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556A - 화상 처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556A
KR20040044556A KR10-2004-7006081A KR20047006081A KR20040044556A KR 20040044556 A KR20040044556 A KR 20040044556A KR 20047006081 A KR20047006081 A KR 20047006081A KR 20040044556 A KR20040044556 A KR 20040044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solution
luminance
leve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까사 이또
Original Assignee
코니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5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58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e.g. colour misregistration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화상 처리 방법은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coring) 처리를 적용한 후, 상기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컬러 사진 필름 상에 형성된 화상이 CCD 센서 등에 의해 광전자 방식에 의해 판독되어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신호 세트는, 음-대-양 반전, 휘도 조정, 컬러 밸런스 조정, 입상 잡음 제거, 및 선명도 향상에 의해 표현되는 다양한 종류의 화상 처리를 당한 후, CD-R, 플로피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 또는 인터넷 라인과 같은 매체를 통해 분배되고, 은 할로겐 인화지, 잉크젯 프린터, 열전사 프린터 등에 의해 하드 카피(hard copy) 화상으로서 출력되거나, CRT,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같은 매체 상에 표시되어, 인식된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컬러 사진 필름 상의 화상은 다양한 크기의 색소-구름의 어셈블리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화상을 확대하여 관찰하면, 다양한 크기의 색소-구름으로 인한 반상(斑狀) 입상 비평탄성이 원래는 일정한 컬러이어야 되는영역 상에 존재한다는 것이 발견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사진 필름 상에 형성된 화상을 광전자 방식으로 판독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에, 입상 비평탄성에 대응하는 입상 잡음 신호가 포함된다. 특히, 선명도 향상의 화상 처리에 있어서 이러한 입상 잡음 신호가 현저하게 강화되고, 이는 화질을 저하시킨다는 것이 문제가 되어 왔다.
화상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평활 필터 또는 중앙값 필터에 의해 평활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Ohm 주식회사에 의해 공개된 S.Inoue 등에 의한 "Learning Practical Image Processing by C Programming Language"(일본어), 54페이지).
미국 특허 제4,812,903호에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가 휘도 신호 및 컬러 정보 신호로 변환되고, 휘도 신호는 저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으로 추가 분해되며, 비선형 처리가 상기 휘도 신호의 저주파 성분에 적용되며, 강조 처리(enhancement processing)가 상기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에 적용되고, 조정 처리가 상기 컬러 정보 신호에 분리되어 적용되며, 그 후에 처리된 휘도 신호의 저주파 성분,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 및 컬러 정보 신호가 조합되어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가 됨으로써, 입도(granularity)를 억제하면서도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제안된다.
또한, 미심사 특허출원번호 제S63-26783호의 공보에서, 입력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가 휘도 신호 및 컬러 정보 신호로 변환되고, 공간적으로 광범위한 정보가 상기 휘도 신호에 평균 필터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추출되며, 공간적으로 세분화된정보가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공간적으로 광범위한 정보 사이의 차이로부터 계산되고, 특정 변환 처리가 상기 공간적으로 세분화된 정보 및 상기 공간적으로 광범위한 정보에 각각 적용되며, 그런 다음, 이미 처리된 공간적으로 세분화된 정보, 공간적으로 광범위한 정보 및 상기 컬러 정보 신호가 조합되어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형성함으로써, 작은 컬러 톤 변화를 가지는 자연적인 강조 처리를 획득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된다.
미심사 특허출원 제H9-22460호의 공보에서, 입력된 화상 신호가 저주파 성분, 중간 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으로 분해되고, 상기 중간 주파 성분에 억제 처리가 적용되는 동안에 상기 고주파 성분에는 강조 처리가 적용되며, 이미 처리된 고주파 성분, 중간 주파 성분 및 저주파 성분이 조합되어 처리된 화상 신호를 형성함으로써, 입도를 억제하면서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제안된다. 또한, 동일한 공보에는, 상기 언급한 처리의 프로세스에서 상기 언급한 고주파 성분 및 중간 주파 성분으로부터 휘도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컬러의 러프닝(roughening)을 억제하고, 상기 휘도 성분만을 기초로 한 상기 언급한 강조/억제 처리 및 조합을 실시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된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0-215307호에는, R, G, B의 입력된 컬러 신호 세트가 저주파 성분, 중간 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으로 분해되고, 상기 중간 주파 성분 및/또는 상기 고주파 성분의 상기 언급한 3가지 컬러 R, G, 및 B에서 2가지 컬러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컬러 세트간의 대응하는 화소들에 대한 상관 값이 얻어지며, 지정된 어형 오퍼레이션을 이용한 입도 검출 처리가 상기 언급한 R, G, B 신호에적용되고, 상기 언급한 상관값으로 구성된 평가값 및 상기 언급한 어형 오퍼레이션을 이용한 입도 검출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중간 주파 성분에 대해 억제 처리가 적용되는 동안에, 상기 고주파 성분에 강조 처리가 적용되며, 그리고 나서, 강조 처리 후의 상기 고주파 성분, 억제 처리 후의 상기 언급한 중간 주파 성분, 및 상기 언급한 저주파 성분이 조합되어 신호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보에는, 고주파 성분에 대한 상기 강조 처리에 앞서, 상기 중간 주파 성분 및 상기 고주파 성분으로부터, 상기 중간 주파 성분에 관련된 휘도 신호 및 상기 고주파 성분에 관련된 휘도 신호가 각각 추출되고, 상기 고주파 성분에 대한 상기 강조 처리는 상기 고주파 성분에 관련된 휘도 신호에 대한 강조 처리이며, 동시에 중간 주파 성분에 대한 상기 억제 처리는 상기 중간 주파 성분에 대한 휘도 신호에 대한 억제 처리가 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H11-266358호에는, 컬러 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원래 화상 신호 세트로부터 가시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처리된 화상 신호 세트를 얻을 때, 원래 화상의 번짐(blur) 화상을 나타내는 번짐 화상 신호 세트가 상기 언급한 디지털 원래 화상 신호 세트에 에지-보존 평활화 필터로 필터링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되고, 번짐 화상에 대한 추출의 오브젝트가 되는 화소는 이러한 번짐 화상 신호 세트로부터 추출되며, 이들 화소에 대응하는 원래 화상의 추출의 오브젝트의 화소의 지정된 영역이 추출되고, 지정된 화상 처리가 이러한 지정된 영역에 따라 수행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H6-274615호에는, 화상 신호로부터 조사 화상의 가시 화상을 재생할 때 조사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에 적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은, 기본 웨이브렛 함수로서 이용되는 평활 함수의 제2차 미분으로 상기 화상 신호에 웨이브렛 변환을 적용함으로써 화상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분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 중 원하는 주파수 범위의 범위에 드는 신호들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상기 신호값이 제로가 되는 제로 포인트를 검출하는 단계, 다른 영역들보다 상기 검출된 제로 포인트의 주위에서 더 큰 값을 가지는 강조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보다 한 단계만큼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강조 계수로 승산하는 단계, 상기 강조 계수에 의해 승산된 상기 신호 값이 제로가 되는 제로 포인트를 검출하는 단계, 다른 영역보다 상기 검출된 제로 포인트의 주위에서 더 큰 값을 가지는 강조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보다 한 단계만큼 더 높은 상기 주파수 대역보다 한 단계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상기 강조 계수로 승산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주파수 대역 범위에 드는 모든 신호들에 대해 제로 포인트의 상기 검출, 강조 계수의 상기 결정, 상기 강조 계수에 의한 승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강조 계수에 의해 승산되는 상기 각 신호 및 다른 신호에 역 웨이브렛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H9-212623호의 공보에서, 화상 처리 방법은 상기 화상 신호를 다중-해상도 공간의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조사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를 각 주파수 대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로 분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로부터 특정 임계값보다 작은 절대값을가지는 신호값을 제로로 만드는 처리를 특정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를 받은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 및 다른 주파수 대역 신호에 역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를 통해 처리된 화상 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0-224421호에는, 화상 신호에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화상 신호를 각 주파수 대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신호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특정 주파수 대역의 특정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에 대해 잡음 추출 처리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잡음 추출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에 대해 잡음 제거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처리된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에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보다 한 단계 더 낮은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언급한 특정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보다 한 단계 더 낮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언급한 잡음 추출 처리, 상기 언급한 잡음 제거 처리, 및 상기 언급한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까지 반복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각 주파수 대역의 처리된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주파수 대역 화상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는 단계를 통해 처리된 화상 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1-189861호의 공보에는, 원래 화상에 특정 필터에 기초한 필터링 처리를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정지 그리드 화상을 포함하는 원래 화상을 다중-해상도 공간으로 표현된 화상으로 변환함으로써 원하는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이 얻어질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정지 그리드 화상에 대응하는 공간 주파수 성분을 억제하기 위한 정지 그리드의 억제 처리 방법이, 정지 그리드 화상의 공간 주파수 성분에 대한 97% 이상의 공간 주파수 성분의 응답이 5%보다 크지 않는 특징을 가지는 저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적어도 제1 스테이지의 상기 필터링 처리에서 상기 원래 화상에 웨이브렛 변환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1-223899호의 공보에서, 화상 신호에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의 적용에 의해 다중-해상도 변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중-해상도 변환 신호에 상기 원하는 화상 처리에 대응하는 계수 변환 처리의 적용에 의해 원하는 화상 처리가 적용된 처리된 화상을 운반하는 처리된 변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변환 신호에 코딩 처리를 적용하여 상기 처리된 화상을 운반하는 처리된 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디코딩된 데이터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는 단계를 통해 처리된 화상을 운반하는 화상 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의 코딩 및 디코딩을 이용한 화상 처리 방법에 제안된다.
그러나, 공지되어 있는 간단한 필터 처리에 기초한 잡음 제거는 화상 선명도의 저하를 동반하므로, 만족할 만한 화상이 얻어질 수 없다. 미국 특허 제4,812,903호에 개시된 기술 또는 미심사 특허 출원 제S63-26783호의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 일부 효과가 선명도 향상 프로세스에서 더욱 악화되는 입상 잡음의 억제에서 인식될 수 있지만, 이것은 충분하지 않으며, 처리 이전에 신호에 대한 입상 잡음을 억제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H9-22460호의 공보에 개시된 방법은 입상 잡음이 주로 존재하는 중간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화상에서 반상으로 보이는 입도 비평탄성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중간 주파수 성분에 나타난 화상 구조 상의 정보가 동시에 억제되므로, 예를 들면 콧대 주변의 그늘 및 눈 주위의 그늘이 억제되어 얼굴의 번진 화상의 인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 고주파 성분이 이러한 번짐 인상을 보상하기 위해 현저하게 강화되면, 뺨과 같은 편평한 영역에서 표시되지 않는 컬러와 같이 보이는 미세 잡음의 생성으로 인해 화상이 보이지 않게 된다.
휘도 성분이 고주파 성분 및 중간 주파 성분으로부터 추출되고 강조/억제 처리 및 조합이 상기 휘도 성분에만 기초하여 실시되는 미심사 특허 출원 제H9-22460호의 공보에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표시되지 않는 컬러로 보이는 잡음이 생성되지 않으며, 피부 등의 불그스름한 컬러의 미묘한 변동이 또한 억제되어, 원활한 블랭크 메이크업 얼굴의 인상을 제공한다.
또한, 미심사 특허 출원 제H9-22460호의 공보에 기재된 실시예들의 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미세 영역에서 선명도를 향상시키려고 시도하면, 고주파 성분이 과도하게 향상되어, 전체 화상 영역에 걸쳐 미세한 파우더가 분산된 것과 같이 보이는 잡음이 생성된다. 또한, 미심사 특허 출원 제H9-22460호의 공보에서 목적하는 바와 같이 화상 신호로부터 저주파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크기의 저대역 통과 필터를 가지는 처리를 원래 화상(예를 들면, R, G, B의 신호 채널 각각)을 나타내는 컬러 신호의 모든 채널에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화상 처리에 대한 계산 부하를 매우 크게 만든다는 또 다른 문제가 있으며, 이것은 매우 큰 문제이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0-215307호의 공보에 제안된 방법은 중간 주파 성분의 억제 정도 및 고주파 성분의 강조 정도를 상황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단점을 다소나마 줄이지만, 충분하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화상 품질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는 방법이다. 계산량의 관점에서, 이러한 방법은 미심사 특허 출원 제H9-22460호의 공보에 제안된 것보다 더 큰 부하를 가진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H11-266358호의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사람 피부 또는 푸른 하늘과 같은 특정 사진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추출하는 오브젝트의 화상 화소의 특정 영역이 원래 신호에 에지-보존 평활 필터의 적용으로 생성된 번진 화상의 이용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고, 화상 처리는 결정된 상기 언급한 특정 영역에 대한 특별 조건하에서 실행되는 기술로서 이해된다. 그러나, 큰 크기의 저대역 통과 필터에 의한 처리는 번진 화상의 생성에 필요하고, 이는 화상 처리의 계산 부하를 무겁게 한다. 또한, 번진 화상을 이용하여 특정 사진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방법에서, 예를 들면, "푸른 하늘과 청색으로 칠해진 벽"또는 "사람 피부와 베이지색으로 칠해진 벽"을 구별하기 어려우며, 구별의 정확도가 크게 부족하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H6-274615호의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조사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웨이브렛 변환에 기초하여 다중-해상도 변환을 당하고, 레벨(n+1)의 고주파 신호가 제로가 되는 지점에 대해 변환 후에 레벨 n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부분보다 더 높은 강조가 적용되는 에지 향상 기술이 분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이 컬러 화상에 적용되는 경우, 에지 주변의 사진 오브젝트의 RGB 밸런스가 깨어지고 잘못 컬러링된 윤곽이 생성되어, 화상을 더욱 안보이게 한다. 그 위에, 미심사 특허 출원 제H6-274615호의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의해, 화상 신호에 포함된 입상 잡음을 줄이는 것이 불가능하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H9-212623호에 개시된 기술은, 조사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다중-해상도 변환을 겪고, 변환후의 고주파 신호값에서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신호값들이 제로와 동일하게 되는 소위 하드 코어링(hard coring) 처리를 수행하는 잡음 제거 기술로서 파악되며, 그러나 상기 기술이 컬러 화상에 적용되면, 사진 오브젝트의 에지 주위의 RGB 밸런스가 파괴되어 오류-컬러 윤곽을 생성하고, 이는 화상을 매우 보이지 않게 한다. CCD 센서 등에 의해 컬러 사진 필름에 형성된 화상의 광전자식 판독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의 잡음 구조는 조사 화상과는 상이하고, 컬러-현상 색소-구름의 크기에 기초한 반상 입도 비평탄성은 그 내부에 현저하게 된다. 이러한 반상 비평탄성을 해결할 만큼 큰 임계값이 설정되면, 화상의 선명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이를 역으로 말하면, 화상의 선명도를 유지할 만큼 작은 임계값으로, 반상 비평탄성이 해결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한 이유들로 인해, 컬러 화상에 대해 미심사 특허 출원 제H9-212623호의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할 수 없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0-224421호의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에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할 때, 잡음 추출 처리가 n번째 레벨의 변환 실행 후의 저주파 신호에 적용되고, 잡음 제거 처리가 상기 잡음 추출의 결과에 기초한 조건 하에서 상기 저주파 신호에 적용되며, 그리고 그 다음에 (n+1)번째 레벨의 변환이 상기 언급한 처리된 저주파 신호에 적용되도록 하는 오퍼레이션의 반복에 기초한 잡음 제거 기술로서 파악된다. 상기 기술이 컬러 화상에 적용되면, 반상 비평탄성이 해소된 영역에서 RGB 밸런스가 파괴되어 잘못 컬러링된 스폿(spot)을 생성하고, 따라서 이는 화상을 매우 볼 수 없게 만든다. 또한, 하나의 레벨의 변환시마다, 잡음 추출 처리 및 잡음 제거 처리를 반복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계산 부하를 매우 크게 한다.
또한,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0-224421호의 공보에 제안된 의료용 화상에서, 사진 오브젝트의 종류들이 제한되고 대부분의 화상들이 비교적 단조롭다. 그러나, 반면에, 나무 배경을 가지고 있는 개인 초상화에서 관찰된 경우에, 미세 구조들이 편평한 영역에 대해 밀집되어 있는 영역, 어두운 영역에 대한 밝은 영역 등과 같이 다른 화질들이 각각 요구되는 영역이 화상 내에 혼재하는 것이 컬러 사진 화상의 특징이다. 이와 같은 컬러 화상에서, 넓은 범위를 가지는 영역 구조의 이해에 기초하여 잡음 제거의 조건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0-224421호의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 관련된 n번째 레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n번째 레벨 해상도의 잡음 제거 처리의 조건을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잡음 제거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것이 어렵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1-189866호의 공보에 공개된 기술은, 정지 그리드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의 신호에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할 때, 정지 그리드 화상의 주요 공간 주파수 성분이 제1 레벨 변환에서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는 필터를 이용하는 기술인 것으로 파악될 수 있지만, 이러한 기술은 정지 그리드 화상과 같은 주기적인 일정 주파수 응답을 가지는 잡음 제거에만 유효하고, 컬러 사진에서 그 공간 주파수 성분이 입상 잡음과 같은 특정 대역에 집중되지 않은 상태에서 형태와 크기에서 분산을 가지는 잡음 제거에는 유효하지 않다.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1-223899호의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다중-해상도 변환이 화상 신호에 적용되고 원하는 화상 처리에 대응하는 계수 변환 처리가 처리된 신호에 적용된 후, 신호가 압축 및 코딩되어 저장 및 전달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상의 표시시 데이터가 디코딩되어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겪도록 하는 화상 신호의 코딩 및 디코딩에 기초한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다중-해상도 변환에 기초한 데이터 압축을 전제로 한 화상 데이터 파일을 준비할 때 화상 처리 및 코딩 처리를 병렬로 수행함으로써 게산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컬러 사진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JPEG 파일 또는 TIFF 파일과 같은 다중-해상도 변환을 이용하지 않는 공통 표준에 기초하여 데이터 파일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고,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1-223899호의 공보에 개시된 방법은 계산 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없다. 또한, 미심사 특허 출원 제2001-223899호의 공보의 기술이 컬러 화상에 적용되면, 사진 오브젝트의 에지 주위에 오류-컬러 윤곽이 생성되거나 오류-컬러 스폿이 편평한 부분에 생성된다는 점에서 화질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상황에 기초하여, 단지 낮은 계산 부하를 제공하고 컬러 화상 신호에 포함된 입상 잡음 신호를 억제할 수 있으며, 콧대 주변의 그늘 및 눈 주위의 그늘을 보존하면서도, 표시되지 못하는 컬러와 같이 보이는 잡음 및 원활하게 표현불가능한 메이크업 얼굴을 생성하지 않으며, 미세한 파우더가 분산된 것처럼 보이는 잡음을 생성하지 않고, 에지 주위에 오류-컬러 윤곽 또는 편평부의 오류-컬러 스폿을 생성하지 않고서도 화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컬러 화상의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컬러 사진의 스캐닝에 의해 화상 신호 세트로 만들어지는 화상에 적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웨이브렛 변환이 다중-해상도 변환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하나의 레벨의 변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웨이브렛 역 변환이 역 다중-해상도 변환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하나의 레벨의 역 변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다수 레벨에서의 다중-해상도 변환 및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각각 코어링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5는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를 얻기 위한 처리의 플로우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가 내장된 사진 필름 화상 판독 장치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내부 처리의 실시 모드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내부 처리의 또 하나의 실시 모드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선명도 향상 처리의 실시 모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도시한 도이다.
도 11은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도시한 도이다.
도 12는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도시한 도이다.
도 13은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도시한 도이다.
도 14는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내부 처리의 또 다른 실시 모드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6은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는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7은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는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8은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는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9는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는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20은 코어링 처리의 조건의 변형 결과를 도시한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내부 처리의 추가적인 또 다른 모드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내부 처리의 또 다른 추가 모드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의 화상 처리 방법은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분리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coring) 처리를 적용한 후 상기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한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통해 처리된 화상 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화상 처리 장치는 본 발명의 제1의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장치이고, 이는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분리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수단,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들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coring)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 상기 코어링 처리를 이미 당한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한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변환 수단, 및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제1의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이는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분리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수단,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들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coring)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 상기 코어링 처리를 이미 당한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한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변환 수단, 및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으로서 컴퓨터 함수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컬러 화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예를 들면 원래 화상의 B, G, R의 3가지 컬러 신호 세트를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YIQ 기반, HSV 기반, YUV 기반, 등의 신호 세트로 변환하거나, 또는 이들을 sRGB 또는 NTSC와 같은 표준에 기초한 CIE 1931 표준 표색계의 XYZ 기반의 신호 세트로, 또는 CIE 1976에 의해 추천되는 L*a*b* 기반 또는 L*u*v* 기반의 신호 세트로 변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의 변환이 완전하게 엄격한 변환은 아닐지라도, 이는 충분한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이것은 예를 들면, R, G, B 신호의 평균값이 휘도 신호가 되고 이것에 직교하는 2가지 축들에 대한 신호가 색차 신호가 되도록 하는 미심사 특허 출원 제S63-26783호의 공보에서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변환을 포함한다.
또한, 용어 "다중-해상도 변환 방법"은 웨이브렛 변환 방법, 완전-재구성 필터 뱅크 방법, 라플라스 피라미드 방법 등에 의해 나타나는 방법의 일반 이름이고, 이는 입력 신호의 저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으로의 분리 및 한 번의 변환 오퍼레이션을 통한 다운-샘플링(화소의 씬 아웃(thin out))을 실행하고 얻어진 저주파 성분에 대해 동일한 오퍼레이션을 반복함으로써 다중-해상도 신호를 얻는 것이다.또한, 얻어진 다중-해상도 신호가 어떠한 처리도 되지 않고 그대로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당하는 경우에, 원래 입력 신호가 완전하게 재구축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Wavelet Analysis and Filter Bank"(Baifukan Co., Ltd에 의해 발간되고 G. Strang 및 T. Nguyen에 의해 저작됨)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변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회수를 레벨이라 부른다. 레벨을 명명하는 방법에 관하여,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더 높은 해상도의 신호가 더 낮은 레벨의 신호가 되도록 하는 명명 방식이 채용된다. 즉, 본 발명의 표현에서, 레벨 제로는 입력 신호를 나타내고, 이것에 한번의 변환 오퍼레이션의 적용된 결과가 레벨 1로 명명되며, 이 결과에 제2 변환 오퍼레이션의 적용 결과는 레벨 2로 명명된다.
본 발명은 다중-해상도 변환을 특정된 하나의 방법으로 제한하지 않고, 계산 효율의 측면에서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웨이브렛 변환이 다중-해상도 변환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하나의 레벨의 변환 모드가 도 1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입력 신호 Sn에 x 방향의 1차원 저대역 통과 필터 LPF를 적용하고, 또한 다운 샘플링 수단 2↓에 의해 매 2개마다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그 결과를 씬 아웃(thin out)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대해 x 방향으로 절반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저주파 성분 SXn+1이 얻어진다. 또한, 입력 신호 Sn에 x 방향으로 1차원 고대역 통과 필터 HPF를 적용하고, 또한 다운 샘플링 수단 2↓에 의해 매 2개마다 하나를제거함으로써 그 결과를 씬 아웃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대해 x 방향으로 절반 해상도를 가지는 고주파 성분 WXn+1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언급한 저주파 성분 SXn+1에 y 방향의 1차원 저대역 통과 필터 LPF를 적용하고, 또한 다운 샘플링 수단 2↓에 의해 매 2개마다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그 결과를 씬 아웃(thin out)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대해 x 및 y 방향으로 절반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저주파 성분 Sn+1이 얻어진다. 동일한 방식으로, 저주파 성분 SXn+1에 y 방향으로 1차원 고대역 통과 필터 HPF를 적용하고, 또한 다운 샘플링 수단 2↓에 의해 매 2개마다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그 결과를 씬 아웃함으로써, 입력 신호에 대해 x 및 y 방향으로 절반 해상도를 가지는 고주파 성분 Whn+1이 얻어진다. 상기 언급한 고주파 성분 WXn+1에 동일한 오퍼레이션을 적용함으로써, x 및 y 방향으로 절반의 해상도를 가지는 고주파 성분 Wvn+1및 Wdn+1이 얻어진다. 상기 언급한 오퍼레이션에 의해, 입력 신호 Sn이 x 및 y 방향으로 절반의 해상도를 가지는 4개의 성분 Sn+1, Whn+1, Wvn+1, 및 Wdn+1로 변환된다. 상기 언급한 변환은 하나의 레벨의 다중-해상도 변환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서, 레벨 (n+1)의 저주파 성분은 상기 언급된 Sn+1을 의미하고, 레벨 (n+1)의 고주파 성분은 Whn+1, Wvn+1, 및 Wdn+1의 3가지 성분을 의미한다. 도 2는 역 웨이브렛 변환이 역 다중-해상도 변환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1 레벨의 역변환모드를 설명하는 도이다. 업 샘플링 수단 2↑에 의해 y 방향으로 매 다른 포인트에서 제로의 삽입 후에, 입력 신호 Sn+1이 저대역 통과 필터 LPF'에 의해 평활되고, 업 샘플링 수단 2↑에 의해 y 방향으로 매 다른 포인트에서 제로의 삽입 후에, 입력 신호 Whn+1이 고대역 통과 필터 HPF'에 의해 처리되며, 2개 결과의 합에 의해, SXn+1이 얻어진다. 입력 신호 Wvn+1및 Wdn+1에도 동일한 처리의 적용에 의해, WXn+1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언급된 SXn+1, 및 WXn+1에 동일한 처리의 적용에 의해, x 및 y 방향으로 2배의 해상도를 가지는 Sn이 출력된다.
도 1의 상기 언급된 웨이브렛 변환에 이용된 필터 LPF 및 HPF가 도 2의 상기 언급된 역 웨이브렛 변환에 이용된 필터 LPF' 및 HPF'와 동일한 경우, 변환은 직교 웨이브렛 변환이라 지칭되고, 양쪽 변환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필터들이 다른 경우에, 변환은 배직교 웨이브렛 변환이라 부른다. 본 발명에서, 이들 필터들의 계수들이 중앙선에 대해 횡으로 대칭인 배직교 웨이브렛 변환이 더 바람직하다. 이를더 상세하게 말하면, 각 필터 계수의 길이가 3 내지 13인 배직교 웨이브렛 변환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바람직한 계수의 실제 예가 이하에 도시된다.
다중-해상도 변환 역 다중-해상도 변환
저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고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저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고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0.037829- 0.023849- 0.1106240.3774030.8526990.377403- 0.110624- 0.0238490.037829 - 0.0645390.040690.418092- 0.7884850.4180920.04069- 0.064539 - 0.064539- 0.0406900.4180920.7884850.418092- 0.040690- 0.064539 - 0.037829- 0.0238490.1106240.377403- 0.8526990.3774030.110624- 0.023849- 0.037829
다중-해상도 변환 역 다중-해상도 변환
저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고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저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고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 0.1767770.3535531.060660.353553- 0.176777 0.353553- 0.7071070.353553 0.3535530.7071070.353553 0.1767770.353553- 1.060660.3535530.176777
다중-해상도 변환 역 다중-해상도 변환
저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고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저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고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
- 0.0138110.0414320.052481- 0.267927- 0.0718160.9667480.966748- 0.071816- 0.2679270.0524810.041432- 0.013811 0.176777- 0.530330.53033- 0.176777 0.1767770.530330.530330.176777 0.0138110.041432- 0.052481- 0.2679270.0718160.966748- 0.966748- 0.0718160.2679270.052481- 0.0414320.013811
도 3은 다수 레벨의 다중-해상도 변환 및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개념을 도시한 도이다. 입력 신호 S0가 N회의 변환 오퍼레이션에 의해 N 레벨의 고주파 성분 및 레벨 N의 저주파 성분으로 분해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화상 처리가 생성된 모든 성분에 적용된 후, 모든 성분에 대해 N회의 역 변환 오퍼레이션에 의해, 처리된 신호 S0'가 출력된다. 변환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횟수는 입력 신호 S0의 크기, 해상도 및 잡음 강도에 좌우되고, 2 내지 30회의 오퍼레이션이 바람직하며, 특별히 더 언급한다면, 2 내지 8회의 오퍼레이션이 더 바람직하다.
1차원 필터 뱅크 방법 또는 라플라스 피라미드 방법이 본 발명의 다중-해상도 방법에 채용되는 경우, 처리가 매 다른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변환 또는 역 변환에서 다운 샘플링 수단 2↓ 또는 업 샘플링 수단 2↑에 의해 처리에서 차이가 생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계산 절차가 적용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다중-해상도 변환 및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개념이 통상 이용될 수 있다. 2차원 라플라스 피라미드에 기초한 변환이 본 발명의 다중-해상도 변환에 이용되는 경우, 1회의 변환에 의해 얻어지는 고주파 성분의 개수 차이- 이 경우에는 1이 됨 -를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드는 것"은, 예를 들면, 컬러 입력 신호 세트가 YIQ 기반의 휘도 신호 Y, 색차 신호 I, 및 색차 신호 Q로 변환된 후, 도 3에 도시된 다중-해상도 변환이 입력 신호 S0인 각 색차 신호 I 및 Q에 적용되고, 억제 신호 처리가 제1 변환에 의해 추출된 고주파 성분 Wh1, Wv1, 및 Wd1에 적용되며,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억제 후에 얻어진 고주파 성분 Wh1', Wv1' 및 Wd1'의 이용에 의해 재구축된S0'이 처리된 색차 신호 I' 및 처리된 색차 신호 Q'가 되도록 하는 오퍼레이션을 의미한다.
이들 색차 신호에 적용될 억제 신호 처리에 대해서는, 신호값을 동일하게 제로로 만드는 방법, 신호값을 1보다 작은 양의 상수로 승산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억제 신호 처리가 제2의 하나 이후에 다중-해상도 변환 오퍼레이션에 의해 얻어진 고주파 성분 Whn, Wvn, 및 Wdn(1<n≤N)에 적용되는지 여부의 판단은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의 해상도 및 잡음 조건에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신호만을 억제하거나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 및 레벨 2의 고주파 신호만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모드이다. 이 경우에, 컬러 색차 신호에 적용되는 다중-해상도 변환 오퍼레이션의 횟수 N에 대해, 1 또는 2가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코어링 처리"는 그 세기에 따라 입력 신호에 억제를 적용하는 변환 처리를 의미하고, 가장 간단한 예로서는, 절대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부분을 제로로 만드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하나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하드 코어링 처리에서, 그 절대값이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입력 신호 부분이 제로로서 동일하게 출력되고, 입력 신호의 절대값이 임계값보다 크면, 그 값이 그대로 유지되어 출력된다(도 4a). 소프트 코어링 처리에서, 그 절대값이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입력 신호 부분은 제로로 동일하게 출력되고, 입력 신호의 절대값이 임계값보다 크면, 그 절대값이 임계값에 의해 감산되어 출력된다(도 4b). 비선형코어링 처리에 관하여도, 절대값이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입력 신호 부분이 제로로 동일하게 된다는 점에대서는 동일하지만, 입력 신호의 절대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억제 정도가 입력 신호의 절대값 함수에 따라 가변된다(도 4c). 비선형 코어링 처리의 세부사항이 나중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 처리를 적용한 후,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든다는 것"은 예를 들면, 컬러 입력 신호 세트가 YIQ 기반의 휘도 신호 Y, 색차 신호 I 및 색차 신호 Q로 변환되고, 도 3에 도시된 다중-해상도 변환이 입력 신호 S0로서 취해진 휘도 신호 Y에 적용된 후, 상기 언급된 코어링 처리를 다른 레벨들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 하에서 얻어진 고주파 성분 Whn, Wvn, 및 Wdn(1<n≤N)에 적용하고 나서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코어링 처리를 이미 당한 Whn', Wvn', 및 Wdn'(1<n≤N)의 이용에 의해 S0'를 재구축하는 오퍼레이션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휘도 신호 Y에 적용될 다중-해상도 변환 오퍼레이션의 횟수 N은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 세트의 해상도 및 잡음 조건에 좌우되고, 통상 이것은 2보다 작지 않고 6보다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어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 처리"는 고주파 성분 Whn, Wvn, 및 Wdn(1<n≤N)의 레벨 숫자 n에 따라, 소프트 코어링 처리 또는 하드 코어링 처리의 임계값을 변경하거나 비선형 코어링 처리의 변환 커브의 형태를 가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각 레벨의 임계값 또는 변환 커브의 형태를 표현할 때, 주목할 만한 항목이 있다. 다중-해상도 변환에 이용하기 위한 저대역 통과 필터의 계수의 결정에 대하여, 2가지 종류의 방법, 즉 전체 값이 2의 제곱근으로 정규화되는 방법, 및 전체 값이 1로 정규화되는 방법이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하나의 레벨의 각 변환에 대해 x 방향 및 y 방향으로 2번 수행되는 필터 처리의 결과로서, 정규화가 2의 제곱근으로 되는 전자의 방법의 경우에, 하나의 레벨의 각 변환 오퍼레이션에 대해 신호값들이 2배로 확대된다. 즉, 전체값을 2의 제곱근이 되게 하는 방식으로 정규화되는 필터를 이용하여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해 얻어진 레벨 n의 주파수 성분이 2n에 의해 나누어지는 제산 오퍼레이션의 결과가 전체 값을 1로 되게 하는 방식으로 정규화되는 필터를 이용한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한 레벨 n의 결과와 등가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 처리"는 필터 계수의 정규화로 인한 각 레벨에 대한 신호 세기의 상기 언급된 차이를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변환 결과가 전체 값을 1로 되게 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정규화되는 필터를 이용하여 다중-해상도 변환 결과와 등가가 되도록 하는 비교에서, 각 레벨에 대한 코어링 조건이 다른 레벨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말한다.
이를 더 상세하게 말하면,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의 코어링 조건에 대해, 신호 화소에 5%보다 작지 않고 50%보다 크지 않은 양의 화소값이 실질적으로 제로로 억제되는 조건이 바람직하다. 레벨 2의 고주파 성분의 코어링 조건에 대하여, 그값이 실질적으로 제로로 억제되는 화소 부분이 레벨 1의 경우와 동일하거나 작도록 하는 조건이 바람직하다. 레벨 n(n>2)의 고주파 성분의 코어링 조건에 대하여, 그 값이 실질적으로 제로로 억제되는 화소 부분이 20%보다 크지 않고 레벨 (n-1)에서 그 값이 실질적으로 제로로 억제되는 화소 부분보다 작도록 하는 조건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레벨에 속하는 3개의 고주파 성분 Whn, Wvn, 및 Wdn에 대해, 동일한 조건을 이용하여 코어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x 및 y의 양 방향에서 고주파인 Wdn에 대해, 그 값이 실질적으로 제로로 억제되는 화소 부분이 1.1배보다 작지 않고 잔여 고주파 성분 Whn및 Wvn의 측면에서 그 값이 실질적으로 제로로 억제되는 화소 부분의 2.0배보다 크지 않도록 하는 조건 하에서 코어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의 화상 처리 방법은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분리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coring) 처리를 적용한 후 상기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다중-해상도 변한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에 선명도 향상 처리를 적용하여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를 만드는 단계, 및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통해 처리된 화상 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화상 처리 장치는 본 발명의 제5의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장치이고, 이는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분리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수단,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들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coring)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 상기 코어링 처리를 이미 당한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한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에 선명도 향상 처리를 적용하여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를 만들기 위한 선명도 향상 수단, 및 향상된 선명도의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제4의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이는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분리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수단,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들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coring)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 상기 코어링 처리를 이미 당한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한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에 선명도 향상 처리를 적용하여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를 만들기 위한 선명도 향상 수단, 및 향상된 선명도의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으로서 컴퓨터 함수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처리된 휘도 신호에 선명도 향상 처리를 적용하는 것"은 공지된 라플라스 필터, 소벨(Sobel) 필터, 또는 휴에켈(Huekel) 필터와 같은 고대역 통과 필터가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해 재구축된 처리된 신호에 적용되어 그 에지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신호에 가산되는 방법을 적용하거나, 처리된 휘도 신호에 예리하지 않은(unsharp) 마스크를 이용한 선명도 향상 처리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선명도 향상 처리에 관련된 기술은 예를 들면 "Learning PracticalImage Processing by C Programming Language"(일본어)(Ohm Co., Ltd.에 의해 발간되고, S. Inoue 등에 의해 저작됨)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들 방법들 중에서, 그 필터 계수들이 중앙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는 2차원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방법은, 중앙 셀의 계수가 최대가 되고 주위 셀의 계수가 이하에 설명된 가우스 함수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저대역 통과 필터가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해 재구축되었던 처리된 휘도 신호에 적용되며,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는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해 재구축되었던 원래 처리된 휘도 신호간의 차이로부터 얻어졌던 고주파 성분과, 1보다 큰 숫자에 의해 승산된 상기 저주파 성분과의 곱을 상기 저주파 성분에 가산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처리의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가우스 함수 f(x) = exp(-x2/2σ2),
x : 중앙으로부터의 거리, σ : 표준 편차.
상기 언급된 선명도 향상 처리에 이용하기 위한 저대역 통과 필터는 그 한쪽이 3 내지 9의 화소의 홀수개로 구성되는 정규 정사각형-형태의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 세트가 은 할로겐 필름 상에 형성된 색소(dye) 화상의 스캐닝에 의해 얻어지는 디지털 화상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 할로겐 막은 컬러 음화막 또는 컬러 반전막을 나타내고, 컬러 음화막 또는 컬러 반전막의 색소 화상은 라인 CCD 센서 또는 영역 CCD 센서와 같은 수광 소자로 공지된 막 스캐닝 장치에 의해 송신 광량 신호 세트로 광전자식으로 변환된다. 얻어진 송신 광량 신호 세트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A/D 변환 디바이스에 의해 디지털 신호 세트로 변환된다. 이어서, 암 고정 패턴(dark fixed pattern) 잡음 보정 및 세이딩(shading) 보정과 같이 수광 소자에 적절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보정이 실시되고, 또한 수광 센서, 컬러 분리 필터, 광원 램프, 렌즈 및 다른 광학 부품의 특성의 분산에 의해 야기되는 장치의 개별적인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컬리브레이션 처리가 실행된다. 이어서, 보정된 송신 광량 신호 세트는 대수 변환 등에 의해 밀도 신호 세트로 변환된다. 이러한 밀도 신호 세트는 처리 조건 판단부에 전송되고, 여기에서 화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조건들이 계산되며, 이들 처리 조건들에 기초하여, 상기 언급된 밀도 신호 세트는 컬러 밸런스 보정 처리, 계조 조정 처리, 음-대-양 반전 처리를 이미 당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서 컬러 밸런스 보정 처리, 계조 조정 처리, 음-대-양 반전 처리를 이미 당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얻기 위한 프로세스와 본 발명의 화상 처리의 프로세스를 양쪽 기능을 모두 가지는 하나의 동일한 장치를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거나, 또는 전자의 프로세스 및 후자 프로세스를 각각 다른 장치에서 실시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프로세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장치에서 실시되는 경우에, 원래 화상 신호를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가 통신 라인이나 CD-ROM과 같은 매체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송신된다. 이 경우에 송신 데이터 모드는 공지된 화상 파일의 포맷을 따르게 되는 것이 적절하고, 포맷은 압축 또는 반전 가능한 압축 포맷이고 양자화 비트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 파일의 양자화 비트 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4의 화상 처리 방법에서,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에 코어링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상기 언급된 수단은,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값들의 전체 개수에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10%보다 작게 되고 전체 개수에 적어도 15%에 대응하는 하위 랭크의 신호값들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하는 비선형 코어링 조건 하에서 실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5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에 코어링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상기 언급된 수단은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 값들의 전체 개수에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에 대한 변화율이 10%보다 작게 되고, 전체 개수에 적어도 15%에 대응하는 하위 랭크의 신호값들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하는 비선형 코어링 조건 하에서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및 제6의 프로그램에서,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에 코어링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상기 언급된 수단은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 값들의 전체 개수에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에 대한 변화율이 10%보다 작게 되고, 전체 개수에 적어도 15%에 대응하는 하위 랭크의 신호값들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하는 비선형 코어링 조건 하에서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설명에서, 용어 "입력 신호"는 코어링 처리가 적용되는 입력 신호를 의미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는 상기 언급된 설명에서 고주파 성분 Whn, Wnn, 및 Wdn(1≤n≤N)에 대응한다. 용어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값들의 전체 개수에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들"은 하나의 성분이 가장 큰 것에서 더 작은 것으로 그 절대값의 순서대로 배열될 때 신호 값들의 전체 개수에 적어도 5%의 범위에 드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Wh3의 코어링 조건이 설명되는 경우에, Wh3에만 속하는 신호값들간의 비교가 수행된다(이 경우에, 예를 들면 Wh2또는 Wh3은 비교의 오브젝트가 되지 않는다). 또한, 용어 "신호값이 거의 제로가 된다"는 입력 신호의 신호값들이 절대값의 순서로 가장 큰 것에서부터 더 작은 것으로 배열되면서 비교되는 경우에, 코어링 처리 후의 신호값이 가장 작은 것에서 신호값의 전체 개수에 4%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값보다 작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지정되는 코어링 조건은 레벨 1 및/또는 레벨 2의 코어링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n보다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내용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해얻어진 고주파 성분에 대해, 레벨 n의 숫자가 더 높아질수록, 더 낮은 해상도의 고주파 성분의 존재, 즉 더 넓은-범위 에지 성분이 표현된다. 또한, 레벨의 숫자가 더 높을 수록, 해상도에 비례하여 화소의 개수가 더 감소된다. 예를 들면, 웨이브렛 변환이 다중-해상도 변환에 이용되는 경우에, 레벨 1의 성분의 한쪽의 화소 개수는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의 한쪽의 화소 개수의 1/2이고, 레벨 2의 성분의 한쪽의 화소 개수는 레벨 1의 성분의 한쪽의 화소 개수의 1/2이다. 그러므로, 레벨 n의 고주파 성분의 좌표 (x, y)에서의 정보는 레벨 (n+i)의 고주파 성분의 좌표(x/2i, y/2i)에서의 정보와 대응한다. 또한, 다중-해상도 변환에 필터 뱅크 방법 또는 라플라스 피라미드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언급된 것에 대응하는 관계가 다운-샘플링 조건에 기초하여 유효하다.
용어 "n보다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 조건을 변경하는 것"은 예를 들면 레벨 n의 고주파 성분 Wdn의 좌표 (x, y)에서 신호값에 코어링 처리를 적용할 때, 레벨 (n+i)의 대응하는 고주파 성분 Wdn+i의 좌표 (x/2i, y/2i)에서의 신호값에 따라 임계값 또는 변환 커브가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상위 레벨의 고주파 성분 Wdn+i의 좌표(x/2i, y/2i)에서의 신호값이 큰 경우에, 코어링 Wdn의 오브젝트의 좌표 (x, y)는 그 넓은 뷰가 취해지는 에지 영역에 대응할 확률이 높고, 사진 물체의 에지 영역에 대응하는 좌표에서 고주파 성분의 신호값을 억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코어링 조건이 완화된다. 반면에, 상위 레벨의 고주파 성분 Wdn+i의 좌표(x/2i, y/2i)에서의 신호값이 작은 경우에, 코어링 Wdn의 오브젝트의 좌표 (x, y)는 그 넓은 뷰가 취해지는 편평한 영역에 대응할 확률이 높고, 편평한 영역에서의 입상 잡음이 현저하기 때문에, 코어링 조건이 강화된다. 상기 언급된 판단을 목적으로 참조되는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대해, 코어링 오브젝트의 고주파 신호보다 1 내지 3레벨 만큼 더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언급된 예에서, i가 부등식 1≤i≤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되는 레벨 숫자는 1이 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복수의 레벨을 참조하고 참조되는 복수값들의 가중 평균에 기초하여 판단을 실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의 조건이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레벨 n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것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사진 화상에서 오브젝트 장면의 휘도 분포 범위는 임의의 단위에서 103또는 104의 범위에 걸쳐 연장되지만, 표시 장치 또는 프린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휘도 범위는 단지 102의 수준이다. 그러므로, 사진 오브젝트의 장면의 넓은 휘도 분포가 화상 신호를 생성할 때 표시될 수 있는 휘도 범위로 압축되므로, 높은 휘도 및 낮은 휘도의 양쪽에서의 계조를 압축하는 오퍼레이션이 대부분의 경우에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언급된 압축 처리의 적용 후의 화상 신호가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높은 휘도 및 낮은 휘도의 양쪽에서의 계조가 압축되므로, 이들 영역에서 고주파 성분이 너무 많이 억제되면, 사진 오브젝트의 미세 구조의 묘사를 파괴할 위험이 높아진다. 한편, 중간 휘도 영역의 계조는 압축되지 않으므로, 고주파 성분의 억제가 불충분하다면, 입상 잡음이 현저하게 된다.
또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은 할로겐 필름의 스캐닝에 의해 얻어지는 경우, 입상 잡음이 더 어두운 영역에서 더 강하게 되는 은 할로겐 필름의 특성에 의해 야기되어, 그림자 영역의 그레이니스(graininess)가 현저하게 된다. 그러나, 그림자 영역에서 입도를 완전하게 해소할 만큼 강한 입도 처리 조건에서, 가장 밝은 영역의 미세 구조가 손실되어, 화상이 번진 인상을 주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화상의 휘도 레벨에 따라 입상 잡음을 제거하는 조건을 다이나믹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레벨 N까지의 다중-해상도 변환을 당한 신호의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레벨 N의 저주파 성분 및 레벨 1 내지 N의 고주파 성분이 주어지는 경우, 원래 신호가 재구축된다. 요약하면, 레벨 1 내지 (N-1)의 저주파 성분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통상의 다중-해상도 변환의 계산에서, 대부분의 경우에 저장 용량의 절감이라는 측면에서 레벨 1 내지 (N-1)의 저주파 성분이 버려진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보존하는 것"은 이들을 버리지 않고 이하에 설명되는 참조에 이용되는 형태로 계산 프로세스에서 계산된 레벨 1 내지 (N-1)의 저주파 성분을 보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 조건이 레벨 n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레벨 n의 고주파 성분 Wdn의 좌표 (x, y)에서 신호값에 코어링 처리를 적용하는 경우, 보존된 저주파 성분 Sn의 좌표(x, y)에서의 신호값에 따라 임계값 또는 변환 커브가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화상의 휘도 레벨에 따라 입상 잡음을 제거하는 조건을 다이나믹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의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n보다 높은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것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넓게 보여질 때 주위의 지정된 범위에서 나타나는 미세 밀도 변동이 사진 오브젝트의 구조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미세 밀도 변동이 입상 잡음으로서 인식된다. 즉, 입상 잡음이 하나의 화소의 신호값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하는 화소들의 신호값들 사이의 관계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입상 잡음을 제거하는 조건이 화상의 회도 레벨에 따라 조정되는 경우에, 조건 조정에 이용하기 위한 화상의 휘도 레벨에 대해, 인접하는 화소의 휘도값이 고려된 상태에서 잡음 제거의 오브젝트의 화소의 휘도 값뿐만 아니라 넓게-보여진 휘도값에 의해 판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해상도 변환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x 방향 및 y 방향에서의 화소 개수가 웨이브렛 변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 하나의-레벨 변환에 대해 1/2이 되게하는 변환을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레벨 n의 고주파 성분 Wdn의 좌표 (x, y)에서의 신호값의 코어링 처리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레벨 (n+i)의 저주파 성분 Sn+i의 좌표(x/2i, y/2i)에서의 신호값이 참조되는 경우, 참조 신호값은 코어링 처리의 오브젝트인 레벨 n의 고주파 성분 Wdn의 좌표(x, y)의 주위의 (2ix 2i) 화소 상에서의 평균 휘도값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인접하는 화소들의 휘도값을 가지는 넓게-보여지는 휘도값에 기초하여 코어링 처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판단을 위해 참조되는 n보다 높은 레벨의 저주파 신호에 대해, 고주파 신호보다 1 내지 3 레벨만큼 높은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언급된 예에서, i가 부등식 1≤i≤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되는 레벨 숫자는 1이 될 수도 있지만, 복수 레벨의 신호를 참조하고 예를 들면 신호값의 가중 평균에 기초하여 판단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4의 화상 처리 방법에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가 보존되고, 사진 오브젝트의 조건이 상기 휘도 저주파 신호, 보존된 색차 저주파 신호 및 휘도 고주파 신호 중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판단되며, 코어링 처리의 조건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5의 화상 처리 장치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기 위한 수단,상기 휘도 저주파 신호, 보존된 색차 저주파 신호 및 휘도 고주파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사진 오브젝트의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수단, 및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및 제6의 프로그램은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기 위한 수단,상기 휘도 저주파 신호, 보존된 색차 저주파 신호 및 휘도 고주파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사진 오브젝트의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수단, 및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수단으로서 컴퓨터 함수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것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사람 얼굴, 피부 또는 푸른 하늘과 같은 특정 사진 오브젝트에서 입상 잡음이 특히 현저하다는 것이 주지되어 있다.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가 YIQ 기반의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I 및 Q로 변환되고 이들 각각은 웨이브렛 변환에 기초한 다중-해상도 변환을 당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휘도 신호 Y의 레벨 n의 고주파 성분 Wdn의 좌표 (x, y)에서의 신호값의 코어링 처리 조건을 결정할 때, 휘도 신호 Y의 레벨 (n+i)의 저주파 성분 Sn+i의 좌표 (x/2i, y/2i)에서의 신호값이참조된다면, 참조 신호값은 코어링 처리의 오브젝트인 레벨 n의 고주파 성분 Wdn의 좌표 (x, y)의 주위에서의 (2ix 2i) 화소들 상의 평균 휘도값을 나타낸다.
또한, 색차 신호 I의 레벨 (n+i)의 저주파 성분 Sn+i의 좌표 (x/2i, y/2i)에서의 신호값 및 색차 신호 Q의 레벨 (n+i)의 저주파 성분 Sn+i의 좌표(x/2i, y/2i)에서의 신호값을 참조함으로써, 넓게 볼 때 어떤 종류의 컬러가 코어링 처리의 오브젝트인 레벨 n의 고주파 성분 Wdn의 좌표 주위에서 (2ix 2i) 화소들의 영역을 가지는 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컬러가 사람 피부 또는 하늘의 컬러와 같은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컬러 영역이 사람 얼굴 또는 피부, 또는 푸른 하늘과 같은 특정 사진 오브젝트를 표현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휘도 신호 Y의 레벨 (n+i)의 고주파 성분 Whn+i, Wvn+i, 및 Wdn+i의 좌표(x/2i, y/2i)에서의 신호값을 참조함으로써, 넓게 보여질 때 복잡한 구조가 코어링 처리의 오브젝트인 레벨 n의 고주파 성분 Wdn의 좌표 (x, y) 주위에서 (2ix 2i) 화소의 영역을 어느 정도로 가지는 지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복잡도를 참조함으로써, 베이지로 칠해진 벽, 사람의 피부, 베이지 색 옷감의 일부와 같은 유사한 색조를 가지는 사진 오브젝트를 구별할 수 있다.사진 오브젝트가 상기 언급된 종합적인 판단에 의해 사람의 얼굴이나 피부, 또는 푸른 하늘과 같은 특정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코어링 처리의 오브젝트인 레벨 n의 고주파 성분 Wdn의 좌표(x, y)에서의 신호값의 코어링 조건에 대해 특정 사진 오브젝트에 대해 결정된 코어링 조건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원하는 조건의 처리를 사람의 얼굴이나 피부 또는 푸른 하늘과 같은 특정 사진 오브젝트에만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된 판단을 위해 참조되는 n보다 큰 레벨의 신호에 대해, 코어링 처리의 오브젝트인 고주파 신호보다 1 내지 5레벨만큼 더 높은 저주파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i는 부등식 1≤i≤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되는 레벨의 숫자는 1일 수도 있지만, 복수 레벨의 신호값을 참조하고 신호값의 가중값에 기초하여 판단을 실행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4의 화상 처리 방법에서,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적용 전에 최상위 레벨의 휘도 저주파 화상 신호에 계조 변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5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적용 전에 최상위 레벨의 휘도 저주파 화상 신호에 계조 변환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및 제6의 프로그램은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적용 전에 최상위 레벨의 휘도 저주파 화상 신호에 계조 변환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컴퓨터 함수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것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사진 화상에서 오브젝트 장면의 휘도 분포 범위는 임의의 단위에서 103또는 104의 범위에 걸쳐 연장되지만, 표시 장치 또는 프린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휘도 범위는 단지 102의 수준이다. 그러므로, 사진 오브젝트의 장면의 넓은 휘도 분포가 화상 신호를 생성할 때 표시될 수 있는 휘도 범위로 압축되므로, 높은 휘도 및 낮은 휘도의 양쪽에서의 계조를 압축하는 오퍼레이션이 대부분의 경우에 실시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모드에서, 본 발명에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언급된 압축 처리가 일단 적용된 후에 신호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종종 입상 잡음의 억제 및 선명도 향상과 같은 화상의 마무리 오퍼레이션이 수행되는 동안에 동시에 계조의 미세 조정이 실행되어야 하는 요구조건이 생성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관련된 계조의 압축 처리 및 계산 모두를 반복하여 하려고 한다면, 계산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휘도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해 생성된 최상위 레벨 N의 휘도 저주파 성분 SN에 대해 계조의 미세 조정이 수행되는 경우, 휘도 신호의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재계산에 의해서만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4의 화상 처리 방법에서,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적용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색차 저주파 화상 신호에 그레이-밸런스 조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5의 화상 처리 장치는,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적용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색차 저주파 화상 신호에 그레이-밸런스 조정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및 제6의 프로그램은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적용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색차 저주파 화상 신호에 그레이-밸런스 조정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컴퓨터 함수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것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통상의 컬러 음화 필름의 밀도가 인쇄시 노출량에 의해 조정되므로, 그레이 광 노출에 의해 생성되는 B, G, R 밀도가 이들 사이에 특정 차이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컬러 음화 필름뿐만 아니라 반전 필름 또는 디지털 정지 카메라 등에 의해 찍힌 화상에 대해서는, B, G, R 신호들 사이의 밸런스는 일광 및 형광과 같은 촬영 광원간의 색 온도 차이 및 촬영 장치와 사람 눈 사이의 스펙트럼 민감도 차이로 인해 가변된다. 이 때문에, 적절한 R, G, B 신호 세기의 밸런스의 느낌이 화상이 관찰될 때 느껴지도록 그레이 밸런스 조정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모드에서, 본 발명에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언급된 그레이 밸런스 조정이 일단 적용된 후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실제 오퍼레이션에서, 종종 입상 잡음의 억제와 선명도 향상과 같은 화상의 마무리 오퍼레이션이 수행되는 동안에 그레이 밸런스의 미세 조정이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는 요구조건이 생성된다. 이 경우에, 그레이 밸런스 조정 오퍼레이션 및 본 발명에 관련한 계산 모두를 반복하여 수행하려고 한다면, 계산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이는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그러나, 그레이 밸런스의 미세 조정이 본 발명의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해 생성된 최상위 레벨 N의 색차 저주파 성분 SN'에 대해 수행된다면, 색차 신호의 역 다중-해상도 변환의 재계산만으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레이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고속 수단을 제공한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장치의 실시예의 구체예가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가 내장되는 사진 필름 화상 판독 장치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컬러 음화 필름 또는 컬러 반전 필름 상의 화상은 라인 CCD 센서 또는 영역 CCD 센서와 같은 수광 소자로 공지된 필름 스캐닝 장치에 의해 송신 광량 신호 세트로 광전자방식으로 변환된다. 얻어진 송신 광량 신호 세트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A/D 변환 디바이스에 의해 디지털 신호 세트로 변환된다. 이어서, 암 고정 패턴(dark fixed pattern) 잡음 보정 및 세이딩(shading) 보정과 같이 수광 소자에 적절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보정이 실시되고, 또한 수광 센서, 컬러 분리 필터, 광원 램프, 렌즈 및 다른 광학 부품의 특성의 분산에 의해 야기되는 장치의 개별적인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컬리브레이션 처리가 실행된다.
이어서, 보정을 당한 송신 광량 신호 세트는 대수 변환 등에 의해 밀도 신호 세트로 변환된다. 이러한 밀도 신호 세트는 처리 조건 판단부(61)에 전송되고, 여기에서 화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조건들이 계산되며, 이들 처리 조건들에 기초하여, 상기 언급된 밀도 신호 세트는 컬러 밸런스 보정 처리, 계조 조정 처리, 음-대-양 반전 처리를 이미 당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된다. 이 결과는 화상 표시 장치(62)에 표시되고, 컬러 밸런스 보정, 계조 보정, 및 음-대-양 반전의 조건들을 변경함으로써 재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컬러 밸런스 보정, 계조 보정, 및 음-대-양 반전의 적용이 이미 종료된 고정적으로 결정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63)에 전송되어, 처리 조건 판단부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명령된 조건에 기초하여 처리된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된다. 이러한 스테이지에서, 화상이 화상 표시 장치(62)에 다시 표시되고, 오퍼레이터가 처리 조건을 변경하고 재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면 이를 요구할 수 있다. 고정적으로 결정된 처리된 화상 신호 세트는 추가로 각 출력 장치에 대응하는 출력 조정부(64) 중 하나에 전송되어, 컬러 공간 변환, 해상도 조정, 축소 또는 확대 처리, 압축 처리, 데이터 포맷 변환 등이 실행된 후, 컬러 화상 신호 세트가 프린터에 출력되고, 매체에 기록되거나 통신 라인을 통해 송신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상 처리 장치(63)의 내부 처리의 시스템 블록도의 예이다. 입력된 R, G, B 신호 세트가 Y, I, Q 신호 세트로 변환된다. I 신호 및 Q 신호는 개별적으로 다중-해상도 변환을 받고, 그 고주파 성분이 억제된 후, 다중-해상도 신호가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해 각각 I' 신호 및 Q' 신호로 변환된다. Y 신호는 다중-해상도 변환을 받고, 고주파 성분이 억제된 후, 다중-해상도 신호가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 의해 Y' 신호로 변환된다. 마지막으로, I', Q', Y'의 신호 세트가 RGB 기반의 신호 세트로 변환되어 처리 후에 R', G', B' 신호 세트로 출력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화상 처리 장치의 내부 처리의 다른 예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본 시스템에서, Y 신호는 다중-해상도 변환을 당하고, 고주파 성분이 억제된 후, 다중-해상도 신호가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겪고, 선명도 향상 처리의 추가 적용에 의해, Y' 신호가 얻어진다.
도 9는 상기 언급된 선명도 향상 처리의 실시 모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입력된 신호 In이 2차원 저대역 통과 필터 LPF를 통과하여, 저주파 성분 L이 추출된다. 다음으로, 입력 신호 In과 저주파 성분 L 간의 차이를 취함으로써, 고주파 성분 H가 추출된다. 이러한 고주파 성분 H는 증폭 처리에 의해 H'로 변환되고, 이러한 증폭된 고주파 성분 H'의 저주파 성분 L로의 추가로 인해 출력 신호 Out가 생성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이 도 7 및 도 8에서 실시된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도시하는 그래프들이다. 도 10은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에 대한 코어링 조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1, 12 및 13은 각각 레벨 2, 레벨 3, 및 레벨 4에 대응한다. 각 그래프에서 x 축은 코어링 처리 이전의 입력 신호의 절대값을 나타내고, y 축은 코어링 처리 후의 출력 신호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x축 및 y축의 값들은 대응하는 성분의 전체 입력 신호 절대값의 표준 편차 σ에 의해 정규화된다. 예를 들면, x축에 대해 값이 1.96인 지점은 대응하는 성분의 전체 신호값들이 최대에서 더 작은 것으로 절대값 순서대로 배열되는 경우에 가장 큰 것에서 세었을 때 전체에 약 5%인 지점에 대응한다. 게다가, 입력 신호가 음인 경우에, 도 10 내지 도 13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절대값의 이용에 의해, 출력 신호의 절대값이 얻어지고, 이것에 마이너스 신호를 붙임으로써, 출력값이 얻어진다.
도 14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코어링 조건이 기본으로서 취해진 상태에서, 코어링 처리의 오브젝트인 레벨 n보다 높은 레벨 (n+1)의 고주파 성분을 참조하여 코어링 조건이 변경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의 x 축은 코어링 처리의 오브젝트인 레벨 n보다 높은 레벨 (n+1)의 대응하는 고주파 성분의 대응하는 좌표에서의 신호값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 값은 레벨 (n+1)의 대응하는 고주파 성분의 신호 절대값의 표준 편차 σ에 기초하여 정규화된다. y축에 대한 값은 레벨 n의 코어링 조건이 레벨 (n+1)의 값을 참조하여 변경되는 경우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다중-해상도 변환이 웨이브렛 변환의 이용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된다. 레벨 1의 고주파 성분 YWv1의 좌표 (x, y)에서의 신호값이 YWv1의 전체 신호값의 표준편차의 1.2배라고 가정한다. x축의 값 1.2에서의 지점에 대응하는 y축의 값이 도 10에서 0.5이므로, 레벨 1의 고주파 성분 YWv1의 좌표(x, y)에서의 기본 출력값은 상기 언급한 표준편차의 0.5배이다. 이제, 레벨 2의 고주파 성분 YWv2의 좌표(x/2, y/2)에서의 신호값이 YWv2의 전체 신호값의 표준 편차의 1.4배인 것으로 가정한다. x축의 값 1.4에서의 지점에 대응하는 y축의 값이 도 14에서 0.5이므로, 상기 언급된 기본 출력값이 변화율 0.5에 의해 조정된다. 즉, (0.5-1.2) x 0.5 + 1.2 = 0.85는 레벨 1의 고주파 성분 YWv1의 좌표 (x, y)에서의 코어링 처리 후의 신호값이다.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화상 처리 장치의 내부 처리의 다른 모드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시스템에서, 모든 레벨의 저주파 성분 YS1 내지 YSN이 Y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 보존되고, Y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성분의 코어링처리에서, 모든 레벨의 상기 언급된 저주파 성분 YS1내지 YSN이 참조된다. 도 16 내지 도 19는 저주파 성분 YS1내지 YSN을 참조하여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레벨 1 내지 4의 설정을 각각 나타낸다. x축은 저주파 성분의 신호값(8비트로 나타냄)을 나타내고, y축은 표준 편차에 기초하여 정규화될 때 대응하는 코어링 조건의 차단 값을 나타낸다. 코어링의 오브젝트인 신호값의 절대값이 차단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코어링 처리 후의 신호값이 제로가 된다.
이하에, 다중-해상도 변환이 웨이브렛 변환의 이용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된다. 레벨 1 내지 레벨 4의 고주파 성분의 기본 코어링 조건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들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면, 레벨 1의 고주파 성분 YWv1의 좌표 (x, y)에서의 신호값에 코어링 처리를 적용할 때, 레벨 1의 대응하는 저주파 성분 YS1의 좌표(x, y)에서의 신호값이 참조된다. 이러한 참조된 신호값이 210이라면, 도 16에서 대응하는 차단값은 0.4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의 기본 코어링 조건의 차단값은 0.7이다. 그러므로, 직선 y=x로부터 기본 코어링 조건의 곡선의 이동량을 0.4/0.7로 승산함으로써, 코어링 조건이 차단값이 0.4가 되도록 하는 형태를 갖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 결과는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점선은 기본 코어링 조건을 나타내고, 직선은 변형된 코어링 조건을 나타낸다. 코어링의 오브젝트인 YWv1의좌표(x, y)에서의 신호값이 YWv1의 전체값의 표준편차의 1.2배라면, 도 20에 도시된 변형된 코어링 조건에서 x축의 값 1.2에 대응하는 y축의 값은 0.8이다. 그러므로, 코어링 후의 신호값은 0.8에 의해 승산된 표준 편차값으로 결정된다. 상기 언급된 예에서, 코어링의 오브젝트인 고주파 성분과 동일한 레벨의 저주파 성분의 신호값이 참조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레벨 1의 고주파 성분 YWv1의 좌표 (x, y)에서의 신호값에 코어링 처리를 적용할 때, 레벨 2의 저주파 성분 YS2의 좌표 (x/2, y/2)에서의 신호값을 참조함으로써, 코어링 조건이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도 21은 도 6에 도시된 화상 처리 장치의 내부 처리의 다른 모드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본 시스템에서, 다중-해상도 변환을 Y, I, Q 신호에 적용할 때, 모든 레벨의 모든 저주파 성분 YS1내지 YSn, IS1내지 ISn, 및 QS1내지 QSn이 보존되고, 이들 신호값들이 코어링 조건 설정부에서 참조된다. 코어링 조건 설정부에서, 코어링의 오브젝트의 좌표에 대응하는 Y, I, Q 신호의 값들이 참조되고, 신호의 색조 및 휘도 범위로부터, 오브젝트가 사람의 얼굴이나 피부, 또는 푸른 하늘과 같은 특정 사진 오브젝트인 지 여부가 판단되며,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본 코어링 조건이 선택된다. 또한, 코어링의 오브젝트보다 높은 레벨의 고주파 성분 또는 저주파 성분에 대한 참조가 실행되고, 상기 설명된 방법에 의해 기본 코어링 조건이 변경되며, 적용되는 코어링 조건이 결정되어 코어링 처리부에 송신된다. 조건이 송신된 이후에, 코어링 처리부가 휘도 고주파 성분의 코어링 처리를 실시한다.
도 22는 도 6에 도시된 화상 처리 장치의 내부 처리의 추가 모드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본 시스템에서, Y 신호의 저주파 성분이 계조 변환 수단에 의해 계조 조정을 받은 후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 이용된다. 또한, I 및 Q 신호의 저푸사 성분은 그레이 밸런스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 후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모드에서, 이들 계조 변환 수단 및 그레이 밸런스 조정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단지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다시 계산함으로써 계조 조정 및 그레이 밸런스 조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가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되므로, 다중-해상도 변환이 색차 신호에 적용되어 이들을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컬러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신호가 억제되어, 표시되지 않는 컬러와 같이 보이는 잡음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게다가, 억제가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에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으므로, 표시되지 않는 컬러와 같이 보이는 잡음의 제거와 함께 동반되는 선명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각 레벨에 대해 다른 레벨과 다른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 처리를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입상 잡음이 현저하게 제거된다. 이러한 입상 잡음 제거 프로세스는 특정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게 억제되지만 입상 잡음이 존재하는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설계된 미심사 특허 제H9-22460호의 공보에 개시된 방법과는 다르다. 그러므로, 콧대 주변부 및 눈 주위에 번짐의 표시가 생성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것에 덧붙여, 본 발명에 대해요구되는 계산량이, 큰 크기의 2차원 필터에 의해 번진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필요한 기술보다 훨씬 적으므로, 처리 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진다.
또한, 다중-해상도 변환에 대한 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에 의해, 새로운 계산 부하를 생성하지 않고 화상의 넓은-뷰 분석을 통해 화상 처리 조건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상기 언급된 상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표시되지 않는 컬러와 같은 잡음 및 원활하게 표현되지 못하는 메이크업 얼굴을 생성하지 않고, 미세한 파우더가 흩뿌려진 것 같이 보이는 잡음을 생성하지 않으며, 에지 주위에 오류-컬러 윤곽 또는 편평부에 오류-컬러 스폿을 생성하지 않고서, 콧대 주변부 및 눈 주위에 그늘을 보존하면서도, 화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컬러 화상 신호에 포함된 입상 잡음 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54)

  1.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coring) 처리를 적용한 후, 상기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2.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한 코어링(coring) 처리를 적용한 후, 상기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한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드는 단계;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에 선명도 향상 처리를 적용하여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를 만드는 단계; 및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는 은 할로겐 필름 상에 형성된 색소 화상의 스캐닝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화상 신호인 화상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는 은 할로겐 필름 상에 형성된 색소 화상의 스캐닝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화상 신호인 화상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에 대한 코어링 처리는,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값의 전체 개수의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10%보다 작게 되고, 전체 개수에 적어도 15%에 대응하는 하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하는 비선형 코어링 조건 하에서 실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에 대한 코어링 처리는,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값의 전체 개수의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10%보다 작게 되고, 전체 개수에 적어도 15%에 대응하는 하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하는 비선형 코어링 조건 하에서 실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를 위한 조건은 n보다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화상 처리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를 위한 조건은 n보다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화상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레벨 n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화상 처리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레벨 n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화상 처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n보다 큰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화상 처리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n보다 큰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화상 처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휘도 저주파 신호 및 색차 저주파 신호가 보존되고, 사진 오브젝트의 조건이 휘도 저주파 신호, 색차 저주파 신호, 및 휘도 고주파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판단되며, 상기 코어링 처리의 조건이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화상 처리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휘도 저주파 신호 및 색차 저주파 신호가 보존되고, 사진 오브젝트의 조건이 휘도 저주파 신호, 색차 저주파 신호, 및 휘도 고주파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판단되며, 상기 코어링 처리의 조건이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화상 처리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휘도 저주파 화상 신호에 계조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휘도 저주파 화상 신호에 계조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색차 저주파 화상 신호에 그레이-밸런스 조정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색차 저주파 화상 신호에 그레이-밸런스 조정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9.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변환 디바이스;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2 변환 디바이스;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신호를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3 변환 디바이스;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하여 코어링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코어링 처리 디바이스;
    상기 코어링 처리를 이미 당한 상기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4 변환 디바이스; 및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제5 변환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0.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변환 디바이스;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2 변환 디바이스;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신호를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3 변환 디바이스;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하여 코어링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코어링 처리 디바이스;
    상기 코어링 처리를 이미 당한 상기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한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4 변환 디바이스;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에 선명도 향상 처리를 적용하여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를 만들기 위한 선명도 향상 디바이스; 및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제5 변환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는 은 할로겐 필름 상에 형성된 색소 화상의 스캐닝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화상 신호인 화상 처리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는 은 할로겐 필름 상에 형성된 색소 화상의 스캐닝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화상 신호인 화상 처리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처리 디바이스는,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값의 전체 개수의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10%보다 작게 되고, 전체 개수에 적어도 15%에 대응하는 하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하는 비선형 코어링 조건 하에서 실행하는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처리 디바이스는,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값의 전체 개수의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10%보다 작게 되고, 전체 개수에 적어도 15%에 대응하는 하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하는 비선형 코어링 조건 하에서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를 위한 조건은 n보다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화상 처리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를 위한 조건은 n보다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화상 처리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레벨 n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화상 처리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레벨 n의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화상 처리 장치.
  29. 제19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n보다 큰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화상 처리 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n보다 큰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화상 처리 장치.
  31. 제19항에 있어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휘도 저주파 신호 및 색차 저주파 신호가 보존하기 위한 보존 디바이스;
    휘도 저주파 신호, 색차 저주파 신호, 및 휘도 고주파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사진 오브젝트의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디바이스;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 변경 디바이스
    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휘도 저주파 신호 및 색차 저주파 신호가 보존하기 위한 보존 디바이스;
    휘도 저주파 신호, 색차 저주파 신호, 및 휘도 고주파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사진 오브젝트의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디바이스;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 변경 디바이스
    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3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휘도 저주파 화상 신호에 계조 변환을 적용하기 위한 계조 변환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휘도 저주파 화상 신호에 계조 변환을 적용하기 위한 계조 변환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3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색차 저주파 화상 신호에 그레이-밸런스 조정을 적용하기 위한 그레이-밸런스 조정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색차 저주파 화상 신호에 그레이-밸런스 조정을 적용하기 위한 그레이-밸런스 조정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37. 컴퓨터 함수를 화상 처리 장치로서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변환 디바이스;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2 변환 디바이스;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신호를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3 변환 디바이스;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하여 코어링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코어링 처리 디바이스;
    상기 코어링 처리를 이미 당한 상기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4 변환 디바이스; 및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컬러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제5 변환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8. 컴퓨터 함수를 화상 처리 장치로서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변환 디바이스;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개별적으로 레벨 1 내지 레벨 N의 다중-해상도 신호로 변환하여 이들을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 및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2 변환 디바이스;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의 레벨 1의 고주파 신호를 억제한 후, 상기 색차 다중-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색차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3 변환 디바이스;
    상기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각 레벨의 고주파 신호에 다른 레벨과 다른 각 레벨에 대한 조건을 이용하여 코어링 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코어링 처리 디바이스;
    상기 코어링 처리를 이미 당한 상기 휘도-다중 해상도 신호에 역 다중-해상도 변한 처리를 적용하여 이들을 처리된 휘도 신호로 만들기 위한 제4 변환 디바이스;
    상기 처리된 휘도 신호에 선명도 향상 처리를 적용하여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를 만들기 위한 선명도 향상 디바이스; 및
    향상된 선명도의 휘도 신호 및 상기 처리된 색차 신호를 처리된 화상 신호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제5 변환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는 은 할로겐 필름 상에 형성된 색소 화상의 스캐닝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화상 신호인 프로그램.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화상을 나타내는 컬러 화상 신호 세트는 은 할로겐 필름 상에 형성된 색소 화상의 스캐닝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화상 신호인 프로그램.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처리 디바이스는,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값의 전체 개수의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10%보다 작게 되고, 전체 개수에 적어도 15%에 대응하는 하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하는 비선형 코어링 조건 하에서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처리 디바이스는, 입력 신호의 절대값에 대해 신호값의 전체 개수의 적어도 5%에 대응하는 상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10%보다 작게 되고, 전체 개수에 적어도 15%에 대응하는 하위 랭크의 신호값들에 대한 변화율이 거의 제로가 되도록 하는 비선형 코어링 조건 하에서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43. 제37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를 위한 조건은 n보다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프로그램.
  44. 제38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를 위한 조건은 n보다 높은 레벨의 고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프로그램.
  45. 제37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레벨 n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프로그램.
  46. 제38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레벨 n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프로그램.
  47. 제37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n보다 큰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프로그램.
  48. 제38항에 있어서, 레벨 n의 휘도 다중-해상도 신호의 코어링 처리에 대한 조건은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되는 각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보존하고 n보다 큰 레벨의 저주파 신호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인 프로그램.
  4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휘도 저주파 신호 및 색차 저주파 신호가 보존하기 위한 보존 디바이스;
    휘도 저주파 신호, 색차 저주파 신호, 및 휘도 고주파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사진 오브젝트의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디바이스;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 변경 디바이스
    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5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다중-해상도 변환에서 생성된 각 레벨의 휘도 저주파 신호 및 색차 저주파 신호가 보존하기 위한 보존 디바이스;
    휘도 저주파 신호, 색차 저주파 신호, 및 휘도 고주파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사진 오브젝트의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 디바이스;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링 처리의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 변경 디바이스
    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5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휘도 저주파 화상 신호에 계조 변환을 적용하기 위한 계조 변환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5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 처리를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휘도 저주파 화상 신호에 계조 변환을 적용하기 위한 계조 변환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5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색차 저주파 화상 신호에 그레이-밸런스 조정을 적용하기 위한 그레이-밸런스 조정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5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역 다중-해상도 변환을 적용하기 이전에, 최상위 레벨의 색차 저주파 화상 신호에 그레이-밸런스 조정을 적용하기 위한 그레이-밸런스 조정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KR10-2004-7006081A 2001-10-26 2002-10-22 화상 처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0400445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9205A JP2003134352A (ja) 2001-10-26 2001-10-26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1-00329205 2001-10-26
PCT/JP2002/010934 WO2003036939A1 (en) 2001-10-26 2002-10-22 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556A true KR20040044556A (ko) 2004-05-28

Family

ID=1914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081A KR20040044556A (ko) 2001-10-26 2002-10-22 화상 처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08152B2 (ko)
EP (1) EP1440564A1 (ko)
JP (1) JP2003134352A (ko)
KR (1) KR20040044556A (ko)
CN (1) CN1600020A (ko)
WO (1) WO20030369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8361B2 (en) 2010-02-05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moving noise of color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90190T1 (de) * 2001-11-13 2008-04-15 Metanomics Gmbh & Co Kgaa Verfahren zur extraktion von inhaltsstoffen aus organischem material
JP4285628B2 (ja) * 2002-03-20 2009-06-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133029B2 (ja) * 2002-06-25 2008-08-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045422B2 (ja) * 2002-07-23 2008-02-13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画像処理装置
JP4549723B2 (ja) * 2004-04-19 2010-09-22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画像信号強調装置
CN100525444C (zh) * 2004-07-06 2009-08-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编码方法以及图像解码方法
JP3926813B2 (ja) * 2004-08-23 2007-06-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ノイズ低減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ノイズ低減プログラム
US20060209079A1 (en) * 2005-03-16 2006-09-21 Eric Jeffrey Graphics controller providing for efficient pixel value transformation
JP2006287636A (ja) * 2005-03-31 2006-10-19 Pioneer Electronic Corp 画質調整装置、画質調整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7676103B2 (en) * 2005-06-20 2010-03-09 Intel Corporation Enhancing video sharpness and contrast by luminance and chrominance transient improvement
JP2007026334A (ja) * 2005-07-21 2007-02-01 Olympus Corp 画像処理装置
JP4869653B2 (ja) * 2005-08-03 2012-0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7048176A (ja) * 2005-08-12 2007-02-22 Fujifilm Holdings Corp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US7250612B2 (en) * 2005-09-28 2007-07-31 General Electric Company Devices and methods capable of authenticating batteries
EP1777938A1 (en) * 2005-10-19 2007-04-25 Thomson Licensing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lour quality control
JP4837365B2 (ja) 2005-11-16 2011-12-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899263B2 (en) * 2006-01-10 2011-03-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alytical-form compression noise in images with known statistics
JP2007188211A (ja) * 2006-01-12 2007-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9143657B2 (en) * 2006-01-24 2015-09-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lor enhancement technique using skin color detection
KR20070079224A (ko) * 2006-02-0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방법
JP5163489B2 (ja) * 2006-03-31 2013-03-13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EP2003612A4 (en) * 2006-03-31 2010-10-13 Nikon Corp IMAGE PROCESSING
US20070248277A1 (en) * 2006-04-24 2007-10-25 Scrofano Michael 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mage Data
JP2007310570A (ja) * 2006-05-17 2007-11-29 Fujifilm Corp 非線形変換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JP4804271B2 (ja) * 2006-08-23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37503B2 (ja) * 2006-09-12 2011-12-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866756B2 (ja) * 2007-02-27 2012-0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US8391635B2 (en) * 2007-08-31 2013-03-05 Olympus Corporation Noise removal device, noise remova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4941219B2 (ja) * 2007-10-09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ノイズ抑圧装置、ノイズ抑圧方法、ノイズ抑圧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JP2009098742A (ja) * 2007-10-12 2009-05-07 Panasonic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731062B2 (en) * 2008-02-05 2014-05-20 Ntt Docomo, Inc. Noise and/or flicker reduction in video sequences using spatial and temporal processing
JP5535443B2 (ja) * 2008-03-26 2014-07-02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画像処理装置
JP5097914B2 (ja) * 2008-07-30 2012-12-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成分抽出補正装置、成分抽出補正方法、成分抽出補正プログラム、又は電子機器
CN106919911A (zh) * 2008-07-30 2017-07-04 快图有限公司 使用脸部检测的自动脸部和皮肤修饰
JP5097141B2 (ja) * 2009-01-21 2012-12-12 日本放送協会 ノイズ低減装置及びノイズ低減プログラム
JP5348145B2 (ja) 2009-01-28 2013-11-20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250465B2 (ja) * 2009-03-26 2013-07-31 日本放送協会 スレッショルド関数制御型ウェーブレットシュリンケージ雑音除去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49111B2 (ja) * 2009-03-31 2013-07-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撮像システム
DE102009019840A1 (de) * 2009-05-04 2011-01-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ntrastverstärkung von CT-Bildern mittels eines Multibandfilters
US8655101B2 (en) 2009-06-04 2014-02-18 Sharp Kabushiki Kaisha Signal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signal processing device,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the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in
KR101600312B1 (ko) * 2009-10-20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CN102598668B (zh) 2009-11-17 2014-11-12 夏普株式会社 编码装置、解码装置、编码装置的控制方法、解码装置的控制方法、传送系统
US8824825B2 (en) 2009-11-17 2014-09-02 Sharp Kabushiki Kaisha Decoding device with nonlinear process section, control method for the decoding device, transmiss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2771111B (zh) 2010-02-15 2015-04-29 夏普株式会社 信号处理装置和集成电路
WO2012043407A1 (ja) 2010-09-29 2012-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JP5882576B2 (ja) * 2010-12-01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201519B1 (ko) 2010-12-29 2012-11-14 주식회사 코어웨어 영상의 대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5807420B2 (ja) * 2011-07-19 2015-11-1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映像ノイズ低減装置及び映像ノイズ低減方法
KR20130031572A (ko) * 2011-09-21 201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CN102695062B (zh) * 2012-05-15 2015-04-29 Tcl集团股份有限公司 视频自适应优化的方法及装置
JP6354586B2 (ja) * 2012-11-13 2018-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ノイズ除去システムとノイズ除去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25991B2 (en) * 2013-05-30 2015-12-29 Apple Inc. Adaptive color space transform coding
US9225988B2 (en) 2013-05-30 2015-12-29 Apple Inc. Adaptive color space transform coding
WO2015151279A1 (ja) * 2014-04-04 2015-10-08 リーダー電子株式会社 フォーカス評価を補助するための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6432214B2 (ja) * 2014-08-25 2018-12-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EP3254283B1 (en) * 2015-03-27 2021-05-12 Google LLC User sliders for simplified adjustment of images
JP2020061080A (ja) * 2018-10-12 2020-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
CN110428466B (zh) * 2019-07-16 2022-02-18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非均匀性校正的方法和设备
RU2728949C1 (ru) * 2019-10-09 2020-08-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о-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ПИ) имени М.И. Платова" Способ построения и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истема его реализующая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783A (ja) 1986-07-19 1988-02-0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ラ−画像処理方式
DE3629396C2 (de) 1986-08-29 1993-12-23 Agfa Gevaert Ag Verfahren zur elektronischen Bildverarbeitung
US5122873A (en) * 1987-10-05 1992-06-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encoding and decoding a digital motion video signal at multiple resolution levels
KR940023248A (ko) * 1993-03-15 1994-10-22 오오가 노리오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3205417B2 (ja) 1993-03-18 2001-09-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
JPH0922460A (ja) 1995-02-09 1997-01-2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9212623A (ja) 1996-01-30 1997-08-15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
US6445831B1 (en) 1998-02-10 2002-09-03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3913356B2 (ja) 1998-03-17 2007-05-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
JP2000215307A (ja) 1998-11-16 2000-08-0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0224421A (ja) 1999-02-03 2000-08-1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1189866A (ja) 1999-12-28 2001-07-10 Fuji Photo Film Co Ltd 静止グリッド抑制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209061B2 (ja) 2000-02-09 2009-0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符号復号化方法および画像処理符号復号化システム、画像処理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処理復号化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4556276B2 (ja) * 2000-03-23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回路及び画像処理方法
US6859554B2 (en) * 2001-04-04 2005-02-2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segmenting multi-resolution video obj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8361B2 (en) 2010-02-05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moving noise of color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0564A1 (en) 2004-07-28
CN1600020A (zh) 2005-03-23
US7308152B2 (en) 2007-12-11
US20040252907A1 (en) 2004-12-16
JP2003134352A (ja) 2003-05-09
WO2003036939A1 (en)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4556A (ko) 화상 처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7116838B2 (en) Enhancing the t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using selective spatial filters
JP4870617B2 (ja) 画像データの自動マッピング方法及び画像処理デバイス
US7058234B2 (en) Enhancing the tonal, spatial,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using expansive and compressive tone scale functions
US7043090B2 (en) Enhancing the ton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using expansive and compressive tone scale functions
EP1400921B1 (en) Enhancing the ton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using inflection points in a tone scale function
JP4870618B2 (ja) 画像データの自動マッピング方法及び画像処理デバイス
US7181086B2 (en) Multiresolution method of spatially filtering a digital image
US6807300B1 (en) Noise reduction method utilizing color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JP4858610B2 (ja) 画像処理方法
US8559744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object and related system
EP1377029A2 (en) Enhancing the ton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EP1111907A2 (en) A method for enhancing a digital image with noise-dependant control of texture
EP1408448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001229377A (ja) 適応帰納的フィルタでディジタル画像のコントラストを調整する方法
EP1111906A2 (en) A method for enhancing the edge contrast of a digital image independently from the texture
US7130485B2 (en) Enhancing the tonal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using expansive and compressive tone scale functions
JP2008511048A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用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
US200700866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lor Saturation and Sharpness Enhancement
US2003005315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0207551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Lee et al. A TONE MAPPING ALGORITM WITH DETAIL ENHANCEMENT BASED ON RETINEX THEORY
Alwani et al. MEDICAL IMAGE ENHANCEMENT ALGORITHM BASED ON LOCAL CONTRAST ENHANCEMENT AND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