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029A -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 - Google Patents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029A
KR20040068029A KR1020040004574A KR20040004574A KR20040068029A KR 20040068029 A KR20040068029 A KR 20040068029A KR 1020040004574 A KR1020040004574 A KR 1020040004574A KR 20040004574 A KR20040004574 A KR 20040004574A KR 20040068029 A KR20040068029 A KR 20040068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locking
container
cella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553B1 (ko
Inventor
슈텍한마르쿠스
Original Assignee
위크 파 이스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크 파 이스트 엘티디. filed Critical 위크 파 이스트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4006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50Supplying devices, e.g. funnels; Supply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로서, 커피를 보관하는 용기(2)와 배출 덕트(4)를 갖고 있으며, 이 배출 덕트를 통해 용기(2)에 있는 커피가 분쇄기로 유입될 수가 있다. 배출 덕트(4)와 동축으로 배열된 클러치링(7)은 커피 저장고(1)와 커피 제조기를 연결하며 커피 저장고(1)에 차단 요소(13, 14)가 있는 차단 장치(12)가 있는 것이다. 차단 요소(13, 14)는 배출 덕트(4)의 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져 원위치로의 선회가 가능하다. 이때 차단 장치(12)는 기계적으로 구동되며 차단 요소(13, 14)는 기계적으로 용기(2)의 회전동작에 연동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선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CONTAINER FOR COFFEE BEANS FOR A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이는 커피 저장고에 적용시키는 요소로서의 원두 커피를 보관하는 용기, 원두 커피를 보관 용기에서 분쇄기로 유입시키는 배출 덕트, 및 커피 저장고를 커피 제조기로 연결하기 위해 배출 덕트와 동축을 이루는 클러치링을 포함한다.
커피 제조기 또는 완전 자동 커피 제조기는 원두 커피를 보관하기 위한 원두커피 용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커피 제조기는 커피를 추출할 때 원두 커피가 매번 새로 분쇄된다. 커피 제조기에 장착된 분쇄기는 필요한 분쇄량을 만들어 내야 한다. 커피 저장고는 배출 덕트를 포함하는 용기이며 이는 분쇄기 입구에 장착된다. 용기의 배출 덕트는 일반적으로 상단에 원추형 유도 부위를 가져 원두커피가 분쇄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용기의 아래 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커피 저장고는 클러치링으로 커피 제조기의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클러치링은 베이어닛형 핀(bayonet type pin) 등으로 고정된다.
커피 저장고를 커피 제조기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커피 저장고가 비어있어야만 가능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커피 저장고에 들어 있는 원두 커피가 배출 덕트로 흘러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커피 저장고의 착탈은 분쇄기를 세척하거나 커피 저장고를 세척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커피 저장고에 들어 있는 원두 커피가 흘러나오는 현상은 부차적인 문제로 간주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커피 제조기의 커피 저장고를 제작하되 원두 커피로 가득 찬 커피 저장고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이 때 커피 저장고에서 원두커피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고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은 커피 저장고에 차단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차단 장치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차단 요소를 갖추고, 적어도 한 개의 차단 요소가 배출 덕트에 배열된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설치하여 기계적으로 차단 여부를 조작하는 것이다. 차단 장치는 기계적 회전 운동을 통하여 용기와 연동되어 개폐가 가능하다.
도 1은 커피 제조기의 커피 저장고를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피 저장고 아래쪽 차단 부위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선 A-B를 따라서 차단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을 다시 배출 덕트와 커피 저장고의 차단 요소와 함께 차단 상태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커피 저장고 2: 용기
3: 뚜껑 4: 배출 덕트
5: 유도체 6: 분말 커피용 덕트
7: 클러치 링 8: 부속물
9: 개폐 구간 10: 베이어닛형 핀
11: 베이어닛형 핀 12: 차단 장치
13: 차단 요소 14: 차단 요소
15: 제어 디스크 16: 베어링 구멍
17: 베어링 구멍 18: 저어널
19: 저어널 20: 제어 스터드
21: 제어 스터드 22: 제어 슬롯
23: 제어 슬롯 24: 쇄정 구멍
이러한 커피 저장고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차단 요소로 구성된 차단 장치를 갖게 되며 커피 제조기에서 커피 저장고를 착탈할 때 강제 차단된다. 커피 저장고의 강제 차단을 위해서 필요한 회전 동작을 통해 클러치링이 대응하는 부재에서 분리됨으로써 커피 저장고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최소 한 개의 차단 요소는 배출 덕트의 축과 평행하게 배열된 축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놓여져 있으며 배출 덕트 안으로의 차단 상태 또는 배출 덕트 밖으로의 개방 상태로 선회될 수가 있다. 최소한 개의 차단 요소는 기계적으로 구동되며 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차단 요소가 링크드라이브(link drive) 방식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링크드라이브는 차단 요소에 제어 슬롯과 맞물린 제어 스터드(stud)를 만들어 실현될 수가 있다. 각 차단 요소는 제어 스터드를 갖게 되어 스터드는 제어 슬롯에 맞물리게 되어 있다. 차단 단위가 클러치링 또는 용기에 있는가에 따라 제어슬롯은 자신과 대응되는 요소에 배열된다. 동시에 차단 요소 수량만큼의 제어 슬롯이 있는 제어 디스크를 장착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용기의 회전으로 연동된 차단 요소의 선회 동작은 차단 요소가 용기에 있을 경우에 가능하다. 이런 경우 제어 슬롯은 용기의 회전 동작과 배출 덕트 축으로 회전하는 차단 요소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차단 장치가 용기의 회전 동작과 연동되도록 고안될 수가 있다.
또한, 클러치링이 용기에 대하여 최소한 두 위치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안되기도 한다. 한 단부 정지부(end-stop)는 용기의 회전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차단 요소가 개방되는 위치에 오도록 만들어지게 된다. 다른 단부 정지부는 차단 요소가 닫혀지는 위치에 오도록 만들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단 장치가 배출 덕트를 차단할 경우에만 클러치링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지게 된다. 용기에서 클러치링으로 토크가 전달될 때 배출 덕트에 있는 차단 요소가 차단상태에 있을 경우에만 분리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차단 장치는 2개의 차단 요소로도 구성될 수가 있다. 기본적으로 차단된 부위가 가장 작은 커피 원두의 직경보다 작다면 완전히 차단될 필요는 없다.
차단 요소에서 배출 덕트를 향하는 면적은 용기 방향으로 기울여져 있어 차단 요소 반대편에 있는 원두 커피가 쉽게 밀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 속에 들어 있는 커피의 교체는 아주 쉽다. 즉, 그 예로 서로 다른 커피 종류를 담고 있는 용기들을 준비하여 교체하거나, 용기 속에 남은 커피를 비운 후 다른 커피 종류를 담을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피 저장고(1)는 원두 커피의 저장을 위한 용기(2)를 포함하고 있다. 용기(2)에는 뚜껑(3)이 있는데 이로써 용기(2)를 닫을 수가 있다. 용기(2) 아래쪽에는 배출 덕트(4)가 있고 이를 통해 용기(2)에 있는 원두 커피가 분쇄기로 유입된다. 배출 덕트(4)는 위쪽에 유도체(5)(도 2 참고)로 분리되어 용기(2) 안쪽 벽에 돌출된 부위에 걸쳐지게 된다. 용기(2)에는 분말 커피용 덕트(6)가 있어 분말 커피가 분쇄기를 통하지 않고 커피 제조기로 유입될 수가 있다. 뚜껑(3)은 분말 커피용 덕트(6)까지 덮어주고 있다.
커피 저장고(1)는 클러치링(7)이 장착되어 있어 커피 저장고(1)를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커피 제조기에 장착할 수가 있다. 클러치링(7)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에 회전 동작을 시켜 장착이 된다. 클러치링 외경을 따라 개폐구간(9)이 있는 부속물(8)이 장착되어 있다. 개폐 구간(9)은 분말 커피용 덕트(6) 아래쪽 출구와 연결된다. 분말 커피를 분말 커피용 덕트(6)에 유입시키기 위해 커피 저장고(1)는 개폐 구간(9)이 커피 제조기의 입구에 오도록 돌려지게 된다.
클러치링(7)은 베이어닛형 핀(10, 11)(도 3, 도 4)을 갖고 있는데, 이 핀으로 클러치링(7)과 커피 저장고가 커피 제조기에 고정된다.
클러치링(7)과 용기(2) 사이의 배출 덕트(4) 부분에는 차단 장치(12)가 장착되어 있다. 차단 장치(12)는 커피 저장고(1)를 커피 제조기에서 분리시킬 때에 배출 덕트(4)가 차단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렇게 하여 용기(2)에 남아 있는 커피가 배출 덕트(4)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차단 장치(12)는 2 개의 차단 요소(13, 14)를 갖고 있으며 한 개의 제어 디스크(15)를 갖고 있다. 차단 요소(13, 14)는 아치형으로 되어 있으며 각 한쪽 단부마다 베어링 구멍(16, 17)이 있다. 베어링 구멍(16, 17)에는 용기(2) 아래쪽에 부착된 저어널(journal)(18, 19)이 맞물려져 있으며 그에 의해 차단 요소(13, 14)들이 선회 동작을 할 수 있게 놓여진다. 저어널(18, 19)로 형성된 회전축은 배출 덕트(4)의 축과 동축을 이루고 있다. 차단 요소(13, 14)는 용기(2)와 마주보는 쪽에 각기 제어 스터드(stud)(20, 21)를 갖고 있다. 각 제어 스터드(20, 21)는 대응하는 제어 디스크(15)의 제어 슬롯(22, 23)과 맞물려져 있다. 제어디스크(15)는 용기(2)의 회전 운동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고정을 위해 제어디스크(15)는 쇄정 구멍(24)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커피 제조기에 고정된 핀에 연결되어 있다.
두 차단 요소(13, 14)는 도 2에서 보여주듯이 용기(2)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 3은 용기(2) 쪽에서 차단 장치(12)와 차단 요소(13, 14)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차단 요소(13, 14) 아래쪽에는 제어디스크(15)의 제어슬롯(22, 23)이 각기 놓여져 있다. 각 제어 스터드(20, 21)가 제어 슬롯(22, 23)에 맞물려 있는 모습도 보인다.
제어 슬롯(22, 23)은 두 위치를 갖고 있다. 바깥쪽에 있는 위치는 배출 덕트(4)의 축의 중심에 있다. 용기(2) 또는 클러치링(7)을 끝 위치까지 회전하지 않게 되면 차단 장치(12)는 어떠한 움직임도 없다. 그러나 끝 위치까지 돌리게 되면 커피 제조기 출입 구간이 개폐되어 분말 커피 출입구가 열려지게 된다. 제어슬롯(22, 23)은 접선 방향을 따라 제작되어 있다. 용기(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양 차단 요소(13, 14)는 링크 드라이브로 인하여 차단 요소가(13,14) 도 4와 같이 서로 맞물릴 때까지 배출 덕트(4)로 선회된다. 차단 요소(13, 14)가 차단하는 부위는 용기(2)에서 나오는 가장 작은 커피 원두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클러치링(7)의 베이어닛형 잠금 장치는 커피 저장고(1)의 차단 장치(13)가 도 4와 같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분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에 따라 클러치링(7)의 베이어닛형 핀(10, 11)을 위한 커피 제조기 쪽 홈도 그렇게 고안되어야 하며 쇄정 구멍(24)에 들어가는 커피 제조기 쪽 핀도 그렇게 고안되어야 한다.
이러한 커피 저장고를 더 발전시키기 위해서 조절 스터드(adjust stud)를 장착할 수가 있다. 조절 스터드는 차단상태에서 조금 남은 구멍 사이로 움직일 수가 있다. 이러한 조절 스터드는 스프링 장착 방식으로 커피 저장고에 설치되어 기본 위치에서는 차단 상태에서 조금 남은 구멍 사이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별도의 조작을 할 경우에만 이 조절 스터드를 조작하여 남아 있는 원두 커피를 밀어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두 커피로 가득 찬 커피 저장고의 착탈이 용이하며, 그 착탈시에 원두 커피가 흘러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9)

  1. 커피 제조기를 위한 커피 저장고로서, 커피 보관용 용기(2)를 포함하고 있으며, 용기(2) 안에 보관된 커피를 분쇄기로 유입시키는 배출 덕트(4)가 마련되어 있고, 배출 덕트(4)와 동축으로 배열된 클러치링(7)이 커피 저장고(1)를 커피 제조기에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된 커피 저장고(1)에 있어서,
    배출 덕트(4)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차단 요소(13, 14)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최소한 한 개의 차단 요소(13,14)가 배출 덕트(4)와 평행하도록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차단 장치(12)는 기계적인 구동 방식을 갖고 있으며 최소한 한 개의 차단 요소(13, 14)를 통해 용기(2)의 회전 동작에 기계적으로 연동되어서 개폐여부에 따라 선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 방식이 링크 드라이브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차단 요소(13, 14)가 구동되고, 그 구동 방식은 제어 스터드(20, 21)가 제어 슬롯(22, 23) 안으로 움직이면서 이루어지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저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차단 장치(12)의 각 차단 요소(13, 14)가 제어 스터드(20, 21)를 갖고 있고, 상기 제어 스터드는 제어 슬롯(22, 23)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저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차단 장치(12)가 차단 요소(13, 14)와 같은 수의 제어 슬롯(22, 23)이 있는 제어 디스크(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저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 디스크가 클러치링과 같이 고정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저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용기(2)와 클러치링(7)이 고정되어 있고, 제어 디스크(15)가 쇄정 구멍(24)을 가지고 있고, 커피 제조기에 설치된 커피 저장고(1) 내부에 제어 디스크(15)를 회전하고자 할 경우 핀이 쇄정 구멍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저장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 요소(13, 14)가 용기(2)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저장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 장치(12)와 2개의 차단 요소(13, 14)가 있고, 상기 차단 요소는 배출 덕트(4)의 축과 직경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저장고.
KR1020040004574A 2003-01-22 2004-01-24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 KR100699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300928U DE20300928U1 (de) 2003-01-22 2003-01-22 Kaffeebohnenbehälter für einen Kaffeeautomaten
DE20300928.2 2003-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029A true KR20040068029A (ko) 2004-07-30
KR100699553B1 KR100699553B1 (ko) 2007-03-26

Family

ID=3240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574A KR100699553B1 (ko) 2003-01-22 2004-01-24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23770B2 (ko)
EP (1) EP1440643B1 (ko)
JP (1) JP3104361U (ko)
KR (1) KR100699553B1 (ko)
CN (1) CN2684712Y (ko)
AT (1) ATE381897T1 (ko)
DE (2) DE20300928U1 (ko)
HK (1) HK1061150A2 (ko)
TW (1) TWM26213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171Y2 (ja) * 1992-06-01 1998-06-11 朝日金属精工株式会社 墜落防止装置付昇降梯子
DE20300928U1 (de) 2003-01-22 2004-05-27 Wik Far East Ltd. Kaffeebohnenbehälter für einen Kaffeeautomaten
US20050087074A1 (en) * 2003-10-28 2005-04-28 Kuan-Chih Lin Coffee maker
NL1028260C2 (nl) * 2005-02-11 2006-08-14 Etna Vending Technologies B V Inrichting en koffiebonenreservoir voor het bereiden van koffie.
FR2902303B1 (fr) * 2006-06-15 2013-07-12 Seb Sa Distributeur de produit pulverulent a reservoir amovible
DE102007008898A1 (de) 2007-02-23 2008-08-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bnehmbarer Bohnenbehälter mit selbsttätigem Verschluss
DE102007008900A1 (de) 2007-02-23 2008-08-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bnehmbarer Bohnenbehälter mit Drehverschluss
DE102007008911A1 (de) 2007-02-23 2008-08-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bnehmbarer Bohnenbehälter mit Einfach-Drehverschluss
WO2009035920A2 (en) * 2007-09-11 2009-03-19 Johnsondiversey, Inc. Dispenser system and method
WO2009047590A1 (en) 2007-10-12 2009-04-16 Bich Francois Grinding system, grinding mill for such grinding system and reload cartridge for such grinding system.
WO2010033023A2 (en) * 2008-09-17 2010-03-25 Sara Lee/De N.V. System for preparing coffee beverage
CN102395304B (zh) 2009-02-17 2016-06-29 皇家戴维艾格伯茨有限公司 咖啡豆包装筒和包括该咖啡豆包装筒的咖啡饮料系统
NL2006232C2 (en) 2010-02-17 2012-09-04 Sara Lee De Nv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rewing apparatus,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BE1019876A5 (fr) * 2010-02-17 2013-02-05 Koninkl Douwe Egberts Bv Systeme de preparation pour boisson au cafe, cartouche de conditionnement de cafe moulu pour une utilisation avec un tel systeme, procede de preparation d'une boisson au moyen dudit systeme, et procede de fourniture de cafe moulu a partir de ladite cartouche de conditionnement de cafe moulu.
ITTO20120319A1 (it) * 2012-04-12 2013-10-13 N&W Global Vending Spa Distributore per l'erogazione di bevande a base di caffe'
DE102013224592A1 (de) * 2013-11-29 2015-06-03 BSH Hausgeräte GmbH Kaffeevollautomat mit abnehmbarem Bohnenbehälter
DE102014107647B4 (de) 2014-05-30 2017-01-05 Eugster/Frismag Ag Kaffeebohnenbehälter
DE102014108522A1 (de) * 2014-06-17 2015-12-17 Miele & Cie. Kg Automat zur Herstellung eines Aufgussgetränkes
CH710697B1 (de) * 2015-02-05 2018-11-15 Schaerer Ag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Kaffeebohnen zum Mahlwerk einer Kaffeemaschine, Kaffeemaschine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Kaffeemaschine.
IT201600096953A1 (it) * 2016-09-27 2018-03-27 Illycaffe Spa Apparato e metodo per ottenere miscele di caffe' personalizzate
JP6671659B2 (ja) * 2017-08-07 2020-03-25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
CN112638216A (zh) * 2018-07-06 2021-04-09 阳光股份有限责任公司 食品处理系统
FR3108021B1 (fr) * 2020-03-12 2023-03-24 Seb Sa Machine a cafe munie d’un dispositif d’insertion d’une dose de moutur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035A (en) * 1915-02-10 1916-06-27 Enterprise Mfg Co Coffee-mill.
GB280452A (en) * 1927-05-27 1927-11-17 Jorgensen&Co Improvements in coffee mills
US3327615A (en) * 1965-01-04 1967-06-27 William S Swan Coffee dispenser with built-in grinder
ES433322A1 (es) * 1974-01-14 1977-02-16 Cailliot S L Y L Molino de cafe perfeccionado.
DE2641539B1 (de) * 1976-09-15 1978-02-02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skaffeemuehle
US4555984A (en) * 1982-05-19 1985-12-0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Coffee maker
GB2162418B (en) * 1984-06-12 1986-11-05 Toshiba Kk Combined coffee grinding and brewing machine
DE3608940C1 (en) * 1986-03-18 1987-09-03 Reiff Peter Grain mill, in particular for the household
US5186399A (en) * 1988-08-01 1993-02-16 Bunn-O-Matic Corporation Digital control system for a coffee grinder and associated coffee brewer
US5058814A (en) * 1989-08-16 1991-10-22 Modern Process Equipment, Inc. Coffee grinder
US5207148A (en) * 1990-06-25 1993-05-04 Caffe Acorto, Inc. Automated milk inclusive coffee apparatus
JPH05161552A (ja) * 1991-12-11 1993-06-29 Kazuo Enomoto コーヒーメーカ
US5417145A (en) * 1993-09-17 1995-05-23 National Controls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ffee grinder and brewer
JPH0880154A (ja) * 1995-08-10 1996-03-26 Yamasan Koki Kk 連続棒状生地の成形切断方法および装置
PL182757B1 (pl) * 1997-02-16 2002-02-28 Zelmer Sa Ekspres przelewowy do zaparzania kawy, herbaty lub podobnych napojów
US6339985B1 (en) * 1998-02-03 2002-01-22 Robert R. Whitney Coffee maker
JP2000279151A (ja) 1999-03-31 2000-10-10 Sanyo Electric Co Ltd 焙煎装置ならびにコーヒーメーカ
US6227102B1 (en) * 1999-04-27 2001-05-08 John C. K. Sham Automatic coffee maker with grinder
IT1311698B1 (it) * 1999-07-13 2002-03-19 Rolland Guy Macchina di distribuzione e confezionamento di caffe'
US6698624B2 (en) * 2001-04-04 2004-03-02 Nestec S.A. Device for dispensing a flowable powder substance
TWI250863B (en) * 2001-09-20 2006-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ffee maker
TW592113U (en) * 2002-07-23 2004-06-11 Chung-Jen Pai Opening/closing device for outlet of grinding device
DE20300928U1 (de) 2003-01-22 2004-05-27 Wik Far East Ltd. Kaffeebohnenbehälter für einen Kaffeeautomaten
KR200324196Y1 (ko) 2003-05-22 2003-08-25 이종은 수동식 커피 믹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81897T1 (de) 2008-01-15
TWM262135U (en) 2005-04-21
EP1440643A1 (de) 2004-07-28
US20040173101A1 (en) 2004-09-09
HK1061150A2 (en) 2004-08-13
US6823770B2 (en) 2004-11-30
CN2684712Y (zh) 2005-03-16
EP1440643B1 (de) 2007-12-26
JP3104361U (ja) 2004-09-16
KR100699553B1 (ko) 2007-03-26
DE502004005777D1 (de) 2008-02-07
DE20300928U1 (de)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553B1 (ko)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
CN2684713Y (zh) 咖啡研磨机以及带有咖啡研磨机的自动咖啡机
US8713960B2 (en) Ic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148600B1 (en) Holder assembly for a powdered ingredient for preparing an instant drink
US10786112B2 (en) Coffee machine with leak preventing device and working method therefor
US4799626A (en) Kitch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AU2014200382A1 (en) Grinder
JP2013519489A (ja) コーヒー豆包装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含むコーヒー飲料システム
CA2841241A1 (en) Pivotally closing beverage ingredient holder with a lock
JP2011522311A (ja) 飲料自動販売機
US20070039478A1 (en) Coffee machine brew head
KR20210122569A (ko) 커피추출장치
KR20210122571A (ko) 커피추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786550A (zh) 配备有用于保存咖啡豆的下封闭装置的用于咖啡研磨机的料斗和配备有该料斗的咖啡研磨机
AU2009202515A1 (en) Coffee-bean container for coffee grinder
CA1236380A (en) Food slicer
RU2808398C1 (ru) Бункер для кофемолки с нижним закры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сохранения зерен и кофейная мельница, оснащенная таким бункером
JP7319285B2 (ja) 筐体壁に形成された開口部を覆う覆い板を有する抽出飲料用飲料調製機
JPH04300510A (ja) 自動給茶機の茶葉供給装置
JPH0380062B2 (ko)
JPH0160269B2 (ko)
FR2591090A3 (fr) Filtre destine a une cafetiere, a une theiere ou a un autre appareil du meme genre.
JP2001321725A (ja) 穀類選別機
JP2003259966A (ja) ジューサの遠心分離装置
JPH0712030U (ja) ミル付きコーヒーメ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