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943A -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943A
KR20040051943A KR1020020079644A KR20020079644A KR20040051943A KR 20040051943 A KR20040051943 A KR 20040051943A KR 1020020079644 A KR1020020079644 A KR 1020020079644A KR 20020079644 A KR20020079644 A KR 20020079644A KR 20040051943 A KR20040051943 A KR 2004005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lumbar
fixed
bracke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2228B1 (ko
Inventor
이동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2-007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2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차자의 요추전체를 안정된 상태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도 원활한 작동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승차자세의 유지와 안전성을 확보하여 승차감을 높이도록 함은 물론 시트 자체의 품질과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 삽입을 위한 헤드레스트가이드(31)를 상측에 고정하고 그 하방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어퍼바(32)와 시트백의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S타입의 스프링(33)을 순차적으로 고정하고 양측 전방으로는 리클라이너의 어퍼투스브라켓을 고정하면서 시트백의 양측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브라켓(34)을 돌출시킨 시트백프레임(35)상간에 설치어 승차자의 요추부위를 받쳐주는 요추받침장치(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침장치(30)는 내측단부에 구동기어(36)를 가지고 브라켓(34)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드럼(37)과;
상기 브레이크드럼(37)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38)에 결합되는 작동노브(39)와;
상기 구동기어(36)와 맞물리고 브라켓(34)의 내측에서 회전자유롭게 고정되는 피동기어(40)와;
상기 피동기어(40)에 고정되는 레버(41)와;
상기 레버(41)에는 대향측의 브라켓(34)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판(42)과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되는 작동바(43)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바(43)에는 노브(39)의 움직임을 구동기어(36)와 피동기어(40), 레버(41)를 통하여 전달받아 시트백의 쿠션을 출입시키는 패드(45)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Lumbar support of seat b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차자의 허리등뼈인 요추(腰椎)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승차자들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요추조절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시트백에 구비되는 요추받침장치는 승차자의 요추부위를 받쳐주어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승차감의 향상과 충,추돌 시 야기될 수 있는 신체적인 손상을 최소화 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요추받침장치가 종래에도 개발되어 시트백에 설치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헤드레스트 삽입을 위한 헤드레스트가이드를 상측에 고정하고 그 하방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어퍼바와 시트백의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S타입의 스프링을 순차적으로 고정하고, 양측 전방으로는 리클라이너의 어퍼투스브라켓을 고정하면서 시트백의 양측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브라켓(1)을 돌출시킨 시트백프레임(2)상간에 요추받침장치(5)가 설치된다.
상기 요추받침장치(5)는 상기 브라켓(1)을 관통하는 작동축(6)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축(6)의 외측에는 레버(7)를, 내측단부에는 다각형상의 캠(8)을 고정한다.
상기 캠(8)에는 브라켓(1)에 양단부가 움직임이 자유롭게 고정되고 중앙에는 패드(9)를 가지는 작동바(10)가 안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요추받침장치의 작동은 레버를 움직임으로서 캠이 작동바의 돌출정도를 달리하게 되고, 상기 작동바에 구비되는 패드가 시트백의 전방으로 출입하여 요추를 받쳐주게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패드가 허리 바로 위의 한 곳만 받쳐주기 때문에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레버와 캠이 움직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기 때문에 조절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다발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상당히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요추전체를 안정된 상태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승차자세의 유지와 안전성을 확보하여 승차감을 높이도록 함은 물론 시트 자체의 품질과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요추조절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를 A방향에서 본 측면구성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요추받침장치
36; 구동기어
40; 피동기어
43; 작동바
45; 패드
46; 지지바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요추조절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를 A방향에서 본 측면구성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요추받침장치(30)는 헤드레스트 삽입을 위한 헤드레스트가이드(31)를 상측에 고정하고 그 하방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어퍼바(32)와 시트백의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S타입의 스프링(33)을 순차적으로 고정하고, 양측 전방으로는 리클라이너의 어퍼투스브라켓을 고정하면서 시트백의 양측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브라켓(34)을 돌출시킨 시트백프레임(35)상간에 설치된다.
상기 요추받침장치(30)는 내측단부에 구동기어(36)를 가지고 브라켓(34)의 일측면에 정,역방향에 관계없이 작동한 상태를 유지하여주는 통상적인 브레이크드럼(37)을 장착하고, 상기 브레이크드럼(37)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38)에는 작동노브(39)를 결합한다.
상기 구동기어(36)에는 브라켓(34)의 내측에서 회전자유롭게 고정되는 부채꼴 형상의 피동기어(40)를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피동기어(40)에는 하향돌출된 레버(41)를 함께 고정한다.
상기 레버(41)에는 대향측의 브라켓(34)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판(42)과 움직임이 자유로운 작동바(43)를 연결하여 노브(39)의 움직임이 구동기어(36)와 피동기어(40) 및 레버(41)를 통하여 전달받아 시트백의 전,후방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바(43)에는 일정폭과 높이를 가지는 패드(45)를 고정하고, 상기 패드(45)와 시트백프레임(35)의 어퍼바(32) 상간에는 탄성을 가지는 강선을 개략 ∪형상으로 절곡한 지지바(46)를 더 구비하여 요추 전체를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요추받침장치(30)는;
시트백의 일측방에 구비되는 작동노브(39)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시트백의 쿠션이 출입하여 시트백에 밀착되는 승차자의 요추부위를 받쳐주어 승차자세를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살펴보면, 작동노브(39)를 회전시킴으로서 축(38)을 통하여 구동기어(36)가 회전하여 부채꼴 형상의 피동기어(4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피동기어(40)의 회전으로 피동기어(40)에 고정된 레버(41)도 함께 회전하여 작동바(43)를 움직이게 된다.
상기 작동바(43)의 움직임으로 작동바(43)에 고정된 패드(45)가 시트백의 쿠션을 출입시키게 되고, 상기 패드(45)와 시트백프레임(35)의 상측에 구비되는 어퍼바(32) 상간에 더 연결된 지지바(46)역시 패드(45) 상측부위의 쿠션을 출입시킴으로서 시트백의 쿠션이 승차자의 요추와 동일한 형상으로 출입하면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노브(39)를 회전시켜 패드(45)와 지지바(46)를 움직인 후 작동로브(39)를 놓게되면 브레이크드럼(37)의 브레이킹 작동으로 패드(45)와 지지바(46)를 조절한 상태로 계속하여 유지하여 줌으로서 중도에 복귀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승차자의 요추전체를 안정된 상태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도 원활한 작동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승차자세의 유지와 안전성을 확보하여 승차감을 높이도록 함은 물론 시트 자체의 품질과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헤드레스트 삽입을 위한 헤드레스트가이드(31)를 상측에 고정하고 그 하방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어퍼바(32)와 시트백의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S타입의 스프링(33)을 순차적으로 고정하고 양측 전방으로는 리클라이너의 어퍼투스브라켓을 고정하면서 시트백의 양측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브라켓(34)을 돌출시킨 시트백프레임(35)상간에 설치어 승차자의 요추부위를 받쳐주는 요추받침장치(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침장치(30)는 내측단부에 구동기어(36)를 가지고 브라켓(34)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드럼(37)과;
    상기 브레이크드럼(37)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38)에 결합되는 작동노브(39)와;
    상기 구동기어(36)와 맞물리고 브라켓(34)의 내측에서 회전자유롭게 고정되는 피동기어(40)와;
    상기 피동기어(40)에 고정되는 레버(41)와;
    상기 레버(41)에는 대향측의 브라켓(34)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판(42)과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되는 작동바(43)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바(43)에는 노브(39)의 움직임을 구동기어(36)와 피동기어(40), 레버(41)를 통하여 전달받아 시트백의 쿠션을 출입시키는 패드(45)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45)와 시트백프레임(35)의 어퍼바(32) 상간에는 요추전체를 받쳐줄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지지바(4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KR10-2002-0079644A 2002-12-13 2002-12-13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KR100492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644A KR100492228B1 (ko) 2002-12-13 2002-12-13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644A KR100492228B1 (ko) 2002-12-13 2002-12-13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943A true KR20040051943A (ko) 2004-06-19
KR100492228B1 KR100492228B1 (ko) 2005-05-30

Family

ID=3734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644A KR100492228B1 (ko) 2002-12-13 2002-12-13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201B1 (ko) * 2005-07-14 2011-08-03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1675B2 (ja) * 1992-09-24 1998-01-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H07312392A (ja) * 1994-05-18 1995-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823620A (en) * 1997-04-17 1998-10-20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having lumbar support
KR19990020106U (ko) * 1997-11-24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조절장치
KR100298614B1 (ko) * 1998-04-11 2001-10-27 홍정명 자동차시트의람버서포트
KR20000000349A (ko) * 1999-10-14 2000-01-15 박성주 자동차의자 등받이 허리받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201B1 (ko) * 2005-07-14 2011-08-03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2228B1 (ko) 2005-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4273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の構造
JP5155667B2 (ja) 車両用シート
JP3783225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0492228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JP2965875B2 (ja) 車両用シート
JP4499856B2 (ja) シート高さ調整装置
KR20030075271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20040043025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JP2759552B2 (ja) 車両用シートの面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KR100297135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100398106B1 (ko) 차량용 시트쿠션 스프링의 위치조절장치
JP5169022B2 (ja) シート構造
KR20030021087A (ko)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10037154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트 조절장치
KR100214999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200141070Y1 (ko) 차량용 시트
JPH08266369A (ja) シートのサポート装置
KR20020095814A (ko) 자동차용 더블캠을 장착한 요추 지지장치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20030021391A (ko) 자동차용 s-스프링을 이용한 요추 지지장치
KR20030037943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9990021284U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