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702B1 - 곡물의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의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702B1
KR101469702B1 KR1020130046026A KR20130046026A KR101469702B1 KR 101469702 B1 KR101469702 B1 KR 101469702B1 KR 1020130046026 A KR1020130046026 A KR 1020130046026A KR 20130046026 A KR20130046026 A KR 20130046026A KR 101469702 B1 KR101469702 B1 KR 101469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brush
screw
cover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555A (ko
Inventor
문점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르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르메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르메
Priority to KR102013004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70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1)와, 상기 호퍼(1)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혼합이송스크류(10)가 내장된 원통형의 커버와, 상기 원통형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히팅선(5)과 상부에 다수개의 온도센서(6)가 구비된 단열재(4)와, 상기 혼합이송스크류(10)의 후면에 설치된 감속기(3) 및 모터(2)와, 상기 단열재(4)의 후면에 설치되며 단열재(4)보다 직경이 길고, 내부에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 및 걸름원통판(35)가 내장된 스크린부커버(30)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수집구(5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후면에 설치된 송풍기(4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배출구(51)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후면에 설치된 가공곡물배출구(60)로 구성된 곡물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의 가공장치 {Grain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현대인의 주요 성인병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식생활 습관에서 비롯되는 영양학적인 불균형을 개선하고자 현대인들의 영양학적 균형을 잡곡섭취를 권장하고 있으나 현미, 현미찹쌀, 흑미, 찰흑미, 수수, 율무, 차조, 기장, 옥수수 등 곡물의 거친 식감과 소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남녀노소 쉽게 섭취하기 힘든 점을 개선하기 위해 만든 곡물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옛 선조들은 먹을거리가 부족하여 백미에 잡곡을 섞어 주식으로 먹거나 잡곡이 주된 식단이었으나 경제성장을 이룩한 이후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벼의 생산량이 늘어나며 먹기 쉽고 편리한 백미로만 식사를 하게 되고 이러한 음식문화가 보편화되었다.
이런 식습관은 영양의 불균형을 나타내고 현미의 유용한 영양성분을 다 깎아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성분들은 섭취하지 못하고 단백질과 탄수화물로만 이루어진 백미를 먹게 되며 비만과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을 유발하게 되었다.
이에 현대에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몸에 좋은 먹을거리를 찾기 위해 잡곡을 다시 찾기 시작했으며 특히 현미식 경우, 유용성이 각종 매체를 통해 대두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잡곡을 다시 찾기 시작했다. 현미는 백미에 비해 식이섬유나 필수 아미노산 및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백미에 비해 여러 도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원형 그대로를 섭취하기 때문에 자연 상태의 영양분을 흡수시킬 수 있다.
현미의 유용함에 비해 거친 식감과 밥 지어 먹을 때 물에 불려야하는 불편함, 소화가 어려운 점으로 인해 현미식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어, 현미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표면의 왁스성분이 수분 흡수를 저해하고 소화를 어렵게 하기 때문인데 이를 개선하고자 곡물을 가열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377400000(2011.05.23.)호에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깨와 같은 곡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호퍼(2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평하게 상하 배치된 건조부(30)와 볶음부(4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건조부 및 볶음부는 중공된 원통형 하우징 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샤프트(32) 상에 혼합이송스크류(33)가 마련된 곡물을 이송시키면서 히터(34)를 통해서 가열 건조 및 볶음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2단식 전열 볶음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7326210000(2007.06.20.)호에는 반죽 덩어리 투입호퍼(10)의 하부에 제1이송스크류(21)가 내장되는 제1이송관(20)이 접속되고, 상기 제1이송관(20)의 하부 일측에는 제2이송스크류(31)가 내장되는 제2이송관(30)이 접속되며, 상기 제2이송관(30)의 선단에는 다수의 인출소공(41)이 형성된 인출캡(40)이 설치되고, 상기 인출캡(40)의 선단에 다이(50)에 지지되는 절단칼날(60)이 설치되어 투입호퍼(10)로 투입되는 곡물가루의 반죽 덩어리를 제1이송관(20) 제2이송관(30)의 제1이송스크류(21) 제2이송스크류(31)를 통해 인출캡(40) 선단으로 인출하여 절단칼날(60)을 통해 작은 입자상으로 잘라낼 수 있도록 하는 곡물성형기(100)에 있어서, 상기 곡물성형기(100)의 제2이송스크류(31)의 회전축(31a)이 육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육각형단면으로 형성된 회전축(31a)의 일측 입구측에는 산과 산 사이의 피치가 넓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관통되게 육각형의 결합공(31b')을 가지며 분할형성된 수개의 이송날개(31b)가 설치되며, 상기 육각형단면으로 형성된 회전축(31a)의 타측 출구측에는 산과 산 사이의 피치가 좁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관통되게 육각형의 결합공(31c')을 가지며 분할형성된 수개의 이송날개(31c)가 설치되고, 상기 출구측 이송날개(31c)와 입구측 이송날개(31b) 사이에는 내부에 육각형의 결합공(31d')을 가지며 분할 형성된 수개의 리드기어(31d)가 설치된 반죽성형기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62423호 주방용 착유기에 부착되며 이송스크류를 보유하는 깨볶음 장치에 있어서, 가열부재(1)가 이송스크류(9)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부재(1)는 상부의 확대공간부(1)와 저부의 전열히터(8)와 상부 일측의 가이드 호퍼(5)와 타측의 깨배출관(7)을 보유하며, 상기 이송 스크류(9)는 스크류측(10)의 일부에 깨의 이송핀(11)과 또한 일부에 깨공급핀(12)을 보유하며. 상기 공급핀(12)은 골의폭(12')이 상기 스크류축(10)의 골의폭(11')보다 좁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9)에 뒤섞기 부재(14)를 구성시킨 주방용 착유기의 깨볶음장치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377400000(2011.05.23.)호 2.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326210000(2007.06.20.)호 3.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62423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이 곡물을 가열하거나 볶는 장치로 곡물을 둘러싸고 있는 껍질표면의 왁스성분이 수분 흡수를 저해하고 소화를 어렵게 하기 때문인데 이를 개선하고자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잡곡 특성별로 열처리를 가해 각 곡물 껍질 표면의 왁스 성분을 제거해 식미감과 맛을 개선시키고 저장성이 용의하도록 열을 가하는 과정을 거치며 곡물의 섬유질이 부드러워져 거친 식감이 줄고 따로 물에 불릴 필요가 없으며 곡물 특유의 비린내를 현저히 없애줘 잡곡밥의 고소함과 맛을 충분히 살릴 수가 있으며, 개선된 식미감으로 인해 잡곡식에 거부감을 가진 어린아이들과 장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은 호퍼(1)와, 상기 호퍼(1)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혼합이송스크류(10)가 내장된 원통형의 커버와, 상기 원통형커버 내측에 설치된 히팅선(5)과, 상기 원통형커버와 내측의 단열재(4)를 관통하여 원통형커버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온도센서(6)와, 상기 원통형커버의 상기 원통형커버 내측에 설치된 단열재(4)와, 상기 혼합이송스크류(10)의 후면에 설치된 감속기(3) 및 모터(2)와, 상기 단열재(4)의 후면에 설치되며 단열재(4)보다 직경이 길고, 내부에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 및 걸름원통판(35)가 내장된 스크린부커버(30)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수집구(5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후면에 설치된 송풍기(4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배출구(51)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후면에 설치된 가공곡물배출구(60)로 구성된 곡물가공장치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결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잡곡 특성별로 열처리를 가해 각 곡물 껍질 표면의 왁스 성분을 제거해 식미감과 맛을 개선시키고 저장성이 용의하도록 열을 가하는 과정을 거치며 곡물의 섬유질이 부드러워져 거친 식감이 줄고 따로 물에 불릴 필요가 없으며 곡물 특유의 비린내를 현저히 없애줘 잡곡밥의 고소함과 맛을 충분히 살릴 수가 있으며, 개선된 식미감으로 인해 잡곡식에 거부감을 가진 어린아이들과 장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곡물 가공장치 상세도
도2 본 발명의 혼합이송스크류 상세도
도3 및 도4 본 발명의 스크린브러쉬패드 상세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퍼(1)와, 상기 호퍼(1)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혼합이송스크류(10)가 내장된 원통형의 커버와, 상기 원통형커버 내측에 설치된 히팅선(5)과, 상기 원통형커버와 내측의 단열재(4)를 관통하여 원통형커버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온도센서(6)와, 상기 원통형커버의 상기 원통형커버 내측에 설치된 단열재(4)와, 상기 혼합이송스크류(10)의 후면에 설치된 감속기(3) 및 모터(2)와, 상기 단열재(4)의 후면에 설치되며 단열재(4)보다 직경이 길고, 내부에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 및 걸름원통판(35)가 내장된 스크린부커버(30)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수집구(5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후면에 설치된 송풍기(4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배출구(51)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후면에 설치된 가공곡물배출구(60)로 구성된 곡물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 내부를 가열시키고, 혼합이송스크류(10)의 회전에 의해 전면으로 이송되는 곡물을 가열시키고,
곡물은 현미, 현미찹쌀, 흑미, 찰흑미, 수수, 율무, 차조, 기장, 옥수수 등이 사용되며, 쌀종류(미곡류)는 단열재 내부에서 120 에서 1분에서 2분사이 열처리 하고, 수수, 율무, 차조, 기장, 옥수수 등은 90 에서 1분에서 2분사이 열처리를 가한다.
본 발명의 혼합이송스크류(10)는 전면에 설치된 스크류전면부(11) 와, 상기 스크류전면부(11) 의 후면에 설치된 스크류후면부(12) 와, 상기 스크류후면부(12) 의 후면에 설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으로 구성되어,
이송과 교반에 의해 혼합을 하여, 껍질을 제거한 후, 가로10mm 세로 1.2mm의 타공이 뚫려 있는 걸름원통판(스크린망 역할)에 의해 껍질은 하부로 배출시키고, 가공된 곡물은 후면 하부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조를 개량하였다.
본 발명은 열처리를 가한 곡물의 경우 껍질의 왁스성분이 사라지고 피막이 갈라지면서 내부에 균열을 만들어 수분흡수가 용의하게 만들어 백미와 유사한 식감을 제공하면서 한층 영양이 높은 현미를 섭취할 수 있게 하였고,
장시간 씹어야만 삼킬 수 있는 일반 잡곡식과 달리 소화가 잘되고 물에 장시간 불릴 필요가 없어 간편한 조리과정을 제공하며 한번 열을 가해 고소한 향이 더욱 풍미를 내며,
열처리 과정에서 잡곡 표면에 형성된 숯과 유사한 기공이 생겨 소화과정에서 유독 물질을 흡착하여 위와 장을 소독하는 효과가 있도록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단열재내부를 가열하며 온도센서에 의해 온오프 또는 가열정도를 강하고 약하게 하는 히팅선의 작동 기술은 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며,
상기 원통형커버의 후면부에 설치된 스크린부커버(30) 내장된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 및 걸름원통판(35)가 회전되도록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의 끝단부가 하우징에 의해 연결된 스크린부커버(30)에 관한 기술 또한 당분야에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서술하지 않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정선, 선별한 곡물을 곡물저장탱크에서 곡물을 호퍼(1)에 투입하면
전원을 온시켜 모터(2)를 작동시키면, 모터(2)의 전면에 모터(2)와 연결설치된 감속기(3)와, 상기 감속기(3)에 연결된 혼합이송스크류(10)가 회전되며, 호퍼(1)의 하부에 설치된 단열재(4)의 내부에 설치된 혼합이송스크류(10)에 낙하되면,
상기 혼합이송스크류(10)은 전면에 설치된 스크류전면부(11) 와, 상기 스크류전면부(11) 의 후면에 설치된 스크류후면부(12) 와, 상기 스크류후면부(12) 의 후면에 설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으로 구성되어 있어,
곡물은 분당 200회 회전되는 혼합이송스크류(10)를 따라 전진되면서 이송 및 교반됨과 동시에
단열재 내부에 설치된 히팅선에 의해 120 로 1분에서 2분간 가열되면서,
(이때 온도센서(6)에 신호에 의해 세팅된 온도에 따라 히팅선(5)의 작동을 온오프 시켜 단열재내부온도를 조절한다)
곡물을 고르게 혼합해 가열처리시 일부 곡물의 껍질이 태워져 일부 재로 변하고, 끝단부 하부에 설치된 스크린커버부(30)에 도착하면 가열된 곡물의 껍질 및 껍질의 재가 가로10mm 세로 1.2mm의 타공이 뚫려 있는 걸름원통판(35)의 내부에 내장된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의 스크린브러쉬패드(21)가 회전하면서, 원통형 걸름원통판(35)의 통공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어 하부에 설치된 껍질수집구(50)에 수집되어 껍질배출구(51)로 배출되고 이때 껍질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껍질수집구(50)의 후면에 설치된 송풍기(40)에 의해 스크린커버부(30)로 송풍시켜 껍질의 배출을 가속시킴과 동시에 곡물의 혼합을 도와주며,
가공된 곡물은 스크린커버부(30)의 후면 하부에 설치된 가공곡물배출구(60)를 통해 배출시켜 곡물을 가공하였다.
그 이후 곡물의 껍질과 곡물의 껍질재는 별도로 수집하여 처리하고,
열처리 가공된 곡물은 냉각기로 이송된 후, 냉각과정을 거쳐 탱크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곡물가공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곡물 가공장치 상세도, 도2 본 발명의 혼합이송스크류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스크린망 상세도, 도4 본 발명의 스크린브러쉬패드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호퍼(1), 모터(2), 감속기(3), 단열재(4), 히팅선(5), 온도센서(6), 혼합이송스크류(10), 스크류전면부(11) , 스크류후면부(12) ,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 스크린브러쉬패드(21),스크린브러쉬보강부(22),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 스크린브러쉬보강대(22-10), 스크린부커버(30), 걸름원통판(35), 송풍기(40), 껍질수집구(50), 껍질배출구(51), 가공곡물배출구(6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설명하면 도 1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곡물가공장치는 호퍼(1)와, 상기 호퍼(1)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혼합이송스크류(10)가 내장되어 혼합이송스크류(10)가 회전되도록 구비된 원통형의 커버와, 상기 원통형커버 내측에 설치된 히팅선(5)과, 상기 원통형커버와 내측의 단열재(4)를 관통하여 원통형커버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온도센서(6)와, 상기 원통형커버의 상기 원통형커버 내측에 설치된 단열재(4)와, 상기 혼합이송스크류(10)의 후면에 설치된 감속기(3) 및 모터(2)와,
상기 원통형커버의 후면부이며, 단열재(4)의 후면에 설치되며 단열재(4)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스크린부커버(30)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내부에 설치된 걸름원통판(35)과,
상기 걸름원통판(35)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수집구(5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후면에 설치된 송풍기(4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배출구(51)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후면에 설치된 가공곡물배출구(60)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이송스크류(10)은 전면에 설치된 스크류전면부(11) 와, 상기 스크류전면부(11) 의 후면에 위치되는 스크류후면부(12) 와, 상기 스크류후면부(12) 의 후면에 위치되며 스크린패드부(20)가 연결설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커버(30)의 내부 중앙에 회전되는 혼합이송스크류(10)의 끝단부에 설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3개의 스크린브러쉬보강부(22)와,
상기 스크린브러쉬보강부(22)는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과,
상기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에 일측이 관통되며, 다른 일측은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의 중앙에 위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에 연결되며, 2개가 대칭으로 3쌍이 대칭으로 설치된 6개의 스크린브러쉬보강대(22-10)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을 관통한 스크린브러쉬보강부(22)의 6개의 스크린브러쉬보강대(22-10)를 횡으로 연결되며 스크린브러쉬패드지지대의 상부에 부착된 패드로 구비된 6개의 스크린브러쉬패드(21)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호퍼(1), 모터(2), 감속기(3), 단열재(4), 히팅선(5), 온도센서(6), 혼합이송스크류(10), 스크류전면부(11) , 스크류후면부(12) ,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 스크린브러쉬패드(21),스크린브러쉬보강부(22),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 스크린브러쉬보강대(22-10), 스크린부커버(30), 걸름원통판(35), 송풍기(40), 껍질수집구(50), 껍질배출구(51), 가공곡물배출구(60),

Claims (3)

  1. 곡물의 가공장치에 있어서,
    호퍼(1)와, 상기 호퍼(1)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혼합이송스크류(10)가 내장되어 혼합이송스크류(10)가 회전되도록 구비된 원통형의 커버와,
    상기 원통형커버 내측에 설치된 히팅선(5)과, 상기 원통형커버와 내측의 단열재(4)를 관통하여 원통형커버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온도센서(6)와, 상기 원통형커버의 상기 원통형커버 내측에 설치된 단열재(4)와, 상기 혼합이송스크류(10)의 후면에 설치된 감속기(3) 및 모터(2)와,
    상기 원통형커버의 후면부이며, 단열재(4)의 후면에 설치되며 단열재(4)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스크린부커버(30)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내부에 설치된 걸름원통판(35)과,
    상기 걸름원통판(35)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수집구(5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후면에 설치된 송풍기(40)와,
    상기 껍질수집구(50)의 하부에 설치된 껍질배출구(51)와,
    상기 스크린부커버(30)의 후면에 설치된 가공곡물배출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이송스크류(10)은 전면에 설치된 스크류전면부(11) 와, 상기 스크류전면부(11) 의 후면에 위치되는 스크류후면부(12) 와, 상기 스크류후면부(12) 의 후면에 위치되며 스크린패드부(20)가 연결설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가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브러쉬패드부(20)는 스크린부커버(30)의 내부 중앙에 회전되는 혼합이송스크류(10)의 끝단부에 설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3개의 스크린브러쉬보강부(22)와,
    상기 스크린브러쉬보강부(22)는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과,
    상기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에 일측이 관통되며, 다른 일측은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의 중앙에 위치된 스크린브러쉬패드축(13)에 연결되며, 2개가 대칭으로 3쌍이 대칭으로 설치된 6개의 스크린브러쉬보강대(22-10)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브러쉬보강환(22-1)을 관통한 스크린브러쉬보강부(22)의 6개의 스크린브러쉬보강대(22-10)를 횡으로 연결되며 스크린브러쉬패드지지대의 상부에 부착된 패드로 구비된 6개의 스크린브러쉬패드(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가공장치.
KR1020130046026A 2013-04-25 2013-04-25 곡물의 가공장치 KR10146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026A KR101469702B1 (ko) 2013-04-25 2013-04-25 곡물의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026A KR101469702B1 (ko) 2013-04-25 2013-04-25 곡물의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555A KR20140127555A (ko) 2014-11-04
KR101469702B1 true KR101469702B1 (ko) 2014-12-05

Family

ID=5245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026A KR101469702B1 (ko) 2013-04-25 2013-04-25 곡물의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7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210U (ko) * 2007-06-11 2008-12-16 최용태 곡립 볶음기
KR20100123102A (ko) * 2009-05-14 2010-11-24 김승환 2단식 전열 볶음장치
KR101040247B1 (ko) * 2010-09-14 2011-06-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르메 곡물의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1233019B1 (ko) * 2012-09-04 2013-02-13 정수연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210U (ko) * 2007-06-11 2008-12-16 최용태 곡립 볶음기
KR20100123102A (ko) * 2009-05-14 2010-11-24 김승환 2단식 전열 볶음장치
KR101040247B1 (ko) * 2010-09-14 2011-06-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르메 곡물의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1233019B1 (ko) * 2012-09-04 2013-02-13 정수연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555A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5807B (zh) 增加了功能性成分含量的谷物或豆科植物及其制造方法
US41049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egetable foodstuffs
JP2000325021A (ja) 糯米粉を利用した油菓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101088364A (zh) 一种复合米及其生产方法
CN101264459B (zh) 燕麦剥皮设备及剥皮方法
US4038433A (en) Method for processing soft vegetable foodstuffs into crumbs
KR101801282B1 (ko) 녹색 통곡물의 전처리 건조를 위한 회전식 건조장치
KR20040087812A (ko) 해산어류용 펠릿사료 제조장치
CN104941477B (zh) 螺旋式米通搅拌机
CN104705644B (zh) 马铃薯营养米及其制造方法
KR101574467B1 (ko) 화식 사료 제조기
US6516710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Masa flour from dry milled maize
KR101469702B1 (ko) 곡물의 가공장치
RU231942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юреобразных концентратов
CN102771727B (zh) 增加了功能性成分含量的豆科植物及其制造方法
US6060098A (en) Cereal cake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6108082B (zh) 一种效率高的宠物饲料搅拌装置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0821632B1 (ko) 산채찐빵 자동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산채찐빵 제조방법
KR101555346B1 (ko) 현미가공식품의 제조방법
CN112427075A (zh) 一种磨粉效果好的米粉加工用磨粉装置
CN207870253U (zh) 一种饲料设备打磨装置
CN212754196U (zh) 家用宠物饲料机
TW201501650A (zh) 全粒粉米粉之製造方法及以該製造方法得到之全粒粉米粉
KR20140114796A (ko) 우돈용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