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416A - 지양제 - Google Patents

지양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416A
KR20040083416A KR10-2004-7008151A KR20047008151A KR20040083416A KR 20040083416 A KR20040083416 A KR 20040083416A KR 20047008151 A KR20047008151 A KR 20047008151A KR 20040083416 A KR20040083416 A KR 2004008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aglandins
prostaglandin
group
symptoms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에 사또
이와오 아라이
노리까즈 다까노
도루 다나미
마꼬또 야기
Original Assignee
다이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사또, 후미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사또, 후미에 filed Critical 다이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57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 A61K31/5575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having a cyclopentane, e.g. prostaglandin E2, prostaglandin F2-alph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57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제는 부작용이 적고 지양 효과를 가지며, 특히 아토피 증상에 따른 소양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양제 {ANTIPRURITICS}
최근, 아토피성 피부염, 아토피성 결막염, 노인성 건피부증 등의 소양성 증상의 환자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질환은 원인불명의 강한 소양감을 가지고, 또 소양 행동(긁는 행동)에 의해 점막 또는 피부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의 해소에는 소양감을 해소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종래, 소양성 증상에 대해서는 외용 스테로이드제, 면역 억제제, 항히스타민제, 항알레르기제 등의 약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제 및 면역 억제제는 장기간의 연속적 사용에 의한 부작용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고, 항히스타민제, 항알레르기제는 치료 효과의 점에서 충분히 만족할만한 것이 아니었다.
또, 지금까지 지양제에 대한 평가는 히스타민, 세로토닌 등의 가려움 야기 물질을 동물의 피부내에 투여해서 소양 행동을 측정하고 있었지만, 최근 아토피성피부염 등의 소양성 증상에 의한 가려움의 발증은, 단순히 비만세포로부터 방출되는 히스타민 등에 의한 반응이 아니라고 보고되어 있다(문헌 [J. Dermatological Science 25, 20-28, 2001]).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소양성 증상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해서 새로운 작용기전에 기초하는 지양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프로스타글란딘류가 가려움 야기 성분이라고 보고되어 있지만, 지양제로서의 사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문헌 [J. Am. Acad. Dermatol. 47, 28-32, 2002]).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작용기전에 기초하는 소양성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특히 아토피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평가 방법을 확립하고 그 방법을 이용해서 검토한 결과, 프로스타글란딘류는 부작용이 적고 뛰어난 지양 효과를 가지는 것, 특히 아토피 증상에 따른 소양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양성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아고니스트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 아고니스트가 프로스타글란딘 DP 수용체 아고니스트, 프로스타글란딘 EP 수용체 아고니스트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IP 수용체 아고니스트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E류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가 BW245C, ZK110841, RS 93520, 15-메틸 PGD2 또는 그의 광학 이성체, 및 프로스타글란딘 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D2, BW245C, ZK110841, RS93520 및 15-메틸 PG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E2, 엔프로스틸, 술프로스톤, AH13205, GR63799, M&B28767, 미소프로스톨, 11-데옥시-PGE1, ONO-AE-248, TEI3356, 16,16-디메틸-PGE2, 1-히드록시-PGE1, 프로스타글란딘 E1 및 리마프로스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E1, 프로스타글란딘 E2, 술프로스톤, 엔프로스틸 및 리마프로스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 E류가 프로스타글란딘 E1, 프로스타글란딘 E2 및 리마프로스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가 시카프로스트, 베라프로스트, 일로프로스트, ONO-1301, 카르바프로스타사이클린, 프로스타글란딘 I2 및 클린프로스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I2, 시카프로스트, 베라프로스트, 일로프로스트 및 클린프로스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아토피 증상이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아토피성 결막염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외용제인 상기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양의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양성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양의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소양성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아토피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양성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이하, 지양제(止痒劑)라고도 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토피 증상에 의한 소양감의 해소에 효과가 있는 지양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약물 투여 후 4주간 경시적으로 관찰한 피부염 스코어를 나타낸다.
도 2는 약물 투여 후 4주째에 관찰한 피부염 스코어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지양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모든 이성체(기하 이성체, 광학 이성체), 수화물, 용매화물, 결정형 또한 포함한다.
여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과의 염, 암모니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시클로펜틸아민, 벤질아민, 피페리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메틸모노에탄올아민, 토로메타민, 리신, 테트라알킬암모늄,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등과의 염, 황산, 염산, 인산 등의 광산과의 염, 아세트산, 옥살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 등이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프로스타글란딘류」란 프로스탄산을 기본구조로 하고, 5원환 부분에 붙는 산소 원자와 2중 결합의 수 및 위치의 차이에 따라 A, B, C, D, E, F, G, H, I, J군이 있고, 측쇄의 2중 결합의 수에 따라 1, 2, 3군으로 다시 분류된다. 프로스타글란딘류는 천연 유래 및 합성 유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스타글란딘 D류란 9α-히드록실기와 11-옥소기를 가지는 프로스탄산을 말한다.
예를 들면, 프로스타글란딘 E류란 9-옥소기와 11-히드록실기를 가지는 프로스탄산을 말한다.
예를 들면, 프로스타글란딘 I류란 11-히드록실기와 6,9-에폭시기를 가지는 비시클로환의 프로스탄산을 말한다.
바람직한 프로스타글란딘류는 프로스타글란딘 아고니스트이다.
「프로스타글란딘 아고니스트」란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에 작동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프로스타글란딘 안타고니스트로서 알려져 있는 화합물이라도, 적용량에 따라 아고니스트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면 본 발명의 프로스타글란딘 아고니스트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란 각각의 프로스타글란딘에 특이적인수용체이며, G 단백질에 커플링되어, 사이클릭 AMP나 이노시톨 1,4,5-트리스인산을 제2 메신저로 하는 신호 전달계를 개시시킨다.
바람직한 프로스타글란딘 아고니스트의 예는 프로스타글란딘 DP 수용체, EP 수용체 또는 IP 수용체의 각 아고니스트이다.
프로스타글란딘 DP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마우스 DP 수용체의 발현 세포를 이용한 결합 시험에서 DP 수용체와의 친화성이 확인되고, 또한 아데닐산 시클라아제계의 활성화를 통해 cAMP의 생산이 화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문헌 [Proc Natl Acad Sci USA. 1994 Nov 8;91(23):11192-6]; 이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프로스타글란딘 EP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수용체의 종류에 따라 EP1, EP2, EP3, EP4의 4종류의 서브 타입 수용체 아고니스트로 분류할 수 있다. EP1 수용체는 Ca2+동원계에 커플링하는 수용체이며, EP2, EP4 수용체는 아데닐산 시클라아제의 활성화에 커플링하는 수용체이며, EP3 수용체는 아데닐산 시클라아제의 억제에 커플링하는 수용체다.
프로스타글란딘 EP1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마우스 EP1 수용체의 발현 세포를 이용한 결합 시험에서 EP1 수용체와의 친화성이 확인되고, 또한 상기 세포에 있어서 세포외로부터의 Ca2+유입에 의한 세포내 [Ca2+]의 상승을 화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야기하는 것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문헌 [J Biol Chem 1993 Sep 25;268(27):20175-8], [Biochim Biophys Acta 1995 May 11;1244(1):41-8] 참조; 이들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프로스타글란딘 EP2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마우스 EP2 수용체의 발현 세포를 이용한 결합 시험에서 EP2 수용체와의 친화성이 확인되고, 또한 상기 세포에 있어서 아데닐산 시클라아제계의 활성화를 통해 cAMP의 생산이 화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문헌 [Br J Phamacol 1986 Jan;87(1):45-56], [Mol Pharmacol 1994 Aug;46(2):213-20] 참조; 이들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프로스타글란딘 EP3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수용체의 종류에 따라 α, β 또는 γ로 분류되는데, EP3α수용체 아고니스트는 마우스 EP3α수용체의 발현 세포를 이용한 결합 시험에서 EP3α수용체와의 친화성이 확인되고, 또한 상기 세포에 있어서 아데닐산 시클라아제계의 활성화를 억제해서 cAMP의 생산이 화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세포에 있어서 세포외로부터의 Ca2+유입에 의한 세포내 [Ca2+]의 상승을 화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야기하는 것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문헌 [J Biol Chem 1992 Apr 5;267(10):6463-6], [Biochim Biophys Acta 1993 Feb 17;1175(3):343-50],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4 Oct 14;204(1):303-9] 참조; 이들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프로스타글란딘 EP4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마우스 EP4 수용체의 발현 세포를 이용한 결합 시험에서 EP4 수용체와의 친화성이 확인되고, 또한 상기 세포에 있어서 아데닐산 시클라아제계의 활성화를 통해 cAMP의 생산이 화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문헌 [J Biol Chem 1993 Apr 15;268(11):7759-62], [FEBS Lett 1995 May 15;364(3):339-41] 참조; 이들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프로스타글란딘 IP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마우스 IP 수용체의 발현 세포를 이용한 결합 시험에서 IP 수용체와의 친화성이 확인되고, 또한 상기 세포에 있어서 아데닐산 시클라아제계의 활성화를 통해 cAMP의 생산이 화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세포에 있어서 PI(포스파티딜이노시톨) 대사의 항진을 화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야기하는 것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문헌 [J Biol Chem 1994 Apr 1;269(13):9986-92], [FEBS Lett 1994 May 9;344(1):74-8] 참조; 이들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프로스타글란딘 DP, EP 및 IP 수용체 아고니스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프로스타글란딘 E1, 프로스타글란딘 E2, 프로스타글란딘 E3, 에크라프로스트(Ecraprost), 클린프로스트(Clinprost), 피밀프로스트(Pimilprost), 리마프로스트(Limaprost), 오자그렐(0zagrel), 이부디라스트(Ibudilast), 오르노프로스틸(Ornoprostil), 알프로스타딜(Alprostadil), 엔프로스틸(Enprostil), 프로스타글란딘 I1, 프로스타글란딘 I2, 프로스타글란딘 I3, 베라프로스트(Beraprost), 일로프로스트(Iloprost), BW245C, ZK110841, RS93520, 술프로스톤(Sulprostone), AH13205, GR63799, M&B28767, 플루프로스테놀(Fluprostenol), 클로프로스테놀(Cloprostenol), 프로스탈렌(Prostalene), 시카프로스트(Cicaprost), 옥티미바타(0ctimibata), 미소프로스톨(Misoprostol), 리오프로스틸(Rioprostil), 에포프로스테놀(Epoprostenol), 디노프로스톤(Dinoprostone), 트레프로스티닐(Treptostinil), 트레프로스티놀(Treprostinol), 이소프로필-우노프로스톤(Isopropyl Unoprostone), 지메프로스트(Gemeprost), 로사프로스톨(Rosaprostol), ONO-1608, ONO-8815, ONO-4819, DE-085, 에크라프로스트(AS-013), 11-데옥시-PGE1, AY 23626, ONO-1301, ONO-AE-248, TEI3356, 13,14-데히드로-15-시클로헥실카르바프로스타사이클린, 프로스타글란딘 D1, 프로스타글란딘 D2, 프로스타글란딘 D3, 15-메틸 PGD2 및 그의 광학 이성체(예를 들면, 15(S)-15-메틸 PGD2), 16,16-디메틸-PGE2, 카르바프로스타사이클린(carbaprostacycline), 이소카르바사이클린(isocarbacycline), 1-히드록시 PGE1, 및 이들의 염(예를 들면, 나트륨, 칼슘, 리신,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등), 이들의 유도체(예를 들면,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체 등)를 들 수 있다.
대표적인 DP 수용체 아고니스트로서는 BW245C, ZK110841, RS93520, 15-메틸 PGD2 및 그의 광학 이성체(특히, 15(S)-15-메틸-PGD2), 프로스타글란딘 D2를 들 수 있다.
대표적인 EP 수용체 아고니스트로서는 프로스타글란딘 E2, 엔프로스틸, 술프로스톤, AH13205, GR63799, M&B28767, 미소프로스톨, 11-데옥시-PGE1, ONO-AE-248, TEI3356, 16,16-디메틸-PGE2, 1-히드록시-PGE1, 프로스타글란딘 E1, 리마프로스트를 들 수 있다.
대표적인 IP 수용체 아고니스트로서는 시카프로스트, 베라프로스트, 일로프로스트, ONO-1301, 카르바프로스타사이클린, 프로스타글란딘 I2, 클린프로스트를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어로 나타내어진 화합물은 각각 하기의 일반명을 가진다.
BW245C: 3-[(3R)-3-시클로헥실-3-히드록시프로필]-2,5-디옥소-(4S)-이미다졸리딘헵탄산
ZK110841: 7-[(1R,2R,3R,5R)-5-클로로-2-[(1E,3S)-3-시클로헥실-3-히드록시-1-프로페닐]-3-히드록시시클로펜틸]-(5Z)-5-헵텐산
RS93520: 4-[(1R,2R,3S,6R)-2-[(3S)-3-시클로헥실-3-히드록시-1-프로피닐]-3-히드록시비시클로[4.2.0]옥타-7-일리덴]-(4Z)-부탄산
ONO-8815: L-리신(Z)-7-[(1R,2R,3R,5R)-5-클로로-3-히드록시-2[(E)-(S)-4-(1-에틸시클로부틸)-4-히드록시-1-부테닐]시클로펜틸]-5-헵테노에이트
ONO-1301: [7,8-디히드로-5-[(E)-[[α-(3-피리딜)벤질리덴]아미노-옥시]에틸]-1-나프틸옥시]아세트산
AH13205: 트랜스-2-[4-(1-히드록시헥실)페닐]-5-옥소-시클로펜탄-헵탄산
GR63799: (-)-[1(R)-[1α(z), 2β(R*), 3α]-7-[3-히드록시-2-(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폭시)-5-옥소시클로펜틸]-4-헵텐산 4-(벤조일아미노)페닐에스테르
TEI3356: (16S)-15-데옥시-16-히드록시-메틸-9(0)-메타노-6(9α)-프로스타글란딘 I1
본 발명의 지양제는 소양감을 경감·해소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아토피(IgE 항체를 통한 항원 특이적 면역반응)에 의한 가려움에 유효하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지양제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소양성 증상」이란 국한성 내지 범발성의 가려움, 및 그것에 관련된 염증을 피부 및 점막에 갖는 증상을 말한다. 예를 들면, 옴, 두드러기, 습진, 건피증(노인성 건피증, 피지 결핍성 습진 등), 건선, 피부 소양증, 양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토피 증상」이란 아토피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국한성 내지 범발성의 가려움, 및 그것에 관련된 염증을 피부 및 점막에 갖는 증상, 즉 아토피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소양성 증상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아토피성 결막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이란 악화·완화를 반복하는, 소양성 습진을 주병변으로 하는 질환을 말하고, 아토피 소인(IgE 항체를 생산하기 쉬운 소인)의 개체에서 발생하기 쉽다.
(평가 방법)
본원의 지양제를 평가함에 있어서, 평가 방법을 하기 예 1 및 2에 의해 검토하여 확립했다. 그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평가 방법은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증한 NC/Nga 마우스의 소양 행동이 다른 계통의 마우스의 소양 행동과 비교해서 지속시간이 긴 것에 착안한 것이다.
즉, 이 평가 방법은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증한 NC/Nga계 마우스에서 일정시간 이상의 자발성 소양 행동을 추출해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해서 지양 효과를 가지는 약물의 평가 방법이다.
평가 방법에 이용하는 NC/Nga 마우스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태 마우스로서 알려져 있다. 이 마우스는 자연 발증적으로 심한 소양 행동과 피부병 병변을 보이고, 상기 병변 부위로 염증성 세포의 현저한 침윤 또는 혈중 IgE값의 상승과 같이 아토피성 피부염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낸다(문헌 [H. Matsuda, et al., Int Immunol. 9(3), 461-466(1997)]; [H. Suto, et al., Int Arch Allergy Immunol. 120(suppl 1), 70-75(1999)]).
NC/Nga계 마우스는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증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생후 약 8주령 이후의 마우스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주령의 마우스이다.
피검약물 및 대조약물의 투여는 경구, 도포, 피하내, 복강내 투여 등으로 행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포 투여한다.
소양 행동의 측정은 동물의 반복 행동을 검출하는 장치에 의해 행한다. 반복 행동을 검출하는 장치의 일례를 이하에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증한 NC/Nga 마우스의 양쪽 뒷다리에 자석을 설치하고, 환상으로 코일을 감은 공간에 해당 마우스를 수용한다. 해당 마우스가 행동하면 그것에 맞춰서 자석도 움직이고 코일에 전류가 생긴다. 그리고, 자석의 움직임에 의해 전류의 변화가 생기고, 이것을 검출해서 측정 및 해석한다. 해당 장치는 소양 측정 시스템(뉴로사이언스사제)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검출된 소양 행동을 소양 시간의 길이에 따라 분류하고, 그 빈도를 집계하여 통계 해석을 행한다. 소양 시간은 1.0초 이상의 것을 추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초 이상의 것을 추출한다. 1.5초 이상의 것을 추출했을 경우, 보다 오차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이 평가 방법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해서 지양 효과를 가지는 약물의 평가를 정밀도가 높은 수준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즉, 오차의 원인이 되는 보행 등 소양 행동 이외의 동작이나, 동물이 자연스럽게 행하는 일반 증상으로서의 소양 행동과, 아토피성 피부염 모델 마우스 특유의 심한 소양 행동을 구별해서 측정함으로써, 정밀도가 높은 수준으로 약물의 지양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예 1)
[ICR, BALB/c, 피부염 발증 및 미발증 NC/Nga 마우스에서 자발성 소양 행동수의 1회 지속시간의 비교]
실험동물은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증상이 발증한 NC/Nga계 수컷 마우스(14주령), 대조군으로서 ICR 마우스(7주령), BALB/c 마우스(5주령), 및 피부염이 발증하지 않은 NC/Nga 마우스(8주령)이며, 모두 체중이 약 30g이고, 1군은 6마리로 했다.
상기 동물의 뒷다리에 소양 측정용 자석을 삽입하고, 1일후에 시험을 했다. 실험동물을 1마리씩 측정용 케이지에 넣고, 1시간 동안 적응시킨 후, 소양 행동을 24시간 동안 소양 측정 시스템(뉴로사이언스사제)으로 측정했다. 기록된 파형은 소양 계측·해석용 소프트웨어(뉴로사이언스사제)에 의해 0.3 내지 0.5초, 0.5 내지 1.0초, 1.0 내지 1.5초 및 1.5초 이상의 발의 움직임을 각각 1회의 소양 행동으로서 수치화하여 통계 해석하고, 마우스 계통간의 유의차 검정을 했다.
(실험결과)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냈다.
ICR, BALB/c, 피부염 발증 및 미발증 NC/Nga 마우스에서 자발성 소양 행동수
지속시간(초) ICR BALB/c NC/Nga(미발증) NC/Nga(발증)
0.3-0.5 1570 ±160 1050 ±224 781 ±81 1419 ±185
0.5-1.0 967 ±110 634 ±110 500 ±58 976 ±149
1.0-1.5 180 ±22 120 ±29 96 ±14 358 ±66*
1.5이상 85 ±11 55 ±12 42 ±8 600 ±64**
*:p<0.05, **:p<0.01(Tukey 검정)
각 군의 자발성 소양 행동수를 측정한 바, 0.3 내지 0.5초 및 0.5 내지 1.0초의 소양 행동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피부염이 발증한 NC/Nga 마우스에서는 1.0초 이상의 소양 행동이 타군과 비교해서 유의하게 많았고, 특히 1.5초 이상의 행동수는 현저하게 많았다.
상기 예의 결과에 기초해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증한 NC/Nga계 마우스의 1.0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1.5초 이상의 소양 행동을 추출해서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양 효과를 가지는 약물의 평가 방법이 확립되었다.
(예 2)
[NC/Nga 마우스 자발성 소양 행동에 대한 타크로리무스 및 덱사메타존 외용의 작용]
이미 지양 효과가 알려진 약물을 이용하여, 상기 확립한 평가 방법에 의한 지양 효과를 검토했다.
실험동물은 체중 약 30g의 14주령의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증한 NC/Nga계 수컷 마우스이고, 1군은 6마리로 이용했다.
본 시험에 있어서는 시판되는 소양 측정 시스템(뉴로사이언스사제)을 이용했다. 상기 동물의 뒷다리에 소양 측정용 자석을 삽입하고, 1마리씩 측정용 케이지에 넣어 소양 행동수를 24시간 동안 측정했다(약물 투여 전의 값). 그 후, 100% 에탄올에 용해시킨 0.1%의 타크로리무스(후지사와 약품공업) 및 덱사메타존(와코 순약) 각 200㎕를 머리부 및 등부 피부에 도포하고, 다시 소양 행동수를 24시간 동안 기록했다(약물 투여 후의 값). 대조군에는 100% 에탄올을 도포했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1.5초 이상의 발의 움직임을 1회의 소양 행동으로서 수치화하고, 통계 해석하여 약물 투여 전의 값, 약물 투여 후의 값 사이에서 유의차 검정을 행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냈다.
타크로리무스 및 덱사메타존 외용의 작용
도포군 약물 투여 전의 값 약물 투여 후의 값
대조군 392 ±104 352 ±123
0.1% 타크로리무스 600 ±64 267 ±45**
0.1% 덱사메타존 567 ±77 286 ±52**
**:P<0.01(paired-t 검정)
상기 결과는 상기의 평가 방법에 의해 타크로리무스 및 덱사메타존이 자발성 소양 행동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측정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상기 평가 방법을 이용해서 하기 시험예의 실험을 행한 바, 자연 발증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이 발증한 NC/Nga 마우스를 이용한 실험으로, 대부분의 프로스타글란딘류가 자연 발증적으로 야기되는 소양 행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스타글란딘류는 종래의 항히스타민제 및 항알레르기제로는 효과적이지 못했던 소양 행동을 억제했다. 따라서, 프로스타글란딘류는 이들 약제와는 다른 작용기전으로 일어나는 소양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류를 외용 적용했을 때, 부작용에 의해 장기간의 연속적 사용이 제한되는 스테로이드제, 면역 억제제와 동등한 및 그 이상의 지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스타글란딘류는 외용 적용에 의한 부작용이 적어장기간의 연속적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들 약제보다 뛰어나다.
본 발명의 지양제는 경구, 비경구 또는 국소경로 중 어느 것으로든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양제에 있어서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프로스타글란딘류의 양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등에 따라 적당히 증감할 수 있지만, 통상 1회 투여당 0.1 내지 100㎍이며 1일에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양제는 유효 성분으로서 항히스타민제(예를 들면, 디펜히드라민, 카르비녹사민, 클로르페닐라민, 라니티딘, 또는 이들의 염 등)와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양제는 유효 성분에 통상의 제제화에 이용되는 담체, 부형제, 그 밖의 첨가제를 이용해서 의약 조성물로서 조제할 수 있다.
제제용의 담체나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락토오스, 미결정질 셀룰로오스, 유동 파라핀, 경화유, 밀랍, 스쿠알렌, 스테아릴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등 그 밖에 상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붕괴제(전분 등), 결합제(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윤활제(탈크, 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등), 항산화제, 보존제(파라벤 등), 코팅제(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 착색료, 향미 향취제, 미백제(엘라그산 나트륨 등), 계면활성제(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 가소제, 보습제(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등) 등의 통상 사용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양제는 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액제, 겔제, 경고제, 연고제, 크림제, 습포제(cataplasms), 에어로졸제 등의 제형으로, 내복제, 주사제, 외용제(점안제, 점비제를 포함한다) 등으로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제형으로서는 환부에 직접 투여할 수 있는 점, 투여가 용이한 점, 전신 부작용 발생의 가능성이 감소하는 점 등으로부터 외용제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외용제」란 외용 액제, 에어로졸제, 외용 산제, 연고제, 크림제, 겔제, 경고제(plaster), 습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재에 기초해서 여러 가지 변경, 수식이 당업자에게는 가능하고, 이들 변경, 수식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실시예 1
하기의 각 성분을 칭량해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얻어진 혼합 분말을 직타법에 의해 1정 중량 300㎎이 되도록 타정해서 정제를 얻었다.
리마프로스트 0.6g
말레산 클로르페닐라민 100g
락토오스 1700g
미결정질 셀룰로오스 500g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신에츠 화학) 500g
탈크 49.4g
경화 피마자유 50g
실시예 2
하기의 성분을 칭량해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하기 용량으로 정제수와 에탄올을 첨가해 1000㎖의 액제를 얻었다.
리마프로스트 0.1g
에탄올 200㎖
정제수 800㎖
실시예 3
하기의 성분을 각각 혼합해서 균일하게 유화시키고, 다시 향료를 적량 가해서 크림제 500g을 얻었다.
술프로스톤 0.5g
말레산 카르비녹사민 5g
엘라그산 나트륨 5g
히알루론산 나트륨 3g
메틸파라벤 2g
정제수 218.5g
유동 파라핀(#70) 50g
스쿠알렌 100g
세토스테아릴알코올 60g
밀랍 20g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15g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20g
프로필파라벤 1g
실시예 4
하기의 각 성분을 칭량해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얻어진 혼합 분말을 2호 경질 캡슐에 250㎎씩 충전하여 캡슐제를 얻었다.
리마프로스트 0.5g
염산 디펜히드라민 100g
락토오스 360g
미결정질 셀룰로오스 500g
탈크 39.5g
실시예 5
하기의 성분을 각각 혼합해서 균일하게 유화시키고, 다시 향료를 적량 가해서 크림제 500g을 얻었다.
프로스타글란딘 E2 0.5g
말레산 카르비녹사민 5g
엘라그산 나트륨 5g
히알루론산 나트륨 3g
메틸파라벤 2g
정제수 218.g
유동 파라핀(#70) 50g
스쿠알렌 100g
세토스테아릴알코올 60g
밀랍 20g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15g
소르피탄모노라우레이트 20g
프로필파라벤 1g
시험예
시험예 1: NC 마우스 자발 소양 행동에 대한 작용
체중 약 30g의 20주령의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증한 NC/Nga 마우스(구입처 SLC)의 양쪽발에 자석을 심고, 그 자력 감지에 의해 발의 움직임을 소양 측정 시스템(뉴로사이언스사제)으로 측정했다. 긁는 행위 중, 1.5초 이상의 것을 소양 행동으로서 그 회수를 계속적으로 측정했다. 소양 행동에는 일주 리듬이 있기 때문에, 시험 전일부터 24시간 동안 각 동물 개체의 일주 소양 리듬을 측정한 후, 100% 에탄올에 용해시킨 0.1% 프로스타글란딘 E2(PGE2)(Cayman Chemical)를 0.2㎖/마우스의 비율로 등부 피부에 도포했다. 그 후 24시간의 소양 행동을 측정해서 약물 투여 전후의 소양 행동수를 비교했다. 실험 데이터는 각 동물간에서의 편차가 크기때문에, 약물 투여 전의 초기값을 100%로서 수치화했다. 대조군으로서 100% 에탄올을 이용하고, 비교 약제로서 덱사메타존(와코 순약)(스테로이드제), 타크로리무스(후지사와 약품공업)(면역 억제제)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시험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투여군 농도%(투여량) 소양 행동 발현율(%)
용매투여군(100% 에탄올) - 90 ±31
PGE2 0.1%(0.2㎖/마우스) 46 ±10**
덱사메타존 0.1%(0.2㎖/마우스) 50 ±9**
타크로리무스 0.1%(0.2㎖/마우스) 45 ±8**
**:P<0.01(paired-t 검정) N=6
프로스타글란딘 E2를 0.1% 외용 적용함으로써, 지양 효과가 알려져 있는 덱사메타존 및 타크로리무스와 같은 정도의 강한 효과로 NC 마우스의 자발성 소양 행동을 감소시켰다.
시험예 2: NC 마우스 자발 소양 행동에 대한 작용
체중 약 30g의 20주령의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증한 NC/Nga 마우스(구입처 SLC)의 양쪽발에 자석을 심고, 그 자력 감지에 의해 발의 움직임을 소양 측정 시스템(뉴로사이언스사제)으로 측정했다. 긁는 행위 중, 1.5초 이상의 것을 소양 행동으로서 그 회수를 계속적으로 측정했다. 소양 행동에는 일주 리듬이 있기 때문에, 시험 전일부터 24시간 동안 각 동물 개체의 일주 소양 리듬을 측정한 후, 100% 에탄올에 용해시킨 각 약물을 0.2㎖/마우스의 비율로 등부 피부에 도포했다. 본 발명의 약물로서 프로스타글란딘 E2(PGE2)(Cayman Chemical), 프로스타글란딘 D2(PGD2)(Cayman Chemical), 리마프로스트(합성품), 술프로스톤(합성품) 및 베라프로스트(합성품)를 이용했다. 그 후 24시간의 소양 행동을 측정해서 약물 투여 전후의 소양 행동수를 비교했다. 실험 데이터는 약물 도포 전후 24시간의 총 소양 횟수로부터 소양 억제율을 산출해서 표 2에 나타냈다.
소양 억제율(%) = (도포 전 소양 횟수 - 도포 후 소양 횟수) ×100/도포 전 소양 횟수
유의차 검정은 소정 농도의 약물 도포군에서 개개 동물의 약물 도포 전후의 소양 횟수를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이용해서 처리했다. 0.5%이하의 위험율로 유의차가 있는 것을 「유효」라고 판정했다.
대조군으로서 100% 에탄올을 이용하고, 비교 약제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소정 농도의 덱사메타존(와코 순약)(스테로이드제), 타크로리무스(FK-506)(후지사와 약품공업)(면역 억제제), 말레산 클로르페닐라민(금강화학)(항히스타민제)을 이용해서 동일하게 시험했다. 단, 말레산 클로르페닐라민은 경구 투여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약제 농도(%) 억제율% 유효성
EtOH 100 10.2 NS
PGE2 0.1 54.3 **
리마프로스트 0.010.001 79.936.2 ***
술프로스톤 0.01 24.0 *
PGD2 0.01 56.3 *
베라프로스트 0.10.01 56.945.6 ***
덱사메타존 0.1 49.5 **
타크로리무스(FK-506) 0.1 55.5 **
클로르페닐라민 10㎎/㎏, 경구 투여 3.56 NS
*:P<0.05, **:P<0.01 N=8
프로스타글란딘 E2를 0.1% 외용 적용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약으로서 알려져 있는 덱사메타존 및 타크로리무스와 같은 정도의 강한 효과로 NC 마우스의 자발성 소양 행동을 감소시켰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 D2, 리마프로스트, 술프로스톤 및 베라프로스트는 상기 종래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약의 10 내지 100배의 강한 지양 효과를 나타냈다. 항히스타민제인 말레산 클로르페닐라민으로는 자발성 소양 행동을 억제할 수 없었다.
시험예 3: NC 마우스 피부 염증 모델에 대한 작용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Jpn. J. Phamacol. 76, 175-183(1998) Jun Hiroi, et al. Effects of Tacrolimus Hydrate(FK-506) Ointment on Spontaneous Dermatitis in NC/Nga Mice 참조)에 준한 방법을 이용하여, 프로스타글란딘류의 지양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하기의 시험을 했다.
(실험방법)
동물: 4주령의 SPF NC 마우스(수컷)를 일본 SLC로부터 구입하고, 입수 후 즉시 피부염이 발증한 수컷 NC 마우스(20주령 이상)와 2주간 하기와 같은 상태로 동거시켜 소양 행동을 유발시켰다. 케이지 하나당 피부염 발증 마우스 및 피부염 미발증마우스 각 4마리씩을 톱밥 케이지(34 ×17 ×39㎝)에서 동거시키고, 실온 23 ±3℃, 습도 55 ±15%, 조명 12시간(am 7:00 - pm 19:00)으로 설정된 동물 축사에서 사육했다.
2주간 동거 후, 구입한 마우스를 꺼내고, 다른 케이지에서 케이지 하나당 8마리로 하여 시험 개시까지 다시 14주간 사육했다. 약제 도포 개시 직전에 각각의 케이지의 피부염 스코어가 균등해지도록 마우스를 배분하여 케이지 하나당 4마리로하여 사육했다.
피부염 스코어는 털의 결, 탈모, 출혈, 딱지 형성의 4항목에 대해서 각각 무증상:0, 경도:1, 중등도:2, 중도:3으로 스코어화(합계의 최소:0, 합계의 최대:12)한 것을 이용했다.
약물 투여: 피부 염증이 발증한 NC 마우스와의 동거에 의해 피부 염증이 발증한 20주령 NC 마우스 등부 피부에, 100% 에탄올, 또는 100% 에탄올에 용해시킨 각 0.01%의 리마프로스트, 또는 베라프로스트(각 합성품)를 에펜도르프 피펫을 이용해서 각각 200㎕씩, 7회/주, 4주간 도포했다.
또한, 무처치군은 아무 것도 처치를 하지 않았다. 각 군 모두 1군당 8마리로 시험하고, 피부염 증상의 관찰을 상기 피부염 스코어에 의해 1회/주로 4주간 행했다.
각 군의 피부염 스코어로부터 평균값 ±표준편차를 구하고, 에탄올 투여군에 대한 각 약물 투여군의 유의차를 t검정(t-test)을 이용해서 통계처리했다.
(실험결과)
피부염 증상에 관한 관찰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도에서, *:P<0.05).
도 1 및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리마프로스트, 베라프로스트 투여군은 에탄올 투여군에 비교해서 유의한 피부염 스코어 억제 작용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지양제는 소양성 증상과 관련된 피부염 등의 염증을 야기시키는가려움을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특히 아토피 증상에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지양제는 종래의 스테로이드제, 면역 억제제에 보여지는 부작용이 없이 뛰어난 지양 효과를 가지므로 장기간 연속 사용해도 안전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지양제는 종래의 항히스타민제 및 항알레르기제로는 유효하지 않은 가려움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8)

  1.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양성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2.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아고니스트인 약제.
  4. 제3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 아고니스트가 프로스타글란딘 DP 수용체 아고니스트, 프로스타글란딘 EP 수용체 아고니스트,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IP 수용체 아고니스트인 약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E류인 약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류가 BW245C, ZK110841, RS 93520, 15-메틸 PGD2 또는 그의 광학 이성체, 및 프로스타글란딘 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약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D2, BW245C, ZK110841, RS93520 및 15-메틸 PGD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약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E2, 엔프로스틸, 술프로스톤, AH13205, GR63799, M&B28767, 미소프로스톨, 11-데옥시-PGE1, ONO-AE-248, TEI3356, 16,16-디메틸-PGE2, 1-히드록시-PGE1, 프로스타글란딘 E1 및 리마프로스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약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E1, 프로스타글란딘 E2, 술프로스톤, 엔프로스틸 및 리마프로스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약제.
  10. 제9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 E류가 프로스타글란딘 E1, 프로스타글란딘 E2 및 리마프로스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약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류가 시카프로스트, 베라프로스트, 일로프로스트, ONO-1301, 카르바프로스타사이클린, 프로스타글란딘 I2 및 클린프로스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약제.
  12. 제11항에 있어서, 프로스타글란딘류가 프로스타글란딘 I2, 시카프로스트, 베라프로스트, 일로프로스트 및 클린프로스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약제.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토피 증상이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아토피성 결막염인 약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용제인 약제.
  15.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양의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양성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6.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양의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7. 소양성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18. 아토피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프로스타글란딘류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KR10-2004-7008151A 2002-02-22 2003-02-21 지양제 KR200400834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6301 2002-02-22
JP2002046301 2002-02-22
JPJP-P-2002-00226680 2002-08-02
JP2002226680 2002-08-02
PCT/JP2003/001920 WO2003070252A1 (fr) 2002-02-22 2003-02-21 Agents antiprurigineu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416A true KR20040083416A (ko) 2004-10-01

Family

ID=2775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151A KR20040083416A (ko) 2002-02-22 2003-02-21 지양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477170A4 (ko)
JP (1) JPWO2003070252A1 (ko)
KR (1) KR20040083416A (ko)
CN (1) CN1610552A (ko)
AU (1) AU2003207102C1 (ko)
CA (1) CA2463438A1 (ko)
MX (1) MXPA04003851A (ko)
NO (1) NO20041579L (ko)
PL (1) PL369936A1 (ko)
WO (1) WO20030702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44B1 (ko) * 2011-04-27 2014-08-27 영진약품공업 주식회사 안정성이 개선된 리마프로스트 함유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7182B2 (en) 2002-08-09 2010-06-15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s for xerosis
AU2003254850B2 (en) 2002-08-09 2008-05-15 Fumie Sato Antipruritic agent
US20060128810A1 (en) * 2002-10-10 2006-06-15 Kyoto University Remedies for allergic diseases
WO2004043471A1 (ja) * 2002-11-13 2004-05-27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鎮痒剤
JP5382898B2 (ja) * 2004-02-06 2014-01-08 大正製薬株式会社 乾皮症治療剤
JP4786192B2 (ja) * 2004-02-06 2011-10-05 大正製薬株式会社 掻痒治療剤
US20060188499A1 (en) 2005-02-14 2006-08-24 Leung Donald Y Methods of treating diseases which are mediated by cutaneous lymphocyte antigen positive cells
ITCE20070007A1 (it) * 2007-04-02 2008-10-03 Mario Immacolato Paternuosto Nuova indicazione per l'uso orale del misoprostolo nel trattamento del prurito quale sintomo di patologie non dermatologiche primitive e per l'uso topico delle ustioni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2602A (en) * 1991-10-11 1993-10-12 Rafeul Alam Effects of misoprostol on allergic responses
CA2275663C (en) * 1996-12-23 2008-03-18 Robin Kenneth Stewart Phillip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lpha.-adrenergic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fecal incontinence
KR100422920B1 (ko) * 1998-06-03 2004-03-12 시오노기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Pgd2 길항제를 포함하는 소양증을 위한 치료제
WO2002045718A1 (en) * 2000-12-08 2002-06-13 Institut Pasteur De Lille Use of active compounds capable of modulating the intracellular pathway triggered by the dp receptor in langerhans cel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44B1 (ko) * 2011-04-27 2014-08-27 영진약품공업 주식회사 안정성이 개선된 리마프로스트 함유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7170A1 (en) 2004-11-17
PL369936A1 (en) 2005-05-02
NO20041579L (no) 2004-05-18
EP1477170A4 (en) 2007-09-05
CA2463438A1 (en) 2003-08-28
CN1610552A (zh) 2005-04-27
WO2003070252A1 (fr) 2003-08-28
MXPA04003851A (es) 2004-07-08
NO20041579D0 (no) 2004-04-19
AU2003207102B2 (en) 2007-12-13
AU2003207102A1 (en) 2003-09-09
JPWO2003070252A1 (ja) 2005-06-09
AU2003207102C1 (en)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2201B (zh) 11-去氧基-前列腺素化合物用於治療週邊血管疾病之用途
AU2014278543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emia
EP1871380B1 (en) Combined use of prostaglandin compound and proton pump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RU2561729C2 (ru) Аналоги tofa, применимые при лечении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их расстройств или состояний
RU2695274C9 (ru) Новы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их стабилизации
EP1688161A1 (en) Use of pirlindole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proliferation of t-lymphocytes and/or hyperproliferation of keratinocytes in particular atopic dermatitis and psoriasis
JP2011201905A (ja) 便秘の処置用のプロスタグランジンアナログを含む用量単位
EP0347243B1 (en) Prostaglandin analogues for use in medicine
KR20040083416A (ko) 지양제
JP2004504350A (ja) 高眼圧症および緑内障処置用組成物
KR20110093841A (ko)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dhodh 억제제 및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하는 조합 요법
JP2008511541A (ja) 胃腸障害処置用プロスタグランジン誘導体
US20040266880A1 (en) Antipruritics
JP2002506022A (ja) 新脈管形成の阻害
JP2513656B2 (ja) 血小板凝集阻止作用を有する併用組合せ製剤
JP2003292442A (ja) ブナゾシンとプロスタグランジン類からなる緑内障治療剤
TW200848059A (en) Composition for protecting mitochondria
EP0867185B1 (en) Platelet function potentiator and method of curing platelet dysfunction
WO2023175136A1 (en) Combination of dasatinib and lovastatin for use in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rdiac fibrosis
KR20220161394A (ko) Covid-19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트롬복산 a2 수용체 길항제의 약학 조성물
EP2358366A1 (en) Pharmacokinetically-based dosing regimens of a thrombin receptor antagon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