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196Y1 - 수동식 커피 믹서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커피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196Y1
KR200324196Y1 KR20-2003-0015933U KR20030015933U KR200324196Y1 KR 200324196 Y1 KR200324196 Y1 KR 200324196Y1 KR 20030015933 U KR20030015933 U KR 20030015933U KR 200324196 Y1 KR200324196 Y1 KR 200324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raw material
rotating part
open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은
Original Assignee
이종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은 filed Critical 이종은
Priority to KR20-2003-0015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식 회전동작을 통하여 커피원료를 자유낙하 방식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원료량과 커피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수동식 커피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동식 커피 믹서기는 커피원료가 탑재되며 각각이 상기 탑재된 커피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개구부(101)를 갖는 다수의 원료박스(1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용기(2)와; 상기 다수의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원료박스 (100)의 배출 개구부(101)를 통해 하강하는 일정량의 커피원료를 임시 저장하여 배출하는 이송관(105)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4)와;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인입 개구부(106), 및 커피잔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잔 주입부(108)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4)는 좌우측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부(4)가 최좌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상기 원료박스의 배출 개구부(101)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4)가 최우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상기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4)가 최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각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 (101)로부터 상기 커피원료가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으로 하강하게되며, 상기 회전부(4)가 최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상기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커피잔으로 자유낙하한다.

Description

수동식 커피 믹서기 {MANUAL COFFEE MIXER}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수동식 커피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수동식 회전동작을 통하여 커피원료를 자유낙하 방식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원료량과 커피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수동식 커피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커피 믹서기는 동전 및 지폐등을 투입구에 주입함으로써 설탕, 프림 및 커피를 물과 혼합하여 일회용 컵에 공급하는 전자식 자동 커피 믹서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식 자동 커피 믹서기는 전자회로를 필연적으로 탑재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단가가 비쌀뿐만아니라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전기소비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 또한, 종이컵이 자동적으로 제공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컵의 낭비를 가져오고 있고, 이는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와같은 전자식 자동 커피 믹서기의 보완제품으로써 수동식 커피 믹서기가 개발되었다. 수동식 커피 믹서기중 한 믹서기는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 97-473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믹서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피잔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잔 주입구(60)와 커피 원료 교환을 위한 뚜껑부(11)를 갖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믹서기의 본체(10)에는 커피원료가 탑재되는 다수의 원료 박스(20)가 설치된다. 원료박스(20)의 하부에는 가이드 패널(30)이 장착되며, 가이드 패널(30)의 상부에는 원료 입수홈(31)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패널의 하부에는 원료 배출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패널(30)내에는 다수의 원료박스 (20)로부터 하강하는 커피원료를 임시저장하는 원료 저장홀(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료 저장홀(41)은 힌지구조로 커피잔 주입구(60)의 원료 배출통버튼(80)에연결되어 좌우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패널(30)의 원료 배출홈(32)에는 커피 배출통(50)이 결합되어 있으며, 커피 배출통(50)은 커피잔 주입구(60)까지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커피를 타지 않는 시간, 즉, 커피잔이 커피잔 주입구(60)의 원료 배출용 버튼(80)을 누르고 있지 않는 동안, 원료박스 (20)내의 커피원료는 가이드 패널(30)의 원료 입수홈(31)을 통해 원료 저장홀(41)로 하강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소비자가 커피를 타는 경우, 즉 커피잔이 커피잔 주입구(60)의 원료 배출용 버튼(80)을 누르는 경우, 원료박스(20)로부터 커피를 수납한 원료 저장홀(41)은 가이드 패널(30)의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패널(30)의 원료 배출홈(32)으로 이동된다. 원료 저장홀(41)이 원료 배출홈(32)으로 이동하면, 원료 저장홀(41)에 수납된 커피원료는 원료 배출홈(32)을 통해 커피 배출통(50)을 따라 소비자의 커피잔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비스듬이 연장되어 있는 커피 배출통(50)을 통해 커피 원료를 배출하는 경우에, 대기중의 수분등으로 인하여 커피원료가 커피 배출통(50), 특히 가이드 패널(30)의 원료 배출홈(31)과 커피 배출통(50)의 연결부분에 쌓이게되어 상기 연결부분에 막힘현상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된다. 또한, 커피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원료 저장홀(41)을 다른 크기의 원료 저장홀(41)로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소비자가 커피의 종류, 즉 프림커피, 블랙커피 등을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수동식 회전동작을 통하여 커피원료를 자유낙하하도록 하여 커피원료의 쌓임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원료량과 커피종류를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는 수동식 커피 믹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동식 커피 믹서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는 커피원료가 원료박스로부터 회전부의 이송관으로 배출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회전부의 이송관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절반정도 배출되기 시작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c는 회전부의 이송관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완전히 배출된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a는 회전형 원료 차폐부를 통해 원료박스의 배출 개구부를 개방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회전형 원료 차폐부를 통해 원료박스의 배출 개구부를 차단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수동적 커피 믹서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수동식 커피 믹서기는 커피원료가 탑재되며 각각이 상기 탑재된 커피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개구부(101)를 갖는 다수의 원료박스(1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용기(2)와; 상기 다수의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를 통해 하강하는 일정량의 커피원료를 임시 저장하여 배출하는 이송관(105)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4)와;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인입 개구부(106), 및 커피잔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잔 주입부(108)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4)는 좌우측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부(4)가 최좌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상기 원료박스의 배출 개구부(101)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4)가 최우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상기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4)가 최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각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로부터 상기 커피원료가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으로 하강하게되며,상기 회전부(4)가 최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상기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커피잔으로 자유 낙하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4)는 0 내지 60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부(4)의 회전각도가 30도일때부터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내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상기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커피잔내로 하강하기 시작하며, 상기 회전부(4)의 회전각도가 60도일때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내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커피잔내로 완전히 배출된다.
상기 회전부(4)와 상기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원료박스(100)중 하나 이상의 원료박스의 배출 개구부(101)를 차단 및 개방하는 회전형 원료 차폐부(3)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형 원료 차폐부(3)는 상기 다수의 원료박스(100)중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101)를 차단하는 차단부(104) 및 상기 다수의 원료박스(100)중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101)를 개방하는 개방부(10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하여 일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본 고안의 믹서기는 크게 6부분, 즉 뚜껑부(1), 일체형 용기(2), 회전형 원료 차폐부(3), 회전부(4), 몸체부(5), 받침대(6)로 구성되어 있다. 일체형 용기(2)는 커피원료, 즉 커피, 설탕 및 프림이 각각 탑재되는 3개의 원료박스(1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용기이며, 3개의 원료박스 각각의 하부에는 탑재된 커피원료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 개구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형 원료 차폐부(3)는 원료박스(100)이 하단에 장착되며, 다수의 원료박스(100)중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101)를 차단하는 차단부(104) 및 다수의 원료박스(100)중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101)를 개방하는 개방부(1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단부(104) 및 개방부(103)는 배출 개구부(101)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회전형 원료 차폐부(3)의 회전에 따라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는 차단부(104)에 의하여 차단되거나 또는 개방부(103)를 통하여 개방된다. 회전부(4)는 원료박스(100)내의 커피 원료를 아래방향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이송관(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한쪽 단부에 손잡이(도시안됨)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통해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 (4)의 이송관(105)의 크기는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의 크기와 동일하다. 따라서, 회전부(4)가 좌측으로 일정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즉 회전부(4)가 최좌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부(4)의 이송관(105)은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몸체부(5)는 그의 상부에 회전부(4)의 이송관(4)을 통해 하강하는 커피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인입 개구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인입 개구부(106)의 크기 또한 회전부(4)의 이송관(105)의 크기와 동일하다. 따라서, 회전부가 우측으로 일정각도로 회전되는 경우에, 즉 회전부(4)가 최우측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회전부(4)의 이송관(105)은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와 평행하게 배치되게된다. 몸체부(5)의 전면에는 커피잔을 주입하기 위한 커피잔 주입부(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5)의 상부 중앙에는지지대(107)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107)는 믹서기의 조립시 일체형 용기(2), 회전형 원료 차폐부(3) 및 회전부(4)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받침대(6)은 몸체부(5)를 지지하며, 커피잔의 위치를 제한하는 컵밀림 방지턱(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는 커피원료가 원료박스(100)로부터 회전부(4)의 이송관(105)으로 배출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b는 회전부(4)의 이송관(105)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절반정도 배출되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c는 회전부(4)의 이송관(105)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완전히 배출된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은 회전부(4)가 좌측으로 일정각도만큼, 바람직하게 좌측으로 30˚정도 회전되어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연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이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연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가 평행하게 배치되면, 이송관(105)의 크기와 배출 개구부(101)의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연료박스(100)에 탑재된 커피원료는 배출 개구부(101)를 통해 회전부(4)의 이송관(105)으로 하강하여 이송관(105)에 임시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부(4)를 우측으로 일정각도만큼, 바람직하게 우측으로 30˚정도 회전시키면, 이송관(105)의 우측단부가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 (106)의 우측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게 되어, 이에 따라 이송관(105)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는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커피잔으로 자유낙하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부(4)를 우측으로 조금더 회전시키면 이송관(105)으로부터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커피원료량이 증가하게된다. 도 3b는 회전부(4)를 일정각도만큼 회전시켜, 바람직하게 45˚정도 회전시켜, 이송관(105)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절반정도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c는 회전부(4)를 우측으로 완전히 회전시켜, 바람직하게 60˚ 정도 회전시켜 이송관(105)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완전히 배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결국, 본 고안에서는 회전부(4)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커피원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약한 커피를 원하는 경우 회전부(4)의 회전각도를 줄이면된다.
도 4a 및 도 4b는 회전형 원료 차폐부(3)를 통해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를 개방 및 차단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원료 차폐부(3)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차폐부(3)의 개방부(130)를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와 평행하게 일치시키면, 원료박스(100)내에 탑지된 커피원료는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와 차폐부(3)의 개방부(130)를 통해 회전부(4)의 이송관(105)으로 하강하게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형 원료 차폐부(3)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차폐부(3)의 차단부(104)를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와 평행하게 일치시키면,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를 차단부(104)가 차단하기 때문에 원료박스(100)내에 탑지된 커피원료는 아랫방향으로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회전형 원료 차폐부(3)를 좌우측으로 회전시켜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차단하기 때문에 소비자로 하여금 커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만약 회전 원료 차폐부(3)를 사용하여 원료박스(100)중 프림 원료박스와 설탕 원료박스를 차단하면, 소비자는 블랙커피를 선택할 수 있다.
이제, 소비자가 본 고안의 믹서기를 작동할때, 본 고안의 믹서기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소비자는 회전부(4)를 최좌측으로 회전시켜 회전부(4)의 이송관(105)을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와 평행하게 배치시킨다. 이와같이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가 평행하게 배치되면, 각 원료박스에 탑재된 커피원료, 즉 설탕, 프림 및 커피는 배출 개구부(101)를 통해 이송관(105)으로 하강하여 이송관(4)에 의하여 임시 저장되게 된다. 이때, 회전부(4)를 일정각도만큼 우측으로 회전시켜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 (106)가 중첩되도록 하면, 이송관(105)에 임시저장된 커피원료, 즉 설탕, 프림 및 커피가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소비자의 커피잔으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만약 소비자가 블랙커피를 원한다면, 회전형 원료 차폐부(3)를 사용하여 설탕 원료박스 및 프림 원료박스를 차단하고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회전부(4)의 회전각도에 따라 커피원료량이 조절되기 때문에, 취향에 따라 회전부(4)의 회전각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원하는 농도의 커피를 마실수 있다.
당업자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을 변형할 수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믹서기는 회전부(4)를 좌우로 회전시켜 원료박스에 탑재된 커피원료를 커피잔으로 자유낙하시키기 때문에 대기중의 수분등으로 인하여 커피 배출통, 특히 가이드 패널의 원료 배출홈과 커피 배출통의 연결부분에커피원료가 쌓이게 되는 쌓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원료박스로부터 커피잔까지의 배출통로인 이송관을 원료박스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원료저장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원료저장홀을 교환하지 않고서도 회전부의 회전각도만을 조절하여 커피원료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커피원료량의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형 원료 차폐부를 좌우측으로 회전시켜 원료박스의 배출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의 종류(즉, 설탕프림커피, 프림커피, 또는 블랙커피)를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다.

Claims (3)

  1. 커피원료가 탑재되며 각각이 상기 탑재된 커피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개구부(101)를 갖는 다수의 원료박스(1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용기 (2)와;
    상기 다수의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를 통해 하강하는 일정량의 커피원료를 임시 저장하여 배출하는 이송관(105)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4)와;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인입 개구부(106), 및 커피잔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잔 주입부(108)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5)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4)는 좌우측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부(4)가 최좌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상기 원료박스의 배출 개구부(101)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4)가 최우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과 상기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4)가 최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각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로부터 상기 커피원료가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으로 하강하게되며, 상기 회전부(4)가 최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상기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커피잔으로자유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믹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4)는 0 내지 60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부(4)의 회전각도가 30도일때부터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내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상기 몸체부(5)의 인입 개구부(106)를 통해 커피잔내로 하강하기 시작하며, 상기 회전부(4)의 회전각도가 60도일때 상기 회전부(4)의 이송관(105)내에 임시 저장된 커피원료가 커피잔내로 완전히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커피 믹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4)와 상기 원료박스(100)의 배출 개구부(101)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원료박스(100)중 하나 이상의 원료박스의 배출 개구부(101)를 개방 및 차단하는 회전형 원료 차폐부(3)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형 원료 차폐부(3)는 상기 다수의 원료박스(100)중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101)를 차단하는 차단부(104) 및 상기 다수의 원료박스(100)중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101)를 개방하는 개방부(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커피 믹서기.
KR20-2003-0015933U 2003-05-22 2003-05-22 수동식 커피 믹서기 KR200324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933U KR200324196Y1 (ko) 2003-05-22 2003-05-22 수동식 커피 믹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933U KR200324196Y1 (ko) 2003-05-22 2003-05-22 수동식 커피 믹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196Y1 true KR200324196Y1 (ko) 2003-08-25

Family

ID=4941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933U KR200324196Y1 (ko) 2003-05-22 2003-05-22 수동식 커피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1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53B1 (ko) 2003-01-22 2007-03-26 위크 파 이스트 엘티디.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
KR101910638B1 (ko) * 2017-05-30 2018-12-28 최중일 기능성 커피 추출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53B1 (ko) 2003-01-22 2007-03-26 위크 파 이스트 엘티디. 커피 제조기용 커피 저장고
KR101910638B1 (ko) * 2017-05-30 2018-12-28 최중일 기능성 커피 추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671B1 (ko) 냉장고의 아이스빈
KR200324196Y1 (ko) 수동식 커피 믹서기
US6442893B1 (en) Bean sprout culture box with a sprinkling device
CN214140232U (zh) 全自动分餐机
US6273306B1 (en) Lid of the liquid container
CN215305057U (zh) 出料机构
CN206879767U (zh) 一种宠物喂食喂水器
CN112278750A (zh) 全自动分餐机
KR20210050381A (ko) 곡식배출장치
KR200394500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JPS6022022Y2 (ja) 穀物乾燥装置
KR100878227B1 (ko) 커피믹스 분배기
CN219460950U (zh) 磨豆仓及具有其的磨豆机、磨豆咖啡机
JP2844267B2 (ja) パチンコ機の受皿構造
CN220164492U (zh) 一种杂粮收集箱
CN215738428U (zh) 出料密封机构
KR100943189B1 (ko) 경사회전판이 구비된 디저트자동판매기
JPH0244779Y2 (ko)
KR200347740Y1 (ko)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JP3570928B2 (ja) 家畜の給餌機
CN215738415U (zh) 出料仓
JP2000342811A (ja) パチンコ遊技機の景品球供給樋
KR200163003Y1 (ko) 자동판매기의 누설원료 집진구조
CN211020849U (zh) 一种多物料分类进料式电磁炒制机
KR200278061Y1 (ko) 일회용 용기를 이용한 설탕과자 자판기의 용기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