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555B1 - 시편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시편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555B1
KR100923555B1 KR1020030021403A KR20030021403A KR100923555B1 KR 100923555 B1 KR100923555 B1 KR 100923555B1 KR 1020030021403 A KR1020030021403 A KR 1020030021403A KR 20030021403 A KR20030021403 A KR 20030021403A KR 100923555 B1 KR100923555 B1 KR 100923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transport box
specimen transport
chain
suppor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139A (ko
Inventor
김대식
이대희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2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5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편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한궤도를 갖도록 연결된 체인(12)을 갖는 체인 컨베이어(10); 상기 체인(12)에 고정 설치된 시편이송함 지지대(20); 상기 시편 이송함 지지대(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시편이송함(30); 상기 시편이송함(30)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도달되면 그 시편 이송함(30)을 회동시키는 시편이송함 회동수단; 및 상기 시편이송함(30)이 미리 설정된 수평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체인 컨베이어(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된 구성을 가지며, 이에 의하면 시편을 일체로 된 버킷 형상의 시편이송함에 실어 이송시켜 시편이 이송되는 도중에 낙하되거나 체인 컨베이어에 끼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Figure R1020030021403
체인, 컨베이어, 시편, 회동, 버킷

Description

시편 이송 장치{Test piece transportation apparatus}
도1은 종래의 시편 이송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2는 종래의 시편 이송 장치의 요부에 대한 상세도 및 측면도;
도3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도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편 이송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5는 도4의 우측면도;
도6은 도3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편 이송 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인 컨베이어 12 : 체인
20 : 시편이송함 지지대 30 : 시편이송함
32 : 경사판 41 : 제1 링크막대
42 : 제2 링크막대 44 : 회동 지지핀
61 : 센서
본 발명은 시편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편을 일체로 된 버킷 형상의 시편이송함에 실어 이송시켜 시편이 이송되는 도중에 낙하되거나 체인 컨베이어에 끼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시편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시험 및 검사 과정을 통해 품질이 평가되며, 이러한 품질 정보는 피드백에 의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생산 설비의 운용에 매우 중요한 정보로서 이용된다.
통상적인 제품의 시험 및 검사는 생산된 제품에서 분리된 작은 조각으로 된 시편의 시험 및 검사에 의해 수행되는데, 대개의 제조 설비는 생산 설비와 시험 및 검사 설비가 떨어져 위치되기 때문에 생산 설비와 시험 및 검사 설비 사이에 체인 컨베이어 등으로 구성된 시편 이송 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시편을 생산 설비에서 시험 및 검사 설비로 이송시킨다.
도1은 종래의 시편 이송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무한궤도 운동되는 체인 컨베이어(110)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110)에 장착되어 시편(P)을 실어 나르는 시편 이송함(120) 및 상기 체인 컨베이어(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운전패널(13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 컨베이어(110)는 구동 스프로킷(112)과 종동 스프로킷(114)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토록 지지되며, 상기 구동 스프로킷(112)은 구동모터(11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상기 시편 이송함(120)이 체인 컨베이어(110)에 의해 소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운전패널(130)에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도록 된 센서(140)가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150)은 상기 체 인 컨베이어(110)의 종동 스프로킷(114)이 설치된 부분의 하부 쪽에 위치됨으로써 시편 이송함(120)의 시편을 받아 시험 및 검사 설비에 제공하는 제2의 시편 이송 장치인 벨트 컨베이어로서, 이 벨트 컨베이어(150)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미설명부호 (152)는 벨트 컨베이어(150)의 폭 방향에 대한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구비되어 벨트 컨베이어(150)에 얹혀진 시편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편 낙하 방지판이다.
즉, 시편 이송함(120)에 시편을 실은 후 운전패널(130)을 조작하여 구동모터(116)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110)를 구동시키면, 시편 이송함(120)은 생산 설비, 여기에서는 구동 스프로킷(112)이 설치된 부분에서 시험 및 검사 설비, 여기에서는 종동 스프로킷(114)이 설치된 부분으로 이동되며, 계속하여 상기 시편 이송함(120)이 종동 스프로킷(114)이 설치된 부분에서 방향이 바뀌면서 뒤집어져 그 시편 이송함(120)에 실려 있던 시편이 시험 및 검사 설비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시편 이송함(120)이 계속 진행하여 센서(140)가 위치된 부분까지 이동되면 그 센서(140)는 운전패널(130)에 시편 이송함(120)의 감지 신호를 전송하며, 운전패널(130)은 구동모터(116)를 정지시켜 차기 시편 이송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시편 이송 장치(100)에서는 시편 이송함(120)이 체인 컨베이어(110)와 함께 무한궤도의 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체인 컨베이어(110)가 구동 스프로킷(112) 및 종동 스프로킷(114)을 통과하면서 굽혀진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시편 이송함(120)도 체인 컨베이어(110)의 굽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 체인 컨베이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 어진 여러 개의 분할 이송함(120A)(120B)(120C)으로 구성되며, 게다가 체인 컨베이어(110)의 하부에 그 체인 컨베이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어 체인 컨베이어(110)가 직선을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레일(16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분할 이송함(120A)(120B)(120C)의 각각도 체인 컨베이어(110)의 양측으로 분할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시편 이송 장치(100)는 시편 이송함(120)이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이들 조각 사이에 공간(S)이 존재하는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공간(S)을 통해 시편(T)이 시편 이송함(120)의 하부로 이탈되어 그 시편(T)이 시험 및 검사 설비로 제대로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이와 같은 시편(T)이 체인 컨베이어(110)에 끼워져 종동 스프로킷(114)을 통과함으로써 체인 컨베이어(110)가 스프로킷(114)에서 탈락되는 설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 및, 시편(T)에 변형을 유발시켜 그 시편(T)의 품질 평가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 등을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편을 일체로 된 버킷 형상의 시편이송함에 실어 이송시켜 시편이 이송되는 도중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편 이송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시편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무한궤도를 갖도록 연결된 체인을 갖는 체인 컨베이어; 상기 체인에 고정 설치된 시편이송함 지지대; 상기 시편 이송함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시편이송함; 상기 시편이송함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도달되면 그 시편 이송함을 회동시키는 시편이송함 회동수단; 및 상기 시편이송함이 미리 설정된 수평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체인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된 시편 이송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상기 시편이송함 회동수단은, 일측 단부가 상기 시편이송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링크막대와, 일측 단부가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링크막대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막대의 타측 단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동 지지핀과, 상기 시편이송함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도달되면 상기 시편이송함이 회동되게 상기 회동 지지핀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에는 상기 회동 지지핀을 감지하여 체인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편이송함은, 회동 동작시 내부에 담겨진 시편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판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편 이송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5는 도4의 우측면도이며, 도6은 도4의 분해 사시도이다.
시편을 이송시키도록 사용되는 체인 컨베이어(10)는 체인(12)이 무한궤도를 갖도록 연결된 통상적인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은 이러한 체인 컨베이어(10)의 체인(12)이 미리 결정된 수평 경로, 예컨대 시편을 채취하기 위한 생산 설비와 그 시편을 받아 시험 및 검사하기 위한 시험 및 검사 설비를 연결하는 수평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체인 컨베이어(10)를 운전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됨)를 갖는다.
상기 체인(12)에는 그 체인(12)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여러 개의 브라켓(24)을 시편이송함 지지대(2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의 상부면은 체인(12)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면(22)으로 형성되며, 이 경사면(22)은 시편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를 이룬다.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의 상부에는 시편을 담을 수 있도록 버킷 형상으로 된 시편이송함(30)이 놓여지는데, 상기 시편이송함(30)의 일측 단부, 즉 시편 이송 방향 쪽 단부가 회전 지지축(34)을 매개로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그 시편이송함(30)이 회동되었을 때 내부에 실려진 시편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편이송함(30)의 일측은 그 시편이송함(30)이 회동되었을 때 시편이송함(3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시편이송함(30)의 기울어진 각도보다 더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시편의 배출이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경사판(32)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상기 시편이송함(30)의 회동은 그 시편이송함(30)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수행되며, 이러한 시편이송함(30)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편이송 함 회동수단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와 상기 시편이송함(30)은 제1 링크막대(41)와 제2 링크막대(42)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막대(41)(42)는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일측 단부가 시편이송함(30)과 시편이송함 지지대(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각각의 타측 단부는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 지지핀(44)을 매개로 연결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링크막대(41)의 일측 단부는 상기 시편이송함(30)의 시편 이송 방향에 대한 반대쪽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링크막대(4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의 시편 이송 방향에 대한 반대쪽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막대(41)(42)의 타측 단부가 시편 이송 방향 쪽으로 위치되도록 서로 회동 지지핀(4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동 지지핀(44)을 상승시키면 시편이송함(30)이 회전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회동 지지핀(44)을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시편이송함(3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가 구비되며, 이러한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는 시편 이송 방향 쪽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경사를 갖도록 설정된다. 즉, 체인 컨베이어를 이루는 설비 프레임에 고정된 제1 경로형성판(51)과, 제2 경로형성판(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로형성판(51)과 제2 경로형성판(52)은 시편 이송 방향 쪽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경사면(51a)(52a)을 가짐으로써 이들 경사면(51a)(52a) 사이의 공간이 상기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경로형성판(51)의 경사면(51a) 상단부에 상기 회동 지지핀(44)을 감지하여 체인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도록 연결 설치된 센서(6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시편이송함(30)에 시편을 싣기 위한 장소에도 센서(미도시됨)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지지핀(44)에는 롤러(45)가 공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이 롤러(45)가 상기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채취된 시편이 시편이송함(30)에 실려지면, 체인 컨베이어(10)가 구동되어 그 체인 컨베이어(10)를 이루는 체인(12)과 함께 시편이송함 지지대(20)가 도7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가 미리 설정된 영역, 즉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가 갖춰진 영역에 도달되면,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와 시편이송함(30)을 연결시키도록 설치된 제1 링크막대(41)와 제2 링크막대(42)의 연결 부위인 회동 지지핀(44)에 갖춰진 롤러(45)가 제1 경로형성판(51)과 제2 경로형성판(52)에 의해 형성된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를 따라 상승되며, 이러한 롤러(45)의 상승에 의하여 시편이송함(30)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가 우측으로 계속 이동함에 의하여 상기 시편이송함(30)의 회동도 계속 수행되어, 적정한 시점에 이르면 상기 시편이송함(30)의 내부에 실려 있던 시편(T)이 벨트 컨베이어(150)의 상부로 낙하되어 시험 및 검사 설비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 롤러(45)가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를 따라 상승하다가 센서(61)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센서(61)는 롤러(45)를 감지하였다는 신호를 구동부에 전송하며, 이러한 신호를 제공받은 구동부는 체인 컨베이어(10)를 정지시킨 다음, 계속하여 체인(12)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체인 컨베이어(10)를 구동시킨다.
물론,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는 시편이 채취되고 제공되는 장소까지 이동하여 미도시된 센서에 시편이송함 지지대(20)가 감지되면 체인 컨베이어(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시편이 시편이송함 지지대(20)에 실릴 때까지 그 자리에서 멈춘 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편 이송 장치에 의하면, 시편을 일체로 된 버킷 형상의 시편이송함에 실어 이송시키므로 종래와 같이 시편이 이송되는 도중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시편 이송의 안정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시편이송함에 실려진 시편을 그 시편이송함의 회동에 의하여 차기 설비에 제공함으로써 시편이 체인 컨베이어에 끼어 구부러지거나 설비를 파손시키는 현상을 예방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무한궤도를 갖도록 연결된 체인(12)을 갖는 체인 컨베이어(10);
    상기 체인(12)에 고정 설치된 시편이송함 지지대(20);
    상기 시편 이송함 지지대(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시편이송함(30);
    상기 시편이송함(30)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도달되면 그 시편 이송함(30)을 회동시키는 시편이송함 회동수단; 및
    상기 시편이송함(30)이 미리 설정된 수평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체인 컨베이어(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된 시편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이송함 회동수단은, 일측 단부가 상기 시편이송함(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링크막대(41)와, 일측 단부가 상기 시편이송함 지지대(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링크막대(42)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막대(41)(42)의 타측 단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동 지지핀(44)과, 상기 시편이송함(30)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도달되면 상기 시편이송함(30)이 회동되게 상기 회동 지지핀(44)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핀 안내경로에는 상기 회동 지지핀(44)을 감지하여 체인(12)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 하는 센서(6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이송함(30)은, 회동 동작시 내부에 담겨진 시편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판(32)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이송 장치.
KR1020030021403A 2003-04-04 2003-04-04 시편 이송 장치 KR100923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403A KR100923555B1 (ko) 2003-04-04 2003-04-04 시편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403A KR100923555B1 (ko) 2003-04-04 2003-04-04 시편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139A KR20040087139A (ko) 2004-10-13
KR100923555B1 true KR100923555B1 (ko) 2009-10-27

Family

ID=3736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403A KR100923555B1 (ko) 2003-04-04 2003-04-04 시편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450B1 (ko) * 2020-03-31 2023-11-24 주식회사 필로시스 슬라이드 자동 스캐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003A (ja) 1983-09-30 1985-05-01 Hitachi Ltd パレットリフタ−付チェンコンベア
JPS6176208A (ja) 1984-09-21 1986-04-18 Sumitomo Metal Ind Ltd 管・棒材の移送装置
JPH0380346U (ko) * 1989-12-07 1991-08-16
US5178834A (en) 1989-07-19 1993-01-12 Tosoh Corporation Automatic immunoassay analyz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003A (ja) 1983-09-30 1985-05-01 Hitachi Ltd パレットリフタ−付チェンコンベア
JPS6176208A (ja) 1984-09-21 1986-04-18 Sumitomo Metal Ind Ltd 管・棒材の移送装置
US5178834A (en) 1989-07-19 1993-01-12 Tosoh Corporation Automatic immunoassay analyzer
JPH0380346U (ko) * 1989-12-07 1991-08-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139A (ko)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7248B2 (ja) 作物整列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作物選別装置
CN102497942A (zh) 具有轮式箱的检查站系统
KR200446419Y1 (ko) 전복선별장치
KR101778362B1 (ko) 절단스크랩 분리수거장치
JP4694274B2 (ja) X線異物検査装置のx線遮蔽用v字型のれん装置
US7080730B2 (en) Conveyor assembly
US7303059B2 (en) Conveyor apparatus for placing articles in a single file
NL8401329A (nl) Bandtransporteur voor het verticaal of steil transporteren van stortgoed.
KR100923555B1 (ko) 시편 이송 장치
CN104438114A (zh) 一种全自动圆轴分选机
KR101109474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크리닝 장치
KR102070069B1 (ko) 중량을 이용한 과일선별기
KR20220009824A (ko) 건조용 컨베이어 장치
KR20170124914A (ko) 배추이송용 반전 컨베이어장치 및 구동방법
KR101344337B1 (ko) 철편 선별장치
JP2008285328A (ja) 果菜自動選別方法及び果菜自動選別装置
KR100256095B1 (ko)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JP2008265986A (ja) 物品の仕分装置
JP4183249B2 (ja) フライ食品の油切り搬出装置
WO2017068534A1 (en) A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sorting products, in particular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CN109733788A (zh) 一种称量筛分一体机
CN117619735B (zh) 一种跨境电商产品安检设备
KR10075842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JP5824390B2 (ja) 農産物の仕分装置
KR101158680B1 (ko) 평판형상 프레임용 비전검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