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3759A -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3759A
KR20040053759A KR1020030068035A KR20030068035A KR20040053759A KR 20040053759 A KR20040053759 A KR 20040053759A KR 1020030068035 A KR1020030068035 A KR 1020030068035A KR 20030068035 A KR20030068035 A KR 20030068035A KR 20040053759 A KR20040053759 A KR 2004005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filtration
salt
water
alkali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영
Original Assignee
박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영 filed Critical 박상영
Publication of KR2004005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759A/ko
Priority to CNA200410077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602735A/zh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8Preparation by working up natural or industrial salt mixtures or siliceou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ycology (AREA)
  • Seasoning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가공염 생산방식(고온열처리)의 문제점인 다이옥신생성의 위험이 근본적으로 차단되어 인체에 유독한 다이옥신과 중금속 등의 유해성물질은 완전히 제거되고, 우리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광물질은 풍부하게 들어있으며, 고온 열처리 공정을 피한 안전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소금을 제공함으로서, 조미료로서의 본래의 기능은 물론 인체에 농축된 중금속과 노폐물의 체외배출기능(해독작용)까지 수행하여 인체에 유익한 고청정 기능성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Alkalic salt of rich mineral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상기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리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광물질은 풍부하게 들어 있으면서 인체에 유독한 다이옥신과 중금속 등의 유해독성물질은 완전히 제거되어, 조미료로서의 본래 기능은 물론 인체에 농축된 중금속과 노폐물의 체외 배출기능(해독작용)까지 수행할 수 있는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우리의 식생활 문화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조미료로서 음식의 향미를 더해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행하고 있다. 해수를 태양열, 바람 등의 자연을 이용하여 농축시켜 만든 천일염에는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인, 유황, 등 갖가지 광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미네랄은 우리 인체의 생명활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정제염의 경우 식용하기 위한 정제과정에서 이러한 필수미네랄까지 제거되어 버린 일반 이온교환막식 정제염은 소금의 짠 성분만 남겨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우리의 몸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고온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가공염의 경우 소금속의 유해물질 제거와 알칼리 성분을 만들기 위해 고온열처리 가공을 하여 다이옥신 생성의 위험을 발생시키므로 더욱 치명적이다. 따라서 소금은 우리의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특히, 맵고 짠 자극적인 조리법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소금의 과다섭취로 인한 각종 성인병 등의 문제가 따르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근자에는 문화정도가 진보되고, 의식수준이 향상되어 음식문화가 변화함에 따라,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맛과 질적인 면의 우수성은 물론이고, 여기에 건강식품으로서의 기능성까지 요구하고 있는바, 소금에도 그 고유의 맛은 살리면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등의 광물질이 함유된 소금 등 각종 기능성 소금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금의 종류에는 ①암석에서 채취한 암염과 ②바닷물을 증발시켜 얻은 천일염 그리고 ③이온 교환막을 통하여 생산된 기계염 ④상기 암염이나 천일염을 가공하여 얻은 가공염 등이 있는데, 특히 가공염의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산업기술의 발달과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단순가열제조방식에서벗어나 인체에 유익한 각종 기능성물질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며 죽염, 송염, 황토소금, 녹차소금 등이 그러한 기능성 물질이 첨가된 가공염의 예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염 또한 적절한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가공염은 소금의 산성 성분을 알칼리 성분으로 바꾸며, 소금속의 필수 미네랄 성분은 그대로 유지하고 여러 가지 불순물과 중금속 등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료소금을 그 제조과정 중에 볶음, 태움, 용융 등의 방법으로 고열처리하기 때문에 인체에 치명적인 다이옥신이 생성되고, 한편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은 손실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여러 논문 등에 잘 나타나 있듯이, 다이옥신(dioxin)은 염소기를 가진 물질이 약 300℃ 이상의 열을 받을 때 발생되는 유해독성물질로서 인체 호르몬의 정상활동을 교란하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이다. 이와 같은 다이옥신을 다량 섭취할 경우 암을 유발하고 생식기능을 저하시키며, 태반이나 모유를 통해 신생아에게도 전달되어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다이옥신은 700℃이상의 고온에서도 열역학적으로는 잘 파괴되지 않으며 1000℃이상의 용광로에서도 파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상기와 같이 300℃ 이상으로 가열하는 방식의 종래의 생산방법에 따른 가공염은 오히려 인체에 해가 되는 다이옥신의 함량만 높아진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800℃로 여덟 번 굽고, 1300℃로 아홉 번째 구워냈다는 죽염도 다이옥신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다.
이러한 사실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정청(식약청)의 조사결과에서도 나타나 있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개선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 식약청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열처리소금의67%에서 다량의 다이옥신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량은 평균 11.09pg, 최고 43.54pg으로 나타났는데, 이 같은 평균 검출량은 2000년과 2001년에 조사된 국내 최고치인 어류의 다이옥신 평균 잔류량 보다 최대 7.6배나 되는 수준이다.
다이옥신은 1g으로 몸무게 50kg 기준 성인2만명을 치사시킬 수 있으며, 그 독성은 청산가리의 1만 배가 넘어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극물로 불리고 있으며, 식약청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열처리하지 않은 생소금에서는 다이옥신이 나오지 않아 섭취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가공염 생산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가공염의 생산과 관련된 전 과정에서 다이옥신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감소시키는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생산기술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①조미료로서의 본래 기능은 물론 ②우리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광물질이나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③산성을 띠는 소금을 고온 열처리 과정을 피한 안전한 방법으로 인체에 유익한 알칼리 성분의 소금으로 만들며 ④인체 내에 농축된 중금속과 노폐물의 체외 배출기능(해독작용)까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소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청정한 소금물을 얻기 위한 여과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수분감량단계가 포함된 지장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수득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 : 여과과정 10-1 : 1차여과과정
10-2 : 2차여과과정 20 : 지장수제조과정
21 : 수분감량단계 30 : 기능성물질제조과정
40-1: 제1혼합액제조과정 40-2 : 제2혼합액제조과정
50 : 건조과정 60 : 기능성 알칼리 소금수득과정
11-1 : 1차여과조 11-2 : 2차여과조
13 : 여과제 14 : 여과막
15 : 유입구 16 : 유출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청정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은,
Ⅰ.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여과과정과 지장수제조과정과 제1혼합액제조과정과 건조과정과 기능성 알칼리 소금수득과정을 포함한다.
A) 상기 여과과정에서는, 예컨대 ①천일염을 물에 용해하거나 ②죽염을 물에 용해하거나, ③기계염 을 물에 용해하거나, ④농축된 해수를 사용하여, 상기 ① 내지④에서 만들어진 소금물을 여과조로 도입하여 물보다 비중이 큰 유해물질은 침전에 의해(침전여과단계) 제거하고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은 부유(부유여과단계)에 의하여 제거한다.
여기서, "유해(독성)물질"이란 다이옥신과 중금속 뿐 아니라 뻘/모래/잡티(부유물질)처럼 소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각종 오염물질까지를 총칭하는 용어인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여과조로는 유입구/유출구가 형성된 ①탱크 혹은 ②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또는 ③장방형 수조가 바람직하며, 활성탄, 백탄이나 황토볼과 같은 여과제를 내부에 첨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소금물 속의 유해성분을 상기 여과제에 흡착시켜 더욱 높은 효율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여과제로부터 녹아나온 미네랄 등의 광물질과, 알칼리 성분이 소금물에 침투하는 이중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소금물은 여과조의 바닥 가까운 위치에서 서서히 차오르도록 하여, 바닥에 이미 침전된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수류에 의해 다시 떠오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여과조 하부에 소금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시킴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소금물을 여과조의 상부에서부터 유입시킬 경우 비중이 큰 물질은 별 문제 없이 여과망에 걸러지나, 비중이 작은 부유물질은 위에서부터 내려오는 수압과 중력으로 인하여 여과망에 걸러지지 아니하고 소금입자와 함께 여과망을 통과하게 되어 결국 여과망에 의해 걸러지는 것은 비중이 큰 유해물질 만이고 따라서 효과적인 여과를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여과조는 여과조 하부면에서부터 소금물이 서서히 차오르게 하여 비중이 큰 유해물질은 침전여과 되고 또한 수류에 의해 다시 떠오르지 아니하며 비중이 작은 유해물질은 여과제와 상부의 여과막에서 다시 걸러질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정제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막은 다수겹의 여과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지로는 통상의 커피여과지 또는 순면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조를 통상 구조의 침전조 또는 여과조로 그 기능을 분리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여과조 또는 침전조 또는 여과조를 직렬연결 하여 소금물의 청정도를 높일 수도 있다.
B) 상기 지장수(地奬水)제조과정에서는, 침전조 속의 깨끗한 물에 체로 거른 고운 황토를 풀어 일정시간 가만히 놔둔 후 무거운 황토분말이 침전조 바닥에 어느 정도 가라앉았을 때(침전단계), 상기 침전조의 상부층에 모여 있는 상등액을 취함으로써 청정한 지장수를 수득하게 된다.
여기서, 더욱 깨끗한 지장수를 얻기 위해, 상기 여과 및 침전단계는 여러 번 반복실시 될 수 있다. 상기 여과과정 중에, 30℃ 내지 100℃이하 온도를 가지는 발열장치를 통하여 열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지장수의 미네랄 성분이 잘 녹아나오도록 도와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소금 제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얻은 지장수는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나 후(後)공정에서의 처리시간 단축과 생산효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지장수의 수분을 증발/제거하는 수분감량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C) 상기 제1혼합액제조과정은 상기 여과과정에서 제조된 청정한 소금물과 지장수제조과정에서 제조된 깨끗한 지장수를 혼합하여 황토소금 제조용의 혼합액을 만드는 과정으로서, 상기 혼합액 속에는 추가로 액상 또는 분말상의 기능성물질이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에 투입되는 기능성물질의 종류와 성상은 제조업자 또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임의로 바뀔 수 있다. 예컨대,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폐물의 체외배출을 돕는 녹차를 분말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그 달인 물을 사용할 수 있다(기능성물질제조과정).
또한, 상기 기능성물질을 소금물(해수) 또는 지장수에 먼저 섞은 후, 나머지 다른 용액과 혼합할 수도 있다.
D) 상기 기능성소금수득과정은 제1혼합액제조과정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햇빛 아래에서 자연건조 하거나 200℃이하의 온도에서 가열·건조하여, 상기 혼합액 중에 녹아 있는 소금성분과 황토와 활성탄의 미네랄성분이 서로 엉켜 붙어 기능성 알칼리 소금으로 석출되게 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의 가열온도를 200℃ 이하로 제한하는 이유는, 가열과정에서 다이옥신이 생성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E)이후, 굵은 결정의 형태로 얻어진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분쇄하여 상품성을 높인다.
Ⅱ.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알칼리 소금은 앞에서 설명한 (Ⅰ)과 달리 지장수제조과정과, 제2혼합액제조과정과, 건조과정과, 기능성소금수득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A)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지장수제조과정은, 상술한(Ⅰ)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지장수제조과정과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B) 상기 제2혼합액제조과정은 지장수제조과정에서 수득한 청정한 지장수에 ①소금을 용해하거나 ②소금물 또는 ③농축된 해수를 섞어 제2혼합액으로 조성한 다음, 상기 제2혼합액을 여과조로 도입하여 제2혼합액 속에 든 각종 유해독성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침전여과조의 구조 등은(Ⅰ)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2혼합액에도 기능성물질이 추가로 투입될 수 있다.
C) 상기 기능성 알칼리 소금수득과정은 제2혼합액제조과정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자연건조 하거나 200℃이하의 온도에서 가열·건조하여, 상기 제2혼합액으로부터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얻는 과정이다.
이 과정도 앞에서 언급된 여러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질 수 있다.
D) 이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득한 기능성 알칼리 소금은 미세한 분말 또는 작은 알갱이로 분쇄될 수 있다.
Ⅲ.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차여과과정과, 2차여과과정과, 건조과정과, 기능성소금수득과정을 포함한다.
A)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여과과정과 건조과정은, 상술한(Ⅰ)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여과과정과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여과과정 후에 기능성 물질이 추가로 투입될 수 있다.
B) 상기 여과과정 중에, 여과조 내의 소금물에, 30℃내지 100℃이하 온도를 가지는 발열장치를 통하여 열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여과조안에 내장된 백탄이나 황토볼의 미네랄 성분이 잘 녹아나오도록 도와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소금 제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C) 이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득한 알칼리 미네랄 소금은 미세한 분말 또는 작은 알갱이로 분쇄될 수 있다.
Ⅳ.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알칼리 소금은 앞에서 설명한 (Ⅲ)과 달리 기능성물을 제조하는 여과과정과, 혼합액제조과정과, 건조과정과, 기능성소금수득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A)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여과과정과, 건조과정은, 상술한(Ⅰ)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여과과정과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혼합과정 후에 기능성 물질이 추가로 투입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도 앞에서 언급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B) 이후, 굵은 결정의 형태로 얻어진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분쇄하여 상품성을 높인다.
Ⅴ.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유입구와, 여과막과, 유출구로 구성되어 있는 여과조를 포함한다.
A)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조는 유입되는 소금물이 하부에서부터 서서히 차오르도록 하기 위하여 소금물의 유입구를 여과조 본체의 하부에 형성시키고, 여과막은 유입된 소금물의 유해물질 중 물 보다 비중이 가벼워서 침전여과 되지 아니하고 부유하는 유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서 여과조 본체의 상부에 형성시킨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여과가 가능한데, 이는 소금물을 하부면에서부터 천천히 차오르도록 하여 비중이 작은 유해물질도 수압이나 중력의 영향 없이 부유하여 여과망에 의해 걸러질 수 있기 때문이며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Ⅰ)에서 언급된 여과조와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B) 상기 여과조에는 여과제가 투입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보다 청정한 소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되는 여과제의 종류에 따라 각종 미네랄 등의 광물질은 물론이고 알칼리 성분이 더욱 부가된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여과제로는 숯을 고온에서 구운 백탄이나, 톱밥과 황토를 섞어 구운 황토볼을 사용할 수 있다. 숯은 오염된 공기와 물을 놀라울 정도로 정화키는 기능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정수기능은 숯의 내부가 다공질로 되어 있는 덕분이다. 또한 숯은 생명 생육 광선이라 불리는 원적외선 발생시키며 0.3~0.6% 정도 미네랄류가 함유되어 있는 나무를 구워서 그 미네랄 성분이 4~5배로 농축되어 회분으로 남은 것이 숯이므로 미네랄의 보물창고라 할 수 있다. 특히 탄화온도가 높은 숯, 즉 1000℃이상에서 구운 백탄이라고 불리는 단단한 숯의 미네랄은 친수성이 강하여 물에 용해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고, 이는 우리 몸속에 흡수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백탄 속에는 알칼리 성분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에 있어서 여과제로 사용하는 백탄은 소금물의 유해성분을 흡착하는 여과기능 뿐만 아니라 백탄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미네랄과 알칼리 성분이 소금물 속으로 용해되어 나와 우리 몸에 유익한 광물질과 알칼리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황토볼은 톱밥과 황토분말을 2:8의 비율로 하여 잿물을 섞어 혼합하고 이를 볼모양으로 성형한 후, 자연건조하는 과정과, 800℃~1000℃의 고온으로 열처리하는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다.
황토는 황사가 수 천만 년 간 퇴적되어 형성된 연황색 퇴적물로서 지구상에서 가장 우수한 광물질로 평가받고 있으며, 황토 속에 있는 미생물의 다양한 효소작용은 정화력과 분해력이 뛰어나 중금속 등 공해물질을 해독하고 인체의 독을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이 인체에 흡수되면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이 활성화되어 인체의 노화방지와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독한 시멘트 독성을 중화시키는 데에도 탁월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황토를 이용하여 각종 중금속, 농약,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된 수질을 정화하고 동시에 황토의 광물질을 얻을 수 있는 여과제를 만드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여과제로서의 황토볼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톱밥과 황토분말을 2:8의 비율로 섞어서 비교적 많은 양의 톱밥이 함유되기 때문에 건조 및 열처리 과정에서 일반 황토볼에 비하여 공극이 매우 많이 형성되고 따라서 표면적이 넓어져서 유해물질의 흡착력 및 광물질의 용해도를 높여서 보다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황토볼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잿물속의 세정작용 및 알칼리 성분으로 인하여 황토볼의 기능을 더욱 좋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서는 침전, 활성탄(백탄), 황토볼, 여과막 등으로 먼지 등 부유물질과 결합된 천일염 속의 각종 유독한 중금속을 제거하고, 혼합액의 가열 시 가열온도가 200℃를 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서, 1차염(예컨대, 천일염)을 가공해 만든 가공염 속에 다이옥신의 생성은 근본적으로 차단하였다. 따라서, 고청정 소금을 제공하려는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이 달성 가능하다.
또한, 각종 미네랄 성분이 많이 녹아 있는 지장수와 활성탄(백탄), 황토볼로부터 녹아나온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소금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소금에는 이들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고온의 열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알칼리 성분이 풍부한 기능성 소금을 수득할 수 있어서 종래의 열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다이옥신 생성의 문제점을 극복한 것은 너무도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이들 미네랄 성분은 그 양이 미량이라도 우리 체 내에서 여러가지 신진대사를 활성화 시킨다. 따라서,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섭취를 통해 우리 몸을 이롭게 하려는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 달성 가능하다.
그리고 백탄과 황토볼의 알칼리 성분이 소금물 속으로 녹아나와 산성을 띄고 있는 소금을 알칼리성으로 바꾸어주어 소금을 고열처리 하지 아니하고도 우리몸에 유익한 알칼리 성분이 함유된 소금의 제조가 가능해져서 본 발명에 따른 세 번째 목적의 달성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조된 소금은 이를 다시 물에 녹여 반응해 보아도 PH10~11의 강알칼리 성분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은 해독작용 등이 탁월한 각종 기능성물질을 소금의 제조과정 중에 부수적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체내에 농축된 각종 유해물질과 노폐물의 체외 배출이 촉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이 달성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무형의 본 발명을 정형화 한 아래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서는, 여과과정(10)과 지장수제조과정(20) 그리고 기능성물질제조과정(30)이 각각 별개로 진행되고 있다.
상기 여과과정(10)과 지장수제조과정(20)에서는, 도3과 도4에 나타나 있듯이, 각각의 수용액에 함유된 불순물 또는 유해독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여과단계는 기능성물질제조과정(30) 중에 실시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여과과정(10) 소금의 청정도를 높이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차 여과과정(10-1, 10-2)으로 나누어 수행할 수 있다.
지장수제조과정(20)에서는 예를 들면 지장수의 수분을 최초상태의 50% 수준으로 줄이는 수분감량단계(21)가 더 수행될 수 있으며, 도4의 (b) 코스와 같이, 액상 또는 분말상의 기능성물질이 추가로 투입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4의 (a) 코스와 (b) 코스는 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나머지는 시행되지 않으며, 상기 여과단계는 소금물 혹은 지장수를 구별하지 않고 거의 비슷한 도구와 절차를 거쳐 달성된다.
첨부된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과정을 좀 더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서, 소금물을 여과조로 유입하여 침전 및 부유여과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내부가 여과제(13) 바람직하게는 활성탄(숯) 또는 황토볼로 채워진 여과조(11)의 바닥쪽으로 상기 단계를 통해 걸러진 소금물을 도입하여 사이즈가 작은 중금속이 상기 활성탄 또는 황토볼에 흡착·제거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과정(10,20)을 통하여 만들어진 청정한 소금물과 지장수를 일정비율로 혼합하는 제1혼합액제조과정(40-1)이 수행된다.
이어서, 상기 혼합액은 도5에 도시된 기능성소금수득과정(50)으로 보내지게 되고, 다이옥신의 생성온도보다 낮은 온도-예컨대 120℃로 가열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혼합액을 계속 가열하면, 혼합액의 수분이 계속 증발하여 결국은 혼합액 중의 소금성분이 포화상태를 거쳐 결정으로 석출된다.
한편, 혼합액에서 석출된 기능성 알칼리 소금은 주변의 다른 소금입자와 뭉쳐져 그 크기가 큼으로, 잘게 분쇄하여 상품성을 높인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4는 여과막을 나타내는데 이 여과막보다 위쪽에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여과막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장수제조과정(20)과 기능성물질제조과정(30)이 별개의 과정으로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과정(20,30)들은 실시예1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과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고, 수분감량단계(21)가 추가로 실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지장수에 소금과 기능성물질을 함께 혼합하는 제2혼합액제조과정(40-2)이 수행된다.
상기 제2혼합액제조과정(40-2)은, 예를 들면 지장수(기능성물질이 혼합된 지장수)에 소금을 용해시키는 소금용해단계(41)와; 상기 소금용해단계(41)를 거쳐서 만들어진 제2혼합액을 도3에 도시된 여과조(11)로 도입하여 물보다 비중이 큰 유해독성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여과단계(42-1)와;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잡티 등을 부유여과 하는 부유여과단계(42-2);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제2혼합액은 도5에 도시된 기능성소금수득과정(60)으로 보내져 다이옥신의 생성온도보다 낮은 온도-예컨대 120℃로 가열되고, 수분이 계속 줄어 들어 결국은 혼합액 중의 소금성분이 결정으로 석출된다.
실시예 3
도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서는, 1차여과과정(10-1)과 2차여과과정(10-2)과, 건조과정(50)을 거쳐 진행되고 있다.
상기 1,2차 여과과정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여과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동 여과과정 중에는 백탄이나 황토볼 등의 여과제(13)를 여과조(11) 본체에 내장하여 수용액에 함유된 불순물 또는 유해독성물직을 제거하고 여과제로부터 녹아나온 각종 광물질과 알칼리 성분을 수용액에 침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여과과정 중에 열 공급을 받는 발열과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광물질과 알칼리 성분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7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제3실시예에서 도시한 여과단계와 동일한 여과과정이 실시되나, 소금을 용해시킨 물을 여과조로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물을 여과조로 도입하여 알칼리 미네랄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물을 먼저 제조한 후에 불순물이 거의 정제되어 청정도는 높으나 미네랄 성분까지도 함께 정제된 이온교환막식 기계염을 상기 기능성 물과 혼합하고 이를 건조하여 소금을 수득한다. 동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3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실시한 단계를 시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가공염의 생산과 관련된 전 과정에서 다이옥신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거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특히, 고온의 열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알칼리 성분이 풍부한 기능성 소금을 수득할 수 있어서 종래의 열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다이옥신 생성의 문제점을 극복한 것은 너무도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제조과정 중에 활성탄 및 황토볼로부터 녹아나온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알칼리성을 띈 소금물과 각종 미네랄이 풍부한 지장수를 사용함으로써 우리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광물질이나 생리활성물질을 소금과 함께 섭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약리작용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기능성물질을 소금과 함께 섭취함으로써, 인체 내에 농축된 다이옥신/중금속/노폐물을 체외로 배출하여 더욱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금물을 여과조로 도입하여, 물보다 비중이 큰 유해물질은 침전여과하고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은 부유여과하는 여과과정과;
    황토분말을 물에 푼 다음 침전조로 도입하여 깨끗한 상등액만 추출하는 지장수제조과정과:
    상기 여과과정을 거친 소금물과 상기 지장수제조과정에서 제조된 지장수를 혼합하여, 황토소금 제조용의 혼합액을 만드는 제1혼합액제조과정과:
    상기 제1혼합액제조과정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자연건조하거나 200℃이하의 온도에서 가열ㆍ건조하는 건조과정;을 거쳐 상기 혼합액으로부터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얻는 기능성 알칼리소금수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장수제조과정 중에,
    상기 침전조에서 추출한 상등액을 가열하여 상등액의 수분을 감량시키는 수분감량단계가 추가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상 또는 분말상의 기능성물질을 제조하는 기능성물질제조과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상기 기능성물질을 상기 혼합액에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
  4.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황토분말을 물에 푼 다음 침전조로 도입하여 깨끗한 상등액만을 추출하는 지장수제조과정과;
    상기 지장수제조과정에서 제조된 지장수에 소금을 용해한 후 여과조로 도입하여, 물보다 비중이 큰 유해물질은 침전여과하고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은 부유여과해서 기능성 알칼리 소금 제조용의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2혼합제조과정과;
    상기 제2혼합액제조과정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자연건조 하거나 200℃이하의 온도에서 가열ㆍ건조하는 건조과정과; 상기 혼합액으로부터 기능성 알칼리 소금을 얻는 기능성 알칼리소금수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
  5. 제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
  6. 유해물질이 침전 또는 여과된 청정한 소금물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지장수와, 인체 내의 노폐물 배출에 유효한 액상 ,또는 분말상의 기능성물질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액을 자연건조 하거나 200℃이하의 온도에서 가열ㆍ건조하여 얻은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
  7. 기능성 알카리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금물을 여과조로 도입하여, 물보다 비중이 큰 유해물질은 침전여과하고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은 부유여과하는 1차여과과정과;
    상기 1차여과 된 소금물을 여과제가 내장되어 있는 여과조로 도입하여, 잔여 유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제로부터 녹아나온 알카리 미네랄성분을 상기 소금물에 침투시키는 2차여과과정과;
    상기 과정으로 제조된 소금물을 자연건조하거나 200℃이하의 온도에서 가열ㆍ건조하는 건조과정;을 거쳐서 알카리 미네랄 소금을 얻는 수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카리 소금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액상 또는 분말상의 기능성물질을 제조하는 기능성물질제조과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상기 기능성물질을 상기 2차여과과정과 상기 건조과정 사이에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카리 소금의 제조방법.
  9. 기능성 알카리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을 여과제가 내장되어 있는 여과조로 도입하여, 물속의 유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제로부터 녹아나온 알카리 미네랄성분을 상기 물에 침투시켜 기능성물을 제조하는 여과과정과;
    상기 여과과정에서 제조된 기능성물에 이온교환막식 기계염을 용해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혼합액제조과정과;
    상기 혼합액제조과정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자연건조 하거나 200℃이하의 온도에서 가열ㆍ건조하는 건조과정;을 거쳐서 상기 혼합액으로부터 알카리 미네랄 소금을 얻는 수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카리 소금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액상 또는 분말상의 기능성물질을 제조하는 기능성물질제조과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상기 기능성물질을 상기 혼합액에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방법.
  11.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제는 활성탄 또는 황토여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카리 소금의 제조방법.
  12.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과정 중에, 30℃ 내지 100℃이하의 발열장치로부터 열 공급을 받는흡열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카리 소금의 제조방법.
  13. 제7항 또는 제9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알카리 소금.
  14.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금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해물질이 걸러지는 여과막과, 여과막을 통과한 소금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로 구성되어 있는 여과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칼리 소금 제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유입되는 소금물이 하부에서부터 서서히 차오르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구가 여과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여과막은 유입된 소금물의 유해물질 중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서 침전여과되지 아니하고 부유하는 유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서 여과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칼리 소금 제조정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그 본체 내부에 여과제가 더욱 내장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칼리 소금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제는 1000℃이상의 고온으로 구운 백탄으로서, 소금물의 유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소금물에 알칼리 성분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칼리 소금 제조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제는 톱밥과 황토분말을 2:8의 비율로 혼합하여 잿물을 섞어 혼합하는과정;과 상기 혼합물을 볼모양으로 만드는 성형과정:과 이를 자연건조하는 건조과정;과 상기 건조된 볼을 다시 800℃~1000℃의 고온으로 열처리하는 고온열처리과정:에 의해 제조된 황토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알칼리 소금 제조장치.
KR1020030068035A 2002-12-16 2003-09-30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40053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A2004100770154A CN1602735A (zh) 2003-09-30 2004-09-09 高净化功能性碱性矿盐及其制造方法及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80415 2002-12-16
KR1020020080415 2002-12-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105U Division KR200337506Y1 (ko) 2003-10-02 2003-10-02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759A true KR20040053759A (ko) 2004-06-24

Family

ID=3258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035A KR20040053759A (ko) 2002-12-16 2003-09-30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0053759A (ko)
AU (1) AU2003303052A1 (ko)
WO (1) WO2004054386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886A (ko) * 2003-02-05 2004-04-03 성충유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기능성 천일염 제조 방법
KR20060026616A (ko) * 2004-09-21 2006-03-24 박상영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미네랄 설탕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667670B1 (ko) * 2005-09-09 2007-01-12 주식회사 현대피앤씨 천일염의 정제방법
KR101319835B1 (ko) * 2012-10-25 2013-10-17 김순남 해양심층수와 소금제조용 여과포를 이용하여 미네랄 소금을 얻는 제조방법
KR20160035223A (ko) * 2014-09-23 2016-03-31 김성진 기능성 염수를 이용한 절임배추 제조 장치
KR102079974B1 (ko) 2018-08-13 2020-04-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슬지제빵소 발효소금, 발효소금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30052469A (ko) 2021-10-13 2023-04-20 김명준 대게 소금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21A (ko) * 1993-07-15 1995-02-16 윤일영 쑥 소금 제조 방법
KR960003604A (ko) * 1994-07-05 1996-02-23 김충식 해조류(海藻類)성분이 함유된 재제염의 제조방법
JPH10295319A (ja) * 1997-02-25 1998-11-10 Tokyo Kogyo Kk 植物粉末・ビタミンc入り食塩
KR20010018346A (ko) * 1999-08-19 2001-03-05 라기인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KR100374711B1 (ko) * 2000-08-02 2003-03-04 최원수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KR20020012455A (ko) * 2000-08-07 2002-02-16 고관순 녹차염 제조방법
KR100383389B1 (ko) * 2000-12-30 2003-05-12 (주)미화 미네랄-글루콘산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886A (ko) * 2003-02-05 2004-04-03 성충유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기능성 천일염 제조 방법
KR20060026616A (ko) * 2004-09-21 2006-03-24 박상영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미네랄 설탕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667670B1 (ko) * 2005-09-09 2007-01-12 주식회사 현대피앤씨 천일염의 정제방법
KR101319835B1 (ko) * 2012-10-25 2013-10-17 김순남 해양심층수와 소금제조용 여과포를 이용하여 미네랄 소금을 얻는 제조방법
KR20160035223A (ko) * 2014-09-23 2016-03-31 김성진 기능성 염수를 이용한 절임배추 제조 장치
KR102079974B1 (ko) 2018-08-13 2020-04-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슬지제빵소 발효소금, 발효소금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30052469A (ko) 2021-10-13 2023-04-20 김명준 대게 소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303052A1 (en) 2004-07-09
WO2004054386A1 (en)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7161A (zh) 对海水反复循环提取实现100%综合利用和零排放的生产工艺方法
JP3493364B2 (ja) 植物性塩及びその製造方法
MXPA06011519A (es) Sal de origen botanico, baja en sodio.
CN110833723A (zh) 一种矿物质滤料及其制备方法和所得的滤芯
CN101786738A (zh) 全海水产业的生态优化组合生产工艺方法
KR20040053759A (ko)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90000111A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소금
KR100798852B1 (ko) 대용량 기능성 정수 장치
CN106396504A (zh) 一种多功能室内装修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337506Y1 (ko)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소금의 제조장치
KR20060004586A (ko)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미네랄 소금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448674B1 (ko) 식물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식물성 소금
KR19990064798A (ko) 음용수 정수용 여과 봉지(정수용티백)
KR101294454B1 (ko) 함초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1418A (ko) 다슬기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다슬기 농축액을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20040060897A (ko) 죽염 조미소금 제조방법
KR100448671B1 (ko) 식물성 소금 제조장치
CN105852035A (zh) 一种含海盐和玛卡的植物盐及采用生物卤水过滤器除重金属离子工艺制备植物盐的方法
KR100759090B1 (ko) 알칼리성분이 풍부한 식품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6616A (ko) 고청정 기능성 알칼리 미네랄 설탕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CN101747175B (zh) 药用级硬脂酸镁及其精制方法
KR100799280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602735A (zh) 高净化功能性碱性矿盐及其制造方法及其装置
KR102381935B1 (ko)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KR100801838B1 (ko) 수중의 인 흡착을 위한 수질 정화용 숯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