가, 해당 거치대(16)에 지지되는 휴대 전화기(3)가 그 안테나 설치단부가 충전용 단자(5) 설치단부보다도 약간 상방으로 된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됨과 더불어, 레그부(33)의 선단이 책상의 상면 등에 접촉하고,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15)를 벽 등의 수직면에 접촉시킨 경우에는, 거치대(16)에 지지되는 휴대 전화기(3)가 그 안테나 설치단부가 약간 전방측으로 기운 기립 상태로 됨과 동시에, 레그부(33)의 선단이 벽 등에 접촉한다.
레그부(33)의 고정용 돌기(34)를 스탠드(15)의 고정용 구멍(35)에 결합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15)를 책상의 상면 등의 평탄면에 탑재한 상태에 있어서는,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치대(16)가, 해당 설치대(16)에 지지되는 휴대 전화기(3)가 그 안테나 설치단부가 약간 후방측으로 기운 기립 상태로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거치대(16)를, 도 10 혹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스탠드(15)에 대하여 굴절된 상태로 위치시킬 때에는, 스탠드(15)의 양측부의 절결(49)보다도 거치대(16)측의 부분을, 예컨대 엄지 손가 락과 검지 손가락에 의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스탠드(15)의 고정용 구멍(35)에 대한 레그부(33)의 고정용 돌기(34)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또한, 거치대측 위치결정용 돌기(5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의 거의 직선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거치대(16)를 스탠드(15)에 대하여 굴절된 위치로 회동시킬 때에 스탠드측 위치 결정용 돌기(52)가 미끄럼운동하는 완만한 경사면[도 13에 있어서 스탠드측 위치 결정용 돌기(52)가 대치하지 않는 면]과, 스탠드(15)에 대하여 굴절하는 위치로 회동시킨 거치대(16)가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위치하는 방향으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급한 경사면[도 13에 있어서 스탠드측 위치 결정용 돌기(52)가 대치하고 있는 면]을 갖는 단면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거치대(16)의 후방 지지부(24)의 표면 좌우에는, 거치대(16)를 스탠드(15)에 대하여 굴절하도록 회동시켰을 때에, 스탠드(15)의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는 미소 돌기(56)가 형성되어 있고(도 7 및 도 12 참조), 해당 미소 돌기(56)에 의해, 후방 지지부(24)의 표면으로 스탠드(15)의 가장자리부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고, 후방 지지부(24)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거치대(16)의 좌우의 측방 지지부(25)의 안쪽면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57)가 장착되어 있다(도 12, 도 16 내지 도 18 참조).
이 미끄럼 방지 부재(57)에는 우레탄 폼 등의 탄력성이 풍부하고 또한 마찰 저항이 큰 소재가 이용되고 있고, 미끄럼 방지 부재(57)가 책상의 상면 등에 접함으로써, 거치대(16) 및 스탠드(15)의 미끄럼 낙하가 억제된다.
또한, 거치대(16)에는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이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접속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도 7 참조).
이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은 거치대(16)에 내장된 비틀림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에 의해, 거치대(16)에 지지되는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가압된다.
또한,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에는 상기 AC 어댑터(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가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거쳐서 공급된다.
이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의 거치대(16) 근처 부분은, 상기 공간(47)내의 짧은 힌지 축(32)의 근방으로 삽입 통과되어 있어,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치대(16)를 회동시킬 때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에 과대한 장력이 부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앞서 기술한 볼록부(30)의 휴대 전화기(3) 전후 방향의 외측 치수는, 홈(29)의 휴대 전화기(3) 전후 방향으로의 내측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거치대(16)에 대한 휴대 전화기(3)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으며,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치대(16)를 휴대 전화기(3)가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되는 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에는, 휴대 전화기(3)의 안테나 설치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자 하는 모멘트에 의해, 휴대 전화기(3)의 오목홈(27)과 후방 지지부(24)의 돌기(28)가 결합되어, 휴대 전화기(3)가 거치대(16)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억제되고,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가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에 확실히 접속되어 도통이 확보된다.
또한, 도 8 혹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3)가 기립 상태로 될 때에는, 거치대(16)에 내장된 가압 수단의 가압력과 휴대 전화기(3)의 자체 하중중에 의해,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가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에 확실히 접속되어 도통이 확보된다.
권취 부재(39)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권취될 수 있도록 스탠드(15)의 한쪽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리브(58)와, 해당 리브(58)의 스탠드 반대측 가장자리부에 설치한 플랜지(59)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리브(58)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의 이탈이 플랜지(59)에 의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도 8, 도 10, 도 14, 도 16 내지 도 18 참조).
또한, 권취 부재(39)에는 리브(58)로부터 플랜지(59)를 지나서 외측으로 개방된 절결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60)는 리브(58)에 있어서는 좌우로 연장하는 형상을 나타내고, 플랜지(59)에 근접할수록 개구 양 가장자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59)의 주연 형상은, 좌우 중간 부분에서, 리브(58)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면 파스너(40)는 인장 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민계 섬유 등을 소재로 하는 테이프(61)와, 미세 직경 섬유의 파일 뜨기에 의해 테이프(61)의 일측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루프(62)와, 테이프(61)의 비루프 형성면의 선단 부분에 끼워지고 또한 루프(62)에 결합 가능한 굴곡 선재 형상의 다수의 후크(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20 및 도 21 참조).
면 파스너(40)의 기단 부근 부분은, 테이프(61)의 비루프 형성면 상호의 용착 혹은 봉합에 의해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면 파스너(40)의 길이는, 상기 권취 부재(39)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권취 방향으로 피복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18 및 도 19 참조).
또, 도면중 참조부호(37)는 데이터 송수신용 커넥터, 참조부호(38)는 데이터 송수신용 케이블이고, 데이터 송수신용 케이블(38)은 마이크로 컴퓨터, 펙시밀리 등의 기기에 접속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의해,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에 대한 충전만을 책상 상면 등에서 실행하는 경우에는 권취 부재(39)로부터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풀고, 스탠드(15)내의 AC 어댑터(14)를 취출하여, 플러그(18)를 실내 전기 공급용 AC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삽입한다.
또한,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치대(16)를, 휴대 전화기(3)가 기립 상태로 지지되는 위치로 회동시킨다(도 8 참조).
이어서, 휴대 전화기(3)를 거치대(16)에 지지시킴에 의해,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거치대(16)의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접속시키고, AC 어댑터(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거쳐서 충전용 단자(5)로 공급하여,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를 충전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는 안테나 설치단부가 약간 후방으로 기운 기립 상태 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 이득의 저하에 기인하는 수신 불량이나, 휴대 전화기(3)에 부속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부(12) 및 액정 표시부(13)(도 24 참조)의 시인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3)로부터 보호 커버(8)를 분리하지 않고서 충전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중에 보호 커버(8)를 분실하거나, 충전 완료후에 보호 커버(8)의 장착을 하지 않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휴대 전화기(3)의 홈(29)에 거치대(16)의 볼록부(3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3)의 두께 방향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15) 및 거치대(16)에 대한 실내 전기 공급용 AC 콘센트의 위치가 비교적 가까운 경우에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의 일부를 권취 부재(39)에 권취하여 늘어뜨려 연장되는 길이를 조정한다.
이 때, 면 파스너(40)를 권취 부재(39)의 절결부(60)에 끼워넣어, 권취 부재(39)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에 대한 충전을 책상의 상면 등에서 실행하면서, 휴대 전화기(3)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치대(16)를, 휴대 전화기(3)가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위치로 회동시킨다(도 14 참조).
또한, 휴대 전화기(3)로부터 보호 커버(8)를 분리한 뒤, 데이터 송수신용 케이블(38)을 거쳐서 마이크로 컴퓨터, 펙시밀리 등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송수신용 커넥터(37)를 휴대 전화기(3)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삽입한다.
이어서, 휴대 전화기(3)를 거치대(16)에 지지시킴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용 커넥터(37)를 거치대(16)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26)에 개재시킴과 동시에,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거치대(16)의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접속시키고, AC 어댑터(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거쳐서 충전용 단자(5)로 공급하여,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에 대한 충전을 실행하면서, 휴대 전화기(3)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한다.
이 때, 휴대 전화기(3)는 거치대(16) 및 스탠드(15)을 거쳐서 책상 상면 등에 놓여지게 되기 때문에, 안테나 이득의 저하에 기인하는 송수신 불량이 억제된다.
또한, 거치대(16)에 마련된 레그부(33)의 선단이, 스탠드(15)가 탑재되는 책상 상면 등에 접촉하기 때문에, 탑재대(16)의 회동이 억제되어, 휴대 전화기(3)가 거치대(16)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3)의 안테나 설치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자 하는 모멘트에 의해, 휴대 전화기(3)의 오목홈(27)과 후방 지지부(24)의 돌기(28)가 결합하여, 휴대 전화기(3)가 거치대(16)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억제되고,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가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에 확실히 접속되어, 전기 공급용 접속편(17)과 충전용 단자(5)의 도통이 확보되기 때문에,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해 충전용 단자(5)와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이 이격되지 않게 된다.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에 대한 충전을, 벽 등의 수직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전기 공급용 AC 콘센트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경우(도 10 참조)에 는, 스탠드(15)내에 AC 어댑터(14)를 수납하고, 권취 부재(39)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권취하며, 해당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면 파스너(40)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피복하며, 후크(63)를 루프(62)에 결합시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풀리는 것을 억제한다(도 18 및 도 19 참조).
또한, 스탠드(15)에 대하여 거치대(16)를, 휴대 전화기(3)가 기립 상태로 지지되는 위치에 회동시켜, 플러그(18)를 실내 전기 공급용 AC 콘센트에 삽입한다.
이어서, 휴대 전화기(3)를 거치대(16)에 지지시킴으로써, 휴대 전화기(3)의 충전용 단자(5)에 거치대(16)의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접속시키고, AC 어댑터(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17)을 거쳐서 충전용 단자(5)로 공급하여,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를 충전한다.
이 때, 거치대(16)에 설치된 레그부(33)의 선단이, 벽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거치대(16)의 회동이 억제되어, 휴대 전화기(3)가 거치대(16)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AC 어댑터(14)의 케이스(19)에 형성한 오목부(43)에, 스탠드(15)에 마련한 스토퍼(44)가 결합되어 있고, 또한 권취 부재(39)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권취하고 있는 것에 의해, AC 어댑터(14)로부터 스탠드(15)가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3)의 홈(29)에 거치대(16)의 볼록부(3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3)의 두께 방향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도, 데이터 송수신용 커넥터(37)를 휴대 전화 기(3)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4)에 삽입함에 의해, 휴대 전화기(3)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에 대한 충전을 실행하면서, 휴대 전화기(3)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를 휴대할 때에는, 플러그(18)가 공간(20)에 수납된 상태의 AC 어댑터(14)를, 스탠드(15)에 의해 거의 전체적으로 피복하여, 장치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도모한다(도 17 및 도 18 참조).
또한, 권취 부재(39)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권취하고, 해당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면 파스너(40)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피복하며, 후크(63)를 루프(62)에 걸어맞추어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풀리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도 7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AC 어댑터(14)를 스탠드(15)내에 수납하여 외형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향상되고, 또한 권취 부재(39)에 권취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면 파스너(40)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피복하여,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면 파스너(40)는 권취 부재(39)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의 주위를 평평하게 피복하기 때문에, 해당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권취 부재(39)에 권취한 상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미적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AC 어댑터(14)를 스탠드(15)내에 수납하여 외형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때문에, 휴대성 이 향상되고, 또한 스탠드(15)에 설치한 스토퍼(44)를 AC 어댑터(14)의 케이스(19)에 형성한 오목부(43)에 접촉하도록 결합시켜, AC 어댑터(14)와 스탠드(15)의 분리를 방지하기 때문에, 벽에 부착된 콘센트를 이용하고 또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늘어뜨려 연장하는 일없이 휴대 전화기(3)에 대한 충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휴대시에는 AC 어댑터(14)의 케이스(19)에 형성한 공간(20)에 플러그(18)를 수납하여, 해당 플러그(18)가 스탠드(15)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의 제 3 실시예이고, 도면중 도 7 내지 도 2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부분은 동일물을 나타내고 있다.
이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는 AC 어댑터(64), 스탠드(65), 거치대(16), 전기 공급용 케이블(21), 권취 부재(66) 및 면 파스너(40)를 구비하고 있다.
AC 어댑터(64)는 실내 전기 공급용의 AC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는 플러그(18)에 의해서 공급받은 교류 전류(AC100V)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AC 어댑터(64)의 케이스(67)의 소재로는 ABS 수지 등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AC 어댑터(64)에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권취될 수 있도록 케이스(67)의 한쪽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리브(68)와, 해당 리브(68)의 스탠드 반대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플랜지(69)에 의해 구성되는 권취 부재(66)가 설치되어 있고, 리브(68)에 권취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의 탈락을 플랜지(69)에 의해서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권취 부재(66)에는 리브(68)로부터 플랜지(69)를 지나서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절결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70)는 리브(68)에 있어서는 좌우로 연장하는 형상을 나타내고, 플랜지(69)에 근접할수록 개구 양 가장자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69)의 주변 가장자리 형상은, 좌우 중간 부분에서, 리브(68)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67)의 다른쪽 단부 부근에는, 플러그(18)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18)는 공간내에 수납되는 위치와 공간 외측으로 돌출되어 AC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67)에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7)의 플러그(18) 돌출면의 좌우 양 가장자리에는, 상기 공간 형성 부분을 제외하고, 케이스(67)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쪽 단부를 향하여 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7)의 좌우 가장자리부에는 오목부(71)에 연속하는 반원호상의 오목홈(72)이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65)는 안쪽측과 한쪽 단부가 개방되고 또한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AC 어댑터(64)가 삽입 가능한 상자형상 공중체이다.
이 스탠드(65)의 소재로는 ABS 수지 등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를 이 용하고 있다.
스탠드(65)내에는, AC 어댑터(64)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케이스(67)의 좌우측면이 미끄럼 접촉하는 벽형상의 안내 부재(73)와, 해당 안내 부재(73)에 연속되고 또한 케이스(67)의 오목부(71)가 미끄럼 접촉하는 제 1 스토퍼(74)와, 해당 제 1 스토퍼(74)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케이스(67)의 오목홈(72)에 결합 가능한 반원형상의 제 2 스토퍼(75)가 설치되어 있고, 스탠드(65)의 좌우 측부와 안내 부재(73) 사이에는 공간(76)이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65)의 양측부에는,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개구 가장자리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선형상의 절결부(77)가 형성되어 있어, 예컨대 엄지 손가락 및 검지 손가락에 의한 상호 가압 정도의 힘에 따라 스탠드(65)의 양측부를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65)의 한쪽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한쪽의 공간(76)으로 관통하는 구멍(78)이 뚫려 있고, AC 어댑터(64)에 접속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은 구멍(78) 및 구멍(78) 및 공간(76)에 삽입 통과되어서, 거치대(16)에 접속되어 있다.
거치대(16)는 스탠드(65)의 양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아암(79)에 의해서, 스탠드(6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 아암(79)은 앞서 기술한 지지 아암(31)(도 10 내지 도 14)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AC 어댑터(64)를 스 탠드(65)내로 삽입하면, 케이스(67)의 오목부(71)에 접촉하는 제 1 스토퍼(74)에 의해 AC 어댑터(64)의 두께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또한 케이스(67)의 오목홈(72)에 제 2 스토퍼(75)가 결합함으로써, AC 어댑터(64)의 삽입 방향으로의 변위가 구속되게 된다.
또한, 제 2 스토퍼(75)가 오목홈(72)에 대하여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2 스토퍼(75)가 케이스(67)의 가장자리부에 접하여 좌우의 안내 부재(73)가 제 1 스토퍼(74)를 거쳐서 탄성 변형되어 가압 확대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AC 어댑터(64)가 스탠드(65)로부터 간단히 빠져나오는 것이 억제된다.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를 휴대할 때에는, 플러그(18)가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의 AC 어댑터(64)를 스탠드(65)에 삽입하여, 장치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또한, 권취 부재(66)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권취하고, 해당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면 파스너(40)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피복하여,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풀리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도 22에 도시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AC 어댑터(64)를 스탠드(65)내에 수납하여 외형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향상되고, 또한 권취 부재(66)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면 파스너(40)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피복하여,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면 파스너(40)는 권취 부재(66)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의 주위를 평평하게 피복하기 때문에, 해당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권취 부재(66)에 권취한 상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미적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AC 어댑터(64)를 스탠드(65)내에 수납하여 외형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향상되고, 또한 스탠드(65)에 설치한 제 1 스토퍼(74)를 AC 어댑터(64)의 케이스(67)에 형성한 오목부(71)에 접촉하도록 결합시키고 또한 스탠드(65)에 설치한 제 2 스토퍼(75)를 케이스(67)의 오목홈(72)에 끼워맞추도록 결합시키고, AC 어댑터(64)와 스탠드(65)의 분리를 방지하기 때문에, 벽에 부착된 콘센트를 이용하고 또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늘어뜨려 연장하는 일없이 휴대 전화기(3)에 대한 충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휴대시에는 AC 어댑터(64)의 케이스(67)에 형성한 공간에 플러그(18)를 수납하고, 해당 플러그(18)가 스탠드(65)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변경을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스탠드(15)의 한쪽 단면과 플랜지(59)의 간격, 혹은 AC 어댑터(64)의 한쪽 단면과 플랜지(69)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무단(無端) 띠형상체를, 합성 고무 등의 신축성이 풍부한 소재에 의해서 형성하고, 이 무단 띠형상체를, 앞 서 기술한 면 파스너(40) 대신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권취 부재(39, 66)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무단 띠형상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무단 띠형상체의 소정 개소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작은 직경의 환상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무단 띠형상체의 원주 길이를, 권취 부재(39, 66)에 권취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에 무단 띠형상체가 외측 끼워맞춤 밀착하도록 설정해 놓는다.
이와 같이, 면 파스너(40) 대신에, 신축성을 갖는 무단 띠형상체를 이용하더라도, 해당 무단 띠형상체가, 권취 부재(39, 66)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의 주위를 평평하게 피복하게 되기 때문에, 해당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전기 공급용 케이블(21)을 권취 부재(39, 66)에 권취한 상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미적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여러가지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본 발명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AC 어댑터가 스탠드에 의해 피복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시의 장치 전체 형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무선 전화기를 거치대에 지지시킴으로써,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에 거치대의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접속시키고,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 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거쳐서 충전용 단자로 공급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용 커넥터를 피복하고 있는 보호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서, 무선 전화기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를 충전할 수 있어, 충전중에 보호 커버를 분실하거나, 충전 완료후에 보호 커버를 장착하지 않게 되는 일이 없어진다.
(3) 전기 공급용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고서 충전을 실행하기 때문에, 전기 공급용 커넥터의 삽입 및 분리에 기인한 인터페이스용 커넥터의 열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4) 무선 전화기가 기립 상태로 지지되는 위치로 거치대를 회동시킴으로써, 안테나 이득의 저하에 기인하는 수신 불량이나, 무선 전화기에 부속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부 및 액정 표시부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5) 무선 전화기가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위치로 거치대를 회동시키고,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무선 전화기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에 삽입해야 할 대상 기기용의 커넥터를, 거치대에 형성한 공간에 개재시킴으로써, 충전중에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거치대가 무선 전화기를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하고 있을 때에, 무선 전화기의 오목홈에 거치대의 돌기가 결합하여, 진동 등에 기인한 무선 전화기의 안테나 설치단부측으로의 변위를 억제하기 때문에, 전기 공급 접속편과 충전용 단자와의 도통을 확보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거 치대가 무선 전화기를 기립 상태로 지지하고 있을 때에, 무선 전화기의 홈에 거치대의 볼록부가 결합하기 때문에, 무선 전화기의 두께 방향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거치대가 무선 전화기를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하고 있을 때에, 거치대의 레그부가 스탠드 탑재면에 접촉하여, 거치대의 회동을 억제하기 때문에, 무선 전화기를 탑재대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플러그를 AC 어댑터의 오목부에 수납하기 때문에, 휴대시의 장치 전체 형상의 소형화가 촉진되고, 또한 플러그가 스탠드에 의해 피복되기 때문에, 플러그에 의한 의복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청구항 6 및 청구항 7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AC 어댑터를 스탠드에 의해 피복하여 외형을 소형화하기 때문에, 장치의 휴대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권취 부재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권취함에 의해, 휴대시의 전기 공급용 케이블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11) 본 발명의 청구항 8 및 청구항 9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AC 어댑터를 스탠드에 삽입하여 외형을 소형화하기 때문에, 장치의 휴대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권취 부재에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권취함에 의해, 휴대시의 전기 공급용 케이블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12) 본 발명의 청구항 7 및 청구항 9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권취되는 리브와 해당 리브에 설치한 플랜지에 의해 권취 부재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리브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13)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권취 부재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면 파스너 혹은 신축성을 갖는 무단 띠형상체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피복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며 염가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면 파스너 혹은 무단 띠형상체에 의해 피복되어 드러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휴대시에 있어서의 장치의 미적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4)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AC 어댑터를 스탠드에 의해 피복하여 외형을 소형화하기 때문에, 장치의 휴대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스토퍼를 통해서 AC 어댑터에 스탠드를 결합시켜, AC 어댑터와 스탠드의 분리를 방지하기 때문에, 벽에 부착된 콘센트를 이용하고 또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늘어뜨려 연장하는 일없이 무선 전화기에 대한 충전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15)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는, AC 어댑터를 스탠드에 삽입하여 외형을 소형화하기 때문에, 장치의 휴대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스토퍼를 통해 AC 어댑터에 스탠드를 결합시켜, AC 어댑터와 스탠드의 분리를 방지하기 때문에, 벽에 부착된 콘센트를 이용하고 또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늘어뜨려 연장하는 일없이 무선 전화기에 대한 충전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16)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무선 전화기용 충전에 있어서는, 플러그를 스탠드내에 수납되는 위치로 회동시켜, 휴대시의 플러그의 노출을 방지하기 때문에, 플러그에 의한 의복 등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13)

  1.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상기 AC 어댑터를 피복하는 스탠드와,
    무선 전화기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기 커넥터 설치단부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를 갖고 또한 무선 전화기의 인터페이스용 커넥터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된 거치대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에 접속할 수 있도록 거치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직류 전류가 공급되는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에 지지된 무선 전화기가 기립 상태로 되는 위치와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되는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를 스탠드의 단부에 축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무선 전화기를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할 때에, 무선 전화기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후면에 형성한 오목홈에 결합될 수 있는 돌기를 거치대의 후방 지지부에 형성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의 커넥터 설치단부의 양 측면에 형성한, 커넥터 설치단부로부터 안테나 설치단부로 연장되는 홈에 결합될 수 있는 볼록부를 거치대의 측방 지지부에 형성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무선 전화기를 옆으로 뉘어진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로 회동된 때에, 상기 거치대의 회동을 억제하도록 스탠드 탑재면에 접촉할 수 있는 레그부를 상기 거치대에 설치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C 어댑터의 스탠드에 의해 피복되는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수납되는 위치와 오목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AC 어댑터에 대해 축 지지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6.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상기 AC 어댑터를 피복할 수 있는 스탠드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 설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충전용 단자에 접속 가능한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갖는 거치대와,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과,
    상기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스탠드에 설치한 권취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스탠드의 단면(端面)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스탠드 반대측 가장자리에 설치한 플랜지에 의해서, 권취 부재를 형성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8.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상기 AC 어댑터가 삽입되는 스탠드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 설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충전용 단자에 접속 가능한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갖는 거치대와,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과,
    상기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AC 어댑터에 설치한 권취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용 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AC 어댑터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AC 어댑터 반대측 가장자리에 설치한 플랜지에 의해서, 권취 부재를 형성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단(基端) 부분이 전기 공급용 케이블에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권취 부재에 권취된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권취 방향으로 피복할 수 있는 면 파스너 혹은 신축성 있는 무단(無端) 띠형상체를 포함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11. 충전용 콘덴서로부터 교류 전류를 공급받는 플러그를 갖고 또한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상기 AC 어댑터를 피복할 수 있는 스탠드와,
    AC 어댑터가 스탠드에 피복될 때에 상기 스탠드를 AC 어댑터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 설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충전용 단자에 접속할 수 있는 충전용 접속편을 갖는 거치대와,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가 수직한 면에 접할 때에 무선 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와 상기 스탠드가 수평한 면에 접할 때에 무선 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위치 설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를 상기 스탠드의 단부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12. 전기 공급용 콘센트로부터 교류 전류를 공급받는 플러그를 갖고 또한 교류 전류를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 어댑터와,
    상기 AC 어댑터가 삽입되는 스탠드와,
    AC 어댑터가 스탠드에 삽입될 때에 상기 스탠드를 AC 어댑터에 결합 고정시킬할 수 있는 스토퍼와,
    무선 전화기의 충전용 단자 설치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충전용 단자에 접속할 수 있는 전기 공급용 접속편을 갖는 거치대와,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기 공급용 접속편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용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가 수직한 면에 접할 때에 무선 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와 상기 스탠드가 수평한 면에 접할 때에 무선 전화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위치 설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를 상기 스탠드의 단부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C 어댑터가 스탠드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킬 수 있는 위치와 스탠드내에 저장되는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AC 어댑터의 플러그를 설치한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KR1019990062563A 1999-03-10 1999-12-27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KR100566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63302A JP2000261970A (ja) 1999-03-10 1999-03-10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JP06330199A JP3911100B2 (ja) 1999-03-10 1999-03-10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JP99-063302 1999-03-10
JP99-063301 1999-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232A KR20000062232A (ko) 2000-10-25
KR100566158B1 true KR100566158B1 (ko) 2006-03-29

Family

ID=2640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563A KR100566158B1 (ko) 1999-03-10 1999-12-27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66158B1 (ko)
CN (1) CN1173589C (ko)
HK (1) HK102852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55B1 (ko) 2009-03-17 2011-03-24 (주)상영이텍 핸드폰용 변환젠더
CN105496312A (zh) * 2016-01-20 2016-04-2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充电座
US10478035B2 (en) 2016-01-20 2019-11-19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harging stand for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7067B2 (en) 2004-05-11 2008-10-14 Olympus Corporation Stand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and its accessory apparatus
JP2005323260A (ja) * 2004-05-11 2005-11-17 Olympus Corp スタン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電子機器
JP2005323261A (ja) * 2004-05-11 2005-11-17 Olympus Corp アクセサリ装置
CN104283240B (zh) * 2013-07-02 2017-03-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多功能移动电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55B1 (ko) 2009-03-17 2011-03-24 (주)상영이텍 핸드폰용 변환젠더
CN105496312A (zh) * 2016-01-20 2016-04-2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充电座
US10478035B2 (en) 2016-01-20 2019-11-19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harging stand for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232A (ko) 2000-10-25
CN1173589C (zh) 2004-10-27
HK1028520A1 (en) 2001-02-16
CN1267178A (zh) 200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14351A1 (en) Attachable Extendable and Retractable Earpiece Cabl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Sound Devices
KR100566158B1 (ko) 무선 전화기용 충전 장치
US20060121962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telephone with cord organization means
CA2887925A1 (en) Support for a battery charger and battery charger electrical cable
CN208316360U (zh) 移动终端充电装置
JPH10146213A (ja) 携帯電話用太陽電池付キャリングケース
JP3911100B2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KR20130073420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 코드 정리기
KR200342564Y1 (ko) 버클폰
JP2002134934A (ja) 移動通信機用のストラップ固定構造
JP3009875B1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JP2005035438A (ja) 自転車用充電器付携帯機器ホルダ
JP4119626B2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US20080278113A1 (en) Structure for Linking Battery Charger And Storage Unit
JP2000261970A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JP2002135985A (ja) 移動通信機用の充電器
KR101479605B1 (ko) 이어독 이어폰
JP3361304B2 (ja) 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及びアタッチメント付き携帯電話機
CN213072799U (zh) 一种带缠线功能的手机壳
CN216122808U (zh) 一种夹式运动蓝牙耳机
KR200341161Y1 (ko) 태양열을 이용한 휴대폰 충전장치
CN217508837U (zh) 一种新型固定带支架手机壳
JP2002300246A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CN112978052A (zh) 壳体使用的扣接结构
CN220930741U (zh) 一种电子设备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