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104A -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104A
KR20040043104A KR10-2003-7007765A KR20037007765A KR20040043104A KR 20040043104 A KR20040043104 A KR 20040043104A KR 20037007765 A KR20037007765 A KR 20037007765A KR 20040043104 A KR20040043104 A KR 20040043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thermoplastic resin
particle diameter
average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끼아끼라
사또아끼오
미즈따도시오
미야따께노부오
유이고지
Original Assignee
카네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네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4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10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A)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 30∼95 중량부 (고형분) 의 존재하에 메타크릴산메틸 50∼100 중량%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 50∼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 70∼5 중량부를 1 단 또는 다단으로 중합하여 얻어지는 그라프트공중합체로서, 수용성 전해질을 사용하여 입자를 응집 비대시키면서 그라프트중합함으로써, 부타디엔계 고무의 평균입자경 (a) 에 대한 얻어지는 그라프트공중합체의 평균입자경 (b) 의 비, b/a 비가 2.9 이상이 되도록 제어한 그라프트공중합체 1∼30 중량부와, (B) 열가소성 수지 99∼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escription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을 개량하기 위해 종래부터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인 염화비닐계 수지의 경우, 부타디엔계 고무에 메타크릴산메틸이나 스티렌 등을 그라프트공중합한, 소위 MBS 수지가 내충격성 개량제로 사용되고 있다. 부타디엔계 고무의 입자경을 크게 함으로써 MBS 수지의 내충격성 부여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다양한 입자경 비대 (증대)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소42-22541호, 일본 특허공보 소47-4919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4-170458호 등에 입자경 비대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입자경 비대기술의 대부분은 입자경을 비대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응집제나 응집제를 사용한 중합방법에 적합하다. 이 분야에서의 내충격성 향상에 대한 요망은 여전히 강하여 MBS 수지의 개량이 거듭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화비닐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내충격성 개량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이 크게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게 향상된 내충격성 부여효과를 갖는 부타디엔계 고무함유 그라프트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의 존재하에, 메타크릴산메틸 50∼100 중량%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 50∼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을 1 단 또는 다단으로 중합하여 그라프트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에,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 중 고무입자의 평균입자경에 대해 얻어지는 라텍스 중 그라프트공중합체 입자의 평균입자경이 2.9 배 이상이 되도록 응집제에 의해 중합계중의 중합체 입자를 응집 비대시킴으로써, 동일한 평균입자경을 갖는 공지된 것과 비교하여 부타디엔 고무함유 그라프트공중합체의 내충격성 부여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A)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 30∼95 중량부 (고형분) 의 존재하에 메타크릴산메틸 50∼100 중량%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 50∼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 70∼5 중량부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그라프트공중합체로서,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의 평균입자경 (a) 에 대한 그라프트공중합체의 평균입자경 (b) 의 비, b/a 비가 2.9 이상이 되도록 수용성 전해질을 사용하여 중합계중의 중합체 입자를 응집 비대시킨 그라프트공중합체 1∼30 중량부 및, (B) 열가소성 수지 99∼70 중량부 [(A) 및 (B)의 합계가 10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를 제조하고,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 30∼95 중량부 (고형분) 및 수용성 전해질의 존재하에, 메타크릴산메틸 50∼100 중량%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 50∼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 70∼5 중량부를 유화중합하여 (부타디엔계 고무와 단량체 성분의 합계가 100 중량부),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의 평균입자경에 대해 2.9 배 이상의 평균입자경을 갖는 그라프트공중합체를 얻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현저하게 내충격성 부여효과가 개량된 그라프트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라프트공중합체는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 특히 염화비닐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염화비닐계 수지에 바람직하다.
그라프트중합에 사용되는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는 평균입자경 (a) 가 0.065㎛ 이하 (65㎚ 이하), 그 중에서도 0.060㎛ 이하, 특히 0.055㎛ 이하이며, b/a 비가 3.5 이상, 특히 4 이상이 되도록 그라프트중합중에 입자경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라프트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라텍스중의 그라프트공중합체의 평균입자경 (b) 는 0.1㎛ 이상 (100㎚ 이상), 특히 0.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타디엔계 고무는 부타디엔 60∼100 중량%, 이와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40∼0 중량% 및, 가교성 단량체 0∼5 중량% 로 이루어진다. 이 고무의 라텍스는 공지된 유화중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고무라텍스의 평균입자경은 사용하는 유화제량과 중합개시제량에 의해 제어된다. 고무라텍스의 평균입자경은 0.08∼0.04㎛, 특히 0.07∼0.05㎛ 이다.
부타디엔과 공중합가능한 비닐계 단량체로는, 예컨대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화합물, 아크릴산부틸 등의 탄소수 1∼5 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 및, 그 외의 비닐계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부타디엔계 고무는 가교 고무, 비가교 고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가교성 단량체로는, 분자중에 2 개 이상의 중합성 기를 갖는, 가교제로서 공지된 화합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메타크릴산알릴, 디비닐벤젠, 디알릴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가교성 단량체의 사용량은 단량체의 합계에 대해 0∼5 중량% 이다. 사용량이 5 중량% 를 초과하면 고무가 딱딱해져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공중합체는 상기 라텍스상 부타디엔계 고무의 존재하에 메타크릴산메틸 50∼100 중량% 와 이와 공중합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 50∼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을 수용성 전해질을 사용하여 현저하게 입자를 비대 (입경 증대) 시키면서, 1 단 또는 다단으로 첨가ㆍ중합하여 얻어진다. 그라프트중합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된다.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의 사용량은 라텍스 고형분 (부타디엔 고무) 과 단량체 성분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해 고형분으로 30∼9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5∼85 중량부이다. 사용량이 30 중량부 미만이 되면 염화비닐계 수지의 내충격성 개량효과가 작아지고, 95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라프트공중합체가 라텍스로부터의 응고회수시에 괴상화 (塊狀化) 되어 분말수지가 되지 않는다.
그라프트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이나 스티렌 유도체 (α-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 아크릴산에틸이나 아크릴산부틸 등의 탄소수 1∼12, 특히 1∼5 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메타크릴산알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용성 전해질은 고무입자를 그라프트중합중에 응집 비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예컨대 Na+, K+, Mg2+, Ca2+, Al3+, H+등이나, Cl-, Br-, SO4 2-, SO3 2-, NO2 -, NO3 -, PO4 3-, CO3 2-, OH-등의 이온에 해리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이나 유기산 등의 전해질보다 중합계에 첨가해도 시스템을 중성으로 유지할 수 있는 무기산염 등의 중성 전해질이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해질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NaCl, KCl, Na2SO4, CaCl2, AlCl3등을 들 수 있다. 전해질의 첨가량은 부타디엔계 고무와 그라프트 단량체 성분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해 0.5∼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잘응집 비대되지 않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라텍스의 안정성이 부족하여 중합스케일이 많아진다. 전해질은 통상, 그라프트중합 개시전에 중합계에 첨가하고, 그 후 신속하게 중합을 개시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중합체 입자가 응집 비대되면서 그라프트중합이 진행된다.
상기 조건하에서 그라프트중합함으로써 그라프트중합중에 중합체 입자의 응집이 일어나 입경이 증대된 그라프트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응집 비대는 부타디엔계 고무입자의 평균입자경을 a 로 하고, 그라프트공중합체의 평균입자경을 b 로 하여, b/a 의 값이 2.9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 되도록 실시한다. b/a 의 값이 2.9 미만인 경우에는 종래의 내충격성 개량제의 내충격성 개량수준에 그친다. b/a 의 값이 2.9 를 초과하면 그라프트공중합체의 내충격성 부여효과는 크게 향상된다. b/a 의 값을 2.9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비대전에 고무라텍스의 평균입자경 (a) 를 작게 하는 방법과 제조해야 하는 그라프트공중합체의 평균입자경 (b) 를 크게 하는 방법, 또 그것들의 조합이 있다. b 의 값을 0.2㎛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중합스케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부타디엔계 고무의 평균입자경 (a) 는 통상 0.07㎛ 이상이지만, 부타디엔계 고무중합에서의 유화제의 증량이나 중합개시제의 증량 등에 따라 0.06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타디엔계 고무의 평균입자경 및 얻어지는 그라프트공중합체의 평균입자경은 동적 광산란법에 의한 체적 평균입경으로 측정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에 산 및 (또는) 염을 첨가하여 응고시키고, 열처리, 세정, 탈수, 건조시킨 후, 염화비닐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99∼70 중량부에 대해, 얻어지는 분말상 그라프트공중합체 1∼30 중량부 (합계 100 중량부) 를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이 얻어져 성형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안정제, 충전제, 활제, 가소제, 착색제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가 배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카보네이트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염화비닐계 수지로는,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50 중량% 이상과 아세트산비닐이나 에틸렌 등의 염화비닐과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염소화염화비닐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 이상과 메틸아크릴레이트나 부틸아크릴레이트나 스티렌 등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수지로는,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스티렌-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α-메틸스티렌-말레이미드-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네이트계 수지로는 비스페놀계 폴리카보네이트,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계 수지로는, 나일론6, 나일론6ㆍ6, 나일론12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환상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 중,「부」및「%」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중량부」,「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물 200 부, 올레인산소다 1.8 부, 인산3칼륨 0.4 부, β-나프탈린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의 Na 염 0.2 부, 부타디엔 100 부를 혼합한 후, 40℃ 로 승온시켰다. 40℃ 에 도달한 후, 황산 제 1 철 (FeSO4ㆍ7H2O) 0.002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5 부,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소다 0.2 부, 파라메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1.0 부를 첨가하여 20 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평균입자경이 0.07㎛ 인 고무라텍스 (R-1) 를 얻었다.
고무라텍스 (R-1) 70 부 (고형분) 에 물 200 부와 10% Na2SO4수용액 1.5 부 (고형분) 을 혼합하여 60℃ 로 승온시킨 후, 황산 제 1 철 0.001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4 부, 포름알데이드술폭실산소다 0.2 부를 첨가하고, 메타크릴산메틸 20 부, 스티렌 5 부, 아크릴산부틸 5 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부의 혼합액을 4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1 시간 후 중합을 실시하여 평균입자경 0.23㎛ 의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1) 를 얻었다.
이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1) 를 염산으로 응고시키고, 열처리, 탈수, 건조를 실시하여 분말상 그라프트공중합체 (A-1) 를 얻었다.
중합도 700 의 염화비닐 수지 (가네부치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가네비닐 S1007) 100 부에 분말 그라프트공중합체 (A-1) 10 부, 옥틸주석메르캅타이드 2.0 부, 글리세린시놀레이트 0.5 부, 몬탄산에스테르 0.2 부를 블렌드하여 170℃ 의 롤로 5 분 동안 혼련한 후, 180℃ 의 열프레스로 15 분 동안 가압성형하여 두께 6㎜ 의 아이조드시험용 테스트피스를 얻었다. JIS-K7110 에 따라 아이조드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물 600 부, 올레인산소다 4.0 부, 인산3칼륨 0.4 부, β-나프탈린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의 Na 염 0.2 부, 부타디엔 100 부를 혼합한 후, 40℃ 로 승온시켰다. 40℃ 에 도달한 후, 황산 제 1 철 (FeSO4ㆍ7H2O) 0.002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5 부,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소다 0.2 부, 파라메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1.0 부를 첨가하여 12 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평균입자경이 0.05㎛ 의 고무라텍스 (R-2) 를 얻었다.
고무라텍스 (R-2) 70 부 (고형분) 에 물 300 부와 10% Na2SO4수용액 4.8 부 (고형분) 을 혼합하여 60℃ 로 승온시킨 후, 황산 제 1 철 0.001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4 부, 포름알데이드술폭실산소다 0.2 부를 첨가하고, 메타크릴산메틸 20 부, 스티렌 5 부, 아크릴산부틸 5 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부의 혼합액을 4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1 시간 후 중합을 실시하여 평균입자경 0.15㎛ 의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2) 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이조드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고무라텍스 (R-2) 70 부 (고형분) 에 물 300 부와 10% Na2SO4수용액 5.5 부 (고형분) 을 혼합하여 60℃ 로 승온시킨 후, 황산 제 1 철 0.001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4 부, 포름알데이드술폭실산소다 0.2 부를 첨가하고, 메타크릴산메틸 20 부, 스티렌 5 부, 아크릴산부틸 5 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부의 혼합액을 4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1 시간 후 중합을 실시하여 평균입자경 0.18㎛ 의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3) 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이조드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고무라텍스 (R-2) 70 부 (고형분) 에 물 300 부와 10% Na2SO4수용액 6.5 부 (고형분) 을 혼합하여 60℃ 로 승온시킨 후, 황산 제 1 철 0.001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4 부, 포름알데이드술폭실산소다 0.2 부를 첨가하고, 메타크릴산메틸 20 부, 스티렌 5 부, 아크릴산부틸 5 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부의 혼합액을 4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1 시간 후 중합을실시하여 평균입자경 0.21㎛ 의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4) 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이조드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고무라텍스 (R-1) 70 부 (고형분) 에 물 200 부와 10% Na2SO4수용액 0.8 부 (고형분) 을 혼합하여 60℃ 로 승온시킨 후, 황산 제 1 철 0.001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4 부, 포름알데이드술폭실산소다 0.2 부를 첨가하고, 메타크릴산메틸 20 부, 스티렌 5 부, 아크릴산부틸 5 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부의 혼합액을 4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1 시간 후 중합을 실시하여 평균입자경 0.10㎛ 의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11) 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이조드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고무라텍스 (R-1) 70 부 (고형분) 에 물 200 부와 10% Na2SO4수용액 1.2 부 (고형분) 을 혼합하여 60℃ 로 승온시킨 후, 황산 제 1 철 0.001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4 부, 포름알데이드술폭실산소다 0.2 부를 첨가하고, 메타크릴산메틸 20 부, 스티렌 5 부, 아크릴산부틸 5 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부의 혼합액을 4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1 시간 후 중합을 실시하여 평균입자경 0.18㎛ 의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12) 를 얻었다.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이조드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고무라텍스 (R-2) 70 부 (고형분) 에 물 300 부와 10% Na2SO4수용액 2.5 부 (고형분) 을 혼합하여 60℃ 로 승온시킨 후, 황산 제 1 철 0.001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4 부, 포름알데이드술폭실산소다 0.2 부를 첨가하고, 메타크릴산메틸 20 부, 스티렌 5 부, 아크릴산부틸 5 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부의 혼합액을 4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1 시간 후 중합을 실시하여 평균입자경 0.09㎛ 의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13) 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이조드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고무라텍스 (R-2) 70 부 (고형분) 에 물 300 부와 10% Na2SO4수용액 3.8 부 (고형분) 을 혼합하여 60℃ 로 승온시킨 후, 황산 제 1 철 0.001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4 부, 포름알데이드술폭실산소다 0.2 부를 첨가하고, 메타크릴산메틸 20 부, 스티렌 5 부, 아크릴산부틸 5 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부의 혼합액을 4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1 시간 후 중합을 실시하여 평균입자경 0.13㎛ 의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14) 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이조드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물 200 부, 올레인산소다 1.2 부, 인산3칼륨 0.4 부, β-나프탈린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의 Na 염 0.2 부, 부타디엔 100 부를 혼합한 후, 40℃ 로 승온시켰다. 40℃ 에 도달한 후, 황산 제 1 철 0.002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5 부,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소다 0.2 부, 파라메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1.0 부를 첨가하여 25 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평균입자경이 0.1㎛ 의 고무라텍스 (R-3) 를 얻었다.
고무라텍스 (R-3) 70 부 (고형분) 에 물 200 부와 10% Na2SO4수용액 1.5 부 (고형분) 을 혼합하여 60℃ 로 승온시킨 후, 황산 제 1 철 0.001 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애시드ㆍ2Na 염 0.004 부, 포름알데이드술폭실산소다 0.2 부를 첨가하고, 메타크릴산메틸 20 부, 스티렌 5 부, 아크릴산부틸 5 부 및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부의 혼합액을 4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1 시간 후 중합을 실시하여 평균입자경 0.18㎛ 의 그라프트공중합체 라텍스 (G-15) 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아이조드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고무입자경(a) (㎛) 그라프트입자경(b) (㎛) 전해질 b/a 아이조드강도(J/m)
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3실시예 4 0.070.050.050.05 0.230.150.180.21 Na2SO4Na2SO4Na2SO4Na2SO4 3.293.003.604.20 300330410610
비교예 1비교예 2비교예 3비교예 4비교예 5 0.070.070.050.050.10 0.100.180.090.130.18 Na2SO4Na2SO4Na2SO4Na2SO4Na2SO4 1.422.571.802.601.80 100150100140120
실시예 3 및 비교예 2 의 결과로부터, 그라프트공중합체의 평균입자경이 동일해도 b/a 비를 2.9 이상으로 조정함으로써 그라프트공중합체의 내충격성 부여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전해질에 의한 비대법을 채택하여 b/a 의 값을 2.9 이상으로 제어한 그라프트공중합체는 종래의 내충격성 개량제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개량된 내충격성 부여효과를 갖고, 이러한 그라프트공중합체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성형품을 부여한다.

Claims (7)

  1. (A)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 30∼95 중량부 (고형분) 의 존재하에 메타크릴산메틸 50∼100 중량%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 50∼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성분 70∼5 중량부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그라프트공중합체로서,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의 평균입자경 (a) 에 대한 그라프트공중합체의 평균입자경 (b) 의 비, b/a 비가 2.9 이상이 되도록 수용성 전해질을 사용하여 중합계중의 중합체 입자를 응집 비대시킨 그라프트공중합체 1∼30 중량부 및, (B) 열가소성 수지 99∼70 중량부 [(A) 및 (B)의 합계가 10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염화비닐을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염화비닐계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b/a 비가 3.5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b/a 비가 4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의 평균입자경 (a) 가 0.065㎛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의 평균입자경 (a) 가 0.06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부타디엔계 고무라텍스의 평균입자경 (a) 가 0.055㎛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2003-7007765A 2001-10-12 2002-10-08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0400431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5771A JP2003119396A (ja) 2001-10-12 2001-10-12 耐衝撃性の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JP-P-2001-00315771 2001-10-12
PCT/JP2002/010429 WO2003033595A1 (fr) 2001-10-12 2002-10-08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dotee d'une excellente resistance aux choc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104A true KR20040043104A (ko) 2004-05-22

Family

ID=1913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765A KR20040043104A (ko) 2001-10-12 2002-10-08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68034A1 (ko)
EP (1) EP1445285A4 (ko)
JP (1) JP2003119396A (ko)
KR (1) KR20040043104A (ko)
CN (1) CN1290929C (ko)
TW (1) TWI298344B (ko)
WO (1) WO2003033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7094A (ja) * 2001-04-19 2002-10-3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A2529392C (en) * 2003-07-02 2012-10-16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Textured surface coating for gloves and method of making
ATE474872T1 (de) * 2004-11-22 2010-08-15 Arkema Inc Schlagzäh modifiziert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EP1834988B1 (en) * 2004-12-27 2011-02-09 Kaneka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O2006070593A1 (ja) * 2004-12-27 2006-07-06 Kaneka Corporation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1128518A (zh) * 2005-02-28 2008-02-20 株式会社钟化 凝固胶乳粒子的制备方法
US20080176974A1 (en) * 2005-02-28 2008-07-24 Takashi Ueda Process for Producing Coagulated Latex Particle
WO2007013305A1 (ja) 2005-07-28 2007-02-01 Kaneka Corporation 凝固ラテックス粒子の製造方法
CN101384668A (zh) 2006-02-16 2009-03-11 株式会社钟化 热塑性树脂组合物
JPWO2007105717A1 (ja) 2006-03-16 2009-07-30 株式会社カネカ 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2581421A1 (en) 2011-10-12 2013-04-17 Ineos Europe AG Additive
CN114736335A (zh) * 2022-04-01 2022-07-12 威海金合思化工有限公司 一种高橡胶相内核增韧剂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01547A (en) * 1982-07-13 1986-03-04 Akira Takaki Graft copolymer useful as reinforcements for vinyl chloride polym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S60235854A (ja) * 1984-05-08 1985-11-2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耐溶剤性に優れた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634691B2 (ja) * 1990-11-02 1997-07-30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US5534594A (en) * 1994-12-05 1996-07-09 Rohm And Haas Company Preparation of butadiene-based impact modifiers
WO1997002295A1 (fr) * 1995-07-04 1997-01-23 Mitsubishi Rayon Co., Ltd. Processus de floculation de latex d'elastomere-caoutchouc de polymere de diene permettant d'augmenter la taille des particules, polymere greffe et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JPH111522A (ja) * 1997-06-11 1999-01-0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耐衝撃性に優れた高ゴム含量グラフト共重合体およ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0929C (zh) 2006-12-20
TWI298344B (ko) 2008-07-01
JP2003119396A (ja) 2003-04-23
EP1445285A4 (en) 2005-08-10
US20040068034A1 (en) 2004-04-08
EP1445285A1 (en) 2004-08-11
CN1476470A (zh) 2004-02-18
WO2003033595A1 (fr) 200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9685A (en) Process for preparing an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graft copolymer composition
KR20040043104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EP1142951B1 (en) Impact modifiers for thermoplastic resins
US6747124B2 (en) Process for working up emulsion polymers
EP0066382B1 (en) Bulk flowable impact modifier particles, processes for making them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629660B1 (en) Process for preparing synthetic resin powder having improved blocking resistance
KR20020026571A (ko) 분체 특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637759B2 (ja) グラフト重合体の製造法
US5574110A (en) Processes for preparing polymeric gloss modifier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unds containing same
KR100610719B1 (ko) 분체특성이 개량된 염화비닐 수지용 내충격성 개량수지
EP0284428B1 (en) Graft copolymer and styrene based resin composition
US5612420A (e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ic gloss modifier
JP2634691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US20070027256A1 (en) Styrenic thermoplastics composition
JP3107637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S603969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641082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2003009632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1394211A1 (en) Impact Modifi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powder characteristics
AU662860B2 (en) Processes for preparing polymeric gloss modifier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unds containing the same
KR100370895B1 (ko) 분말특성이개선된고무함유그라프트공중합체조성물
KR930002705B1 (ko) 내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JPS6154810B2 (ko)
JPH0519480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1868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