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741A -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 - Google Patents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741A
KR20040080741A KR1020030015698A KR20030015698A KR20040080741A KR 20040080741 A KR20040080741 A KR 20040080741A KR 1020030015698 A KR1020030015698 A KR 1020030015698A KR 20030015698 A KR20030015698 A KR 20030015698A KR 20040080741 A KR20040080741 A KR 2004008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tape
base film
cutting
t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사윤
김동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0741A/ko
Publication of KR2004008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7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50Tape automated bonding [TAB] connectors, i.e. film carri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72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consisting of thin flexible metallic tape with or without a film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탭 테이프에서 개별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버어 발생과 펀칭 공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탭 테이프에서 개별 TCP로 분리할 때, 펀칭되는 부분이 단위 TCP를 구성하는 배선 패턴의 양단 부분이기 때문에, 배선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슬릿을 펀칭되는 부분에 대응되게 형성하고, 그 확장된 내부 슬릿에 근접하게 배선 패턴의 양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TCP용 탭 테이프를 제공한다. 즉, 펀칭시 확장된 내부 슬릿 외측 부분의 베이스 필름 부분만 절단되기 때문에, 개별 TCP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버어의 발생과 펀칭 공차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TAB tape for tape carrier package(TCP)}
본 발명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용 탭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탭 테이프에서 개별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버어 발생과 펀칭 공차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용 탭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패키지에는 여러 형태가 존재하고 있으나, 특히 내부 접속 방식으로 인너 리드 본딩(Inner Lead Bonding; ILB) 기술을 사용하는 등 독자적인 실장 방식으로 진보하여 온 기술이 탭(TAB; Tape Automated Bonding) 기술이다.
탭 기술은 패키지 조립공정을 릴 대 릴(reel to reel)로 연속하여 제조하는 기술로서, 이 기술로서 제조된 패키지를 통상적으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라고 한다.
TCP는 박형, 미세 피치 등에 적합한 패키지로 초기에는 내부 접속이나 시계, 계산기 등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액정표시 장치용 드라이버(driver)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피씨(PC)용 엠피유(MPU; Micro-Processor Unit) 등에도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한편 TCP용 탭 테이프는 릴(reel) 등에 감겨진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릴에 감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하고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TCP로 제공될 영역의 외곽에 슬릿을 형성한다. 예컨대, 대한민국특허등록 제354203호(2002.09.12), 대한민국특허공개 제83241호(2001.08.31) 등이 있다.
즉, TCP용 탭 테이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20) 위에 배선 패턴(3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 필름(20)의 중심 부분에는 반도체칩이 인너 리드 본딩되어 실장될 수 있는 윈도우(24)가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필름(24)의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스프로켓 홀(26; sprocket hole)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 패턴(30)은 윈도우(24)를 중심으로 해서 일측으로 뻗어 있는 입력 패턴(32)과, 타측으로 뻗어 있는 출력 패턴(34)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20)에는 접속용 슬릿(22)과 응력 분산용 슬릿(28)이 다수개 형성된다. 접속용 슬릿(22)은 외부 기기와 배선 패턴(30)을 서로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외부 입력 기기와 입력 패턴(32)을 연결할 수 있도록 입력 패턴(3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베이스 필름(20)을 관통하여 형성된 입력 접속용 슬릿(21)과, 외부 출력 기기와 출력 패턴(34)을 연결할 수 있도록 출력 패턴(34)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베이스 필름(20)을 관통하여 형성된 출력 접속용 슬릿(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응력 분산용 슬릿(28)은 탭 테이프(10)를 구부릴 때 예컨대, 탭 테이프(10)를 릴에 감을 때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단위 TCP를 구성하는 배선 패턴(30)의 외곽에 형성된다. 응력 분산용 슬릿(28)은 서로 이웃하는 배선 패턴(3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내부 슬릿(27)과, 배선 패턴(30)의 외곽에 형성된 외부 슬릿(25)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내부 슬릿(27)과 외부 슬릿(25)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탭 테이프(10)에 반도체 칩 실장 공정을 포함한 TCP 제조 공정을 완료한 이후에 개별 TCP로 분리하게 되는데, 분리하는 방법은 탭 테이프(10)에서 단위 TCP를 형성하는 배선 패턴(30)의 양단 부분을 포함하여 베이스 필름(20)을 펀칭함으로써 개별 TCP로 분리하게 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C1이 펀칭 영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종래에는 탭 테이프에서 개별 TCP를 분리하기 위해서 배선 패턴의 양단 부분을 포함하여 베이스 필름을 펀칭할 때, 잘려지는 배선 패턴의 양단 부분에서 버어(burr)가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탭 테이프를 펀칭하는 펀칭 날의 위치 및 탭 테이프의 위치에 따라 펀칭 공차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분리된 개별 TCP의 길이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탭 테이프에서 개별 TCP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버어의 발생과 펀칭 공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용 탭 테이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이 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용 탭 테이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50 : 탭 테이프 20, 60 : 베이스 필름
22, 62 : 접속용 슬릿 21, 61 : 입력 접속용 슬릿
23, 63 : 출력 접속용 슬릿 24, 64 : 윈도우
25, 65 : 외부 슬릿 27 : 내부 슬릿
26, 66 : 스프로켓 홀 28, 68 : 응력 분산용 슬릿
30, 70 : 배선 패턴 32, 72 : 입력 패턴
34, 74 : 출력 패턴 67 :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탭 테이프에서 개별 TCP로 분리할 때, 펀칭되는 부분이 단위 TCP를 구성하는 배선 패턴의 양단 부분이기 때문에, 배선 패턴들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슬릿을 펀칭되는 부분에 대응되게 형성하고, 그 확장된 내부 슬릿에 근접하게 배선 패턴의 양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TCP용 탭 테이프를 제공한다. 즉, 펀칭시 확장된 내부 슬릿 외측 부분의 베이스 필름 부분만 절단되기 때문에, 개별 TCP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버어의 발생과 펀칭 공차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로서, 다수개의 반도체 칩이 각기 실장될 수 있는 윈도우들이 열을 맞추어 형성된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에 형성된 배선 패턴으로, 상기 윈도우를 중심으로 해서 일측으로 뻗어 있는 입력 패턴과, 상기 윈도우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뻗어 있는 출력 패턴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에는 서로 이웃하는 배선 패턴들 사이에 개별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로 분리하기 위해서 펀칭할 영역에 대응되게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에 이웃하는 배선 패턴들의 양단은 상기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에 근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필름에는 배선 패턴들의 양측의 외곽에 형성되며,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에 수직한 방향으로 응력 분산용 외곽 슬릿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이 형성된 TCP용 탭 테이프(5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TCP용 탭 테이프(50)는 폴리이미드 소재의 베이스 필름(60) 위에 동박(Cu foil)을 패터닝하여 배선 패턴(7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탭 테이프(50)는 다수개의 TCP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도록 릴(reel) 형태로 제공되며, 도 2에서는 두 개 의 TCP로 제조될 수 있는 탭 테이프(50)만을 도시하였다.
베이스 필름(60)의 중심 부분에는 반도체 칩이 인너 리드 본딩되어 실장될 수 있는 윈도우(64)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60)의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스프로켓 홀(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로켓 홀(66)은 탭 테이프(50)를 이용한 TCP의 제조 공정이 릴 대 릴(reel to reel)로 연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탭 테이프(50)의 정렬과 탭 테이프(50)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배선 패턴(70)은 윈도우(74)를 중심으로 해서 일측으로 뻗어 있는 입력 패턴(72)과, 타측으로 뻗어 있는 출력 패턴(74)을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 필름(60)에는 접속용 슬릿(62)과 응력 분산용 슬릿(68)이 다수개 형성된다. 접속용 슬릿(62)은 외부 입력 기기와 입력 패턴(72)을 연결할 수 있도록 입력 패턴(7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베이스 필름(60)을 관통하여 형성된 입력 접속용 슬릿(61)과, 외부 출력 기기와 출력 패턴(74)을 연결할 수 있도록 출력 패턴(74)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베이스 필름(60)을 관통하여 형성된 출력 접속용 슬릿(63)으로 구성된다.
응력 분산용 슬릿(68)은 탭 테이프(50)를 구부릴 때 예컨대, 탭 테이프(50)를 릴에 감을 때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단위 TCP를 구성하는 배선 패턴(70)의 외곽에 형성된다. 응력 분산용 슬릿(68)은 단위 TCP용 배선 패턴(70)의 외곽 예컨대, 배선 패턴(70)과 스프로켓 홀(66)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외부 슬릿(65)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탭 테이프(50)는 개별 TCP로 분리하기 위해서 펀칭할 때 발생되는 버어의 발생과 펀칭 오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서로 이웃하는 배선 패턴(70)들 사이의 베이스 필름(60)을 관통하여 형성된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을 포함한다.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은 종래의 내부 슬릿이 형성되었던 부분을 확장하여 펀칭할 영역에 대응되게 형성한다. 더불어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을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된 서로 다른 배선 패턴(70)의 입력 패턴(72)의 끝단과 출력 패턴(74)의 끝단은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에 근접하게 형성한다. 도 2에 도면부호 C2가 펀칭 영역을 나타낸다.
즉,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을 펀칭할 영역에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개별 TCP로 분리하기 위해서 펀칭시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 외측 부분의 베이스 필름(60) 부분만 절단하면 된다. 베이스 필름(60) 제조시 정확하게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을 형성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개별 TCP로 분리할 때 정확한 펀칭을 하지 않더라도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이 펀칭할 영역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펀칭 공차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더불어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에 근접하게 배선 패턴(70)의 양단이 위치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개별 TCP로 분리할 때 배선 패턴(70)의 양단에는 기계적인 펀칭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개별 TCP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버어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은 응력 분산용으로 사용되던 기존의 내부 슬릿으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개별 TCP로 분리할 때 절단 영역을 미리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은 응력 분산 역할도 하는점에서 응력 분산용 슬릿(68)의 일부로 볼 수 있다. 그렇다고 본 발명에 다른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이 응력 분산용 슬릿(68)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이 단지 종래의 내부 슬릿의 확장으로 볼 수도 있지만, 종래의 내부 슬릿은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슬릿으로 배선 패턴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개별 TCP를 분리하기 위해서 펀칭하는 영역과는 무관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내부 슬릿과 본 발명에 따른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67)은 명확한 구성 상의 차이가 있고, 그에 따른 효과 또한 현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이 서로 이웃하는 배선 패턴들 사이에 개별 TCP로 분리하기 위해서 펀칭할 영역에 대응되게 베이스 필름에 형성되고,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에 이웃하는 배선 패턴들의 양단은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에 근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개별 TCP로 분리하기 위해서 펀칭시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 외측 부분의 베이스 필름 부분만 절단하면 된다. 따라서 베이스 필름 제조시 정확하게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개별 TCP로 분리할 때 정확한 펀칭을 하지 않더라도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이 펀칭할 영역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펀칭 공차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더불어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에 근접하게 배선 패턴의 양단이 위치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개별 TCP로 분리할 때 배선 패턴의 양단에는 기계적인 응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개별 TCP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버어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2)

  1.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로서,
    다수개의 반도체 칩이 각기 실장될 수 있는 윈도우들이 열을 맞추어 형성된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에 형성된 배선 패턴으로, 상기 윈도우를 중심으로 해서 일측으로 뻗어 있는 입력 패턴과, 상기 윈도우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뻗어 있는 출력 패턴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에는 서로 이웃하는 배선 패턴들 사이에 개별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로 분리하기 위해서 펀칭할 영역에 대응되게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에 이웃하는 배선 패턴들의 양단은 상기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에 근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는 상기 배선 패턴들의 양측의 외곽에 형성되며, 상기 응력 분산 및 절단용 슬릿에 수직한 방향으로 응력 분산용 외곽 슬릿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
KR1020030015698A 2003-03-13 2003-03-13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 KR20040080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698A KR20040080741A (ko) 2003-03-13 2003-03-13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698A KR20040080741A (ko) 2003-03-13 2003-03-13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741A true KR20040080741A (ko) 2004-09-20

Family

ID=3736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698A KR20040080741A (ko) 2003-03-13 2003-03-13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07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415B1 (ko) * 2006-03-31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엠아이 노이즈 특성을 개선한 테이프 배선기판 및 그를이용한 테이프 패키지
KR20100131135A (ko) * 2009-06-05 2010-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플렉서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테이프 캐리어
CN103348460A (zh) * 2011-01-31 2013-10-09 Lg伊诺特有限公司 具有增强的引线裂纹的用于电子装置的分接带及其制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415B1 (ko) * 2006-03-31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엠아이 노이즈 특성을 개선한 테이프 배선기판 및 그를이용한 테이프 패키지
US7525181B2 (en) 2006-03-31 2009-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 wiring substrate and tape package using the same
US7928543B2 (en) 2006-03-31 2011-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 wiring substrate and tape package using the same
US8269322B2 (en) 2006-03-31 2012-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 wiring substrate and tape package using the same
KR20100131135A (ko) * 2009-06-05 2010-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플렉서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테이프 캐리어
CN103348460A (zh) * 2011-01-31 2013-10-09 Lg伊诺特有限公司 具有增强的引线裂纹的用于电子装置的分接带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9025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3767691B2 (ja) 配線基板及びテープ状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0955439B1 (ko) 반도체 장치용 테이프 캐리어,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모듈 장치
US7379307B2 (e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404997B1 (ko) 가요성 배선 기판, 필름 캐리어, 테이프형 반도체장치,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회로기판 및 전자기기
JPH0513514A (ja) Tabテープとtab式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0741A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용 탭 테이프
JP2001160630A (ja) チップ型半導体装置
JP2010272759A (ja) テープキャリアパッケージ、テープキャリアパッケージ個別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354203B1 (ko) 가요성 배선 기판, 필름 캐리어, 테이프 형상 반도체장치,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회로 기판 및 전자기기
KR100196119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20009702A (ko) 필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칩 패키지의 제조 방법
JP4359113B2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配線基板
JP3985140B2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
DE303643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ueckseitenkontaktes bei filmmontierten integrierten schaltkreisen
JP3367511B2 (ja) テープキャリアの実装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646704B2 (ja) 半導体装置
JPH0750724B2 (ja) 液晶表示装置
JP4390362B2 (ja) テープキャリア型半導体装置
JPH08186154A (ja) フィルムキャリアと半導体装置
JP2009302200A (ja) Cof用フィルム、半導体装置およびcof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39543A (ja) テープキャリアの製造方法
JPH11177193A (ja) 割基板の識別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割基板
JP2006100426A (ja) 金属製端子板付きハイブリッド回路基板を製造するための素材基板及びハイブリッド回路基板を製造する方法
KR20000008367A (ko) 탭 테이프 제작을 위한 호환 가능한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