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346A -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346A
KR20010018346A KR1019990034264A KR19990034264A KR20010018346A KR 20010018346 A KR20010018346 A KR 20010018346A KR 1019990034264 A KR1019990034264 A KR 1019990034264A KR 19990034264 A KR19990034264 A KR 19990034264A KR 20010018346 A KR20010018346 A KR 20010018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seawater
ocher
purifi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기인
Original Assignee
라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기인 filed Critical 라기인
Priority to KR101999003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8346A/ko
Publication of KR2001001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를 이용하여 염석(鹽析) 및 여과로 해수(海水)를 정화한 후 적외선 건조시키는 식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염의 제조방법은, 해수(海水)에 황토를 넣고 교반한 다음 고형물이 완전히 침전될 때까지 방치한 후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수층을 황토층과 섬유필터로 이루어진 여과기에 여과시켜 정화된 해수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정화된 해수를 30∼80℃의 온도로 48∼72 시간 적외선 건조시켜 식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제식염은 쓴맛, 불쾌한 맛 등이 없이 전체적인 맛이 우수하므로 조리시 식품의 맛을 한결 좋게 할 수 있고, 고온용융법에 비해 저렴한 방법으로 불순물이 제거된 순도 높은 식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일반 소금에 비해 20% 정도 염도가 낮은 식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A METHOD OF PREPARING REFIND SALT}
본 발명은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를 이용하여 염석(鹽析) 및 여과로 해수(海水)를 정화한 후 적외선 건조시키는 식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일반적으로 해수로부터 만들어지는데, 해수에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인, 나트륨, 망간 등 여러 가지 미네랄 성분과 함께 염산, 황산 등의 산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해수를 그대로 햇볕으로 건조시켜 만든 천일염(天日鹽)이나 해수를 가열하여 건조시키거나 해수를 분사시키면서 열풍으로 건조시켜 만든 해수염(海水鹽)은 소금의 성분인 염화나트륨 이외에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염을 많이 함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알칼리염들은 특유의 쓴맛 및 불쾌한 맛 등으로 소금의 맛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오늘날 해양오염으로 해수를 그대로 이용한 천일염이나 해수염에는 불순물이 많이 함유되게 되므로, 천일염이나 해수염은 별도의 정제과정을 거쳐야 식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소금의 정제방법으로는 천일염 등을 물에 녹인후 여과하여 재결정시키는 재결정 방법과 천일염을 1000℃ 정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다음 불순물을 제거한 후 냉각하여 정제된 소금을 얻는 고온용융법 등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불순물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고, 후자의 방법은 불순물은 충분히 제거할 수 있으나 1000℃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까지도 모두 제거된다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특허공고 제97-9073호 (1997.6.5)는 천일염이나 해수염을 400℃ 내지 800℃로 가열처리하여 불순물만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이 함유된 소금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종래의 재결정 방법보다는 불순물이 적고 고온용융법에 비해서는 미네랄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역시 고온 열처리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방법들은 모두 바닷물을 그대로 이용하여 만든 천일염 또는 해수염을 1차적인 원료로 사용하므로, 천일염 또는 해수염 중에 함유된 알칼리염들을 제거하기가 어렵고 이러한 알칼리 염들은 특유의 쓴맛과 불쾌한 맛 등으로 소금의 맛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식염이 1차적인 원료로 천일염을 사용하고 있는데, 자외선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천일염은 제염과정에서 염화칼륨과 같이 쓴맛을 내는 무기질 염이 다량 형성되게 되므로, 이를 원료로 할 경우 양질의 맛을 내는 식염을 얻기는 어렵다. 또한, 종래의 방법들로는 재결정이나 열처리방법으로 제거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식염에 잔류하게 된다.
황토는 예로부터 그 유용함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황토는 그 자체로 정화 및 해독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땅을 1m 쯤 파서 그 속에 고이는 맑은 물, 즉 황토수를 지장 (地漿) 또는 토장이라 하여 해독제로 사용하였으며, 동의보감에도 황토의 유용함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황토의 특이한 효능은 현대과학으로도 재조명되고 있는데, 황토에는 보통 규산, 산화알루미늄, 산화나트륨, 산화제2철,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규석성분, 산화칼슘 등과 같은 미네랄 성분과 인체에 유익한 미량원소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세라믹이란 일반적으로 고온열처리에 의하여 사용가치를 높인 비금속무기화합물을 총칭하는데, 이러한 세라믹 제품은 열을 가할 경우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옹기도 세라믹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옹기는 옛부터 식품을 보관하고 발효시키는데 널리 이용되어 왔다. 또한, 이러한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고온물체로부터의 적외선 방사에 의하여 건조에 필요한 열량을 주는 건조방법을 적외선 건조라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염의 제조에 있어서 해수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황토를 이용한 염석 및 여과로 해수를 정화시킨 후 이 정화된 해수를 적외선 건조시켜 식염을 제조함으로써 순도가 높으면서도 쓴맛이 전혀 없고 맛이 우수한 식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 열처리를 하지 않아 종래의 고온용융법에 비해 비용이 훨씬 절감되는 식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소금에 비해 염도가 낮은 저염도의 소금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침전조 구성을 예시한 간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여과공정을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외선 건조공정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제 1 침전조 B : 제 2 침전조
C : 조(粗)여과조
11 : 도관 12 : 조(粗)여과필터
13 : 수층 14 : 침전층
21 : 금속재 망 22 : 섬유필터
23 : 황토층 31 : 옹기
32 : 적외선로 33 : 정화된 해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해수(海水)에 황토를 넣고 교반한 다음 고형물이 완전히 침전될 때까지 방치한 후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수층을 황토층과 섬유필터로 이루어진 여과기에 여과시켜 정화된 해수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정화된 해수를 30∼80℃의 온도로 48∼72 시간 적외선 건조시켜 식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제식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해수의 정화
(a) 해수에 황토를 넣고 교반한 후 고형물이 완전히 침전될 때까지 일정 시간 방치한 후 수층을 분리한다.
황토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미분(微粉)의 약황토를 사용한다. 해수와 혼합하는 황토의 양은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해수의 3∼ 30% 정도로 황토를 혼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해수의 5∼10% 정도로 혼합한다. 교반후 방치시간은 육안으로 황토층과 수층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면 되고, 통상 8∼10 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전조로 여러 개의 탱크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 수층이 분리되면 다음 탱크로 수층을 이송시켜 분리를 보다 원활하게 한다.
도 2는 A, B, C 3개의 탱크로 이루어진 바람직한 침전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따르면, 탱크(A)(제 1 침전조)에서는 채취한 해수와 황토를 교반한 후 일정시간 방치하여 어느 정도 수층이 분리되도록 한 후, 분리된 수층을 도관(11)을 따라 탱크(B)(제 2 침전조)로 이송시키고 계속적으로 고형성분이 침전되도록 한다. 탱크(B)에서는 수층이 완전히 분리되었다고 생각될 때까지 방치한 후, 수층을 탱크(C)(조여과조)로 이송한다. 탱크(C)에서는 천연석과 모래로 형성된 조(粗)여과필터(12)로 탱크(B)로부터 이송된 수층을 여과시켜 조여과(粗濾過)된 해수를 얻는다.
염석(鹽析)이란 어떤 물질의 용액에 무기염 등을 넣어 그 용액에 녹아있던 물질을 뽑아내는 방법을 말하는데, 본 단계에서는 황토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알칼리염과 해수의 염석(鹽析)작용으로 해수에 포함되어 있던 불순물과 알칼리염 성분들이 제거되고 해수가 연화(軟化)되어 맛이 순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식염은 일반적인 소금에 비해 약 20% 정도 염도가 낮은데, 이 또한 황토와의 염석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황토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한 미네랄 성분과 미량원소들이 본 단계를 거치면서 해수에 녹아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b) 황토층과 섬유필터로 이루어진 여과기에 상기 단계(a)에서 얻은 수층을 여과시켜 정화된 해수를 얻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정화된 해수"는 황토를 이용한 염석(鹽析) 및 여과를 거친 해수(海水)를 의미한다.)
본 단계의 여과기는 황토층과 섬유필터, 바람직하게는 황토층과 무명필터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3에 따르면 스텐레스 등의 금속재 망(21) 위에 섬유필터(22)를 깔고 그 위에 미분의 황토층(23)을 형성하여 필터가 구성된다. 이때 황토층은 통상 5∼30㎝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상이나 이하도 가능하다. 그러나 황토층이 너무 얕으면 여과가 충분하지 않고, 너무 두터우면 여과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황토는 상기 단계(a)에서와 같은 미분(微分)의 약황토를 사용하도록 한다.
정화된 해수의 적외선 건조
(c) 상기 단계(b)에서 얻은 정화된 해수를 30∼80℃의 온도로 48∼72 시간 정도 적외선 건조시켜 본 발명의 정제된 식염을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정화된 해수를 전통적인 옹기에 담아 외부에서 열을 가해 적외선 건조시키며, 이때 옹기 대신 다른 세라믹 용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해수의 건조온도는, 생산된 식염의 맛과 질 및 비용을 고려할 때 30∼80℃의 온도로 48∼72 시간 정도가 적당하나, 보다 장시간으로 할 수도 있으며 온도를 보다 높이고 시간을 단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원으로는 전기, 가스, 숯, 나무 등 대부분의 열원이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온도 조정이 용이한 전기나 가스를 사용한다.
도 4는 본 단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도 4에 따르면 정화된 해수를 옹기(31)에 담고 이 옹기들을 다시 적외선로(32)에서 가열하는 이중방식으로 적외선 건조한다.
본 단계에서는 정화된 해수를 적외선 건조시켜 식염을 제조하는데, 이러한 적외선 건조는 천일염 제조에 사용되는 자외선 건조에 비해 소금의 결정이 작고 결정 형성이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단계의 건조방법에 따르면, 자외선 건조시와 같은 다른 물질(불순물 등)을 포함하여 결정이 커지는 현상 등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적은 비용으로도 순도가 높고 맛 좋은 식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한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조예
(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탱크(A)에 채취한 해수를 담고, 여기에 미분의 황토를 넣은 후 잘 교반하고, 고형물이 어느 정도 침전될 때까지 방치하였다.
(ⅱ) (ⅰ)의 분리된 수층을 도관(11)을 따라 탱크(B)로 이송한 후 수층이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방치하였다.
(ⅲ) (ⅱ)의 완전히 분리된 수층을 도관(11)을 따라 탱크(C)로 이송하여 천연석과 모래로 형성된 필터(12)를 통과시켜 조여과(粗濾過)하였다.
(ⅳ) (ⅲ)에서 얻은 조여과된 해수를 황토층과 무명필터로 이루어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켰다 (도 3 참조).
(ⅴ) (ⅲ)에서 얻은 여과된 해수를 옹기(31)에 담고 이를 다시 적외선로(32)에서 80℃의 온도로 48 시간 건조시켜 본 발명의 정제된 식염을 얻었다 (도 4 참조).
얻어진 식염은 미색(米色)을 띠었으며, 불순물이 거의 함유되지 않았고, 일반적인 소금에 비해 20% 정도 염도가 낮았다.
실시예 2
관능테스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식염의 전체적인 맛을 다음의 비교예과 비교하여 관능테스트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사용하였고 패널의 크기는 20으로 하였으며, 쓴맛과 불쾌한 맛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 : 많이 있다, ++ : 있다, + : 약간 있다, - : 없다.
1) 비교예의 제조
비교예 1 : 해수를 그대로 햇볕으로 건조시켜 만든 천일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 천일염을 물에 녹인후 재결정시키는 방법으로 정제한 식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 천일염을 1000℃ 정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냉각한 정제식염을 사용하였다.
2) 결과
쓴맛 불쾌한 맛 전체적인 맛
실시예 1 - - 6.7
비교예 1 +++ +++ 4.3
비교예 2 ++ ++ 5.1
비교예 3 ++ + 5.6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제식염은 쓴맛, 불쾌한 맛 등이 없이 전체적인 맛이 매우 우수하므로 조리시 음식의 맛을 한결 좋게 하고, 특히 김치나 젓갈의 제조에 사용할 경우 매우 풍미가 좋은 식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용융법에 비해 저렴한 방법으로 불순물이 제거된 순도 높은 식염을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식염은 일반 소금에 비해 20% 정도 염도가 낮으므로 식염의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a) 해수(海水)에 황토를 넣고 교반한 다음 고형물이 완전히 침전될 때까지 방치한 후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b) (a)에서 얻은 수층을 황토층과 섬유필터로 이루어진 여과기에 여과시켜 정화된 해수를 얻는 단계와;
    (c) (b)에서 얻은 정화된 해수를 30∼80℃의 온도로 48∼72 시간 적외선 건조시켜 식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적외선 건조는 정화된 해수를 옹기에 담고 이 옹기를 다시 적외선로에 넣은 후 외부에서 열을 가해 건조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식염.
KR1019990034264A 1999-08-19 1999-08-19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KR20010018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264A KR20010018346A (ko) 1999-08-19 1999-08-19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264A KR20010018346A (ko) 1999-08-19 1999-08-19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346A true KR20010018346A (ko) 2001-03-05

Family

ID=1960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264A KR20010018346A (ko) 1999-08-19 1999-08-19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834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64A (ko) * 2001-11-29 2003-06-09 김성호 각종 독성분이 제거된 천일염 제조방법
KR20030050065A (ko) * 2001-12-18 2003-06-25 김문일 황토죽염건어물의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건어물
KR20030049671A (ko) * 2001-12-17 2003-06-25 이기성 황토 지장 소금의 제조방법
KR20030089381A (ko) * 2002-05-16 2003-11-21 김성호 약초를 이용한 젓갈 및 액젓제조방법
KR20040005278A (ko) * 2002-07-09 2004-01-16 이명우 해수 여과추출 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해양 기능수,및 이의 용도
KR20040028886A (ko) * 2003-02-05 2004-04-03 성충유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기능성 천일염 제조 방법
KR100435289B1 (ko) * 2002-01-12 2004-06-11 김성호 약초를 이용한 젓갈제조방법
WO2004054386A1 (en) * 2002-12-16 2004-07-01 Sang-Young Park Salt of rich mineral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484355B1 (ko) * 2002-09-23 2005-04-20 성충유 소금의 제조원료로서 황토분말이 융해된 해수를 이용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64A (ko) * 2001-11-29 2003-06-09 김성호 각종 독성분이 제거된 천일염 제조방법
KR20030049671A (ko) * 2001-12-17 2003-06-25 이기성 황토 지장 소금의 제조방법
KR20030050065A (ko) * 2001-12-18 2003-06-25 김문일 황토죽염건어물의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건어물
KR100435289B1 (ko) * 2002-01-12 2004-06-11 김성호 약초를 이용한 젓갈제조방법
KR20030089381A (ko) * 2002-05-16 2003-11-21 김성호 약초를 이용한 젓갈 및 액젓제조방법
KR20040005278A (ko) * 2002-07-09 2004-01-16 이명우 해수 여과추출 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해양 기능수,및 이의 용도
KR100484355B1 (ko) * 2002-09-23 2005-04-20 성충유 소금의 제조원료로서 황토분말이 융해된 해수를 이용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WO2004054386A1 (en) * 2002-12-16 2004-07-01 Sang-Young Park Salt of rich mineral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040028886A (ko) * 2003-02-05 2004-04-03 성충유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기능성 천일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0035B (zh) 一种氨基葡萄糖盐酸盐的制备方法
KR100867144B1 (ko)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8346A (ko) 정제된 식염의 제조방법
NO854918L (no) Fremgamgsmaate til fremstilling av titandioksyd.
CN102787178A (zh) 多晶体雪菊冰糖
CN107216264B (zh) 一种l-丙氨酸废母液的处理方法
Quincy Pharmacopoeia Officinalis [et] Extemporanea: Or, A Complete English Dispensatory, in Two Parts. Theoretic and Practical...
KR20010094194A (ko) 대나무 초액을 이용한 죽염 제조방법 및 그 죽염
US2003001272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ure salt
JP2591921B2 (ja) 燐酸アルカリ金属塩の製造方法
CN105566098A (zh) 一种高纯度结晶乙酸钙和无水乙酸钙的联产方法
CN211837870U (zh) 一种溴芬酸钠中间体酸水解后处理装置
CN1026983C (zh) 食用甘草甜素的制造方法
KR20000007545A (ko) 생소금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4560A (ko) 황토 용기를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운소금
TW201043332A (en) Ceramic material for purification activation and health care
CN106830236A (zh) 一种改性聚铝铁硅藻土絮凝剂的制备方法
CN113015700A (zh) 去除杂质的盐的制备方法以及由此制备的盐
JPS55167114A (en) Manufacture of hydroxyapatite
CN102370207A (zh) 粉丝、粉条的加工方法
CN108219917A (zh) 一种杏仁油及其制备方法
JPH0477451A (ja) オキシカルボン酸カルシウムの製造方法
KR102006199B1 (ko) 청정 소금의 제조 방법
CN100500824C (zh) 富钙酒的制备方法
JP4745428B2 (ja) 製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