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464A - 에어 백 - Google Patents

에어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464A
KR20040044464A KR10-2004-7002543A KR20047002543A KR20040044464A KR 20040044464 A KR20040044464 A KR 20040044464A KR 20047002543 A KR20047002543 A KR 20047002543A KR 20040044464 A KR20040044464 A KR 20040044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low
flow conduit
outer gas
ear portio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094B1 (ko
Inventor
샤르팡띠에르프레데릭
스토우데이비드
키스미르알타이
도미니씨니데이비드엘.
롤링즈재미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4004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에어 백(1)은 개스 발생기로부터 팽창되어야 하는 에어 백 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이어지는 제 1 의 개스 유동 도관(1)을 가진다. 에어 백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 안에 장착된 분리된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을 가진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과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은 개스 발생기에 연결되어야 하는 영역에서 함께 고정된 부위들(22, 23)을 가진다.

Description

에어 백{An air-bag}
소위 팽창 가능 커튼의 형태인 에어 백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는데, 이것은 처음에 차량의 지붕에 장착되며, 팽창되었을 때 차량의 측부 윈도우에 근접하여 연장된다.
그러한 팽창 가능 커튼은 매우 짧은 시간내에 팽창되어야 하며, 결국에는 그러한 팽창 가능 커튼과 관련된 팽창기 또는 개스가 매우 짧은 시간에 실질적인 부피의 개스를 발생시키도록 적합화된다. 전개시에 에어 백에 들어가는 개스는 매우 활동적인 유동을 가진다.
에어 백의 직물에 발생하는 손상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부 충전 슬리이브 안에 이러한 유형의 에어 백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에어 백은 GB-2357467A 에 개시되어 있다.
내부 슬리이브는 메인 개스 유동 도관과 동축선상에 있으며, 물론, 개스가 에어 백에 내부 슬리이브를 통하여 도입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개스가 내부 슬리이브와 보통의 개스 유동 도관 사이의 공간 안으로 분사되는 방식으로 개스발생기가 팽창 가능 커튼에 연결되면, 통상의 개스 유동 도관은 개스 발생기 또는 팽창기로부터의 공격적인 개스 유동에 의해 확실하게 손상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 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위 팽창 가능 커튼(inflatable curtain) 형태의 에어 백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팽창 가능한 커튼의 일 예에 대한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 가능한 커튼의 일부에 대한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의 선 III-III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일부에 대한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마지막 상태에서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 4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구현예가 다른 상태에 있을때의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에서 도시된 구현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개량된 구현예에 있는 내부 개스 도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는 에어 백 안에 장착된 도 11 의 내부 개스 도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개스 발생기를 에어 백에 잘못 연결할 위험성이 최소화되거나 또는 회피되는 향상된 에어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스 발생기로부터 팽창되어야 하는 에어 백 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이어지는 제 1 의 개스 유동 도관 및, 외부 개스 유동 도관 안에 장착된 분리된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을 가진 에어 백이 제공되는데, 내부 개스 유동 도관과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은 개스 발생기에 연결된 영역에서, 함께 고정된 부위를 가진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2 개 부위는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2 개의 개별 부위에 고정된다.
편리하게는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이 2 개의 중첩된 직물의 층으로부터 형성되고,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이 2 개의 중첩된 직물의 층들로부터 형성되며,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을 형성하는 직물의 상부 층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을 형성하는 직물의 상부 층의 부위에 고정되고,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하부 직물의 층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하부 직물층의 부위에 고정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상기 2 개의 부위들이 오프셋(offset) 되어서 중첩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내부 개스 유동 도관에 돌출된 귀 부분(ears)이 제공되는데, 상기 귀 부분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며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에 근접하여 놓이도록 접힘 선의 둘레에 뒤로 접혀지며, 귀 부분들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을 형성하는 직물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현예의 일 특징에 있어서 각 귀 부분은 납작할 때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경 보다 큰 치수를 가지며, 귀 부분들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외부에 근접하게 놓이도록 뒤로 접혀지고, 귀 부분의 일 부분들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위로 놓이지 않고,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위로 놓이지 않은 귀 부분의 일 부분들은 함께 고정되지 않으며, 외측 개스 유동 도관을 형성하는 직물에 고정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하는 귀 부분의 상기 접힘선에 슬롯이 제공되며, 에어 백에는 슬롯을 통하여 통과하도록 위치된 탭이 제공된다. 에어 백 위의 탭(tab)은 슬롯을 통과할 수 있으며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이 에어 백 안으로 과도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하나의 귀 부분에 통공이 제공되며, 외부 개스 유동 도관과 내부 개스 유동 도관에는 통공들이 제공됨으로써 귀 부분 또는 각 귀 부분 안에 있는 통공들이 외부 개스 유동 도관과 내부 개스 유동 도관 안에 있는 협동하는 통공들과 정렬된다. 편리하게는 각 귀 부분에 통공이 제공되며, 외부와 내부 개스 유동 도관들에는 각각 2 개의 통공들이 제공된다.
편리하게는 내부 개스 유동 도관에, 돌출하는 귀 부분들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공이 제공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상기 부위들이 내부와 외부 개스 유동 도관들의 단부를 지나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탭상에 있다.
본 발명이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 그리고 그것의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다.
우선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참조하면, 팽창 가능한 커튼의 형태인 에어 백(1)은 2 개의 중첩된 직물 영역으로부터 형성된다. 팽창 가능한 커튼의 팽창 가능한 부분은 2 개의 제 1 팽창 가능 영역(3,4)을 둘러싸고 한정하는 주변의 봉합선(seam,2)에 의해서 한정된다. 이러한 팽창 가능한 영역들 각각은 다른 봉합선(5,6)에 의해서 일련의 셀(cell)들로 분할된다. 2 개 층의 직물의 부분들은 함께 고정되거나, 일체형 직조 기술이 이용된다면 함께 직조되어, 팽창 가능하지 않은 영역(7,8)을 제공한다.
팽창 가능한 요소의 상부 가장자리(9)에는 복수개의 고정 돌기(10)가 제공되어 있으며, 돌기에 의해서 팽창 가능한 커튼은 차량 지붕 안의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의 또는 메인(main) 개스 유동 도관(11)은 상기 언급된 봉합선에 한정되며, 내부 슬리이브(12) 형태인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은 제 1 의 개스 유동 도관내에 삽입된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에는 복수개의 작은 개구를 가진 영역 또는 챔버(3)와 교통하도록 적합화된 다공성 영역(13)이 제공될 수 있으며, 챔버(4)와 교통하는 개방 단부(14)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스 발생기(15)가 제공되어 팽창 가능한 커튼의 연장된 영역(16)에 연결되는데, 상기 커튼은 메인 개스 유동 도관(11)의 단부 부분과,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의 단부 부분을 구비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팽창 가능한 커튼의 연장된 영역(16)이 도시되어 있다. 팽창 가능한 커튼의 나머지의 정확한 디자인은 본 발명에 관련성이 없지만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돌출 부분(16)은 메인 개스 유동 도관(11)의 단부를 구성하며,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의 말단 부분이 메인 개스 유동 도관(11) 안에 포함되어 있다.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은 그것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접혀진 직물의 단일 층으로부터 형성되어, 상부 가장자리에서 봉합선(20)에 의해 상호 연결된 2 개의 중첩된 영역들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은 상부 봉합선(21)을 가지는 동일한 구성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은 봉합선이 없는 압출된 슬리이브 또는 봉합선이 없는 직조된 슬리이브로 제작될 수 있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내에 꼭 맞게 수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을 형성하는 직물은, 재봉(stitching)과 같은 것에 의해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12)의 개방 단부 영역에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20)을 형성하는 직물에 고정된다. 개시된 구현예에서, 재봉은 2 개의 분리된 부위(22,23)에 나타나 있다. 제 1 부위(22)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영역(16)의 전방에 제공되며, 따라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의 직물의 전방층과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의 직물의 전방층은 연장된 영역(16)의 하부 부분을 향하여 함께 고정된다. 제 2 부위(23)는 직물의 후방 층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따라서 제 2 부위(23)에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의 후방 직물층은 연장된 영역(16)의 상부 부분에서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의 후방 직물층에 고정된다. 부위(22,23)들은 오프셋(offset)되어 있으며 중첩되지 않는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물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에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물에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이 개스 발생기에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 개스 발생기와 관련된 분사기가 내부 개스 유동 도관과 외부 개스 유동 도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단지 최소한의 위험성만이 있을 뿐이다. 분사기를 수용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은 단지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의 내부가 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서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은 처음에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의 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며,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은 2 개의 귀 부분(30,31)으로 끝나게 되어, 각 귀 부분들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의 높이보다 큰 전체 높이를 가진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 부분(30,31)들은 뒤로 접혀질 수 있어서 외부 개스 도관(12)의 외부에 근접하여 놓이고, 2 개의 재봉선(33,34)들은 함께 정렬된 귀 부분들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에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재봉은 정렬된 귀 부분(30,31)들을 통과하며 또한 연장된 영역(16)의 주위 부분을 통과하여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을 형성한다. 귀 부분들(30,31)은 각각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귀 부분들의 자유 가장자리에 근접한 재봉은 사실상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을 관통하지 않을 것이다.
귀 부분(30,31)들은 외부 유동 도관(11)의 단부를 구성하는 연장된 영역(16)의 외부 부분에 고정되기 때문에, 개스 발생기와 관련된 그 어떤 분사기가 내부 유동 도관(12)과 외부 유동 도관(11) 사이의 공간 안으로 삽입될 위험성은 감소되거나 또는 회피된다.
도 8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귀 부분이 작은 높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 내지 도 7 의 것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현예에 있어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으로부터 돌출된 내부 개스 유동 도관(12)의 부분은 2 개의 귀 부분(40,41)의 형태이며, 각 귀부분은 평탄해졌을 때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경과 같은 크기이다. 위에서 설명된 구현예에서와 같이, 귀 부분(40,41)은 처음에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의 단부를 지나서 돌출하며,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에 뒤로 접혀져서 연장된 영역(16)의 마주하는 측부들에 근접하여 놓여져서, 외측 개스 유동 도관(11)의 외측 측부들에 근접하게 놓인다. 각 귀 부분은 분리된 재봉선에 의해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 부분을 형성하는 직물의 층에 고정되는데, 귀 부분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 부분과 접촉한다. 따라서, 도 10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귀 부분(40)은 뒤로 접혀져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의 정면 표면 (도 10 에 도시)에 근접하여 놓여졌으며, 재봉(42)에 의해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을 형성하는 직물의 정면층에 고정되었다. 마찬가지로, 귀 부분(41)은 뒤로 접혀져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11)의 직물의 가장 뒤에 있는 층에 놓여졌으며, 도 10 에 도시되지 않은 재봉에 의해서 직물의 가장 후방에 있는 층에 고정되었다.
따라서, 다시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물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에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물에 고정되어서, 그 어떤 분사기가 부적절하게 위치되거나 또는 놓이는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도 11 및,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이것은 어떤 면에서는 도 4 내지 도 7 의 구현예와 유사하다.
도 11 의 구현예에서,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이 제공되는데,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2 개의 귀 부분들에서 끝나게 된다. 도 11에서는 2 개의 귀 부분들중 단지 하나(51)만이 도시되어 있다. 귀 부분들은 각각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진다. 각 귀 부분은 접힘 선의 둘레에서 뒤로 접혀져서,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외부에 근접하도록 놓이며, 접힘선은 단지 하나(52)만이 도시되어 있다.
접힘선(52)의 중앙 부분에는 홈(53)이 제공된다. 홈의 목적은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귀 부분(51)의 중앙 부분에는 정사각형의 통공(54)이 형성된다. 유사한 통공(55)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의 벽 안에 제공된다. 통공(54,55)들은 접힘선(52)의 어느 한쪽에 등간격으로 되어 있다.
2 개의 귀 부분들중 각각에는 접힘선 내에 슬롯이 제공되어 귀 부분을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의 나머지에 고정시키고, 각 귀 부분에는 그 안에 통공이 제공되며, 개스 유동 도관의 측벽에는 2 개의 통공이 제공되어, 하나가 각 귀 부분과 협동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공(56)은 귀 부분들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개스 유동 도관 안에 제공된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은 팽창 가능한 요소(60)와 함께 사용되도록 되며, 그들중 일부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또는 외부 개스 유동 도관(61)을 한정한다. 메인 또는 외부 개스 유동 도관(61)의 말단 부분에는 통공(62)들이 제공되며,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에는 2 개의 돌출용 탭(63)들이 제공되며, 각 탭은 상대적으로 좁은 목 부분(65)에 의해서 에어 백의 나머지에 연결된 확대된 헤드 부분(64)을 가진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은 메인 개스 유동 도관(61)의 안으로 삽입된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이 정위치로 삽입되면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61)의 단부 부분상에 제공된 탭(63)들은 귀 부분(51)과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의 메인 부분 사이에서 접힘선(52) 안에 형성된 슬롯(53)을 통과한다. 귀 부분(51)과 같은 귀 부분들은 다음에 뒤로 접혀져서 외부 또는 메인 개스 유동 도관(61)의 외부에 근접하여 놓인다. 탭(63)들은 슬롯(53)을 통과하기 때문에,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은 외부 또는 메인 개스 유동 도관(61)의 안으로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는다.
귀 부분(51)과 같은 귀 부분들은 접힘선(52)의 둘레에 접혀지는 것과 같이 뒤로 접혀짐으로써, 귀 부분들이 외부 또는 메인 개스 유동 도관(61)의 외부에 근접하여 놓인다. 2 개의 재봉선(66,67)들이 제공되어 함께 정렬된 귀 부분들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에 정렬된다. 재봉은 함께 정렬된 귀 부분들을 통과할 것이며 또한 외측의 주위 부분 또는 메인 개스 유동 도관(61)을 통하여 통과한다. 귀 부분들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그리고 재봉은 귀 부분들의 자유 가장자리에 근접하기 때문에, 재봉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을 사실상 관통하지 않을 것이다.
귀 부분들이 뒤로 접혀질 때, 위에서 설명되었던 통공들은 함게 정렬되지 않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귀 부분(51)의 경우에, 귀 부분 안에 제공된 통공(54)은 외부 또는 메인 개스 유동 도관(61)의 측벽 안에 형성된 통공(62)과 함께 정렬되고 내부 개스 유동 도관 안에 제공된 통공(55)과 함께 정렬된다. 따라서 조립 과정 동안에 함께 정렬된 통공을 통하여 후크(hook)를 삽입할 수 있으며, 내부 개스 유동 도관(50)이 적절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후크는 다른 통공(56)(또는 만약 2 개의 그러한 다른 통공들이 제공된다면, 통공들 양쪽과)과 맞물릴 수 있다. 이것은 조립 과정 동안에 그리고/또는 다음의 접음 과정 동안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스러울 수 있다. 정렬된 통공들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이 정확하게 정위치에 삽입되었는지를 점검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내시경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를 에어 백의 안으로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여 점검하게 된다. 개스 발생기가 정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함께 정렬된 통공들은 개스 발생기 또는 개스 발생기 하우징에 의해 덮여진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에어 백의 팽창 동안에, 함께 정렬된 통공을 통하여 누설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현예에 있어서, 내부 개스 유동 도관(70)이 제공된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에, 2 개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탭(71,72)들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내부 개스 유동 도관(70)의 단부를 지나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탭들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며내부 개스 유동 도관(70)의 반대편 측부상에 있다.
위에서 설명된 구현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내부 개스 유동 도관(70)은 메인 또는 외측 개스 유동 도관(80)의 안으로 삽입되는데, 이것은 팽창 가능한 커튼의 형태일 수 있는 에어 백의 일부를 형성한다. 외부 개스 유동 도관(80)에는 그것의 단부에 2 개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동일한 탭(81,82)들이 제공된다. 탭(81,82)들은 메인 또는 외부 개스 유동 도관(80)의 반대편 측부상에 위치된다.
내부 개스 유동 도관(70)이 메인 또는 외부 개스 유동 도관(80)내에 위치될 때, 내부 개스 유동 도관(70)의 반대편 측부상의 탭(71,72)들은 메인 또는 외부 개스 유동 도관(80)의 근접한 탭(81,82)들과 함께 정렬된다. 제 1 재봉(83)의 선은 탭(71,81)들을 연결시키며, 제 2 재봉(84)의 선은 탭(72,82)을 연결시킨다. 연결된 탭들은 개스 발생기가 에어 백에 연결될 때 외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 탭의 존재는 재봉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비한다"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된다"를 의미하며, "구비하는"은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되는"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등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개스 발생기로부터 팽창되어야 하는 에어 백 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이어지는 제 1 의 개스 유동 도관 및, 외부 개스 유동 도관내에 장착된 분리된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을 가지고, 내부 개스 유동 도관과,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은, 개스 발생기에 연결되어야 하는 영역에서, 함께 고정된 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2 개의 부위들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2 개의 개별 부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3.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은 직물의 2 개의 중첩된 층들로부터 형성되고,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은 직물의 2 개의 중첩된 층들로부터 형성되며,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을 형성하는 직물의 상부층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을 형성하는 직물의 상부 층의 부위에 고정되고,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물의 하부층은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물의 하부층의 부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부위들은 오프-셋(off-set)되어 있으며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내부 개스 유동 도관에는 돌출된 귀 부분들이 제공되며, 상기 귀 부분들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를 지나서 연장되고, 그리고 접힘선의 둘레에서 뒤로 접혀져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에 근접하여 놓이고, 귀 부분들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을 형성하는 직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6. 제 5 항에 있어서,
    각 귀 부분은 평탄해졌을 때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경보다 크지 않은 치수를 가지고, 각 귀 부분은 뒤로 접혀져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을 형성하는 직물의 개별 층에 근접해서 놓이고, 각 귀 부분은 근접하게 놓인 직물의 층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7. 제 5 항에 있어서,
    각 귀 부분은 평탄해졌을 때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직경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귀 부분들은 뒤로 접혀져서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외부에 근접하여 놓이며, 귀 부분의 일부는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위에 놓이지 않으며, 내부 개스 유동 도관의 위에 놓이지 않는 귀 부분의 일부는 함께 고정되고, 그리고 외부 개스 유동도관을 형성하는 직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된 귀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힘선에는 슬롯이 제공되며 에어 백에는 슬롯을 통과하도록 위치된 탭(tab)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9. 제 5 항 내지 제 8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귀 부분에는 통공이 제공되고, 외부 개스 유동 도관과 내부 개스 유동 도관에도 통공이 제공되어서 귀 부분 또는 각 귀 부분 안에 있는 통공은 외부 개스 유동 도관과 내부 개스 유동 도관 안에 있는 협동하는 통공과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내부 개스 유동 도관에는 돌출된 귀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공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위들은 내부와 외부 개스 유동 도관의 단부를 지나서 축방향으로 돌출한 축방향으로 연장된 탭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KR1020047002543A 2001-08-22 2002-08-06 에어 백 KR100893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20420A GB2378924B (en) 2001-08-22 2001-08-22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GB0120420.5 2001-08-22
PCT/SE2002/001426 WO2003018372A1 (en) 2001-08-22 2002-08-06 An air-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464A true KR20040044464A (ko) 2004-05-28
KR100893094B1 KR100893094B1 (ko) 2009-04-10

Family

ID=992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543A KR100893094B1 (ko) 2001-08-22 2002-08-06 에어 백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43941B2 (ko)
EP (2) EP1826072B1 (ko)
JP (1) JP4156511B2 (ko)
KR (1) KR100893094B1 (ko)
CN (1) CN1309596C (ko)
AT (2) ATE375900T1 (ko)
DE (1) DE60223046T2 (ko)
GB (1) GB2378924B (ko)
WO (1) WO2003018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8924B (en) 2001-08-22 2004-10-20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GB2389823A (en) 2002-06-21 2003-12-24 Autoliv Dev An airbag having a gusset of excess fabric between the gas inlet throat and the inflatable region of the bag
GB2390576B (en) 2002-07-12 2005-06-1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GB2393692A (en) 2002-10-01 2004-04-07 Autoliv Dev Air bag with reinforced apertures in gas duct
GB2399792A (en) 2003-03-24 2004-09-29 Autoliv Dev An air-bag mounting arrangement
GB2401835B (en) * 2003-05-19 2006-05-10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DE102004022740A1 (de) * 2004-05-07 2005-12-01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Einheit
DE102004042199A1 (de) * 2004-09-01 2006-03-09 Autoliv Development Ab Gaszuführlanze für ein Seitenairbagsystem eines Kraftfahrzeuge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DE102005001598A1 (de) 2005-01-12 2006-07-20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irbags
DE102005044563B4 (de) * 2005-09-17 2012-02-02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airbag mit definierter Entfaltungsrichtung
EP2033852B1 (de) 2007-09-10 2012-01-18 Autoliv Development AB Gasleitung
DE102007056137B4 (de) 2007-11-20 2015-05-13 TAKATA Aktiengesellschaft Gassack mit einem Einfüllstutzen und Gassackanordnung mit einem Gassack und einem Gasgenerator
US7963549B2 (en) * 2009-04-02 2011-06-21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cushion assemblies with modified throat portions
US8196952B2 (en) * 2009-09-02 2012-06-12 Autoliv Asp, Inc. Integrated airbag closing and inflator mounting members for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DE102009046841B4 (de) * 2009-11-18 2017-04-27 TAKATA Aktiengesellschaft Airbag für ein Kraftfahrzeug
US8007000B2 (en) * 2010-01-07 2011-08-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inflator bracket
US8505963B1 (en) 2012-02-24 2013-08-13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rap clamps
US8622423B1 (en) * 2012-09-11 2014-01-07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with heat shield
US8678440B1 (en) 2012-12-20 2014-03-25 Autoliv Asp, Inc. Retractor-lap pretensioner with single micro-gas generator
US8851508B1 (en) 2013-03-15 2014-10-07 Autoliv Asp, Inc. Delayed vent in airbag curtain
JP6500274B2 (ja) * 2015-09-01 2019-04-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
CN114620003B (zh) * 2022-03-25 2023-05-0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侧面安全气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4300B (en) * 1996-06-20 2000-05-0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JP3573601B2 (ja) 1997-07-09 2004-10-06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機能を有する装置
US6073961A (en) * 1998-02-20 2000-06-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nflatable side airbag curtain module
JPH11321535A (ja) * 1998-05-12 1999-11-24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3414255B2 (ja) * 1998-05-12 2003-06-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3876560B2 (ja) * 1998-08-20 2007-01-31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
US6530595B2 (en) * 1998-08-20 2003-03-11 Takata Corporation Protective cushion for vehicle occupant's head
JP2000085510A (ja) * 1998-09-14 2000-03-28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とインフレータとの連結構造
DE20003883U1 (de) * 1999-03-02 2000-08-17 Takata Corp Schutzkissen für den Kopf eines Fahrzeuginsassen
GB2357467B (en) * 1999-12-22 2003-05-21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DE20015065U1 (de) * 2000-08-31 2001-01-04 Trw Repa Gmbh Seitengassackmodul
JP3839252B2 (ja) * 2000-12-22 2006-11-0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GB2378924B (en) 2001-08-22 2004-10-20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EP1364839A3 (en) * 2002-05-24 2004-02-25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mproved curtain air ba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68268A (zh) 2005-01-19
JP4156511B2 (ja) 2008-09-24
WO2003018372A1 (en) 2003-03-06
EP1419071B1 (en) 2007-10-17
EP1826072A1 (en) 2007-08-29
CN1309596C (zh) 2007-04-11
EP1419071A1 (en) 2004-05-19
DE60223046T2 (de) 2008-07-31
JP2005500939A (ja) 2005-01-13
US7243941B2 (en) 2007-07-17
GB0120420D0 (en) 2001-10-17
GB2378924A (en) 2003-02-26
KR100893094B1 (ko) 2009-04-10
EP1826072B1 (en) 2011-10-19
ATE375900T1 (de) 2007-11-15
US20050001415A1 (en) 2005-01-06
GB2378924B (en) 2004-10-20
DE60223046D1 (en) 2007-11-29
ATE529306T1 (de)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094B1 (ko) 에어 백
ES2354926T3 (es) Módulo de airbag lateral.
US7316416B2 (en) Airbag and airbag device
US6302433B1 (en) Gas 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7055858B2 (en) Airbag device
JPH10297409A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H09295545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CN109591751B (zh) 头部保护气囊装置
EP1298015B1 (en) Airbag device
US6382664B1 (en) Passenger seat air bag
US5683109A (en) Two piece air bag with built in tether
JP6683663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およびその折り畳み方法
JP3879072B2 (ja) ガス発生器のための収容ポケットを有するエアバッグを備えた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4511528B2 (ja) エアバッグ
US6585290B2 (en) Diffuser for an air bag
JP2000159045A (ja) エアバッグおよ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H09323604A (ja) 乗員拘束装置用エアバッグ
JP2001354108A (ja) エアバッグ
JP3778034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3800702B2 (ja) エアバッグ
JPH08169294A (ja) 側突用エアバッグ
JP2008056030A (ja)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JP200814339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4030684B2 (ja) エアバッグ
JP2002187519A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