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316A -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316A
KR20040065316A KR10-2004-7010383A KR20047010383A KR20040065316A KR 20040065316 A KR20040065316 A KR 20040065316A KR 20047010383 A KR20047010383 A KR 20047010383A KR 20040065316 A KR20040065316 A KR 20040065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noise filter
contac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이다다카시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3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01R13/719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with filters integral with or fitted onto contacts, e.g. tubula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는, 하우징(34)과 캡(36)을 구비한다. 하우징(34)은, 콘택트(30)가 계지된 후, 캡(36)이 덮이기 전에, 전선(32)에 노이즈 필터(35)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 공간(71)을 갖는다. 캡(36)은, 노이즈 필터(35)의 빠짐 방향으로 구비된 벽면(75)을 갖는다. 그리고, 하우징 (34)의 플러그 부분(31a)에 콘택트(30)를 계지하는 공정과, 콘택트(30)가 결선되고, 하우징(34) 내에 있는 전선(32)에 대하여 노이즈 필터(35)를 삽입하는 공정과, 하우징(34)에 대하여 캡(36)을 씌우고, 노이즈 필터(35)의 빠짐 방향으로 벽면(72)을 형성하는 공정의 순서로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를 조립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 {ELECTRIC CONNECTOR PLUG AND ITS ASSEMBLY METHOD}
이런 종류의 전기 커넥터는, 에어백 시스템의 전기 커넥터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실 내의 숨은 구획 부분에 장착된 에어백 조립체와, 전기식 또는 전자식 제어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 시스템은, 와이어 하니스에 의하여 에어백 조립체에 접속된다. 이 와이어 하니스에는, 에어백 조립체 및 제어 시스템을 별개로 설치한 후에,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이한 방법을 허용하기 위해서 전형적인 플러그 및 소켓에 의한 전기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은, 종래의 대표적인 에어백 시스템의 전기적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제어 시스템(100)은, 도시하지 않은 에어백 조립체에 있어서, 에어백을 전개하기 위한 가스 발생기에 통전하여 착화하는 착화 장치인 스퀴브(squib)(101)에, 전선(10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은, 소켓(104)과 플러그(105)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103)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 275, 575호 또는 일본 특허 제2647336호에는, 에어백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기 커넥터의 구체적인 예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 커넥터(103)에 있어서, 소켓(104)에 대하여 단락 인서트(107)가, 스퀴브(10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선 사이를 단락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플러그(105)에 대하여, 페라이트 비즈(ferrite beads)(106)가 콘택트(108)에 이르는 전선(102)에 삽입 상태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단락 인서트(107)는, 제조 중에 누설하는 전하 및 오접속에 의하여 에어백 조립체가 작동되는 일이 없도록 안전 장치로서 설치된다. 이 단락 인서트는, 단락 위치와 비단락 위치로 전환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페라이트 비즈(106)는, 차량에 구축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전선이나 차내의 각종 전자 기기, 라디오나 휴대 전화 등, 외부로부터의 여러 가지 전자파에 의하여 노이즈 전류가 스퀴브(101)에 흐르는 것에 의해서, 오폭이 발생하고 마는 것을 방지하는 노이즈 필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플러그(105)는, 콘택트(108)와 페라이트 비즈(106)를, 하우징(109) 및 캡(110) 내에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플러그(105)의 조립에 즈음하여, 콘택트(108)와 전선(102)을 L자 형상으로 결선한 후, 결선된 전선(102)의 한 쌍에 페라이트 비즈(106)를 삽입함으로써, 접속 부분이 형성된다. 다음에, 콘택트(108)와 페라이트 비즈(106)를 갖는 접속 부분을 하우징(109) 내에 수용하여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하우징(109)에 캡(110)을 씌우고 플러그(105)가 형성된다.
그렇지만, 하우징(109)에 대하여, 접속 부분의 콘택트(108) 및 페라이트 비즈(106)의 양자의 위치 결정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이 된다. 이 때, 콘택트(108)로부터 페라이트 비즈(106)까지의 거리를 소정 크기로 유지하면서, 위치 결정을 행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109)에 접속 부분으로서의 콘택트(108) 및 페라이트 비즈(106)를 장착하는 작업이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며, 조립 작업이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택트에 결선된 전선에 노이즈 필터를 삽입한 상태의 접속 부분을 하우징 및 캡 내에 수용한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콘택트와 노이즈 필터의 하우징 내의 위치 결정이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조립 순서의 전반(前半)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조립 순서의 후반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괘지 부재를 구비한 플러그의 단면도.
도 4는 하우징과 캡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제 4 도의 5-5 선 단면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플러그가 소켓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플러그에 적용되는 괘지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플러그에 대한 소켓 및 그 단락 인서트의 사시도.
도 10은 괘지 부재를 사용하여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플러그가 소켓에 장착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괘지 부재를 사용하여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플러그가소켓에 장착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다른 괘지 부재를 사용하여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플러그가 소켓에 장착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에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는, 콘택트와 전선을 결선하고, 상기 전선에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여 형성되는 접속 부분과, 상기 콘택트가 계지되는 플러그 부분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노이즈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덮이는 캡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가 계지된 후, 상기 캡이 덮이기 전에 상기 전선에 상기 노이즈 필터를 삽입 가능케 하는 삽입 공간을 갖는 구성으로 한다. 또, 상기 캡은,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향으로 벽면을 갖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의 조립 방법은, 상기 구성의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에 대하여,
(1)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플러그 부분에 상기 콘택트를 계지하는 공정과,
(2) 상기 콘택트에 결선되고, 하우징 내에 있는 상기 전선에 대하여 상기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는 공정과,
(3)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캡을 씌우고,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향으로 벽면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에 의하면, 하우징의 플러그 부분에 콘택트를 계지하고, 콘택트에 결선된 전선에 노이즈 필터를 삽입함으로써, 노이즈 필터가 하우징의 소정 위치로 된다. 전선에 대하여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는 것과, 노이즈 필터를 하우징 내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다. 그리고, 이 하우징에 캡을 씌우면,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향으로 벽면이 형성되므로, 노이즈 필터가 소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구성의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 공간에,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이즈 필터를 하우징에 삽입한 상태가, 빠짐 방지 수단에 의해서 유지된다. 그 결과, 캡을 씌울 때까지, 노이즈 필터가 위치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의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의 삽입측 전면이 축소된 직경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이즈 필터를 하우징의 삽입 공간에 삽입할 때에, 축소된 직경 형상으로부터 먼저 삽입된다. 그 결과, 삽입 공간에 노이즈 필터가 삽입하기 쉽게 된다.
상기 구성의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 공간에, 상기 노이즈 필터의 측면에 맞닿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삽입 공간에 노이즈 필터가 삽입된 후, 리브가 노이즈 필터에 접촉한다. 그때문에, 삽입 공간 내에서 노이즈 필터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노이즈 필터의 흔들림에 의한 이상음(abnormal noise)의 발생이 없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다른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는, 콘택트와 전선을 결선하고, 상기 전선에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여 형성되는 접속 부분과, 상기 콘택트가 계지되는 플러그 부분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노이즈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덮이는 캡을 구비한다. 상기 캡은, 상기 콘택트의 임시 계지 부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덮이기 전에, 상기 전선에 상기 노이즈 필터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 공간을 갖는 구성으로 한다. 또,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부분에 상기 콘택트를 계지하면,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향으로 벽면이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다른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의 조립 방법은, 상기 구성의 다른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에 대하여,
(1) 상기 캡에 상기 콘택트를 임시 계지하는 공정과,
(2) 상기 콘택트에 결선되고, 상기 캡측에 있는 상기 전선에 상기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는 공정과,
(3)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접속 부분이 제지당한 상기 캡을 씌우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플러그 부분에 상기 콘택트를 계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지 방향으로 벽면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다른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에 의하면, 캡에 콘택트를 임시 계지하고, 콘택트에 결선된 전선에 노이즈 필터를 삽입함으로써, 노이즈 필터가 캡에 대하여 소정 위치로 된다. 그리고, 이 캡을 하우징에 씌우면, 콘택트가 플러그 부분에 계지된다. 동시에,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향으로 벽면이 형성되며, 노이즈 필터가 소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전선에 대하여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는 것과, 노이즈 필터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그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6은 플러그와 소켓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1)는, 단락 인서트(4)를 지지하는 소켓(2)과, 괘지 부재(5)를 지지하는 플러그(3)로 이루어진다. 도 6의 플러그(3)의 단면을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플러그(3)는, 전기적 접속 부분(38)을 하측 부분으로서의 하우징(34) 내에 수용하고, 다시 하우징(34)에 상측 부분으로서의 캡(36)을 씌워서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3)는, 전선 및 전기 단자를 제외하여, 적당한 비도전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다.
전기적 접속 부분(38)은, 통 형상의 단자 부분으로서의 콘택트(30)와, 콘택트(30)에 결선부(33)로 결합된 도체로서의 전선(32)과, 전선(32)에 삽입된 노이즈 필터로서의 페라이트 비즈(35)로 이루어진다.
2개의 콘택트(30)는 한 쌍의 피메일(female) 타입의 전기 단자를 형성한다.피메일 타입의 전기 단자를 형성하는 통 형상의 단자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이, 대략적인 L자 형상이 되도록 방향을 바꾼다. 방향을 바꾼 단부에 2개의 전선(32)의 일단을 접속하기 위한 결선부(33)가 설치된다. 이들 전선(32)은, 절연 외장의 선이다. 이들 전선(32)의 일단의 절연 외장은, 결선부(33)에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박리된다. 이들 전선(32)은, 임의의 종래 방법, 통상적으로, 전선(32)의 벗겨진 단부의 주위에 결선부(33)의 일부를 압착함으로써 콘택트(30)에 장착된다.
콘택트(30)에 결선된 전선(32)의 한 쌍은, 후술하는 하우징(34)과 캡(36)의 사이에 수용된 노이즈 필터로서의 페라이트 비즈(35)를 통과하여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32)은 페라이트 비즈(35)를 통과시키기 위해, 유한한 길이로 절단되어 있다. 페라이트 비즈(35)는, 단면이 타원형인 기둥체로서, 평행하며 원통 형상인 2개의 관통 구멍이 관통하고 있다. 이 2개의 관통 구멍에 전선(32)이 통과된다. 이 페라이트 비드는, 높은 투자율을 갖는 페라이트로 형성되어 있고, 전기 회로의 코일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코일과 마찬가지로 고주파수의 전파(노이즈)를 커트함으로써, 에어백의 오동작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한 쌍의 병렬로 이어지는 전선(32)은, 하우징(34) 및 캡(36)의 후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도출된다.
하우징(34)은, 한 쌍의 콘택트(30)를 계지하는 플러그 부분(31)을 본체로부터 돌출 설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캡(36)은, 하우징(34)에 덮인 상태로 계지된다. 또, 하우징(34)과 캡(36)은 탭부(37)에 의하여 폴딩(folding)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하우징(34)과 캡(36)의 상세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도 4는 하우징과 캡이 전개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하우징(34)은 대략 사각통의 플러그 부분(31)을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 플러그 부분(31)에, 콘택트(30)가 삽입되는 수용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부(31a)에, 콘택트(30)를 계지하기 위한 콘택트 록(lock)(31b)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플러그 부분(31)의 양측면의 바깥쪽에, 한 쌍의 원호 형상의 탄성 각부(41)가 배치되어 있다(도 6 참조). 이 탄성 각부(41)는 아래쪽으로 신장하여,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팽출하는 괘지부(42)를 지지한다(도 6 참조). 이 괘지부(42)는, 플러그(3)를 소켓(2)에 적절하게 계합시켰을 때, 계지홈(15)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과 같은 치수 및 배치로 되어 있다(도 6 참조).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4)에는 전선(32)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페라이트 비즈(35)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 공간(7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 공간(71)은, 바닥면(71a)과 양측면(71b)과 선단 접촉면(71c)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 삽입부(71)의 상부면과 전선(32)의 연장 방향의 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또, 삽입 공간(71)의 바닥면(71a)에는, 페라이트 비즈(35)의 후단에 대한 빠짐 방지 수단으로서의 리브(7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72)는,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고, 빠짐 방지 방향으로 접촉면을 갖는 단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리브(72)는 페라이트 비즈(35)의 후단에 따르도록 바닥면(71a)의 좌우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삽입부의 양측면(71b, 71b)에는, 페라이트 비즈(35)의 측면에 접촉하는 리브(73, 7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73, 73) 사이의 간격은, 페라이트 비즈(35)의 폭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페라이트 비즈(35)의 측면에 리브(73, 73)가 접촉하기 때문에, 페라이트 비즈(35)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또, 삽입부의 양측면(71b, 71b)의 입구측은, 개구를 넓히는 것과 같은 경사면(71d)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라이트 비즈(35)의 전단과 후단은, 모따기(chamfering) 또는 라운딩(rounding)에 의해서 축소된 직경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페라이트 비즈(35)를 삽입할 때, 전후 방향에 관계없이, 삽입측 전면이 반드시 축소된 직경 형상으로 된다.
캡(36)은, 탭부(37)에서 폴딩됨으로써, 하우징(34)에 덮인다. 캡(36)의 양측면에는, 하우징(34)의 돌기부(34a)에 대한 록부(36a)가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이 캡부(36)는, 페라이트 비즈(35)의 후단에 대응되는 벽면(75)을 갖는다. 이 벽면(75)은, 전선(32)의 빠져나옴을 허용하고, 페라이트 비즈(35)의 후단의 일부에 접촉하는 낮은 제1 벽면(75a)과, 페라이트 비즈(35)의 후단의 양측 전면에 접촉하는 높은 제2 벽면(75b)으로 이루어진다.
또, 캡(36)의 바닥면에는, 페라이트 비즈(35)의 상부 부분이 끼워지는 수납부(36b)가 오목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36b)의 일부는, 凹자 형상으로 슬릿이 절단됨으로써, 탄성편(36c)으로 된다. 그 탄성편(36c)의 상측에는, 리브(36d)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36d)는, 페라이트 비즈(35)의 윗부분에 접촉하여, 페라이트 비즈(35)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괘지 부재(5)는 캡(36)과 하우징(34)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면, 캡(36)으로부터 부상한 제1 괘지 위치로 된다. 이 괘지 부재(5)는, 플러그(3)를 소켓(2)에 장착하면, 캡(36)의 상부면까지 하강하는 제2 괘지 위치로 된다. 이 제2 괘지 위치로 되면, 괘지 부재(5)는 플러그(3)가 소켓(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함과 동시에, 소켓(2)의 단락 인서트(4)를 단락 위치로부터 비단락 위치로 이행시킨다고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괘지 부재(5)를 지지하기 위해, 플러그(3) 및 접속 부분(38)은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대략 L자 형상이기 때문에, 하우징(34)에 대한 접속 부분(38)의 콘택트(30)의 위치 결정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과, 하우징(34)에 대한 접속 부분(38)의 페라이트 비즈(35)의 위치 결정 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이 다른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플러그(3)의 조립 순서를 도 1 및 도 2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하우징에 대한 통전 부분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며, 도 2는 하우징에 대하여 캡을 씌워서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먼저, 도 1의 (a)와 같이, 콘택트(30)와 단부를 갖는 전선(32)이 결선부(33)에서 결합된다. 이 결합 상태의 것이, 하우징(34)의 플러그 부분(31) 내의 수용부(31a)에 삽입된다. 이 수납부(31a)는 대략 L자 형상의 오목부로 되어 있고, 수납부(31a)에서 콘택트(30)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34) 내에서의 전선(32)의 방향이 평행하게 정렬된다. 또, 수납부(31a) 내의 콘택트 록(31b)에 콘택트(30)의 탄성편이 계합함으로써, 콘택트(30)는 하우징(34) 내에서 계지된다(도 5 참조).
다음에, 도 1의 (b)와 같이, 평행하게 정렬된 한 쌍의 전선(32)의 단부를, 페라이트 비즈(35)의 2개의 관통 구멍에 통과시킨다. 그리고, 하우징(34)의 삽입 공간(71)을 향하여, 페라이트 비즈(35)를 압입한다. 페라이트 비즈(35)는, 페라이트 비즈(35)의 단부의 모따기와 삽입 공간(71)의 입구의 경사면에 의해, 삽입 공간(71)에 용이하게 안내된다. 페라이트 비즈(35)는, 삽입 공간(71)의 바닥면에 설치된 빠짐 방지용의 리브(72)에 올라타서, 더욱 삽입된다. 어느 정도 페라이트 비즈(35)가 삽입되면, 삽입 공간(71)의 측면에 설치된 리브(73)에 의하여, 페라이트 비즈(35)의 측면이 끼워진다.
도 1의 (c)와 같이, 하우징(34)의 삽입 공간(71)의 선단에 페라이트 비즈(35)가 접촉하게 되면, 페라이트 비즈(35)는 삽입 공간(71)의 바닥면의 리브(72)를 타고 넘는다. 그러면, 이 리브(72)는, 페라이트 비즈(35)의 삽입 공간(71)으로부터의 빠짐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또, 삽입 공간(71)의 측면의 리브(73)가 페라이트 비즈(35)의 양측면을 끼우도록 접촉된다. 그 결과, 삽입 공간(71) 내의 페라이트 비즈(35)가 덜거덕거리지 않는다.
다음에, 탭(57)으로 연결되어 있는 캡(36)을 하우징(34)을 향하여 선회시킨다. 하우징(34)에 캡(36)을 씌운 상태로 되어서 양자는 계지한다. 도 2의 (a)에 나타낸 것처럼, 하우징(34)의 돌기부(34a)가 캡(36)의 록부(36a)에 계지된다. 이 계지 상태에서는, 캡(36)의 벽면(75)이, 페라이트 비즈(35)를 통과한 한 쌍의 전선(32)이 통과하는 공간을 남기고, 페라이트 비즈(35)의 후단을 덮는다. 그 때문에, 하우징(34) 내의 페라이트 비즈(35)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 캡(36)의탄성편(36c)의 내측 리브(36d)가 페라이트 비즈(35)의 상부면을 가압한다. 그 때문에, 페라이트 비즈(35)가 삽입 공간(71) 내에서 더욱 덜거덕거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하우징(34)과 캡(36)에 설치되어, L자 형상이 서로 마주하게 된 관통부에, 괘지 부재(5)를 통과시킨다. 그러면, 도 2의 (b)와 같은 조립이 완료된 플러그(3)로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하우징(34)은 콘택트(30)가 계지된 후, 캡(36)이 덮이기 전에, 전선(32)에 페라이트 비즈(35)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 공간(71)을 가지며, 캡(36)은 페라이트 비즈(35)의 빠짐 방향으로 구비된 벽면(75)을 갖는 구성의 플러그로 하고, (1) 하우징(34)의 플러그 부분(31)에 콘택트(30)를 계지하는 공정과, (2) 콘택트(30)에 결선되고, 하우징(34) 내에 있는 전선(32)에 대하여 노이즈 필터(35)를 삽입하는 공정과, (3) 하우징(34)에 대하여 캡(36)을 씌우고, 노이즈 필터(35)의 빠짐 방향으로 벽면(75)을 형성하는 공정의 순서로, 플러그가 조립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하우징(34)에 콘택트(30)를 계지하고, 노이즈 필터(35)를 전선(32)에 통과시켜, 하우징(34)의 삽입 공간(71)까지 압입한다고 하는 동작만으로, 접속 부분(38)을 하우징(34) 내의 소정 위치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의 조립을 간단하며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하우징(34)에 대하여 플러그 부분(31)이 직교하도록 돌출 설치되어, 전체가 대략 L자 형상이 된다. 그 때문에, 콘택트(30)의 위치 결정 방향과, 노이즈 필터(35)의 위치 결정 방향이 직교한다. 그러나, 이 조립 순서라면, 콘택트(30)의 위치 결정을 한 후, 전선(32)에 노이즈 필터(35)를 삽입함으로써, 노이즈 필터(35)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양쪽의 위치 결정이 간섭하는 일이 없다. 특히,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퀴브용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플러그의 상기한 조립이 에어백 시스템을 완성시킬 때에 행해지기 때문에, 콘택트(30)와 노이즈 필터(35)의 위치 결정이 간단하며 또한 확실히 행할 수 있는 구조의 플러그가 유리하다.
또, 하우징(34)의 삽입 공간(71)에, 노이즈 필터(35)의 빠짐 방지 수단으로서의 리브(72)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일단 삽입 공간(71)에 압입한 노이즈 필터(35)가 빠져 나오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다음 캡(36)을 씌울 때에, 노이즈 필터(35)가 빠져 나와 접촉한다고 하는 이상이 생기는 일이 없어진다.
또, 노이즈 필터(35)의 삽입측 전면이 모따기 등에 의해서 축소된 직경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이즈 필터(35)를 하우징(34)의 삽입 공간(71)에 삽입할 때에, 노이즈 필터(35)를 압입하기 쉽게 된다.
또, 하우징(34)의 삽입 공간(71)에, 노이즈 필터(35)의 측면에 접촉하는 리브(73)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이즈 필터(35)가 하우징(34)의 삽입 공간(71) 내에서 덜거덕거리는 일이 없다. 그래서, 자동차와 같이 진동에 의한 이상음의 발생을 상당히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는 스퀴브용 전기 커넥터에 적합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a) 콘택트(30)와 전선(32)이 L자 형상으로 결선되는 적용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택트(30)와 전선(32)이 직선 형상으로 결선된 경우의 플러그라고 해도, 노이즈 필터(35)를 전선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우징(34) 내에 수납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또, 괘지 부재(5)를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라도, 노이즈 필터(35)를 전선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우징(34) 내에 수납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b) 콘택트(30)는, 통상의 피메일 타입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핀 형상의 메일 타입(male type)이어도 된다. 또, 노이즈 필터(35)는, 페라이트 비즈에 국한되지 않고, 페라이트 이외의 고투자율의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또, 노이즈 필터(35)는, 전기 회로의 코일과 동일한 작용으로, 고주파수의 전파를 커트하는 것이면 된다.
다음에, 도 7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접속 부분(38)의 최초의 계지 위치가, 하우징(81)이 아니라 캡(82)으로 된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또, 하우징(81)과 캡(82)은 탭으로 연결되는 일 없이, 독립된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다른 부분 이외의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캡(82)에는, 콘택트(30)를 소정 위치에 임시로 고정하는 임시 계지부(8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임시 계지부(83)는 예를 들면 압입 계지부로 형성된다. 이 콘택트(30)가 병렬 상태로 캡(82)의 소정 위치에서 임시 계지된다. 이 임시 계지 위치에 있는 콘택트(30)는, 하우징(81)의 플러그 부분(84)의 수납부(84a)에 대응하도록 캡(81)에 임시 계지된다.
또, 캡(82)에는, 전선(32)을 통과하는 페라이트 비즈(35)를 전선(32)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 공간(8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 공간(85)의 내측에는, 삽입 후의 페라이트 비즈(35)의 빠짐 방지용의 리브, 삽입후의 페라이트 비즈(35)의 흔들림을 고정하는 리브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우징(81)은, 삽입 공간(85)에 삽입되는 페라이트 비즈(35)의 후단이 대향하는 벽면(86)을 갖고 있다. 이 벽면(86)은, 페라이트 비즈(35)의 수납부(87)의 후벽으로서 설치되며, 전선(32)을 뽑아낼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86a)을 갖고 있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의 플러그(3)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전선(32)이 결선된 2개의 콘택트(30)를 캡(82)에 임시 계지한다. 다음에, 2개의 전선(32)에 페라이트 비즈(35)를 끼워 넣고, 페라이트 비즈(35)를 캡(82)의 삽입 공간(85)의 끝까지 압입한다.
다음에, 페라이트 비즈(35)를 포함하는 접속 부분(38)이 고정된 캡(82)을 하우징(81)을 향하여 압입한다. 콘택트(30)는 수납부(84a)에 들어가서 계지되며, 동시에 페라이트 비즈(35)가 수용부(87)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벽면(86)에서 페라이트 비즈(35)의 탈출 방향이 폐쇄된다.
이상과 같이, 캡(82)은 콘택트(30)의 임시 계지 부분(83)을 가지며, 하우징(81)에 덮이기 전에, 전선(32)에 노이즈 필터(35)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 공간(85)을 가지고, 하우징(81)은 플러그 부분(84)에 콘택트(30)를 계지하면, 노이즈 필터(35)의 빠짐 방향에 대향되는 벽면(86)이 형성되도록 한 플러그로 하고,
(1) 캡(82)에 콘택트(30)를 임시 계지하는 공정과, (2) 콘택트(30)에 결선되어, 캡(82)측에 있는 전선(32)에 노이즈 필터(35)를 삽입하는 공정과, (3) 하우징(81)에 대하여, 접속 부분(38)이 고정되는 캡(82)을 씌우고, 하우징(81)의 플러그 부분(84)에 콘택트(30)를 계지시킴과 동시에, 노이즈 필터(35)의 빠짐 방지 방향에 대향되는 벽면(86)을 형성하는 공정의 순서에 의하여, 플러그를 조립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캡(82)에 콘택트(30)를 임시 계지하고, 노이즈 필터(35)를 전선(32)에 통과시켜서, 캡(82)의 삽입 공간(85)까지 압입한다고 하는 동작만으로, 접속 부분(38)을 캡(82) 내의 소정 위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러그의 조립을 간단하며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플러그가 적용되는 스퀴브용 전기 커넥터(1)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술한 플러그(2)에는, 소켓(2)에 대한 괘지 부재(5)가 사용된다. 이 괘지 부재(5)는, 플러그(3)에 대하여 제1 위치에서 괘지된다. 플러그(3)를 소켓(2)에 장착하면, 괘지 부재(5)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다. 괘지 부재(5)가 이 제2 위치로 되면, 괘지 부재(5)는 소켓(3)의 단락 인서트(5)를 단락 상태로부터 비단락 상태로 함과 동시에, 플러그(3)가 소켓(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괘지 부재(5)는, 천정부 또는 가압부(50)와, 이 가압부(50)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한 쌍의 제1 각부(51)와, 이 제1 각부(51)의 양측에 위치하는 규제부(52)와, 가압부(50)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일렬로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한 쌍의 제2각부(5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 각부(51)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제1 괘지부(54)와, 제2 괘지부(55)를 구비한다. 제1 괘지부(54)는 외측으로 작게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 괘지부(55)는, 외측으로 크게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각부(51)의 제1 괘지부 또는 소돌출부(54)는, 그 선단에 계단부(54a)를 형성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3)의 탄성 각부(41)에 있어서 개구(60)의 하단에 계단부(61)가 형성되어 있다. 괘지 부재(5)는, 플러그(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각부(51)의 계단부(54a)가 탄성 각부(41)의 계단부(61)에 부딪치기 때문에, 제1의 괘지 위치에서 괘지된 상태가 된다. 이 때, 괘지 부재(5)의 제2의 괘지부 또는 대돌출부(55)는, 개구(6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작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탄성 각부(41)의 하단 내측에, 지름 방향 내측에 파인 괘지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괘지 홈(62)에는, 제1의 괘지 위치로부터 이동해 온 괘지 부재(5)의 제1 괘지부(54)의 외측으로의 돌출부가 괘지됨으로써, 괘지 부재(5)는 제2의 괘지 위치로 된다. 이 제2의 괘지 위치에 있어서 괘지의 정도는, 괘지 부재(5)를 플러그(3)로부터 끌어올림으로써, 제1의 괘지 위치로 되돌릴 수 있는 정도로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각부(51)의 양측의 규제부(52)는, 제1 각부(51)의 탄성 변형을 저해하지 않는 슬릿(56)을 사이에 두고서 위치함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될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점선 부분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규제부(52)는 플러그(3)의 탄성 각부(41)에 있어서의 두꺼운 벽 부분(63)의 내측과 플러그 부분(31)의 외측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괘지 부재(5)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괘지 위치 즉, 플러그(3)로부터 천정부(5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탄성 각부(41)가 괘지부(42)의 내측으로의 변형은 이 규제부(52)에 의하여 규제되는 일이 없다. 도 11의 점선으로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괘지 부재(5)가 제2 괘지 위치 즉, 천장부(50)가 오목부(45)에 수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규제부(52)는 두꺼운 벽 부분(63)의 내측 돌출부(63a)에 대면하는 위치까지 내려간다. 이것에 의해, 괘지부(42)가 계지홈(15)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면, 내측 돌출부(63a)가 규제부(52)에 접촉하여, 괘지부(42)는 벗겨지지 않는다. 단, 보통의 상태에서는, 규제부(52)는, 플러그 부분(31)이나 탄성 각부(41)의 두꺼운 벽 부분(63)과의 사이에 간극이 있다. 그 때문에, 괘지부(5)의 제1 괘지 위치로부터 제2 괘지 위치로의 원활한 삽입 이동이 확보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각부(53)는, 가장 아래쪽까지 뻗어있는 판으로 되어 있다. 괘지 부재(5)가, 제1 괘지 위치로부터 제2 괘지 위치까지 압입된다. 그러면, 괘지 부재(5)는 단락 클립(24)의 절곡 부분까지 진출하여, 핀(13)으로부터 접촉부(27)를 퇴피시키고, 핀(13)에 대한 전기적 단락을 해제하도록 작용한다(도 9 참조). 이 단락 인서트(4)는, 소켓(2)에 플러그(3)가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계합하기까지, 소켓(2)의 접점을 단락 상태로 한다.
소켓(2)은, 개구부(11)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본체(1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도 6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개구부(11)를 형성하는 본체(10)는, 착화 장치의 하우징 등과 같은 관련된 구조체 내에 직접 내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이개구부(11)는 분리된 별개의 요소로서 형성하여, 관련된 구조체에 추가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개구부(11)를 형성하는 본체(10)는 저부벽(12)에서 종단으로 되고, 그 저부벽(12)으로부터는, 금속제로 도전성의 한 쌍의 메일 타입의 커넥터인 핀(13)이 신장된다. 이들 2개의 핀(13)은, 임의의 종래의 방법으로 에어백 착화 장치의 각각(도시하지 않음)의 도선에 접속됨으로써, 이 핀(13)을 통해서 전기 에너지를 착화 장치에 부여한다.
개구부(11)의 입구에는 경사면(14)이 형성되며, 개구부(11)의 내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된 계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4)은 도 10에 가장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3)의 탄성 각부(41)가 괘지부(42)를 수용한다. 이 경사면(14)은, 중심을 향하는 변형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작용과, 괘지 부재(5)의 제2의 괘지부(55)를 수용하고, 중심을 향하는 변형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계지홈(15)은 플러그(3)의 괘지부(42)를 받아들인다. 이 계지홈(15)은, 계합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과, 괘지 부재(5)의 제2 괘지부(55)를 받아들여서 제2의 괘지 위치로 전환하는 작용을 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의 입구의 한 곳에 반원 형상의 오목부(16)가 설치된다. 이 오목부(16)는, 단락 인서트(4)를 소켓(11) 내에 배치했을 때, 그 단락 인서트(4)의 방향을 설정하는 작용을 한다. 단락 인서트(4)는, 개구부(11) 내에 받아들여진다. 플러그(3)가 소켓(2)에 계합하고, 플러그(3)의 괘지 부재(5)가 제2의 괘지 위치로 되지 않을 때, 단락 인서트(4)는 그 사이에 전기적 접속 상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일 타입의 콘택트(13)를 단락시키는작용을 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 인서트(4)는 개구부(11) 내에 밀착되게 수용될 수 있는 치수로 된 원기둥 형상의 성형 플라스틱제의 본체(21)를 구비한다. 본체(21)의 상부면의 측면에는, 홈(16) 내에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배치 및 치수로 한 짧고, 아래쪽으로 신장하는 반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22)는, 단락 인서트(4)를 개구부(11)에 대하여 적정하게 방향 결정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이 본체(21)는, 메일 타입의 콘택트인 핀(13)이 통과하여 신장되며, 중앙에 배치된 상부면과 양측면에 개방되는 개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단락 클립(24)은, 단락 인서트(4)의 본체(21) 내에 유지되어 있다. 이 단락 클립(24)은, 용수철 강과 같은 탄성적인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 단락 클립(24)의 일부는, 양쪽의 핀(13)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그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 회로를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소켓(2)과 플러그(3)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1)의 접속 동작을 도 10 및 도 11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0과 같이, 단락 인서트(4)는 소켓(2)의 개구부(11) 내에 미리 끼워 맞춤됨으로써, 핀(13)의 전기적 단락을 행하고 있다. 플러그(3)에 대하여 괘지 부재(5)가 제1 위치 즉, 제1 괘지부(54)가 계단부(61)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괘지된다. 플러그(3)가 소켓(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괘지 부재(5)를 플러그(3)에 대하여 눌러도, 괘지 부재(5)는 내려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괘지 부재(5)의 천정부(50)는 플러그(3)의 오목부(45)로부터 부상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며, 그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플러그(3)의 측면을 손으로 잡아서, 탄성 각부(41)의 하단의 평행부를 소켓(2)의 개구부(11) 안으로 삽입한 상태를 도 10에 명료하게 나타낸다. 탄성 각부(41)의 괘지부(42)가 개구부(11) 입구의 경사면(14)에 접촉하여 정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엄지 가락을 사용하여, 괘지 부재(5)의 천정부(50)를 누르면, 탄성 각부(41)에 내측을 향하는 모멘트 M1이 작용한다. 그러면, 탄성 각부(41)와 제1 각부(51)가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탄성 각부(41)의 괘지부(42)가 계지홈(15) 내에 끼워진다. 이 때, 괘지 부재(5)의 규제부(52)는 위쪽에 위치하여, 탄성 각부(41)의 변형을 규제하지 않는다.
탄성 각부(41)의 괘지부(42)가 계지홈(15) 내에 끼워지면, 그 시점에서 괘지 부재(5)의 제2 괘지부(55)가 소켓(11) 입구의 경사면(14)과 간섭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각부(51)에 내측을 향하는 모멘트 M2가 작용하고 있고, 이미 제1 각부(51)의 제1 괘지부(54)는 탄성 각부(41)의 계단부(61)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 때문에, 괘지 부재(5)의 천정부(50)를 누르는 동작이 계속하여 작용하므로, 괘지 부재(5)가 더욱 내려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각부(51)의 제2 괘지부(55)가 계지홈(15) 내에 수납되고, 제1 각부(51)의 제1 괘지부(54)가 괘지 홈(62)에 괘지되는 제2의 괘지 위치로 된다. 또, 괘지 부재(5)의 규제부(52)가, 두꺼운 벽 부분(63)의 내측 연장부(63a)에 대면하는 위치(계지홈(15)과 괘지부(42)가 계합하는 부분의 근처)까지 내려간다. 그 결과, 괘지부(42)가 계지홈(15)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움직임을 규제하고, 플러그(3)는 소켓(2)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 제2의 괘지 위치에서는, 괘지 부재(5)의 천정부(50)가 플러그(3)의 오목부(45) 안으로 가라앉는다. 그에 따라, 소켓(2)과 플러그(3)의 기계적 계합이 완전히 종료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괘지 부재(5)의 제2 각부(53)의 선단은, 단락 클립(24)의 도중의 스텝 형상 절곡부를 연장시킨다. 그 결과, 단락 클립(24)이 핀(13)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되어, 핀(13)의 단락 상태가 해제되고 전기적 끼워맞춤도 완전히 종료된다.
이와 같이, 괘지 부재(5)를 누른다고 하는 1회의 동작에 의하여, 소켓(2)에 플러그(3)의 기계적 계합과 전기적 끼워맞춤이 완전히 종료된다. 소켓(2)에 플러그(3)의 기계적 계합이 완료되면, 괘지 부재(5)를 제2의 괘지 위치로부터 제1의 괘지 위치로 되돌리지 않는 한, 플러그(3)를 소켓(2)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12는, 괘지 부재(5)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괘지 부재(5)는, 플러그(3)가 소켓(2)에 장착된다. 그러면, 단락 인서트(4)가 비단락 위치까지 퇴피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켓(2)과 계합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괘지 부재(5)가 소켓(2)과 계합하면, 소켓(2)과 플러그(3)의 분리가 저지된다.
괘지 부재(5)의 도중은, 하우징(34)의 계지 볼록부(90)에 계지되어 제1의 괘지 위치를 유지한다. 괘지 부재(5)의 아래쪽에 계지홈(15)에 대한 괘지부(91)가 팽출(膨出)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괘지부(91)의 뒤쪽에는, 함몰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함몰부(92)는, 괘지부(91)가 계지홈(15)과 계합하고 있는 상태가 되면, 대향하는 제1 각부(51)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한 플러그 부분(31)에 설치된 볼록부(93)와 계지 가능한 위치로 되는 것과 같은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
도 12와 같이, 소켓(2)에 플러그(3)를 접촉하여 괘지 부재(5)의 가압부(50)를 누르면, 괘지 부재(5)의 괘지부(91)가 경사면(14)에 접촉하여, 직경이 축소된다. 그러면, 계지 볼록부(90)로부터 괘지 부재(5)가 벗겨지고, 괘지 부재(5)는 소켓(2)을 향하여 진입해 간다. 괘지 부재(5)의 괘지부(91)가 계지홈(15)에 끼워지면, 소켓(2)에 대한 플러그(3)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 장착과 동시에, 도 10의 괘지 부재(5)와 동일하게 단락 인서트(4)를 비단락 위치까지 퇴피시킨다. 또, 전선을 끌어올리는 등에 의하여, 플러그(3)의 하우징(34)이 들어 올려지면, 볼록부(93)가 함몰부(92)에 접촉된다. 그러면, 괘지부(91)의 축소된 직경이 제한되어, 플러그(3)가 소켓(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도 10 또는 도 11의 어느 괘지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플러그(3)가 소켓(2)에 장착된다. 괘지 부재(5)가 침하된 상태에서는, 단락 인서트(4)가 비단락 위치까지 퇴피됨과 동시에, 소켓(2)과 플러그(3)의 분리가 저지된다.
이와 같은 소켓(2)과 플러그(3)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1)는, 도 13에 나타내는 에어백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면 안 되는 에어백 착화 장치(스퀴브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의 일부로서 구비되어 있다. 착화 장치는, 그 2개의 도선을 통해서 충분한 전기 에너지가 부여될 때에 연소하는 화공(火工) 장치이다. 이 착화 장치의 연소에 의하여 가스 발생 재료가 착화되고, 그 결과, 에어백이 전개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본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3)는, 특히 차량의 탑승자를 구속하는 에어백 시스템에 적용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보다 광범한 적용이 가능하며, 많은 다른 환경 및 각종의 목적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콘택트와 전선을 결선하고, 상기 전선에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여 형성되는 접속 부분과,
    상기 콘택트가 계지되는 플러그 부분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노이즈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덮이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가 계지된 후 상기 캡이 덮이기 전에, 상기 전선에 상기 노이즈 필터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 공간을 가지며,
    상기 캡은,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향으로의 벽면을 갖는 구성으로 한,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 공간에,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의 삽입측 전면이 축소된 직경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 공간에, 상기 노이즈 필터의 측면에 접촉하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5. 콘택트와 전선을 결선하고, 상기 전선에 노이즈 필터를 삽입한 접속 부분과, 상기 콘택트가 계지되는 플러그 부분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노이즈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덮이는 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의 조립 방법으로서,
    (1)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플러그 부분에 상기 콘택트를 계지하는 공정과,
    (2) 상기 콘택트에 결선되고, 하우징 내에 있는 상기 전선에 대하여 상기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는 공정과,
    (3)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캡을 씌우고,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향으로 벽면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의 조립 방법.
  6. 콘택트와 전선을 결선하고, 상기 전선에 노이즈 필터를 삽입한 접속 부분과,
    상기 콘택트가 계지되는 플러그 부분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노이즈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덮이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콘택트의 임시 계지 부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덮이기전에, 상기 전선에 상기 노이즈 필터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부분에 상기 콘택트를 계지하면,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향으로 벽면이 구성되도록 한,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7. 콘택트와 전선을 결선하고, 상기 전선에 노이즈 필터를 삽입한 접속 부분과, 상기 콘택트가 계지되는 플러그 부분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노이즈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덮이는 캡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의 조립 방법으로서,
    (1) 상기 캡에 상기 콘택트를 임시 계지하는 공정과,
    (2) 상기 콘택트에 결선되고, 상기 캡측에 있는 상기 전선에 상기 노이즈 필터를 삽입하는 공정과,
    (3)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접속 부분이 계지된 상기 캡을 씌우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플러그 부분에 상기 콘택트를 계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노이즈 필터의 빠짐 방지 방향으로 벽면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의 조립 방법.
KR10-2004-7010383A 2001-12-31 2002-12-19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 KR200400653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403242 2001-12-31
JP2001403242A JP2003203722A (ja) 2001-12-31 2001-12-31 電気コネクタ用プラグ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PCT/JP2002/013327 WO2003058767A1 (fr) 2001-12-31 2002-12-19 Fiche de connecteur electrique et procede de montage correspond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316A true KR20040065316A (ko) 2004-07-21

Family

ID=1919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383A KR20040065316A (ko) 2001-12-31 2002-12-19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17545B2 (ko)
EP (1) EP1463163B1 (ko)
JP (1) JP2003203722A (ko)
KR (1) KR20040065316A (ko)
CN (1) CN1316689C (ko)
WO (1) WO20030587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41B1 (ko) * 2005-06-07 2007-05-22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20180001036U (ko) 2016-10-06 2018-04-16 정성진 파이프 고정용 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7750B2 (en) * 2003-07-23 2006-02-1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DE102004017372B4 (de) * 2004-04-08 2006-01-12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zwei Steckelementen
DE102005001515B4 (de) * 2005-01-13 2008-01-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202005021651U1 (de) * 2005-02-02 2009-02-19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er mit Störschutzvorrichtung für Leitungssätze
DE102005021375B4 (de) * 2005-05-04 2007-02-01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Airbag-Zündsysteme
JP4752606B2 (ja) * 2006-05-15 2011-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9001079B4 (de) * 2009-02-23 2022-02-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erkörp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owie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elektrischen Kabels in einem Steckverbinder
JP5322283B2 (ja) * 2009-04-27 2013-10-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82631B2 (ja) * 2009-10-07 2014-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E20151377A1 (es) 2009-11-03 2015-09-18 Orica Explosives Tech Pty Ltd Conector
US9325114B2 (en) * 2010-09-01 2016-04-26 Molex, Llc Plug connector
CN103797657B (zh) * 2011-07-25 2016-04-20 矢崎总业株式会社 电连接器
US8661985B2 (en) * 2012-04-18 2014-03-04 Autoliv Asp, Inc. Low-profile igniter assemblies adapted for use with inflatable airbag systems
JP5978106B2 (ja) * 2012-11-08 2016-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間の接続構造
JP6107376B2 (ja) * 2013-04-24 2017-04-05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170808B2 (ja) * 2013-10-23 2017-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CN203660180U (zh) * 2013-12-06 2014-06-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连接器固定件及应用此连接器固定件的连接器模块
US9356394B2 (en) * 2013-12-11 2016-05-31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connector
EP2961006B1 (en) * 2014-06-24 2018-03-14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JP2017011201A (ja) * 2015-06-25 2017-01-12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6407819B2 (ja) * 2015-07-31 2018-10-17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コンポーネント
JP6792797B2 (ja) * 2017-03-01 2020-12-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ユニット
CN107734904B (zh) * 2017-11-06 2023-11-14 旭源电子(珠海)有限公司 一种恒压电源的飞线底座及其制造方法
US11031726B2 (en) * 2018-11-02 2021-06-08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Connector assembly having inflow resistant interface
JP6966510B2 (ja) 2019-06-04 2021-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66509B2 (ja) 2019-06-04 2021-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777A (ja) * 1990-05-08 1992-01-20 Fujitsu Ltd コネクタ
JPH05159836A (ja) * 1991-12-02 1993-06-25 Fuji Electric Co Ltd ノイズ抑制機能付き端子台
US5275575A (en) * 1992-10-09 1994-01-04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safety interlock
US5314345A (en) * 1992-10-09 1994-05-24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interlock
DE4317344A1 (de) * 1993-05-25 1994-12-01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69627923T2 (de) * 1995-03-20 2004-03-11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sicherter Endposition
JP3613375B2 (ja) * 1997-11-07 2005-01-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276953B1 (en) 1997-12-04 2001-08-21 Thoma & Betts International, Inc.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JP3200605B2 (ja) * 1999-04-08 2001-08-20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電気信管点火装置用コネクタ
JP3508016B2 (ja) * 1999-12-24 2004-03-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1196142A (ja) * 2000-01-07 2001-07-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217388B1 (en) * 2000-02-04 2001-04-17 Delphi Technologies, Inc. Low profile SIR connector and terminal
JP3650034B2 (ja) * 2000-03-01 2005-05-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DE60107316T2 (de) * 2000-04-25 2005-12-01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Sparks Steckverbin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41B1 (ko) * 2005-06-07 2007-05-22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20180001036U (ko) 2016-10-06 2018-04-16 정성진 파이프 고정용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0994A (zh) 2005-04-27
EP1463163B1 (en) 2016-04-20
CN1316689C (zh) 2007-05-16
EP1463163A1 (en) 2004-09-29
US20050048843A1 (en) 2005-03-03
JP2003203722A (ja) 2003-07-18
US8317545B2 (en) 2012-11-27
WO2003058767A1 (fr) 2003-07-17
EP1463163A4 (en)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5316A (ko)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
KR100278818B1 (ko) 안전 연동장치를 구비한 전기 접속 시스템
KR100282328B1 (ko) 연동장치를가진전기접속시스템
JP2003203722A5 (ko)
KR100564091B1 (ko) 전기 접속 시스템
JP2625339B2 (ja) 電気プラグ接続装置
US6203342B1 (en) Grounding plate for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US6893277B2 (en) Squib connector assembly with CPA
KR100530174B1 (ko) 잠금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US6663411B2 (en) Clamshell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US7556516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3607883B2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4885504B2 (ja) 電気的接続装置
US7147503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having a cover with a latch
KR101019797B1 (ko) 전기적 접속 장치
US7125284B2 (en) Miniaturiz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rimpability
KR100976325B1 (ko)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단락조립체
CN112038815B (zh) 连接器
JP2001319747A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US7607945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