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133A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133A
KR20040061133A KR1020020086915A KR20020086915A KR20040061133A KR 20040061133 A KR20040061133 A KR 20040061133A KR 1020020086915 A KR1020020086915 A KR 1020020086915A KR 20020086915 A KR20020086915 A KR 20020086915A KR 20040061133 A KR20040061133 A KR 2004006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luminum
semiconductor device
aluminum oxide
oxi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527B1 (ko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동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6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527B1/ko
Priority to US10/694,035 priority patent/US6949475B2/en
Publication of KR2004006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133A/ko
Priority to US11/205,376 priority patent/US750170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57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 H01L23/3192Multilayer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징 공정을 진행하더라도 보호막의 균열을 방지함으로써 보호막의 신뢰성을 높이고 반도체소자의 특성 악화를 방지하도록 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최상층 금속배선;과,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형성된 산화막;과, 상기 산화막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알루미늄층;과, 상기 알루미늄층 상에 형성된 스트레스 완화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and its fabricating method}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키징공정을 진행하더라도 보호막의 균열을 방지함으로써 보호막의 신뢰성을 높이고 반도체소자의 특성 악화를 방지하도록 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소자의 보호막(Passivation Layer)은 최상층 금속배선 상에 형성되는 최종 보호막으로서, 패키징(Packaging)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칩 표면의 스크래치(Scratch)나 이물질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막은 외부 습기와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반도체소자를 보호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보호막은 스트레스 완화용 각종 산화막과, 우수한 보호막의 역할을 담당하는 질화막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는 반도체소자를 위한 최상층 금속배선이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에 PE-TEOS(Tetra-Ethyl-Ortho-Silicate) 산화막을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에 의해 적층한 후 연이어 SiH4질화막을 PECVD법에 의해 적층함으로써 보호막을 형성하여 왔다. 또한, 고밀도 플라즈마(High Density Plasma: HDP) CVD법에 의해 SiH4산화막을 적층한 후 연이어 PECVD법을 이용하여 SiH4질화막을 적층함으로써 보호막을 형성하여 왔다.
그런데, 다층배선을 사용한 소자나 파워 소자와 같은 반도체소자의 경우, 최상층 금속배선,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배선은 일반적인 반도체소자의 최상층 금속배선이 5000∼6000Å의 두께로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8000∼10000Å의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파워 소자의 최상층 금속배선은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층배선을 사용한 소자나 파워 소자의 패키징공정에서 보호막의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는 상기 보호막이 두껍고 넓은 최상층 금속배선과의 스트레스가 크기 때문이다. 이로써, 패키징공정이 완료된 제품의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보호막의 균열과 같은 반도체소자의 불량률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최상층 금속배선의 스트레스가 작으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견디기 쉬운 고경도 재질의 보호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최상층 금속배선과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패키징 공정에서의 보호막의 균열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최상층 금속배선의 RC 딜레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구조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1 : 반도체 기판 102 : 금속배선
103 : 산화막 104 : 알루미늄층
105 : 스트레스 완화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최상층 금속배선;과,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형성된 산화막;과, 상기 산화막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알루미늄층;과, 상기 알루미늄층 상에 형성된 스트레스 완화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레스 완화층이 알루미늄 산화층으로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층이 100∼3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화막은 USG, FSG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최상층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배선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막 상에 소정의 두께로 알루미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알루미늄층의 표면 상에 상기 금속배선과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스트레스 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레스 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알루미늄층의 표면을 플라즈마처리공정에 의해 알루미늄 산화층으로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을 열처리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층을 N2O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공정에 의해 알루미늄 산화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층을 O2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공정에 의해 알루미늄 산화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을 200∼400℃ 정도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을 아르곤(Ar), 헬륨(He)과 같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을 N2O, O2, N2, H2의 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기판 상에 반도체소자의 최상층 금속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의 표면에 알루미늄층을 적층한 다음, 알루미늄 산화층과 같은 스트레스 완화층을 형성함으로써 패키징공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균열이 방지되므로 반도체소자의 누설전류가 감소하고 항복전압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101) 상에 최상층 금속배선(10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형성된다. 상기 금속배선(102)의 표면 상에 고밀도 플라즈마(High Density Plasma: HDP) CVD법에 의해 USG 또는 FSG와 같은 산화막(103)이 형성된다. 상기 산화막(103)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스퍼터링(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층(104)을 형성된다. 상기 알루미늄층(104)의 표면 상에 스트레스 완화층(14)인 알루미늄 산화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스 완화층(14)은 상기 금속배선(102)과의 스트레스가 작으면서도 경도가 높으므로 상기 금속배선(102)과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스트레스 완화층(105)을 형성하는 것은 반도체소자의누설전류(leakage current)가 커지고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14)은 N2O나 O2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알루미늄층(104)을 플라즈마 처리한 후 아르곤(Ar), 헬륨(He)과 같은 불활성 가스나, N2O, O2, N2, H2등의 가스 분위기에서 예를 들어 200∼400℃의 저온으로 10∼100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층(104) 표면에 형성된 AlxOy층이다.
한편, 반도체기판(101)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성이 적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층배선을 갖는 소자나 파워 소자의 최상층 금속배선(10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 예를 들어 소오스/드레인과 같은 확산층, 게이트전극, 층간절연막, 금속배선 등이 형성되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102)이 2개만 배치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102)이 상기 반도체기판(101) 상에 상당히 많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101)을 준비한다. 상기 반도체기판(101)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성이 적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층배선을 갖는 소자나 파워 소자의 최상층 금속배선(10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 예를 들어 소오스/드레인과 같은 확산층, 게이트전극, 층간절연막, 금속배선 등이 형성된다.
이어서, 예를 들어 스퍼터링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기판(101) 상에 최상층 금속배선(102)을 위한 금속층을 8000∼10000Å의 두께로 적층한다. 그런 다음,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층 상에 상기 상층 금속배선(102)에 해당하는 식각 마스크용 감광막의 패턴(도시 안됨)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막의 패턴에 마스킹되지 않은 금속층의 노출된 부분을 그 아래의 반도체기판(101)이 노출될 때까지 식각한다.
따라서,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102)의 패턴이 상기 반도체기판(101) 상에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102)이 2개만 배치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102)이 상기 반도체기판(101) 상에 상당히 많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102)의 형성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금속배선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고밀도 플라즈마(High Density Plasma: HDP) CVD법을 이용하여 USG 또는 FSG와 같은 산화막(103)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산화막(103) 상에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층(104)을 형성시킨다. 이 때, 알루미늄층(104)의 두께는 2000∼3000Å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알루미늄층(104)을 N2O 또는 O2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공정으로 처리하여 상기 알루미늄층(104)의 표면에 스트레스 완화층(105)을 위한 알루미늄 산화층(105), 예를 들어 AlxOy층과 같은 알루미늄 산화층을 형성한다. 이 때, 알루미늄층(104)이 알루미늄 산화층으로 산화됨에 따라 잔존하는알루미늄층(104)의 두께는 100∼300Å 정도가 된다.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105)이 형성되고 나면, 아르곤(Ar), 헬륨(He)과 같은 불활성 가스나, N2O, O2, N2, H2등의 가스 분위기에서 예를 들어 200∼400℃의 저온으로 10∼100분 동안 열처리 공정(Rapid Thermal process)이나 일반적인 퍼니스(furnace)를 이용한 열처리공정으로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105)을 열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105)이 스트레스 완화층(105)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스 완화층(105)은 상기 금속배선(102)과의 스트레스가 작으면서도 경도가 높으므로 금속배선(102)과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스 완화층(105)은 패키징공정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소자의 누설전류(leakage current)를 줄이고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을 높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배선(102)과의 스트레스가 크지 않으면서도 고경도를 갖는 알루미늄 산화층을 보호막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패키징공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는 불량률이 감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반도체소자의 최상층 금속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의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층과 같은 스트레스 완화층을 형성한 후 상기 스트레스 완화층 및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과의 스트레스가 작고 고경도를 갖는 알루미늄 산화막(103)과 같은 보호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패키징공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보호막의 균열이 방지되므로 반도체소자의 누설전류가 감소하고 항복전압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도 가능함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11)

  1.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최상층 금속배선;
    상기 최상층 금속배선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형성된 산화막;
    상기 산화막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알루미늄층;
    상기 알루미늄층 상에 형성된 스트레스 완화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완화층이 알루미늄 산화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이 100∼3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USG, FSG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5. 반도체 기판 상에 최상층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배선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막 상에 소정의 두께로 알루미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층의 표면 상에 상기 금속배선과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스트레스 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알루미늄층의 표면을 플라즈마처리공정에 의해 알루미늄 산화층으로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을 열처리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을 N2O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공정에 의해 알루미늄 산화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을 O2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공정에 의해 알루미늄 산화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을 200∼400℃ 정도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을 아르곤(Ar), 헬륨(He)과 같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산화층을 N2O, O2, N2, H2의 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2002-0086915A 2002-12-30 2002-12-30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1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15A KR100514527B1 (ko) 2002-12-30 2002-12-30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0/694,035 US6949475B2 (en) 2002-12-30 2003-10-27 Methods to reduce stress on a metal interconnect
US11/205,376 US7501706B2 (en) 2002-12-30 2005-08-17 Semiconductor devices to reduce stress on a metal interconn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15A KR100514527B1 (ko) 2002-12-30 2002-12-30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133A true KR20040061133A (ko) 2004-07-07
KR100514527B1 KR100514527B1 (ko) 2005-09-13

Family

ID=3270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915A KR100514527B1 (ko) 2002-12-30 2002-12-30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949475B2 (ko)
KR (1) KR100514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527B1 (ko) * 2002-12-30 2005-09-13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75895B1 (ko) * 2005-06-29 2007-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164996B1 (ko) * 2006-12-27 2012-07-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절연층 제조방법
KR100924867B1 (ko) 2007-12-28 2009-11-0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8440012B2 (en) 2010-10-13 2013-05-14 Rf Micro Devices, Inc. Atomic layer deposition encapsulation for acoustic wave devices
US8313985B2 (en) * 2010-10-21 2012-11-20 Rf Micro Devices, Inc. Atomic layer deposition encapsulation for power amplifiers in RF circuits
US9721835B2 (en) 2015-12-11 2017-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ulating microstructure in interconnec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4264A (en) * 1968-03-21 1971-06-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Encapsulated microcircuit device
US4499653A (en) * 1983-11-03 1985-02-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Small dimension field effect transistor using phosphorous doped silicon glass reflow process
US6127257A (en) * 1993-11-18 2000-10-03 Motorola Inc. Method of making a contact structure
US6544886B2 (en) * 1999-06-24 2003-04-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cess for isolating an exposed conducting surface
US6573194B2 (en) * 1999-11-29 2003-06-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growing surface aluminum nitride on aluminum films with low energy barrier
US6492242B1 (en) * 2000-07-03 2002-12-10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Method of forming of high K metallic dielectric layer
US6709989B2 (en) * 2001-06-21 2004-03-23 Motorola, Inc.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including a metal oxide interface with silicon
JP2003209223A (ja) * 2002-01-15 2003-07-25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14527B1 (ko) * 2002-12-30 2005-09-13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7168A1 (en) 2006-01-26
US6949475B2 (en) 2005-09-27
US7501706B2 (en) 2009-03-10
KR100514527B1 (ko) 2005-09-13
US20040135260A1 (en)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5135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501706B2 (en) Semiconductor devices to reduce stress on a metal interconnect
KR20030043446A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50129A (ko) 집적 회로의 층간 금속층 유전체내의 확산 방지 배리어층
KR100271718B1 (ko)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US676489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6566263B1 (en) Method of forming an HDP CVD oxide layer over a metal line structure for high aspect ratio design rule
KR10044314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430579B1 (ko) 반도체 소자용 금속 배선의 후처리 방법
KR101164996B1 (ko) 반도체 소자의 절연층 제조방법
KR100307969B1 (ko) 에어갭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보호막 형성 방법
KR20070048820A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511916B1 (ko) 반도체소자의 절연막 크랙 억제방법
KR10092486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50001098A (ko) 반도체 소자의 보호막 제조 방법
KR20010021296A (ko) 집적 회로의 고-애스펙트비 외형들을 갭 필하기 위한 증착방법
KR10058243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513B1 (ko) 메탈 레이어간 절연층 형성 방법
KR950007960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60921B1 (ko)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 방법
KR20000013287A (ko) 반도체 장치의 비어 콘택 형성방법
KR20030000133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9980078342A (ko) 반도체소자의 층간절연막 형성방법
KR20000033894A (ko) 반도체 장치의 보호층 형성방법
KR20050002399A (ko)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