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848A -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848A
KR20040045848A KR10-2004-7005625A KR20047005625A KR20040045848A KR 20040045848 A KR20040045848 A KR 20040045848A KR 20047005625 A KR20047005625 A KR 20047005625A KR 20040045848 A KR20040045848 A KR 20040045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ical
container
module
fis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1139B1 (ko
Inventor
페르 링스태드
Original Assignee
페르 링스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르 링스태드 filed Critical 페르 링스태드
Publication of KR2004004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콘테이너(14)의 수중에 있는 활어(18) 또는 갑각류를 효율적으로 벌크수송을 위한 방법과 이에 따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수중 생물체의 수송은 적어도 많은 시간 또는 수 일이 걸린다. 생물체를 살아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저장콘테이너(14)와 필요한 다수의 기술장비들은 수송용기(10), 바람직하기로는 표준콘테이너에 잘 장착되도록 형태와 크기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수송모듈(12,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위치된다. 콘테이너(10)는 통상의 표면수송, 예컨대 보트, 철로, 로드 또는 차량을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운반된다.

Description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live fish and shellfish}
본 발명은 물고기 또는 갑각류(shellfish)로 이루어진 생선 원료를 이송하는 공지된 기술과 조립체 및 시스템과 관련된 다양한 실제적인 문제점과 단점들을 배경으로 한다. 특히, 세계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서 수송해야할 생선 원료를 포함하는 식료품의 양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원산지로부터 수요지까지의 거리가 더욱 멀어지면서 소요시간이 늘어나고 가능한 국경을 통과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많은 양의 생선 원료를 수송하기 위해서는 수송이 매우 효율적인 수단, 별도의 수송수단과 특별하게는 시스템(수송시스템) 내에 있는 별도의 수송수단으로 수행되어야만 한다.
덧붙여서, 가능한 한 어패류들은 상응하는 수요지까지 질적으로 만족할 만한 상태로 배달되어야만 한다. 많은 소비시장에서 신선한 식품에 대해서 만족할 만한 양질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이와 같은 이유로 시장에서 살아 있는 어패류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는 현존하거나 관련된 재배활동에서 수확량을 늘리는 한편, 재배조직의 유형과 재배설비의 유형에 관하며 재배위치에 관한 새로운 유형의 재배활동을 수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욱이, 미래에는 현존하면서 새롭게 수립될 재배활동이 매우 확장될 것이다. 이로 인해서, 다른 종류와 다른 지리적 위치 사이에서 양식된 유어(游魚)를 포함한 다른 성장상태에서도 살아 있는 양식된 생물체를 수송할 필요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대한 양의 살아 있는 어패류들을 이송하기 위해 대두될 필요성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생선 원료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수송시스템에 의해서 운반되어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수송시스템은 통합관리시스템(logistics manoeuvre)인 반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적 장치의 설비 및 조립체로서, 본 발명의 조립체와 방법은 상기 통합관리시스템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수송시스템의 기술적 측면을 고려하여서 본 발명은 기술적 장치의 적당한 배치 및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바, 조립체와 방법은 살아 있는 어패류의 벌크수송에 대한 수송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냉동, 냉장, 가공저장(canning), 염장(salting) 및, 건조법은 예컨대 어패류를 포함한 상이한 유기체 중에서 육류인 다른 식료품들이 기간중에 부패하거나 상하지 않도록 알려져 있는 방법들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상기 방법들은 상당히 먼 거리와 장시간 동안 수송될 때에도 식료품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킨다. 몇 가지 사항을 제외하고는, 상기 모든 방법들은 육류고기를 제공하는 유기체들은 고기로 저장되기 전에 죽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육류생산품은 일반적으로 신선한 식품으로 고려되지 않는데, 예컨대 이와 같은 각빙(角氷)내에서 새롭게 냉각되어 살육된 생선인 육류생산품이 냉각된 상태로 소비되어져서 통상적으로 신선한 식품으로 취급되어진다. 다른 한편 짧은 기간동안, 예컨대 하루동안은 살아 있는 갑각류, 예를 들자면 홍합 및 굴을 수송하고 난 후에 판매/소비되기 전까지 냉장저장이 가능하다.
한편, 아래의 실례들은 살아 있는 물고기의 수송에 사용되는 장치와 설비 및 방법을 포함하는 공지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1897년에 공보된 특허 제 6789호는 "자동으로 작동하는 수중장치를 갖춘 활어용 수송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원칙적으로, 상기 "수중장치"는 수송캐리지에 위치되어 조립된 펌프장치로서, 예컨대 철로캐리지와 같은 캐리지가 구동되면서 물이 펌핑되고 물로 채워진 용기를 통해 순환된다.
1898년에 공보된 특허 제 8046호는 "활어(活魚) 수송용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이 캐리지는 철로캐리지의 실례이다. 캐리지는 물로 채워진 물고기용 콘테이너를 구비하고 다른 장치들은 물의 여과와 수중의 공기포화상태 및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콘테이너 외부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캐리지는 매우 장거리와 온도의 변화에서도 사용가능하며, 또한 물의 교체 없이도 사용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발명은 주로 물고기용 콘테이너와 이와 연관된 장치인 캐리지와 원료 및 설비의 기술적 특성을 취급하는 바, 수송중 활어를 살아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필요로 활어에게 필요로 한 생태조건을 부여한다.
한편으로는, 1931년에 공보된 특허 제 53182호는 "활어 수송용 차량"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이 특허공보는 차량에 물고기용 콘테이너 내로 물을 보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공보 제 8046호와 유사하기로, 이 물고기용 콘테이너는 적당한 파이프를 관통하면서 물을 처리하는 여과장치와 공기공급장치에 연결된 순환장치를 또한 구비한다. 상기 발명은 가열장치로서 차별화를 꾀하는데, 이 가열장치는 순환파이프가 냉동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물고기에 적당한 수온을 제공할 수 있다.
노르웨이 특허출원 제 891163호는 콘테이너 내에 "활어 수송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송 도중에 물고기들이 콘테이너의 바닥부로 군집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고 이는 물고기에 기계적 상해와 산소결핍현상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상기 발명은 풍부한 산소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콘테이너를 구비하는데, 산소는 콘테이너 내에 대량의 활어에게 강제공급시키고, 물의 흐름은 컨테이너의 바닥부에서 윗방향으로 물고기를 올라가게 하여서 물고기에게 야기될 기계적 상해를 방지한다.
노르웨이 특허출원 제 863276호는 "활어, 특히 연어(smolt) 수송용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구조적 특징부와 이와 연관된 설비를 통해 배열된 원통형 물고기용 콘테이너를 구비하는 바, 물은 콘테이너 내의 물고기가 생존하기에 적당하도록 특정한 유속으로 재순환된다.
특허 공보 제 170613호와 미국 특허 제 5,220,880호는 활어의 수송 및 저장을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발명들과는 달리, 위 2건의 발명은 수송도중에 활어들이 별도로 위치될 케이스 또는 구획칸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송 및 저장중에 적당한 특성을 갖는 물이 물고기에 필요한 적당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케이스 또는 구획칸을 관통하여 흐른다.
또한, 미국 특허공보 제 4,844,012호와 동 제 5,117,777호 및 동 제 5,309,868호는 활어의 수송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공보들과는 달리, 이들 공보들은 수송 도중에 물고기가 비활동적이거나 동면상태에 놓이도록 가정하였다. 이 상황하에서는, 군집된 물고기들은 평온한 상태로 놓여 있지만 본질적인 물고기에 대한 기계적 상해는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물고기가 밀집되어서 물고기가 활동적일 때보다 더 작은 수송용적을 갖는다. 미국 특허공보 제 4,844,012호에서, 일반적인 어종(魚種)들은 물고기에게 야기될 소위 동면의 부동상태의 일종인 "어류 부동 증상"의 상태인 비활동상태가 된다. 공보에 따르면, 이러한 상태는 물고기의 움직임을 물리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고 양질의 물과 함께 물고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미국 특허공보 제 5,177,777호와 동 제 5,309,868호는 물고기에 해를 끼치지 않을 특정 온도범위의 온도로 냉각하여 동면상태로 놓이게 하는 것으로, 수송 도중에는 이 온도범위내에서 물고기를 냉동보관된다. 수송후에, 물고기는 일반적인 온도로 증가된 온도에서 활동가능해 진다. 이와는 달리, 위 3건의 공보들은 적당한 저장콘테이너를 구비한 장치와 설비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 저장콘테이너는 비활동적이거나 동면상태에서 물고기를 수송하기 위한 것이며 물고기에게 수송중 생존에 필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살아 있는 어류 또는 갑각류를 수송하는 공지된 기술에 관련한 전술된 공보들은 주로 적당한 수송수단을 통해 수송하는 동안에 어패류가 살아 있도록 유지하기 위해서 적당한 저장콘테이너와 장치 또는 설비를 구비한 기술적 수단 및 방법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공보는 별도의 수송에 관련되어 기술한 이들 수단에 촛점이 맞혀져 있지만 시스템(수송시스템)내에 구비된 별도의 수송에 관련되어 있지는 않는다. 이들 공보에서, 수송수단은 수산물의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필요성에 의해서만 언급되었는데, 수송수단은 공보의 독창적인 내용에 대해 중요성을 인지못한다. 따라서, 공보는 장거리와 긴 시간동안 살아 있는 어류와 갑각류를 효율적으로 벌크수송할 수 있는 커다란 연결을 통해 기술수단들이 수송수단에 조립되어 배열되지가에 대해서 미흡하게 고려하고 있다. 한편, 이는 기술적 변화로서 본 발명을 개선시켰다.
미국 특허공보 제 4,844,012호와 동 제 5,117,777호 및 동 제 5,309,868호는 수송 도중에 비활동적인 물고기를 만드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고기는 협소하게 살아 있는 상태로 밀집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경량의 수송용적을 갖는다. 그러므로, 물고기의 밀집은 공기의 수송을 특히 향상시켜 수송용적과 수송중량에 대해서 효율적인 향상성을 보여준다. 수송 도중에 평화로운 상태로 물고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물고기를 비활동적으로 만드는 메카니즘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비교적 사용상의 이해가 쉽고 특별한 저장콘테이너와 물고기의 생존매개변수, 특히 온도를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 복잡한 장치 및 설비를 구비하여 수송도중에 위험요소로부터 물고기를 생존시키게 한다. 이를 위해서,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고가이면서 복잡하고 이해가 쉬운 기술적 설비의 사용을 취한다. 실제적으로, 이는 공기를 갖춘 수송으로 구비한 특정 적용분야와 특정 사용자 및 소비자들을 위한 사용상 한계성을 갖는다. 이와 연관되어서, 이와 같은 방법과 이와 관련된 장치는 장거리에 걸쳐 밀집된 다수의 살아 있는 물고기를 이송하기에 적합하다. 반면에, 벌크수송에 있어서 사용상의 기술적 한계성과 비용적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살아 있는 어류와 갑각류들을 효율적인 방법으로 수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및 이의 기술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살아 있는 어패류들은 물을 수용하고 있는 콘테이너에 보관되며 이 콘테이너는 보트, 철로, 로리(lorry) 또는 차량 등을 포함하는 표면수송(surface transport)의 통상적인 수단을 통해 이송되는데, 이와 같은 생물체의 수송은 많은 시간 또는 수일이 걸린다.
도 1은 활어용 저장콘테이너를 갖춘 모듈과 필요한 다른 기술적 수단을 갖춰 연관된 모듈을 위치시킨 콘테이너를 길이방향으로 절취한 수직단면도로서, 절취선인 Ⅱ-Ⅱ선을 표시하고 있다.
도 2는 콘테이너와 저장콘테이너를 갖춘 모듈을 가로질러 절취한 수직단면도로서, 절취선 Ⅰ-Ⅰ선을 표시하고 있다.
도 3은 활어가 이동모듈로부터 정지모듈로 수송되도록, 저장콘테이너를 갖춰 2개의 연결된 모듈로, 하나는 이동모듈이며 다른 하나는 정지모듈인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거리 및 장시간 동안 살아 있는 어패류들을 유동적이면서 효율적으로 벌크수송은 방법과 기술적 조립체를 구비하는 바, 공지된 기술로부터 야기되는 전술된 결함, 문제점 또는 단점들이 극복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지된 기술과 어패류의 생존연장, 기술적 수단, 확립된 수송시스템 및, 보트, 철로, 로리 또는 차량을 포함한 통상적인 표면수송수단으로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은 적당한 양질의 물과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용할 수 있는 적당한 저장콘테이너에 위치된 적당한 크기와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체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성취되는데,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체는 저장콘테이너 내에 어류 또는 갑각류에게 필요한 생태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장콘테이너에 연결된 기술적 설비의 다수의 다른 부품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지지구조체는 당해의 기술적 설비를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예컨대 프레임, 기초, 동체, 케이스, 하우징 또는 탱크로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체와 저장콘테이너 및 다른 기술적 설비들은 적어도 하나의 수송모듈로 이루어진 기술적 조립체내에서 조립되는 바, 적어도 하나의 수송모듈은 바람직하기로는 표준크기를 갖는 적당한 수송콘테이너, 예컨대 약 20 ft. 정도의 표준콘테이너 내에 함께 장착될 수 있는 외부형상과 크기를 갖춰 배열된다. 반면에, 수송콘테이너는 통상의 표면수송수단에 부착되어 운반된다. 표준 수송시스템을 사용하고 표준콘테이너와 바람직하게 연결되기 위해, 기술적 조립체는 예컨대 지역적 환경 때문에 교체되거나 교환될 저장콘테이너나 이와 연관된 기술적 수단을 갖추지 않거나 예컨대 이와 같은 환경에 따라서 다른 유형과 크기의 저장콘테이너로 수송될 어패류가 국경을 가로질러서 장거리로 운반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송모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송모듈과 수송콘테이너는 개별적인 모듈과 콘테이너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더욱이 콘테이너와의 물리적인 접촉하는, 상기 기술적 조립체는 콘테이너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체 및 수송의 형태로 된 상대적인 이동은 휠, 롤러 혹은 레일을 구비한 적당한 이동장치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모듈 또는 콘테이너로 성취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콘테이너에 대해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로, 이와 같은 이동장치에 의해서, 2개 이상의 모듈이각각의 장치에 대해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콘테이너로부터 위치되거나 해체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휠을 구비하는 반면에, 콘테이너의 바닥부가 상호작용하는 레일을 구비하여서 상기 휠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콘테이너에서 정렬되거나 돌출되어 있을 때에 레일을 따라서 작동한다. 대응하기로 예컨대 어패류의 근원지 또는 사용처인 정지위치에서, 레일은 적당한 바닥부 상에 위치선정되되,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서 레일은 해체 또는 이동되며 가능하기로는 고정된다. 선택가능하기로, 수송롤러는 해체 또는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따라서 상기 바닥부상에 위치선정된다.
상기 기술적 조립체는 하나의 모듈에 안착된 저장용 콘테이너에 추가로 사용상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한편, 승강지지기구를 포함한 연관되고 필요한 기술적 수단은 동일한 콘테이너 내의 다른 별도의 모듈에 안착된다. 바람직하기로, 이 필요한 몇몇의 기술적 기구는 저장콘테이너와 모듈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한편, 나머지 필요한 기술적 기구들은 동일한 콘테이너 내에 위치선정된다. 하나의 모듈에서 기술적 기구는 조립체의 모듈들 사이에 해체가능한 급속해체용 커플링의 사용으로 조립체의 다른 모듈에서 기술적 기구와 상호작동하도록 바람직하기로는 해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모듈의 기술적 기구의 부품들은 서로 연결되거나 해체가 용이하다. 그 외에도, 상기 기술적 기구의 부품들은 저장콘테이너 내에서 기구와 수질을 제어, 조정 및 감지하는 통상의 패널로 상호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이 패널은 콘테이너의 출입개구부에 적당한 근접지점에 위치되어서 제어패널이 관측되거나 작동되기 용이하다. 만약 필요로 한다면, 콘테이너는 폐수용 개구부 또는 급수용 개구부와 같은 다른 적당한 개구부와 가능하기로 급전용 전선을 구비한 다양한 케이블 또는 전선의 경로용 개구부를 배열시킨다.
따라서 기술적 조립체가 구비되어 사용상의 유연성은 모듈이 콘테이너내에 장착 또는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조립체가 쉽게 현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모듈내에 기술적 수단의 예컨대 수리, 유지 및 교체는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이 사용상의 유연성은 살아 있는 어패류를 함유한 저장콘테이너가 예컨대 빈 저장콘테이너 또는 다른 유형의 콘테이너, 가능하기로는 살아 있는 어종을 함유하고 있는 다른 콘테이너인 다른 저장콘테이너와 쉽게 교체된다. 그러므로, 예컨대 기술적 생명지지수단과 감지기구 및 제어기구인 다른 기술적 수단을 함유한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듈은 교체 또는 제거될 때에 저장콘테이너를 수용해야 할지를 자유롭게 선택한다. 저장콘테이너의 필수, 개별 또는 추가기구는 추가기구용 표준모듈에 안착된다. 이 모듈의 추가기구는 동시에 이와 같은 수송에 관련하여 특정한 어류 또는 갑각류에게 필요로 한 다른 생활조건, 저장콘테이너의 다른 유형, 다른 작동조건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형으로 되어 있다.
이 사용상 유연성의 추후 결론으로서, 저장콘테이너와 다른 필요기구를 갖춘 모듈들은 수송후에 콘테이너로부터 제거되고 모듈들은 정지위치, 예컨대 근원지 또는 사용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모든 필요한 생활지지기구는 심지어 수송수단과 콘테이너가 적소에서 떨어진 후에도 정지사이트에 안착되어져 여전히 어패류는 저장콘테이너 내에서 살아 있는 상태로 저장된다. 이미 정지위치가 이와 같은 필요기구를 갖추고 있다면, 오직 저장콘테이너를 갖춘 모듈은 콘테이너로부터 제거되고 정지기구에 연결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기구모듈이 콘테이너 내에 남아 있어서, 그 후에 동일 위치 또는 그 외의 위치로부터 가능한 새로운 저장콘테이너 모듈을 연결시킨다.
상기 다른 필요한 기술적 수단은 예컨대 기술적 생활지지수단과 감지기구 및 제어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연결에서, 상기 기술적 생활지지수단은 어패류가 만족할 만한 저장콘테이너에 수질을 감지하는 다양한 기술적 기구를 구비한다. 예컨대 이 기구는 순환펌프, 물의 냉각 또는 가열용 기구, 산소 함유량과 pH값 및 물의 염분량을 조정하는 기구, 물의 여과 및 정화용 기구들로 이루어져 있다. 추가로, 이와 같은 모듈은 필요에 따라 다른 기술적 기구의 부품들, 예컨대 빛, 와이어, 파이프, 호스, 밸브와 적당한 유형과 크기 및 소재의 커넥터를 구비하며, 이와 같은 기구는 모듈의 다른 기술적 수단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기구가 본 발명에 필요하거나 부가적 중요성을 갖는다 할지라도, 이 기구는 추가로 기술되진 않았어도 전문적인 특징과 구조적 특성 및 작동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비한정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며, 특별하기로 참조번호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부재를 나타낸다.
다른 관점에서, 첨부도면으로 도시된 기술적 기구의 부품들은 개략화되어 있고 그 상대적인 크기와 길이 및 규모적 측면과 더불어서 이 기구의 세부사항과 외향은 곡해되게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필요한 기술적 기구의 다양한 부품들은 실시예의 다음의 실례에서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보여주거나 기술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기구는 예컨대 다양한 파이프, 호스, 와이어, 커넥터, 밸브와 펌프뿐만 아니라 수질과 작동매개변수를 위한 감지, 제어 및 조정용 전기회로와 프로그램 및 센서를 구비한다.
도 1과 부분적으로는 도 2를 참조하면, 제 1실시예는 활어(18)를 위치시킬 물(16)을 함유한 저장콘테이너(14)를 수용한 모듈(12)을 안착시킨 20ft. 크기의 표준콘테이너(10)를 도시한다. 콘테이너(10)에서는 물고기에게 저장콘테이너(14)내에 필요한 생활조건을 제공하도록 물(16)을 처리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필요한 다수의 다른 기술적 기구를 수용한 모듈(20)을 추가로 위치시킨다. 수송도중에 물의 엎질러짐을 줄여서 물고기(18)가 더욱 좋은 생활조건을 갖는 바, 저장콘테이너(14)는 물(16)로 완전히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각각의 모듈(12,20)은 캐스터(2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축(22)을 구비한다. 캐스터(24)는 콘테어너(10)의 바닥부 상에 위치된 상보적인 레일(26)에 잘 맞쳐져 배열되어서, 모듈(12,20)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롤을 따라서 가능하게는 레일(26)에 올려져 있다.
저장콘테이너(14)의 상부에서는 저장콘테이너(14)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28)와 이와 관련된 해치(30;hatch)를 구비한다. 덧붙여서, 콘테이너(14)의 상부는 인의적인 빛을 조영하는 내부광원(32)을 구비하여서 저장콘테이너(14)내에서 물고기가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 저장콘테이너(14)와 모듈(12)의 외부맨틀(34;mantle) 사이의 중공부에는 적당한 절연재(36)를 배치시킨다. 이 절연재(36)는 저장콘테이너(14)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적 단열효과를 가져오고, 그러므로서 이 절연재(36)가 심지어 외부의 변동온도에서도 적당한 물(16)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저장콘테이너(14)의 한쪽 단부에서 물(16)을 가열할 수 있도록 서모스탯(thermostat)으로 제어될 침수용 가열기(38)를 구비한다. 추가로 이 단부에서, 저장콘테이너(14)는 외부연결밸브(42)를 통과하여 뻗어 있는 파이프통로(40)와 물(16)의 흐름을 만드는 순환펌프(44)를 갖춘다. 파이프통로(40)와 연결밸브(42)는 물고기가 헤엄치거나 이들을 통해서 펌핑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크기를 갖는다. 이 모범적인 실시예에서는, 펌프(44)가 편이상 저장콘테이너(14)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펌프(44)가 작동하면 저장콘테이너(14)내에 물의 흐름을 만들어 물(16)의 상부층에 물의 흐름을 크게 한다. 이와 같은 제어는 연소와 송어를 포함한 몇몇 어종에 편리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어종들은 역류 속에서 헤엄치고, 이와 같은 어종에서 물고기(18)는 물의 흐름을 갖는 물(16)과 자연적으로 친화될 것이다. 그러므로, 저장콘테이너(14)에서 물고기(18)는 물(16)의 상부층에서 자연스럽게 헤엄치는데, 물의 흐름이 커질수록 물고기(18)는 훌륭한 생활조건을 증가시켜 자연적 상황을 경험하게 한다. 또한 이는 물고기(18)가 콘테이너(14)의 벽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물고기(18)의 기계적 상해를 최소화시킨다.
저장콘테이너(14)의 다른쪽 단부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뻗어 있는 다수의 파이프통로를 갖춘다. 각각의 통로는 2개의 파이프라인(도시되지 않음)을 위치시키는데, 하나의 파이프라인은 파이프주입구이고 다른 하나는 파이프배출구로서, 물(16)을 순화시키기 위해 파이프라인이 통상의 급속해체용 커플링(quick-release coupling)에 연결된다. 도시된 파이프통로와 급속해체용 커플링은 물(16)을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파이프통로(46) 및 급속해체용 커플링(48)와, 물(16)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통로(50) 및 급속해체용 커플링(52), 물(16)에 염분함유량과 pH값을 조정하기 위한 파이프통로(54) 및 급속해체용 커플링(56) 및, 물(16)의 수질을 감지하기 위한 파이프통로(58)와 급속해체용 커플링(60)으로 되어 있다. 물(16)로부터 샘플을 채취하고 이의 수질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파이프통로(58)는 저장콘테이너(14) 내부와 이의 바닥부 근처에 배치된파이프루프(62;pipe loop)에 연결된다. 이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물샘플은 저장콘테이너(14)와 모듈(20)의 외부에서 분석된다. 이를 위해서, 파이프루프(62)는 물(16)이 저장콘테이너(14)의 내외부로 관통하여 순환시키는 적당한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또한, 저장콘테이너(14)는 물(16)의 여과와 정화시키기 위한 플랜트/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바, 이 플랜트/시스템은 파이프통로와 외부의 급속해체용 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저장콘테이너(14)에 연결가능하다.
급속해체용 커플링(48,52,56,60)을 구비한 이와 같은 급속해체용 커플링은 상호작동하도록 해체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듈(12)에 기술적 기구를 허용하고 모듈(20)에서 기술적 기구를 필요로 하는 바, 모듈(12,20)은 필요에 따라서 각각으로부터 연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다. 모듈(20)에서 필요한 기술적 기구는 또한 적당한 연결라인을 구비하는 바, 이 연결라인은 급속해체용 커플링(48,52,56,60)을 통과하여 모듈(12)까지 연결된다.
그러므로 도 1을 참조로 한 이 모범적인 제 1실시예에서, 연결라인은 물(16)의 주입구와 배출구로 쓰이는 이중 흐름통로(도시되지 않음)를 갖춘 유연한 호스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듈(20)에서 필요한 기술적 기구는 서모스탯으로 제어될 냉각생성기(66)에 연결된 연결호스(64)와, 산소공급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압력탱크(74)로부터 산소를 공급하는 연결파이프(72)를 수용한 시스템(70)에 연결된 연결호스(68), 물(16)의 염분함유량과 pH값을 조정하기 위해 시스템(78)에 연결된 연결호스(76) 및, 물(16)의 수질을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해 시스템(82)에 연결된 연결호스(80)로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모듈(20)의 필요한 기구는 프레임구조체(8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당하게 배열되되, 조립체내에서 프레임구조체(84)와 상기 기구가 모듈(20)을 형성한다.
시스템(82)은 물(16)의 다른 특성을 측정 및 기록한다. 시스템(82)은 특성값, 예컨대 측정온도, 포화산소량, 염분함유량, pH값과 물(16) 내에 고체 미립자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었던 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광학센서는 물(16)에 적층되거나 부유하는 고체 미립자, 예컨대 물고기 배설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덧붙여서, 시스템(82)은 현안의 특성적 측정값의 최적의 범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물의 특성의 특정측정치와 연속적으로 비교하는 제어기구를 구비한다. 측정값의 최적범위에서의 편차는 시스템(82)에서 감지된 다음에, 모듈(20)의 적절한 기구에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배출하여서, 물(16)의 적절한 특성의 올바른 처리가 적절한 기구를 매개로 하여 실행된다. 또한, 시스템(82)은 이러한 편차로서 적당한 경고신호를 배출한다. 물고기(18)를 위한 최적온도범위를 벗어나서 물(16)의 온도가 올라가면 예컨대 시스템(82)은 온도변화를 감지하고 제어신호를 배출하고 냉각생성기(66)를 작동하여서, 물(16)의 온도가 바람직한 온도범위내에 놓이게 된다. 최적온도범위까지 물(16)의 지속적인 냉각은 또한 시스템(82)을 감지되고, 그런 후에 시스템(82)은 제어신호를 냉각생성기(66)로 전송하여 그 작동을 멈추게 한다. 이와 같은 제어기술은 전문적인 특징으로서 간주되어서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로 한 모범적인 제 2실시예에서, 저장콘테이너를 갖춘 개별적으로 하나의 이동모듈(12)과 하나의 정지모듈(12')로 이루어진 2개의 모듈은 적절한크기로 된 유연한 호스(86)로 연결되되, 활어(18)는 이동모듈(12)로부터 정지모듈(12')까지 이 호스(86)를 통해 수송된다. 모듈(12,12')은 모듈(12)에 2개의 연결밸브(42)와 모듈(12')에 2개의 연결밸브(42')로 구비된 2개의 외부연결밸브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모듈(12)의 임의의 끝은 모듈(12')의 임의의 끝에 연결된다.
모범적인 제 1실시예의 모듈(12)과는 달리, 모범적인 제 2실시예의 모듈(12,12')은 산소공급을 위해서 산소용 압력탱크(90,90')를 갖춘 별도의 외부집합소(88,88')를 구비한다. 각각의 집합소(88,88')는 물(16)에 포화산소량을 측정하는 적당한 센서를 갖추고 덧붙여서 물(16)의 산소공급을 조정하는 시스템을 구비한다. 산소는 각각의 집합소(88,88')로부터 파이프통로(50,50')를 통과하여 물(16)로 보내진다. 각각의 모듈(12,12')이 자체적으로 산소가 풍부하여도, 이와 같은 집합소(88,88')는 짧은 시간 동안에 사용하기 바람직하며, 예컨대 물(16) 속에 물고기(18)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물(16)을 처리하는 다른 시스템 또는 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에 물고기(18)는 정지모듈(12')로 수송되고 유연한 호스(86)는 분리된다. 모범적인 제 2실시예에서, 이동모듈(12)은 다른 기술적 기구를 갖춘 모듈(20)에서 집합소(88)와 연결호스(92;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됨)를 통해 해체가능하게 연결된다. 더욱 특별하기로, 집합소(88)는 모범적인 제 1실시예의 시스템(82)와 비교하여 물(16)의 수질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모듈(20)에 위치된 시스템에 연결된다. 또한, 집합소(88)는 모듈(20)에 위치선정된 모범적인 제 1실시예에서 언급되어진 산소공급용 시스템(70)을 대체한다. 모듈(12,20) 사이의 다른 연결호스가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데, 이 연결호스(64)는 냉각생성기(66)로 연결되고, 연결호스(76)는 염분함유량과 pH값을 조정하며, 연결호스(80)는 수질을 감지 및 제어한다.

Claims (8)

  1. 저장콘테이너(14)는 물(16)의 처리를 허용하도록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필요한 다른 기술적 기구의 다양한 부품들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서, 물고기(18) 또는 갑각류들이 저장콘테이너(14)내에서 필요한 생활조건을 부여받고, 2개의 저장콘테이너(14)와 상기 다른 기술적 기구들은 적당한 크기와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체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2개의 저장콘테이너(14)내에서 상기 다른 기술적 기구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체는 보트, 철로, 로리 또는 차량을 포함한 통상의 표면수송수단으로 운반시키도록 저장콘테이너(14)의 물(16) 속에서 살아 있는 물고기(18) 또는 갑각류를 수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체에서, 저장콘테이너(14)와 이와 연관된 기술적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수송모듈(12,20)로 이루어진 기술적 조립체 내에서 조립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송모듈(12,20)은 수송콘테이너(10)와 잘 맞쳐질 수 있는 외형과 크기를 갖추며, 상기 콘테이너(10)는 상기 표면수송수단에 부착되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콘테이너(1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서, 기술적 조립체는 콘테이너(10)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져 상기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모듈(12,20)은 콘테이너(10)에 대해서 해체 또는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기술적 조립체가 2개 이상의 모듈(12,20)로 형성될 때, 하나의 모듈(12)의 기술적 기구는 조립체의 다른 모듈(20)의 기술적 기구와 상호작용하도록 해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한 기술적 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콘테이너(14)는 모듈(12)에 위치되는 반면에 다른 필요한 기술적 기구는 콘테이너(10)의 적어도 하나의 모듈(20)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5. 적당한 크기와 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체의 단부는 물고기(18) 또는 갑각류들이 위치되도록 물(16)을 함유한 저장콘테이너(14)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기술적 기구의 다양한 부품들은 물(16)을 처리하도록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필요한 저장콘테이너(14)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서, 물고기(18) 또는 갑각류들은 저장콘테이너 내에 필요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조립체는 보트, 철로, 로드 또는 차량을 포함한 통상의 표면수송수단으로 운반시키도록 살아 있는 물고기(18) 또는 갑각류를 수송하는 기술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기술적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체와 저장콘테이너(14) 및 상기 연관된 기술적 설비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수송모듈(12,20)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송모듈(12,20)은 수송콘테이너(10)와 잘 맞쳐질 수 있는 외형과 크기를 갖추는데, 기술적 조립체를 갖춘 콘테이너(10)는 상기 수송수단에 부착되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기술적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듈(12,20) 또는 콘테이너(10)는 휠(24), 롤러 또는 레일(26)을 포함한 적당한 이동수단을 구비하여서, 적어도 하나의 모듈(12,20)은 콘테이너(10)에 대해서 분리 또는 이동되거나 2개 이상의 모듈(12,20)은 서로에 대해서 분리 또는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 잇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기술적 조립체.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모듈(12,20)로 이루어진 기술적 조립체내에 기술적 설비의 상호작용하는 부품들은 해체가능한 급속해체용 커플링(48,52,56,60)을 매개로 하여 상호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기술적 조립체.
  8.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하나의 모듈(12)은 상기 저장콘테이너(14)에 위치되는 반면에, 적어도 하나의 모듈(20)은 서로 필요한 기술적 설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적 조립체.
KR1020047005625A 2001-10-17 2002-09-19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571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15043 2001-10-17
NO20015043A NO20015043A (no) 2001-10-17 2001-10-17 Teknisk arrangement for transport av levende fisk eller skalldyr
PCT/NO2002/000328 WO2003032721A1 (en) 2001-10-17 2002-09-19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live fish and shellfi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848A true KR20040045848A (ko) 2004-06-02
KR100571139B1 KR100571139B1 (ko) 2006-04-17

Family

ID=1991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625A KR100571139B1 (ko) 2001-10-17 2002-09-19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505489B2 (ko)
EP (1) EP1435773B1 (ko)
JP (1) JP4300111B2 (ko)
KR (1) KR100571139B1 (ko)
CN (1) CN1292646C (ko)
AR (1) AR036829A1 (ko)
AT (1) ATE369740T1 (ko)
AU (1) AU2002339753B8 (ko)
CA (1) CA2461720C (ko)
DE (1) DE60221865T2 (ko)
DK (1) DK1435773T3 (ko)
ES (1) ES2290338T3 (ko)
NO (1) NO20015043A (ko)
NZ (1) NZ531834A (ko)
WO (1) WO2003032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59B1 (ko) * 2006-07-05 2007-10-26 한국해양연구원 선박에 탑재되는 활어운반 장치의 원격 작동 감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030513A1 (it) * 2003-11-05 2005-05-06 Enea Ente Nuove Tec Sistema termostatato per il trasporto di pesci e invertebrati acquatici vivi.
NZ530048A (en) * 2003-12-09 2006-05-26 Nz Inst For Crop & Food Res Storage apparatus for aquatic animals
JP2008518637A (ja) * 2004-11-09 2008-06-05 コンソリデイテッド・マリーン・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バルク製品輸送コンテナ
WO2006096910A2 (en) * 2005-03-15 2006-09-21 Cumminscorp Limited Aquaculture system
KR200437708Y1 (ko) * 2007-04-25 2007-12-21 김귀한 어패류 포장 상자
US20100206240A1 (en) * 2007-11-09 2010-08-19 Keepalive, Inc. Endless stream fish tank
ES2629611T3 (es) 2008-02-11 2017-08-11 3225335 Nova Scotia Limited Aparato y procedimiento de conservación y transporte de productos acuáticos vivos
US9089122B2 (en) * 2008-06-20 2015-07-28 Ecolab Usa Inc. Insect bait station and method of using
DE202008013223U1 (de) * 2008-10-08 2010-02-18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Indoor-Fischfarm mit aufgeständertem Becken
KR100962363B1 (ko) * 2009-07-02 2010-06-10 주식회사 대일 건식여과장치가 구비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FR2957566B1 (fr) * 2010-03-22 2012-06-01 Emyg Environnement Et Aquaculture Dispositif pour le stockage et le transport de produits aquacoles.
CN103002730B (zh) * 2010-06-04 2016-03-02 挑战者技术学院 活水生动物运输系统和方法
CN102084840B (zh) * 2010-11-25 2012-07-04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车载式长途运输鲜活淡水鱼的装备系统与工艺方法
EP2678366B1 (en) * 2011-02-25 2018-10-24 DENTSPLY SIRONA Inc. Process and composition of making polymerizable resins containing oxazolidone
US20120223152A1 (en) * 2011-03-01 2012-09-06 Rodney Blake Hairgrove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live release formula into boat livewell
US20120291335A1 (en) * 2011-05-19 2012-11-22 Brooke Thomas C Fish Livewell and Padding System Therefor
KR101369001B1 (ko) * 2013-05-30 2014-03-26 김선희 산소 발생 어류 양식 컨테이너
CN104521864A (zh) * 2015-01-07 2015-04-2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无水保活装置及具有该无水保活装置的制冷家电
CN105652924B (zh) * 2015-12-25 2018-05-22 广东何氏水产有限公司 活鱼运输过程中的抽检应用方法和装置
AT15406U1 (de) * 2016-08-10 2017-08-15 Waldland Naturstoffe Gmbh Vorrichtung zur Züchtung aquatischer Tiere
CN111776482A (zh) * 2020-07-07 2020-10-16 郑新辉 一种生鲜物流运输箱
CN112167147A (zh) * 2020-09-25 2021-01-05 李栋 一种海参加工用冷藏装置
US20230180723A1 (en) * 2021-12-09 2023-06-15 iKon Boats, LLC Livewell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17044661B (zh) * 2023-08-30 2024-01-19 广州淏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健康生态调水系统
CN117281075A (zh) * 2023-10-16 2023-12-26 靖江市国恒汽配制造有限公司 一种长时间运输海洋生物的运输方法及其运输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2807A (en) * 1951-05-02 1953-09-22 Ozark Fisheries Inc Device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live fish
AT236865B (de) * 1962-03-10 1964-11-10 Achammer Alfred Einrichtung zum Transport von Normlagergütern
US3390898A (en) * 1965-03-22 1968-07-02 Kunio A. Sumida Quick release threaded coupling
US3387587A (en) * 1965-10-04 1968-06-11 Aquarium Syst Inc Culture system
US3687111A (en) * 1970-04-20 1972-08-29 Ocean Sales Inc Storage system
GB1501903A (en) * 1975-04-18 1978-02-22 British Petroleum Co Sampling device
US4009792A (en) * 1975-11-13 1977-03-01 The Coca-Cola Co. Cargo conveying apparatus on motor truck
US4038945A (en) * 1976-07-30 1977-08-02 Jiri Taborsky Breeding tank
US4203389A (en) * 1978-10-13 1980-05-20 Rodale Resources, Inc. Dissolved oxygen regulator
US4274789A (en) * 1979-04-06 1981-06-23 Diesel Equipment Limited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s from vans
US4709577A (en) * 1983-11-29 1987-12-01 Tracer Research Corporation System for continuously monitoring for leaks in underground storage tanks
US4654147A (en) * 1986-03-17 1987-03-31 Automated Commercial Controls, Inc. Automated system for continuous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a plurality of marine life farming pools or sewage treatment installations
US5117777A (en) * 1988-03-24 1992-06-02 Colp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preserving living fishes
US5097795A (en) * 1988-08-04 1992-03-24 Ecological Systems Technology, L.P.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apparatus
JP2648203B2 (ja) 1989-03-07 1997-08-27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活魚コンテナ装置
AU657485B2 (en) * 1990-08-03 1995-03-16 Japan Air Lines Co. Ltd. Transporting live fish
US5433763A (en) * 1990-11-14 1995-07-18 Abatement Technologies Portable filtration unit
JPH04200334A (ja) * 1990-11-30 1992-07-21 Hiromichi Manome 活魚輸送用装置と輸送用コンテナ
US5138975A (en) * 1991-09-12 1992-08-18 Walsh James S Storage or transport system for small marine creatures
JPH05103561A (ja) * 1991-10-11 1993-04-27 Toshiaki Hosoda 瀑気と水質の安定機能を付加した魚介類飼育槽
WO1993021760A1 (en) * 1992-04-29 1993-11-11 Austmarine Pty. Ltd. Holding tank system
JPH0646718A (ja) * 1992-08-03 1994-02-22 Yokogawa Electric Corp 活魚生命維持装置
US5377622A (en) * 1993-04-16 1995-01-03 Marine Biotech, Inc. Live aquatic food products preservation, presentation and customer self-serve storage system
US5406740A (en) * 1994-02-28 1995-04-18 Wilkin; Larry E. Bait tank
DE69825873T2 (de) * 1997-03-17 2005-09-01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U.S. Army Center for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Verfahren zur automatischen biologischen überwachung der wasserqualität
US6393899B1 (en) * 1997-03-17 2002-05-28 Geo-Center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biomonitoring of water quality
KR100235182B1 (ko) * 1997-07-25 1999-12-15 윤덕용 생태학적 먹이사슬을 이용한 양식어의 대량 배양장치
JP2000116273A (ja) 1998-10-12 2000-04-25 Taku Omizu 活魚介類輸送タンク、活魚介類輸送装置、活魚介類の輸送方法
US6256905B1 (en) * 1999-02-12 2001-07-10 Galen White Controlled atmosphere shipping/storage system and method
US6641732B1 (en) * 1999-06-30 2003-11-04 Live Link Australia Pty Ltd Cross-flow tank system for aquatic life
DE60036582T2 (de) * 1999-08-06 2008-06-26 Puricore International Ltd. Elektrochemische Behandlung einer wässrigen Lösung
US6584935B2 (en) * 2001-03-16 2003-07-01 University Of Maryland Biotechnology Institute Process for culturing crabs in recirculating marine aquaculture systems
US6789391B2 (en) * 2001-05-21 2004-09-14 B. Eric Graham Modular apparatus and method for shipping super frozen materials
CA2415163A1 (en) * 2002-12-24 2004-06-24 Stephen C. Badell Artificial environment for transportation of live fis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59B1 (ko) * 2006-07-05 2007-10-26 한국해양연구원 선박에 탑재되는 활어운반 장치의 원격 작동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15043D0 (no) 2001-10-17
DK1435773T3 (da) 2007-12-27
CA2461720A1 (en) 2003-04-24
DE60221865T2 (de) 2008-04-30
EP1435773A1 (en) 2004-07-14
DE60221865D1 (de) 2007-09-27
ES2290338T3 (es) 2008-02-16
ATE369740T1 (de) 2007-09-15
CN1292646C (zh) 2007-01-03
US8505489B2 (en) 2013-08-13
EP1435773B1 (en) 2007-08-15
US20050076848A1 (en) 2005-04-14
JP2005506069A (ja) 2005-03-03
CN1556669A (zh) 2004-12-22
AU2002339753B2 (en) 2005-10-20
AR036829A1 (es) 2004-10-06
WO2003032721A1 (en) 2003-04-24
NZ531834A (en) 2004-08-27
CA2461720C (en) 2008-06-03
JP4300111B2 (ja) 2009-07-22
KR100571139B1 (ko) 2006-04-17
AU2002339753B8 (en) 2005-12-01
NO314061B1 (no) 2003-01-27
NO20015043A (no) 200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139B1 (ko) 살아 있는 어패류를 수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U2002339753A1 (en) A technical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live fish or shellfish
US75237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live aquatic animals
CN109757415A (zh) 大型深远海工船网箱一体化的渔业生产平台及其作业方法
CA2602308C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live aquatic animals
CN209995142U (zh) 大型深远海工船网箱一体化的渔业生产平台
CA3138931A1 (fr) Unite, batiment et procede d'elevage de larves d'insectes
CN110959561A (zh) 一种海水动物养殖的方法和系统
US5692455A (en) Fluidized bed production of oysters and other filter feeding bivalve mollusks using shrimp pond water
US77079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artificial hibernation of marine animal
CA2415163A1 (en) Artificial environment for transportation of live fish
JP3584030B2 (ja) 魚類の養殖装置およびその方法
AU2007282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artificial hibernation of marine animal
CN111011284A (zh) 一种物联网式水产养殖全自动放料装置
CN104522129A (zh) 一种生猪屠宰系统
KR102624053B1 (ko) 양식장용 공압식 사료공급장치
JPH04200334A (ja) 活魚輸送用装置と輸送用コンテナ
KR102379741B1 (ko) 공압을 이용한 양식 자동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