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045B1 - 김치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김치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045B1
KR102438045B1 KR1020200027768A KR20200027768A KR102438045B1 KR 102438045 B1 KR102438045 B1 KR 102438045B1 KR 1020200027768 A KR1020200027768 A KR 1020200027768A KR 20200027768 A KR20200027768 A KR 20200027768A KR 102438045 B1 KR102438045 B1 KR 10243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kimchi
shaft
vegetables
ca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585A (ko
Inventor
임홍균
Original Assignee
임홍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균 filed Critical 임홍균
Priority to KR102020002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0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265Screws with a continuous helic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 B65G2812/0527Conveyor screw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e.g. hollow, toot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야채와 소가 투입될 수 있는 제조공간을 가지는 제조 하우징; 상기 제조공간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제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샤프트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야채와 소를 버무리면서 상기 제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조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하우징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소는 상기 제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제조공간으로 투입되며, 상기 제조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는 제조공간의 바닥과 연결된 김치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김치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KIMCHI}
본 발명은 김치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소금물에 절이고 발효시켜 보관성을 높인 채소를 갖은 양념으로 맛을 내어 먹는 한국의 음식이다. 맵고 짠 김치 외에도 다양한 김치가 존재하며, 통상 배추를 절인 것으로 인식되나 무를 절여서 만든 총각김치나 깍두기, 오이로 만든 오이소박이 등의 김치도 존재한다.
김치는 한 번 절인 채소를 다시 양념한다는 점에서 다른 나라의 채소 절임과는 다른 독자적인 차별성을 갖는다. 사용되는 재료에 있어서도 일부 몇몇 채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가능하다.
또한, 김치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가장 많이 알려진 배추김치부터 시작해서 깍두기, 동치미, 겉절이 등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지역마다 요리법과 재료를 사용한 김치가 존재해 향토음식으로서 정체성 또한 갖고 있다. 이러한 김치들은 통상적으로 고추, 마늘 등 갖가지 양념으로 이루어진 소와 채소를 버무려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은 김치를 작업자가 수작으로 제조할 경우 많은 노동력이 필요로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될 수 박에 없고, 제조 물량 또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9119호 (2014.12.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3069호 (2016.05.16.)
본 발명은 김치 제조 시 야채와 소가 자동으로 버무려지도록 하여 김치 제조에 따른 노동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김치제조장치는, 야채와 소가 투입될 수 있는 제조공간을 가지는 제조 하우징; 상기 제조공간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제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샤프트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야채와 소를 버무리면서 상기 제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조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하우징의 하부 측면에는 제조된 김치가 배출되는 김치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김치 배출홀의 둘레 일부분은 상기 제조공간의 바닥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조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으로 상기 제조공간의 야채와 소를 상기 김치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배출 이송부재; 그리고 상기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상기 야채와 소를 상기 제조공간의 바닥에서 들어올려 떨어뜨리는 버무림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되는 상기 야채와 상기 소는 들어올려지고 떨어짐이 반복되면서 버무려져 제조공간에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상기 버무림부재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상기 버무림부재는 50mm 내지 80mm의 폭과 2mm 내지 5mm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 이송부재의 피치는 200mm 내지 230mm일 수 있다.
상기 버무림부재는, 상기 배출 이송부재의 피치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버무림플레이트; 상기 배출 이송부재를 관통하여 이웃한 상기 버무림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있고 회전할 수 있는 연결로드; 및 상기 배출 이송부재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 해제로 상기 버무림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로드를 축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버무림플레이트의 회전으로 상기 버무림플레이트에 걸린 야채는 털리어 상기 제조공간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 이송부재, 상기 버무림부재는 상기 제조공간의 둘레와 1mm 내지 5mm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이송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떨어져 있으며, 상기 샤프트와 상기 배출 이송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각각, 상기 샤프트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싱; 상기 지지부싱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접하는 고정수단;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싱과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결합된 지지바;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김치제조장치는, 상기 제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조공간으로 소를 투입시키는 소 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김치제조장치는, 상기 제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공간으로 투입된 야채와 소가 제조부에 배출 이송부재에 의해 제조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야채와 소가 버무림부재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떨어지기를 반복하게 되면서 자동으로 버무려지게 된다. 이에 제조공간으로 투입된 야채와 소가 이송되면서 자동으로 버무려지게 되어 김치 제조에 따른 노동력 발생을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무림플레이트의 회전으로 버무림플레이트에 걸린 야채는 털리어 제조공간의 바닥으로 떨어진다. 이에 김치 제조 완료 후 김치제조장치 세척 또는 정비를 위해 버무림플레이트에 걸린 야채를 하나하나 제거하지 않고 흔들어서 떨어지게 하므로 버무림플레이트에 걸린 야채 제거에 따른 작업자의 작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김치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4를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제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김치제조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김치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를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제조장치(1)는 제조 하우징(20), 샤프트(40), 구동부(50) 및 제조부(60)를 포함하며 김치 제조 시 야채와 소가 자동으로 혼합되도록 하여 김치 제조에 따른 노동력을 최소화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제조장치(1)는 소 투입부(30) 및 프레임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서로 결합된 가로바와 세로바를 포함하며 제조 하우징(20)을 지지한다. 세로바의 하단에는 김치제조장치(1)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제조 하우징(20)은 내부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투입된 야채와 소가 버무려지는 제조공간(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제조 하우징(20)의 상부 일측에는 소를 제조공간(21)으로 투입하는 소 투입부(30)가 배치되어 있다. 소 투입부(30)에는 공급된 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소 배출홀(31)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소 투입부(30)로 공급된 소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유동하면서 소 배출홀(31)을 통해 제조공간(21)으로 투입된다. 한편, 소 배출홀(31)의 지름은 1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소 배출홀(31)의 지름이 15mm 미만인 경우 공급된 소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안는다. 소 배출홀(31)의 지름이 25mm를 초과하는 경우 공급되는 일단에 형성된 소 배출홀(31)을 통해 소가 배출되면서 소가 소 투입부(30)의 타단까지 유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김치 배출홀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 투입부(30)의 하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소 투입부(30)의 내부에는 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유동시키는 스크류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조 하우징(20)을 평면에서 본 모양은 직사각형이다. 제조 하우징(20)의 하부를 측면에서 보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조 하우징(20)의 일측면은 막혀 있고 타측면 하부에는 제조공간(21)에서 제조된 김치가 배출되는 김치 배출홀(22)이 형성되어 있다. 김치 배출홀(22)의 둘레는 제조 하우징(20)의 내부 바닥과 연결되어 단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조 하우징(20)은 스테인리스강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샤프트(40)는 제조공간(21)에 위치하여 제조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조 하우징(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샤프트(40)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41a, 41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40)의 일단은 베어링 하우징(41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풀리가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40)는 반원형 제조 하우징(20)의 하부 중심을 형성한다.
구동부(50)는 모터(51)와 동력전달수단(52)을 포함하며 샤프트(40)를 회전시킨다.
모터(51)는 제조 하우징(20)의 아래에 위치하여 프레임부(10)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51)의 구동축(511)은 샤프트(40)의 일단과 일치하며 구동축(511)에는 풀리가 결합되어 있다.
동력전달수단(52)은 샤프트(40)와 구동축(511)의 풀리를 서로 연결하여 모터(51)의 동력이 샤프트(4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에 샤프트(40)는 베어링 하우징(41)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조부(60)는 배출 이송부재(62) 및 버무림부재(63a)를 포함하며 제조공간(21)으로 투입된 야채와 소를 버무린다. 제조부(60)는 지지대(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이송부재(62)는 피치(62p)가 200mm 내지 230mm인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샤프트(4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샤프트(40)의 회전으로 배출 이송부재(62)는 제조공간(21)의 야채와 소를 일측에서 김치 배출홀(22)이 형성된 타측 방향으로 이송(밀어냄)한다. 피치(62p)가 200mm 미만이면 배출 이송부재(62)의 피치공간 증가로 야채와 소의 이송이 느려 진다. 이에 야채와 소의 투입대비 배출이 원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야채와 소가 제조공간(21)에 쌓이게 되면서 야채와 소의 버무려짐이 낮아진다. 그러나 피치(62p)가 230mm를 초과할 경우 야채와 소의 이송이 빨라져 제조공간(21)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 야채와 소의 버무림이 낮아진다.
배출 이송부재(62)의 내측은 샤프트(40)와 떨어져 지지대(61)로 연결되어 있다. 지지대(61)에 의해 배출 이송부재(62)는 샤프트(40)를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지지대(61)는 샤프트(40)와 배출 이송부재(62)를 연결하여 배출 이송부재(62)가 샤프트(4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대(61)는 지지부싱(611), 고정수단(612) 및 지지바(613)를 포함한다.
지지부싱(611)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샤프트(40)가 관통하고 있다. 지지부싱(611)은 샤프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지지부싱(611)에는 상하 관통된 체결홀(611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수단(612)은 볼트 따위를 포함하며 체결홀(611a)에 체결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샤프트(40)의 외부 둘레와 접하고 있다. 이에 지지부싱(611)은 고정수단(61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하지만, 고정수단(612)의 단부가 샤프트(40)의 외부 둘레와 접하지 않는 경우 지지부싱(611)은 샤프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지지바(61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단은 지지부싱(611)과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배출 이송부재(62)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대(61)는 샤프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배출 이송부재(62)를 균형 있고 안정적으로 샤프트(40)와 연결한다. 그리고 움직임 가능한 지지부싱(611)에 의해 배출 이송부재(62)는 샤프트(40)의 범위 내에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61)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 이송부재(62)의 내측이 샤프트(4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배출 이송부재(62)의 외측은 제조공간(21)의 둘레와 떨어져 있다. 배출 이송부재(62)와 제조공간(21)의 둘레 사이 간격은 1mm 내지 5mm일 수 있다. 간격이 1mm 미만인 경우 야채 또는 소가 배출 이송부재(62)와 제조공간(21)의 둘레 사이에 끼여 배출 이송부재(62)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다. 이와 반대로 간격이 5mm를 초과하는 경우 야채와 소의 이송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배출 이송부재(62)가 제조공간(21)의 둘레와 접하지 않으므로 마찰에 의한 마모 및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배출 이송부재(62)의 폭(62w)은 50mm 내지 80mm일 수 있고, 두께(62t)는 2mm 내지 5mm일 수 있다. 폭(62w)이 50mm 미만인 경우 제조공간(21)의 야채와 소를 김치 배출홀(22)의 방향으로 밀어낼 수 없으며, 폭(62w)이 80mm를 초과할 경우 야채와 소의 이송 효율은 향상되나 배출 이송부재(62)의 중량 및 제조비용이 상승한다. 배출 이송부재(62)의 단면 모양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면서 야채와 소의 이송 효율이 단면 모양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보다 우수하다.
버무림부재(63a)는 샤프트(40)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샤프트(40)와 떨어져 배출 이송부재(62)의 피치공간(PS)마다 배치되어 있다. 버무림부재(63a)는 샤프트(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면 도 2 내지 도 5에서 버무림부재(63a)가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2개 도시하였으나, 버무림부재(63a)의 개수는 배출 이송부재(62)의 피치지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버무림부재(63a)의 양단은 배출 이송부재(62)와 결합되어 있으며 배출 이송부재(62)와 직각을 이루고 있다. 버무림부재(63a)의 외측은 제조공간(21)의 둘레와 떨어져 있다. 버무림부재(63a)의 단면 형상, 폭 및 두께는 배출 이송부재(62)의 단면 형상, 폭 및 두께와 동일하다. 하지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무림부재(63a)의 두께는 배출 이송부재(62)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고 폭은 배출 이송부재(62)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 이송부재(62)를 따라 움직이는 버무림부재(63a)가 샤프트(40)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배출 이송부재(62)에 의해 이송되는 야채와 소를 들어 제조공간(21)의 바닥에서 들어올린다. 이때 버무림부재(63a)가 샤프트(40)보다 위에 위치하면 버무림부재(63a)에 의해 들어올려진 야채와 소는 버무림부재(63a)에서 미끄러져 제조공간(21)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야채와 소는 배출 이송부재(62)가 이송되면서 버무림부재(63a)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떨어짐이 반복되면서 제조공간(21)으로 투입된 야채와 소는 버무려져 김치가 제조된다. 김치는 배출 이송부재(62)의 이송으로 김치 배출홀(22)을 통해 제조 하우징(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제조부(60)는 제조 하우징(20)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제조장치(2)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을 그대로 포함한다. 다만 제조부(60)의 버무림부재(63b)는 제조부(60) 작동 시 배출 이송부재(62)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김치 제조 완료 후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무림부재(63b)는 버무림플레이트(631), 연결로드(632) 및 고정부재(633)를 포함한다.
버무림플레이트(63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배출 이송부재(62)의 피치공간(PS) 마다 배치되어 제조공간(21)의 바닥에 위치한 야채와 소를 들어올린다.
연결로드(632)는 배출 이송부재(62)를 관통하여 이웃한 버무림플레이트(631)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로드(632)는 배출 이송부재(62)에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부재(633)는 버무림플레이트(63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고정부재(633)는 고정부싱(633a), 그리고 고정핀(633b)을 포함한다.
고정부싱(633a)은 배출 이송부재(6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로드(632)가 삽입되어 있다.
고정핀(633b)은 고정부싱(633a)과 연결로드(632)를 관통한다. 고정핀(633b)은 연결로드(632)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부싱(633a)에 고정한다. 그러나 고정핀(633b)이 제거되면 연결로드(632)는 회전할 수 있고 이때 버무림플레이트(631)는 피치공간(PS)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김치 제조 시 고정핀(633b)은 고정부싱(633a)에 결합되어 연결로드(632)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연결로드(632)의 고정으로 버무림플레이트(631)는 회전되지 않으며 야채와 소를 들어올린다.
한편, 들어올려진 야채가 버무림플레이트(631)에 걸려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야채는 제조공간(21)에서 배출되지 않는다. 이에 김치 제조 완료 후 고정핀(633b)을 고정부싱(633a)에서 분리하여 연결로드(632)의 고정을 해제한다. 버무림플레이트(631)를 흔들면 연결로드(632)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때 버무림플레이트(631)에 걸린 야채는 털리어 제조공간(21)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버무림플레이트(631)에 걸린 야채를 하나하나 제거하지 않고 흔들어서 떨어지게 하므로 버무림플레이트(631)에 걸린 야채 제거에 따른 작업자의 작성이 향상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김치제조장치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구동부(50)의 동력에 의해 샤프트(40)가 제조공간(21)에서 회전하고, 샤프트(40)에 의해 배출 이송부재(62), 버무림부재(63a)가 제조공간(21)에서 샤프트(40)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김치를 제조할 야채와 소 투입부(30)를 통해 소를 제조공간(21)의 일측으로 투입한다. 야채와 소는 제조공간(21)의 바닥으로 떨어진다. 배출 이송부재(62)는 제조공간(21)의 일측에서 야채와 소를 김치 배출홀(22)이 형성된 타측으로 이송한다. 버무림부재(63a)는 이송되는 야채와 소를 제조공간(21)의 바닥에서 들어 올린다. 버무림부재(63a)에 올려진 야채와 소는 버무림부재(63a)가 샤프트(40)보다 위에 위치하면 버무림부재(63a)에 미끄러져 제조공간(21)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제조공간(21)의 일측으로 투입된 야채와 소가 배출 이송부재(62)에 의해 이송되면서 버무림부재(63a)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떨어짐을 반복하게 되면서 야채와 소가 제조공간(21)에서 버무려지게 된다. 제조공간(21)의 타측으로 이송된 야채와 소는 김치 배출홀(22)을 통해 제조 하우징(20)의 외부로 배출되어 김치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공간(21)으로 투입된 야채와 소가 제조부(60)에 의해 제조공간(21)에서 이송되면서 자동으로 버무려지게 되어 김치 제조에 따른 노동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김치제조장치 10: 프레임부
20: 제조 하우징 21: 제조공간
22: 김치 배출홀 30: 소 투입부
31: 소 배출홀 40: 샤프트
41a, 41b: 베어링 하우징 50: 구동부
51: 모터 511: 구동축
52: 동력전달수단 60: 제조부
61: 지지대 611: 지지부싱
611a: 체결홀 612: 고정수단
613: 지지바 62: 배출 이송부재
62w: 폭 62t: 두께
62p: 피치 PS: 피치공간
63a, 63b: 버무림부재 631: 버무림플레이트
632: 연결로드 633: 고정부재
633a: 고정부싱 633b: 고정핀

Claims (11)

  1. 야채와 소가 투입될 수 있는 제조공간과 제조된 김치가 배출되는 김치 배출홀을 가지는 제조 하우징,
    상기 제조공간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제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복수의 지지대로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회전하여 야채와 소를 상기 김치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배출 이송부재와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야채와 소를 상기 제조공간의 바닥에서 들어올려 떨어뜨리는 버무림부재를 포함하는 제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각각
    상기 샤프트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싱,
    상기 지지부싱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접하는 고정수단 및
    일단이 상기 지지부싱과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결합된 지지바
    를 포함하는
    김치제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조부의 배출 이송부재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버무림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송되는 상기 야채와 상기 소는 들어올려지고 떨어짐이 반복되면서 버무려져 상기 제조공간에서 배출되는
    김치제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상기 버무림부재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인 김치제조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상기 버무림부재는 50mm 내지 80mm의 폭과 2mm 내지 5mm의 두께로 이루어진 김치제조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배출 이송부재의 피치는 200mm 내지 230mm인 김치제조장치.
  6. 야채와 소가 투입될 수 있는 제조공간과 제조된 김치가 배출되는 김치 배출홀을 가지는 제조 하우징,
    상기 제조공간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제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샤프트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회전하여 야채와 소를 상기 김치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배출 이송부재와 상기 배출 이송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야채와 소를 상기 제조공간의 바닥에서 들어올려 떨어뜨리는 버무림부재를 포함하는 제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버무림부재는
    상기 배출 이송부재의 피치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버무림플레이트,
    상기 배출 이송부재를 관통하여 이웃한 상기 버무림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있고 회전할 수 있는 연결로드 및
    상기 배출 이송부재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 해제로 상기 버무림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로드를 축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버무림플레이트의 회전으로 상기 버무림플레이트에 걸린 야채는 털리어 상기 제조공간의 바닥으로 떨어지며, 상기 김치 배출홀의 둘레 일부분은 상기 제조공간의 바닥과 연결되어 있는
    김치제조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배출 이송부재, 상기 버무림부재는 상기 제조공간의 둘레와 1mm 내지 5mm 이격되어 있는 김치제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서,
    상기 제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조공간으로 소를 투입시키는 소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김치제조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제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김치제조장치.
KR1020200027768A 2020-03-05 2020-03-05 김치제조장치 KR102438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68A KR102438045B1 (ko) 2020-03-05 2020-03-05 김치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68A KR102438045B1 (ko) 2020-03-05 2020-03-05 김치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585A KR20210112585A (ko) 2021-09-15
KR102438045B1 true KR102438045B1 (ko) 2022-08-29

Family

ID=7779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768A KR102438045B1 (ko) 2020-03-05 2020-03-05 김치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407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우리집식품 김치 배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985B1 (ko) * 2018-01-22 2018-10-24 타프기계공업(주) 김치 양념 혼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40B1 (ko) * 2009-05-14 2011-05-27 김종영 2단식 전열 볶음장치
KR101479119B1 (ko) 2012-09-19 2015-01-07 태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추김치 제조 장치
KR101623069B1 (ko) 2014-07-28 2016-05-23 한국식품연구원 배추김치 양념소넣기 장치
KR102064061B1 (ko) * 2018-03-28 2020-01-08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양념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985B1 (ko) * 2018-01-22 2018-10-24 타프기계공업(주) 김치 양념 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585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39130A (en) Method of slicing food products
KR102438045B1 (ko) 김치제조장치
US2209340A (en) Automatic feeding device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US3022646A (en) Machine for continuous cooling of giblets
KR20220009824A (ko)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KR200491141Y1 (ko) 근채류 절단장치
KR102387801B1 (ko) 대파 절단장치
KR101739237B1 (ko) 물결무늬 감자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감자절단장치
US2186767A (en) Doughnut-making machine
KR101712196B1 (ko) 오이피클 절단장치
KR101803913B1 (ko) 근채류 절단장치
US641725A (en) Cracker or biscuit machine.
CN210006132U (zh) 自动售面机及其餐盒转运出餐装置
KR200274715Y1 (ko) 육류 세절기
KR200243902Y1 (ko) 식품 세단기
KR20100035514A (ko) 식재료 절단 장치
CN220765907U (zh) 一种组合式大米加工输送装置
KR200326135Y1 (ko) 육류 세절기
KR200203287Y1 (ko) 오징어 세절장치
CN216334628U (zh) 一种易清洁肉类提升机
CN211120525U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烘干设备
CN210584567U (zh) 一种宠物饲料生产用混合装置
CN214113876U (zh) 饼干生产用导向传输装置
CN216347515U (zh) 一种中药饮片用高效快速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