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740B1 - 2단식 전열 볶음장치 - Google Patents

2단식 전열 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740B1
KR101037740B1 KR1020090042135A KR20090042135A KR101037740B1 KR 101037740 B1 KR101037740 B1 KR 101037740B1 KR 1020090042135 A KR1020090042135 A KR 1020090042135A KR 20090042135 A KR20090042135 A KR 20090042135A KR 101037740 B1 KR101037740 B1 KR 10103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drying
unit
main body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102A (ko
Inventor
김승환
김종영
Original Assignee
김종영
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영, 김승환 filed Critical 김종영
Priority to KR102009004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74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between a single screw and gui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식 전열 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다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깨와 같은 곡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호퍼(2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평하게 상하 배치된 건조부(30)와 볶음부(4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건조부 및 볶음부는 중공된 원통형 하우징 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샤프트(32) 상에 이송스크류(33)가 마련된 곡물을 이송시키면서 히터(34)를 통해서 가열 건조 및 볶음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볶음부(40)의 일단에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볶음부(40)의 회전샤프트(42) 일단에 직결 구조로 동력모터(50)가 연결되고, 건조부(30)와 볶음부(40)에서 건조 및 볶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부(30) 및 볶음부(40)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배기공(36,46)과 연계되어 본체(10) 외부로 돌출 연장된 배기연통(61,62)으로 이루어진 배기부(60)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Figure R1020090042135
볶음장치, 깨, 건조, 볶음, 건조부, 볶음부, 배기부, 히터, 이송스크류

Description

2단식 전열 볶음장치{Two Stage Type Heat Exchanger Ro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2단식 전열 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단식으로 건조 및 볶음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카트리지 봉 타입의 히터를 사용함과 아울러 직결식 동력 연결을 통해서 동력전달이 우수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2단식 전열 볶음장치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복수개의 볶음장치를 병렬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대용량 볶음장치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2단식 전열 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참깨, 들깨와 같은 곡물을 착유하기 전에 볶으기 위한 볶음장치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다.
그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참깨 볶음장치는 몸체 상부 요입부에 볶음솥을 안착하고, 그 하부에 가스나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가열판을 형성하며, 볶음솥 중앙부에 설치한 임펠러와 이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임펠러 상단부에 구동축을 연결하고 구동축상에 감속기어 구동모터가 순차로 설치한 구성을 갖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종래의 참깨 볶음장치는 볶음솥의 상부가 늘 개방된 구조여서 먼지나 기타 이물질로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볶음장치는 한정된 발열면적과 다량의 식품 매개체에 의한 열전도율이 낮아 개체의 온도차가 증가하고 설정온도에 도달하는데 장시간 소요하여 열에 의한 향미증발 현상이 심하고, 특히, 향자체는 저분자 휘발성 물질이기 때문에 열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쉽게 휘발되어 완제품의 향미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초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볶음장치는 단순히 참깨, 들깨와 같은 곡물을 볶을 수만 있고, 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종래의 볶음장치는 볶으기 위한 깨의 공급과 볶은 깨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등 소규모 시설에 알맞고, 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여 번잡한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 대용량을 처리하는 식품공장 용도로 적당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개시된 볶음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볶음장치를 제공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2단식으로 건조 및 볶음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카트리지 봉 타입의 히터를 사용함과 아울러 직결식 동력 연결을 통해서 동력전달이 우수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2단식 전열 볶음장치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복수개의 볶음장치를 병렬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대용량 볶음장치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2단식 전열 볶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깨와 같은 곡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호퍼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공급호퍼와 연통되어 공급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회전샤프트에 배치된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키면서 히터를 통해서 가열 건조시킬 수 있는 중공된 하우징 구조를 갖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 하단에 수평 배치되어 건조부에서 건조된 곡물을 이송받을 수 있게 수직 연통되는 연결구를 갖추고 상기 건조부의 회전샤프트 일단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건조부에서 이송된 곡물을 회전샤프트에 배치된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키면서 히터를 통해서 볶아 줄 수 있는 중공된 하우징 구조를 갖는 볶음부와; 상기 볶음부의 일단에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볶음부의 회전샤프트 일단에 연결된 동력모터와; 상기 건조부 및 볶음부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배기공과 연계되어 건조부와 볶음부에서 건조 및 볶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 외부로 돌출 연장된 배기연통으로 이루어진 배기부와; 상기 동력모터 및 히터의 작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조건을 설정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2단식 전열 볶음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 및 볶음부를 세트화시켜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세트화된 복수개의 장치를 병렬로 연결 배치함에 따라 대용량 볶음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병렬로 연결 배치된 복수개의 장치를 포괄하는 본체 상부에는 각각 공급 호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볶음부의 이송스크류에서는 이송스크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복수개의 교반팁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건조부의 이송스크류에서는 곡물이 공급되어 이송되기 시작하는 이송스크류의 시작지점부터 중간지점(A구간)까지는 교반팁이 배치되지 않고 이송스크류의 중간지점부터 끝단지점(B구간)까지만 교반팁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부 및 볶음부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배기공과 연계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일측면에 다수의 점검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 및 볶음부에 설치되는 히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 따라 둥글게 일정간격을 두고 마련된 설치공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봉 타입의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모터는 볶음부의 회전샤프트 일단에 직결 구조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배기연통에는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하기 위해서 배기연통 상에서 단턱 구조를 갖는 응축수배출구가 마련되고, 이 응축수배출구에 배기연통과는 별도로 응축수배출파이프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내부에 건조부와 볶음부를 상하 수평하게 2단식 배치함으로써, 곡물을 건조 및 볶음을 일괄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조부 및 볶음부를 세트화(블록화)시켜 세트화된 건조부와 볶음부를 병렬로 연결 배치함으로써, 대용량 볶음장치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건조부 및 볶음부에 사용하는 히터를 카트리지 봉 타입의 히터를 사용하여 건조부 및 볶음부의 하우징에 마련된 설치공에 간편하게 꽂아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히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미세한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상기 건조부 및 볶음부에 마련된 배기공과 연계하여 본체의 상면 및 일측면에 다수의 점검구를 구비함으로써, 배기공 청소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모터가 볶음부의 회전샤프트에 직결구조로 연결됨으로써, 동력 전달이 우수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불어, 건조 및 볶음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 및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배기연통 상에 별도로 응축수를 모아서 배출할 수 있는 응축수배출구 및 응축수배출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응축수에 흡착되어 별도 처리됨에 따라 대기 중으로 벤조필렌과 같은 발암물질이 그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외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 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 방향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건조부에 배치된 회전샤프트 및 이송스크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볶음부에 배치된 회전샤프트 및 이송스크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배기연통에 마련된 응축수 배출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건조부 및 볶음부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병렬로 연결 배치함으로써, 대용량 볶음장치로 구성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육면체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깨와 같은 곡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호퍼(2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상하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호 연통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참깨와 같은 곡물의 건조 및 볶음 공정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건조부(30)와 볶음부(40)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30)와 볶음부(40)는 동일한 형상 구조를 갖고 있는 바, 상기 건조부(30)는 본체(10) 내부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공급호퍼(20)와 연통되어 공급호퍼(2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스크류(33)로 이송시키면서 히터(34)를 통해서 가열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볶음부(40)는 건조부(30) 하단에 수평 배치되어 건조부(30)에서 건조된 곡물을 이송받아 이송스크류(43)로 이송시키면서 히터(44)를 통해서 볶아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건조부(30) 및 볶음부(40)는 각각 중공된 원통형 하우징(31,41) 내에 이송스크류(33,43)를 갖춘 회전샤프트(32,42)가 하우징(31,4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샤프트(32,42)의 양단이 각각 본체(10)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상기 하우징(31,41)과 회전샤프트(32,42)는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샤프트(32,42)가 회전 가능하게 본체(10)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1,41)에 대해서 상기 회전샤프트(32,42)가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31,41)의 양측면의 중심부에는 관통공(미도시)이 마련되며, 이 관통공들에는 베어링(미도시)가 끼워져 있으며, 이 베어링에 상기 회전샤프트(32,42)가 끼워져 상기 회전샤프트(32,42)가 하우징(31,41)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동력모터(50)의 회전 및 구동체인을 통한 상호 연결에 의하여 회전샤프트(32,42)는 각각 회전을 하지만 상기 하우징(31,41)은 베어링 때문에 회전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33,43)는 하우징(31,4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크기 로 성형하여 회전샤프트(32,42)에 접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상기 건조부(30)의 하우징(31) 입구측의 공급호퍼(20)를 통해서 공급된 곡물이 상기 회전샤프트(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스크류(33)를 타고 이송되어 상기 하우징(31)의 출구측으로 유동되고, 이렇게 유동된 곡물은 후술하는 연결구(35)를 통해 볶음부(40)로 이송되고, 이에 따라 곡물은 볶음부(40)에서 이송스크류(43)에 의해 이송되면서 볶아진 후, 곡물은 볶음부(40) 일측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직 연통된 배출구(4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회전샤프트(42)는 상기 동력모터(50)와 직결 구조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33,43)와 근접한 중공된 원통형 하우징(31,41)의 내벽에는 카트리지 봉 타입을 갖는 다수의 히터(34,44)가 일정 간격을 두고 둥글게 배치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10)의 내벽에 마련된 히터(34,44)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도시안됨)가 설치되어 온도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 봉 타입의 히터(34,44)의 하우징(31,41)의 좌우 측을 통해 하우징(31,41) 내벽에 마련된 설치공 상에 꽂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관계로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좌우 분리된 히터(34,44)를 통해서 구간별로 미세한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볶음부(40)는 상기 건조부(30)에서 건조된 곡물을 이송받을 수 있도록 연결구(35)를 통해서 건조부(30)와 수직 연통되고, 상기 건조부(30)의 회전 샤프트(32) 일단과 볶음부(40)의 회전샤프트(42) 일단이 상호 구동체인(51)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체인(51)이 연결되지 않은 볶음부(40)의 회전샤프트(42) 타단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50)가 본체(10)의 외부에서 직결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동력모터(50)를 볶음부(40)의 회전샤프트(42)에 직결 구조로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면, 종래 구동벨트를 통해 병렬 연결하는 동력전달 방식에 비해서 동력전달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30)의 이송스크류(33) 및 볶음부(40)의 이송스크류(43)에는 교반팁(37,47)이 45°~ 90°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3,43)를 통해서 곡물을 이송하여 각각 건조 및 볶음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교반팁(37,47)이 곡물을 교반시켜 줌으로써, 보다 고르게 곡물을 가열 건조하거나 볶음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30)의 경우에는 곡물이 공급되어 이송되기 시작하는 이송스크류(33)의 시작지점부터 중간지점(A구간)까지는 교반팁(37)이 배치되지 않고, 이송스크류(33)의 중간지점부터 끝단지점(B구간)까지만 교반팁(37)이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볶음부(40)의 경우에는 이송스크류(43)의 시작지점부터 중간지점(C구간)까지 교반팁(47)이 90°간격으로 배치되고, 이송스크류의 중간지점부터 끝단지점까지 교반 팁(47)이 45°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바, 상기 볶음부(40)의 경우에는 교반팁의 설치 개수에 차이가 있을 뿐 이송스크류(43) 전체에 걸쳐 교반팁(47)이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건조부(30)의 이송스크류(33) 전체에 교반팁(37)을 배치하지 않고 중간지점부터 끝단지점(B구간)까지만 교반팁(37)을 배치하는 이유는, 곡물이 공급되어 이송되기 시작하는 시작지점부터 중간지점(A구간)까지는 건조 초기라서 깨와 같은 곡물에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상태로 이송스크류(33)와 곡물 사이에 온도차가 건조 후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곡물을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킬 경우 이송스크류(33)에 곡물이 달라 붙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건조부(30)에서 건조 초기에는 이송스크류(33)를 통해서 곡물을 이송만 하고, 곡물을 교반시키는 과정을 없앰으로써, 교반과정에서 이송스크류(33)에 곡물이 달라붙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원할한 이송을 통해 건조가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볶음부(40)의 경우에 있어서, 구간별로 교반팁(47)을 달리하여 후단 부위에서 교반팁(47)을 45°간격으로 보다 조밀하게 배치하는 이유는, 볶음 완료시에는 보다 교반을 자주 시켜줌으로써, 곡물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건조부(30) 및 볶음부(40)에 건조 및 볶음 과정에서 배기가스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를 외부로 원할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건조부와 볶음부 의 하우징 상부에 각각 다수의 배기공(36,46)이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배기공(36,46)과 연계되어 본체(10) 외부로 돌출 연장된 배기연통(61,62)으로 이루어진 배기부(60)를 갖추고 있다.
즉, 상기 배기부(60)는 곡물의 건조 및 볶음 과정에서 증발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과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수분 및 배기가스가 배기연통(61,62)을 타고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기연통(61,62)의 끝단 부근에서 온도차로 인해 응축이 일어나 응축수(66)가 발생하게 되는 바, 상기 응축수(66)는 배기연통(61,62)을 타고 흘러내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연통(61,62) 상에 단턱 구조로 마련된 응축수배출구(63,64)에 모아진 상태로 응축수배출파이프(65)를 통해서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용기에 배출되어 처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66)는 곡물의 건조 및 볶음 과정에서 발생되는 벤조필렌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발암물질들을 흡착하여 유해물질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연통(61,62)이 설치된 본체(10)의 상면 및 일측면에는 별도의 점검구(12,13)가 마련되어 상기 배기공(36,46)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마련된 점검구(12)는 건조부(30)의 배기공(36) 청소를 위해 마련된 것이고, 본체(10)의 일측면에 마련된 점검구(13)는 볶음부(40)의 배기공(46) 청소를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때, 상기 건조부(30) 및 볶음부(40)의 하우징(31,41)을 감싸는 본체(10) 내벽에는 도시되지 않은 단열재가 삽입되게 되지만, 상기 점검구(12,13) 부위에는 단열재가 삽입되는 것이 제외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30) 및 볶음부(40)의 회전샤프트(32,42)가 본체(10) 외부로 연장 돌출되어 그 일단에서 구동체인(51)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타단 쪽은 동력모터가 직결 구조로 연결되는 바, 이렇게 노출된 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전방커버(11)를 통해 막아주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조건을 설정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반(70)을 구비함으로써, 전원 공급을 통한 상기 동력모터(50)의 작동 및 히터(34,44)의 온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상기에서 전술한 건조부(30) 및 볶음부(40)를 세트화(블록화)시켜 하나의 장치로 구성한 상태에서, 블록화된 장치를 측면에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볶음장치로 조립 구성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록화된 건조부(30) 및 볶음부(40)의 구동을 위해 동력모터(50)는 하나만 사용되고, 좌우측에 배치되는 건조부(30) 및 볶음부(40)는 공지의 동력전달방식인 체인구동방식으로 상호 연결하여 구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외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 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건조부에 배치된 회전샤프트 및 이송스크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볶음부에 배치된 회전샤프트 및 이송스크류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단식 전열 볶음장치의 배기연통에 마련된 응축수 배출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건조부 및 볶음부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병렬로 연결 배치함에 따라 대용량 볶음장치로 구성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전방커버
12, 13 : 점검구 20 : 공급호퍼
30 : 건조부 31, 41 : 하우징
32, 42 : 회전샤프트 33, 43 : 이송스크류
34, 44 : 히터 35 : 연결구
36, 46 : 배기공 37, 47 : 교반팁
40 : 볶음부 45 : 배출구
50 : 동력모터 51 : 구동체인
60 : 배기부 61 : 건조부배기연통
62 : 볶음부배기연통 63,64 : 응축수배출구
65 : 응축수배출파이프 70 : 제어반

Claims (7)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깨와 같은 곡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호퍼(2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공급호퍼(20)와 연통되어 공급호퍼(2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회전샤프트(32)에 배치된 이송스크류(33)로 이송시키면서 히터(34)를 통해서 가열 건조시킬 수 있는 중공된 하우징(31) 구조를 갖는 건조부(30)와;
    상기 건조부(30) 하단에 수평 배치되어 건조부(30)에서 건조된 곡물을 이송받을 수 있게 수직 연통되는 연결구(35)를 갖추고 상기 건조부(30)의 회전샤프트(32) 일단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건조부(30)에서 이송된 곡물을 회전샤프트(42)에 배치된 이송스크류(43)로 이송시키면서 히터(44)를 통해서 볶아 줄 수 있는 중공된 하우징(41) 구조를 갖는 볶음부(40)와;
    상기 볶음부(40)의 일단에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볶음부(40)의 회전샤프트(42) 일단에 연결된 동력모터(50)와;
    상기 건조부(30) 및 볶음부(40)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배기공(36,46)과 연계되어 건조부(30)와 볶음부(40)에서 건조 및 볶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10) 외부로 돌출 연장된 배기연통(61,62)으로 이루어진 배기부(60)와;
    상기 동력모터(50) 및 히터(34,44)의 작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조건을 설정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반(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전열 볶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30) 및 볶음부(40)를 세트화시켜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세트화된 복수개의 장치를 병렬로 연결 배치함에 따라 대용량 볶음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병렬로 연결 배치된 복수개의 장치를 포괄하는 본체(10) 상부에는 각각 공급호퍼(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전열 볶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볶음부(40)의 이송스크류(43)에서는 이송스크류(43)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복수개의 교반팁(47)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건조부(30)의 이송스크류(33)에서는 곡물이 공급되어 이송되기 시작하는 이송스크류(33)의 시작지점부터 중간지점(A구간)까지는 교반팁(37)이 배치되지 않고 이송스크류(33)의 중간지점부터 끝단지점(B구간)까지만 교반팁(37)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전열 볶음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30) 및 볶음부(40)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배기공(36,46)과 연계 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 및 일측면에 다수의 점검구(12,1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전열 볶음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30) 및 볶음부(40)에 설치되는 히터(34,44)는 상기 하우징(31,41)의 내벽 따라 둥글게 일정간격을 두고 마련된 설치공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봉 타입의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전열 볶음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모터(50)는 볶음부(40)의 회전샤프트(42) 일단에 직결 구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전열 볶음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연통(61,62)에는 응축수(66)를 모아서 배출하기 위해서 배기연통(61,62) 상에서 단턱 구조를 갖는 응축수배출구(63,64)가 마련되고, 이 응축수배출구(63,64)에 배기연통(61,62)과는 별도로 응축수배출파이프(65)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식 전열 볶음장치.
KR1020090042135A 2009-05-14 2009-05-14 2단식 전열 볶음장치 KR101037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135A KR101037740B1 (ko) 2009-05-14 2009-05-14 2단식 전열 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135A KR101037740B1 (ko) 2009-05-14 2009-05-14 2단식 전열 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102A KR20100123102A (ko) 2010-11-24
KR101037740B1 true KR101037740B1 (ko) 2011-05-27

Family

ID=4340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135A KR101037740B1 (ko) 2009-05-14 2009-05-14 2단식 전열 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63B1 (ko) * 2016-06-09 2017-03-21 남승화 볶음장치를 구비한 열풍식 고추 건조장치
KR200494929Y1 (ko) * 2021-03-30 2022-02-08 김화순 화식사료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02B1 (ko) * 2013-04-25 2014-12-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르메 곡물의 가공장치
CN104041921B (zh) * 2014-06-30 2015-12-30 滕兆海 一种节能松子开口设备及其使用方法
CN108433140B (zh) * 2018-04-14 2023-09-29 东莞兴风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干果炒货机
KR102438045B1 (ko) * 2020-03-05 2022-08-29 임홍균 김치제조장치
KR102299664B1 (ko) * 2021-02-02 2021-09-07 남도식품 유한회사 깨 볶음 장치
CN116671646B (zh) * 2023-05-23 2024-04-26 丽水市森林资源保护管理总站 一种香榧干果加工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611A (ko) * 1992-10-09 1994-05-16 홍기상 건조, 볶음장치가 구비된 착유기
KR20030065586A (ko) * 2000-12-29 2003-08-06 에스티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에스.에이. 펄스 쌍안정 양방향 전자 스위치
KR200365586Y1 (ko) 2004-07-22 2004-10-22 강신탁 자동 연속 볶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611A (ko) * 1992-10-09 1994-05-16 홍기상 건조, 볶음장치가 구비된 착유기
KR20030065586A (ko) * 2000-12-29 2003-08-06 에스티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에스.에이. 펄스 쌍안정 양방향 전자 스위치
KR200365586Y1 (ko) 2004-07-22 2004-10-22 강신탁 자동 연속 볶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63B1 (ko) * 2016-06-09 2017-03-21 남승화 볶음장치를 구비한 열풍식 고추 건조장치
KR200494929Y1 (ko) * 2021-03-30 2022-02-08 김화순 화식사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102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740B1 (ko) 2단식 전열 볶음장치
JP5400828B2 (ja) 乾燥装置
US8495954B2 (en) Equipment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edible seeds in general
CN106574819B (zh) 用于烹饪和干燥有机材料的装置
CN201269687Y (zh) 小麦、稻谷烘干机
KR20160135385A (ko) 회전식 곡물 건조 및 볶음 장치
KR101236331B1 (ko) 건조장치
CN110537572A (zh) 一种食品加工干燥处理装置
JP4387279B2 (ja) 過熱蒸気処理装置
CN207987010U (zh) 一种高含水率污泥干化机
CN216018890U (zh) 一种茶叶翻炒干燥设备
CN108835142A (zh) 一种方便取料的油炸设备
CN210097795U (zh) 一种动物营养粮食用破碎装置
CN210718468U (zh) 一种农产品热风干燥装置
CN112790409A (zh) 一种用于脱水蔬菜加工的脱水干燥组件
KR101253999B1 (ko) 건조장치
TWM344743U (en) Coffee bean baking machine
CN220624741U (zh) 一种药品存放干燥处理装置
CN217743089U (zh) 宠物食料烹饪设备
CN219735909U (zh) 一种富硒蛋白粉干燥装置
CN220417967U (zh) 一种米粉加工的大米清洗烘干装置
CN219099688U (zh) 一种纸浆干燥设备
CN218185105U (zh) 炒货烘干机
RU5239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семян масличных культур, жаровн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охлаждения неочищенных семян после жарения
CN210197971U (zh) 一种用于降脂减肥养生茶的制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