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119B1 - 배추김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배추김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119B1
KR101479119B1 KR20120104033A KR20120104033A KR101479119B1 KR 101479119 B1 KR101479119 B1 KR 101479119B1 KR 20120104033 A KR20120104033 A KR 20120104033A KR 20120104033 A KR20120104033 A KR 20120104033A KR 101479119 B1 KR101479119 B1 KR 10147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all
cabbage
leaves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641A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태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영수 filed Critical 태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0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1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3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gripping surfaces having special shapes
    • B25J15/0042V-shaped gripp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6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on the load-carriers, e.g.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추김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절임배추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절임배추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임배추의 잎 들의 간격을 벌리는 잎 넘김 유닛, 상기 잎 넘김 유닛과 이웃하고 벌어진 상기 잎 사이로 소를 넣어 주는 소 넣음 유닛, 그리고 상기 이송부, 상기 잎 넘김 유닛, 그리고 상기 소 넣음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송부에 고정된 절임배추의 잎과 잎을 잎 넘김 유닛이 벌리고 벌어진 잎 사이로 소 넣음 유닛이 소를 넣게 된다. 이에 따라 절임배추의 잎 사이로 소를 넣는 작업이 잎 넘김 유닛과 소 넣음 유닛이 하게 되면서 무인자동으로 포기김치를 만들 수 있어 인건비 절감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추김치 제조 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CABBAGE KIMCHI}
본 발명은 포기 김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추김치는 한국인에게는 매 끼니마다 없어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음식이며 맛과 영양, 저장성 등을 고루 갖춘 자랑스러운 음식으로서 한국 음식문화를 대표하는 음식이다.
이러한 배추김치를 담그기 위해서는 배추를 다듬은 후 가른다. 그리고 가른 배추를 절임 한다. 절임이 완료된 배추의 잎 사이마다 양념(이하, '소'라 함)을 넣어 배추김치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추김치를 가정에서 소량으로 담글 경우 시간 및 인력이 많이 필요하지 않지만 김치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실용신안공보 제 실1995-0003288호 (공고 1995.04.25.) 특허공보 제 특 1996-0008405호 (공고 1996.06.26.)
본 발명은 최소의 인원으로 김치를 생산할 수 있는 배추김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추김치 제조 장치는, 절임배추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절임배추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임배추의 잎 들의 간격을 벌리는 잎 넘김 유닛, 상기 잎 넘김 유닛과 이웃하고 벌어진 상기 잎 사이로 소를 넣어 주는 소 넣음 유닛, 그리고 상기 이송부, 상기 잎 넘김 유닛, 그리고 상기 소 넣음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에 감아 걸려 회전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본체 및 일측이 상기 이송벨트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일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구부러진 부분에 상기 절임배추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잎 넘김 유닛은, 벌림 구동부 및 상기 벌림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잎을 파지하고 넘기는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Robot Arm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 넣음 유닛은, 소가 수용될 수 있는 소 용기 및 상기 소 용기와 연결되어 있고 벌어진 상기 잎 사이로 소를 넣어 주는 소 뿜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 뿜음부는, 상기 소 용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가 유입될 수 있는 소 배관 및 상기 소 배관 중에 설치되어 있고 유입된 상기 소를 밀어내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 넣음 유닛은, 상기 소 용기 내부에 위치하고 수용되는 상기 소를 교반하는 소 교반부 및 상기 소 용기 내부로 상기 소를 수용시키는 소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추김치 제조 장치는, 상기 이송부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가 넣어진 절임배추를 상기 이송부에서 분리하는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추김치 제조 장치는, 상기 이송부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가 넣어진 절임배추가 유입될 수 있으며 중량계를 구비한 포장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에 고정된 절임배추의 잎과 잎을 잎 넘김 유닛이 벌리고 벌어진 잎 사이로 소 넣음 유닛이 소를 넣게 된다. 이에 따라 절임배추의 잎 사이로 소를 넣는 작업이 잎 넘김 유닛과 소 넣음 유닛이 하게 되면서 무인자동으로 포기김치를 만들 수 있어 인건비 절감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에 설정해놓은 데이터 값에 의하여 소 넣음 유닛에서 절임배추 잎 사이로 소를 일정하고 균등하게 뿜어주므로 포기김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균질화(均質化)가 가능하여 포기김치의 제품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 배관의 일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소 공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람이 하던 일을 자동시스템에 의해 전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위생도가 향상되고, 머리카락 등 이물질 혼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식품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어 대 고객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거 인력에 의해 생산할 시 작업자의 피로도가 상승되는 오후 시간대에는 작업능률이 급속히 감소하는 상황이 발생되어 각 시간대 별 생산량의 편차가 심했으나, 본 장치는 절음배추만 이송부에 올려놓으면 모두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항상 일정한 생산능률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의 제어로 제조된 김치가 포장 테이블에서 포장 시 각 계량된 수량을 파악할 수 있고, 계량작업자로 하여금 정량계량을 유도할 수 있어 제품불량도 줄이고 그만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추김치를 제조함에 있어 주요 작업인 소 넣기 작업이 잎 넘김 유닛과 소 넣음 유닛을 통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인력을 감축할 수 있으며 '고용감소라는 사회적 비관'과는 달리 3D 기피현상으로 인한 각 김치공장들의 구인난을 일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추김치를 제조함에 있어 주요 작업인 소 넣기 작업이 잎 넘김 유닛과 소 넣음 유닛을 통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인건비 감소로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중국산 김치의 국내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먹거리'인 김치산업의 근간을 지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추김치 제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잎 넘김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A) 및 측면도(B).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핑거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소 넣음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추김치 제조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추김치 제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추김치 제조 장치는 이송부(10), 잎 넘김 유닛(20), 소 넣음 유닛(34), 그리고 컨트롤러(60)를 포함한다.
이송부(10)는 소를 넣기 위한 절임배추(100)를 이동 시키는 것으로, 이송본체(11) 및 고정 부재(12)를 포함한다.
이송본체(11)는 이송본체의 기본 골조인 이송바디(111), 이송바디(11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피동롤러(114), 이송바디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롤러(113), 구동롤러(113)에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구동모터(112), 피동롤러(114)와 구동롤러(113)에 감아 걸려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회전할 수 있고 절임배추(100)가 놓일 수 있는 이송벨트(115)를 포함한다. 이송벨트(115)는 복수의 패널이 힌지 연결되어 형성된다. 패널은 힌지에 의하여 피동롤러(114)와 구동롤러(113) 부분에서 절첩되어 이동 방햐잉 변경될 수 있다. 이송벨트(115)는 부식되지 않고 약품에도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stainless)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송벨트(115)를 스테인리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이송본체(11)는 운반물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운반 장치인 공지의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115)는 연속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움직임과 대기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는 절임배추(100)를 이송벨트(115)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송벨트(115)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이송벨트(115)는 이송벨트(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이송벨트(115)는 한 쌍으로 형성되지 않고 단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12)는 일측이 이송벨트(115)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12)의 타측은 이송벨트(115)에 나사 또는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고정 부재(12)와 이송벨트(115)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부재(12)의 타측은 이송벨트(115)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12)의 타측은 이송벨트(115)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아울러, 타측이 구부러져 있으므로 고정 부재(12)의 타측 부분에는 이송벨트(115)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12)를 측면에서 본 모양은 기억 모양이다. 아울러 고정 부재(12)의 타측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뾰족한 고정 부재(12)의 타측으로 이송벨트(115)에 놓인 절임배추가 꽂힐 수 있다. 그리고 이 고정 부재(12)는 벌림 구동부(21)가 배춧잎을 넘길 때 배추가 뒤집어 지지 않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 부재(12)에 꽂혀 고정된 절임배추(100)는 이송벨트(115)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절임배추(100)는 이송벨트(115)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고정 부재(12)는 부식되지 않고 약품에도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stainless)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잎 넘김 유닛(20)은 이송본체(11) 상에 배치되어 있고 고정 부재(12)에 고정된 절임배추(100)의 잎을 고정 부재(12)를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넘기어 잎 들의 간격을 벌리는 것으로, 벌림 구동부(21) 및 로봇암(robot arm)(22)을 포함한다. 한편, 잎 넘김 유닛(20)이 구동할 때에는 이송벨트(115)는 움직이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벌림 구동부(21)는 이송부(10)의 소정 위치에서 이송벨트(115)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벌림 구동부(21)는 이송바디(111)에 지지된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은 이송바디(11)에 지지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벌림 구동부(21)는 로봇암(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벌림 구동부(21)는 컨트롤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60)의 제어로 벌림 구동부(21)는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벌림 구동부(21)는 컨트롤러(6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로봇암(22a, 22b), (23a, 23b)은 2개 2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로봇암(22a, 22b), (23a, 23b)은 이송벨트(115)의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한 쌍의 로봇암(22a, 22b), (23a, 23b)은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로봇암(22a, 22b), (23a, 23b)은 각각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 및 핑거부(222a, 222b), (223a, 223b)를 포함한다.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단부가 벌림 구동부(21)에 움직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있다.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은 힌지를 기준으로 이송벨트(115)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아울러,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의 길이 가운데 부분에는 회전관절(221a', 221b'), (231a', 231b')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 이 회전관절(221a', 221b'), (231a', 231b')에 의하여 굽혀지면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의 최 단부는 이송벨트(115)로부터 멀어질 수 있고,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이 펼쳐지면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의 최단부는 이송벨트(115)에 가까워질 수 있다.
핑거부(222a, 222b), (223a, 223b)는 핑거본체(222a', 222b'), (223a', 223b'), 한 쌍의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 그리고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에 결합되어 있고 절임배추(100)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핑거본체(222a', 222b'), (223a', 223b')는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를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에 연결하는 것이다. 핑거본체(222a', 222b'), (223a', 223b')는 생략될 수 있다. 핑거본체(222a', 222b'), (223a', 223b')가 생략되면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는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 절임배추(100)의 잎을 직접 잡는 손가락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측이 핑거본체(222a', 222b'), (223a', 223b')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타측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 타측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그러나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의 타측은 구부러지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의 타측에는 흡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도 있다. 흡착부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이 이송벨트(115)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관절(221a', 221b'), (231a', 231b')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가 되면
핑거부(222a, 222b), (223a, 223b)는 이송벨트(115)에 가까워지고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는 고정 부재(12)에 고정된 절임배추(100)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벌어진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가 오므려지면 절임배추(100)의 잎을 잡게 된다. 아울러,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에 흡착부가 형성된 경우 절임배추(100)의 잎은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에 달라 붙게 된다.
이때 펼쳐진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이 회전관절(221a', 221b'), (231a', 231b')에 의하여 구부러지면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에 잡힌 잎은 들리게 된다. 그리고 다관절암(221a, 221b), (231a, 231b)이 벌림 구동부(21)와 연결된 힌지에 의해 이송벨트(115)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핑거링크(222a", 222b"), (223a", 223b")에 의해 들린 절임배추(100)는 넘겨지게 된다. 즉 절임배추(10)의 잎은 고정 부재(12)를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넘겨져 잎과 잎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로봇암(22a, 22b), (23a, 23b)은 동시에 절임배추(100)의 잎을 잡고 넘기는 것이 아니고, 제1 로봇암(22a, 22b)과 제2 로봇암(23a, 23b)이 교대로 절임배추(100)의 잎을 잡아 넘기게 된다.
즉, 제1 로봇암(22a, 22b)이 절임배추(100)을 잡고 넘기면 이후 제2 로봇암(23a, 23b)이 절임배추(100)의 다른 잎을 잡고 넘기게 된다. 그리고 앞서 절임배추(100)의 잎을 넘긴 제1 로봇암(22a, 22b)은 절임배추(100)의 잎을 넘긴 상태로 그대로 두고 다른 잎을 넘기기 위해 움직인다. 이때 제1 로봇암(22a, 22b)에 의해 넘겨진 잎은 제2 로봇암(22a, 22b)에 의해 넘겨지는 잎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넘겨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절임배추(100)의 잎이 모두 넘겨진 상태에서 절임배추(100)의 잎을 잡으려는 어느 로봇암(22a, 22b), (23a, 23b)의 핑거부(222a, 222b), (223a, 223b)가 이송벨트(115)에 근접했을 때 센서는 절임배추(100)의 잎이 없음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로봇암(22a, 22b), (23a, 23b)은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아울러, 절임배추(100)의 잎이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중인 이송벨트(115)는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이송벨트(115)가 이동하게 되면 넘겨진 절임배추(100)의 잎은 고정 부재(12)의 탄성력과, 절임배추(100)의 핑거부(222a, 222b), (223a, 223b)가 잎을 잡고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잎의 반발력에 의하여 고정 부재(12)를 기준으로 넘겨진 절임배추(100)의 잎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소 넣음 유닛(34)은 소(통김치나 오이소박이 김치 따위의 속에 넣는 여러가지 고명)를 절임배추(100)의 넘겨진 잎과 잎 사이로 뿜어주는 것으로 잎 넘김 유닛(20)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소 용기(31), 소 공급부(33), 소 교반부(32), 그리고 소 뿜음부(34)를 포함한다.
소 용기(31)는 절임배추(100)의 잎 사이로 넣을 소가 수용될 수 있다. 소 용기(31)는 이송벨트(115)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아울러, 소 용기(31)의 하부측은 이송벨트(115)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소 용기(31)의 최 하단에는 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소 용기(31)는 부식되지 않고 약품에도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stainless)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소 용기(31)에는 소 잔량을 표시하는 유량계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소 용기(31)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량계 또는 투명 부분을 통하여 작업자는 소 상태를 소 용기(31) 외부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소 용기(31) 내부에는 소 용기(31) 내부를 청소하는 세척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세척부는 소 용기(31) 내부에 급수도관을 설치하여 급수 밸브를 열면 소 용기(31) 둘레를 따라 장착된 분사노즐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소 용기(31) 내부를 청소하게 된다.
소 공급부(33)는 버물어진 소를 소 용기(31)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 이송벨트(115)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소 공급부(33)는 소 용기(31)에 수용된 소가 소진되면 자동으로 소 용기(31) 내부로 공급하여 소 용기(31) 내부를 채우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의 조작으로 작동할 수 있다.
소 공급부(33)는 후렉시블호스(331) 및 공급펌프(332)를 포함한다. 후렉시블호스(331)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렉시블호스(331)의 일측은 버물어진 소가 담긴 용기부(도시하지 않음)에 위치하고 타측은 소 용기(31) 내부에 위치한다. 공급펌프(332)는 후렉시블호스(331)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용기부의 양념을 흡입하여 소 용기(31) 내부로 압송할 수 있다. 소 공급부(33)는 용기부를 들어 올리는 리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소 공급부(33)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소 교반부(32)는 소 용기(31) 내부에 위치하여 소 공급부(33)를 통해 공급된 소를 고르게 섞어주는 것으로, 교반팬(322) 및 교반모터(321)를 포함한다. 교반모터(321)는 소 용기(31)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때 교반모터(321)는 소 용기(31)의 덮개에 장착될 수 있다. 교반팬(322)은 소 용기(31) 내부에 위치하며 축으로 교반모터(321)와 연결되어 있다. 교반모터(321)의 구동으로 교반팬(322)이 회전하면 소 용기(31) 내부로 공급된 소는 고르게 섞이게 된다. 더불어 소는 교반팬(322)에 의하여 뭉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소는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소 뿜음부(34)는 소 용기(31)에 수용된 소를 절임배추(100)의 넘겨진 잎과 잎 사이로 뿜어주는 것으로, 소 배관(341) 및 펌프(342)를 포함한다.
소 배관(341)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소 배관(341)의 일측은 소 용기(31)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핑거부(222)와 이웃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소 배관(341)의 타측 단부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소 배관(341)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소 배관(341)의 타측에는 뿜어지는 소가 비산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덮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소가 뿜어지는 상태를 외부에서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덮개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펌프(342)는 소 배관(341) 상에 설치되어 있다. 펌프(342)는 배출구를 통해 소 배관(341) 일측 내부로 유입된 소를 압송하여 소 배관(341)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소 배관(341)의 타측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되는 소는 순간압축 되면서 내뱉듯 뿜어지게 된다. 뿜어지는 소는 핑거부(222a, 222b), (223a, 223b)에 의해 넘겨진 잎과 잎 사이에 묻게 된다. 아울러, 소 배관(341)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므로 소 배관(341)을 따라 이동하는 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펌프(342)는 공지의 모노펌프(mono pump)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소 배관(341)에서 뿜어진 양념이 벌어진 잎에 발라지면 구부러진 다관절암(221)은 다시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핑거링크(222b)는 잡고 있는 절임배추(100)의 잎을 놓게 된다. 핑거링크(222b)에서 놓인 잎은 서로 포개지게 된다. 그런 다음 핑거부(222)의 핑거링크(222b)는 절임배추(100)의 소가 발라지지 않는 다른 잎을 잡고, 다관절암(221)은 다시 구부러져 절임배추(100)의 잎과 잎의 사이가 벌어진다. 그리고 하나의 절임배추(100) 내부로 소가 모두 넣어지면 이송벨트(115)는 움직일 수 있다.
분리 부재(40)는 잎 넘김 유닛(20) 및 소 넣음 유닛(34)을 통과하여 내부에 소가 넣어진 배추김치(200)를 고정 부재(12)에서 분리하는 것으로 이송벨트(115)의 타측 즉, 이송벨트(115)가 구동롤러(113)에 의하여 회전방향이 바뀌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분리 부재(40)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분리 부재(40)는 경사진 상태로 일측이 이송벨트(115)에 접해 있고 타측은 이송벨트(115)를 벗어나 있다. 한편, 분리 부재(4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 부재(12)가 관통하는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송벨트(115)가 구동롤러(113)에 의하여 리턴할 때 배추김치(200)는 분리 부재(40)에 걸리게 된다. 이때 이송벨트(115)는 계속 회전하려 하고 분리 부재(40)에 걸린 배추김치(200)는 이송벨트(115)를 따라 이동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115)의 회전력에 의하여 배추김치(200)에 꽂힌 고정 부재(12)는 배추김치(200)에서 빠지게 된다. 고정 부재(12)가 빠진 배추김치(200)는 분리 부재(40)를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포장 테이블(50)은 이송부(10)의 타측에 배치되어 분리 부재(40)를 따라 미끄러지는 배추김치(200)를 받아내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포장 테이블(50)에는 중량계(5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배추김치(200)를 포장 테이블(50)에서 바로 포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60)는 이송부(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구동모터(112), 잎 넘김 유닛(20), 소 넣음 유닛(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60)는 소를 내뿜는 시간, 절임배추의 잎을 벌리는 적정 시간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조작부가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컨트롤러(60)는 김치에 투입되는 원료, 부료의 양과, 생산량 데이터를 집적하여 사용자 컴퓨터로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료 사용 상태 및 김치 제조 상태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10)에 절임배추(100)가 고정되면 잎 넘김 유닛(20)에 의하여 잎과 잎 사이가 벌어지고 벌어진 잎과 잎 사이로 소 넣음 유닛(34)이 소를 넣게 된다. 이렇게 절임배추(100)의 잎 사이로 소를 넣는 작업이 잎 넘김 유닛(20)과 소 넣음 유닛(34)이 하게 되면서 김치 제조에 따른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인력의 최소화로 인건비 절감 및 구인난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이 직접 소를 넣을 때 보다 더 위생적인 공정관리가 가능해진다.
한편, 컨트롤러(60)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통하여 생산되는 김치의 원재료(배추)와 소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소가 넣어지는 대상을 배추로 설명하였으나 소가 넣어지는 대상을 배추로 한정하지 않는다. 소가 잎과 잎 사이로 넣어지는 김치로 해석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이송부 11: 이송본체
111: 이송바디 112: 이송구동모터
113: 구동롤러 114: 피동롤러
115: 이송벨트 12: 고정 부재
20: 잎 넘김 유닛 21: 벌림 구동부
22a, 22b, 23a, 23b : 로봇암
221a, 221b, 231a, 231b: 다관절암
221a', 221b', 231a', 231b': 회전관절
222a, 222b, 223a, 223b: 핑거부
222a', 222b', 223a', 223b': 핑거본체
222a", 222b", 223a", 223b": 핑거링크
30: 소 넣음 유닛 31: 소 용기
32: 소 교반부 321: 교반모터
322: 교반팬 33: 소 공급부
331: 후렉시블호스 332: 공급펌프
34: 소 뿜음부 341: 소 배관
342: 펌프 40: 분리 부재
50: 포장 테이블 51: 중량계
60: 컨트롤러

Claims (8)

  1. 절임배추를 이동 시키는 이송부,
    상기 절임배추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임배추의 잎들의 간격을 벌리는 잎 넘김 유닛,
    상기 잎 넘김 유닛과 이웃하고 벌어진 상기 잎 사이로 소를 뿜어주는 소 넣음 유닛, 그리고
    상기 이송부, 상기 잎 넘김 유닛, 그리고 상기 소 넣음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잎 넘김 유닛은 벌림 구동부 및 상기 벌림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잎을 파지하고 넘기는 로봇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암은 상기 잎을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넘기도록 구성되며,
    상기 잎 넘김 유닛이 구동할 때에는 이송벨트는 움직이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벌림 구동부는 이송부의 이송벨트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봇암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로봇암은 2개 2조로 다관절암 및 핑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암은 일측 단부가 벌림 구동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이송벨트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관절암은 구부러질 수 있도록 길이 가운데 부분에 회전관절이 결합되어 다관절암이 회전관절에 의해 굽혀지면 다관절암의 최단부가 이송벨트로부터 멀어지고 다관절암이 펼쳐지면 다관절암의 최단부가 이송벨트로부터 가까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핑거부는 핑거본체, 한쌍의 핑거링크 및 상기 핑거링크에 결합되고 절임배추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핑거링크의 타측에는 흡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관절암이 이송벨트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관절에 의해 펼쳐진 상태가 되면 핑거부는 이송벨트에 가까워지고 핑거링크는 고정부재에 고정된 절임배추에 접하고, 벌어진 핑거링크가 오므려지면 접임배추의 잎을 잡도록 구성되며,
    상기 펼쳐진 다관절암이 회전관절에 의하여 구부러지면 핑거링크에 잡힌 잎이 들리고, 다관절암이 벌림 구동부와 연결된 힌지에 의해 이송벨트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핑거링크에 의해 들린 절임배추의 잎이 넘겨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봇암은 제1로봇암 및 제2로봇암이 교대로 절임배추의 잎을 잡아 넘기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제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에 감아 걸려 회전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본체 및
    일측이 상기 이송벨트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일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구부러진 부분에 상기 절임배추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배추김치 제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소 넣음 유닛은,
    소가 수용될 수 있는 소 용기 및
    상기 소 용기와 연결되어 있고 벌어진 상기 잎 사이로 소를 뿜는 소 뿜음부
    를 포함하는
    배추김치 제조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소 뿜음부는
    상기 소 용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가 유입될 수 있는 소 배관 및
    상기 소 배관 중에 설치되어 있고 유입된 상기 소를 밀어내는 펌프
    를 포함하는
    배추김치 제조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소 넣음 유닛은,
    상기 소 용기 내부에 위치하고 수용되는 상기 소를 교반하는 소 교반부 및
    상기 소 용기 내부로 상기 소를 수용시키는 소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배추김치 제조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이송부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가 넣어진 절임배추를 상기 이송부에서 분리하는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추김치 제조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이송부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가 넣어진 절임배추가 유입될 수 있으며 중량계를 구비한 포장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배추김치 제조 장치.
KR20120104033A 2012-09-19 2012-09-19 배추김치 제조 장치 KR101479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4033A KR101479119B1 (ko) 2012-09-19 2012-09-19 배추김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4033A KR101479119B1 (ko) 2012-09-19 2012-09-19 배추김치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641A KR20140037641A (ko) 2014-03-27
KR101479119B1 true KR101479119B1 (ko) 2015-01-07

Family

ID=5064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4033A KR101479119B1 (ko) 2012-09-19 2012-09-19 배추김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585A (ko) 2020-03-05 2021-09-15 임홍균 김치제조장치
KR102386016B1 (ko) 2021-04-01 2022-04-14 (주)로픽 김치 제조용 자동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9295A (ja) * 1995-05-23 1996-11-26 Kubota Corp 物品の選別装置
KR19990070816A (ko) * 1998-02-25 1999-09-15 홍숙자 회전하는 배추에 김치속을 분사하여 만드는 자동김치 제조방법
KR101163096B1 (ko) 2012-03-12 2012-07-09 이경옥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283258B1 (ko) 2012-02-01 2013-07-11 한국과학기술원 김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9295A (ja) * 1995-05-23 1996-11-26 Kubota Corp 物品の選別装置
KR19990070816A (ko) * 1998-02-25 1999-09-15 홍숙자 회전하는 배추에 김치속을 분사하여 만드는 자동김치 제조방법
KR101283258B1 (ko) 2012-02-01 2013-07-11 한국과학기술원 김치 제조 장치
KR101163096B1 (ko) 2012-03-12 2012-07-09 이경옥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585A (ko) 2020-03-05 2021-09-15 임홍균 김치제조장치
KR102386016B1 (ko) 2021-04-01 2022-04-14 (주)로픽 김치 제조용 자동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641A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5501B (zh) 貝類固定及打開裝置與其方法
KR920010630B1 (ko) 구형의 반죽물을 성형 및 배열시키는 장치
CN105775189B (zh) 一种全自动筷子包装机
US60239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a napkin around an eating utensil
KR101479119B1 (ko) 배추김치 제조 장치
JPH04215916A (ja) ソーセージの搬送方法及び装置
CN107568563A (zh) 一种食品机
JP2018117527A (ja) シャリ玉処理装置
US6561203B2 (en) Container cleaning, draining and drying apparatus
US3106048A (en) Apparatus for depanning, slicing, dispensing and packaging baked articles
US20070119382A1 (en) Bedding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JP7287644B2 (ja) 豆腐のパック詰め装置
KR101754623B1 (ko)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KR200309150Y1 (ko) 시트 폴딩장치
CN211491801U (zh) 便捷电动切菜机
CA2406353C (en) A device for supplying feed to animals
JP2512646B2 (ja) 練り製品の棒状具供給装置
JPH10305922A (ja) 袋類の分配装置
KR20240010229A (ko) 컴팩트형 수저포장기
KR102395363B1 (ko) 제품 단위 포장 장치
KR200408059Y1 (ko) 주걱 자동 정렬 투입장치
KR100551963B1 (ko) 조미유부 포장지에 조미액 자동 공급장치
US20240083679A1 (en) A conveyor system
JPH03181375A (ja) 小蕪洗浄選別装置
JPH06156735A (ja) 苗箱自動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