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325B1 -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단락조립체 - Google Patents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단락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325B1
KR100976325B1 KR1020030010923A KR20030010923A KR100976325B1 KR 100976325 B1 KR100976325 B1 KR 100976325B1 KR 1020030010923 A KR1020030010923 A KR 1020030010923A KR 20030010923 A KR20030010923 A KR 20030010923A KR 100976325 B1 KR100976325 B1 KR 10097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ssembly
short circuit
circuit assembl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538A (ko
Inventor
하야시토시아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03007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페라이트 부재를 갖는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단락 조립체에 있어서 노이즈 저감효과가 크고 점화장치가 오작동할 우려가 적게 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페라이트(1)는 복수의 핀 콘택트(110)를 갖는 기기측 커넥터(100)와 이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150)와, 이 사이에 개장되는 단락 조립체(2)를 구비한다. 단락 조립체(2)는 플러그 커넥터(150)와 기기측 커넥터(100)과의 비접촉시에 복수의 핀 콘택트(110)를 단락시키는 단락부재(20)를 갖는다. 더욱이 단락 조립체(2)는 핀 콘택트(110)를 감싸는 페라이트 부재(16)를 갖는다. 이에 따라 페라이트 부재(16)를 점화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 단락, 점화

Description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단락조립체{Connector assembly for igniter system and shorting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단락 조립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단락 조립체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단락 조립체에 사용되는 페라이트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단락 조립체의 배면도.
도 6은 도 2의 단락 조립체의 우측면도.
*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2 단락 조립체
3 단락 조립체의 절연하우징
16 페라이트 부재
20 단락용 콘택트(단락부재)
100 기기측 커넥터(제1커넥터)
110 핀 콘택트
150 플러그 커넥터(제2커넥터)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이즈 저감용 페라이트 부재를 갖는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단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장치 혹은 전자장치의 경로 내에 외부로부터 노이즈가 침입하는 것을 저감시키는 것은 종래부터 행해져 왔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는 승차인원에 대한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에어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전기 경로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의 노이즈 저감용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의 점화장치가 노이즈의 침입에 의해 오작동되어 불필요한 때에 에어백이 팽창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기 경로 내의 전기 커넥터 내에 노이즈 저감용 소자로서 페라이트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페라이트 부재를 갖는 전기 커넥터의 일례로서 특개평10-241785호 공보에 개시된 점화관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점화관 커넥터는 기기측 즉 에어백 측의 커넥터에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점화관 커넥터의 절연하우징 내에는 노이즈 저감용 소자로서 콘택트의 주위에 페라이트 비즈(페라이트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 제2647335호 공보에는 마찬가지로 기기측에 감합하는 커넥터 내에 전선의 주위에 배치된 페라이트 비즈(페라이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종래기술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기기측의 커넥터에 감합하는 컨텍터 측에 페라이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기측의 커넥터에는 양 커넥터가 감합하지 않은 상태시(비접속시)에 기기측의 전기경로를 단락시키는 단락부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이유는 양 커넥터가 감합하기 전에 기기측의 전기경로에 노이즈가 침입하면 기기측의 점화장치가 오작동하여 에어백이 팽창해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기기측의 콘택트를 단락시켜 회로를 폐회로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종래기술에 있어서 페라이트 부재는 신호경로에 따라 기기측에서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페라이트 부재의 위치에서 점화장치에 이르기까지의 전기경로로부터 노이즈가 침입한 경우는 점화장치를 오작동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페라이트 부재를 배치하는 위치는 가능한한 기기측(점화장치측)에 가까운 쪽에 설치하는 편이 오작동의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노이즈 저감효과가 크고 점화장치가 오작동할 우려가 적은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단락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는 복수의 콘택트가 외측을 향해 돌설된 기기측의 제1커넥터와, 해당 제1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사이에 개장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와의 비접속시에 제1커넥터의 복수의 콘택트를 단락시켜 두는 단락부재를 갖는 단락 조립체와,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경로 중에 노이즈 저감용 페라이트 부재를 갖고 구성되는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페라이트 부재가 복수의 콘택트를 감싸도록 단락 조립체 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락 조립체는 복수의 콘택트를 갖는 기기측의 제1커넥터와 제1커넥터에 접속되는 타방의 제2커넥터와의 사이에 개장되는 절연하우징과, 절연하우징 내에 배치된 단락부재를 구비하고 단락부재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와의 비접속시에 제1커넥터의 복수의 콘택트를 단락시켜 두도록 구성된 단락 조립체에 있어서, 절연하우징이 복수의 콘택트를 감싸는 위치에 노이즈 저감용 페라이트 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이하 단순히 커넥터 조립체라 한다.) 및 단락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는 에어백(미도시)측(기기측)의 커넥터(제1커넥터)(100)와, 이 기기측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제2커넥터)(150)와 이들 기기측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150)과의 사이에 개장되는 션트 링(shunt ring) 즉 단락 조립체(SCR; Short Circuit Ring)(2)를 갖는다. 기기측 커 넥터(100)는 후술하는 단락 조립체(2)를 배치하는 요부(凹)(102) 및 이 요부(102)의 주위에 외측을 향해 형성된 환상벽(104)이 형성된 하우징(106)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우징(106)은 양 커넥터의 감합부 근방만을 나타낸다.
전술한 요부(102)는 거의 원형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저면(108)으로부터는 기기측 커넥터(100)가 요부(102) 내에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핀 콘택트(110)는 편의상 하우징(106)과 동일한 햇칭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있으나 하우징(106)과는 별도 부재의 금속제 부품이다. 요부(102)의 내면(112)에는 내면(112)의 주위를 따르는 환상의 계합철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된 단락 조립체(2)와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계합태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150)에 대해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150)는 상측 하우징(152)과 하측 하우징(154), 이들 하우징(152, 154)에 상방에서 삽입되는 감합보증부재(CP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156)를 포함하는 절연하우징(158)을 갖는다. 하측 하우징(154)은 하방으로 돌출하는 감합철부(160)를 갖는다. 이 감합철부(160)는 중공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전술한 핀 콘택트(110)를 수용하는 개구(162)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하우징(158) 내에는 전술한 감합철부(160)의 중공 부분에 배치되는 거의 L자형 암콘택트(164)가 배치되고 이 암콘택트(164)의 타단에는 전선(166)이 압착되고 암콘택트(164)와 전선(16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암콘택트(164)의 상기 감합철부(160)에 배치되는 부분은 핀 콘택트(110)와의 접촉부(168)가 된다. 또한 하측 하우징(154)은 단락 조립체(2)에 감합한 때에 기기측 커넥터(100)와 래치계합 하는 미도시의 계합각을 갖는다. 이 계합각은 도 1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하우징(152)에는 오목홈(170)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170)에 감합보증부재(156)가 장착된다. 감합보증부재(156)는 플러그 커넥터(150)가 단락 조립체(2)에 계합한 후, 전술한 계합각의 내측에 배치되고 이 계합각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설편을 도 1의 지면과 직교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갖는다. 이 설편에 의해 플러그 콘택트(150)와 기기측 커넥터(100)와의 감합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 감합상태를 유지하는 기구는 공지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 감합유지 기구는 본원 발명의 출원인의 2002년 2월 25일자 특허출원(명칭: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명세서 중에 기재된 감합보증부재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50)에는 페라이트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단락 조립체(2)에 대해 도 2에서 도 6을 합쳐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단락 조립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단락조립체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단락 조립체에 사용되는 페라이트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단락조립체의 배면도, 도 6은 도 2의 단락조립체의 우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단락 조립체(2)는 기기측 커넥터(100)의 하우징(106)의 요부(102)에 수용되는 외형 형상의 절연하우징(3)을 갖는다. 절연하우징(3)은 거의 원형의 저벽(8)과, 이 저벽(8)의 양측에 입설된 측벽(10, 11) 및 측벽(10, 11)의 상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4, 6)를 갖는다. 측벽(10, 11)에 의해 구성된 내부공간은 플러 그 커넥터(150)의 감합철부(160)를 수용하는 감합요부(22, 도 3, 도 5)가 된다.
측벽(10, 11)에는 횡방향으로 뻗는 계합돌기(28)가 측벽(10, 11)의 외주를 따라 양단부에 돌설되어 있다. 플랜지(4, 6) 및 측벽(10, 11)에는 이 계합돌기(28)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30) 및 홈(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돌기(28)는 단락 조립체(2)를 기기측 커넥터(100)에 삽입한 때에 기기측 커넥터(100)의 계합요부(114)에 계합하여 단락 조립체(2)가 고정된다.
또한 측벽(10, 11)에는 플랜지(4, 6)의 하부에 회전멈춤부(29, 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멈춤부(29, 31)는 횡단면 형상이 측벽(10, 11)의 외주에서 굴곡율 반경이 작은 원통형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이 회전멈춤부(29, 31)는 단락 조립체(2)가 기기측 커넥터(100)의 요부(102)에 배치된 때에 요부(102) 내의 대응하는 요부(미도시)에 계합하여 단락 조립체(2)가 원주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측벽(10, 11)의 하단부 양측에는 도 5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단락 조립체(2)의 삽발방향으로 뻗는 압입돌기(38, 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돌기(38, 40)는 거의 원통형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기기측 커넥터(100)의 요부(102)에 단락 조립체(2)가 삽입된 때에 이 압입돌기(38, 40)가 요부(102)의 내면(112)과 마찰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단락 조플랜지(4, 6)는 각각 측벽(10, 11)을 따른 원호상 단 가장자리(4a, 6a)를 갖는다. 또한 도 3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저벽(8)에는 횡방향으로 측벽(11)측까지 뻗고 측벽(10)측에 개방하는 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간(14)에는 도 2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공간(14)에 연통하여 평면으로 거의 사각형의 상방에 개방하는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14)에는 페라이트 부재(16)가 측벽(10)측에서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 페라이트 부재(16)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측벽(1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방향의 거의 중간에 어깨(18a, 도 3)를 갖는 콘택트 수용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홈(18)은 전술한 공간(14)과 측벽(10)측에서 연통한다. 이 콘택트 수용홈(18)에는 단락용 콘택트(단락부재)(20)가 배치된다. 단락용 콘택트(20)는 콘택트 수용홈(18)에 삽입되는 기부(20a)에서 연결되는 이격한 2개의 접촉편(24)을 갖는다.
접촉편(24)은 기부(20a)에서 출발하는 지지부(24c)를 갖고 이 지지부(24c)에서 더욱 콘택트 수용홈(18)의 상단에서 감합요부(22) 내에 만곡하면서 되접혀지고 저벽(8)을 향해 뻗고 선단부(24a)는 약간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편(24)의 선단(24b)은 전술한 핀 콘택트(110)에 대응하는 좌우에서의 위치를 넘어 있다. 즉 핀 콘택트(110)가 감합요부(22)에 배치된 때는 접촉편(24)의 선단(24b)은 핀 콘택트(110)에 탄력적으로 당접하게 된다. 콘택트 수용홈(18)에 배치된 접촉편(24)의 지지부(24c)에는 전술한 어깨(18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워진 래치 설편(26)이 형성되고 이 래치 설편(26)과 어깨(18a)가 계합함으로써 단락용 콘택트(20)가 콘택트 수용홈(18)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단락 조립체(2)에 조립되는 페라이트 부재(16)에 대해 설명한다.
페라이트 부재(16)는 도 4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일부가 잘려 떨어져 평면(32)이 형성된 거의 원반상을 띠고 있다. 페라이트 부재(16)는 외주를 따라 모 따기(33)를 갖고 또한 중앙부분에는 거의 사각형의 요부(34)를 양면에 갖는다. 요부(34)는 플러그 커넥터(150)와의 감합시에 플러그 커넥터(150)의 감합철부(16)의 선단의 릴리프가 된다. 요부(34)를 양면에 설치한 것은 페라이트 부재(16)의 삽입시에 표면, 뒷면을 고려하지 않고 전술한 공간(14)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요부(34) 내에는 핀 콘택트(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핀 콘택트(110)가 삽통되는 한 쌍의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페라이트 부재(16)가 공간(14)에 삽입되면 잘라져 나간 평면(32)은 측벽(10)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전술한 접촉편(24)이 콘택트 수용홈(18)에 삽입되면 단락용 콘택트(20)의 기부(20a)가 페라이트 부재(16)의 평면(32)에 위치하여 페라이트 부재(16)의 빠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페라이트 부재(16)가 공간(14)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페라이트 부재(16)가 공간(14) 내에서 회전하면 구멍(36)의 위치가 변화하고 단락 조립체(2)를 기기측 커넥터(100)에 장착한 때에 핀 콘택트(110)가 구멍(36)을 통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커넥터 조립체(1)를 조립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단락 조립체(2)를 기기측 커넥터(100)의 요부(102)에 삽입하면 요부(102)의 내면(112)을 따라 측벽(10, 12)가 삽입되지만 계합돌기(28)가 있기 때문에 측벽(10, 11)은 내측으로 휘어진다. 계합돌기(28)과 계합요부(114)가 계합하면 측벽(10, 11)은 탄력적으로 복귀하여 요부(102) 내에 고정되고, 또한 전술한 압입돌기(38, 40)가 요부(102)의 내면(112)에 압접되어 마찰계합한다. 이 때 핀 콘택트(110)는 도 3에 있어서 접촉편(24)을 좌측으로 휘게 하면서 페라이트 부재(16)의 구멍(36)에서 돌 출하고 단락 조립체(2)의 감합요부(22)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150)를 계합요부(22)에 삽입하여 완전히 감합하면 암콘택트(164)의 접촉부(168)와 핀 콘택트(110)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감합보증부재(156)는 상측 하우징(152)에 아직 들어가 있지 않다. 전술한 계합각은 단락 조립체(2)의 감합요부(22)에 도 1에서의 지면과 직교방향에 위치한다.
이렇게 한 후 감합보증부재(156)를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측 하우징(152)에 밀어 넣으면 전술한 계합각은 감합보증부재(156)의 설편에 의해 단락 조립체(2)의 감합요부(22)에서 외측으로 확대되어 전술한 환상의 계합요부(114)에 계합한다. 또한 감합보증부재(156)에서 직하하는 설편(172)이 단락용 콘택트(20)의 접촉편(24)를 외측으로 휘게 하므로 접촉편(24)의 선단(24b)가 핀 콘택트(110)에서 이격하여 폐회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전기적으로 점화장치의 작동이 가능해 지는 개회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페라이트 부재(16)가 단락 조립체(2)에 취부됨으로써 페라이트 부재(16)가 기기측에 극히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게 되고, 페라이트 부재(16)와 기기측의 점화장치의 사이에 노이즈가 침입할 우려가 매우 낮아진다. 본 발명은 페라이트 부재(16)가 기기측에 가장 가까운 단락 조립체(2)의 저벽(8)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효과는 한층 커진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성형된 절연하우징(3)에 페라이트 부재(16)를 삽입하였으나 페라이트 부재(16)는 절연하우징(3)에 인서트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는 기기측의 제1커넥터와, 해당 제1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사이에 개장되는 단락 조립체를 갖고, 노이즈 저감용 페라이트 부재가 복수의 콘택트를 감싸도록 단락 조립체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페라이트 부재와 점화장치가 있는 기기측의 간격(거리)이 적어진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 외부의 노이즈가 침입할 가능성이 적어지고 노이즈 저감효과가 큰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락 조립체는 이 단락 조립체의 절연하우징 내에 복수의 콘택트를 감싸는 위치에 노이즈 저감용 페라이트 부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페라이트 부재와 점화장치가 있는 기기측의 간격(거리)이 적어져 이 부분에서 외부의 노이즈가 침입할 가능성이 적어지고 노이즈 저감효과가 커진다.

Claims (2)

  1. 복수의 콘택트가 외측을 향해 돌설된 기기측의 제1커넥터와, 해당 제1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사이에 개장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와의 비접속시에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단락시켜 두는 단락부재를 갖는 단락 조립체와,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경로 중에 노이즈 저감용 페라이트 부재를 갖고 구성되는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부재가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감싸도록 상기 단락 조립체 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2. 복수의 콘택트를 갖는 기기측의 제1커넥터와 해당 제1커넥터에 접속되는 타방의 제2커넥터와의 사이에 개장되는 절연하우징과, 해당 절연하우징 내에 배치된 단락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단락시켜 두도록 구성된 단락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이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감싸는 위치에 노이즈 저감용 페라이트 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 조립체.
KR1020030010923A 2002-02-25 2003-02-21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단락조립체 KR100976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8208 2002-02-25
JP2002048208A JP4005385B2 (ja) 2002-02-25 2002-02-25 点火装置用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短絡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538A KR20030070538A (ko) 2003-08-30
KR100976325B1 true KR100976325B1 (ko) 2010-08-16

Family

ID=2765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923A KR100976325B1 (ko) 2002-02-25 2003-02-21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단락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39913B2 (ko)
EP (1) EP1339139B1 (ko)
JP (1) JP4005385B2 (ko)
KR (1) KR100976325B1 (ko)
CN (1) CN100530845C (ko)
DE (1) DE60307339T2 (ko)
PT (1) PT1339139E (ko)
TW (1) TWI2844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0734B4 (de) 2004-12-15 2008-10-1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sicherung für Steckverbinder mit Schutzeinrichtung gegen Störeinflüsse
DE102005004920B3 (de) 2005-02-02 2006-08-1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sicherung für Steckverbinder mit einer Kurzschlussbrücke mit integriertem Schaltelement
DE102005021375B4 (de) * 2005-05-04 2007-02-01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Airbag-Zündsysteme
DE102005043903B3 (de) * 2005-09-14 2007-03-01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er
CN100409501C (zh) * 2006-03-29 2008-08-0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静电释放电路自动保护连接器
US7306474B1 (en) * 2006-10-16 2007-12-1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scoop proof dome
DE102009053052A1 (de) 2009-11-16 2011-05-19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s Steckerelement für einen Airbaganschluss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US9614323B2 (en) * 2013-07-31 2017-04-04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9071015B1 (en) 2013-12-10 2015-06-30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N106887774B (zh) * 2017-04-07 2017-12-26 王祎玮 一种环保除尘装置
CN112072355B (zh) * 2020-09-14 2021-12-07 台州市路桥立信涂装机械制造厂 一种具有防电火花效果的安全型插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1463A (en) 1988-02-24 1989-11-21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Defence, Israel Military Industries Electric igniter assembly
JPH10241785A (ja) 1996-12-27 1998-09-11 Amp Japan Ltd 点火管コネクタ
US5816840A (en) 1995-01-14 1998-10-0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ctrical connector
JP2002033153A (ja) 2000-04-25 2002-01-31 Thomas & Betts Corp <T&B> プラグ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574A (en) * 1991-04-05 1993-04-06 Morton International, Inc. Universal squib connector
US5314345A (en) 1992-10-09 1994-05-24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interlock
DE19632905A1 (de) * 1996-08-16 1998-02-19 Itt Cannon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3685898B2 (ja) * 1997-03-03 2005-08-24 Uro電子工業株式会社 終端型同軸コネクタ
US6250952B1 (en) 1997-08-08 2001-06-26 The Whitaker Corporation Air bag connector
US6152775A (en) * 1998-12-07 2000-11-28 Framatome Connectors Interlock, Inc. Filtered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ferrite members
US6217388B1 (en) * 2000-02-04 2001-04-17 Delphi Technologies, Inc. Low profile SIR connector and terminal
KR100564091B1 (ko) * 2000-03-01 2006-03-2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접속 시스템
JP3679322B2 (ja) * 2000-08-31 2005-08-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スクイブのシャント
JP2002319459A (ja) * 2001-04-20 2002-10-31 Jst Mfg Co Ltd スクイブ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1463A (en) 1988-02-24 1989-11-21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Defence, Israel Military Industries Electric igniter assembly
US5816840A (en) 1995-01-14 1998-10-0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ctrical connector
JPH10241785A (ja) 1996-12-27 1998-09-11 Amp Japan Ltd 点火管コネクタ
JP2002033153A (ja) 2000-04-25 2002-01-31 Thomas & Betts Corp <T&B> プラグ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05385B2 (ja) 2007-11-07
CN100530845C (zh) 2009-08-19
TW200308123A (en) 2003-12-16
KR20030070538A (ko) 2003-08-30
TWI284440B (en) 2007-07-21
PT1339139E (pt) 2006-11-30
US20030162443A1 (en) 2003-08-28
DE60307339D1 (de) 2006-09-21
EP1339139A1 (en) 2003-08-27
EP1339139B1 (en) 2006-08-09
JP2003254215A (ja) 2003-09-10
DE60307339T2 (de) 2007-08-16
CN1441519A (zh) 2003-09-10
US6739913B2 (en) 2004-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733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5197635B2 (ja) 高電圧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0282328B1 (ko) 연동장치를가진전기접속시스템
CN109103673B (zh) 插座连接器
JP5534350B2 (ja) コネクタ装置
KR100976325B1 (ko)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단락조립체
JPH11345645A (ja) リセプタクル電気端子
JP2000251963A (ja) 小型コネクタ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KR20040065316A (ko) 전기 커넥터용 플러그 및 그 조립 방법
JP2007184231A (ja) コネクタプラグ
JP3400076B2 (ja) 短絡部材付きコネクタ
JP3607883B2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2005116395A (ja) 電気的接続装置
US20020173205A1 (en) Multipolar connector
JP2001319747A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2006107809A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をアース及び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アースコネクタ
JP3884728B2 (ja) コネクタ構成部品のがたつき防止構造
JP3171064B2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2006114411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4494153B2 (ja) コンデンサ内蔵コネクタ
US20230119180A1 (en) Connector
JP3720232B2 (ja) コネクタ
WO2024048238A1 (ja) コネクタ
JP3126046U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