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623B1 -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623B1
KR101754623B1 KR1020160175436A KR20160175436A KR101754623B1 KR 101754623 B1 KR101754623 B1 KR 101754623B1 KR 1020160175436 A KR1020160175436 A KR 1020160175436A KR 20160175436 A KR20160175436 A KR 20160175436A KR 101754623 B1 KR101754623 B1 KR 10175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ke
drying
convey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묵
Original Assignee
최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묵 filed Critical 최종묵
Priority to KR1020160175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는 설치공간을 갖는 챔버유닛; 면의 이송경로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가 다단으로 적층, 설치된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면을 건조 및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 제습유닛을 포함하여 장치의 공간활용성 향상, 면의 건조 및 냉각을 위한 보관기간을 단축, 제품 안정성을 향상 및 원활한 작업공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Feeding device with noodle drying and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장치의 구조 개선을 통해 갓 생산된 면 및 떡볶이 떡을 좁은 공간 내에서 최소한의 시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수분 및 온도를 갖도록 가공함으로써, 제품생산성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은 곡류 분말, 특히 주로 밀가루를 물에 혼합·반죽해서 얻은 반죽물을 늘이거나 얇게 만든 후 잘라내고 물 또는 증기에 데쳐서 먹는 식품의 일종이다.
식품위생관계법규 편람에 따르면, "면류(麵類)라 함은 곡분 또는 전분을 주원료로 하고 필요에 따라 식품 첨가물 등을 혼합한 후 면발을 성형하거나 이를 열처리, 유탕처리 또는 건조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것 또는 이에 수프를 첨가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유형으로서는 건면류, 생면류, 숙면류, 유탕면류, 호화건면류, 개량숙면류, 냉동면류 및 파스타류 등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면은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었던 식품으로서, 국내에서도 면은 라면, 국수 및 우동 등의 형태로 많이 소비되고 있다. 특히 식사대용 간식이나 소식을 하는 사람의 경우 식사로 할 수 있어 사람들에게 면은 꾸준히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면은 주로 밀을 소재로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나, 최근에는 웰빙(well-being) 문화의 정착으로 면 제품은 단순히 공복감을 해소해주는 음식이 아니라 건강까지도 고려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밀을 소재로 한 면에 함유된 성분들은 대부분 탄수화물 소재로서 다른 주식과 비교할 때 영양적 균형 측면에서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영양적 불균형 해소 및 건강 기능성까지 고려하여 현미 및 보리등과 같은 곡물을 소재로 하는 면류제품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면을 만드는 방법은 칼국수와 같이 얇게 민 반죽을 칼로 가늘게 자르거나, 소면 또는 중국면 같이 반죽을 잡아당겨 가늘게 뽑거나, 마카로니와 같이 강한 압력으로 뽑아내는 방법이 있으며, 그중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종래의 면류 제조 공정은 반죽을 이용하여 면을 압출 생산한 후 포장용기에 담아 포장한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6908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87039호)
여기서, 포장 전단계에서 면이 유통과정에서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주정 침지 공정이 수반된다.
즉, 생산된 면에 주정침지 공정을 통해 면을 살균, 소독함으로써, 유통과정에서 면이 쉽게 부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압출과정을 통해 생산된 면은 뜨거운 열과 수분을 포함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바로 주정침지 공정을 수행할 경우 주정의 알콜 성분이 열에 의해 빠르게 증발하여 면의 살균,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주정과정에서 대량의 주정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산 초기 수분을 그대로 포함한 면에 액체의 주정이 도포되면, 면에 포함된 수분에 주정이 더해져 면을 불게하며, 이에 제품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생산된 면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 및 면류 자체의 열을 식히기 위해 대형 대차에 생산된 면을 적재한 후, 면의 건조 및 면의 열을 식히기 위해 24시간 동안 보관 후, 주정과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법은 면의 열 방출 및 건조하는 동안 다른 생산공정을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장시간의 보관으로 인해 면의 생산량 감소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6908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870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갓 생산되어 열과 수분을 포함한 면 및 떡볶이 떡의 이동경로를 다단으로 적층된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확장함으로써, 면의 건조 및 냉각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의 공간범위 내에서 확보하여 장치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면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의 이동경로에 별도의 제습유닛을 구비하여 단시간 내에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면의 건조 및 냉각을 위해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시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의 이동경로를 확장하기 위한 이송유닛에 면 및 떡볶이 떡이 닿은 부위에 남은 잔여물을 닦아내기 위한 별도의 세척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장치를 상시 청결하게 유지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층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이송 방향성을 갖는 이송유닛에 별도의 가이드유닛을 구비하여 면의 이송방향이 바뀌는 과정에서 면을 흐트러짐 없이 다음 컨베이어로 안전하게 안내함으로써, 원활한 작업공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설치공간을 갖는 챔버유닛;
면 및 떡볶이 떡의 이송경로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가 다단으로 적층, 설치된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을 건조,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 제습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하부에 배수시설이 설치되며, 양측에 갓 생산된 면 및 떡볶이 떡의 진입구와 건조 및 냉각된 면의 진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다수의 수직지주를 통해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며, 어느 한 단부에 면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발생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 제습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면 또는 떡볶이 떡으로 바람을 불어 면 및 떡볶이 떡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건조 및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설치공간 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설치공간의 내부를 면의 건조 및 냉각 가공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되도록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에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면 또는 떡볶이 떡이 다른 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면 또는 떡볶이 떡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컨베이어의 단부에 설치되어 떨어지는 면을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로 안내할 수 있도록 만곡진 호형상을 갖는 가이드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에는 면 및 떡볶이 떡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벨트에 남은 면의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유닛이 더 구비되며,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의 측벽에 형성된 장공;
상기 장공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일면에 연결핀이 마련된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 연결된 가이드공을 갖는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된 롤 브러쉬 및
상기 힌지브라켓에 체결되며, 상기 롤 브러쉬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동력발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에는 컨베이어벨트에 남은 면 및 떡볶이 떡의 잔여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유닛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설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에 소요되는 시간 확보를 최소의 공간범위 내에서 구현하여 장치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을 위한 보관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세척유닛을 통해 장치를 상시 청결하게 유지하여 제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 또는 떡볶이 떡의 이송과정에서 흐트러짐 없이 다음 컨베이어로 안내함으로써, 원활한 작업공정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중 챔버유닛의 내부구성 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중 가이드유닛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중 세척유닛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중 챔버유닛의 내부구성 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100)는 챔버유닛(110), 상기 챔버유닛(110) 내에 설치된 이송유닛(120) 및 상기 이송유닛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송풍, 제습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유닛(110)은 면의 건조 및 냉각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챔버유닛(110)은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그 내부에 설치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시설(113)이 설치되며, 일측에 갓 생산되어 다량의 수분과 고온의 열을 포함한 면 및 떡볶이 떡이 진입하는 진입구(115)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면 및 떡볶이 떡을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건조 및 냉각된 면 및 떡볶이 떡이 빠져나가는 진출구(117)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유닛(120)은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을 위해 상기 설치공간(111) 내에서 면 및 떡볶이 떡의 이송경로를 확장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이송유닛(120)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121)가 다단으로 적층,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121)는 다수의 수직지주(123)를 통해 다단으로 적층,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21)들의 어느 한 단부에는 상기 컨베이어(121)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벨트(125)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발생부재(P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동력발생부재(P1)는 외부 전원이 인가시 회전력을 발생하는 공지된 기술로 이에대한 상세한 기술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동력발생부재(P1)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갓 생산된 면 및 떡볶이 떡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25)에 놓이며, 이렇게 컨베이어벨트(125)에 놓인 면 및 떡볶이 떡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다수의 컨베이어(121)들을 통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분 및 온도를 갖는 면 및 떡볶이 떡으로 가공된다.
한편, 상기 송풍, 제습유닛(130)은 상기 컨베이어(121)를 따라 이동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을 건조 및 냉각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송풍, 제습유닛(130)은 상기 이송유닛(120)에 의해 이송되는 면 및 떡볶이 떡 측으로 바람을 불어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을 건조 및 냉각 가공함은 물론, 상기 설치공간(111) 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설치공간(111) 내부를 면 및 떡볶이 떡 가공에 적합한 최적의 조건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풍, 제습유닛(130)은 실내 습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공지 공용의 기술로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일반적인 송풍, 제습장치 외에 습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든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120)에는 별도의 가이드유닛(140)이 더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중 가이드유닛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유닛(140)은 상기 이송유닛(120)에는 컨베이어(121)를 따라 이송되는 면 및 떡볶이 떡이 다른 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12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면 및 떡볶이 떡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이드유닛(140)은 만곡진 호형상을 갖는 가이드편(141)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가이드편(141)은 컨베이어(121)의 단부에 설치되어 떨어지는 면 및 떡볶이 떡을 받아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121)로 안전하게 안내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120)에는 면 및 떡볶이 떡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벨트(125)에 남은 면 및 떡볶이 떡의 잔여물을 닦아내기 위한 세척유닛(150)이 더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중 세척유닛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세척유닛(150)은 상기 컨베이어(121)의 측벽에 형성된 장공(151)과, 상기 장공(151)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체결브라켓(155)과, 상기 체결브라켓(155)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힌지브라켓(159)과, 상기 힌지브라켓(159)에 축결합된 롤 브러쉬(R) 및 제2 동력발생부재(P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121)의 측벽에 형성된 장공(151)은 상기 컨베이어(121)의 외측에 위치한 힌지브라켓(159)과 상기 컨베이어(12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롤 브러쉬(R)를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체결브라켓(155)은 상기 장공(151)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그 일면에 연결핀(153)이 마련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59)은 상기 체결브라켓(155)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측에 상기 연결핀(153)이 삽입, 연결되는 가이드공(157)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힌지브라켓(159)이 힌지회전하면, 상기 가이드공(157)이 연결핀(153)을 수용한 상태에서 승강이동한다. 이러한 동작과정을 통해 상기 가이드공(157)은 상기 연결핀(153)에 의해 제한된 거리에서 승강이동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힌지브라켓(159)의 힌지회전 범위를 제한한다.
상기 롤 브러쉬(R)는 상기 힌지브라켓(159)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에, 상기 롤 브러쉬(R)는 회전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25)와의 마찰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25)에 남아있는 면 및 떡볶이 떡의 잔여물을 제거한다.
상기 제2 동력발생부재(P2)는 상기 롤 브러쉬(R)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제2 동력발생부재(P2)는 외부 전원이 인가시 회전력을 발생하는 공지된 기술로 이에대한 상세한 기술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동력발생부재(P2)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유닛(150)에는 컨베이어벨트(125)에 남은 면 및 떡볶이 떡의 잔여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유닛(150)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설(160)이 더 설치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는 그 구조 개선을 통해 제조공장의 공간활용성을 향상, 제품 생산성을 향상,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갓 생산된 면 및 떡볶이 떡은 이송유닛(120)의 최상단에 위치한 컨베이어(121)의 컨베이어벨트(125)를 따라 상기 챔버유닛(110)의 설치공간(111)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면 및 떡볶이 떡은 챔버유닛(110)의 개방부위인 진입구(115)를 통해 설치공간(111)으로 진입한다.
상기 챔버유닛(110)으로 진입한 면 및 떡볶이 떡은 이송유닛(120)을 구성하는 다수의 컨베이어(121)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여 이송유닛(120)의 최상단에 위치한 컨베이어(121)에서부터 최하단에 위치한 컨베이어(121)로 이동하며, 최하단에 위치한 컨베이어(121)를 통해 챔버유닛(110)의 외부로 진출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송유닛(120)은 다단으로 적층된 컨베이어(121)를 통해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면 및 떡볶이 떡의 이동거리를 최대한 확장함으로써, 이송유닛(120)을 통한 면 및 떡볶이 떡의 이송과정에서 건조 및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최소의 공간범위 내에서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적층 단에 따라 서로 다른 이송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121)를 따라 이동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은 다른 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121)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유닛(140)의 가이드편(141)은 떨어지는 면 및 떡볶이 떡을 다른 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121)로 안내하여 면 및 떡볶이 떡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유닛(140)을 통해 면 및 떡볶이 떡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작업공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면 및 떡볶이 떡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유닛(120)의 컨베이어벨트(125)에는 지속적인 작업과정에서 면 및 떡볶이 떡의 잔여물이 묻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별도의 세척유닛(150)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125)에 묻은 면 및 떡볶이 떡의 잔여물을 깨끗하게 세척한다.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125)가 면 및 떡볶이 떡의 잔여물로 인해 오염되면, 상기 급수시설(160)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25) 측으로 물이 공급되며, 이렇게 공급된 물은 세척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롤 브러쉬(R)는 제2 동력발생부재(P2)를 통해 공급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이렇게 회전하는 롤 브러쉬(R)는 힌지브라켓(159)의 힌지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125)와 접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125)에 묻은 면 및 떡볶이 떡의 잔여물을 깨끗하게 세척한다.
이때, 상기 힌지브라켓(159)의 힌지회전 동작은 상기 가이드공(157)의 폭만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의 이송장치(100)는 면 및 떡볶이 떡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이송유닛(120)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세척하여 장치의 청결상태를 상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120)을 따라 이동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은 송풍, 제습유닛(13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수분 및 온도를 갖는 면 및 떡볶이 떡으로 가공된다.
즉, 상기 송풍, 제습유닛(130)은 이동하는 면 및 떡볶이 떡 측으로 바람 불어 면 및 떡볶이 떡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풍, 제습유닛(130)은 설치공간(111) 내의 수분 제거를 통해 설치공간(111) 내의 수분 분포 및 온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면 및 떡볶이 떡을 가공함에 있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을 위한 보관기간을 단축시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10 : 챔버유닛 111 : 설치공간
113 : 배수시설 115 : 진입구
117 : 진출구 120 : 이송유닛
121 : 컨베이어 123 : 수직지주
125 : 컨베이어벨트 130 : 송풍,제습유닛
140 : 가이드유닛 141 : 가이드편
150 : 세척유닛 151 : 장공
153 : 연결핀 155 : 체결브라켓
157 : 가이드공 159 : 힌지브라켓
160 : 급수시설 P1,P2 : 제1,2 동력발생부재
R : 롤 브러쉬

Claims (7)

  1. 설치공간(111)을 갖는 챔버유닛(110);
    면 및 떡볶이 떡의 이송경로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간(111) 내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121)가 다단으로 적층, 설치된 이송유닛(120) 및
    상기 이송유닛(120)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121)를 따라이동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을 건조,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 제습유닛(130)을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121)는,
    다수의 수직지주(123)를 통해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며, 어느 한 단부에 면 및 떡볶이 떡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25)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발생부재(P1)가 구비된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120)에는 컨베이어(121)를 따라 이송되는 면 및 떡볶이 떡이 다른 방향성을 갖는 컨베이어(12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면 및 떡볶이 떡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유닛(14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140)은,
    컨베이어(121)의 단부에 설치되어 떨어지는 면 및 떡볶이 떡을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121)로 안내할 수 있도록 만곡진 호형상을 갖는 가이드편(141)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유닛(120)에는 면 및 떡볶이 떡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벨트(125)에 남은 면의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유닛(1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세척유닛(150)은,
    상기 컨베이어(121)의 측벽에 형성된 장공(151);
    상기 장공(151)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일면에 연결핀(153)이 마련된 체
    결브라켓(155);
    상기 체결브라켓(155)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연결핀(153)이 삽입, 연결된 가이드공(157)을 갖는 힌지브라켓(159); 상기 힌지브라켓(159)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된 롤 브러쉬(R) 및
    상기 힌지브라켓(159)에 체결되며, 상기 롤 브러쉬(R)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동력발생부재(P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110)은,
    하부에 배수시설(113)이 설치되며, 양측에 갓 생산된 면 및 떡볶이 떡의 진입구(115)와 건조 및 냉각된 면의 진출구(1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제습유닛(130)은,
    상기 이송유닛(120)에 의해 이송되는 면 및 떡볶이 떡으로 바람을 불어 면 및 떡볶이 떡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건조 및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설치공간(111) 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설치공간(111)의 내부를 면의 건조 및 냉각 가공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되도록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150)에는 컨베이어벨트(125)에 남은 면 및 떡볶이 떡의 잔여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유닛(150)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설(16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KR1020160175436A 2016-12-21 2016-12-21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KR10175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436A KR101754623B1 (ko) 2016-12-21 2016-12-21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436A KR101754623B1 (ko) 2016-12-21 2016-12-21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623B1 true KR101754623B1 (ko) 2017-07-19

Family

ID=5942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436A KR101754623B1 (ko) 2016-12-21 2016-12-21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85B1 (ko) 2018-07-16 2018-12-24 이군신 작업성이 개선된 또띠아 제조용 쿨링장치
KR20200014026A (ko) * 2018-07-31 2020-02-10 권철기 터널형 식품 냉각 컨베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68B1 (ko) 2009-02-26 2009-09-22 김의근 연속냉각이송장치
KR101034278B1 (ko) * 2010-12-06 2011-05-16 김의근 식품용 냉각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68B1 (ko) 2009-02-26 2009-09-22 김의근 연속냉각이송장치
KR101034278B1 (ko) * 2010-12-06 2011-05-16 김의근 식품용 냉각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85B1 (ko) 2018-07-16 2018-12-24 이군신 작업성이 개선된 또띠아 제조용 쿨링장치
KR20200014026A (ko) * 2018-07-31 2020-02-10 권철기 터널형 식품 냉각 컨베이어
KR102130049B1 (ko) * 2018-07-31 2020-07-03 권철기 터널형 식품 냉각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976B1 (ko) 쌀국수 제조설비
KR101754623B1 (ko) 면 및 떡볶이 떡의 건조 및 냉각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CN111204551A (zh) 一种物流分拣用货物转运机器及其使用方法
CN109567241A (zh) 一种农业水果干用加工装置
CN206288258U (zh) 一种带有粉碎装置的发酵饲料输送出料装置
KR101792740B1 (ko) 고구마 말랭이 제조방법
JP4668035B2 (ja) 製茶揉乾ライン並びにその運転制御方法
CN203661652U (zh) 一种生产玉米种子的高效烘干脱粒清洗系统
CN106578827A (zh) 一种食品加工用保鲜系统
CN205831004U (zh) 一种百合自动加工生产线
JP6038371B1 (ja) 包装済み茹で麺の製造方法及び製造機
KR20100078363A (ko) 유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84858B1 (ko) 수압식 밤 내피 박피장치
KR20120107553A (ko) 묵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79119B1 (ko) 배추김치 제조 장치
CN109805356A (zh) 一种脱水食用菌用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KR100722960B1 (ko) 베이커리용 반죽물의 숙성공급시스템
CN218999453U (zh) 魔芋粉丝包装高温连续杀菌装置
CN110973535A (zh) 一种番薯干的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207998040U (zh) 一种多层叠式杀菌设备
KR100598883B1 (ko) 알의 자동탈각장치
CN216547093U (zh) 一种全自动真空包装产品杀菌设备
CN207903310U (zh) 大米斗式提升机
CN217509805U (zh) 一种鱼加工用杀菌设备
KR100473224B1 (ko) 전분-기재 제품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