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446A - 버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외부 메모리가 있는 인터페이싱프로세서 - Google Patents

버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외부 메모리가 있는 인터페이싱프로세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446A
KR20040045446A KR10-2004-7003928A KR20047003928A KR20040045446A KR 20040045446 A KR20040045446 A KR 20040045446A KR 20047003928 A KR20047003928 A KR 20047003928A KR 20040045446 A KR20040045446 A KR 20040045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memory
burst mode
data device
bur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514B1 (ko
Inventor
유진 파스칼 허크조그
Original Assignee
티티피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티피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티피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4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05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based on arbi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 G06F13/3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with priority control

Abstract

다중 데이터 장치(A, B, C)는 버스 아비터(S) 를 경유하여 외부 메모리(F)와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 각 데이터 장치(A, B, C)에 의한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지원하며, 하나 이상의 판독 레지스터(R1, R2, R3)는 메모리(F)에 제공되며, 각 레지스터(R1, R2, R3)는 대응하는 장치(A, B, C)에 의한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지원한다. 아비터(S)는, 액세스를 요구하는 장치의 식별정보에 따라서, 초기 액세스 버스트 다음에 이용될 레지스터를 선택한다. 따라서, 메모리(F)는 다중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병렬로 지원한다.

Description

버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외부 메모리가 있는 인터페이싱 프로세서 {INTERFACING PROCESSORS WITH EXTERNAL MEMORY SUPPORTING BURST MOD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에 대한 액세스(Access)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페이지 모드(Page-mode) 또는 버스트 모드(Burst-mode)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모드에서는, 초기 액세스(Initial Access)가 다중의 연속적인 메모리 어드레스 코드와 결합하여 데이터 블록을 레지스터로 독출하는데, 그 레지스터는 프로세스(Process)가 반복될 수 있는 시점인 모든 데이터가 액세스되는 때까지 후속 액세스(Subsequent Access)에 의해 순차적으로 액세스된다. 버스트 모드의 이점은 각각의 후속 액세스가 초기 액세스보다 훨씬 더 짧을 수 있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128 비트의 블록에 초기 액세스하기 위한 70 ㎱ 와 비교하여 16 비트에 대해 30 ㎱ 이다. 도 1 에는, 초기 액세스가 어드레스 코드(Address Code) N 을 가지며, 후속 액세스가 어드레스 코드 N+1, N+2 및 N+3 을 가지는 버스트 모드 액세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 데이터 버스트 다음에는 범위(Range)가 M 인 어드레스 코드를 가지는 제 2 데이터 버스트가 뒤따른다.
버스트 모드 액세스는 프로세서가 연속적인 어드레스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리니어 방식(Linear Fashion)으로 코드를 실행하여, 일단 초기 액세스에서 제출되면 후속 액세스에서는 이를 반복할 필요가 없어져서 후속 액세스는 더 짧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그러나, 혹시 프로세서가 다른 어드레스에 있는 데이터를 대신 요구함으로 인해 프로세서가 후속 액세스에서 모든 데이터에 액세스하지 못한다면, 보다 잦은 장기간의 초기 액세스로 인해 신속한 액세스의 이점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다중 프로세서들 간의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이용하여 하나의 플래쉬 메모리를 공유하는 것은 어떤 경우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비실용적으로 만드는 문제점을 낳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ASIC 의 다중 삽입된 프로세서들은 프로세서들 간의 액세스 우선권(Priority)을 결정하는 단일의 버스 아비터를 경유하여 단일의 외부 플래쉬 메모리에 유리하게 액세스한다. 다중 메모리보다 단일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하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ASIC 과 메모리 간의 인터페이스(Interface) 접속에서 요구되는 핀(Pin) 수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버스트 모드 액세스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위해 이용되는 경우에는, 다른 프로세서에 의한 버스트의 인터럽션(Interruption)를 방지함으로써 그 이점을 최대화할 수 있는데, 그러면 다른 프로세서들의 액세스 지연 시간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버스트 모드 액세스의 효과적인 이용과 다른 프로세서들이 겪는 액세스의 지연 시간 사이에는 타협이 존재한다. 각 프로세서가 액세스의 보다 높은 우선권을요구하면서, 각 프로세서 자신은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반드시 이용하지도 않으면서 다른 프로세서에 의한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중단시키는 경우에 이것이 더욱 심화된다. 이러한 문제는 우선권이 더 높은 프로세서가 더 높은 효과적인 밉스(MIPS)율로 동작할 것도 요구된다면 더욱 악화된다.
도 2 는 어드레스 범위 M 에 걸친 제 2 프로세서로부터의 더 높은 우선권의 액세스에 의해 인터럽트(Interrupt)된 어드레스 범위 N 에 걸친 제 1 프로세서에 의한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나타내고 있다. 초기 액세스 N 다음에는 후속 액세스 N+1 이 뒤따르지만, 어드레스 범위 N 에서 후속 액세스가 완료되기 전에 액세스는 제 2 프로세서에 대한 상위 우선권 액세스 M 에게 주어진다. 이 액세스가 완료되면, 액세스는 제 1 프로세서를 위해 복원되지만, 이 액세스는 후속 액세스 N+3 이 완료되기 이전에 더 긴 초기 액세스 N+2 로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 후, 제 2 프로세서는 N+4 및 N+5 액세스가 제 1 프로세서로 다시 복원되기 이전에, 상위 우선권 때문에 액세스 M+1 로 다시 인터럽트한다. 그러므로, 상위 우선권 어드레스 범위 M 에 대한 액세스로 인해 어드레스 범위 N 에 대한 버스트 모드의 효과적인 이용이 실패하며, 어드레스 코드 M 및 M+1 이 연속적인 어드레스임에도 불구하고 어드레스 범위 M 자신은 버스트 모드를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장치를 단일 버스 아비터(Bus Arbiter)를 경유하여 외부 메모리와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단일 프로세서와 외부 플래쉬 메모리 사이의 정상적인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2 개의 프로세서가 버스 아비터를 경유하여 외부 플래쉬 메모리에액세스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도.
도 4 는 도 3 의 실시형태에서 버스 아비터가 다중 프로세서에 의해 외부 플래쉬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 중 일부를 줄이거나 극복하기 위해, 단일 버스 아비터를 경유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외부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아비터가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대한 각 액세스와 연계된 다른 장치를 식별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 또는 각 액세스와 연계된 다른 장치의 식별정보(Identity)에 따라 선택된 다중의 블록 판독 레지스터(Block Read Register)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므로, 메모리는 개별 블록 판독 레지스터 각각과 연계된 버스트 데이터를 홀드(Hold)하고 아비터에 의하여 제시된 각 액세스에서 식별된 프로세서에 따라 각 레지스터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병렬로 다중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블록 판독 레지스터의 수는 프로세서의 수와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다. 프로세서보다 레지스터의 수가 적으면, 아비터는 특정 프로세서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블록 판독 레지스터를 공유할 수 있는데, 그 특정 프로세서들은 바람직하게는 보다 낮은 대역폭 요구 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된다. 만약 프로세서보다 레지스터의 수가 많으면, 아비터는 단일 프로세서로부터의 2 이상의 어드레스 코드 범위나 데이터 버스트를 지원하도록 2 이상의 레지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이는 상이한 어드레스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코드 및 데이터 액세스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3 은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A, B 및 C) 와 버스 아비터가 결합된 시스템 온 칩(System-on-chip) ASIC 를 나타낸다. 버스 아비터는 다중 핀 인터페이스(Ⅰ)를 통해 외부 플래쉬 메모리 장치(F) 와 연결된다. 플래쉬 메모리 장치(F) 는 하나의 버스트 모드 엑세스 장치와 3개의 블록 판독 레지스터(R1, R2 및 R3)를 이진 부호화된 선택 시스템과 결합하는데, 예를 들면, 2 개 배선은 4 개까지의 별개의 블록 판독 레지스터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프로세서(A, B 및 C)는 버스 아비터(S) 에 액세스 요구를 제출하며, 아비터(S)는 소정 우선권에 따라 인터페이스(Ⅰ) 상에서 플래쉬 메모리(F) 에 대해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을 조정한다. 버스 아비터는 액세스가 제공되고 있는 프로세서를 식별하며 이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로 전달되고, 프로세서는 플래쉬 메모리의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해 선택된 특정한 블록 판독 레지스터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 블록 판독 레지스터(R1, R2 및 R3) 각각은 대응하는 프로세서(A, B 및 C)에게 플래쉬 메모리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식별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이진 부호화되며, 예를 들면, 워드 기반(Word-based) 플래쉬 장치에 보통 이용되지 않는 A[0] 어드레스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는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블록 판독 레지스터는 인크리먼트(Increment)되거나 디크리먼트(Decrement)될 수 있는 연속적인 어드레스에서 다중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 버스트를 홀드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레지스터로부터 판독되어, 버스 아비터의 제어 하에 각 프로세서로 되보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인터페이스 상에서 통과하는 데이터는 다른 블록 판독 레지스터들 사이에 끼워지지만 이는 버스트 모드의 액세스의 효율을 떨어뜨리지는 않는데, 이는 버스트 모드의 액세스는 각 블록 판독 레지스터에 개별적으로 저장되고 있는 데이터에 의해 보유된다. 그러므로, 버스 아비터(S) 는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인터럽트함으로써 효율을 감소시킬 염려 없이 소정 우선권에 기초하여 단순히 조정한다.
도 4 에는 별개의 블록 판독 레지스터에서 2 개의 프로세서가 초기에 설정된 각각의 데이터 버스트에 액세스하는 방식이 나타나 있다. 하나의 데이터 버스트는 초기 액세스 N 에 의해 설정되고 다른 데이터 버스트는 초기 액세스 M 에 의해 설정되며, 비록 데이터 버스트 M 이 데이터 버스트 N 을 인터럽트하지만 후속 액세스 N+1 내지 N+5 및 M+1 모두 짧은 액세스 기간의 이익을 얻는다.
단일 블록 판독 레지스터로 표준 외부 플래쉬 메모리에 연결된다면,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버스 아비터에 대해 변경하는 것이 표준 모드에서 버스 아비터가 동작하는 것을 방해하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을 플래쉬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은 외부 RAM 에 대한 액세스에 똑같이 적용가능하다.
끝으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액세스하는 다른 장치의 식별정보가 고정될 수 있지만, 프로그램 가능한 어드레스 범위에 기초하여 장치에 액세스 식별정보를 배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식별정보 할당은 시스템 요구 조건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대신에, 액세스를 요구하는 장치는 기억 장치 직접 접근 모듈(Direct Memory Access Module: DMA Module)일 수 있다.

Claims (10)

  1. 다중 데이터 장치 및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외부 메모리에 대한 상기 장치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버스 아비터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판독 레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판독 레지스터 각각은 대응하는 데이터 장치에 의한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지원하도록 조절되고, 상기 아비터는 액세스를 요구하는 상기 데이터 장치의 식별정보에 따라 초기 액세스 버스트 다음에 이용될 상기 판독 레지스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장치의 식별정보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장치의 식별정보는 프로그램 가능한 어드레스 범위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할당은 동작 요구 조건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장치의 식별정보는 이진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장치는 프로세서 또는 기억 장치 직접 접근 모듈(Direct Memory Access Modul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 또는 램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각각의 데이터 장치에 의한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외부 메모리와 다중 데이터 장치를 버스 아비터를 경유하여 인터페이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모리에는 하나 이상의 판독 레지스터가 제공되며,
    상기 메모리 각각은 대응하는 데이터 장치에 의한 버스트 모드 액세스를 지원하도록 이용되고, 상기 아비터는 액세스를 요구하는 상기 데이터 장치의 식별정보에 따라 초기 액세스 버스트 다음에 이용될 상기 판독 레지스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첨부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장치.
  10. 첨부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방법.
KR1020047003928A 2001-09-17 2002-09-17 버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외부 메모리에 프로세서를 인터페이스하는 방법 KR100899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122401.3A GB0122401D0 (en) 2001-09-17 2001-09-17 Interfacing processors with external memory
GB0122401.3 2001-09-17
PCT/GB2002/004216 WO2003025768A1 (en) 2001-09-17 2002-09-17 Interfacing processors with external memory supporting burst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446A true KR20040045446A (ko) 2004-06-01
KR100899514B1 KR100899514B1 (ko) 2009-05-27

Family

ID=992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928A KR100899514B1 (ko) 2001-09-17 2002-09-17 버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외부 메모리에 프로세서를 인터페이스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16442B2 (ko)
EP (1) EP1436710B1 (ko)
JP (1) JP4322116B2 (ko)
KR (1) KR100899514B1 (ko)
CN (1) CN1296843C (ko)
AT (1) ATE320043T1 (ko)
DE (1) DE60209761T2 (ko)
ES (1) ES2259718T3 (ko)
GB (1) GB0122401D0 (ko)
WO (1) WO2003025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3342B2 (en) 2004-07-30 2013-08-06 Airvana Llc Signal transmission method from a local network node
EP1782551B1 (en) 2004-07-30 2016-10-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Power control in a local network node (lnn)
WO2006010953A2 (en) 2004-07-30 2006-02-02 Andrew Richardson A local network node
US7419038B2 (en) 2005-05-31 2008-09-02 Great Stuff, Inc. Reel and reel housing
JP6053384B2 (ja) * 2012-08-08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メモリ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GB2522057B (en) 2014-01-13 2021-02-24 Advanced Risc Mach Ltd A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multiple transactions
CN111371526A (zh) * 2020-03-16 2020-07-03 天津津航计算技术研究所 一种用于多任务模块猝发通信条件下的混合多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3914A (en) * 1989-12-15 1992-03-03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of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object-oriented programs
US5592435A (en) * 1994-06-03 1997-01-07 Intel Corporation Pipelined read architecture for memory
US5577230A (en) * 1994-08-10 1996-11-19 At&T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er processing using an enhanced Harvard architecture utilizing dual memory buses and the arbitration for data/instruction fetch
JP3176228B2 (ja) * 1994-08-23 2001-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5878240A (en) * 1995-05-11 1999-03-02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gh speed memory access in a multiprocessor, multimemory environment
DE69521616T2 (de) * 1995-11-28 2001-10-18 Bull Sa Speicherzugangsbegrenzer für dynamischen RAM
JP3264614B2 (ja) 1996-01-30 2002-03-11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観察装置
US6061346A (en) * 1997-01-17 2000-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cure access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accessing a private IP network
KR100245276B1 (ko) * 1997-03-15 2000-02-15 윤종용 버스트 모드 성능을 갖는 랜덤 억세스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3728641B2 (ja) * 1997-08-05 2005-12-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216180B1 (en) * 1998-05-21 2001-04-1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nvolatile memory interface for burst read operations
JP4060442B2 (ja) * 1998-05-28 2008-03-12 富士通株式会社 メモリデバイス
JP3910301B2 (ja) 1998-12-14 2007-04-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0043897A1 (fr) * 1999-01-20 2000-07-27 Fujitsu Limited Systeme de gestion de fichier comme support de conference
US6457075B1 (en) * 1999-05-17 2002-09-24 Konink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nchronous memory system with automatic burst mode switching as a function of the selected bus master
US6460133B1 (en) * 1999-05-20 2002-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Queue resource tracking in a multiprocessor system
JP2001014840A (ja) * 1999-06-24 2001-01-19 Nec Corp 複数ラインバッファ型メモリlsi
WO2001035234A1 (en) * 1999-11-05 2001-05-17 Analog Devices, Inc. Generic serial port architecture and system
US6621761B2 (en) * 2000-05-31 2003-09-16 Advanced Micro Devices, Inc. Burst architecture for a flash memory
JP4538911B2 (ja) * 2000-06-19 2010-09-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メモリアクセス制御装置および記憶媒体
US6278654B1 (en) * 2000-06-30 2001-08-21 Micron Technology, Inc. Active terminate command in synchronous flash memory
DE10107833B4 (de) * 2001-02-16 2012-02-16 Robert Bosch Gmbh Speich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Auslesen einer Speicher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20043T1 (de) 2006-03-15
GB0122401D0 (en) 2001-11-07
JP4322116B2 (ja) 2009-08-26
ES2259718T3 (es) 2006-10-16
DE60209761T2 (de) 2006-11-09
US7716442B2 (en) 2010-05-11
EP1436710B1 (en) 2006-03-08
DE60209761D1 (de) 2006-05-04
KR100899514B1 (ko) 2009-05-27
EP1436710A1 (en) 2004-07-14
CN1555528A (zh) 2004-12-15
US20050005035A1 (en) 2005-01-06
JP2005503612A (ja) 2005-02-03
WO2003025768A1 (en) 2003-03-27
CN1296843C (zh)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3297B1 (en) Memory control using memory state information for reducing access latency
US20020013880A1 (en) Integrated circuit with flash bridge and autoload
US772562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ata transfer method
KR20020009823A (ko) 버스 시스템 및 그 버스 중재방법
KR20050043303A (ko) 다중 프로세서 환경에서의 dma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전송 방법 및 그 장치
EP1109102B1 (en) Memory system comprising multiple memory devices and memory access method
KR100899514B1 (ko) 버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외부 메모리에 프로세서를 인터페이스하는 방법
JPH11345165A (ja) アクセス待ち時間を減少するため優先度とバースト制御を使用するトラフィック・コントローラ
TWI471731B (zh) 記憶體存取方法、記憶體存取控制方法、spi快閃記憶體裝置以及spi控制器
US72931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access to a non-memory mapped device memory
US6795911B1 (en) Computing device having instructions which access either a permanently fixed default memory bank or a memory bank specified by an immediately preceding bank selection instruction
KR20080072412A (ko) 프로세서간 커맨드를 직접 전달하는 듀얼 포트 메모리 및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EP0921468B1 (en) Memory control using memory state information for reducing access latency
EP0940757A2 (en) Traffic controller using priority and burst control for reducing access latency
KR20000026338A (ko) Arm 중앙처리장치를 내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버스제어방법
KR100690597B1 (ko) 이중모드 직접메모리접근을 지원하는 중앙처리장치를이용한 단일모드 직접메모리접근 구현 방법
KR100214302B1 (ko) 디. 에스.피용 디.엠.에이의 고속 데이타 처리방법
JPH0351943A (ja) 高速バスと低速バスのバスライン共用化方式
KR100294639B1 (ko) 다중억세스캐쉬장치
JP2000315172A (ja) アクセス待ち時間を減少するためにメモリ状態情報を使用するメモリ制御
JP2006195810A (ja) メモリコントローラおよび高速データ転送方法
JPS6269347A (ja) ダイレクトメモリアクセスコントロ−ラ
JPH06332842A (ja) ダイレクト・メモリ・アクセス・制御回路
JPH1011356A (ja) メモリアクセスシステム
JPS63178350A (ja) キヤツシユコントロ−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