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224A -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방법 - Google Patents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224A
KR20070079224A KR1020060009774A KR20060009774A KR20070079224A KR 20070079224 A KR20070079224 A KR 20070079224A KR 1020060009774 A KR1020060009774 A KR 1020060009774A KR 20060009774 A KR20060009774 A KR 20060009774A KR 20070079224 A KR20070079224 A KR 2007007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coring
luminance signal
input
luminan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9224A/ko
Priority to US11/519,860 priority patent/US20070177059A1/en
Priority to CNA2006101356521A priority patent/CN101014089A/zh
Priority to EP06123205A priority patent/EP1816875A1/en
Publication of KR2007007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코어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코어링 장치는, 휘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휘도 신호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입력 휘도 신호에 대해서만,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하는 코어링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어링 슬로프는 입력 휘도 신호 중 임계 휘도 레벨부터 최대 입력 휘도 레벨 까지의 입력 휘도 신호를 출력 휘도 신호 전범위에 매칭시켰을 때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고 주파수 대역에서의 고계조 신호의 게인을 보상할 수 있으며, 화질의 선명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코어링, 코어링 슬로프, 임계 휘도 레벨

Description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 방법 { Coring device, luminance processor comprising the cor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
도 1은 종래의 코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코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코어링 장치에서 수행되는 코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코어링 장치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휘도 처리 프로세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코어링 장치 110 : 신호수신부
120 : 코어링부 130 : 룩업 테이블
200 : 휘도 처리 프로세서 210 : 하이 패스 필터
220 : 감산기 230 : 가산기
본 발명은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 중 임계 휘도 레벨 및 최대 입력 휘도 레벨을 출력 휘도 레벨의 전 범위에 매칭시켜,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보다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수평 및 수직 윤곽 보정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평 및 수직윤곽 보정이란 각종 텔레비젼 등과 같은 영상신호 처리 장치에서 화상의 경계 선이 명확하도록 신호 처리를 해주는 보정 작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평 및 수직 윤곽 보정은 휘도 처리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영상 신호가 수신되어 휘도 처리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과정에서 잡음(noise) 성분이 섞이게 된다. 이 경우, 잡음 성분까지 포함된 영상신호를 수평 및 수직 윤곽 보상 회로에 인가하게 되면, 잡음 성분까지도 불필요하게 윤 곽 보정 되어 화상이 열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휘도 처리 프로세서는 코어링(coring)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어링 기능이란 입력되는 휘도 신호 중 소정 임계 레벨 미만인 휘도 신호는 제거하고, 임계 레벨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가지는 휘도 신호만을 검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잡음 성분은 일반적으로 저계조 신호에 많이 삽입되므로, 일정 크기의 데드존을 설정하여 데드존을 벗어난 휘도 신호에 대해서만 산출하여 수평 및 수직 윤곽 보정 등의 작업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휘도 처리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코어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입력 휘도 레벨, 세로축은 출력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입력 휘도 신호가 수신되면, 휘도 처리 프로세서는 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한다. 입력 휘도 레벨 및 출력 휘도 레벨이 각각 0 - 100 IRE로 동일하다면, 입력 및 출력 휘도 신호의 대응관계는 원칙적으로 제1 그래프(10)와 같이 원점을 지나는 45°각도의 직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코어링이 적용되는 경우, 임계 레벨이 β로 설정되었다면 기울기는 45°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1 그래프(10)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즉, 입력 및 출력 휘도 신호 간의 대응관계는 제2 그래프(20)와 같이 표시된다. 제1 및 제2 그래프(10, 20)와 같이 입력 및 출력 휘도 신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각도, 즉, 기울기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라 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 휘도 처리 프로세서 내에서의 코어링 장치는 β미만의 입력 휘도 신호는 무시하고, β이상의 입력 휘도 신호에 대해서만 제2 그래프(20)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한다.
한편, 이러한 종래 코어링 장치에 따르면, 45°각도의 기울기, 즉, 코어링 슬로프를 그대로 유지한 제2 그래프(20)를 이용하여 선형적으로 코어링하기 때문에, 입력 휘도 레벨이 높은 신호를 표시할 수 없으며, 고 주파수 대역에서 고계조 신호의 출력 게인(gain)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화상의 선명도가 저해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코어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코어링 장치를 이용하여 휘도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링 장치는, 휘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휘도 신호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입력 휘도 신호에 대해서만, 상기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하는 코어링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링부는, tan-1{b/(a-c)}로 표현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최대 입력 휘도 레벨, b는 최대 출력 휘도 레벨, 그리고, c는 임계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링부는, y={b/(a-c)}x-{bc/(a-c)}로 표현되는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입력 휘도 레벨, y는 출력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코어링 장치는, 각 입력 휘도 레벨 별로 상기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기 연산된 출력 휘도 레벨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링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최대 입력 휘도 레벨 및 상기 최대 출력 휘도 레벨은 동일한 값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임계 휘도 레벨은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휘도 처리 프로세서는, 휘도 신호가 입력되면, 고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만을 패스시키는 하이 패스 필터, 상기 휘도 신호 중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 의해 패스된 휘도 신호를 제거하여 저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를 출력하는 감산기,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 의해 패스된 휘도 신호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신호에 대해서만, 상기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하는 코어링 장치 및 상기 코어링 장치에서 산출된 출력 휘도 신호와 상기 감산기에서 출력되는 저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링 장치는, tan-1{b/(a-c)}로 표현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최대 입력 휘도 레벨, b는 최대 출력 휘도 레벨, 그리고, c는 임계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링 장치는, y={b/(a-c)}x-{bc/(a-c)}로 표현되는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입력 휘도 레벨, y는 출력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링 장치는, 각 입력 휘도 레벨 별로 상기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기 연산된 출력 휘도 레벨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최대 입력 휘도 레벨 및 상기 최대 출력 휘도 레벨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임계 휘도 레벨은 임의의 값으로 설정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링 방법은, (a) 휘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휘도 신호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가지는 입력 휘도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된 입력 휘도 신호에 대해서, 상기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는, tan-1{b/(a-c)}로 표현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최대 입력 휘도 레벨, b는 최대 출력 휘도 레벨, 그 리고, c는 임계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는, y={b/(a-c)}x-{bc/(a-c)}로 표현되는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입력 휘도 레벨, y는 출력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각 입력 휘도 레벨 별로 상기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기 연산된 출력 휘도 레벨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최대 입력 휘도 레벨 및 상기 최대 출력 휘도 레벨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계 휘도 레벨은 최소 입력 휘도 레벨 및 최대 입력 휘도 레벨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휘도 처리 프로세싱 방법은, (a) 휘도 신호가 입력되면, 하이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고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만을 패스시키는 단계, (b) 상기 휘도 신호 중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 의해 패스된 휘도 신호를 감산기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저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 의해 패스된 휘도 신호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가지는 입력 휘도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검출된 입력 휘도 신호에 대해서, 상기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선형적으로 산출된 출력 휘도 신호와 상기 (b)단계에서 출력되는 저 주파수 대역의 휘 도 신호를 가산하여, 최종 출력 휘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단계는, tan-1{b/(a-c)}로 표현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최대 입력 휘도 레벨, b는 최대 출력 휘도 레벨, 그리고, c는 임계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단계는, y={b/(a-c)}x-{bc/(a-c)}로 표현되는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입력 휘도 레벨, y는 출력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는, 각 입력 휘도 레벨 별로 상기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기 연산된 출력 휘도 레벨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독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입력 휘도 레벨의 최대 레벨 및 상기 출력 휘도 레벨의 최대 레벨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계 휘도 레벨은 최소 입력 휘도 레벨 및 최대 입력 휘도 레벨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코어링 장치(100)는 신호 수신부(110) 및 코어링부(120)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110)는 외부 회로로부터 휘도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외 부 회로는 필터, 튜너, 신호 처리 프로세서, 입출력 포트 등의 다양한 회로가 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된 휘도 신호를 코어링부(120)로 전달한다.
코어링부(120)는 수신된 휘도 신호에 대하여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미만의 휘도 신호는 제거하고,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신호에 대하여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한다.
이 경우, 코어링 슬로프의 크기는 임계 휘도 레벨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즉, 임계 휘도 레벨이 커지면 코어링 슬로프도 커지고, 임계 휘도 레벨이 작아지면 코어링 슬로프도 작아진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 범위 상에서 임계 휘도 레벨부터 최대 입력 휘도 레벨 까지의 휘도 레벨 범위가 출력 휘도 레벨 전(全) 범위에 매칭될 수 있도록 코어링 슬로프가 조정된다. 코어링 슬로프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07711017-PAT00001
수학식 1에서 α는 코어링 슬로프, a는 최대 입력 휘도 레벨, b는 최대 출력 휘도 레벨, 그리고, c는 임계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여기서, a와 b는 동일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IRE 단위로 표시한다면 a와 b는 각각 100 IRE가 된다.
수학식 1에 따르면, a와 b가 고정된 값일 경우 코어링 슬로프의 크기는 임계 휘도 레벨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코어링부(120)는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하여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직접 연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 수식을 이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07711017-PAT00002
수학식 2에서, x는 입력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 즉, 입력 휘도 레벨을 의미하고, y는 출력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 즉, 출력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코어링부(120)는 입력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을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출력 휘도 레벨을 바로 연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코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코어링 장치(100)는 신호수신부(110) 및 코어링부(120) 이외에 룩업 테이블(130)을 더 포함한다. 도 2에서 신호수신부(110) 및 코어링부(120)는 도 1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다만, 코어링부(120)는 룩업 테이블(130)을 이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한다. 룩업 테이블(130)에는 수학식 1에 따른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하여 각 입력 휘도 신호에 대하여 기 연산한 출력 휘도 신호의 크기가 기록될 수 있다. 룩업 테이블(130)은 메모리와 같은 기억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룩업 테이블(130)이 코어링부(120)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코어링부(120) 내부에 별도의 내부 레지스터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임계 휘도 레벨은 임의로 조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나 제작자는 본 코어링장치(100)에 PC나 기타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코어링부(11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임계 휘도 레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비하여, 룩업 테이블(130)에는 각 임계 휘도 레벨 별로 입력 및 출력 휘도 레벨 관계를 미리 연산하여 기록하여 둘 수도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코어링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코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입력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 세로축은 출력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을 나타낸다. 도 4에 따르면, 코어링이 적용되지 않았을 때의 입력 및 출력 휘도 신호의 관계는 제1 그래프(30)로 나타난다. 최대 입력 레벨이 a이고 최대 출력레벨이 b라면 제1 그래프(30)의 기울기는 b/a로 표시된다.
한편, 코어링이 적용되었을 때의 입력 및 출력 휘도 신호의 관계는 제2 그래프(40)로 나타난다. 제2 그래프(40)는 코어링 슬로프 α를 가지는 직선으로 표현된다. α의 크기는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제2 그래프(40)는 입력 휘도 레벨 중 c-a 범위를 출력 휘도 레벨 중 0-b 범위에 매칭시킨다.
a, b가 100 IRE이고 c가 5 IRE라면, 코어링 장치(100)에 10 IRE의 입력 휘도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수학식 2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면 출력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은 대략 5.26 IRE 정도가 된다. 11 IRE의 입력 휘도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출력 휘도 신호의 휘도 레벨은 대략 6.315 IRE 정도가 된다.
코어링 장치(100)의 분해능이 낮은 경우에는 소수점 이하의 값은 무시한 값 을 출력 휘도 신호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에서 10 IRE가 입력되었다면 5 IRE를 산출하고, 11 IRE가 입력되었다면 6 IRE를 산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13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코어링 장치(100)의 분해능을 고려하여 일정 단위로 출력 휘도 레벨을 그룹화할 수 있다. 이 경우, 3 IRE 단위로 그룹화하여 기록하였다면, 1-3 IRE 범위 내의 출력 휘도 레벨에 대해서는 3 IRE를 산출하고, 4-6 IRE 범위 내의 출력 휘도 레벨에 대해서는 6 IRE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휘도 처리 프로세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휘도 처리 프로세서(200)는 하이 패스 필터(210), 감산기(220), 코어링 장치(100), 가산기(230)를 포함한다.
하이 패스 필터(210)는 입력 휘도 신호(Y_input)를 필터링하여 고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Y_high)만을 패스(pass)시킨다.
감산기(220)는 입력 휘도 신호(Y_input)로부터 하이 패스 필터(210)에서 패스된 휘도 신호(Y_high)를 감산하여 저 주파수 대역 신호(Y_low)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코어링 장치(100)는 하이 패스 필터(210)에서 패스된 휘도 신호(Y_high)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신호에 대해서만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코어링 장치(10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학식 2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거나, 룩업 테이블(130)를 이용하여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한다.
코어링 장치(100)에서 산출된 출력 휘도 신호(Y_out1)는 가산기(230)로 제공된다.
가산기(230)는 감산기(220)의 출력 신호(Y_low)와 코어링 장치(100)의 출력 신호(Y_out1)를 가산하여, 최종 출력 신호(Y_out2)를 출력한다.
최종 출력 신호(Y_out2)는 수평 및 수직 윤곽 보정 회로(미도시) 등과 같은 기타 회로에 제공되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휘도 신호가 수신되면(S610),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가지는 입력 휘도 신호를 검출하여(S620), 검출된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한다(S630). 출력 휘도 신호 산출 방식은 도 2 또는 도 3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휘도 처리 프로세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휘도 신호가 수신되면(S710), 하이 패스 필터링을 수행하여 고 주파수 대역 휘도 신호를 검출한다(S720). 또한, 고 주파수 대역 휘도 신호를 입력 휘도 신호로부터 감산하여 저 주파수 대역 휘도 신호도 검출한다(S730).
다음으로, 검출된 고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 중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가지는 휘도 신호를 검출하여(S740), 검출된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한다(S750). 출력 휘도 신호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산출된 출력 휘도 신호와 S730 단계에서 검출된 저 주파수 대역 휘도 신호를 가산하여 최종 출력 휘도 신호를 생성한다(S760).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임계 휘도 레벨은 설계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임계 휘도 레벨의 값에 따라 코어링 슬로프도 다양한 값으로 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휘도 신호를 출력 휘도 신호의 전 범위로 매칭시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고 계조 신호를 표현할 수 있으며, 고 주파수 대역에서 게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질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4)

  1. 휘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휘도 신호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입력 휘도 신호에 대해서만, 상기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하는 코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부는,
    아래 수식으로 표현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장치:
    Figure 112006007711017-PAT00003
    상기 수식에서 α는 코어링 슬로프, a는 최대 입력 휘도 레벨, b는 최대 출력 휘도 레벨, 그리고, c는 임계 휘도 레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부는,
    아래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연 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장치:
    Figure 112006007711017-PAT00004
    상기 수식에서, x는 입력 휘도 레벨, y는 출력 휘도 레벨.
  4. 제2항에 있어서,
    각 입력 휘도 레벨 별로 상기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기 연산된 출력 휘도 레벨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어링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입력 휘도 레벨 및 상기 최대 출력 휘도 레벨은 동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휘도 레벨은 임의의 값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장치.
  7. 휘도 신호가 입력되면, 고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만을 패스시키는 하이 패 스 필터;
    상기 휘도 신호 중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 의해 패스된 휘도 신호를 제거하여 저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를 출력하는 감산기;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 의해 패스된 휘도 신호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신호에 대해서만, 상기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하는 코어링 장치; 및,
    상기 코어링 장치에서 산출된 출력 휘도 신호와 상기 감산기에서 출력되는 저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장치는,
    아래 수식으로 표현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
    Figure 112006007711017-PAT00005
    상기 수식에서 α는 코어링 슬로프, a는 최대 입력 휘도 레벨, b는 최대 출력 휘도 레벨, 그리고, c는 임계 휘도 레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장치는,
    아래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
    Figure 112006007711017-PAT00006
    상기 수식에서, x는 입력 휘도 레벨, y는 출력 휘도 레벨.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장치는,
    각 입력 휘도 레벨 별로 상기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기 연산된 출력 휘도 레벨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입력 휘도 레벨 및 상기 최대 출력 휘도 레벨은 동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휘도 레벨은 임의의 값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
  13. (a) 휘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휘도 신호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가지는 입력 휘도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된 입력 휘도 신호에 대해서, 상기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아래 수식으로 표현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방법:
    Figure 112006007711017-PAT00007
    상기 수식에서 α는 코어링 슬로프, a는 최대 입력 휘도 레벨, b는 최대 출력 휘도 레벨, 그리고, c는 임계 휘도 레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아래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방법:
    Figure 112006007711017-PAT00008
    상기 수식에서, x는 입력 휘도 레벨, y는 출력 휘도 레벨.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각 입력 휘도 레벨 별로 상기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기 연산된 출력 휘도 레벨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입력 휘도 레벨 및 상기 최대 출력 휘도 레벨은 동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휘도 레벨은 최소 입력 휘도 레벨 및 최대 입력 휘도 레벨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링 방법.
  19. (a) 휘도 신호가 입력되면, 하이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고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만을 패스시키는 단계;
    (b) 상기 휘도 신호 중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 의해 패스된 휘도 신호를 감산기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저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 의해 패스된 휘도 신호 중 기 설정된 임계 휘도 레벨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가지는 입력 휘도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검출된 입력 휘도 신호에 대해서, 상기 임계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코어링 슬로프(coring slope)를 적용하여 출력 휘도 신호를 선형적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선형적으로 산출된 출력 휘도 신호와 상기 (b)단계에서 출력되는 저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를 가산하여, 최종 출력 휘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아래 수식으로 표현되는 코어링 슬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싱 방법:
    Figure 112006007711017-PAT00009
    상기 수식에서 α는 코어링 슬로프, a는 최대 입력 휘도 레벨, b는 최대 출력 휘도 레벨, 그리고, c는 임계 휘도 레벨.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아래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싱 방법:
    Figure 112006007711017-PAT00010
    상기 수식에서, x는 입력 휘도 레벨, y는 출력 휘도 레벨.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각 입력 휘도 레벨 별로 상기 코어링 슬로프를 적용하여 기 연산된 출력 휘도 레벨이 기록된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입력 휘도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 휘도 신호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싱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입력 휘도 레벨 및 상기 최대 출력 휘도 레벨은 동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싱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휘도 레벨은 최소 입력 휘도 레벨 및 최대 입력 휘도 레벨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싱 방법.
KR1020060009774A 2006-02-01 2006-02-01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방법 KR20070079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74A KR20070079224A (ko) 2006-02-01 2006-02-01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방법
US11/519,860 US20070177059A1 (en) 2006-02-01 2006-09-13 Coring device, luminance processor using cor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CNA2006101356521A CN101014089A (zh) 2006-02-01 2006-10-20 扣心装置、使用扣心装置的亮度处理器及其方法
EP06123205A EP1816875A1 (en) 2006-02-01 2006-10-30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cor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74A KR20070079224A (ko) 2006-02-01 2006-02-01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224A true KR20070079224A (ko) 2007-08-06

Family

ID=3804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774A KR20070079224A (ko) 2006-02-01 2006-02-01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77059A1 (ko)
EP (1) EP1816875A1 (ko)
KR (1) KR20070079224A (ko)
CN (1) CN1010140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13B1 (ko) * 2007-08-27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9086930A1 (en) * 2008-01-09 2009-07-16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luminance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5477A (en) * 1971-03-11 1973-02-06 Rca Corp Video signal noise-limiting apparatus
JP2543567B2 (ja) * 1988-04-07 1996-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イナミックノイズリダクション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3236684A (ja) * 1990-02-14 1991-10-22 Fujitsu General Ltd ビデオノイズリダクション回路
US5119195A (en) * 1991-01-31 1992-06-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Video noise reduction system employing plural frequency bands
US5349389A (en) * 1993-04-14 1994-09-20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Video attenuator with output combined with signal from non-linear shunt branch to provide gamma correction and high frequency detail enhancement
DE4318057C1 (de) * 1993-05-29 1994-07-07 Mb Video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Verbesserung der Qualität von Videosignalen
EP0805603A1 (en) * 1996-01-11 1997-11-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ignal processing circuits
JPH114363A (ja) * 1997-06-11 1999-01-06 Fujitsu General Ltd 輪郭補正回路
DE69842015D1 (de) * 1997-12-04 2011-01-05 Victor Company Of Japa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Videosignalen
EP0963111A1 (en) * 1998-06-02 1999-12-0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ast improvement in video pictures
JP3532781B2 (ja) * 1999-02-12 2004-05-31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画像入力装置の画像処理回路
US6377313B1 (en) * 1999-09-02 2002-04-23 Techwell, Inc. Sharpness enhancement circuit for video signals
US6714258B2 (en) * 2000-03-15 2004-03-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apparatus with noise reduction
JP3468231B2 (ja) * 2001-07-02 2003-11-17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質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3134352A (ja) * 2001-10-26 2003-05-09 Konica Corp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304549A (ja) * 2002-04-11 2003-10-2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及び画像信号処理システム
EP1434425A3 (en) * 2002-12-25 2006-04-26 Hitachi Ltd.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4333150B2 (ja) * 2003-01-31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SG115542A1 (en) * 2003-05-21 2005-10-28 St Microelectronics Asia Adaptive coring for video peaking
DE10327578A1 (de) * 2003-06-18 2005-01-13 Microna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ilterung eines Signals
US7274828B2 (en) * 2003-09-11 2007-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processing noisy edges in image detail enhancement
JP4200890B2 (ja) * 2003-12-10 2008-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並びに映像信号処理方法
JP2006179976A (ja) * 2004-12-20 2006-07-06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及びテレビ放送受信装置
KR100702238B1 (ko) * 2005-07-0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US20070132865A1 (en) * 2005-12-12 2007-06-14 Eastman Kodak Company Filtered noise reduction in digital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6875A1 (en) 2007-08-08
CN101014089A (zh) 2007-08-08
US20070177059A1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9678B2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24598A2 (en) Flicker correc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flicker correction program
US8804004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EP3343911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JPH0411466A (ja) ノイズリデューサ
JP4417780B2 (ja) ノイズ除去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CA2036100C (en) Gradation correcting apparatus
JPH05176263A (ja) 階調補正装置
JP2015005896A (ja) 内視鏡用の画像処理装置、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用の画像処理方法
US844713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08006751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조정방법
CA2450244A1 (en) Motion detector, image processing system, motion detect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030070228A (ko) 윤곽 보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KR20070079224A (ko) 코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휘도 처리 프로세서와 그방법
US10861420B2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for simultaneous output of multiple images
WO2010007933A1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US10764632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80151120A1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improving image quality
JP2872005B2 (ja) 自動画質調整装置
US8842221B2 (en) Signal adjusting circuit and video apparatus thereof
JPH07322117A (ja) カード型カメラ
JPH09322020A (ja) 画像処理装置
KR100826012B1 (ko) 샤프니스 값을 개선하기 위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방법
KR960013222B1 (ko) 디지탈 영상신호처리시스템의 윤곽 보정회로
JP500469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ノイズ除去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