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142B1 - 접점식 단말 충전기 - Google Patents

접점식 단말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142B1
KR101220142B1 KR1020110055398A KR20110055398A KR101220142B1 KR 101220142 B1 KR101220142 B1 KR 101220142B1 KR 1020110055398 A KR1020110055398 A KR 1020110055398A KR 20110055398 A KR20110055398 A KR 20110055398A KR 101220142 B1 KR101220142 B1 KR 10122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contact
gende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458A (ko
Inventor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이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수 filed Critical 이형수
Priority to KR102011005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14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접점 접촉방식을 통해 안정적인 전기적인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전유닛에 대한 젠더변환유닛의 삽입방향에 무관하게 전원 공급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접점식 단말 충전기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단에 휴대단말기와 연결되는 젠더커넥터가 마련되고 타단에 복수의 접점단자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젠더변환유닛과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에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충전단자가 마련되는 충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는 피드백 접점단자와, 상기 피드백 접점단자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양극 접점단자 및 접지 접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단자는 피드백 충전단자와, 상기 피드백 충전단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양극 충전단자 및 접지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점식 단말 충전기{POINT CONTACT TYPE APPARATUS FOR CHARG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접점식 단말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점 접촉방식을 통해 젠더변환유닛과 충전유닛 간에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전유닛에 대한 젠더변환유닛의 삽입방향에 무관하게 전원 공급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접점식 단말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의 제한적인 용량에 의해 방전이 이루어지므로, 휴대단말기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휴대단말기에는 충전을 위한 단말커넥터가 마련된다. 이 단말커넥터는 외부기기(충전기)의 외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런데 이들 단말커넥터와 외부커넥터 간의 접속시, 커넥터의 핀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외부기기를 그대로 휴대단말기에 접속시킬 수 있지만, 커넥터의 핀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휴대단말기를 외부기기에 접속시키기 위해 젠더 변환기(Gender Converter)를 사용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젠더(20)는 젠더본체(21)와, 젠더본체(21)의 양단에 설치된 젠더커넥터(22) 및 연결커넥터(23)와, 젠더커넥터(22)와 연결커넥터(23) 사이에 개재되는 회로기판(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이때, 젠더커넥터(22)는 휴대단말기(10)의 단말커넥터(11)와 동일한 개수의 핀단자를 갖으며, 연결커넥터(23)는 충전기(30)의 외부커넥터(31)와 동일한 개수의 핀단자를 갖는다.
따라서, 젠더(20)의 젠더커넥터(22)를 휴대단말기(10)의 단말커넥터(11)에 결합하고, 젠더(20)의 연결커넥터(23)를 충전기(30)의 외부커넥터(31)와 결합한 후, 충전기(30)의 전원플러그(32)를 전원소켓에 연결하면, 휴대단말기(10)가 충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충전 중에 휴대단말기를 잠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젠더의 연결커넥터를 충전기의 외부커넥터로부터 분리한 후 휴대단말기를 사용해야 하고, 사용한 후에는 다시 연결커넥터를 외부커넥터에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충전시 젠더의 연결커넥터를 충전기의 외부커넥터에 결합하는 경우, 연결커넥터를 일정방향으로 외부커넥터에 결합하여야 외부커넥터와 연결커넥터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연결커넥터를 뒤집어 외부커넥터에 결합하게 되면, 연결커넥터와 외부커넥터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충전 전압이 상이하고, 젠더의 종류 또한 다양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젠더와 충전기가 필요한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히, 호텔, 편의점, PC방 및 병원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서, 휴대단말기의 충전을 위해 충전기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충전기를 모두 준비해야 하고, 여러 대의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여러 대의 충전기에서 대기 전류가 소모되므로, 전력 손실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점 접촉방식을 통해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을 유도하고, 충전유닛에 대한 젠더변환유닛의 삽입방향에 무관하게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접점식 단말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는, 일단에 휴대단말기와 연결되는 젠더커넥터가 마련되고 타단에 복수의 접점단자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젠더변환유닛과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에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충전단자가 마련되는 충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는 피드백 접점단자와, 상기 피드백 접점단자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양극 접점단자 및 접지 접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단자는 피드백 충전단자와, 상기 피드백 충전단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양극 충전단자 및 접지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젠더변환유닛은 상기 젠더커넥터 및 복수의 접점단자가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젠더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젠더본체의 타단에는 곡면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가 노출되는 볼록부로 구성되고, 상기 충전유닛은 복수의 충전단자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충전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본체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충전단자가 노출되는 오목부가 마련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접점단자, 양극 접점단자 및 접지 접점단자는 상기 젠더변환유닛에 일렬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피드백 충전단자, 양극 충전단자 및 접지 충전단자는 상기 충전유닛에 일렬 구조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극 접점단자는 저압 양극 접점단자와 고압 양극 접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충전단자는 상기 저압 양극 접점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저압 양극 충전단자와 상기 고압 양극 접점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고압 양극 충전단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목부는 상기 충전유닛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젠더변환유닛의 볼록부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는, 젠더변환유닛 및 충전유닛을 포함하고, 젠더변환유닛은 일단에 휴대단말기와 연결되는 젠더커넥터가 마련되고 타단에 복수의 접점단자가 마련되고, 충전유닛은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에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충전단자가 대칭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젠더변환유닛과 충전유닛 간의 전기적인 접촉이 접점 접촉방식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커넥터를 서로 분리 및 결합시키는 번거로운 동작 없이도, 충전중에도 휴대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해 젠더변환유닛을 충전유닛에 연결하는 경우, 젠더변환유닛의 접점단자를 충전유닛의 충전단자에 뒤집어 접촉시키더라도, 접속방향에 무관하게 젠더변환유닛과 충전유닛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하나의 충전유닛에 복수의 서로 다른 젠더변환유닛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공공시설에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경우, 다른 종류의 휴대단말기를 여러 대 동시에 충전할 수 있고, 대기 전류 발생시 한 대의 충전유닛에 해당되는 대기 전류가 소모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젠더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와 충전기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의 충전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의 젠더변환유닛을 도시한 저면도 및 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의 단자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의 단자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의 단자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점식 단말 충전기는, 접점 접촉방식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전기적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충전유닛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속방향에 무관하게 원활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는 젠더변환유닛(100)과, 젠더변환유닛(100)에 접점 접촉방식으로 접촉되어 젠더변환유닛(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유닛(200)을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유닛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변환유닛(100)은 휴대단말기(미도시)를 외부기기에 접속시키기 위한 젠더로, 젠더본체(130)와, 휴대단말기의 단말커넥터(미도시)에 결합되도록 젠더본체(130)의 일단에 노출되게 마련되는 젠더커넥터(110)와, 접점 접촉방식으로 충전유닛(200)에 접촉되도록 젠더본체(130)의 타단에 마련되는 복수의 접점단자(120)로 구성된다.
이 젠더변환유닛(100)의 젠더본체(130)는 젠더커넥터(110)와 복수의 접점단자(120)를 고정하는 젠더케이스로, 해당 일단에 젠더커넥터(110)가 삽입되는 삽입공(132)이 형성되고, 해당 타단에 복수의 접점단자(120)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해당 내부에 젠더커넥터(110)와 복수의 접점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회로기판(미도시)이 마련된다.
그리고 접점단자(120)는 피드백 접점단자(121)와, 이 피드백 접점단자(121)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는 양극 접점단자(122) 및 접지 접점단자(123)로 구성되어, 젠더변환유닛(100)의 접속방향에 무관하게 젠더변환유닛(100)과 충전유닛(200)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즉, 젠더변환유닛(100)의 타단에는 접지 접점단자(123), 양극 접점단자(122), 피드백 접점단자(121), 양극 접점단자(122) 및 접지 접점단자(123)로 구성된 복수의 접점단자(120)가 일렬 구조로 배치되는 바, 충전유닛(200)에 대한 젠더변환유닛(100)의 접속시 젠더변환유닛(100)을 뒤집어 연결하더라도, 상술한 접점단자(120)의 배열 구조(접지 접점단자 - 양극 접점단자 - 피드백 접점단자 - 양극 접점단자- 접지 접점단자)는 동일한 배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 접점단자(123), 양극 접점단자(122), 피드백 접점단자(121), 양극 접점단자(122) 및 접지 접점단자(123)가 일렬로 배치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점단자(120)의 배열 구조는, 피드백 접점단자(121)를 기준으로 접지 접점단자(123) 및 양극 접점단자(122)가 대칭되게 배치되는 배열 구조를 모두 만족한다. 예를 들어, 접지 접점단자(123) 및 양극 접점단자(122)는, 피드백 접점단자(121)를 기준으로 동일 거리를 유지되도록 피드백 접점단자(121)의 방사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복수의 접점단자(120)는 젠더본체(130)의 타단에 형성된 볼록부(131)에 배치된다. 이 볼록부(131)는 젠더본체(130)의 타단에서 볼록하게 돌출되어 후술하는 충전유닛(200)의 오목부(231)에 삽입되는데, 볼록부(131)의 가장자리는 라운딩 처리되므로, 휴대단말기의 두께와 무관하게 충전유닛(200)의 오목부(231)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볼록부(131)의 가장자리가 수직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젠더변환유닛(100)의 볼록부(131)는 충전유닛(200)의 오목부(231)에 일방향으로 삽입만이 가능하지만, 볼록부(131)의 가장자리가 라운딩 형성된 경우에는, 젠더변환유닛(100)의 볼록부(131)는 오목부(231)에 대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삽입이 가능하므로, 두께가 두꺼운 휴대단말기라도 볼록부(131)/오목부(231) 간에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젠더변환유닛의 저면도 및 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유닛(200)은 젠더변환유닛(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로, 충전본체(230)와, 충전본체(230)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충전단자(210)와, 회로기판을 매개로 충전단자(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충전본체(230)는 복수의 휴대단말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케이스 형태로 구성되고, 해당 테두리부에는 휴대단말기의 충전 여부가 표시되는 복수의 충전램프(240)와, 젠더변환유닛(100)의 볼록부(131)가 삽입되는 오목부(231)가 각각 형성된다.
이 충전본체(230)의 오목부(231)는 젠더변환유닛(100)의 볼록부(131)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 형태로 구성되며, 충전유닛(2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된다. 이로써, 하나의 충전본체(230)에 복수의 젠더변환유닛(100)이 삽입되어 복수의 휴대단말기가 동시에 충전될 수 있으며, 대기 전류 발생시 한 대의 충전유닛에 해당되는 대기 전류가 소모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본체(230)의 테두리부에 4개의 오목부(231)가 형성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충전본체(230)에는 4개 미만 또는 5개 이상의 오목부(231)가 설계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오목부(231)에는 삽입된 볼록부(131)의 접점단자(120)와 접촉되는 복수의 충전단자(210)가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충전본체(230)의 오목부(231)에 젠더변환유닛(100)의 볼록부(131)가 삽입되면, 볼록부(131)에 접점단자(120)와 오목부(231)의 충전단자(210)가 서로 접촉되면서 이들 간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단자(210)는 피드백 접점단자(121)에 접촉되는 피드백 충전단자(211)와, 양극 접점단자(122)에 접촉되는 양극 충전단자(212)와, 접지 접점단자(123)에 접촉되는 접지 충전단자(213)로 구성된다. 특히, 이들 복수의 충전단자(210)는 접점단자(120)의 배열구조와 같이, 접지 충전단자(213), 양극 충전단자(212), 피드백 충전단자(211), 양극 충전단자(212) 및 접지 충전단자(213)가 일렬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충전유닛(200)에 대한 젠더변환유닛(100)의 접속시 젠더변환유닛(100)을 뒤집어 연결하더라도, 충전단자의 배열 구조는 동일한 배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단말기를 젠더커넥터(110)를 통해 젠더변환유닛(100)에 결합한 후, 젠더변환유닛(100)의 볼록부(131)를 충전유닛(200)의 오목부(231)에 삽입함으로써, 젠더변환유닛(100)의 접점단자(120)가 충전유닛(200)의 충전단자(210)에 접촉시켜 충전유닛(200)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젠더변환유닛(100)의 상,하부를 뒤집어 충전유닛(200)의 오목부(231)에 삽입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젠더변환유닛(100)의 접지 접점단자(123), 양극 접점단자(122), 피드백 접점단자(121), 양극 접점단자(122) 및 접지 접점단자(123)가 일렬 구조로 배치되므로, 젠더변환유닛(100)의 접속방향에 무관하게 젠더변환유닛(100)과 충전유닛(200)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충전유닛(200)에 마련된 복수의 오목부(231)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휴대단말기가 젠더변환유닛(100)을 매개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휴대단말기가 동시에 충전될 수 있고, 대기 전류 발생시 한 대의 충전유닛에 해당되는 대기 전류만이 소모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의 단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는, 한 쌍의 접지 접점단자(123) 및 양극 접점단자(122)가 피드백 접점단자(121)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젠더변환유닛(100)과, 하나의 피드백 충전단자(211), 양극 충전단자(212) 및 접지 충전단자(213)가 마련된 충전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젠더변환유닛(100) 및 충전유닛(200)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젠더변환유닛(100) 및 충전유닛(200)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 충전유닛(200)의 충전단자(210)는 피드백 충전단자(211)를 기준으로 한 쌍의 접지 충전단자(213) 및 양극 충전단자(212)가 대칭되게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유닛(200)에서는, 도 5a에서 보듯이, 피드백 충전단자(211)를 기준으로 일측에 접지 충전단자(213) 및 양극 충전단자(212)가 연속하여 배치되거나, 도 5b에서 보듯이, 피드백 충전단자(211)를 기준으로 양측에 접지 충전단자(213) 및 양극 충전단자(21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충전유닛(200)의 피드백 충전단자(211), 양극 충전단자(212) 및 접지 충전단자(213)는,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젠더변환유닛(100)의 피드백 접점단자(121), 접지 접점단자(123) 및 양극 접점단자(122)와 접촉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의 단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는, 하나의 피드백 접점단자(121), 양극 접점단자(122) 및 접지 접점단자(123)가 마련된 젠더변환유닛(100)과, 한 쌍의 접지 충전단자(213) 및 양극 충전단자(212)가 피드백 충전단자(211)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충전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젠더변환유닛(100)에서는, 도 6a에서 보듯이, 피드백 접점단자(121)를 기준으로 일측에 접지 접점단자(123) 및 양극 접점단자(122)가 연속하여 배치되거나, 도 5b에서 보듯이, 피드백 접점단자(121)를 기준으로 양측에 접지 접점단자(123) 및 양극 접점단자(122)가 각각 배치된다. 이때, 젠더변환유닛(100)의 피드백 접점단자(121), 양극 접점단자(122) 및 접지 접점단자(123)는,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충전유닛(200)의 피드백 충전단자(211), 접지 충전단자(213) 및 양극 충전단자(212)와 접촉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의 단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점식 단말 충전기는, 하나의 피드백 접점단자(121), 양극 접점단자(122) 및 접지 접점단자(123)가 마련된 젠더변환유닛(100)과, 한 쌍의 접지 충전단자(213), 고압 양극 충전단자(212a) 및 저압 양극 충전단자(212b)가 피드백 충전단자(211)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충전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충전유닛(200)에서 서로 다른 전압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압 양극 충전단자(212a)에는 MP3, PDP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용하는 5V의 전압이 인가되고, 저압 양극 충전단자(212b)에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용하는 4.2V의 전압이 인가되었지만, 고압 또는 저압의 설정 전압은 휴대단말기의 사용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7a에서 보듯이, 4.2V의 전압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저압 양극 충전단자(212b)에 접촉되는 저압 양극 접점단자(122b)가 마련된 젠더변환유닛(100)을 휴대단말기에 결합하고,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젠더변환유닛(100)을 충전유닛(210)에 접속함으로써, 저압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b에서 보듯이, 5V의 전압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고압 양극 충전단자(212a)에 접촉되는 고압 양극 접점단자(122a)가 마련된 젠더변환유닛(100)을 휴대단말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젠더변환유닛(100)을 충전유닛(200)에 접속함으로써, 고압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젠더변환유닛 110 :젠더커넥터
120 :접점단자 121 :피드백 접점단자
122 :양극 접점단자 122a :고압 양극 접점단자
122b :저압 양극 접점단자 123 :접지 접점단자
130 :젠더본체 131 :볼록부
200 :충전유닛 210 :충전단자
211 :피드백 충전단자 212 :양극 충전단자
213 :접지 충전단자 230 :충전본체
231 :오목부 240 :충전램프

Claims (7)

  1. 일단에 휴대단말기와 연결되는 젠더커넥터가 마련되고 타단에 복수의 접점단자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젠더변환유닛;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에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충전단자가 마련되는 충전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는 피드백 접점단자와, 상기 피드백 접점단자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양극 접점단자 및 접지 접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단자는 피드백 충전단자와, 상기 피드백 충전단자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양극 충전단자 및 접지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식 단말 충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젠더변환유닛은 상기 젠더커넥터 및 복수의 접점단자가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젠더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젠더본체의 타단에는 곡면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가 노출되는 볼록부로 구성되고,
    상기 충전유닛은 복수의 충전단자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충전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본체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충전단자가 노출되는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식 단말 충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접점단자, 양극 접점단자 및 접지 접점단자는 상기 젠더변환유닛에 일렬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피드백 충전단자, 양극 충전단자 및 접지 충전단자는 상기 충전유닛에 일렬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식 단말 충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접점단자는 저압 양극 접점단자와 고압 양극 접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충전단자는 상기 저압 양극 접점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저압 양극 충전단자와 상기 고압 양극 접점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고압 양극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식 단말 충전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충전유닛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젠더변환유닛의 볼록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식 단말 충전기.
  7. 삭제
KR1020110055398A 2011-06-09 2011-06-09 접점식 단말 충전기 KR10122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398A KR101220142B1 (ko) 2011-06-09 2011-06-09 접점식 단말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398A KR101220142B1 (ko) 2011-06-09 2011-06-09 접점식 단말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458A KR20120136458A (ko) 2012-12-20
KR101220142B1 true KR101220142B1 (ko) 2013-01-11

Family

ID=4790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398A KR101220142B1 (ko) 2011-06-09 2011-06-09 접점식 단말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450B1 (ko) * 2014-10-23 2021-09-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포브 키 및 상기 차량용 포브 키의 충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844A (ko) * 2004-09-10 200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내장형 휴대폰의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844A (ko) * 2004-09-10 200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내장형 휴대폰의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458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1981B2 (en) Mobile power supply, charging base and superimposed charging platform
US8944845B2 (en) Power plug, electrical plug assembly and electrical charger assembly
US20160260955A1 (en) Battery with usb port
US20050040788A1 (en) Storage cell supplying power of different voltages
KR20130129489A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N101901942A (zh) 2种方形充电电池的充电器
CN100432891C (zh) 用于便携式计算装置的热接触适配器
TWI614957B (zh) 導電元件及電源插座
US10432000B2 (en) Portable charger having switch for adjusting voltage thereof
KR101220142B1 (ko) 접점식 단말 충전기
GB2456133A (en) Contact pin structure
JP3190493U (ja) 直流マグネチックコネクタ
KR101303627B1 (ko) 전자기기의 보조 충전을 위한 어댑터
CN103475053B (zh) 无线充电装置
CN207304113U (zh) 一种手机充电装置
KR2004747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거치대
CN105577865A (zh) 多充电/数据接口的电子设备保护壳及与其匹配的插接件
CN209282885U (zh) 充电装置
CN209298399U (zh) 便携式大功率传输连接器
CN215185970U (zh) 充电组合结构
CN217036257U (zh) 一种充电转接器
CN103825319A (zh) 一种充电器
CN214901530U (zh) 一种充电线可拆卸的移动电源
CN214254813U (zh) 一种电源插座连接器及其弹片结构
CN211880122U (zh) 一种模块化插接式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