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740Y1 -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 Google Patents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740Y1
KR200347740Y1 KR20-2004-0001597U KR20040001597U KR200347740Y1 KR 200347740 Y1 KR200347740 Y1 KR 200347740Y1 KR 20040001597 U KR20040001597 U KR 20040001597U KR 200347740 Y1 KR200347740 Y1 KR 200347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plate
cutting
cam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환
Original Assignee
장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환 filed Critical 장일환
Priority to KR20-2004-0001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7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8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cubes or the like
    • B26D3/185Grid lik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한 무우를 소정의 두께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상기와 같이 절단된 무우를 먹기에 알맞은 크기로 모나게 썰어주는 전공정을 수직단계로 처리할 수 있는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구성을 요지로는 무우가 진입하는 공간부(22) 아래에는 절단두께를 결정짓는 조절받침판(24)을 회전절단판(21)에 설치하여 동시에 회전토록 하고, 회전절단판(21) 아래의 받침판(31) 위에는 회전하는 회전간(32)을 설치하고, 받침판(31)의 일측에는 무우가 낙하하도록 개구부(33)를 구성하며, 또 그 아래에는 격자형 칼날(34)을 구성하여 무우가 낙하도록 하고 받침판(31)의 개구부(33) 위에 작동봉(42)이 있는 누름판(41)을 구성하고 모터(3)의 회전축(4)에 캠요홈(43)이 형성된 캠판(44)을 고정시키며, 그러한 캠에 의해 누름판(41)을 승강시켜 격자형으로 무우가 절단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Radish cutting machine for radish cube kimchi}
본 고안은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한 무우를 소정의 두께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상기와 같이 절단된 무우를 먹기에 알맞은 크기로 모나게 썰어주는 전공정을 수직단계로 처리할 수 있는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학교, 산업현장 등 단체급식과, 반찬을 대량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반찬전문 업체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원만한 공급을 위하여 한 번에 많은량의 반찬을 만들고 있는데, 반찬들 중에는 무우를 먹기에 알맞은 크기로 모나게 썰어서 양념을 한 깍두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깍두기의 주재료인 무우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지만, 딱딱하기 때문에 식칼을 이용하여 손으로 썰기에는 쉽지 않고, 특히 한 번에 많은 양의 깍두기를 만들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체력소모와 노동력이 요구되는 등 불편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깍두기를 만들 때 불편점을 해결하고 많은량의 깍두기를 쉽게 만들기 위한 깍두기 무우 절단기가 고안된 바 있으나, 대부분은 완전한 자동화를 이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아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반자동화 깍두기 무우 절단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동화된 깍두기용 무우 절단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화 된 깍두기 무우 절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무우를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여 그 아래로 낙하시키면 콘베어밸트에 의해서 회전롤러칼로 이동하여 깍두기가 썰어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깍두기 무우 절단장치는 필요한 동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개의 모터를 사용하거나 동력장치를 복잡하게 구성해야 하고, 콘베어밸트로 절단된 무우를 회전칼날까지 이동시키는 등의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우를 깍두기로 절단하는 구조가 상하수직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수직과 수평으로 복합적 구성이기 때문에 기계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어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등 취급상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는 무우를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다시 먹기에 알맞은 크기로 모나게 썰어주는 전공정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횡방향의 절단 후 그 아래에서 곧바로 직육면체 형태의 2차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매우 간단한 형태의 깍두기 절단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절단기 2: 본체
3: 모터 4: 회전축
10: 투입구 11: 힌지
12: 덮개 13, 13': 투입관
20: 1차절단부 21: 회전절단판
22: 공간부 23: 절단칼
24: 조절받침판 30: 2차절단부
31: 받침판 32: 회전간
33: 개구부 34: 격자형 칼날
40: 누름판 구동부 41: 누름판
42: 작동봉 43: 캠요홈
44: 캠판 45: 지지판
46: 작동간 47: 슬라이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절단기의 전체 조립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절단기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절단기의 요부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절단기(1)는 본체(2)의 상부에 무우를 세워진 상태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10)와, 그 바로 아래에 무우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1차절단부(20)와, 또한 그 아래에 1차절단된 무우를 직육면체 형으로 절단하기 위한 2차 절단부(30)와, 2차 절단을 위한 누름판 구동부(40)로 구성되어 진다.
먼저 상단의 투입부(10)를 살펴보면, 일측을 힌지(11)로 설치하여 개폐가 가능토록 덮개(12)를 구성하되, 덮개(12)에는 직경이 크고 작은 두개의 투입관(13)(13')을 구성하여 무우를 크기 별로 세워진 상태로 투입토록 하였다.
그 아래의 1차절단부(20)에는 회전절단판(21)을 구성하여 무우를 1차 횡방향으로 연속 절단토록 하는데, 본체(2)의 맨아래에 구성된 모터(3)의 회전축(4)에 연결하여 회전토록 하였고, 무우가 진입하도록 공간부(22)를 구성한 후 공간부(22)의 일측 끝단에는 절단칼(23)을 부설하였으며, 공간부(22) 아래에는 절단두께를 결정짓는 조절받침판(24)을 회전절단판(21)에 설치하여 동시에 회전토록 하였다.
2차 절단부(30)는 회전절단판(21) 아래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1차 절단된 무우가 낙하하는 받침판(31)을 구성하는데, 받침판(31) 위에는 모터(3)의 회전축(4)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1차 절단된 무우를 이동시켜주는 회전간(32)을 설치하였고, 받침판(31)의 일측에는 회전간(32)에 의해 이송된 무우(1차 절단된)가 낙하하도록 개구부(33)를 구성하였다.
또 상기 개구부(33)의 바로 아래에는 격자형 칼날(34)을 구성하여 낙하하는무우가 격자형 칼날(33)의 위로 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격자형 칼날(33)위로 떨어진 무우가 격자형 칼날(34)을 통과하여 직육면체 형태가 되도록 하는 2차 절단을 위한 누름판구동부(40)를 구성하는데,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상기 받침판(31)의 개구부(33) 위에 누름판(41)을 구성하는데, 누름판(41)의 일측에는 작동봉(42)을 연결하며, 모터(3)의 회전축(4)에 캠요홈(43)이 측면에 형성된 캠판(44)을 고정시키고 여기에 일단이 지지핀(45)으로 설치된 작동간(46)을 설치한 후 작동간(46)의 중단의 슬라이드(47)를 캠요홈(43)에 삽입하여 캠판(44)이 회전하면 작동간(46)이 상하로 회동토록 하였다.
작동간(46)의 끝에는 상기 누름판(41)의 작동봉(42)을 연결한 것이다.
그리고 작동간(46)에 구성된 슬라이드(47)는 필요에 따라 캠요홈(43)으로 아탈토록 할 수도 있는데,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슬라이드(47)를 회동이 가능한 조정간(49)에 설치하여 조정간(49)을 젖히는 방향에 따라서 격자형의 깍두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1차 횡방향의 절단만 이루어진 무우를 배출토록 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 설명된 부호 5는 배출가이드, 6은 승강 가이드봉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본 고안의 절단기를 구동시킨 후 무우를 크기에 맞추어 덮개(12)의 어느 한쪽의 투입관(13)(13')으로 밀어 넣는다.
그 아래에는 회전절단판(21)이 회전을 하므로 무우가 회전절단판(21)의 공간부(22)에 무우의 하단이 들어오면 절단칼(23)에 의해 무우의 하단이 절단되는 것이며, 이때 조절받침판(24)에 의해 절단될 두께가 정하여 진다.
절단된 무우조각은 절단칼(23)과 조절받침판(24)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그 아래의 받침판(31) 위로 떨어지는데, 이때 회전하고 있는 회전간(32)에 의해 내부를 이동하다가 개구부(33)에 다다르면 아래로 낙하하여 개구부(33) 아래에 위치한 격자형 칼날(34) 위에 안착한다.
이때 누름판 구동부(40)에 의해 2차절단 작용이 일어나는데, 모타(3)에 의해 회전하던 캠판(44)이 회전을 하다가 슬라이드(47)가 캠요홈(43)에 의해 하강을 시작하는데, 그에 따라서 작동간(46)이 하강을 하면서 작동봉(42)을 끌어 내리게 되므로 누름판(41)이 하강을 격자형 칼날(34) 위에 있는 무우를 눌러 격자형으로 잘단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절단 완료된 깍두기 형의 무우가 배출가이드(5)를 따라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부로부터 무우를 투입하면 1차 횡방향의 절단과 2차 격자형의 절단 및 배출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나의 모터(3)만을 이용하면서도 전 공정이 이루어지는 등 전제적으로 절단장치가 간단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소음이 적고 절단장치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도 매우 작으며, 매우 빠른 절단 작업도 가능하게 되는 등 대량으로 깍두기를 제조하여야 하는 식품업체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단에 투입관을 구성한 덮개로 된 투입부와 그 아래에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하여 회전하면서 절단칼이 부설된 회전절단판을 구성하여서 된 깍두기 절단장치에 있어서,
    무우가 진입하는 공간부(22) 아래에는 절단두께를 결정짓는 조절받침판(24)을 회전절단판(21)에 설치하여 동시에 회전토록 하고,
    회전절단판(21) 아래에 받침판(31)을 구성하되, 받침판(31) 위에는 회전축(4)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간(32)을 설치하고, 받침판(31)의 일측에는 회전간(32)에 의해 이송된 무우가 낙하하도록 개구부(33)를 구성하며,
    또 상기 개구부(33)의 바로 아래에는 격자형 칼날(34)을 구성하여 낙하하는 무우가 격자형 칼날(33)의 위로 낙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31)의 개구부(33) 위에 누름판(41)을 구성하고 누름판(41)의 일측에는 작동봉(42)을 연결하며,
    모터(3)의 회전축(4)에 캠요홈(43)이 형성된 캠판(44)을 고정시키고 일단이 지지핀(45)으로 설치된 작동간(46)을 설치한 후 작동간(46)의 슬라이드(47)를 캠요홈(43)에 삽입하여 캠판(44)이 회전하면 작동간(46)이 상하로 회동토록 하며,
    작동간(46)의 끝에 상기 누름판(41)의 작동봉(42)을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KR20-2004-0001597U 2004-01-20 2004-01-20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KR200347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597U KR200347740Y1 (ko) 2004-01-20 2004-01-20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597U KR200347740Y1 (ko) 2004-01-20 2004-01-20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740Y1 true KR200347740Y1 (ko) 2004-04-17

Family

ID=4942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597U KR200347740Y1 (ko) 2004-01-20 2004-01-20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7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010B1 (ko) * 2008-02-15 2008-08-19 김순문 슬라이스 야채절단기
KR200459663Y1 (ko) 2009-07-10 2012-04-04 김선희 멀티 야채 커터
KR20230099415A (ko) 2021-12-27 2023-07-04 화진정공 주식회사 투입구 호퍼 교체형 다용도 야채 절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010B1 (ko) * 2008-02-15 2008-08-19 김순문 슬라이스 야채절단기
KR200459663Y1 (ko) 2009-07-10 2012-04-04 김선희 멀티 야채 커터
KR20230099415A (ko) 2021-12-27 2023-07-04 화진정공 주식회사 투입구 호퍼 교체형 다용도 야채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010B1 (ko) 슬라이스 야채절단기
KR101025501B1 (ko) 수직형 식품 슬라이서
KR200347740Y1 (ko) 깍두기용 무우 절단기
KR101849858B1 (ko) 과실 씨 분리장치
US7644710B2 (en) Grill
KR20170079358A (ko) 육류 다이서
EA005223B1 (ru) Еди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инарной обработки и отрезания мяса "донер-кебаб"
CN111618929B (zh) 一种蔬菜碎化装置
KR102438045B1 (ko) 김치제조장치
KR200252131Y1 (ko) 구형야채의 자동 모양썰기장치
CN211867948U (zh) 一种推压切菜机
KR200459663Y1 (ko) 멀티 야채 커터
CN113545654A (zh) 一种鲜食面煮制设备
US20080210796A1 (en) Double chute food processor
KR20240050655A (ko) 안전사고 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 모양썰기장치
KR200166790Y1 (ko) 송편성형기의통콩주입장치
KR102257333B1 (ko) 회전가능한 일체형 구조를 가진 커버
KR200334409Y1 (ko) 야채 자동 절단 장치
KR101940572B1 (ko) 두께 조절이 가능한 채 써는 장치
KR200223833Y1 (ko) 절단각도가가변되는가래떡절단장치.
KR20020089714A (ko) 식품 세단기
KR20190002298U (ko) 양면 칼집성형기
KR200356035Y1 (ko) 야채 절단기
GB2576473A (en) Spiral cutting food processor
KR200358607Y1 (ko) 야채 세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