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405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405B1
KR100777405B1 KR1020050007882A KR20050007882A KR100777405B1 KR 100777405 B1 KR100777405 B1 KR 100777405B1 KR 1020050007882 A KR1020050007882 A KR 1020050007882A KR 20050007882 A KR20050007882 A KR 20050007882A KR 100777405 B1 KR100777405 B1 KR 100777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d content
dmb receiver
uniqu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079A (ko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50007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405B1/ko
Priority to PCT/KR2005/003799 priority patent/WO2006107131A1/en
Publication of KR20060087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3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return channel, e.g. for collecting users' opinions, for returning broadcast space/time information or for request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6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play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보호키에 의해 보호된 유료컨텐츠의 제공과 해독키에 의한 유료컨텐츠의 해독의 조합에 의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유료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보호키에 의해 보호된 유료컨텐츠의 전달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에 의해 수행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요청 메시지의 전달과, 방송시스템으로부터의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의 전달은 통신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좁은 대역폭의 효율적 이용을 보장한다. 또한, 기존의 수신제한시스템을 이용한 유료컨텐츠의 제공으로부터 초래되는 단점을 극복하게 한다. 또한, 주변의 간편한 통신 수단을 활용함으로써 통신 사업자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수금 관리 체계를 활용한다. 이것에 의해, 방송 사업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유지 및 수금을 위한 인프라가 필요 없어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METHOD FOR THE PROVISION OF CHARGED CONTENTS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의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을 원하는 사용자의 DMB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구성의 바람직한 구현예이다.
도 4는 유료컨텐츠 접속에 대한 승인이 행해진 후에 사용자의 DMB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구성의 바람직한 구현예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단말과 결합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을 대표하는 가장 핵심적인 용어 중 하나는 "인터넷"이다. 인터넷 의 급속한 보급은 생활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용자는 검색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접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인터넷은 정보 제공자에게 유료 컨텐츠의 효율적 관리를 요구한다. 인터넷을 통한 유료컨텐츠의 경우, 접속요청 메시지와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가 인터넷망을 통해 전달된다. 이들 인터넷망은 높은 대역폭으로 인해 상기 메시지에 의한 트래픽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접속요청메시지와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가 수신단말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즉, 사용자는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모든 수신단말을 이용하여 유료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에 기여한 접속권한 부여는 인터넷망을 접속하기 위한 수신단말, 즉 컴퓨터의 휴대성이 낮기 때문이다.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유료컨텐츠의 관리는 많은 제약을 받는다. 이것은 방송망의 대역폭이 좁기 때문이다. 좁은 대역폭으로 인해,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유료컨텐츠의 관리는 통상 유료방송채널을 설정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방송사업자와의 계약에 의해 특정 채널에 대한 접속권한을 부여받은 후,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권한을 부여받는다.
현재 가장 이슈화되고 있는 방송 서비스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이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이동 중에도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정보를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에 의해 급속한 보급이 예상되고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CD 수준의 음질의 갖는 오디오 정보, 비디오 정보, 교통정보, 날씨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것이다. 이것은 전송 수단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경우, 일반적인 위성방송 또는 지상파 방송 보다 좁은 대역폭이 할당되어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통한 컨텐츠의 제공에 있어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유료정보의 효율적 관리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상향 통신망이 없는 경우, 기존에는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에 의해 유료컨텐츠의 관리가 이루어졌다.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에 의한 유료컨텐츠의 관리는 방송 사업자가 해당 수신기에 특정한 메시지를 방송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해서 수신기 내부의 CAS에게 유료 컨텐츠에 해당하는 암호키를 추출해 낼 수 있는 권한을 주고, 이것에 의해 유료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CAS를 이용한 유료컨텐츠의 관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1) 수신기 별로 암호키를 해독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기 위해 대역폭을 할당해야 한다. 이것은, 컨텐츠와 상관없는 불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대역폭의 소모를 야기한다.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좁은 대역폭을 감안할 때, 이것은 때때로 치명적 결함으로 작용할 수 있다.
(2) CAS는 수신기 내부에 특수한 하드웨어를 요구한다. 이것은, 수신기의 하드웨어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수신기의 가격을 상승시킨다.
(3) 가입자 관리와 수금을 방송 사업자가 직접 행해야 한다. 즉, 방송 사업자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가입자 정보를 따로 관리해야 되고, 유료 컨텐츠의 이용료가 정상적으로 납부되었는지를 직접 체크해야 한다.
(4) 일반적으로 지상파 DMB의 경우, 복수의 방송 사업자에 의해 컨텐츠가 제공된다. 이 때, 복수의 방송 사업자에 의해 서로 다른 CAS가 선택되면, 수신기 쪽에서 복수의 CAS를 지원해야 한다.특히, 상향 통신망(uplink) 없는 지상파 DMB의 경우, 이것은 상당히 치명적 단점이다. 즉, 각각의 수신기에 복수의 CAS를 설치해야 하고, 이것은 전술한 (1) - (3)의 단점을 추가로 악화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MB 방송을 통해 전달되는 유료컨텐츠의 효율적 제공방법을 성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향 통신망이 없는 DMB 수신기를 통해 유료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DMB 수신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유료컨텐츠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유료컨텐츠 접속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유료 컨텐츠 이용에 따른 합리적 과금을 성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대역폭은 오로지 컨텐츠의 제공을 위해 할당되고, 유료컨텐츠의 접속요청 메시지와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는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방법이 구현된다. 이 때, 상기 접속요청 메시지는 DMB 수신기 고유식별정보와 유료컨텐츠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요청 메시지는 하나의 문자열로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DMB 수신기 고유식별정보와 유료컨텐츠 고유식별정보를 서로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열을 생성하고, 이것을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는 DMB 수신기 고유식별정보와, 유료컨텐츠 고유식별정보와, 해독키 정보를 포함한다.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에 포함된 DMB 수신기 고유식별정보와, 유료컨텐츠 고유식별정보와, 해독키 정보를 서로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열을 생성하고, 이것을 통신망을 통해 전달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보호키에 의한 유료컨텐츠의 제공과 해독키에 의한 유료컨텐츠의 해독의 조합에 의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유료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a)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통해, 보호키에 의해 보호된 유료컨텐츠를 DMB 수신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b) 상기 유료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DMB 수신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유료 컨텐츠의 고유 식별정보와의 조합에 의해 제1 문자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문자열과 유료컨텐츠 공급 시스템 접촉정보를 상기 DMB 수신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c) 통신단말을 이용한 사용자와 공급 시스템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문자열과 통신단말정보를 상기 공급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와, (d) 사용자의 통신단말정보를 이용하여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와, (e) 상기 제1 문자열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진 상기 DMB 수신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유료 컨텐츠의 고유 식별정보에, 해독키 정보를 부가하여 제2 문자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문자열을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DMB 수신기에 상기 제2 문자열을 입력하여 유료컨텐츠를 DMB 수신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유료컨텐츠는 방송 시스템(100)에 의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DMB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201)을 통해 사용자의 DMB 수신기(300)에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유료컨텐츠는 보호키에 의해 보호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대한 접속권한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을 수행할 수 없다. 사용자가 수신된 유료컨텐츠에 접속하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접속요청 메시지는 통신망(202)를 통해 방송 시스템(100)에 전달된다. 상기 접속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시스템(100)은 상기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를 통신망(20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통신망(202)으로서, DMB 방송의 이동성과 보다 잘 부합하는 이동통신망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방법의 가장 커다란 특징 중의 하나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201)이 오로지 컨텐츠의 전송을 위해 모든 대역폭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사용자로부터의 접속요청 메시지와 공급자 방송 시스템으로부터의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는 모두 통신망(202)을 통해 전달된다. 이것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좁은 대역폭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수신제한시스템(CAS)를 이용하지 않고도, 유료컨텐츠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통해 제공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따라서, 수신제한시스템이 적용되기 곤란한 지상파 DMB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방법은 또한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유료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접속 요청이 통신망을 통해 행해지므로, 기존의 통신망에 의해 수행되어온 과금 시스템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통신이용료에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부가함으로써, 유료컨텐츠 이용에 따른 사용료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이것은 또한 유료채널을 통해 유료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별로 유료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을 원하는 사용자의 DMB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구성의 바람직한 구현예이며, 도 4는 유료컨텐츠 접속에 대한 권한 인증이 행해진 후에 사용자의 DMB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구성의 바람직한 구현예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DMBN)(201)을 통해, 보호키에 의해 보호된 유료컨텐츠가 방송 시스템(100)으로부터 DMB 수신기(300)에 전달된다. 보호키에 의해 보호된 유료컨텐츠는 해독키를 요구한다. 사용자가 유료컨텐츠로의 접속을 희망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매요청 메시지가 상기 DMB 수신기(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구매요청 메시지에는 유료컨텐츠 공급 시스템 접촉정보(예: 016-XXX-XXXX)를 포함한다. 상기 유료컨텐츠 공급 시스템 접촉정보와 더불어, 제1 문자열(예: 123324393429)이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제1 문자열은, 상기 DMB 수신기(300)의 고유 식별정보(예: 123324)와, 상기 유료 컨텐츠의 고유 식별정보와의 조합(예: 393429)에 의해 생성된다.
상향 통신망이 없는 수신전용 DMB 수신기(300)의 경우, 사용자는, 통신단말(400)을 이용하여, 016-XXX-XXXX에 상기 제1 문자열을 전달한다. 이것은 통신망(202)을 통해, 과금시스템(500)으로 전달된다. 상기 과금 시스템(500)은 사용자의 통신단말정보를 이용하여 과금을 수행한다. 정상적으로 과금이 수행되면, 상기 과금 시스템(500)은 방송 시스템(100)의 컨텐츠 서버(101)에 과금정보와 상기 제1 문자열을 전달한다. 과금시스템(500)으로부터 전달된 과금정보로부터 과금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를 확인한 후, 상기 방송시스템(100)의 컨텐츠 서버(101)은 제2 문자열(예: 3249234093243232)을 생성한다. 상기 제2 문자열은, 상기 제1 문자열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진 상기 DMB 수신기의 고유 식별정보(예: 324923, 이것은 123324를 변형하여 얻어진 시리얼 넘버임)와, 상기 유료 컨텐츠의 고유 식별정보(예: 409324, 이것은 123324를 변형하여 얻어진 시리얼넘버임)에, 해독키 정보(예: 3232)를 부가하여 얻어진 시리얼 넘버이다. 상기 방송시스템의 컨텐츠 서버(101)는, 얻어진 제2 문자열을, 과금시스템(500)을 경유하여 또는 경유하지 않고 직접, 통신망(202)를 통해, 사용자의 통신단말(400)에 전달한다. 상기 제2 문자열을 수신한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DMB 수신기(300)의 "문자입력란"에 상기 제2 문자열을 입력하게 된다. 그 후, DMB 수신기(300)는, 상기 제2 문자열로부터 DMB 수신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유료 컨텐츠의 고유 식별정보와, 해독키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정보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정보가 올바른 정보인지의 여부가 체크 된다. 즉, 제2 문자열로부터 추출된 DMB 수신기의 고유 식별정보가 DMB 수신기(300)의 그것과 매칭되는지의 여부, 추출된 유료 컨텐츠의 고유 식별정보가 사용자가 현재 접속하고자 하는 유료컨텐츠와 매칭되는 지의 여부, 보호키와 해독키가 서로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권한인증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접속승인 메시지가 프롬프트되고, 유료컨텐츠가 상기 DMB 수신기(300)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방법의 다른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제2 문자열에 DMB 수신기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타단말에 의한 유료컨텐츠 이용을 제한한다. 이것에 의해, 유료컨텐츠의 공정한 이용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문자열과 제2 문자열은 문자메시지(SMS)의 형태로 이동통신망(202)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정보의 신속한 전달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컨텐츠 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대역폭은 오로지 컨텐츠의 제공을 위해 할당되고, 유료컨텐츠의 접속요청 메시지(이것은 제1 문자열에 대응됨)와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이것은 제2 문자열에 대응됨)는 통신망을 통해 전달된다. 이것은 좁은 대역폭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효율적 이용을 보장한다.
(2) DMB 수신기 내부에 수신제한시스템(CAS)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수신 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단순화시킨다. 이것은 복수의 방송 사업자에 의해 유료컨텐츠가 제공되는 지상파 DMB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3) 컨텐츠 별로 과금이 성취된다. 유료 컨텐츠를 공급하기 위해 유료채널이 별도로 설정될 필요가 없다.
(4) 타인에 의한, 또는 복수의 단말을 이용한 유료컨텐츠의 이용을 제한함으로써 유료컨텐츠의 공정한 이용이 보장된다.
(5) 통신단말에 의한 유료컨텐츠의 접속요청 메시지와 유료컨텐츠에 대한 접속권한 부여 메시지의 전달에 의해, DMB 수신기의 상향 통신이 불필요하다.
(6) 주변의 간편한 통신 수단을 활용함으로써 통신 사업자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수금 관리 체계를 활용한다. 이것에 의해, 방송 사업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유지 및 수금을 위한 인프라가 필요 없어 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12)

  1. 상향채널을 구비하지 아니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DMB 수신기)에 유료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a) 유료컨텐츠 공급시스템 측에서, 보호키에 의해 보호된 유료컨텐츠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을 통해 DMB 수신기에 전달하는 단계,
    (b) 상향채널을 구비하지 아니한 DMB 수신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유료컨텐츠를 요청하는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하기의 i) 내지 iii)의 정보를 DMB 수신기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i) 유료컨텐츠 공급 시스템 접촉정보
    ii) 상기 DMB 수신기의 고유식별정보, 및
    iii) 상기 유료 컨텐츠의 고유 식별정보
    (c) 사용자 측에서, 별도의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유료컨텐츠 공급 시스템 접촉정보에 기초하여 유료컨텐츠 공급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수행하고, 통신단말정보와 함께, 상기 DMB 수신기의 고유식별정보 및 상기 유료 컨텐츠의 고유 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유료컨텐츠 공급 시스템에게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유료컨텐츠 공급시스템 측에서, 사용자의 통신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과금을 수행하고, 수신된 DMB 수신기의 고유식별정보 및 유료 컨텐츠의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MB 수신기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유료컨텐츠 고유식별정보와, 해독키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수신된 상기 DMB 수신기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유료컨텐츠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해독키 정보를, 상기 상향채널을 구비하지 아니한 DMB 수신기로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상향채널을 구비하지 아니한 DMB 수신기에서, 상기 유료콘텐츠를 상기 DMB 수신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향채널을 구비하지 아니한 DMB 수신기에 유료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와 단계 (c)의 DMB 수신기 고유식별정보와 유료컨텐츠 고유식별정보는 서로 조합하여 제1 문자열로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채널을 구비하지 아니한 DMB 수신기에 유료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및 단계 (e)의 DMB 수신기 고유식별정보와, 유료컨텐츠 고유식별정보와, 해독키 정보는 서로 조합하여 제2 문자열로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채널을 구비하지 아니한 DMB 수신기에 유료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열과 제2 문자열이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채널을 구비하지 아니한 DMB 수신기에 유료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07882A 2005-01-28 2005-01-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 KR100777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882A KR100777405B1 (ko) 2005-01-28 2005-01-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
PCT/KR2005/003799 WO2006107131A1 (en) 2005-01-28 2005-11-10 Method for the provision of charged contents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882A KR100777405B1 (ko) 2005-01-28 2005-01-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079A KR20060087079A (ko) 2006-08-02
KR100777405B1 true KR100777405B1 (ko) 2007-11-19

Family

ID=3707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882A KR100777405B1 (ko) 2005-01-28 2005-01-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7405B1 (ko)
WO (1) WO20061071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199B1 (ko) * 2005-04-27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제한 수신 방법
KR100672332B1 (ko) 2005-06-10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KR100838034B1 (ko) * 2007-01-02 2008-06-12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Ota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한 이동방송 서비스에 있어서의 가입자 정보 변경 처리 결과 조회 시스템
KR100838041B1 (ko) * 2007-01-02 2008-06-12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이동방송 서비스용 emm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667A (ko) * 2002-02-25 2004-10-21 히로시 다츠키 과금 방법, 정보 시스템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4980B2 (ja) * 2000-10-17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
JP2004240466A (ja) * 2000-12-26 2004-08-26 Ccp:Kk コンテンツ・データのエンコードシステム、エンコード方法、及びエンコード方法を用いたコンテンツ登録システム
JP2004171377A (ja) * 2002-11-21 2004-06-17 Zen:Kk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667A (ko) * 2002-02-25 2004-10-21 히로시 다츠키 과금 방법, 정보 시스템 및 프로그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8966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7131A1 (en) 2006-10-12
KR20060087079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3519B2 (ja) データ収集と注目対象広告の方法
JP4659594B2 (ja) 地上波dmbの個別放送チャネルに対する有料化システム及び方法
JP5044175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該当する場合には対話型であるコンテンツを、通信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端末装置にブロードキャス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706534B2 (en) Pay per minute for DVB-H services
KR100837695B1 (ko)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177055A1 (en) Conditional access system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for
CN102098345A (zh) 一种资源分享方法和业务提供系统
CN102379096A (zh) 用于对位于终端的广播业务和内容的受众进行计量的方法
US7562049B2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ed from a remote location to vehicles
KR20070120577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로의 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보안 방법 및장치
JP2007507012A (ja) アクセスを規制された個人化データおよび/またはプログラムの自動生成方法
KR10077740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유료 컨텐츠 제공방법
CN101321261B (zh) 前端系统、用户终端及授权管理信息分发方法
WO201005072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encryption key to provide pay channel
US202000681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broadcasters independently using a single conditional access system
US91437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portable media player device and maintaining licensing rights
KR101166289B1 (ko) Dcas 서버 장치 및 dmb 단말기, 및 dcas 서비스 제공 방법
JP4892993B2 (ja) 携帯型端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uimカード、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80016399A (ko)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54052A (ko) 유료채널 인증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9055126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配信サーバ、受信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9075535A2 (en) Prepaid broadcasting receiver and subscrib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ES2200671A1 (es) Sistema de acceso condicional para contenidos de television digital basado en procedimientos de prepago y en la organizacion en el ancho de banda difusor de contenidos.
KR20100069928A (ko) 단말의 인터넷 결제에 대한 보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15734031A (zh) 一种广播交互方法及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