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381A - 곡식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곡식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381A
KR20210050381A KR1020190134905A KR20190134905A KR20210050381A KR 20210050381 A KR20210050381 A KR 20210050381A KR 1020190134905 A KR1020190134905 A KR 1020190134905A KR 20190134905 A KR20190134905 A KR 20190134905A KR 20210050381 A KR20210050381 A KR 2021005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rtridge
closing plate
content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순정
Original Assignee
고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순정 filed Critical 고순정
Priority to KR1020190134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381A/ko
Publication of KR2021005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곡식, 사료, 알약 등의 알갱이 형태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곡식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드럼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에 의해 필요한 양의 내용물이 담기도록 다수개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카트리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장공간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에 의해서 정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내용물이 잼에 걸리는 방지하고, 토출장치의 높이를 줄여 공간활용 효율이 높은 곡식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식배출장치{A Grain Provision Apparatus}
본 발명은 곡식, 사료, 알약, 커피 등의 알갱이 형태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곡식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드럼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에 의해 필요한 양의 내용물이 담기도록 다수개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카트리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장공간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에 의해서 정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내용물이 잼에 걸리는 방지하고, 토출장치의 높이를 줄여 공간활용 효율이 높은 곡식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식(곡물)을 이용해 음식을 조리하기 전에는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의 수에 양을 맞추어 일정량의 곡식을 사용하게 되며, 또한,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배식할 때에는 애완동물이 1회에 먹을 수 있는 일정량의 사료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곡식 또는 사료를 사용하기 전에는 저장고에 많은 양을 저장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에 필요한 정확한 양을 저장고에서 인출하여야 한다.
곡식 또는 사료를 정량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스스로 계량컵을 이용하거나, 자동으로 정량을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를 사용하는데, 종래의 정량공급장치는 내용물이 저장된 호퍼형태의 저장부에서 하부에 구비되는 스크류 또는 물레방아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전수단에 의해 내용물을 조절하도록 하였으나, 내용물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렵고, 내용물을 일정량으로 나누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스크류 또는 물레바퀴 형태의 회전수단에 끼여져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잼이 발생하여 오작동이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정량공급장치는 내용물이 저장된 무거운 카트리지 자체가 회전하며 하부에 개방된 토출구로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되는 구동모터의 크기가 커야 했고, 에너지 사용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덮개를 상부로 열고 곡식을 직하방으로 삽입하기에 작은 크기의 저장공간에 위로부터 쏟아 넣어야 해서 정량을 넣기 어렵고 넣으면서 주변으로 흘러나가는 경우도 많았다.
KR 10-2009-0131319 (공개번호) 2009.12.29. KR 10-1321798 (등록번호) 2013.10.18. KR 10-1920971 (등록번호) 2018.11.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에 의해서 정량을 공급할 수 있으며, 내용물이 토출구에 걸려서 한꺼번에 쏟아지거나 잼에 걸려 회전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토출장치의 높이를 줄여 공간활용 효율이 높은 곡식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하단부 개폐플레이트가 가장 크고, 상부로 갈수록 작아져 최상단부 개폐플레이트가 가장 작은 구조로 이루어져 개폐플레이트의 회전에도 지지살대에 의하여 잼이 유발되지 않는 곡식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해지지 않은 양을 흘려내며 중간에 토출구를 막아 계량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단계부터 필요량이 셀단위로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토출구가 열리면 바로 개량이 이루어지는 곡식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계바늘과 같은 동축의 개폐플레이트를 물리적 단차를 두어 적층하고 각 개폐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카트리지가 따로 구비됨으로써 여러 종류의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는 곡식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의 사용할 수 없는 저장공간에 개폐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를 설치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인 곡식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이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개폐에 필요한 상방의 공간이 필요없고, 저장드럼의 삽입과 인출이 용이하여 곡식을 카트리지에 삽입한 후에 쉽게 넣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곡식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드럼 내에 알약이나 사료를 저장하고 일정시간에 일정량을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투약이나 균형잡힌 영양공급을 위해 공급시간과 종류를 계획할 수 있는 곡식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드럼 내에 저장공간이 복수개의 카트리지에 의해 분리저장가능하여 쌀과 기타 다른 곡식을 함께 저장하고 적절히 배합을 조합하여 토출할 수 있는 곡식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용물이 저장된 무거운 카트리지 전체가 아닌 얇은 판 형상의 디스크인 토출장치만을 회전시키므로 작은 모터를 사용할 수 있고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곡식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부를 설치하여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으로 작동모터를 조정할 수 있어 필요시에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드럼몸체부(111)와, 상기 드럼몸체부(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간격을 갖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112a)에 의해 내용물이 담기도록 다수개의 저장공간(112b)이 형성되어 내용물이 저장되는 카트리지(112)와, 상기 카트리지(112)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장공간(112b) 중 특정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113)를 포함하는 저장드럼(110)과; 상기 저장드럼(110)이 슬라이드 이동으로 측면에서 삽입되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120);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장치(113)는 상기 카트리지(112)의 하부면에 밀착 설치되어 제1중심축(111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113A)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중심축(111a)이 삽입되는 제2중심축(111b)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보다 작은 직경의 제2개폐플레이트(113B)가 단차를 갖고 적층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드럼몸체부(111)의 내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상기 카트리지(112)는 상기 저장공간(112b)의 중간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분할격판(114) 및 제2분할격판(115)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제2분할격판(115)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외곽 카트리지(112A)로, 상기 제1분할격판(114)과 제2분할격판(115) 사이에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중간 카트리지(112B)로 구성되며,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의 하부에는 각 카트리지에 대응되는 제1개폐플레이트(113A) 및 제2개폐플레이트(113B)가 설치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및 제2개폐플레이트(113B)는 상기 제1중심축(111a) 및 제2중심축(111b)과 각각 연결되는 지지살대가 서로 단차지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살대는 내측에 배치되는 카트리지의 격판 하부에 형성되며, 지지살대 사이가 빈 공간이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카트리지(112)는 상기 격판(112a)에 의하여 저장공간(112b)이 다수로 분할되고,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은 상면과 하면이 폐쇄되며, 폐쇄된 저장공간 내부에는 해당 저장공간 내측의 개폐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가 삽입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를 회전시키는 제1개폐구동기어(113A-a) 및 상기 제1개폐구동기어(113A-a)를 구동시키는 제1작동모터(113A-b)가 상기 드럼몸체부(111)에 구성되고,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에는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에 형성되는 저장공간(112b)의 하단 개방면과 연통되는 제1토출구(113A-c), 제2토출구(113B-c)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와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의 높이는 상기 외곽 카트리지(A)가 더 낮게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중심축(111b)이 삽입되는 제3중심축(111c)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보다 작은 직경의 제3개폐플레이트(113C)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분할격판(114)의 내측으로 안쪽 카트리지(112C)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쪽 카트리지(112C)의 하부에는 제3개폐플레이트(113C)가 설치되며, 상기 안쪽 카트리지(112C)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의 하단 개방면과 연동되는 제3토출구(113C-c)가 마련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에는 외주면에 바퀴살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에 의해서 정량을 공급할 수 있으며, 내용물이 토출구에 걸려서 한꺼번에 쏟아지거나 잼에 걸려 회전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토출장치의 높이를 줄여 공간활용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최하단부 개폐플레이트가 가장 크고, 상부로 갈수록 작아져 최상단부 개폐플레이트가 가장 작은 구조로 이루어져 개폐플레이트의 회전에도 지지살대에 의하여 잼이 유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정해지지 않은 양을 흘려내며 중간에 토출구를 막아 계량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단계부터 필요량이 셀단위로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토출구가 열리면 바로 개량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시계바늘과 같은 동축의 개폐플레이트를 물리적 단차를 두어 적층하고 각 개폐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카트리지가 따로 구비됨으로써 여러 종류의 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카트리지의 사용할 수 없는 저장공간에 개폐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를 설치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하우징이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개폐에 필요한 상방의 공간이 필요없고, 저장드럼의 삽입과 인출이 용이하여 곡식을 카트리지에 삽입한 후에 쉽게 넣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저장드럼 내에 알약, 커피, 쌀 또는 사료를 저장하고 일정시간에 일정량을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투약이나 균형잡힌 영양공급을 위해 공급시간과 종류를 계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저장드럼 내에 저장공간이 3개의 카트리지에 의해 분리저장가능하여 쌀과 기타 다른 곡식을 함께 저장하고 적절히 배합을 조합하여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내용물이 저장된 무거운 카트리지 전체가 아닌 얇은 판 형상의 디스크인 토출장치만을 회전시키므로 작은 모터를 사용할 수 있고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는 통신부를 설치하여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으로 작동모터를 조정할 수 있어 필요시에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식배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식배출장치의 저장드럼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식배출장치의 저장드럼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식배출장치의 저장드럼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식배출장치의 저장드럼으로부터 중심축과 개폐플레이트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식배출장치의 저장드럼의 평면도이고,
도 6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식배출장치의 저장드럼의 개폐플레이트를 분리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6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식배출장치의 저장드럼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드럼의 드럼몸체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8 (a)는 개폐플레이트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역배치구조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 (b)는 최하단부 개폐플레이트에 내용물이 걸려 잼이 발생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식, 사료, 알약, 커피 등의 알갱이 형태의 내용물을 분리저장하고,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곡식배출장치(100)로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드럼몸체부(111)와, 상기 드럼몸체부(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112a)에 의해 필요량의 내용물이 담기도록 다수개의 저장공간(112b)이 형성되는 카트리지(112)와, 상기 카트리지(112)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장공간(112b) 중 특정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113)를 포함하는 저장드럼(110)과,
상기 저장드럼(110)이 슬라이드 형식으로 삽입되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되는하우징(120)과,
상기 토출장치(113)를 통해 일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130)와,
상기 하우징(120) 또는 저장드럼(110)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1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토출장치(113)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드럼(110)은 곡식, 사료, 알약 등의 알갱이 형태의 내용물이 일정량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중공의 드럼몸체부(111)가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드럼(110)은 드럼몸체부(111)가 양쪽에 하나 씩 두개가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한다. 또한, '내측'이란 해당 구성요소에 중심축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가 크기별로 분리되는 경우는 '제1', '제2'...을 앞에 두었고, 전체를 표시할 경우에는 이러한 접두어를 부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폐플레이트는 모든 개폐플레이트를 말하며, 제1개폐플레이트, 제2개폐플레이트, 제3개폐플레이트는 개별적인 개폐플레이트를 의미한다. 이중 일부를 묶을 경우에는 '제1, 2개폐플레이트' 또는 '제1, 제2개폐플레이트'와 같이 표기한다. 또한, 하부면과 하면, 상부면과 상면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곡식, 사료, 알약, 커피 등을 통합하여 곡식으로 표기한다.
조작부(130)는 상기 토출장치(113)를 통해 일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키패드와 디스플레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키패드는 직접적인 입력뿐 아니라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조작도 포함한다. 즉, 통신부가 삽입되어 원격지의 사용자가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 또는 단말기를 통하여 작동모터을 지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지시를 전송받아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PCB 등 회로와 저장부로 이루어져 조작부(130)에서 조작된 신호를 이미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각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전달된 위험신호에 대응하는 절차가 내장될 수 있고, 동작되지 않는 구성요소를 조작부에 전송하여 고장을 안내할수도 있다.
저장드럼(110)은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형식으로 이동하여 삽입과 인출되며, 이를 위하여 측면에 손잡이(110a)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저장드럼이 측면에서 인출되면 상부로 개방하는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좁은 수납공간에도 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드럼(110)을 하우징(120)에서 분리된 상태로 곡식을 삽입시켜 저장할 수 있기에 필요한 저장공간에 정확히 해당 곡식을 넣을 수 있고, 곡식이 담겨진 상태로 하우징(120)의 측면 개방부로 삽입시킨다.
상기 드럼몸체부(111)의 내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상기 카트리지(112)는 상기 저장공간(112b)의 중간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분할격판(114) 및 제2분할격판(115)을 각각 설치하여 3중의 카트리지가 구비되되, 상기 제2분할격판(115)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외곽 카트리지(112A)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분할격판(114)과 제2분할격판(115) 사이에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중간 카트리지(112B)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분할격판(114)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안쪽 카트리지(112C)로 구성되며,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 상기 안쪽 카트리지(112C)의 하부에는 각 카트리지에 대응되는 제1개폐플레이트(113A), 제2개폐플레이트(113B), 제3개폐플레이트(113C)가 설치 구비된다. 개폐플레이트는 얇은 판 형상의 디스크로 형성된다.
분할격판, 개폐플레이트, 카트리지, 토출판 등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3개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카트리지(112)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나, 외곽, 중간, 안쪽 카트리지마다 하나의 저장공간은 토출장치 상부에서 상면과 하면이 폐쇄된다. 이러한 폐쇄는 후술하듯이 내측의 개폐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와 기어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사용된다(안쪽 카트리지는 제외).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하부의 개폐플레이트의 회전으로 저장된 내용물이 토출되며, 개폐플레이트에는 내용물 토출을 위한 토출구(113)가 마련되므로, 내용물을 드럼몸체부의 상부로 삽입할때에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은 내용물을 삽입시킬 수 없다. 따라서, 드럼몸체부(111)에 내용물을 삽입시킬때에 내용물이 삽입되지 않는 저장공간에 토출구가 위치되어야 한다. 내용물의 삽입시에 토출구가 위치하는 저장공간은 내측의 개폐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작동모터가 배치되는 공간이 된다(예를 들어, 제1개폐플레이트(113A)의 제1토출구(113A-c)가 위치하는 특정의 저장공간에 제2개폐플레이트(113B)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113B-b)가 삽입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내용물을 삽입시킬 수 없는 저장공간이 토출구 개수 만큼 존재하게 되며, 이 저장 공간에 내측의 개폐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작동모터를 배치시켜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다. 다만, 안쪽 카트리지(112C)는 내측에 작동시킬 개폐플레이트가 없기 때문에 저장공간에 작동모터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
상기 토출장치(113)는 상기 카트리지(112)의 하부면에 밀착 설치되어 제1중심축(111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113A)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중심축(111a)이 삽입되는 제2중심축(111b)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보다 작은 직경의 제2개폐플레이트(113B)와,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중심축(111b)이 삽입되는 제3중심축(111c)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보다 작은 직경의 제3개폐플레이트(113C)가 단차를 갖으며 적층구비된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에는 외주면에 바퀴살이 형성되어 일정한 높이의 단차로 적층구비될 수 있게 되며, 각자 제1중심축(111a), 제2중심축(111b), 제3중심축(111c)으로부터 지지살대(116)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의 중심에서 제1개폐플레이트(113A)를 지지하는 제1중심축(111a)은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1중심축삽입구(113B-d)를 통과하여 제2중심축(111b)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의 중심에서 제2개폐플레이트(113B)를 지지하는 제2중심축(111b)은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2중심축삽입구(113C-d)를 통과하여 제3중심축(111c)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의 중심에서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를 지지하는 제3중심축(111c)은 상기 안쪽 카트리지(112C)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3중심축삽입구(112C-c)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3개폐플레이트(113C)를 지지한게 된다.
제1개폐플레이트와 제2개폐플레이트와 각 중심축의 지지는 제1지지살대(116a)와 제2지지살대(116b)에 의하여 수행되고, 지지살대(116)도 개폐플레이트와 동일하게 서로간에 높이가 다르게 단차져 형성된다. 상기 지지살대(116)는 해당 카트리지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내측의 다른 카트리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이 쏟아질때에 방해하지 않도록 지지살대와 연접하는 지지살대 사이는 빈 공간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지지살대가 카트리지(112) 격판(112a)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는 제1중심축(111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는 제2중심축(111b)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는 제3중심축(111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 개폐플레이트의 중심축이 다르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드럼(110)에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를 회전시키는 제1개폐구동기어(113A-a) 및 상기 제1개폐구동기어(113A-a)를 구동시키는 제1작동모터(113A-b)가 상기 드럼몸체부(111)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를 회전시키는 제2개폐구동기어(113B-a) 및 상기 제2개폐구동기어(113B-a)를 구동시키는 제2작동모터(113B-b)가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의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112b)(구체적으로는 상면과 하면이 폐쇄된 특정의 저장공간)에 구성되며,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를 회전시키는 제3개폐구동기어(113C-a) 및 상기 제3개폐구동기어(113C-a)를 구동시키는 제3작동모터(113C-b)가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의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112b)((구체적으로는 상면과 하면이 폐쇄된 특정의 저장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에는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 중간 카트리지(112B), 안쪽 카트리지(112C)에 형성되는 각각의 저장공간(112b)의 하단 개방면과 연통되는 제1토출구(113A-c), 제2토출구(113B-c), 제3토출구(113C-c)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제2개폐플레이트(113B), 제3개폐플레이트(113C)는 각각 외곽 카트리지(112A), 중간 카트리지(112B), 안쪽 카트리지(112C)의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각자의 개폐구동기어와, 작동모터에 의해 토출구가 이동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각자 움직여도 서로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의 제1토출구(113A-c)에서 외곽 카트리지(112A)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하고,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의 제2토출구(113B-c)에서 중간 카트리지(112B)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하며,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의 제3토출구(113C-c)에서 안쪽 카트리지(112C)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하며, 각 카트리지의 저장공간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은 미리 저장된 용량이므로 더 많거나 더 적은 양이 배출되는 염려가 없고, 원하지 않는 다른 곡식이 배출되지도 않는다.
이때,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 중간 카트리지(112B), 안쪽 카트리지(112C)의 높이는 안쪽 카트리지(112C)가 가장 높게 구비되고, 외곽 카트리지(A)가 가장 낮게 구비되며,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가 안쪽 카트리지(112C)보다 낮고 외곽 카트리지(A)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 카트리지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면 서로 다른 내용물을 삽입할때에 서로 섞이지 않고 쉽게 담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토출구(113A-c), 제2토출구(113B-c) 및 제3토출구(113C-c)는 단면적이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져서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한 제1토출구(113A-c)의 단면적이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제3토출구(113C-c)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되며, 상기 제1토출구(113A-c), 제2토출구(113B-c), 제3토출구(113C-c)에 대응하는 외곽 카트리지(112A),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 상기 안쪽 카트리지(112C)의 저장공간(112b)의 부피가 각각 동일하게 구비된다. 이에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 중간 카트리지(112B), 안쪽 카트리지(112C)는 동일한 양이 담길 수 있으며, 상기 제1토출구(113A-c), 상기 제2토출구(113B-c) 및 상기 제3토출구(113C-c)를 통해 토출되는 양이 동일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몸체로, 상기 저장드럼(110)의 상기 토출장치(113)를 통해 토출된 내용물이 이동하는 공급가이드(121)가 하부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가이드(121) 하부에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를 배치하는 받침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20)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123)가 형성되거나 배출된 곡식을 활용할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가이드(121)는 드럼몸체부(111)별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토출장치(113)는 상기 카트리지(112)의 하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카트리지(112)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상기 저장공간(112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그 내측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공급가이드(121)를 통해 받침부(122)에 위치한 용기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장치(113)는 상기 제1작동모터(113A-b)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개폐구동기어(113A-a)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1개폐구동기어(113A-a)에 치합되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가 회전하게 되면서 외곽 카트리지(112A)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상기 저장공간(112b)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하면)과 일치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토출구(113A-c)를 통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하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작동모터(113B-b)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개폐구동기어(113B-a)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2개폐구동기어(113B-a)에 치합되는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가 회전하게 되면서 중간 카트리지(112B)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저장공간(112b)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하면)과 일치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2토출구(113B-c)를 통하여 저장공간에에 저장된 내용물을 하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작동모터(113C-b)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3개폐구동기어(113C-a)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3개폐구동기어(113C-a)에 치합되는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가 회전하게 되면서 안쪽 카트리지(112C)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저장공간(112b)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과 일치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제3토출구(113C-c)를 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하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다양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저장공간(112b)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상하로 막아 폐쇄부(112c)를 형성하여 내용물이 저장되지 않는 기준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토출구(113A-c), 제2토출구(113B-c), 제3토출구(113C-c)가 개방되기 전에는 항상 폐쇄부(112c) 하부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상기 제1작동모터(113A-b) 또는 제2작동모터(113B-b) 또는 제3작동모터(113C-b)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저장된 상기 저장공간(112b)의 하부면과 제1토출구(113A-c) 또는 제2토출구(113B-c) 또는 제3토출구(113C-c)를 일치하도록 이동시켜 그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제1토출구(113A-c) 또는 제2토출구(113B-c) 또는 제3토출구(113C-c)를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폐쇄부(112c)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와,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의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에 각각 형성되며, 제2개폐플레이트(113B)를 작동하기 위한 제2작동모터(113B-b)와, 제3개폐플레이트(113C)를 작동하기 위한 제3작동모터(113C-b)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공간(112b)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곡식인 경우 용량은 1인분의 분량, 즉 180g 정도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인분의 밥을 짖기 위해서는 3개의 상기 저장공간(112b)를 각각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내용물을 상기 제1토출구(113A-c) 또는 제2토출구(113B-c) 또는 제3토출구(113C-c)를 통해 토출 공급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112b)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사료인 경우 용량은 애완동일이 한끼에 먹어야 하는 양으로 형성된다.
드럼몸체부(111)는 각기 독립적으로 운용할수도 있고, 종속적으로 운용할수 있어 필요한 내용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한다. 또한, 드럼몸체부의 일측은 개의 사료를, 타측은 고양이의 사료를 담지하는 등 서로 다른 동물의 사료를 저장하며 배출할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112b)은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 중간 카트리지(112B), 안쪽 카트리지(112C)에서 분리되어 각각 다른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쌀, 찹쌀, 현미, 보리나 기타 곡물을 섞어서 적절히 배합을 조합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동모터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할 경우에 보다 많은 배출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저장공간이 일정한 부피를 가질수도 있고, 다른 부피를 가질수도 있으며, 이때 폐쇄된 공간을 중간으로 서로 다른 저장양을 저장시킨 후에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공간의 곡식을 토출시키면 서로 다른 곡식에 대한 다른 배합비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드럼몸체부(111)의 내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카트리지(112)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12b)을 세분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공간(112b)의 중간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분할격판(114) 및 제2분할격판(115)을 각각 설치하여 3중의 카트리지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분할격판(115)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외곽 카트리지(112A)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분할격판(114)과 제2분할격판(115) 사이에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중간 카트리지(112B)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분할격판(114)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안쪽 카트리지(112C)로 구성된다.
그리고 외곽 카트리지(112A), 중간 카트리지(112B), 안쪽 카트리지(112C)의 하부에는 각각의 카트리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제2개폐플레이트(113B), 제3개폐플레이트(113C)가 각각 설치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은 1인분 용량의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안쪽 카트리지(112C)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은 1/2인분 용량의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하여 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의 용량과 상기 안쪽 카트리지(112C)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의 용량은 필요에 따라 증감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100)는 1인분, 2인분, 3인분, 4인분 등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130)를 이용해 원하는 양을 누르면 제어부(140)에서 조작부(130)의 조작에 따라 토출장치(113)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곡식배출장치(10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드럼몸체부(111)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112a)에 의해 일정량의 내용물이 담기도록 다수개의 저장공간(112b)이 형성되는 카트리지(112)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장공간(112b)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113)에 의해서 정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내용물이 토출구에 걸려서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토출장치(113)의 부피를 줄여 저장공간을 최대한 넓게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개폐플레이트의 회전에도 내용물이 끼는 현상(잼)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곡식배출장치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장치에서 최하단부에 위치한 지름이 가장 작은 개폐플레이트(113C)의 제3토출구(113C-c)로 내용물이 배출될 시에 상부에 위치한 제1 또는 2개폐플레이트의 지지살대(116a, 116b)에 걸려 잼을 유발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심축(111a, 111b, 111c)을 중심으로 가장 넓은 직경을 가진 제1개폐플레이트(113A)가 가장 상단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중간 직경을 가진 제2개폐플레이트(113B)가 중간에 위치하고, 밑쪽에 작은 직경을 가진 제3개폐플레이트(113C)가 배치될 경우, 제3개폐플레이트(113C)의 제3토출구(113C-c)에서 내용물이 토출되기 위해서는 상부에 위치한 제2개폐플레이트(113B)의 지지살대(116b)와 제1개폐플레이트(113A)의 지지살대(116a)를 통과되어야 한다.
배출되는 내용물은 중력에 의하여 하부부터 빈곳이 없도록 메워지기 때문에 상부의 지지살대(116)와 접촉되어 있다. 이때 제1, 2작동모터에 의하여 제1, 2개폐플레이트가 회전하면, 제1, 2지지살대(116a,b)도 같이 회전되어야 하고, 이때 지지살대과 내용물이 강하게 접촉하며 잼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직경이 가장 작은 개폐플레이트인 제3개폐플레이트(113C)가 맨 위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직경이 큰 순서로 개폐플레이트가 배치되어 내용물은 지지살대와 강한 접촉이 발생하지 않는다. 지지살대 사이가 빈 공간이므로 내용물이 그대로 낙하하여 토출구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살대에 의하여는 잼이 유발되지 않는다.
100 : 곡식배출장치
110 : 저장드럼
111 : 드럼몸체부 111a : 제1중심축 111b : 제2중심축
111c : 제3중심축 112 : 카트리지
112A: 외곽 카트리지 112B: 중간 카트리지 112C: 안쪽 카트리지
112a : 격판 112b : 저장공간 112c : 폐쇄부 112C-c : 제3중심축삽입구
113 : 토출장치 113A : 제1개폐플레이트
113A-a : 제1개폐구동기어 113A-b : 제1작동모터 113A-c : 제1토출구
113B : 제2개폐플레이트 113B-a : 제2개폐구동기어 113B-b: 제2작동모터
113B-c : 제2토출구 113B-d : 제1중심축삽입구
113C : 제3개폐플레이트 113C-a : 제3개폐구동기어
113C-b : 제3작동모터 113C-c : 제3토출구 113C-d : 제2중심축삽입구
114 : 제1분할격판 115 : 제2분할격판 116 : 지지살대
120 : 하우징
121 : 공급가이드 122 : 받침부 123 : 다리부
130 : 조작부
140 : 제어부

Claims (9)

  1.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드럼몸체부(111)와, 상기 드럼몸체부(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간격을 갖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판(112a)에 의해 내용물이 담기도록 다수개의 저장공간(112b)이 형성되어 내용물이 저장되는 카트리지(112)와, 상기 카트리지(112)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장공간(112b) 중 특정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장치(113)를 포함하는 저장드럼(110)과;
    상기 저장드럼(110)이 슬라이드 이동으로 측면에서 삽입되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120);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장치(113)는 상기 카트리지(112)의 하부면에 밀착 설치되어 제1중심축(111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개폐플레이트(113A)와,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중심축(111a)이 삽입되는 제2중심축(111b)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보다 작은 직경의 제2개폐플레이트(113B)가 단차를 갖고 적층구비되는 곡식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몸체부(111)의 내측 공간부에 구비되는 상기 카트리지(112)는 상기 저장공간(112b)의 중간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분할격판(114) 및 제2분할격판(115)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제2분할격판(115)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외곽 카트리지(112A)로, 상기 제1분할격판(114)과 제2분할격판(115) 사이에 형성되는 카트리지는 중간 카트리지(112B)로 구성되며,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와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의 하부에는 각 카트리지에 대응되는 제1개폐플레이트(113A) 및 제2개폐플레이트(113B)가 설치 구비되는 곡식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및 제2개폐플레이트(113B)는
    상기 제1중심축(111a) 및 제2중심축(111b)과 각각 연결되는 지지살대가 서로 단차지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살대는 내측에 배치되는 카트리지의 격판 하부에 형성되며,
    지지살대 사이가 빈 공간으로 마련되는 곡식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12)는 상기 격판(112a)에 의하여 저장공간(112b)이 다수로 분할되고,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은 상면과 하면이 폐쇄되며,
    폐쇄된 저장공간 내부에는 해당 저장공간 내측의 개폐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작동모터가 삽입되는 곡식배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를 회전시키는 제1개폐구동기어(113A-a) 및 상기 제1개폐구동기어(113A-a)를 구동시키는 제1작동모터(113A-b)가 상기 드럼몸체부(111)에 구성되고,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에는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에 형성되는 저장공간(112b)의 하단 개방면과 연통되는 제1토출구(113A-c), 제2토출구(113B-c)가 구비되는 곡식배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카트리지(112A)와 상기 중간 카트리지(112B)의 높이는 상기 외곽 카트리지(A)가 더 낮게 구비되는 곡식배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중심축(111b)이 삽입되는 제3중심축(111c)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보다 작은 직경의 제3개폐플레이트(113C)를 더 포함하는 곡식배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격판(114)의 내측으로 안쪽 카트리지(112C)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쪽 카트리지(112C)의 하부에는 제3개폐플레이트(113C)가 설치되며,
    상기 안쪽 카트리지(112C)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의 하단 개방면과 연동되는 제3토출구(113C-c)가 마련되는 곡식배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플레이트(113A), 상기 제2개폐플레이트(113B), 상기 제3개폐플레이트(113C)에는 외주면에 바퀴살이 형성되는 곡식배출장치.
KR1020190134905A 2019-10-28 2019-10-28 곡식배출장치 KR20210050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905A KR20210050381A (ko) 2019-10-28 2019-10-28 곡식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905A KR20210050381A (ko) 2019-10-28 2019-10-28 곡식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381A true KR20210050381A (ko) 2021-05-07

Family

ID=7591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905A KR20210050381A (ko) 2019-10-28 2019-10-28 곡식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03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288A (ko) 2021-11-17 2023-05-24 쿠쿠전자 주식회사 곡물의 혼합 계량이 가능한 자동 디스펜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319A (ko) 2008-06-18 2009-12-29 (주)이지탑 자동 정량 공급 장치
KR101321798B1 (ko) 2013-01-16 2013-10-28 오종경 알갱이 형태의 물체 정량측정 및 배출장치
KR101920971B1 (ko) 2016-12-05 2018-11-21 이병훈 정량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319A (ko) 2008-06-18 2009-12-29 (주)이지탑 자동 정량 공급 장치
KR101321798B1 (ko) 2013-01-16 2013-10-28 오종경 알갱이 형태의 물체 정량측정 및 배출장치
KR101920971B1 (ko) 2016-12-05 2018-11-21 이병훈 정량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288A (ko) 2021-11-17 2023-05-24 쿠쿠전자 주식회사 곡물의 혼합 계량이 가능한 자동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0175B (zh) 转盘式定量给料器
JP6384835B2 (ja) 錠剤カセット
JP4805844B2 (ja) 組合せ秤
US7131554B2 (en) Tablet feeder
CN106821063A (zh) 佐料机
KR20210050381A (ko) 곡식배출장치
CN110510265B (zh) 落料机构、储料装置及自助售卖机
CN110946086A (zh) 一种下料装置以及下料控制方法
CN206879768U (zh) 一种防卡的宠物喂食器
CN207268891U (zh) 一种旋转送料装置
US20060043115A1 (en) Food dispensing apparatus
CN211210956U (zh) 一种下料装置
CN214376727U (zh) 自动药品售卖机
EP3324373A1 (en) Dispenser for continuously feeding frying machines
JPH10129603A (ja) 錠剤搬送機構
CN220375205U (zh) 一种控制出米量的米桶结构
ITTO20060175A1 (it) Apparecchiatura di raccolta, conteggio, divisione e dispensazione di monete
US2493753A (en) Vending machine
KR19980011964U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배출장치
US20230341167A1 (en) Intelligent ice supply device and apparatus having the intelligent ice supply device
CN213371622U (zh) 储米装置
CN110178865B (zh) 一种瓜蒌籽饼干的调粉设备
KR102660467B1 (ko) 이중 교반판 사료 투하 구조 및 투하장치
CN219500190U (zh) 一种宠物喂食器
CN216784596U (zh) 一种便于片剂药物分类归纳的旋转药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