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824A -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824A
KR20220009824A KR1020200088496A KR20200088496A KR20220009824A KR 20220009824 A KR20220009824 A KR 20220009824A KR 1020200088496 A KR1020200088496 A KR 1020200088496A KR 20200088496 A KR20200088496 A KR 20200088496A KR 20220009824 A KR20220009824 A KR 20220009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ing object
support
conveyo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진
최용운
최영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조산업
최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조산업, 최용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조산업
Priority to KR102020008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824A/ko
Publication of KR2022000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3Movable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carts, trolleys, pallet-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등 이송 물품을 자동으로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유출된 오염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 체인(10)과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스프로킷(30), 구동부(40),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되고,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는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물고기 등의 건조 대상물(90)이 올려지는 짧고 가는 바 형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양 단에 고정 나사(25)가 형성된 길고 가는 바 형태로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는 지지축(24)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CONVEYOR APPARATUS FOR DRYING}
본 발명은 건조용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 등 이송 물품을 자동으로 근적외선 및 송풍기를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유출된 오염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2122481호에서는, 종래 발명의 체인(300) 컨베이어는 좌우 한 쌍의 구동스프로킷(100) 및 종동스프로킷(200), 한 쌍의 구동스프로킷(100)과 종동스프로킷(200)을 각각 연결하는 체인(300), 체인(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좌우 양측에 축핀(410)이 구비되어 물품(M)을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송세그먼트(400), 이송세그먼트(400)에 놓인 물품(M)을 이송시키도록 구동스프로킷(10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구동스프로킷(100)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메인프레임(6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스프로킷(100)은 메인프레임(6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부(500)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메인프레임(600)은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스프로킷과 구동부(500) 등의 구성을 지지하고, 메인프레임(600)의 하부에는 서포트프레임(610)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트레이(700)가 설치되며, 트레이(700)에는 이송세그먼트(400)에서 낙하된 오염물이 모이게 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600)의 전방에는 세척노즐(800)이 설치되어 종동스프로킷(200)으로 이동하는 이송세그먼트(400)의 표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세척노즐(800)은 압축기(81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송세그먼트(400)의 표면으로 강하게 분사하여 트레이(700)로 낙하되지 않은 오염물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종동스프로킷(200)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메인프레임(6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스프로킷(200)은 메인프레임(60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스프로킷(1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300)에 의해 회전된다.
체인(300)은 구동스프로킷(100)과 종동스프로킷(200)을 연결하여 구동스프로킷([0027] 100)의 구동력을 종동스프로킷(200)으로 전달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송세그먼트(400)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이너 플레이트(310)와, 복수의 이너 플레이트(3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아웃터 플레이트(320) 및 양측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싱(330)을 포함한다.
복수의 이너 플레이트(310)는 이송세그먼트(4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아웃터 플레이트(320)는 부싱(330)에 의해 복수의 이너 플레이트(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부싱(330)의 내경에는 이송세그먼트(400)의 축핀(4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송세그먼트(400)는 물품(M)을 받쳐서 실질적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이송세그먼트(400)는 물품(M)의 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하며 경량인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얇은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송세그먼트(400)의 후단부에 근접된 좌우 양측면에는 축핀(410)이 구비되어 체인(300)의 부싱(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축핀(410)의 외측 단부에는 결합돌기(4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체인(300)과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결합돌기(41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체인(300)의 부싱(330)에 부드럽게 진입되어 결합된 후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세그먼트(400)의 선단(F) 상부에는 걸림편(420)이 형성되고 후단(B) 상부에는 지지홈(430)이 형성되어, 전후로 연접된 걸림편(420)은 지지홈(43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판상의 플레이트가 접철 방식으로 연결되어 그 사이를 매꾸고 있었으므로, 고기 등의 종류를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킬 경우에는 오히려 근적외선이 관통되거나 고기 부근의 공기 온도가 올라가더라도 통풍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판상의 플레이트에 묻은 오염물이 그 상태로 계속해서 움직임에 따라 새로운 물품에 오염물이 묻게 되어 별도의 제거수단을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판상의 플레이트가 접철 방식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부터 탈피하여, 고기 등의 종류를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킬 경우 근적외선이 관통되어 고기 부근의 공기 온도가 올라가면서도 통풍이 잘 되도록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판상의 플레이트에 묻은 오염물이 그 상태로 계속해서 움직임에 따라 새로운 물품에 오염물이 묻게 되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제거수단을 형성하지 않도록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와 다수개의 결합축(15)으로 구성된 컨베이어 체인(10);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짧고 가는 바 형태의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고, 양 단에 고정 나사(25)가 형성된 길고 가는 바 형태의 지지축(24)으로 구성된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 및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 스프로킷(30); 구동부(40);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되고,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하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고, 지지축(24)의 양단에 위치한 고정 나사(25)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고정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따라 다수개의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 프레임(50), 서포트 프레임(52), 트레이(54)가 위치하고, 구동부(40)의 구동으로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이 회전됨에 따라, 송풍기(60)의 바람과 근적외선 조사기구(70)의 근적외선을 받으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 놓인 건조된 건조 대상물(90)이 이동하고,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와 다수개의 결합축(15)으로 구성된 컨베이어 체인(10);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짧고 가는 바 형태의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고, 양 단에 고정 나사(25)가 형성된 길고 가는 바 형태의 지지축(24)으로 구성된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 및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 스프로킷(30); 구동부(40);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되고,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하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고, 지지축(24)의 양단에 위치한 고정 나사(25)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고정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2개는 약간의 높이 차이를 두고 일정 부분이 겹쳐져 위치하고,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따라 다수개의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 프레임(50), 서포트 프레임(52), 트레이(54)가 위치하며,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구조를 통해, 상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에서 일면이 건조되는 건조 대상물(90)은 하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로 자연스럽게 뒤집어서 위치시킬 수 있고, 그 결과로 건조 대상물(90)을 양면으로 건조시켜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와 다수개의 결합축(15)으로 구성된 컨베이어 체인(10);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짧고 가는 바 형태의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고, 길고 가는 바 형태의 지지축(24)으로 구성된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 및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 스프로킷(30); 구동부(40);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되고,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하며,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고,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지지축(24)에 얹혀져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24)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유동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따라 다수개의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 프레임(50), 서포트 프레임(52), 트레이(54)가 위치하고, 구동부(40)의 구동으로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이 회전됨에 따라, 송풍기(60)의 바람과 근적외선 조사기구(70)의 근적외선을 받으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 놓인 건조된 건조 대상물(90)이 이동하고,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와 다수개의 결합축(15)으로 구성된 컨베이어 체인(10);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짧고 가는 바 형태의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고, 길고 가는 바 형태의 지지축(24)으로 구성된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 및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 스프로킷(30); 구동부(40);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되고,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하며,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들은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엇갈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지지축(24)에 얹혀져 위치하며, 지지축(24)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유동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2개는 약간의 높이 차이를 두고 일정 부분이 겹쳐져 위치하고,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따라 다수개의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 프레임(50), 서포트 프레임(52), 트레이(54)가 위치하며,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구조를 통해 상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에서 일면이 건조되는 건조 대상물(90)은 하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로 자연스럽게 뒤집어서 위치시킬 수 있고, 그 결과로 건조 대상물(90)을 양면으로 건조시켜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이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는 철봉이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이판을 형성하여, 고기 등의 종류를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킬 경우 근적외선이 관통되어 고기 부근의 공기 온도가 올라가면서도 통풍이 잘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는 철봉이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이판을 형성하여, 가는 철봉에는 오염물이 묻게 되지 않도록 되는 효과와, 별도의 오염물 제거수단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송세그먼트와 체인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송세그먼트와 체인의 분해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건조 대상물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건조 대상물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건조 대상물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컨베이어 체인(10)과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스프로킷(30), 구동부(40),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은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함에 따라,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는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한다.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는 물고기, 고기 등과 같은 건조 대상물(90)의 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하며 경량인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건조 대상물(90)을 받쳐서 실질적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물고기 등의 건조 대상물(90)이 올려지는 짧고 가는 바 형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양 단에 고정 나사(25)가 형성된 길고 가는 바 형태로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는 지지축(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24)의 고정 나사(25)는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컨베이어 체인(10)과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에 위치하는 물고기 등의 건조 대상물을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킬 경우, 근적외선이 관통되어 고기 부근의 공기 온도가 올라가면서도 통풍이 잘 되어 빠르고 균일한 건조 효과를 가진다.
상기 스프로킷(30)은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5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부(40)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과 메인프레임(5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 스프로킷(3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컨베이어 체인(10)에 의해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40)는 모터(42)와 전동체인(44), 전동 스프로킷(45)을 구비하고, 컨베이어 체인(10)을 회전시키도록 구동 스프로킷(31)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에 놓인 건조 대상물(90)을 이송시킨다.
도 4와 5를 참고하면, 구동부(40)는 구동스프로킷(31)의 축에 설치된 전동 스프로킷(45)에 전동체인(44)으로 연결된 모터(42)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동부(40)는 구동스프로킷(31)의 축에 설치된 풀리(도시생략)에 벨트(도시생략)로 연결된 모터(42)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와 스프로킷(30)은 저소음 및 걸림 방지를 위하여 윤활제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0)은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스프로킷(30)과 구동부(40) 등의 구성을 지지하고,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서 낙하된 오염물을 모으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여 건조가 완료된 건조 대상물(90)을 적재할 수 있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기(60)는 물고기와 같은 건조 대상물(90)을 바람으로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근적외선 조사기구(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고기와 같은 건조 대상물(90)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건조 대상물(90)이 올려져있는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양 측에 45도 기울어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의 설치 개수와 위치, 방향은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인 대량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결합 및 구동은 다음과 같다.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는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한다.
이후,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고, 지지축(24)의 양단에 위치한 고정 나사(25)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를 지지하는 프레임(50)으로 둘러싸이고, 하부에 위치한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트레이(54)가 위치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서 낙하된 오염물을 모은다.
구동부(40)의 구동으로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이 회전됨에 따라, 송풍기(60)의 바람과 근적외선 조사기구(70)의 근적외선을 받으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 놓인 건조된 건조 대상물(90)이 이동하고, 건조가 완료된 건조 대상물(90)이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된다.
도 9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2 실시예는 도 4 내지 8에 도시된 컨베이어 체인(10)과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스프로킷(30), 구동부(40)로 구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2개가 약간의 높이 차이를 두고, 일정 부분이 겹쳐져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차를 가지는 2개의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형태를 따라 프레임(50)과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가 위치된다.
약간의 높이 차이를 두고 일정 부분이 겹쳐져 연결된 컨베이어 장치의 위치를 통해, 상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에서 일면이 건조되는 건조 대상물(90)은 하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로 자연스럽게 뒤집어서 위치시킬 수 있고, 그 결과로 건조 대상물(90)을 양면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양면이 모두 건조된 건조 대상물(90)들은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된다.
건조 시에 발생하는 건조 대상물(90)의 오염물 및 잔재는 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에 떨어져, 건조가 끝난 이후 사용자가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건조 대상물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컨베이어 체인(10)과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스프로킷(30), 구동부(40),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은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함에 따라,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는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한다.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는 물고기 등과 같은 건조 대상물(90)의 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하며 경량인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건조 대상물(90)을 받쳐서 실질적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물고기 등의 건조 대상물(90)이 올려지는 짧고 가는 바 형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길고 가는 바 형태로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는 지지축(24)으로 구성된다.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는 상기 지지축(24)에 얹혀져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구동시,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지지축(24)은 상기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건조 대상물(90)을 지지하여 건조 대상물(90)이 안정적으로 위치 및 건조된다.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에 위치하는 물고기 등의 건조 대상물을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킬 경우, 근적외선이 관통되어 고기 부근의 공기 온도가 올라가면서도 통풍이 잘 되어 빠르고 균일한 건조 효과를 가진다.
상기 스프로킷(30)은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5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부(40)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과 메인프레임(5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 스프로킷(3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컨베이어 체인(10)에 의해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40)는 모터(42)와 전동체인(44), 전동 스프로킷(45)을 구비하고, 컨베이어 체인(10)을 회전시키도록 구동 스프로킷(31)과 연결되어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에 놓인 건조 대상물(90)을 이송시킨다.
도 10과 11을 참고하면, 구동부(40)는 구동스프로킷(31)의 축에 설치된 전동 스프로킷(45)에 전동체인(44)으로 연결된 모터(42)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동부(40)는 구동스프로킷(31)의 축에 설치된 풀리(도시생략)에 벨트(도시생략)로 연결된 모터(42)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와 스프로킷(30)은 저소음 및 걸림 방지를 위하여 윤활제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0)은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스프로킷(30)과 구동부(40) 등의 구성을 지지하고,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서 낙하된 오염물을 모으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여 건조가 완료된 건조 대상물(90)을 적재할 수 있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기(60)는 물고기와 같은 건조 대상물(90)을 바람으로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근적외선 조사기구(7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고기와 같은 건조 대상물(90)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건조 대상물(90)이 올려져있는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양 측에 45도 기울어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의 설치 개수와 위치, 방향은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인 대량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결합 및 구동은 다음과 같다.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는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한다.
이후,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고,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축(24)의 양단과의 끼움 결합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한다.
일정 간격으로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지지축(24)의 양단에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을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를 지지하는 프레임(50)으로 둘러싸이고, 하부에 위치한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트레이(54)가 위치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서 낙하된 오염물을 모은다.
구동부(40)의 구동으로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이 회전됨에 따라, 송풍기(60)의 바람과 근적외선 조사기구(70)의 근적외선을 받으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 놓인 건조된 건조 대상물(90)이 이동하고, 아래로 이동하는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을 따라 건조 대상물 받침부(20)가 이동 및 회전되며 건조가 완료된 건조 대상물(90)이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된다.
도 15는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제4 실시예는 도 10 내지 14에 도시된 컨베이어 체인(10)과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스프로킷(30), 구동부(40)로 구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2개가 약간의 높이 차이를 두고, 일정 부분이 겹쳐져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들은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엇갈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지지축(24)에 얹혀져 위치한다.
상기 단차를 가지는 2개의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형태를 따라 프레임(50)과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가 위치된다.
약간의 높이 차이를 두고 일정 부분이 겹쳐져 연결된 컨베이어 장치의 위치를 통해, 상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에서 일면이 건조되는 건조 대상물(90)은 하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로 자연스럽게 뒤집어서 위치시킬 수 있고, 그 결과로 건조 대상물(90)을 양면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양면이 모두 건조된 건조 대상물(90)들은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된다.
건조 시에 발생하는 건조 대상물(90)의 오염물 및 잔재는 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에 떨어져, 건조가 끝난 이후 사용자가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컨베이어 체인
11: 체인 링크 플레이트
12: 결합홀
15: 결합축
20: 건조 대상물 받침부
21: 건조 대상물 위치부
22: 지지축 연결부
23: 이탈 방지부
24: 지지축
25: 고정 나사
30: 스프로킷
31: 구동 스프로킷
32: 종동 스프로킷
40: 구동부
42: 모터
44: 전동체인
45: 전동 스프로킷
50: 프레임
52: 서포트 프레임
54: 트레이
56: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
60: 송풍기
70: 근적외선 조사기구
90: 건조 대상물

Claims (4)

  1.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와 다수개의 결합축(15)으로 구성된 컨베이어 체인(10);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짧고 가는 바 형태의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고, 양 단에 고정 나사(25)가 형성된 길고 가는 바 형태의 지지축(24)으로 구성된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 및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 스프로킷(30);
    구동부(40);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되고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하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고, 지지축(24)의 양단에 위치한 고정 나사(25)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고정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따라 다수개의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 프레임(50), 서포트 프레임(52), 트레이(54)가 위치하고,
    구동부(40)의 구동으로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이 회전됨에 따라, 송풍기(60)의 바람과 근적외선 조사기구(70)의 근적외선을 받으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 놓인 건조된 건조 대상물(90)이 이동하고,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2.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와 다수개의 결합축(15)으로 구성된 컨베이어 체인(10);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짧고 가는 바 형태의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고, 양 단에 고정 나사(25)가 형성된 길고 가는 바 형태의 지지축(24)으로 구성된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 및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 스프로킷(30);
    구동부(40);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되고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하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고, 지지축(24)의 양단에 위치한 고정 나사(25)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고정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2개는 약간의 높이 차이를 두고 일정 부분이 겹쳐져 위치하고,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따라 다수개의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 프레임(50), 서포트 프레임(52), 트레이(54)가 위치하며,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구조를 통해, 상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에서 일면이 건조되는 건조 대상물(90)은 하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로 자연스럽게 뒤집어서 위치시킬 수 있고, 그 결과로 건조 대상물(90)을 양면으로 건조시켜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3.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와 다수개의 결합축(15)으로 구성된 컨베이어 체인(10);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짧고 가는 바 형태의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고, 길고 가는 바 형태의 지지축(24)으로 구성된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 및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 스프로킷(30);
    구동부(40);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되고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하며,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고,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지지축(24)에 얹혀져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24)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유동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따라 다수개의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 프레임(50), 서포트 프레임(52), 트레이(54)가 위치하고,
    구동부(40)의 구동으로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이 회전됨에 따라, 송풍기(60)의 바람과 근적외선 조사기구(70)의 근적외선을 받으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에 놓인 건조된 건조 대상물(90)이 이동하고,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4. 두 개의 원판이 연결된 땅콩 형상의 플레이트로, 한 쌍의 결합홀(12)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와 다수개의 결합축(15)으로 구성된 컨베이어 체인(10);
    일단 하단부에 ‘ㄴ’자 형태로 바깥 방향을 향해 형성된 지지축 연결부(22)와 타단에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이탈 방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짧고 가는 바 형태의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와 다수개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지지축 연결부(22)와 연결되고, 길고 가는 바 형태의 지지축(24)으로 구성된 건조 대상물 받침부(20);
    좌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31) 및 종동 스프로킷(32)으로 구성된 스프로킷(30);
    구동부(40);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의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54), 일측에 위치하는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를 구비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50);
    송풍기(60);
    근적외선 조사기구(70);로 구성되고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 각각에 서로 다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이 겹쳐져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게 이어진 두 줄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11)의 결합홀(12)에 결합축(15)이 끼움 결합하여 컨베이어 체인(10)을 형성하며,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들은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엇갈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건조 대상물 위치부(21)가 상기 건조 대상물 받침부(20)의 지지축(24)에 얹혀져 위치하며, 지지축(24)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체인(10)에 유동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2개는 약간의 높이 차이를 두고 일정 부분이 겹쳐져 위치하고,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를 따라 다수개의 송풍기(60)와 근적외선 조사기구(70), 프레임(50), 서포트 프레임(52), 트레이(54)가 위치하며,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의 구조를 통해 상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에서 일면이 건조되는 건조 대상물(90)은 하단에 위치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로 자연스럽게 뒤집어서 위치시킬 수 있고, 그 결과로 건조 대상물(90)을 양면으로 건조시켜 건조 대상물 적재박스(56)에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KR1020200088496A 2020-07-16 2020-07-16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KR20220009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496A KR20220009824A (ko) 2020-07-16 2020-07-16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496A KR20220009824A (ko) 2020-07-16 2020-07-16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824A true KR20220009824A (ko) 2022-01-25

Family

ID=8004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496A KR20220009824A (ko) 2020-07-16 2020-07-16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8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8628A (zh) * 2022-07-19 2022-10-21 山东石大胜华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硅碳负极极片的制作用烘干装置
CN116558236A (zh) * 2023-05-09 2023-08-08 南通鑫常泓石业有限公司 一种陶瓷生产用陶瓷板材烘干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8628A (zh) * 2022-07-19 2022-10-21 山东石大胜华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硅碳负极极片的制作用烘干装置
CN115218628B (zh) * 2022-07-19 2023-09-05 胜华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硅碳负极极片的制作用烘干装置
CN116558236A (zh) * 2023-05-09 2023-08-08 南通鑫常泓石业有限公司 一种陶瓷生产用陶瓷板材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4529A (en) Treatment method for cleaning and drying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KR20220009824A (ko)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US4007827A (en) Modular conveyor
US3680474A (en) Taco shell cooking machine
JPS5818580B2 (ja) ブツピンノレンゾクレイトウソウチ
US1697879A (en) Dish-drying apparatus
US20100051058A1 (en) Automated Mat Cleaning and Handling System and Method
AU2014284519B2 (en) Dryer having woven wire belt conveyor system
US11178854B2 (en) Vertical egg washer and dryer such as integrated into an egg processing line
KR20120114113A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JP4382725B2 (ja) 食品の加熱装置
JP2002220110A (ja) 卵搬送コンベア
US20120114822A1 (en) Oven for heat-treating food pieces
CN107348452B (zh) 一种关于花生的快餐食品生产线
JP6842023B2 (ja) 芋類の切断装置
KR102438045B1 (ko) 김치제조장치
US3075214A (en) Apparatus for cleaning fruit such as berries and the like
US2802227A (en) Prune tray cleaner
JP2003274841A (ja) コンベアオーブン
KR102415926B1 (ko) 선별롤러유닛과 이를 이용한 다목적 리프트 선별장치.
US10302358B2 (en) Food heating device
KR100923555B1 (ko) 시편 이송 장치
KR102614035B1 (ko) 롤러 확장형 선별기
JP7131954B2 (ja) 被洗浄体の脱水装置
JPH08319015A (ja) コンベヤ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