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298U - 양면 칼집성형기 - Google Patents

양면 칼집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298U
KR20190002298U KR2020180000980U KR20180000980U KR20190002298U KR 20190002298 U KR20190002298 U KR 20190002298U KR 2020180000980 U KR2020180000980 U KR 2020180000980U KR 20180000980 U KR20180000980 U KR 20180000980U KR 20190002298 U KR20190002298 U KR 201900022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sheath
blade set
main body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493Y1 (ko
Inventor
기백준
기관호
Original Assignee
기백준
기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백준, 기관호 filed Critical 기백준
Priority to KR2020180000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9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의 상하 양쪽면에 칼집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 고기투입부(11)가 구비되고 타측에 고기배출부(13)가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 상기 구동모터(15)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14); 고기를 본체 중심부로 이송시키도록 고기투입부에 구비되는 고기투입컨베이어(22); 상기 구동모터(15)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고기투입컨베이어(22)를 통해 이송되는 고기의 상면에 캅집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칼날이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상부로 설치되는 상부칼날셋트(30); 상기 상부칼날셋트(30)를 통과한 고기를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동안 일정각도 방향 전환되도록 상기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후단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에서 진입하는 고기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72)가 구비되어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기가압부(70); 상기 구동모터(15)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에서 진입하는 고기류의 하면에 칼집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칼날이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고기가압부(7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칼날셋트(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양면 칼집성형기{A device of making knife mark to both-side}
본 고안은 양면 칼집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류의 상하 양쪽면에 일정 깊이의 칼집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일단에서 일측면에 칼집이 형성되어 이동되는 고기류가 이동과정에 자동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상면에 형성된 칼집성형방향과 일정한 각도가 유지된 상태호 하면에 칼집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양면 칼집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육류 뿐만 아니라 각종 생선을 조리할 때 풍미향상을 위해 추가되는 각종 양념류가 고기 또는 생선의 내부까지 깊숙이 흡수되고 화기(火氣)의 전달을 통해 내부까지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고기류의 표면에 일정 깊이의 칼집을 내게 된다.
이와 같은 칼집은 사용할 고기의 양이 적을 경우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대량으로 고기류를 가공 또는 조리하는 경우 수작업을 통해 칼집을 낼 수가 없어서 기계화된 칼집 성형기를 이용하게 된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육류용 칼집성형기는 일측에서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칼집성형기 본체 중앙 및 반대측으로 고기류를 이동시키면서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측에 설치된 원통형 칼날셋트의 회전으로 이송컨베이어 상면에 안착되어 칼날셋트 하부를 통과하는 고기류 표면에 일정 깊이로 절단되는 칼집이 형성되도록 하고, 칼날셋트를 통과하면서 칼집이 형성된 고기류는 본체 타측으로 배출되면서 칼집 형성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면 칼집 성형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대부분 고기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 적합하지만, 고기 두께가 다소 두꺼울 경우에는 단면 캅집만으로 양념류가 고기의 육질 깊숙이 침투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상하 양면으로 칼집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단면 칼집성형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한쪽면에 칼집을 형성된 고기를 다시 뒤집어서 칼집성형기에 투입하여 그 이면에 칼집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결국, 종래의 단면 칼집 성형기로 고기류의 양면에 칼집을 형성하기 위해 두 번의 반복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작업성이 떨어지고, 고기류의 표면에 형성되는 칼집의 성형 방향에 따라 고기류의 품질이 좌우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종래의 단면 칼집 성형기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양면에서 칼집을 형성하는 양면 칼집성형기가 안출되어 고기의 칼집 성형성을 개선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에 안출된 양면 칼집기의 일 실시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316204호의 ‘양면 칼집기’가 안출된 바 있다. 이러한 양면 칼집기의 개발로 인해 고기의 칼집 작업이 더욱 효율적이고 대량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상하 대칭되게 상부칼날과 하부칼날이 설치되어 상부칼날과 하부칼날 사이로 고기가 통과되면서 고기의 상하면에 칼집이 형성되게 되는데, 딱딱한 고기의 경우 고기의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서 칼집을 형성하는 칼날 사이의 간격이 좁더라도 칼집을 형성하는데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육질이 부드러운 고기에 칼집을 낼 경우 상부칼날과 하부칼날이 교차되게 구성되어 있더라도 좌우 칼날 사이의 간격이 좁아 칼집 형성시 부드러운 고기 육질이 칼날 사이에 끼거나 물리면서 칼집이 형성되는 고기표면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부칼날과 하부칼날이 동일한 위치에서 상하로 동시에 칼집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부칼날과 하부칼날 사이로 통과되는 고기의 형태가 본래대로 유지되지 못하고 너덜너덜 해져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기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칼집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고기의 육질 내부로 스며드는 양념류가 고기 전체에 골고루 스며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칼집을 형성하기 위해 투입되는 고기의 두께에 따라 상부칼날과 하칼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고 설명되어 있으나, 상부칼날과 하부칼날 사이의 간격은 상부칼날유니트에 구비된 높이조절레바를 조작하여 상부칼날의 높이를 조절한다고 설명되어 있으나, 높이조절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부칼날유니트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부칼날축의 일단에 구비된 구동기어도 함께 상승되면서 컨베어프레임측에 구비된 상부칼날구동스프라켓으로부터 이격되어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거나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해도 전달되는 힘이 미미할 밖에 없는 구조 인 것입니다.
- 실용신안등록 제20-0316204호(등록일: 2003.05.30, 고안의 명칭: 양면 칼집기) - 특허등록 제10-0879365호(등록일:2009.01.12, 발명의 명칭: 고기의 칼집형성장치) - 실용신안등록 제20-0264605호(등록일: 2002.02.02, 고안의 명칭: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본 고안은 종래에 고기류 표면에 일정 깊이의 칼집을 형성하는 칼집기의 작업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고기 칼집기의 유지, 보수 등 사후관리가 용이한 양면 칼집성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고기의 두께에 따라 캅집기의 사용이 제한적이었던 종래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양면 칼집성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는 일측에 고기투입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고기배출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와, 칼집성형을 위한 고기를 본체 중심부로 이송시키도록 고기투입부에 구비되는 고기투입컨베이어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고기투입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고기 상면에 캅집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칼날이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본체의 상면 일측에서 고기투입컨베이어 상부로 설치되는 상부칼날셋트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칼날셋트를 통과하면서 상면에 칼집이 형성된 고기가 본체의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일정각도 방향이 전환되면서 이동되도록 상기 고기투입컨베이어 후단에서 일정구간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에서 진입하는 고기류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의 후단에 인접하게 본체의 타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기가압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에서 진입하는 고기류의 하면에 칼집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칼날이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의 후방측 고기가압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칼날셋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각각 분리구성되어 고기투입부에서 고기배출부를 향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벨트와, 상기 복수개의 이송벨트가 설정된 구간 이내에서 반복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이송벨트의 내측 좌우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회전축 및 무부하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아이들링회전축과, 상기 복수개의 이송벨트 각각과 대응하도록 외주연에 톱니형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회전축의 외주연에 결합되되, 구동회전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각각의 직경이 점점 커지거나 또는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구동풀리와, 상기 복수개의 이송벨트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아이들회전축 외주연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풀리와 대칭되게 아이들링회전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각각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거나 또는 점점 커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아이들링풀리;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기투입컨베이어 하부에는 고기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상부칼날셋트 하부로 투입되는 고기의 두께에 따라 고기투입 컨베이어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기투입컨베이어와 상부칼날셋트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칼날셋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기가압부는 투입되는 고기의 두께에 따라 하부칼날셋트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승강조절수단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기가압부에 구비되는 승강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좌우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레바와, 상기 회전레바의 좌우 회전에 따라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레바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고기가압부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레바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강대의 상승 또는 하강시 고기가압부의 가압롤러를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회동레바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는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일정거리 이동되는 고기의 상하면에 칼집을 신속하게 낼 수 있도록 하여 고기의 칼집 형성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양면 칼집 형성을 위해 한번 칼집을 형성한 고기를 뒤집어 다시 칼집성형기를 통과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줄일 수 있고, 본체 중앙부에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가 구비되어 상면에 1차 칼집이 형성된 고기가 2차 칼집을 내기 위해 본체 후방측 하부칼날셋트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고기의 방향이 전한되면서 고기의 하면에 형성되는 칼집 방향이 상면에 형성된 1차 칼집 방향과 서로 달라져 양념류에 고기를 재울때 고기의 육직 내부로 양념류가 골고루 스며들도록 하여 고기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칼집을 내기 위해 투입되는 고기의 두께가 다르거나 다양할 경우 상부칼날셋트 하부에 구비되는 고기투입컨베이어의 높낮이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과, 하부칼날셋트 상부에 구비되는 고기가압부의 승강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작업에자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상부칼날셋트와 하부칼날셋트와의 간격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기에 칼집 성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의 일측 수직 절단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의 동력전달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의 상부칼날셋트 하부에 구비되는 고기투입컨베이어의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된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 고기투입컨베이어와 높이조절수단의 발췌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의 본체 중앙부에 설치되는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의 발췌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에 구비되는 구동축 및 구동풀리와 아이들링축 및 아이들링풀리의 발췌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에서 하부칼날셋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기가압부의 발췌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일측 상면에서 칼집 성형을 위한 고기가 안착되는 고기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기안착부의 말단에 고기를 본체 타측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고기이송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기이송부의 말단 상부에는 이송되는 고기 상면에 일정 깊이의 칼집을 형성하도록 상부칼날셋트가 설치되며, 상부칼날셋트를 통과한 고기를 본체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일정각도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본체 중앙부에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고기의 저면부에 칼집을 형성하도록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 후단에 하부칼날셋트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칼날셋트 상면으로 이동되는 고기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하부칼날셋트 상부로 고기가압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고기이송부 하단에는 상부칼날셋트 하부로 진입하는 고기의 두께에 따라 상부칼날셋트와 고기이송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송되는 고기의 표면에 칼집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본체의 일측면에서 작업자가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칼날셋트 하부에 구비되는 고기이송부의 높이조절을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이루어지듯이, 상기 하부칼날세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기가압부에도 고기가압부의 일측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하부칼날셋트의 회전으로 형성되는 고기 저면부의 칼집 형성 깊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6-3854호(2016.07.04, 높이조절형 칼집성형기)의 개량 고안으로, 선출원 기술의 경우 고기의 일 면에 칼집을 형성하는 고안인 반면에 본 고안은 고기의 양면에 칼집을 형성하는 고안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출원인의 선행출원에 포함된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가급적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고안의 특징부 위주로 상세한 설명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고기가 투입되는 본체의 일측을 ‘전방’으로 표현하고, 칼집이 형성되어 본체에서 배출되는 타측을 ‘후방’으로 표현하며, 고기가 투입되어 이송된 후에 배출되는 직선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표현하고, 상기 ‘길이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을 ‘폭방향’으로 표현히며, 이러한 방향성 용어는 장치의 구성 및 부품간 연관관계를 설명, 이해하는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100)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100)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수직 절단상태의 주요구성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평면상태의 주요 구성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본체(10)가 구성되며, 본체의 일측 상부에 상면이 편평한 고기안착부(12)가 구비되고, 고기안착부(12)의 후방으로 고기안착부(12) 상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고기투입부(20)가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기투입부(20)의 후방으로 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상부칼날셋트(30)가 고정 설치되고, 상부칼날셋트(30)의 상면 양쪽에는 조립 또는 분리시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3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칼날셋트(30)의 후방으로 상부칼날셋트(30)의 하부로 통과되면서 상면에 칼집이 형성된 고기를 본체(10)의 후방측으로 이송하면서 1차 칼집이 형성된 고기의 이동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 후방 본체의 타측단에는 이송된 고기의 저면에 칼집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칼날셋트(60)와, 상기 하부칼날셋트(60)의 상부로 고기가압부(70)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하향되게 배출트레이(80)가 설치되어 상기 고기가압부(70)와 하부칼날셋트(60) 사이를 통과하면서 칼집이 형성된 고기가 본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밀폐된 박스형으로 동력전달부(90)가 구비되어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5)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술한 고기투입부(20),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 고기가압부(70), 하부칼날셋트(60), 상부칼날셋트(30) 순서대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각부가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의 일측 단면도 및 도 3의 주요부 발췌 단면도를 참고하면서 상술한 동력전달부(90)의 구성을 좀 더 상술하면, 본체(10)의 전방 내측에 구동모터(1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15)는 동력전달부의 하우징 일측면에 구비된 조작스위치(14)의 조작에 따라 외부 상용전원에 연결된 상기 구동모터(15)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구동모터 및 각부가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15)의 출력축(16)에 연결된 구동체인(17)은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의 구동축(51)과, 본체 후방측 고기가압부(70)의 가압롤러 구동축, 하부칼날셋트(60)의 회전축(61), 상부칼날셋트(30)의 회전축(33), 고기투입부(20)의 구동축(21)을 경유하면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각 부위에 연결된 구동체인의 이송방향(화살표 표시방향)에 맞춰 각 부위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고기 이송과 방향전환 및 칼집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고기가 안착되는 고기안착부(12) 상면과 그 후방에 설치되는 고기투입부(20)의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상면은 거의 수평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후단측 상면으로 상부칼날셋트(30)의 원판형 칼날이 근접되게 위치되어 고기투입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고기의 표면에 일정 깊이의 홈을 가공하면서 칼집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고기투입부(20)의 후방에서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상면과 수평 또는 다소 낮게 위치되도록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의 이송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52)가 설치되어 하부 일측에 구비된 구동축(51) 및 구동풀리(53)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상기 구동풀리(53)의 외주연에 외접 설치된 고기투입 이송컨베이어벨트(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상면에 낙하된 고기를 본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의 이송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52)의 상면과 수평 또는 다소 낮게 하부칼날셋트(60)의 상면과 고기가압부(70)의 하단부가 만나는 교차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이송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52)를 빠져 나온 고기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다수개의 칼날로 구성된 하부칼날과 가압롤러(72) 사이로 진입하여 가압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칼날셋트 측으로 눌러진 고기의 저면에 칼집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주요부 구성이 도 4의 평면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90)는 밀폐된 하우징(18) 내부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안전 및 동력전달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되며, 구동체인에 연결된 주요부의 회전축 일단에는 구동기어 또는 스프로킷이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하는 고기의 상면 및 하면에 칼집을 형성하는 상부칼날셋트(30)와 하부칼날셋트(60)는 동일한 형태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도 4에는 상부칼날셋트(30)의 칼날 구조만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고, 하부칼날셋트(60)의 칼날은 그 상부측 고기가압부의 가압롤러 하부에 위치되어 그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칼날셋트(30)는 가는 두께를 갖는 다수개의 원판형 칼날(34)이 일정 간격 유지되게 회전축(33)의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칼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호커버(35)가 씌여진 형태로 구성된다.
다수개의 칼날이 회전축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그 하부로 통과하는 고기의 표면에 일자형 칼집을 형성하게 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부칼날셋트도 상술한 상부칼날셋트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만, 노출된 칼날이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차이가 있다.
상술한 상부칼날셋트(30)와,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 고기가압부(70) 및 하부칼날셋트(60)는 모두 하나의 단위모듈로 구성되어 본체의 조립과 분리가 하나의 모듈형태로 이루어져 취급과 부품교환, 고장 및 수리 등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고기투입부의 고기투입컨베이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기투입부 하부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의 설치상태 및 그 발췌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칼집성형기(100)는 다양한 고기의 표면에 칼집을 형성하는데 사용되기 위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고기가 투입되는 경우 고기의 두께에 따라 상부칼날셋트의 저면과 고기투입컨베이어의 상면 사이의 간격도 적당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고기투입부의 고기투입컨베이어의 일단이 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강 가능한 일단 하부에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호 연결된 높이조절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돌출 설치된 회전동작부재(41)와, 상기 회전동작부재(41)를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2)와, 상기 고정부재(42)를 관통한 회전동작부재(41)의 후단에 연결되어 회전동작부재(41)의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제1로드(43)와, 상기 제1로드(43)의 말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의 후방을 향해 일정길이 수평 설치되는 제2로드(44)와, 상기 제2로드(44)의 말단에 일정기울기로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단(45)을 갖는 일정 길이의 제3로드(46)와, 상기 제3로드(46)의 고정단(45)에 일단이 일정 기울기로 결합되고 타단이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말단 하부를 받쳐주고 있는 받침대(48)에 연결된 제4로드(47)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회전동작부재(41)의 회전을 통해 제1로드(43)및 제2로드(44)가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제2로드(44)가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에 따라 고정단(45)에 고정된 제3로드(46)가 고정단(45)을 기준으로 전후 회동되며, 상기 고정단(45)에서 제3로드(46)와 일단이 결합된 제4로드(47)가 제3로드(46)의 회동방향에 따라 그 타단부가 하강과 상승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제4로드(47)의 말단부에 연결된 받침대(48)가 상하 회동되면서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말단부, 즉 상부칼날셋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말단부를 승강시켜 고기 두께에 따른 고기투입컨베이어(22)와 상부칼날셋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상부칼날셋트와 하부칼날셋트 사이, 즉 본체의 중앙부에서 상부칼날셋트에 의해 상면에 1차 칼집이 형성된 고기를 하부칼날셋트측으로 이송시면서 고기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가 발췌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는 직사각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되, 좌우 양측면에 고정판(54,55)이 상하 및 좌우로 복수개의 고정샤프트(57)에 의해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하단 일측에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축(51)이 설치되고, 반대쪽에는 아이들링축(52)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51)과 아이들링축(52)에 대응되는 고정판(54,55)의 상부 양측으로 아이들링롤러(58)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 아이들링롤러와 하부 구동축과 아이들링축 외측으로 띠형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고기이송벨트(53)가 본체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띠형 고기이송벨트(53)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의 일부 절단 단면상태를 참고하면서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의 특징부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구동축과 아이들링축의 외주연에는 각각 구동풀리와 아이들링풀리가 복수개의 띠형 고기이송벨트(53)의 갯수만큼 설치되되, 복수개로 구성되는 구동풀리 및 복수개의 아이들링풀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축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구동풀리(51a~51j)의 경우, 구동축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구동풀리의 직경이 점점 커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동축의 회전시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구동풀리(51a~51j)에 복수개의 고기이송벨트(53)가 각각 외감되어 비록 동일한 구동축(51)상에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은 이루어지지만, 그 직경 차이로 인해 각각의 구동풀리(51a~51j)는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복수의 고기이송벨트(53) 상면에 걸쳐진 고기는 서로 다른 이송속도를 갖는 고기이송벨트에 의해 일정거리 이송되는 동안 그 방향이 뒤틀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51)에 대응하는 아이들링축(52)의 외주연에도 상기 복수개의 구동풀리(51a~51j)와 대칭되는 자리에 서로 상반되는 크기의 아이들링풀리(52a~52j)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아이들링축(5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아이들링풀리(52a~52j)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복수개의 아이들링풀리(52a~52j)가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구동풀리(51a~51j)에 외감된 복수개의 고기이송벨트(53)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복수개의 고기이송벨트간의 속도차에 따라 그 상면에 안착된 고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하부칼날셋트측으로 고기가 진입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5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구동풀리(51a~51j)의 외주연 및 고기이송벨트의 내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크기의 기어가 형성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확실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풀리(51a~51j)가 타이밍기어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 맞물리는 고기이송벨트가 타이밍벨트 역할을 수행하면서 구동축의 회전력을 고기이송벨트로 정확하게 전달하여 고기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9에는 본체의 후방 상부, 즉 하부칼날셋트 상부에 구비되는 고기가압부(70)의 구성을 발췌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기가압부(70)는 본체의 동력전달부 하우징 상면 및 내측으로 승강조절수단이 구비되어 투입되는 고기를 가압하는 가압롤러(72)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기 두께에 따라 하부칼날셋트와 가압롤러 사이의 적절한 간격이 유지되어 고기의 저면부에 일정 깊이의 칼질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기가압부(70)는 고기가 집입되는 전방측에 일정 직경을 갖는 가압롤러(7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기의 상면을 가압하여 그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하부칼날셋트의 상면에 고기의 저면에 일정 깊이로 파고 들어 칼집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가압롤러(72)의 일측 회전축 외주연과 가압롤러의 후방으로 설치된 샤프트(73)의 일단 외주연에는 밀폐된 함체 구조의 하우징(74)의 내부에 상호 기어결합되어 샤프트에서 가압롤러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동력전달기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73)에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이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75)이 하우징(74)의 외측으로 구비되어 구동스프로킷(75)이 회전하면서 샤프트(73)의 일단에 구비된 구동기어(73a)가 회전을 하게 되고, 구동기어(73a)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기어(73a)에 맞물린 가압롤러의 회전축에 구비된 피동기어(72a)가 회전을 하면서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에서 이송된 고기의 표면을 가압하면서 그 하부에 설치된 하부칼날셋트 상부를 통과하여 본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중심축이 구동스프로킷(75)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말단에 상기 샤프트 및 가압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조절수단(80)이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강조절수단(80)은 상기 본체의 일측 동력전달부의 하우징(18) 상면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게 수직 설치되어 사용자가 좌우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전레바(82)와, 상기 회전레바(82)를 좌우 회전가능하도록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84)와, 상기 회전레바(82)의 좌우 회전에 따라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레바(82)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막대형상의 승강대(85)와, 상기 승강대(85)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샤프트의 중심축(73b)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레바(82)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강대(85)의 상승 또는 하강시 가압롤러(72)를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회동편(8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강조절수단은 칼집형성을 위해 투입되는 고기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본체 전방의 상부칼날셋트 하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이 승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체 후방의 하부칼날셋트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롤러의 승강을 통해 투입되는 고기의 두께에 따라 고기 상면에 적절한 가압력을 가하여 회전하는 칼날이 적정 깊이로 고기의 육질 내측으로 파고들어 칼집이 적당한 깊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10 : 본체 11 : 고기투입부
12 : 고기안착부 13 : 고기배출부
14 : 조작스위치 14a : 동작표시등
15 : 구동모터 16 : 출력축
17 : 구동체인 18 : 하우징
20 : 고기투입부
21 : 구동축 22 : 고기투입컨베이어
30 : 상부칼날셋트 31 : 손잡이
33 : 회전축 34 : 칼날
35 : 보호커버
40 : 높이조절수단 41 : 회전동작부재
42 : 제1로드 43 : 제2로드
44 : 제3로드 45 : 고정단
46 : 제4로드 47 : 받침대
50 :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
51 : 구동축 51a~51j : 구동풀리
52 : 아이들링축 52a~52j : 아이들링풀리
53 : 고기이송벨트 54, 55 : 고정판
56, 57 : 고정샤프트 58 : 아이들링롤러
60 : 하부칼날셋트
70 : 고기가압부
72 : 가압롤러 72a : 피동기어
73 : 샤프트 73a: 구동기어
73b : 중심축 74 : 하우징
75 : 구동스프로킷 77 : 배출트레이
80 : 승강조절수단
82 : 회전레바 84 : 고정부재
85 : 승강대 86 : 회동편
100 : 양면 칼집성형기

Claims (4)

  1. 일측에 고기투입부(11)가 구비되고 타측에 고기배출부(13)가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 상기 구동모터(15)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14); 칼집성형을 위한 고기를 본체 중심부로 이송시키도록 고기투입부에 구비되는 고기투입컨베이어(22); 상기 구동모터(15)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고기투입컨베이어(22)를 통해 이송되는 고기의 상면에 캅집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칼날이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일단 상부로 설치되는 상부칼날셋트(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칼날셋트(30)를 통과한 고기를 본체의 후방측으로 이송하는 동안 일정각도 방향 전환되도록 상기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후단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에서 진입하는 고기류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72)가 구비되어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기가압부(70);
    상기 구동모터(15)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에서 진입하는 고기류의 하면에 칼집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칼날이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고기가압부(7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칼날셋트(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칼집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이송 및 방향전환부(50)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각각 분리구성되어 고기투입부에서 고기배출부 방향으로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기이송벨트(53)와,
    상기 복수개의 고기이송벨트(53)가 설정된 구간 이내에서 반복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고기이송벨트(53)의 내측 좌우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15)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51) 및 무부하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아이들링축(52)과,
    상기 복수개의 고기이송벨트(53) 각각과 대응하도록 외주연에 톱니형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51)의 외주연에 결합되되, 구동축(5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각각의 직경이 점점 커지거나 또는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구동풀리(51a~51j)와,
    상기 복수개의 고기이송벨트(53)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아이들링축(52) 외주연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구동풀리(51a~51j)와 대칭되게 아이들링축(5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각각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거나 또는 점점 커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아이들링풀리(52a~52j);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칼집성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하부에는 고기투입컨베이어(22)를 통해 상부칼날셋트(30)의 하부로 투입되는 고기의 두께에 따라 고기투입컨베이어(22)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기투입컨베이어(22)와 상부칼날셋트(3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칼날셋트(6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기가압부(70)는 투입되는 고기의 두께에 따라 하부칼날셋트(60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승강조절수단(80)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칼진성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가압부(70)에 구비되는 승강조절수단(80)은,
    상기 본체의 일측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좌우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레바(82)와,
    상기 회전레바(82)의 좌우 회전에 따라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레바(82)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대(85)와,
    상기 승강대(85)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가압롤러의 후단에 설치되어 가압롤러와 기어결합된 샤프트의 회전축 외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레바(82)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강대(85)의 상승 또는 하강시 고기가압부를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회동편(8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칼집성형기.
KR2020180000980U 2018-03-07 2018-03-07 양면 칼집성형기 KR200491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80U KR200491493Y1 (ko) 2018-03-07 2018-03-07 양면 칼집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80U KR200491493Y1 (ko) 2018-03-07 2018-03-07 양면 칼집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98U true KR20190002298U (ko) 2019-09-18
KR200491493Y1 KR200491493Y1 (ko) 2020-04-16

Family

ID=6806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80U KR200491493Y1 (ko) 2018-03-07 2018-03-07 양면 칼집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9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605Y1 (ko) 2001-07-25 2002-02-16 임건식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KR200316204Y1 (ko) 2003-03-26 2003-06-12 박미희 양면 칼집기
KR200375661Y1 (ko) * 2004-11-22 2005-03-11 지대호 양면 칼집기
KR100879365B1 (ko) 2007-05-15 2009-01-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고기의 칼집형성장치
KR20180000140U (ko) * 2016-07-04 2018-01-12 기관호 높이 조절형 칼집성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605Y1 (ko) 2001-07-25 2002-02-16 임건식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KR200316204Y1 (ko) 2003-03-26 2003-06-12 박미희 양면 칼집기
KR200375661Y1 (ko) * 2004-11-22 2005-03-11 지대호 양면 칼집기
KR100879365B1 (ko) 2007-05-15 2009-01-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고기의 칼집형성장치
KR20180000140U (ko) * 2016-07-04 2018-01-12 기관호 높이 조절형 칼집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93Y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0115B (zh) 一种自动切菜机
CN104690759B (zh) 带式无级变速联动切片机
CN205588349U (zh) 全自动切菜机
CN105773682A (zh) 全自动切菜机
CN103522328B (zh) 一种新型切菜机及其控制方法
CN210901150U (zh) 一种速冻面坯的擀皮装置
CN110216726B (zh) 咸蛋切壳开孔方法及切壳式开孔机
KR20100092779A (ko) 떡 절단장치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KR101628745B1 (ko) 생육 세절 또는 연육 가공기
KR20190002298U (ko) 양면 칼집성형기
JP3597804B2 (ja) 食品細断装置
KR200428174Y1 (ko) 김치용 자동 절단장치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CN114043566B (zh) 魔芋切片装置及切片方法
CN210445476U (zh) 饼坯制作装置
KR200326135Y1 (ko) 육류 세절기
CN209399373U (zh) 一种具有切割功能的危废物焚烧给料机
KR200262299Y1 (ko) 풋고추를 슬라이스형으로 절단하는 장치
CN112171770A (zh) 一种年糕分切装置
CN112894902A (zh) 一种芹菜加工用半自动切菜装置
CN112021347A (zh) 一种食品加工用薯片自动油炸装置
KR102171542B1 (ko) 강정과자의 폭방향절단장치
JP4641519B2 (ja) 鱗茎菜類調製機
CN215881754U (zh) 一种成品面包输送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