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429A - 전동밸브 - Google Patents

전동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429A
KR20040070429A KR1020030099734A KR20030099734A KR20040070429A KR 20040070429 A KR20040070429 A KR 20040070429A KR 1020030099734 A KR1020030099734 A KR 1020030099734A KR 20030099734 A KR20030099734 A KR 20030099734A KR 20040070429 A KR20040070429 A KR 2004007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stopper
contact porti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100B1 (ko
Inventor
스즈키노리오
히구치코우지
우메자와히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13359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7042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04007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밸브의 구동부와 밸브체부와의 취부·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10)와 밸브체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부(20)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체(30)는 냉매압에 의해 구동부(10)측으로 돌출되어 부세되는 전동밸브(A)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와 밸브체부(20)를 분리할 때 밸브체(30)의 돌출을 방지하는 스토퍼(40)를 밸브본체(21)와 밸브체(30)와의 사이에 배치시킨다. 상기 스토퍼(40)는 밸브본체(21)와, 밸브체(30)를 구성하는 밸브부(32) 사이에 배치시키고,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본체당접부(43)와 밸브체당접부(44)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당접부(43)는 밸브본체(21)의 내면에 계지되며, 상기 밸브체당접부(44)는 밸브부(32)의 외주부에 계지된다.

Description

전동밸브 {A valve operated by a motor}
본 발명은 냉동사이클 등에 사용되는 전동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에어콘의 냉매의 유량제어나 목욕, 샤워용 연소가스, 공기, 온수, 액체연료 등의 유량제어에 이용되는 전동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동밸브는 통상 밸브체부와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양부재들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동밸브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특개평11-82796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전동밸브(A)를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부(10)는 스테핑모터, 감속기구 등으로 구성되고, 출력회전축(19)을 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이 회전구동이 상기 출력회전축(19)의 상하동작으로 변환되어 밸브체부(20)측의 밸브체(30)를 상하동작시킨다.
또한, 상기 밸브체부(2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부(20)에는 제1 유로(24)와 제2 유로(25)가 밸브실(22)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밸브실(22) 내에는 밸브체(30)를 구성하는 밸브부(32)가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밸브체(30)는 벨로우즈(33)에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벨로우즈(33)의 상단은 상벨로우즈지지링(23)을 통해 밸브본체(21)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부(20)에 대한 구동부(10)의 취부는 상기 밸브체부(20) 내에 밸브체(30) 및 벨로우즈(33)를 배치한 후, 상기 벨로우즈(33)의 상단을 상벨로우즈지지링(23)을 통해 취부하고, 그 후 홀더(15)를 상기 밸브체부(20)의 상면에 당접시킨다. 또한, 출력회전축(19)을, 볼(27)을 통해 상기 밸브체(30)의 상면에 당접시킨 후, 너트(26)를 회전시켜서 일체로 조립한다.
그 후, 상기 구동부(10)의 갱신·교체 등을 위해서, 전동밸브(A)에 냉매압을 작용시킨체로, 상기 밸브체부(20)로부터 구동부(10)를 분해하거나 취부하거나 할 경우에, 냉매압이 낮을 때는 특별한 곤란함이 없고, 또한 상기 밸브체부(20)로부터 상기 구동부(10)를 분해함에는 너트(26)를 느슨하게 하여 상기 너트(26)와 함께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이러한 작업에 관한 특별한 곤란함이 없었다.
그러나, 냉매압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0)를 밸브체부(20)로부터 분리할 때, 냉매압에 의해 벨로우즈(33)가 축소되고, 밸브체(30)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동(上動)하여 밸브본체(21)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런 상태에 있어서, 여러번 구동부(10)를 밸브체부(20)에 장착하는 때에는, 작업자는 구동부(10)를 밸브체부(20)의 상부에 위치를 결정한 후 고냉매압에 대해서 밸브체(30)를 눌러내리는 상태에서 너트(26)를 회전시켜 취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구동부(10)와 밸브체부(20)와의 취부·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1 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 는 제1 실시예의 요부(스토퍼)의 사시도,
도3 은 제1 실시예의 요부(스토퍼)의 또다른 형태의 사시도,
도4 는 제1 실시예의 요부(스토퍼)의 작용설명도,
도5 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도6 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도7 은 도6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8 은 도7의 스토퍼의 확대 단면도,
도9 는 도8의 스토퍼의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10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밸브(A)의 개략 설명도,
도1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밸브(A)의 작용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전동밸브(종래기술) B : 전동밸브(본 발명)
C : 장착요부 10 : 구동부
11 : 케이스본체 12 : 모터케이스
13 : 감속기구 14 : 베어링부
15 : 홀더 15a : 암나사부
16 : 패킹 16a : 링
17 : 리드선 18 : 출력기어
19 : 출력회전축 19a : 숫나사부
19c : 요부 20 : 밸브체부
21 : 밸브본체 21a : 밸브시트
21b : (상) 계합단부 21c : 받침단부
21d : 배면지지부 21e : 하계합단부
22 : 밸브실 23 : 상벨로우즈지지링
24 : 제1 유로 25 : 제2 유로
26 : 너트 27 : 볼
30 : 밸브체 31 : 밸브봉
31a : 하벨로우즈지지부 31b : 부시
31c : 받침부 32 : 밸브부
32a : 계지단부 32b : 당접부
33 : 벨로우즈 35 : 밸브부(제3 실시예)
35a : 중심공 35b : 평탄면부
40, 40' : 스토퍼 41, 41' : 기판
42, 42' : 중심개구부 43, 43' : 본체당접부
44, 44' : 밸브체당접부 50 : 스토퍼
51 : 기판 53 : 본체상부당접부
54 : 밸브체당접부 55 : 본체하부당접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청구항1 기재의 전동밸브는 구동부와 밸브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체는 냉매압에 의해 구동부측으로 돌출되어 부세(付勢)되는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밸브체부를 분리할 때 밸브체의 돌출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밸브본체와 밸브체 사이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 기재의 전동밸브는 청구항1 기재의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체를 구성하는 밸브부 사이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 기재의 전동밸브는 청구항2 기재의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본체당접부와 밸브체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당접부는 밸브본체의 내면에 계지(係止)되며, 상기 밸브체당접부는 밸브부의 외주부에 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 기재의 전동밸브는 청구항3 기재의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원형 링형상의 판체(板體)로 이루어진 기판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설편(舌片) 형상의 본체당접부 및, 밸브체당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 기재의 전동밸브는 청구항3 기재의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원형 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기판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상기 본체당접부 및, 상기 밸브체당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 기재의 전동밸브는 청구항2 기재의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본체상부당접부와, 원형 링형상의 기판과, 본체하부당접부 및, 밸브체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상부당접부와 본체하부당접부는 밸브본체의 내면에 계지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밸브본체의 내면에 당접되며, 상기 밸브체당접부는 밸브부에 계지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7 기재의 전동밸브는 청구항6 기재의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원형 링형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설편 형상의 본체상부당접부와, 상기 기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설편상의 본체하부당접부 및 밸브체당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는 그 요부(스토퍼)의 사시도, 도3은 그 요부(스토퍼)의 또다른 형태의 사시도, 도4는 동일 요부(스토퍼)의 작용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전동밸브(B)는 구동부(10) 및 밸브체부(20)로 이루어진다.
우선, 구동부(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10)는 케이스본체(11)에탑재된 스테핑모터(도시안함), 상기 스테핑모터를 둘러싸는 모터케이스(1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핑모터에는 리드선(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11)의 하부에는 각종 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구(1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구(13)는 상기 스테핑모터로 구동되고, 출력기어(18)를 통해 출력회전축(19)에 전달된다. 상기 출력회전축(19)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상단을 베어링부(14)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되고, 그 하부는 상기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된 홀더(15)에 축지지된다. 상기 홀더(15)의 중심부에는 수평단면이 원형인 구멍이 천설되고, 그 내면에는 암나사부(15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력회전축(19)의 홀더(15)와의 당접부에는 상기 암나사부(15a)와 나사결합하는 숫나사부(19a)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15)는 상기 케이스본체(11) 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1)의 하부에는 밸브체부(20) 취부용 자루형상의 너트(26)가 부설된다. 상기 출력회전축(19)의 하방에는 요부(凹部; 19c)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19c)에는 볼(27)이 장착된다.
한편, 도면부호 16은 패킹이고, 상기 밸브체부(20)와 케이스본체(11) 사이에 설치된다. 도면부호 16a는 링이고, 상기 케이스본체(11)와 너트(26) 사이에 설치된다.
다음은 밸브체부(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본체(11)의 하부에는 자루형상의 너트(26)가 계합되고, 구동부(10)는 상기 너트(26)를 이용하여 밸브체부(20)의 밸브본체(21)에 취부된다.
상기 밸브본체(21)의 축심부(軸芯部)에는 밸브실(22)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밸브실(22)의 측부에는 유체의 제1 유로(24)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제2 유로(25)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실(22)에는 밸브봉(31) 및 밸브부(32)로 이루어진 밸브체(3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밸브본체(21)에 설치된 밸브시트(21a)에 당접할 때 전동밸브(B)는 닫히게 되며, 상동할 때 열리도록 작동된다. 또한, 도면부호 31b는 밸브봉(31)의 상단부에 압입된 부시(bush)이고, 볼(27)의 받침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본체(21)의 내면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할 스토퍼(40)의 본체당접부(43)의 계지용 단부로 되는 계합단부(21b)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계합단부(21b)의 하부에는 후술할 스토퍼(40)의 기판(41)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단부(21c)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단부(21c)에서 하부로는 그 상부에 비해 지름이 작은 소경부(小徑部)로 되어 있다. 상기 소경부가 밸브실(22)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부(32)의 외주견부에는 후술할 스토퍼(40)에 있어서 밸브체당접부(44)의 하단을 계지시키기 위해 링형상단부로 된 계지단부(32a)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실(22)에는 상벨로우즈지지링(23)이 견고하게 부설됨과 더불어, 밸브봉(31)의 하부에는 하벨로우즈지지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상벨로우즈지지링(23)과 하벨로우즈지지부(31a) 사이에는 벨로우즈(33)가 설치된다.
스토퍼(40)는 도1과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본체(21)와, 밸브체(30)를 구성하는 밸브부(3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40)는, 예를 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탄성판재로 이루어진 원형 링형상의 기판(41)과, 상기 기판(41)과 일체로 형성되고 설편 형상으로 돌출된 본체당접부(43) 및 밸브체당접부(44)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부호 42는 상기 기판(41)의 중심개구부이다.
상기 본체당접부(43)는 밸브본체(21)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계지되고, 상기 밸브체당접부(44)는 밸브부(32)의 외주부에 계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당접부(43)의 외형은 밸브본체(2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체당접부(44)의 선단외경은 상기 밸브부(32)의 계지단부(32a)와 대략 동일 직경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40)의 형상은 밸브체(30)를 소정이상 상동시키지 않는 기능을 가지려면, 다른 형상,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한 스토퍼(40')는 원형 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기판(41')과, 상기 기판(41')과 일체로 형성된 곡판(曲板)형상의 본체당접부(43')와 설편 형상으로 돌출된 밸브체당접부(44')로 이루어진 형상이어도 좋다. 도면부호 42'는 상기 기판(41')의 중심개구부이다. 상기 스토퍼(40')는 기판(41')과 본체당접부(43')는 그 일개소에서 횡단적(橫斷的)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상기 기판(41')과 본체당접부(43')의 지름의 변경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본체(21)로의 스토퍼(40')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전동밸브(B)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밸브체부(20)에 대한 구동부(10)의 조립은 상기 벨로우즈(33)의 하단부를 밸브봉(31) 하부의 하벨로우즈지지부(31a)에 장착함과 더불어, 상기 벨로우즈(33)의 상단부에 상벨로우즈지지링(23)을 장착해 둔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21) 내에는 상방으로부터 스토퍼(40)를 압입·감합시킨다. 그 결과,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40)는 상기 받침단부(21c)에 기판(41)의 하면이 당접함과 더불어, 본체당접부(43)의 상단부가 계합단부(21b)에 계합·탄착(彈着)한 상태로 된다.
다음은 상기 밸브본체(21) 내에 상방으로부터 상기 밸브체(30), 벨로우즈(33) 및 상벨로우즈지지링(23)의 일체물을 압입하고, 상기 밸브부(32)를 기판(41)의 중심개구부(42)에 삽입·관통시키며, 상기 계지단부(32a)에 밸브체당접부(44)의 하단을 계지시킨다. 또한, 상기 상벨로우즈지지링(23)을 밸브본체(21)의 상단부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상으로 밸브체부(20)의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부(20)에 대해서 홀더(15)를 밸브체부(20)의 상면에 당접시키고, 상기 출력회전축(19)을 볼(27)을 통해 밸브체(30)의 상면에 당접시킨 후, 너트(26)를 회전시켜서 일체로 하면, 전동밸브(B)의 조립은 완료된다. 다만, 상기 벨로우즈(33)의 상단 및 하단을 고착하는 납땜은 도면상에서 생략하였다.
다음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전동밸브(B)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동밸브(B)는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유로(24) 및 제2 유로(25) 사이에 개장(介裝)되고, 양 유로간의 유체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전동밸브(B)의 개폐에 있어서는 리드선(17)을 통해서 스테핑모터(도시안함)에 펄스가 인가된다. 그 결과, 펄스수에 대해 감속기구(13)를 통해 출력회전축(19)이 회전하고, 그 회전에 의해 출력회전축(19)은 하동(下動)한다(또한, 스테핑모터가 역회전한다면, 그 회전수에 대해 상동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출력회전축(19)의 하동에 의해 볼(27)을 개재한 밸브봉(31)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가압되는 동안, 상기 밸브실(22) 내의 유체압이 상기 벨로우즈(33)의 외면에 작용하고, 소정값 이상의 유체압이 될 때, 상기 벨로우즈(33)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시켜서 밸브를 열림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밸브체(30)가 하동하더라도 상기 스토퍼(40)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상기 밸브체(30)의 소정범위 내의 상하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밸브체(30)가 소정범위 이상으로 상동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 후, 상기 구동부(10)의 교체 등을 위해 상기 전동밸브(B)에 냉매압을 작용시킨 체로, 밸브체부(20)로부터 구동부(10)를 분리할 경우는 너트(26)를 풀어서 홀더(15)를 상기 너트(26)와 함께 분리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때, 상기 구동부(10)를 밸브체부(20)로부터 분리시켜도, 종래와 같이 냉매압에 의해 벨로우즈(33)가 축소되어 상기 밸브체(30)가 상동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밸브체(30)가 상동하는 것을 상기 스토퍼(40)가 저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0)를 여러번 장착할 때에도 상기 밸브체(30)가 상동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는 그 요부 종단면도이고,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구성부분은 도5에 있어서 도1 내지 도4에 부여된 도면부호와 동일하게 부여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밸브체(30)가 상동하여 밸브본체(21)의 상방으로 돌출한 때에, 상기 스토퍼(40)에 당접하는 밸브부(32)의 당접부(32b)를 제1 실시예와 같이 계지단부(32a)를 형성하지 않고, 다른 면과 동일한 경사평탄면으로 한 것이다. 제2 실시예는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밸브부(32)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가공도 용이하게 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의 밸브체당접부(44)의 하단 가장자리(밸브부(32)의 당접부(32b)로의 당접면)는 당접부(32b)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면으로 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구동부(10)를 밸브체부(2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밸브체(30)가 상동하는 것을 스토퍼(40)가 저지하기 때문에, 냉매압에 의해 벨로우즈(33)가 축소되어 밸브체(30)가 소정값 이상의 높이로 상동하지 않는다. 또한, 구동부(10)를 여러번 장착할 때에도, 밸브체(30)가 상동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은 그 요부 종단면도, 도7은 도6의 요부를 더욱 확대한 단면도, 도8은 그 스토퍼(50)의 확대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부분은 도6 및 도7에서 도1 내지 도4에 부여한 도면부호와 동일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밸브본체(21)의 내면부분에는 후술할 스토퍼(50)의 장착요부(C)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요부(C)는 상기 밸브본체(21)의 내면에 대해 대략 직각의 단차로 이루어진 상계합단부(21b)와, 상기 상계합단부(21b)에 연속되며 그 하방의 밸브본체(21)의 내면부분과 대략 평행한 동일내경으로 이루어진 배면지지부(21d), 및 상기 배면지지부(21d)의 하방의 하계합단부(21e)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계합단부(21b)와 하계합단부(21e)와의 거리는 후술할 스토퍼(50)의 본체상부당접부(53)의 상단과 본체하부당접부(55)의 하단과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약간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상계합단부(21b), 배면지지부(21d) 및 하계합단부(21e)에 의해 스토퍼(50)가 지지되게 된다.
또한, 밸브부(35)의 상면부, 특히 후술할 스토퍼(50)의 밸브체당접부(54)가 당접하는 부분은 평탄(평탄면부(35b))하게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35)의 축심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다른 지름의 중심공(35a)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밸브체(30)의 하부가 감합·장착된다.
스토퍼(50)는 그 기본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금속탄성판재로 이루어지고, 원형 링형상으로 소정 폭의 균일외경을 가진 원형 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기판(51)과, 상기 기판(51)과 일체로 되어 상방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 설편 형상으로 된 복수 매(枚)의 본체상부당접부(53)와, 상기 기판(51)과 일체로 되어 하방으로 균일한 지름으로 형성된 설편 형상으로 된 복수 매의 본체하부당접부(55), 및 상기 본체하부당접부(55) 사이에 인접하여 하방내측으로 경사져 형성된 설편 형상으로 된 복수 매의 밸브체당접부(5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상부당접부(53)는 원형 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기판(51)의 윗가장자리에 소정간격을 두고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판(51)의 아랫가장자리에는, 예를 들어, 본체하부당접부(55) 1매에 대해 밸브체당접부(54) 2매가 배치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스토퍼(50)는 원형 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기판(51)을 1개소에 있어서 분리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도9에 도시한 스토퍼(50)는 밸브체당접부(54)와 본체하부당접부(55) 사이에 있어서, 기판(51)을 횡단적으로 분리시켰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기판(51)의 지름의 변경이 용이하게 되고, 상기 밸브본체(21)의 장착요부(C)로의 스토퍼(50)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형태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장착요부(C)에 감합시킨다. 도5 내지 도7은 감합후의 상태를 도시해 두었다. 상기 스토퍼(50)의 본체상부당접부(53)는 계합단부(21b)에 계지되고, 원형 링형상의 기판(51)은 배면지지부(21d)에 당접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본체하부당접부(55)는 밸브본체(21) 내부에 당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 구성에 의해 다른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냄과 더불어, 상기 스토퍼(50)가 밸브본체(21)측으로 긴밀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구동부(10)를 밸브체부(20)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스토퍼(50)가 상기 평탄면부(35b)에 당접하여 상기 스토퍼(50)가 밸브체(30)의 상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냉매압에 의해 벨로우즈(33)가 축소되어 밸브체(30)가 소정값 이상의 높이로 상동할 수 없다. 또한, 구동부(10)를 여러번 장착할 때에도 밸브체(30)가 상동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토퍼(50)의 장착요부(C)로의 감합상태가 안정적으로 되어, 전동밸브의 기능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1 기재의 전동밸브의 특징에 의하면, 구동부와 밸브체부와의 취부·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스토퍼 작용을 실현시킨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 자체도 취부가 용이하고, 그 제조도 용이하다.
청구항2 기재의 전동밸브의 특징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밸브체의 상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3 기재의 전동밸브의 특징에 의하면, 밸브본체로의 스토퍼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4 기재의 전동밸브의 특징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스토퍼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밸브본체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체당접부와 밸브체당접부의 개수 및 형상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5 기재의 전동밸브의 특징에 의하면, 스토퍼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6 기재의 전동밸브의 특징에 의하면, 스토퍼의 밸브본체로의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다.
청구항7 기재의 전동밸브의 특징에 의하면, 스토퍼의 구성이 간략하게 되고,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7)

  1. 구동부와 밸브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부에 배치된 밸브체는 냉매압에 의해 구동부측으로 자유롭게 돌출되어 부세되는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밸브체부를 분리했을 때 상기 밸브체의 돌출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상기 밸브본체와 밸브체 사이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체를 구성하는 밸브부 사이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본체당접부와 밸브체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당접부는 밸브본체의 내면에 계지되고, 상기 밸브체당접부는 밸브부의 외주부에 계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원형 링형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설편 형상의 본체당접부, 및 밸브체당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원형 링형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상기 본체당접부, 및 상기 밸브체당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본체상부당접부와 원형 링형상의 기판과 본체하부당접부 및 밸브체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상부당접부와 본체하부당접부는 밸브본체의 내면에 계지되고, 상기 기판은 밸브본체의 내면에 당접하며, 상기 밸브체당접부는 밸브부에 계지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원형 링형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설편 형상의 본체상부당접부와, 상기 원형 링형상의 기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설편 형상의 본체하부당접부 및 밸브체당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KR1020030099734A 2003-02-03 2003-12-30 전동밸브 KR101046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5373 2003-02-03
JP2003025373 2003-02-03
JP2003300267A JP4317405B2 (ja) 2003-02-03 2003-08-25 電動弁
JPJP-P-2003-00300267 2003-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429A true KR20040070429A (ko) 2004-08-09
KR101046100B1 KR101046100B1 (ko) 2011-07-01

Family

ID=3313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734A KR101046100B1 (ko) 2003-02-03 2003-12-30 전동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17405B2 (ko)
KR (1) KR101046100B1 (ko)
CN (1) CN10033961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39A1 (en) * 2005-03-30 2006-10-19 Moatech Co., Ltd Electromotive valve
CN102788457A (zh) * 2011-05-18 2012-11-2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016A (ja) * 2005-11-16 2007-06-07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022120B2 (ja) * 2007-07-03 2012-09-12 株式会社不二工機 冷暖房システム用の電動弁
WO2012109993A1 (zh) * 2011-02-17 2012-08-23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N102644785B (zh) * 2011-02-17 2014-04-30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JP5654918B2 (ja) * 2011-03-25 2015-01-14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CN102901279B (zh) * 2011-07-27 2015-07-22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JP5400122B2 (ja) * 2011-10-27 2014-01-29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6475197B2 (ja) * 2016-06-15 2019-02-2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弁装置
JP6503033B2 (ja) * 2017-09-19 2019-04-1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7244998B2 (ja) * 2018-04-04 2023-03-23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7057509B2 (ja) * 2019-05-15 2022-04-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用ユニット、熱源ユニット、利用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EP4012236A4 (en) * 2019-08-08 2023-08-30 Eagle Industry Co., Ltd. EXPANSION VALVE
CN113623901A (zh) * 2020-05-09 2021-11-09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节流装置及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1612A (en) * 1984-04-03 1985-09-17 Keystone International, Inc. Rotatable shaft assembly
US5146126A (en) * 1991-09-05 1992-09-08 Hr Textron Inc. Adjustable rotor assembly
JPH0590268U (ja) * 1992-05-13 1993-12-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動膨張弁
JPH1182796A (ja) * 1997-09-16 1999-03-26 Fuji Koki Corp 電動弁
US6053472A (en) * 1998-10-16 2000-04-25 Eaton Corporation Rotary solenoid operated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JP2000193129A (ja) * 1998-10-21 2000-07-14 Kitz Corp アクチュエ―タ付きバルブ
KR100280736B1 (ko) * 1998-11-11 2002-05-09 윤종용 전동식 콘트롤 밸브
JP2000346226A (ja) * 1999-06-02 2000-12-15 Fuji Koki Corp 電動弁
US6460567B1 (en) * 1999-11-24 2002-10-08 Hansen Technologies Corpporation Sealed motor driven valve
CN100387872C (zh) * 2001-05-24 2008-05-14 株式会社不二工机 电动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39A1 (en) * 2005-03-30 2006-10-19 Moatech Co., Ltd Electromotive valve
CN102788457A (zh) * 2011-05-18 2012-11-2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9495A (zh) 2004-08-11
KR101046100B1 (ko) 2011-07-01
CN100339617C (zh) 2007-09-26
JP4317405B2 (ja) 2009-08-19
JP2004257722A (ja)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100B1 (ko) 전동밸브
JP6676432B2 (ja) 電動弁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234937B1 (ko) 전동 밸브
JP3145048U (ja) 電動膨張弁及び冷凍サイクル
JPWO2007013227A1 (ja) スライドバルブ
US7644731B2 (en) Gas valve with resilient seat
JP6501609B2 (ja) 電動弁及びその組立方法
JP4390299B2 (ja) 電動弁
JP6721237B2 (ja) 電動弁
JP2008232276A (ja) 電動弁
CN111828687A (zh) 一种控制阀
KR19980702918A (ko) 가열 및/또는 냉각 시스템의 밸브 액츄에이팅 장치
JP6793945B2 (ja) 電気的駆動弁
JP2010065762A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JP6684836B2 (ja) 電動弁
JP6684837B2 (ja) 電動弁
JP7105489B2 (ja) 流路切換弁
JP7332191B2 (ja) 電動弁
JP4738065B2 (ja) 1回転電動弁
JP2019158150A (ja) 電動弁及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器
JP7006981B2 (ja) 電動弁
JP6928978B2 (ja) 電動弁
JP6873512B2 (ja) 電動弁
JP6933398B2 (ja) 電動弁
JP2019082206A (ja) 電動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