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695A -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 신축 직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직물 - Google Patents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 신축 직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695A
KR20040046695A KR1020020074693A KR20020074693A KR20040046695A KR 20040046695 A KR20040046695 A KR 20040046695A KR 1020020074693 A KR1020020074693 A KR 1020020074693A KR 20020074693 A KR20020074693 A KR 20020074693A KR 20040046695 A KR20040046695 A KR 20040046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nylon
stretch
c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석
송기철
권익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2007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6695A/ko
Publication of KR2004004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69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7/00Woven fabrics having elastic or stretch properties due to manner of we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ⅰ)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를 경사로 사용하고, 신축성 원사를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하여 직물을 수득하는 단계, ⅱ) 상기 수득된 직물을 정련 및/또는 염색하여 권축특성을 발현하는 단계, 및 ⅲ) 소폭처리에 의해 ⅱ)단계에서 수득된 직물의 스트레치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가진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신축성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면, 소프트 스트레치성이 있는 양방향(2-way) 신축성 직물을 수득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신축성 직물은 일반 신축성 섬유에 비해 뛰어난 신축성을 가지며,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나타내는 감성적인 스트레치 직물이다. 아울러, 종래에 없었던 독특한 표면효과(주름성 또는 드라이 터치감)를 나타내고 스판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경량화가 가능하여 새로운 질감의 의류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제직 및 염색공정에서는 스판 커버링사 대비 작업성이 용이하고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 신축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직물{A Process for preparing Stretchable Woven Fabric having Two-Way and Soft Stretching Characteristics and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cess}
본 발명은 ⅰ)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를 경사(經絲)로 사용하고, 신축성 원사를 위사(緯絲)로 사용하여 제직하여 직물을 수득하는 단계, ⅱ) 상기 수득된 직물을 정련 및/또는 염색하여 권축특성을 발현하는 단계, 및 ⅲ) 소폭처리에 의해 ⅱ)단계에서 수득된 직물의 스트레치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가진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신축성 직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섬유제품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 및 그 용도가 다양화됨에 따라, 등산복, 운동복, 방호복, 산업재료 등의 분야에서 여러 가지 특성, 예를 들어, 높은 강도, 소프트 스트레치성, 드라이 터치 등을 가진 특수한 신축성 직물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는 바, 이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어 있다.
통상의 신축성 직물의 제조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직물을 구성하는 원사로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섬유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상기 폴리우레탄 섬유와 나일론섬유를 병용하여 직물을 제직하거나, 폴리우레탄과 나일론 섬유의 복합사를 사용한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폴리우레탄계 위사는 폴리우레탄의 고유 특성에 기인하여 그 촉감이 딱딱하고, 직물의 품위가 좋지 않으며,특히, 드레이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경우, 나일론과 폴리우레탄 중합체간의 염색성의 차가 필연적이고 염색시의 취급(handling)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 외에도, 신축성 부여를 위해 별개의 사가공을 행하거나, 가연, 니트·디니트(knit deknit)법 등도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 방법들은 원사 가연법의 경우 얻을 수 있는 신축성의 한계가 있고, 직물에 사용시 광범위한 신축성을 얻을 수 없으며, 특히 니트·디니트법의 경우 권축 불안성때문에 직물의 사용범위에 제한이 있다. 아울러, 신축성 직물분야에서 새로이 요구되고 있는, 신규한 촉감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은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충분히 발현될 수 없다.
상기 기술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수요자들의 직물특성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바, 직물의 벌키성 이외에 인간의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소프트 스트레치성 및 드레이프성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직물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찰 및 파열강도가 우수한 직물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의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가지고,우수한 벌키성, 드레이프성, 및, 높은 마찰 및 파열강도를 가지며 신규한 터치 (touch)를 제공할 수 있는 직물을 제공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 및 신축성 원사로 직물을 제조한 후, 이를 정련·염색공정에서 권축발현시키고, 권축성이 발현된 상기 직물을 특정 조건하에 세팅하여 스트레치성을 조절함으로써 폭 및 길이방향의 양방향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결국 본발명은 소프트 스트레치성 및 신규한 터치를 가지고, 벌키성, 드레이프성, 및 마찰·파열강도가 우수하며, 양방향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신축성 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ⅰ)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를 경사로 사용하고, 신축성 원사를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하여 직물을 수득하는 단계, ⅱ) 상기 수득된 직물을 정련 및/또는 염색하여 권축특성을 발현하는 단계, 및 ⅲ) 소폭처리에 의해 ⅱ)단계에서 수득된 직물의 스트레치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가진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신축성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상기 신축성 직물은 위사방향으로 신장률이 15% 내지 30%, 신장회복율이 80 내지 95%, 경사방향으로 신장률이 5% 내지 30%, 신장회복율이 85% 내지 97%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ⅰ) 단계 : 잠재신축성 직물의 제직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를 경사로 사용하고 신축성 원사를 위사로 사용하여 잠재신축성 직물을 제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경사로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는 실을 구성하는 개개 섬유가 폴리아미드계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계 단독 중합체를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이드-바이-사이드(S/S) 또는 동심성 또는 편심성 심초형 단면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수축성분인 상기 공중합체는 나일론66과 나일론 6의 공중합체(나일론 66 : 나일론 6의 중량비 = 60 내지 80 중량% : 40 내지 20 중량%)로서, 2.50 내지 3.20 범위의 황산 상대점도를 가진다. 또한, 저수축성분인 상기 단독중합체는 나일론6 또는 나일론 66 으로서, 2.4 내지 3.05 범위의 황산상대점도를 가진다.
상기 잠재권축성 복합사는 40d 내지 200d의 섬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잠재권축성 복합사는 30% 내지 50% 범위의 권축률 및 50% 이상의 탄성률을 가져야 하는 바, 권축율이 30% 미만이면 스트레치성이 떨어지며, 50% 초과이면 직물에서의 수축이 심해 최종 제품의 품질상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탄성율이 50% 미만이면 직물에서의 탄성감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잠재권축성 복합사는 제직 후 직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직물내 1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바,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탄성이 부여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상기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를 경사로 사용함에 의해, 최종 수득된 신축성 직물의 마찰 및 파열강도가 현저히 높아지므로, 등산복, 트레블링 수트(traveling suit)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신축성 직물이 폴리아미드계 잠재 권축성 복합사로부터 오는 드레이프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직물 표면상 미세 주름으로 인해 드라이 터치를 나타내는 점에서 추가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 상기 나일론 잠재권축사를 경사로 사용하는 경우, 경사에 크림프가 부여됨으로써 직물의 경위사가 교차하는 부분(조직점)들이 뜨게 되어 직물 구조가 느슨해지게 되는 바, 상기 효과는 위사방향의 신축성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와서 직물의 양 방향 신축성이 추가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위사로 사용되는 상기 신축성 원사는 잠재권축사 그 자체, 잠재권축사를 가연(假撚:false twisting) 가공한 스트레치사, 잠재 권축사 및 기타 나일론 또는 PET 등을 합사한, 인터레이스 가공된 잠재권축사, 및 스판 커버링사(span covering yarn: 나일론 또는 면, PET 등에 스판을 커버링한 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원사이다.
본 발명의 ⅰ)단계에서 사용되는 제직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제직방법이 사용가능하다.
ⅱ) 단계 : 정련 및/또는 염색을 통한 권축특성의 발현
ⅰ) 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직물을 정련 및/또는 염색처리하여 잠재권축사의 권축특성을 발현시킨다. 정련 및/또는 염색 공정은 종래 공지된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권축특성의 발현에 의해, 직물이 폭 및 길이방향으로 10% 내지 60% 수축하게 되는 바, 상기 수축이 10% 미만의 경우에는 권축발현이 되지 않으며, 60% 초과이면 과도한 권축발현(수축)에 의해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ⅲ) 단계 : 최종 세팅에 의한 권축특성의 조절
ⅱ)단계에서 수득한 권축성이 발현된 직물을 소폭 처리하여 그 스트레치성을 조절한다.
여기서 "소폭처리"라 함은 텐터(tenter)상에서 세팅폭을 직물의 폭보다 좁게 설정하여 행하는 처리를 말한다.
보다 상세하게, 파이널 세팅지의 폭을 염색지 폭보다 3 내지 10% 줄여서(소폭) 처리하는 바, 상기 범위로 소폭처리 하는 것은 효과적인 소프트 스트레치성의 발휘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소프트 스트레치성"이라 함은, 신장시 보다 부드러운 신축성을 가지는 특성을 말한다. 하중-신장곡선에서 특정 신장시 직물에 걸리는 하중을 낮은 경우,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소폭처리를 거친 경우, 수득된 직물은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 소프트 스트레치성 및 드라이 터치를 가지는 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직물은 섬도 40d 내지 200d 급의 잠재권축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정련 및/또는 염색 공정에 의하여 길이 및 폭 방향으로 10 에서 60% 수축시켜 권축을 발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직물의 경우 직물표면에 주름을 가져 독특한 표면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면과 유사한 까슬까슬한 감촉을 느낄 수 있으며 드라이 터치감을 가진다.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 및 직물의 특성 측정은 하기의 방법에 따른다:
A. 원사 권축률
워프릴에서 20회 권취하여 타래를 만들고, 그 직후, 30분간 비수 처리하여 30분간 60℃의 온도에서 열풍건조를 실시한다. 탈수 시료에 1/500(g/d)의 하중을 가한 후, 그 길이(a)를 측정하고 하중을 제거한다. 다시 1/20(g/d)의 하중을 가한 후, 그 길이 (b)를 측정한 다음 하중을 제거한다. 다시 1/500(g/d)의 하중을 가한 후 그 길이(c)를 측정하여 하기 식에 의해 권축률을 계산한다.
권축률 (%) = [(b-a)/b]×100
B. 탄성률
상기 권축률 측정방법에서의 (a), (b), (c)을 가지고 하기 식에 의해 탄성률을 계산한다:
탄성률 (%) = [(b-c)/(b-a)]×100
C. 직물 신장률%
KSK 0352법 중 정하중법에 의해 계산한다.
D. 신장 회복율%
KSK 0352법 중 정하중법에 의한 초하중을 부여한 후, 시험편상에 20cm의 간격으로 표시를 하고, 상기 시험편에 1.5kg의 하중을 가한다. 이 후, 1분간 방치하고 표시한 간격의 길이를 측정하여, 아래의 식에 따라 신장회복율을 구한다.
신장회복율(%) = (L1- L1′)/(L1′- L0)×100
L1: 1.5kg 하중을 걸고, 1분 방치하였을 때의 표시 간격의 길이
L1′: 1.5kg의의 하중과 초하중을 제거한 다음 30초 후에 초하중만 다시 걸었을 때의 표시 간격의 길이
L0: 최초표시 간격의 길이(20㎝)
상기 C. 신장률과 D. 신장회복율은 권축성과 직물의 신축성 정도를 판단할수 있는 기준이 된다.
E. 싸이클링 테스트
직물의 탄성감과 탄성회복성을 테스트하는 것으로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파지거리를 20cm로하여 시료를 시료를 준비한다. 이 시료를 인스트롱의 상부 클립에 물린 후 초하중을 5g으로 하여 하부 클립에 물린다. 파지거리 20cm로 하며, 시료장의 17%까지 신장회복을 4회 반복후 5회째는 30초간 유지후 회복시킨다. 이것을 기초로 첫 번째 업로드와 5번째 다운로드의 변형, 하중곡선을 나타낸 것이 싸이클링 테스트 그래프이다.
F. 마모 강도측정
KSK 0615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실시예 1
96% 황산 상대점도 2.6인 나일론 66과 나일론 6(중량 조성비 70:30)의 랜덤 공중합체 고수축칩 및 황산 상대점도 2.47인 나일론 6 저수축칩을 복합방사하여 얻어진 섬도 70d/24f의 잠재권축성 복합사를 경사로 사용하였다. 상기 복합사의 권축률은 50%, 원사탄성률은 70%이었다. 위사로는 70d/24f의 잠재권축사와 일반 나일론 70d/48f 2합 S/T사를 인터레이스 가공한 것을 사용하였다. 경사 밀도는 120본(本)/in, 위사밀도는 80 본/in 직물조직은 3/3 트윌(twill)로 제직하였다. 이 직물을 정련제(Monomol LX 0.03%)와 NaOH 0.05%를 첨가하여 서큘러(circular) 염색기에서 90℃ 30분간 정련 공정을 거치고, 이 직물을 염료는 테론 블루 KGGLLl(Dystar)를 2% o.w.f, 샌드 산 2g/l, 균염제는 모노폴 OA 0.2g/l를 조합한 산성염료를 사용하여 서큘러 염색기에서 100 ℃에서 60분간 유지하는 조건으로 염색을 진행하였다.
이 염색 공정에서 잠재권축능이 발현되면서 직물 상에 수축이 발현된다. 이후에 마지막 열세팅을 진행하는데 세팅폭을 염색지폭보다 5% 줄여서 소폭으로 설정하였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수득한 직물의 사이클링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폭처리 직물의 경우, 후술할 비교예 1 및 2의 제폭 또는 대폭으로 세팅한 경우보다 최대변형(17%)에서의 하중이 더 적음을 알 수 있는 바, 이는 신장시의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득한 신축성 직물의 경우, 소프트한 스트레치성을 지니면서 독특한 표면효과(벌키감, 드라이 터치)를 가진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수득한 직물의 신장률 및 신장회복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 직물의 경우, 경사방향 및 위사방향에 있어 모두 신장률 및 신장회복률이 우수한 양방향 신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및 2
마지막 열세팅시 세팅폭을 염색지폭과 동일하게 제폭으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의 직물을 제조하였다.
마지막 열세팅시 세팅폭을 염색지폭보다 5% 늘여서 대폭으로 세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직물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수득된 비교예 1 및 2의 직물의 싸이클링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수득한 직물의 사이클링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에 비해, 비교예 1 및 2의 제폭 또는 대폭으로 세팅한 경우 최대변형(17%)에서의 하중이 더 크며, 따라서, 신장시의 소프트 스트레치성이 없다.
세팅폭에 따른 싸이클링 테스트 그래프는 도 1에 표시하였다.
[도 1]
비교예 3
나일론 레귤러 원사인 70d/24f S/T사를 경사로 사용하고, 위사로는 잠재권축사와 일반 나일론 70d/48f 2合 S/T사를 인터레이스 사가공 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수득한 직물의 신장률 및 신장회복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로부터, 비교예 3의 직물의 경우, 경사방향 및 위사방향간 신장률 및 신장회복률에 현저한 차이를 가져 일방향 신축성만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권축률이 50%이상 원사탄성률이 50%이상인 잠재권축성 복합사를 경사로 사용하였으며, 위사로는 면 30S`에 40De 스판 커버링사를 사용하였다. 경사밀도는 120본/in 위사밀도는 82본/in로 하여 서틀(suttle)직기에서 제직하였으며, 정련 및 염색은 위사를 스판 커버링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a. 정련: Monomol LX 0.03%, NaOH 0.05%, 과수안정제, H2O2 첨가하여 circular 염색기에서 90 30분간 정련 공정을 거친다.
b. 염색: 2욕법으로 진행, 먼저 실시예 1에 언급된 나일론 염색법으로 염색을 진행. 이후 면 반응 염료로 염색진행. 염료(Rifafix N/blue 2GN 1% o.w.f)와 염(망초 30g/l)을 투입하고 20분간 유지후 다시 알칼리(소다회 17.5g/l)를 투입하여 60 에서 40분간 유지한다.
상기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신축성 직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을 통해 소프트 스트레치성의 쌍방향 직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수득한 직물의 신장률 및 신장회복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 직물의 경우, 경사방향 및 위사방향에 있어 모두 신장률 및 신장회복률이 우수한 양방향 신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나일론 레귤러원사인 70d/24f S/T를 경사로 사용하고, 위사로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스판 커버링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수득한 직물의 신장률 및 신장회복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로부터, 비교예 3의 직물의 경우, 경사방향 및 위사방향간 신장률 및 신장회복률에 현저한 차이를 가져 일방향 신축성만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신장률 신장회복률 경사방향의 직물 마모강도(파괴점까지의 회전수)
방향 경사 위사 경사 위사
실시예 1 30 37 93 95 500회
실시예 2 28 35 96 95 490회
비교예 3 16 32 90 95 300회
비교예 4 20 34 90 91 277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면, 소프트 스트레치성이 있는 양방향(2-way) 신축성 직물을 수득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신축성 직물은 일반 신축성 섬유에 비해 뛰어난 신축성을 가지며,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나타내는 감성적인 스트레치 직물이다. 아울러, 종래에 없었던 독특한 표면효과(주름성 또는 dry touch감)를 나타내고 스판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경량화가 가능하여 새로운 질감의 의류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제직 및 염색공정에서는 스판 커버링사 대비 작업성이 용이하고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ⅰ)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를 경사로 사용하고, 신축성 원사를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하여 직물을 수득하는 단계, ⅱ) 상기 수득된 직물을 정련 및/또는 염색하여 권축특성을 발현하는 단계, 및 ⅲ) 소폭처리에 의해 ⅱ)단계에서 수득된 직물의 스트레치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을 가진 직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는, 고수축성분으로서 황산 상대점도가 2.50 내지 3.20인 나일론66 및 나일론 6의 공중합체(나일론 66 조성비= 60 내지 80 중량%, 나일론 6 조성비= 40 내지 20 중량%) 및, 저수축 성분으로서 황산상대점도가 2.40 내지 3.05인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의 단독중합체를 복합방사한 것이며, 복합사의 권축율이 30% 내지 50%의 범위이고, 탄성률이 50% 이상인 잠재권축성 복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원사는 잠재권축사 단독, 또는 스트레치사와 인터레이스 가공한 잠재권축사, 및 스판 커버링사(span covering yarn)로 이루어진 군으부터 선택된 신축성 원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잠재권축성 복합사는 직물 중량대비 15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에 있어 권축의 발현은 직물의 폭과 길이방향으로 각각 10% 내지 60%의 범위로 수축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ⅲ) 단계의 소폭처리는 세팅지 폭을 염색지 폭보다 3 내지 10% 줄임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신축성과 독특한 표면효과를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
KR1020020074693A 2002-11-28 2002-11-28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 신축 직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직물 KR20040046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693A KR20040046695A (ko) 2002-11-28 2002-11-28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 신축 직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693A KR20040046695A (ko) 2002-11-28 2002-11-28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 신축 직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695A true KR20040046695A (ko) 2004-06-05

Family

ID=3734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693A KR20040046695A (ko) 2002-11-28 2002-11-28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 신축 직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66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882B1 (ko) * 2004-06-01 2006-06-30 권오숙 고탄력성 직물의 제조방법
CN103352304A (zh) * 2013-06-06 2013-10-16 宜兴新乐祺纺织印染有限公司 棉氨纶高弹力竹节纱卡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932A (ja) * 1988-07-12 1990-01-29 Toray Ind Inc ポリアミド系複合繊維捲縮加工糸の製造方法
JP2000290837A (ja) * 1999-04-06 2000-10-17 Unitika Ltd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55631A (ja) * 1999-08-09 2001-02-27 Unitika Ltd 抗菌性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8325A (ko) * 1999-09-20 2001-04-06 김윤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JP2002285449A (ja) * 2001-03-27 2002-10-03 Unitica Fibers Ltd 伸縮性ポリアミド織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932A (ja) * 1988-07-12 1990-01-29 Toray Ind Inc ポリアミド系複合繊維捲縮加工糸の製造方法
JP2000290837A (ja) * 1999-04-06 2000-10-17 Unitika Ltd 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55631A (ja) * 1999-08-09 2001-02-27 Unitika Ltd 抗菌性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8325A (ko) * 1999-09-20 2001-04-06 김윤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JP2002285449A (ja) * 2001-03-27 2002-10-03 Unitica Fibers Ltd 伸縮性ポリアミド織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882B1 (ko) * 2004-06-01 2006-06-30 권오숙 고탄력성 직물의 제조방법
CN103352304A (zh) * 2013-06-06 2013-10-16 宜兴新乐祺纺织印染有限公司 棉氨纶高弹力竹节纱卡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7754B (zh) 一种仿棉全消光经编绒织物及其生产方法
US5874372A (en) Highly stretchable fabric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N114351321A (zh) 一种亲肤凉感面料及其制备方法
US20050016223A1 (en) Circularly knitted fabric for fashioning clothes
KR101397820B1 (ko) 전투복에서 사용하기 위해 니코에 혼입된 탄성체를포함하는 신축성 직물
KR20040046695A (ko) 양방향 신축성 및 소프트 스트레치성 신축 직물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직물
KR100460004B1 (ko) 필라멘트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신축성 장단복합 코어사의제조방법
US4350725A (en) Fabric and garment of circular weft-knit or circular warp-knit material
KR20060072400A (ko) 잠재권축성 복합섬유를 사용한 신축성 환편물의 제조방법
JP5768329B2 (ja) ストレッチ織物
JP2541661B2 (ja) 接着芯地
KR101921231B1 (ko) 활동성이 향상된 아웃도어 웨어용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S583064B2 (ja) シルキ−調ポリエステル織物の製造方法
JP2003027350A (ja) 高強力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888963B2 (ja) ソフトな風合を有する軽量織物
JPS5858449B2 (ja) 混合繊維糸
JP5033725B2 (ja) ナイロン11捲縮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885493B2 (ja) 混繊糸織物とその製造方法
JP2560170B2 (ja) 高反撥性ウールライク織物の製造方法
JP3534025B2 (ja) 交織織物
JPH02191702A (ja) 裏地
JP3062584U (ja) 伸縮性織編物
KR100489555B1 (ko) 방적사와 방사 필라멘트사의 특징을 동시에 갖는 제직용실 및 그 제조방법
Griffiths MODIFIED VISCOSE RAYON FIBRES
KR20060078798A (ko) 가공사를 이용한 스트레치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