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283A - 식별코드가 기재된 다운로드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송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별코드가 기재된 다운로드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송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283A
KR20040045283A KR1020030062473A KR20030062473A KR20040045283A KR 20040045283 A KR20040045283 A KR 20040045283A KR 1020030062473 A KR1020030062473 A KR 1020030062473A KR 20030062473 A KR20030062473 A KR 20030062473A KR 20040045283 A KR20040045283 A KR 20040045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content
download
card
download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951B1 (ko
Inventor
미야타히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젠
Publication of KR2004004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콘텐츠가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크레디트 카드에 의한 요금 결제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콘텐츠 이용의 요금 회수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사용자에게는 콘텐츠의 선택을 쉽게 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콘텐츠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망을 거쳐서 콘텐츠를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콘텐츠 서버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에 대응된 식별 코드가 기재되어 있는 다운 로드 카드 군과, 식별 코드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를 갖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 코드는 다른 어떠한 식별 코드와도 상이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한번만 송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별코드가 기재된 다운로드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송신 시스템 및 방법{DOWNLOAD CARD HAV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BY USING SAME}
본 발명은 크레디트 카드와 통신 요금 가산에 의하지 않고서, 콘텐츠의 요금 징수를 실행하는 휴대 단말기용 콘텐츠 송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기에는, 통신 기능에 의해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다운 로드하고, 그 다운 로드된 콘텐츠를 표시, 또는 실행하는 것이 다수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다운 로드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콘텐츠가 다수 존재한다.
이들 콘텐츠 중에는 다운 로드하여 이용할 때에 이용료가 징수되는 유료 콘텐츠와, 이용료가 징수되지 않는 무료 콘텐츠가 있으며, 유료 콘텐츠를 다운 로드하는 경우의 이용료 과금의 방법으로서는, 통신 서비스 가입자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하여 그 통신 요금에 콘텐츠의 이용료를 가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밖에 이용료를 과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다운 로드할 때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크레디트 카드 번호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시스템과, 다운 로드하는 콘텐츠에 광고를 첨부하여 다운 로드한 사용자에게 이용료의 지불을 대신하여 그 광고를 시청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140250호
그러나, 광고를 시청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콘텐츠 이용의 대가를 사용자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수할 수 없다. 또한, 이용자에게 크레디트 카드 번호를 입력하게 하여 결제하는 직접적인 방법도 그 적용 범위에는 한계가 있다. 즉, 크레디트 카드에 의한 결제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결제 수수료 회수를 쉽게 하기 위하여, 통상은 결제 가능한 조건으로서 콘텐츠의 최저 요금액이 설정되어 있는데, 콘텐츠가 예컨대 게임 프로그램인 경우에 그 콘텐츠의 이용료를 최저 요금액 미만의 소액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크레디트 카드에 의한 결제를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콘텐츠 이용료를 통신 요금에 가산하여 청구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운 로드되는 콘텐츠가 통신료 징수를 실행하는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등록되어야 하다. 그러나, 등록수의 제한 등의 조건에 의해 콘텐츠가 해당 사이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 요금의 징수가 어려워진다. 그 결과, 기술적으로는 휴대 단말기에 의해 이용 가능한 콘텐츠의 수는 증가하지만, 그 대부분은 통신 사업자의 사이트에의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콘텐츠가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등록되었다고 하더라도, 콘텐츠를 다운 로드할 때의 절차에 있어서는, 판매점 등이 개재하는 일없이, 다운 로드의 절차는 과금 절차까지 포함하여 모두 사용자 자신이 휴대 단말기의 버튼 등을 조작하여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다운 로드시의 조작에 대한 불안감과 대금 지불에 대한 불확실감을 느끼게 된다. 이 때문에, 콘텐츠의 이용은 이용 가능한 휴대 전화의 보급 대수에 비해서 매우 미미한 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텐츠가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크레디트 카드에 의한 요금 결제를 이용하지 않고, 콘텐츠 이용 요금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콘텐츠의 선택을 쉽게 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콘텐츠 송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1)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추출 콘텐츠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망을 거쳐서 사전 등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콘텐츠 서버와, 상기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에 대응된 식별 코드가 기재되어 있는 다수의 다운 로드 카드가 포함된 다운 로드 카드 군과, 통신망을 거쳐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코드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 코드는 상기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속하는 다른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어떠한 식별 코드와도 상이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일 식별 코드에 대하여 한번만 콘텐츠 서버에 대한 추출 콘텐츠의 송신 허가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여기서, 휴대 단말기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12)와 PDA 등의 정보 단말기이다. 또한 콘텐츠란 예컨대 휴대 전화로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착신음과 대기 화면, 정보 서비스에 이용되는 텍스트, 음성, 화상, 동화상 데이터,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표시 제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게임 등의 디지털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콘텐츠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콘텐츠를 축적하는 콘텐츠 서버(18) 안에 축적되어 있다. 추출 콘텐츠란 이들 축적된 콘텐츠 중에서 휴대 단말기로부터 1회 송신되는 하나의 식별 코드에 따라 하나 이상이 추출되도록 선택되어 콘텐츠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에 송신되는 콘텐츠이다.
다운 로드 카드란 카드형 표시 매체이고,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드(11)이며, 예컨대 그 표면에 콘텐츠의 명칭과 그 이용 방법 그리고 식별 기호(19)가 인쇄된 것이다. 하나의 카드에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정보와 그것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가 인쇄되어 있고, 다운 로드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에 대응하여 카드의 종류도 존재하게 된다. 또한, 1장의 카드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콘텐츠는 1회의 다운 로드에 대응하기 때문에, 1종류의 콘텐츠에 대하여 복수개의 카드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들 카드의 집합은 카드 군을 구성한다.
예컨대 이들 콘텐츠 카드가 판매점에 진열되면, 휴대 전화(12) 사용자는 진열된 카드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내용을 보고, 마음에 든 콘텐츠가 기재된 카드를 구입한다. 콘텐츠의 이용 대금은 카드의 구입을 통하여 지불된다. 여기서, 카드에는 거기에 인쇄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이 부여되어 있고, 사용자는 카드의 구입을 통하여 이 사용권을 얻게 된다.
사용자가, 구입한 카드(11)에 기재된 코드를 버튼 조작에 의해 휴대 전화(12)에 입력하면, 그 코드는 통신망을 통하여 인증 서버(16)에 송신된다. 인증 서버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된 코드가 정규로 구입된 카드에 기재된 것인가의 여부, 즉 코드의 유효성에 대하여 인증하는 장치이다. 인증 서버(16)가 휴대 전화(12)로부터 송신되어 온 코드를 유효한 것이라고 인증하면, 콘텐츠 서버(18)로부터 휴대 전화(12)에 추출 콘텐츠가 송신된다.
여기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 코드는 가령 동일 종류의 게임에 대한 것이라 하더라도 카드마다 상이하다. 그리고, 휴대 전화(12)로부터 송신되어 온 임의의 1개의 코드가 유효한 것이라고 인증되는 것은 1회에 한한다. 즉, 한번 유효라고 판단된 코드가 나중에 다시 인증 서버(16)에 송신되더라도, 추출 콘텐츠는 두 번 다시 송신되지 않는다. 즉,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각각의 다운로드에 대한 권리는 1회의 다운 로드에 의해 모두 이용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다운 로드에 대한 권리가 부여된 카드를 콘텐츠 다운 로드의 매개로 함으로써, 요금의 지불 및 인도가 확실한 콘텐츠 구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2) 상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코드는 URL 또는 기타 문자열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시스템.
URL이란 Uniform Resource Locators의 약어이고, 컴퓨터 네트워크상에 배치되어 있는 파일 등의 정보 저장 장소를 유일하게 지정하기 위한 표기 방법이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RL 형식의 식별 코드(19)를 이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의해 동작하는 브로우저 프로그램 등에 의해, 웹 페이지(또는 왑 페이지)를 지정하는 방법에 의해 서버 및 디렉토리가 지정되기 때문에, 코드 입력을 시키기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 없이 휴대 단말기로부터 서버를 액세스하여 식별 코드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URL을 사용하는 것이 파일 등의 정보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URL을 직접 입력하는 대신에, 휴대전화의 키패드에 포함된 '*', '#', '통화', '인터넷연결' 또는 숫자 키 또는 그 키들의 조합을 누름으로써 서버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다운로드 카드에 식별 코드 대신에 이러한 키 또는 그 조합의 사용방법을 기재할 수도 있다.
(3)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휴대 전화의 키패드 상에포함된 키(문자)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시스템.
식별 코드가 휴대 전화의 키패드 상에 포함된 키(문자)의 조합에 의해 기재됨으로써, 식별 코드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입력 가능하게 된다.
(4)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2차원 패턴의 표현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시스템.
2차원 패턴이란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흑백의 2차원적인 모양에 의해 구성되는 코드이다. 2차원 패턴을 이용한 경우에는, 이것을 휴대 단말기에 부속한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한 결과를 코드 변환한 후에, 서버에서 인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버튼 조작을 실행하여 식별 코드를 입력하는 시간과 오입력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5) 상기 추출 콘텐츠는 게임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시스템.
여러 종류의 콘텐츠 중에서도 취미의 대상이 되는 게임 콘텐츠는 상품성이 높고, 매매의 대상이 되기 쉽기 때문에, 카드 구입의 형식으로 콘텐츠 구입을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바람직하다.
(6) 상기 다운 로드 카드는 뒷면에 휴대 단말기 소유자의 개인 정보를 기재하는 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시스템.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의 뒷면에 개인 정보를 기재하는 란을 구비하여, 사용자는 개인 정보를 기재한 카드를 판매점 등에 반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판매점 등이 특정 콘텐츠 이용자의 정보를 원활하게 얻을 수 있어, 고객관리의 툴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7) 복수의 다운 로드 카드로 구성되는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있어서,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속하는 다운 로드 카드에는 휴대 단말기에 송신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의 명칭 및 하나의 이상의 추출 콘텐츠에 대응된 식별 코드가 1건씩 기재되고, 상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 코드는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속하는 다른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어떠한 식별 코드와도 상이하고, 상기 식별 코드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거쳐서, 식별 코드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에 송신되면,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가 콘텐츠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코드가 기재된 다운 로드 카드로 구성되는 다운 로드 카드 군.
하나 이상의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이 부여된 카드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판매점에서 상품을 선택하여 구입하듯이, 콘텐츠를 선택 및 구입할 수 있게 된다.
(8)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URL 또는 기타 문자열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된 다운 로드 카드 군.
(9)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휴대 전화의 키패드 상에 포함된 키(문자)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된 다운 로드 카드 군.
(10)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2차원 패턴의 표현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된 다운 로드 카드 군.
(11) 상기 추출 콘텐츠는 게임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운 로드 카드 군.
(12) 상기 다운 로드 카드는 뒷면에 휴대 단말기 소유자의 개인 정보를 기재하는 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운 로드 카드 군.
(13) 사전 등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를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콘텐츠 서버에 대하여 상기 추출 콘텐츠의 송신을 요구하는 인증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송신되는 추출 콘텐츠에 대응되고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유일한 식별 코드를 수신하고, 해당 식별 코드가 유효하다는 것을 인증하면, 유일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한번만 콘텐츠 서버에 대한 추출 콘텐츠의 송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여기서,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코드가 유일하다고 하는 것은, 하나의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코드는 다른 어느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코드와도 상이한 것을 의미한다.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 코드가 유일하기 때문에, 이 코드가 이전에도 사용되었는가를 조사함으로써 1장의 다운 로드 카드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1회의 다운 로드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4)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URL 또는 기타 문자열의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시스템.
(l5)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휴대 전화의 키패드 상에 포함된 키(문자)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시스템.
(16)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2차원 패턴의 표현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시스템.
(l7) 상기 추출 콘텐츠는 게임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시스템.
(18)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추출 콘텐츠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된 식별 코드가 통신망을 거쳐서 인증 서버에 송신되는 단계와, 인증 서버는 송신되어 온 식별 코드를 인증하는 단계와, 콘텐츠 서버는, 인증 서버는 상기 식별 코드가 유효하고, 또한 상기 식별코드는 과거에 송신된 적이 없는 것일 경우에는, 통신망을 거쳐서, 사전 등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콘텐츠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에 대응된 식별 코드가 기재되어 있는 다운 로드 카드는 복수개 집합함으로써 다운 로드 카드 군을 구성하고, 상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 코드는 상기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속하는 다른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어떠한 식별 코드와도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방법.
(19) 상기 식별 코드는 URL 또는 기타 문자열의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방법.
(20) 상기 식별 코드는 2차원 패턴에 의한 화상 데이터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방법.
(21) 상기 추출 콘텐츠는 게임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 송신 방법.
도 1은 콘텐츠 송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카드 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콘텐츠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증 서버 및 콘텐츠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인증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카드12 : 휴대 전화
13 : 통신 사업자 망15 : 인터넷
16 : 인증 서버17 : 콘텐츠 정보
18 : 콘텐츠 서버19 : 식별 코드
21 : 입력 장치22 : 표시 장치
25 : 통신 장치26 : 통신 장치
28 : 광 디스크 드라이브30 : 카드
32 : 2차원 식별 코드35 : 카드 뒷면
36 : 개인 정보 기재란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카드(11)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명칭과 내용의 소개, 다운 로드시에 필요한 식별 코드(19)가 인쇄되어 있다. 이 식별 코드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서 휴대 전화(12)에 입력되고 거기에서 통신 사업자 망(13) 및 인터넷(15)을 통하여 인증 서버(16)에 송신된다. 인증 서버(16)는 식별 코드의 인증 결과를 콘텐츠 서버(18)에 송신하고, 콘텐츠 서버(18)는 그 안에 축적된 콘텐츠를 인터넷(15) 및 통신 사업자 망(13)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12)에 송신한다.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 전화(12)에 예컨대 게임과 같은 콘텐츠를 다운 로드하여 플레이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게임에 대응하는 카드(11)를 입수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카드를 휴대 전화 판매점 및 기타 판매점(예를 들어, 편의점, 백화점, 대형할인점 등)과 편의점에서 구입하거나, 또는 어떠한 경품으로서 획득하거나, 선전 시공품 등으로서 입수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카드를 판매점 등에서 직접 구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콘텐츠의 사용료를 직접 지불하는 형식의 영업모델이 되지만, 사용자가 카드를 경품으로 구입하는 경우에는 특정 기업이 자사의 이미지 또는 상품 광고를 위하여 그 카드를 사용자에게 무료로 배포해주는 형식의 영업모델이 된다. 즉, 후자의 경우에는 특정 기업이 카드의 제조업체에 카드의 제조를 의뢰하고 그 제조업체에게 카드의 제작 비용, 즉, 콘텐츠의 사용료를 지불하게 되므로, 이것은 일종의 B2B (business-to-business) 영업모델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휴대 전화에 다운 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는 다수이고, 카드도 콘텐츠의 종류마다 존재한다. 또한, 하나의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카드에 두 개 이상의 콘텐츠가 대응되는 경우에는 이들 콘텐츠는 여러 종류의 콘텐츠들의 패키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카드(11)는 그 표면에 시각적 정보를 인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재질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이어도 무방하고, IC 카드와 엽서 등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크기를 명함 정도의 카드형으로 제작하면, 판매점 앞에서 대량으로 전시·판매하거나, 사용자가 구입 후에도 소지·휴대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카드에는, 사용자가 콘텐츠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돕고, 또한 다수의 콘텐츠 중에서 희망하는 것을 선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콘텐츠의 명칭과 내용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에는 콘텐츠의 요금과 게임 방법, 버튼 조작 방법 등 콘텐츠 정보(17)가 인쇄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카드(11)에는 이들 콘텐츠의 정보 이외에 그 카드가 대응하는 콘텐츠의 다운 로드를 하기 위해서,휴대 단말기에 입력되는 인터넷의 URL 또는 기타 문자열의 형식의 식별 코드(19)가 인쇄된다.
또한, 카드(11)는 스크래치 카드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드(11)는 판매점에 진열된 상태에서는, 이 식별 코드의 인쇄 부분 위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전 등으로 긁으면 벗겨질 수 있는 납형상의 불투명 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따라서, 식별 코드는 그 자체로서는 외부로부터 인식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 납형상의 물질이 도포된 부분이 동전 등에 의해 벗겨지면, 그 밑에 인쇄된 식별 코드가 외부로부터 인식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카드를 정당하게 입수하지 않은 사람이 판매점 등에서 식별 코드를 몰래 도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콘텐츠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카드를 입수한 후, 이 납 형상의 물질을 동전 등으로 긁어서 벗겨내어, 그 밑에 인쇄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다운 로드할 수 있다.
카드(11)에 인쇄된 식별 코드(19)는 그 카드에 게재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식별 코드(19)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는 대응하는 콘텐츠마다 상이하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콘텐츠의 카드(11a)와 B 콘텐츠의 카드(11d)에 인쇄된 식별 코드의 내용에는 상이한 부분이 있다. 이에 의해, 콘텐츠 송신 시스템은 식별 코드가 송신되었을 때에 어느 종류의 콘텐츠에 대하여 다운 로드의 요청이 있었는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별 코드는 콘텐츠가 동일하더라도 카드마다 그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하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콘텐츠의 카드(11a)와 카드(11b)에 인쇄된 각각의 식별코드에는 상이한 내용의 부분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카드에는 유일한 식별 코드가 인쇄되게 된다. 이 유일한 식별 코드의 할당에 의해, 콘텐츠 송신 시스템은 임의의 식별 코드(19)가 과거에 사용된 카드에 기재된 식별 코드인지, 그렇지 않으면 처음으로 입력된 식별 코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 완료된 카드에 기재된 식별 코드(19)를 다시 입력하더라도 식별 코드(19)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다운 로드되지 않도록 하여, 식별 코드(19)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1회에 한하여 다운 로드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식별 코드(19)의 입력은, 휴대 전화(12)의 사용자가 카드(11)에 인쇄된 문자와 기호인 식별 코드(19)를 보고, 그 문자 등을 휴대 전화(12)의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실행한다. 즉, 식별 코드(19)는 휴대 전화(12)의 버튼 등으로부터 입력된다. 식별 코드(19)가 인터넷상의 파일의 존재 장소를 나타내는 URL 형식을 채용하는 경우, 휴대 전화(12)는 식별 코드의 입력에 의해서, URL이 나타내는 웹 서버에 배치된 파일을 다운 로드하여 열람 또는 실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는 카드의 별도의 장소에 기재된 URL을 입력하고, 특정 웹 서버에 배치된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다운 로드하거나, 또는 휴대 전화용 포털 사이트로부터의 웹의 링크를 차례차례 선택하여, 특정 웹 서버에 배치된 웹 페이지를 다운 로드한다. 웹 페이지에는 카드에 기재된 식별 코드를 입력하는 지시가 표시된다. 그래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 전화(12)의 버튼 등으로부터 입력된 식별 코드를 휴대 전화(12)의 전화번호 또는 어드레스 정보와 함께 서버에 송신한다.
한편, 도 2내지 도 3b에 도시된 카드에는 하나의 식별 코드에 하나의 콘텐츠가 대응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카드에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가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코드는 카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들 콘텐츠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URL 등에 의해 다운 로드된 웹 페이지는 하나의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URL 등을 사용하여 다운 로드하는 데이터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웹 서버의 웹 페이지 뿐만아니라 왑(WAP) 서버의 왑 페이지의 데이터를 다운 로드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식별코드(19)의 입력은, URL을 직접 입력하는 대신에, 휴대전화의 키패드에 포함된 '*', '#', '통화', '인터넷연결' 또는 숫자 키 또는 그 키들의 조합을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다운로드 카드(11)에 식별 코드 대신에 이러한 키 또는 그 조합의 사용방법을 기재할 수도 있다.
휴대 전화에 입력된 식별 코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사업자 망(13) 및 인터넷(15)을 통하여 인증 서버(16)에 송신된다.
도 4는 인증 서버(16) 및 콘텐츠 서버(18)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인증 서버(16) 및 콘텐츠 서버(18)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모두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증 서버(16) 및 콘텐츠 서버(18)는 CPU(20), 입력 장치(21), 표시 장치(22), RAM(23), HDD(24), 통신 장치(25 및 26), 광 디스크 드라이브(28) 각각이 버스(29)에 의해 접속됨에 의해 구성된다. CPU(20)는 HDD(24)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28)에 기억되어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RAM(23)에 저장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처리를 실행한다. 모뎀과 라우터 등의 통신 장치(25)는 서버를 인터넷(15)에 접속시키며, 통신 장치(26)는 서버를 다른 서버에 접속한다. 인증 서버(16)의 HDD(24)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28)에는 식별 코드가 과거에 송신된 것인가의 여부의 정보가 포함된 식별 코드의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18)에 있어서, HDD(24)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28)에는 휴대 전화(12)에 다운 로드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이들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시에 RAM(23)에 저장되고, 또한 반대로 서버 프로그램에 의해 갱신된 데이터는 RAM(23)으로부터 HDD(24)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28)에 전송되어 축적된다.
도 1의 구성예에 있어서, 인증 서버(16)는 송신되어 온 식별 코드의 유효성에 대하여 인증을 실행한다. 이것은 카드를 구입하지 않은 휴대 전화 사용자가 임의의 식별 코드를 입력하거나, 과거에 식별 코드가 입력되어 사용 완료된 카드에 기재된 식별 코드를 다시 입력함으로써, 콘텐츠의 이른바 부정 이용 등, 본래 송신 시스템이 예정하지 않은 다운 로드를 방지하는 것이다.
식별 코드(19)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사전적 의미를 갖지 않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나열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임의의 식별 코드가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고, 거기에서 송신된 경우에, 가끔 구입이 되지 않은 카드에 기재된 식별 코드와 일치하게 되는 확률이 낮아지도록, 식별 코드에는 각각의 카드를 특정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에 부가하여 용장(冗長)정보도 포함된다.
인증 서버(16)의 처리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증 서버(16)의 처리는, HDD(24)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28)에 기록된 서버 프로그램에 따라, CPU(20)가 각 구성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인증 서버(16)의 CPU(20)는 단계(S101)에서 통신 장치(25)를 통해 수신된 식별 코드(19)를 판독한다. 이렇게 하여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고, 통신 사업자 망(13) 및 인터넷(15)을 통하여 인증 서버(16)에 송신된 식별 코드가 판독된다. 다음에, CPU(20)는 식별 코드(19)가 유효한 것인가의 여부를, 식별 코드 데이터 자체를 이용하는 연산을 함으로써, 또는 코드의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유효한 식별 코드의 정보와의 비교에 의해서 검증한다(S102). 식별 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CPU(20)는 HDD(24)에 저장된 식별 코드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Sl03), 그 식별 코드가 과거에 이미 사용되지 않은 것인지를 검사한다. 이 단계에서, 그 식별 코드가 이미 사용된 것인 경우(S102 : No)와, 식별 코드 자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S104 : No)에는, CPU(20)는 통신 장치(25)의 제어를 통하여, 휴대 전화(12)에「액세스할 수 없습니다」라는 내용을 그 이유와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S107). 한편, 식별 코드가 유효하고, 또한 과거에 사용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CPU(20)는 통신 장치(26)의 제어에 의해, 콘텐츠 서버(18)에 대하여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송신을 요구하는 신호와, 식별 코드가 입력된 휴대 전화(12)의 전화번호 또는 어드레스를 특정하는 정보를 송신한다(S105). 이렇게 하여 인증 서버(16)는 콘텐츠의 송신을 콘텐츠 서버(18)에 대하여 요구한다.
콘텐츠 서버(18)에는 휴대 전화(12)가 다운 로드하여 이용 가능한 콘텐츠가 다수 축적되어 있고, 또한 콘텐츠 서버(18)는 인증 서버(16)와 전용선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콘텐츠 서버(18)는 인증 서버(16)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송신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축적된 콘텐츠 중에서 대응하는 콘텐츠를 인터넷(15) 및 통신 사업자 망(13)을 통하여 휴대 전화(12)에 송신한다. 즉, 우선 콘텐츠 서버(18)는 인증 서버(16)로부터 송신되어 온 전화번호 또는 어드레스를 특정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12)로 전자 메일을 송신한다. 전자 메일에는 콘텐츠의 배치 장소를 나타내는 URL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콘텐츠 서버(18)가 휴대 전화(12)로 전송하는 콘텐츠의 배치 장소를 나타내는 URL은 전자 메일 뿐만아니라 단문 메시지서비스 (SMS: short message service)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음에, 전자 메일을 수신한 휴대 전화(12)는 지정된 URL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 로드한다.
여기서, 콘텐츠 서버와 인증 서버는 상이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각 하드 웨어로 구현되어 있지만, 콘텐츠 서버와 인증 서버가 하드 웨어를 공유하여, 상기 처리가 병행하여 실행되는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콘텐츠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12)에 예컨대 CCD 또는 CMOS 카메라가 내장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카드(6)에는 문자기호 등에 의한 식별 코드가 아니라 2차원 코드에 의한 식별 코드, 즉 2차원 식별 코드(32)가 인쇄된다. 2차원 식별 코드란 흑과 백의 2차원의 면으로 정보를 나타냄으로써 바 코드 등에 비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도 6에는 흑백의 눈금을 조합한 소위 매트릭스형의 2차원 식별 코드의 예를 도시했지만, 다단식 등 다른 방식에 의한 식별 코드가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드(30)를 입수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우선 콘텐츠 다운 로드 전용의 특정 웹 서버에 배치된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다운 로드하고, 또는 휴대 전화용 포털 사이트로부터의 웹 링크를 차례차례 선택하여, 콘텐츠 다운 로드 전용의 특정 웹 서버에 배치된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다운 로드한다. 이 웹 페이지에는, 휴대 전화 사용자에 대하여 카드(30)에 인쇄된 2차원 식별 코드(32)를 휴대 전화(12) 내장 또는 휴대 전화(12)에 접속된 카메라로 촬영하도록 하는 지시가 표시된다. 휴대 전화 사용자가 지시에 따라 휴대 전화(12)를 조작하여 2차원 식별 코드(32)를 촬영함으로써, 2차원 식별 코드의 화상 이미지가 휴대 전화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화상 데이터인 식별 코드가 인증 서버(16)에 송신된다. 인증 서버(16)에 있어서는, 송신되어 온 2차원 식별 코드의 이미지 데이터를 유효성 검증이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식별 코드가 유효한지를 검증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 이후의 처리과정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에는 처리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URL 등을 사용하여 다운 로드하는 데이터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있으나, 본 발명은 웹 서버의 웹 페이지 뿐만아니라 왑(WAP) 서버의 왑 페이지의 데이터를 다운 로드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콘텐츠 송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드(33)에는 숫자에 의한 식별 코드(34)가 인쇄된다. 카드(33)의 식별 코드(34)가 인쇄된 부분 위에는 도 3a와 마찬가지로 납형상의 불투명 물질이 도포되어 있고, 식별 코드(34)는 그 자체로는 외부로부터 인식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납형상의 물질이 도포된 부분이 동전 등에 의해 긁혀서 벗겨지면, 그 밑에 인쇄된 식별 코드가 외부로부터 인식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카드(33)를 입수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콘텐츠 다운 로드 전용의 특정 웹 서버에 배치된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다운 로드하거나, 또는 휴대 전화용 포털 사이트로부터의 웹 링크를 차례차례 선택하여, 콘텐츠 다운 로드 전용의 특정 웹 서버에 배치된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다운 로드한다. 예컨대 카드(33)에 인쇄된 URL을 휴대 전화(12)의 버튼을 조작하여 입력한다. 카드(33)에 기재된 URL이 버튼으로부터 입력된 휴대 전화(12)는 URL의 내용에 근거하여 통신 사업자 망(13) 및 인터넷(15)을 통하여 인증 서버(16)에 접속을 실행하고, URL에 의해 지정된 인증 서버(16)내의 웹 페이지 데이터를 다운 로드하여 표시한다. 이 웹 페이지에는, 휴대 전화 사용자에 대하여 카드(33)에 인쇄된 숫자의 식별 코드(34)를 휴대 전화(12)의 버튼으로부터 입력하도록 지시가 표시된다. 휴대 전화 사용자가 지시에 따라 휴대 전화(12)를 조작하여 2차원 식별 코드(34)를 입력함으로써, 식별 코드가 휴대 전화에 입력된다. 그리고, 식별 코드가 인증 서버(16)에 송신된다. 인증 서버(16)에서는, 송신되어 온 식별 코드가 유효한지를 검증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그 이후의 처리과정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에는 처리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URL 등을 사용하여 다운 로드하는 데이터는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웹 서버의 웹 페이지 뿐만아니라 왑(WAP) 서버의 왑 페이지의 데이터를 다운 로드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콘텐츠 송신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은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카드(11, 30)의 뒷면을 나타낸다. 즉, 이 실시예는 이전의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와 조합하여 실시 가능하다.
카드 뒷면(35)에는 사용자의 이름, 메일 어드레스, 주소라고 하는 개인 정보기재란(36)이 마련된다.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에 의해 콘텐츠를 다운 로드하여 이용한 휴대 전화 사용자가 이름 등의 개인 정보를 기재하여 카드의 판매점에 제출한 경우에는, 판매점은 새로운 카드와 교환하는 내용을 표시한다.
이러한 개인 정보를 기재하는 란(36)을 마련함으로써, 콘텐츠를 이용한 휴대 전화의 사용자가 카드에 개인 정보를 기재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이러한 카드를 판매점에서 회수하도록 한 경우에는, 판매점은 고객 정보를 원활하게 입수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고객관리의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텐츠 송신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카드에는 1장당 하나 이상의 콘텐츠에 대한 설명과 함께 다운 로드에 필요한 식별 코드가 기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수의 콘텐츠 중에서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판매점 등에서 콘텐츠에 대응한 카드를 통상의 상품을 선택하듯이 직감적이고 용이한 선택을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요금의 지불도 통상의 상품과 마찬가지로 판매점에서 카드와 교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금까지 과금에 관련된 조작의 불안과 요금 징수의 불안 때문에 콘텐츠 구입을 하지 않았던 휴대 단말기 사용자도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별 코드의 데이터 베이스를 기억한 인증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코드의 유효성과 사용 완료에 대한 인증을 일괄해서 실행할 수 있다. 즉, 누가 어디에서 카드를 구입하고, 어느 휴대 단말기에 입력했는지에 관계없이, 단순히 코드의 인증을 함으로써, 다운 로드하는 콘텐츠의 요금이 지불되었는가의 여부의 확인을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텐츠에 대응한 카드의 매매가 실행됨으로써, 지금까지 곤란했던 콘텐츠의 요금 징수를 판매점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콘텐츠 판매를 위한 사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콘텐츠의 판매에 있어서도, 크레디트 카드 결제를 이용하기 위한 최저 한도 가격 이하의 저액 요금의 콘텐츠 판매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통신 사업자 이외의 제삼자가 콘텐츠를 제공하여 요금 징수를 실행함으로써, 통신 사업자와는 직접적인 사업 관계를 갖지 않는 콘텐츠 사업자 및 일반 콘텐츠 제작자를 위한 요금 회수의 구조가 제공된다.
카드에는 콘텐츠의 자세한 내용과 게임 방법이 기재됨으로써, 사용자는 그 콘텐츠가 어떠한 내용인지,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쉽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콘텐츠를 선택할 때에 카드에 게재된 콘텐츠의 내용 설명을 보면서 카드를 선택하기 때문에, 판매점의 점원은 고도의 지식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콘텐츠의 판매자측에게는 신규의 콘텐츠 판매 비지니스에 참여하는 장벽이 낮아진다.
카드의 판매 취급을 휴대 단말기 판매점과 콘텐츠 판매점이 실행하는 경우에, 이들의 판매점이 신규의 콘텐츠 기획을 접수함으로써, 판매점과 지역 사용자의 밀접한 관계를 쌓을 수 있다. 또한, 지역 밀착형의 유료 콘텐츠의 전개와, 시한이 첨부된 일시적인 콘텐츠에의 대금 징수도 가능해진다.

Claims (21)

  1.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추출 콘텐츠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망을 거쳐서 사전 등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콘텐츠 서버와,
    상기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에 대응된 식별 코드가 기재되어 있는 다수의 다운 로드 카드가 포함된 다운 로드 카드 군과,
    통신망을 거쳐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코드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 코드는 상기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속하는 다른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어떠한 식별 코드와도 상이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코드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한번만 콘텐츠 서버에 대한 추출 콘텐츠의 송신 허가를 실행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URL 또는 문자열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상기 휴대 단말기 상의 키패드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2차원 패턴의 표현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콘텐츠는 게임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로드 카드는 뒷면에 휴대 단말기 소유자의 개인 정보를 기재하는 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7. 다수의 다운 로드 카드로 구성되는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있어서,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속하는 다운 로드 카드에는 휴대 단말기에 송신되는 것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의 명칭 및 상기 추출 콘텐츠에 대응된 식별 코드가 기재되고,
    상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 코드는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속하는 다른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어떠한 식별 코드와도 상이하고,
    상기 식별 코드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거쳐서 식별 코드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에 보내면,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가 콘텐츠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에 송신되는
    식별 코드가 기재된 다운 로드 카드로 구성되는 다운 로드 카드 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URL 또는 문자열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로드 카드 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상기 휴대 단말기 상의 키패드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로드 카드 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2차원 패턴의 표현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로드 카드 군.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콘텐츠는 게임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로드 카드 군.
  12.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로드 카드는 뒷면에 휴대 단말기 소유자의 개인 정보를 기재하는 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로드 카드 군.
  13. 사전 등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를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콘텐츠 서버에 대하여 상기 송신을 요구하는 인증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에 대응되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유일한 식별 코드를 수신하고, 해당 식별 코드가 유효하다는 것을 인증하면, 유일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한번에 한하여 콘텐츠 서버에 대한 추출 콘텐츠의 송신을 허가하는
    인증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URL 또는 문자열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상기 휴대 단말기 상의 키패드의 키에 대응하는 문자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다운 로드 카드에의 기재는 2차원 패턴의 표현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콘텐츠는 게임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시스템.
  18.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추출 콘텐츠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된 식별 코드가 통신망을 거쳐서 인증 서버에 송신되는 단계와,
    인증 서버는 송신되어 온 식별 코드를 인증하는 단계와,
    콘텐츠 서버는, 인증 서버가 상기 식별 코드가 유효하고 또한 상기 송신보다 과거에 송신된 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통신망을 거쳐서 사전 등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콘텐츠에 대응된 식별 코드가 기재되어 있는 다운 로드 카드는 다수로써 다운 로드 카드 군을 구성하고,
    상기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식별 코드는 상기 다운 로드 카드 군에 속하는 다른 다운 로드 카드에 기재되는 어떠한 식별 코드와도 상이한
    콘텐츠 송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URL 또는 문자열의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2차원 패턴에 의한 화상 데이터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방법.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콘텐츠는 게임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송신 방법.
KR1020030062473A 2002-11-21 2003-09-08 식별코드가 기재된 다운로드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송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553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8121A JP2004171377A (ja) 2002-11-21 2002-11-21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JP-P-2002-00338121 2002-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283A true KR20040045283A (ko) 2004-06-01
KR100553951B1 KR100553951B1 (ko) 2006-02-24

Family

ID=3270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473A KR100553951B1 (ko) 2002-11-21 2003-09-08 식별코드가 기재된 다운로드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송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171377A (ko)
KR (1) KR1005539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13B1 (ko) * 2005-10-18 2007-05-09 (주)에이클라엔터테인먼트 결제의 제약없이 유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FR3011113A1 (fr) * 2013-09-25 2015-03-27 Numerilib Distribution de livres numeriques
KR20150061121A (ko) * 2013-11-26 2015-06-04 김관민 휴대용 음파 코드 발생기를 이용한 실시간 원격 데이터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405B1 (ko) * 2005-01-28 2007-11-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
JP4769475B2 (ja) 2005-04-06 2011-09-07 株式会社ハートランド コンテンツ配信用サー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0741193B1 (ko) 2005-07-18 2007-07-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향 인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072926A (ja) * 2005-09-09 2007-03-22 Sokan Tachibana 有料コンテンツの料金回収システム
JP4725309B2 (ja) * 2005-12-01 2011-07-1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配信方法
JP6234012B2 (ja) * 2012-03-28 2017-11-22 Ntn株式会社 回転機械部品の携帯端末利用検査方法
WO2013168261A1 (ja) * 2012-05-10 2013-11-14 株式会社東京ケカトロニクス Idパターンのカメラ撮影による認証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775495B2 (ja) * 2012-07-27 2015-09-09 任天堂株式会社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販売方法
KR102024054B1 (ko) * 2013-02-25 2019-09-23 김성정 디지털 콘텐츠를 오프라인으로 유통시키기 위한 카드, 방법 및 서버
CN106537111A (zh) * 2014-07-18 2017-03-22 Ntn株式会社 机械部件诊断系统及其服务器
JP6909895B2 (ja) * 2018-10-04 2021-07-28 株式会社バンダイ 映像表示装置
JP7117428B2 (ja) * 2020-04-10 2022-08-12 株式会社バンダイ 映像表示装置
JP7329667B2 (ja) 2021-07-05 2023-08-18 株式会社バンダイ 映像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13B1 (ko) * 2005-10-18 2007-05-09 (주)에이클라엔터테인먼트 결제의 제약없이 유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FR3011113A1 (fr) * 2013-09-25 2015-03-27 Numerilib Distribution de livres numeriques
KR20150061121A (ko) * 2013-11-26 2015-06-04 김관민 휴대용 음파 코드 발생기를 이용한 실시간 원격 데이터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951B1 (ko) 2006-02-24
JP2004171377A (ja) 200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951B1 (ko) 식별코드가 기재된 다운로드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송신 시스템 및 방법
US8280435B2 (en) Communication system, settle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A2785841C (en) System, server device,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that facilitate user authentication
US20070021969A1 (en) Mobile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2015079371A (ja) キャンペーン応募システム、キャンペーン応募方法、キャンペーン管理サーバ、キャンペーン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68302A (ja) 決済方法及び決済システム
WO2001050363A1 (fr) Systeme fournissant des informations, systeme d'achat de tickets de jeux, procede fournissant des informations et moyen d'enregistrement des informations
KR20010109129A (ko)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데이터 제공 방법
JP6910509B1 (ja) 決済処理方法
CN112465496A (zh) 一种基于二维码的多次收款的实现方法及系统
GB2446423A (en) A method of accessing services using URL obtained from images
JP2010079877A (ja) 年齢認証システム
JP2007087225A (ja) レシート発行装置
JP6845960B1 (ja) 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装置
JP4072325B2 (ja) 電子商取引支援用情報処理装置
JP5405197B2 (ja) プリペイド型電子マネー決済システム
JP2005202733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販売支援システムおよび販売支援方法
JP2005202734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販売支援システムおよび販売支援方法
US20100312694A1 (en) Mobile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12119419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JP2011076195A (ja) ユニークなurl情報が記載された会員証と携帯電話端末とを用いた会員管理サーバ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8046717A (ja) 携帯端末を利用した決済システム
JP2009037394A (ja) 保険契約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方法
US20070185762A1 (en) Data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8065497A (ja) 契約内容管理装置、契約内容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契約内容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