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243A -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243A
KR20040038243A KR1020020067129A KR20020067129A KR20040038243A KR 20040038243 A KR20040038243 A KR 20040038243A KR 1020020067129 A KR1020020067129 A KR 1020020067129A KR 20020067129 A KR20020067129 A KR 20020067129A KR 20040038243 A KR20040038243 A KR 20040038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tree
antioxidant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호
김영진
오흥석
심태흠
정경진
신인철
사재훈
박재길
김철훈
전호영
Original Assignee
(주)마이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마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020067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243A/ko
Publication of KR2004003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2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Rosa davuricaPall.)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로부터 추출되어 항산화 활성물질인 카테친(catech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한 것으로, 피부노화를 예방 및 지연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고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로션), 에센스, 크림, 팩, 클렌징 등의 기초화장료 뿐만 아니라 색조화장료 및 두발용 화장료 등 광범위한 범위의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Anti-oxidation or anti-aging skin cosmetic composition for containing the extracts of Rosa davurica Pall}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Rosa davuricaPall.)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로부터 추출되어 항산화 활성물질인 카테친(catech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한 것으로, 피부노화를 예방 및 지연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고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도 화장품은 단순히 얼굴의 잡티를 가리고, 얼굴의 색감정도를 조절하여 좀더 아름답게 보이고자 하는 것으로 소비자에게 인식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내 화장품법에서는 화장품의 용도는 이 이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다기능 및 고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바, 다양한 방법 및 재료를 이용한 다기능 또는 고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내 화장품 제조법에서도 화장품을 단순히 피부청결 또는 미용 등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진일보해 화장품의 범위를 매력을 주고 용모를 변화시켜주고 피부건강을 증진시키는 것 등으로 개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영역에 대한 화장품의 연구를 법적으로 뒷받침해주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원료들은 대부분 선진 외국에서 수입하여 이용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이에, 고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국내 자체 개발 및 생산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무수한 약용식물들이 고기능성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식물자원 등을 기능성 원료로 개발 및 사용함으로써 화장품의 고기능성 추구라는 세계적 추세에 진일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생체 내에서 대사의 부산물로서 생성되는 산화제 또는 자유라디칼의 공격과 이에 대한 항산화제의 방어는 서로 밀접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항산화제 방어는 완벽하지 못하므로, 생체 내에는 잔여의 산화제 또는 자유라디칼이 존재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생체 구성분자들인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분자들은 계속적으로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된다. 이들 산화반응 산물은 나이와 더불어 촉진되는데, 자유라디칼에 의한 이러한 산화적 손상이 노화 그 자체의 원인이 된다는 학설이 자유라디칼설(free radical theory)이다〔Harman, D.,(1956) J. Gerontol. 11, 298-300 ; Harman, D.,(1992) Ann. N. Y.Acage. Sci. 673, 126-141 ; Richter, C. et. al.,(1992)Proc. Natl. Acad. Sci.USA, 95, 6465-6467 ;Oliver, C. N. et. al.,(1987)J. Biol. Chem. 262, 5488-5491 ; Brunk, U. T. et. al.,(1992) Mutat. Res. 275, 395-403〕.즉, 피부의 노화(aging)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한 생체물질의 산화적 손상에 기인하는 것이라는 학설이다.
자유라디칼 혹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은 홀수전자를 갖는 원자나 원자단으로, 짝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며, 에너지가 높고, 따라서 반응성이 크다. 이러한 자유라디칼로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 히드록실 라디칼(ㆍOH), 과산화수소(H2O2) 등의 활성산소종과, 생체 내에서 이차적으로 생성되는 종류들, 예를 들면 LOOㆍ, ㆍNO, HOCl 등이 있다.
이들 활성산소종들은 각종 성인병과 노화, 특히 피부 노화의 원인으로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태양광선에 매일 노출되는 신체 부분이 과량의 자외선에 노출되게 되면, 자외선의 작용으로 피부에 과잉의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활성산소가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체내의 활성산소 혹은 자유라디칼은 항산화계 효소와 글루타치온(glutathione), 비타민 E, 비타민 C,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유비퀴놀/퀴논(ubiquinol/quinone, coenzyme Q) 등과 같은 비효소계 항산화제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합성 항산화제로 BHT(butylated hydroxytoluene) 및 BHA(butylated hydroxyanisole), Troxal-C 등의 항산화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합성 항산화제는 항산화 효과는 뛰어나지만, 그의 변이원성 및 독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고,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이나 디엘-알파-토코페롤(dl-α-tocopherol)등은 항산화력이 합성 항산화제에 비하여 약하거나 쉽게 산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천연의 생물 자원으로부터 산화제 또는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기능의 항산화제를 획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기존의 합성 항산화제들에 비하여 안전하고, 유용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항산화력을 지닌 식물자원의 발굴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용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산화제 또는 자유라디칼을 제거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을 검색하고자, 국내 자생식물 300여 종을 대상으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생열귀나무의 추출물이 강력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자들은 생열귀나무의 열매, 잎, 줄기 및 뿌리 등을 다양한 추출용매로 추출한 후 이를 감압농축하여 제조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또는 이를 물에 현탁하고 다양한 용매로 분획추출한 용매분획물에 대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및 자외선 흡수활성을 측정하여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이 카테친(catechin)이라는 것과,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였을 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카테친 성분의 안정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다양한제형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제 및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탁월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카테친 성분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화제 또는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탁월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카테친 성분을 함유하고, 기초화장료, 색조화장료 또는 두발용 화장료 등의 제형을 갖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의 추출물을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다양한 제형의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친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열귀나무(Rosa davuricaPall.)는 장미과(Rosacea)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우리나라, 일본, 만주 및 시베리아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식용으로 이용하였으며, 뿌리와 열매의 약용효과로서 건위이기와 양혈조경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소화불량, 기대복사, 위통, 월경부조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유용한 약용식물자원이다〔육창수(1989), 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 p272〕. 생열귀나무의 열매는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의 함량이 레몬에 비하여 10∼30배 가량 높고, 베타-카로틴(β-carotene)의 함량이 당근에 비하여 8∼10배 가량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신국현 등(1995), 한국약용작물학회, 3, 21-24〕. 또한, 생열귀나무 열매의 과피에서는 베툴리닉 애시드(betulinic acid), 알피톨릭 애시드(alphitolic acid), 올레아놀릭 애시드(oleanolic acid), 마스리닉 애시드(maslinic acid), 우르솔릭 애시드(ursolic acid), 포몰릭 애시드(pomolic acid), 토르멘틱 애시드(tormentic acid), 유스카픽 애시드(euscaphic acid) 등의 테트라사이클릭 트리테르펜(tetracyclic triterpene)과 케르세틴(quercetin), 하이페린(hyperin), 틸리로사이드(tiliroside)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이 분리되어 보고된 바 있다〔Kuang, H. et. al.,(1989),Chem. Pharm. Bull., 37, 2232-2233〕.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생열귀나무의 열매, 잎, 줄기, 뿌리 등의 모든 부위로부터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산화 활성이 뿌리 > 줄기 > 잎 > 열매 순으로 탁월하므로, 뿌리 또는 줄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통상적인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열귀나무를 부위별로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미세한 분말로 만든 후, 여기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실온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의 저급알코올, 물과 저급알코올의 혼합용매, 아세톤, 부탄올,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추출용매의 사용량으로는 생열귀나무 미세분말 1kg에 대하여 5∼20L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추출한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생열귀나무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으로 용매분획하여 분획추출물을 획득한 다음, 각각의 용매분획물을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1∼10.0 중량%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물질인 카테친(catech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카테친 성분은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첨가 혼합하여 제조한 피부 화장료 제형 내에서 장기간동안 매우 안정하게 유지되므로,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 및 효과가 장기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탁월하고, UVA 또는 UVB 등 자외선 흡수효과가 매우 뛰어나, 자유라디칼 또는 자외선으로 인한 노화를 예방 및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국내 자생천연식물자원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이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로션), 에센스, 크림, 팩, 클렌징 또는 보디오일 등의 기초화장료;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또는 메이크업베이스 등의 색조화장료 및 샴푸, 린스, 헤어콘디셔너 또는 헤어젤 등의 두발용 화장료의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시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제조 및 항산화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생열귀나무를 열매, 잎, 줄기 및 뿌리 등의 부위별로 절제하고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여 미세분말 상태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미세분말 1kg을 에탄올, 메탄올, 클로로포름 그리고 물 4가지의 추출용매 5L에 각각 넣고 4∼40℃에서 5일간 2회 반복 추출한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냉각 콘덴서가 부착된 감압농축장치에서 농축하여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추출수율
생열귀나무 부위 추출수율 (%, weight/weight)
에탄올 메탄올 클로로포름
열매 3.1 4.2 0.9 8.6
15.2 23.3 5.5 26.0
줄기 3.7 7.3 0.8 8.0
뿌리 7.5 15.3 0.4 13.0
〔실시예 2〕생열귀나무 뿌리의 용매분획물의 제조
하기 시험예 1로부터 상기 생열귀나무 추출물 중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가장 탁월한 것으로 밝혀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항산화 활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유기용매에 의한 용매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즉 잘게 세절하여 음건한 후 미세분말화한 생열귀나무 뿌리 1kg를 메탄올 20L에 넣고 상온에서 3일간 냉침추출한 다음, 그 잔사를 메탄올 20L로 다시 추출하고, 추출물을 모두 모아 감압농축하여 생열귀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 256.01g을 획득하였다. 그 다음, 이 메탄올 추출물을 물 5L에 현탁시킨 뒤,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서로 용매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얻었다. 각 용매분획물의 최종수율(%)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 용매분획물의 추출수율
분획 용매 추출수율 (%, weight/weight)
헥산 1.22
클로로포름 1.23
에틸아세테이트 15.83
부탄올 15.55
30.65
〔실시예 3〕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제조
생열귀나무 뿌리를 세척하여 건조한 후, 분쇄한 미세분말 20g을 검체로 하여 에탄올로 추출할 때, 에탄올의 농도,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추출 용매량 등을 변화시키면서 추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 1단계. 생열귀나무 뿌리의 추출량에 미치는 에탄올 농도의 영향
상기의 생열귀나무 뿌리 분말 20g을 에탄올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20℃에서 3일간, 추출용매 400㎖에서 추출하고, 이를 감압농축 건조시켜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최종수율(%)을 표 3에 나타내었다. 50%∼75% 에탄올 농도에서 높게 추출되어졌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최종수율
에탄올 농도 (%) 추출물 최종수율 (%)(평균±표준편차)
0 13.01±2.21
25 17.56±0.73
50 20.80±0.63
75 18.13±0.59
100 12.21±0.28
제 2단계. 생열귀나무 뿌리의 추출량에 미치는 추출온도의 영향
생열귀나무 뿌리 분말 20g을 75% 에탄올 용액 400ml를 이용하여 추출온도를 달리하면서 3일간 추출하고 이를 감압농축건조시켜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얻어진 추출물들의 최종수율(%)을 표 4에 나타내었다.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추출물의 최종수율은 높아졌다.
추출온도에 따른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최종수율
추출온도 (%) 최종수율 (%)(평균±표준편차)
4 14.03±0.44
20 15.78±0.16
40 16.93±1.53
60 18.39±1.29
80 20.20±1.70
제 3단계. 생열귀나무 뿌리의 추출량에 미치는 추출용매량의 영향
생열귀나무 뿌리 분말 20g을 75%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용매량을 달리하면서 20℃에서 3일간 추출하고, 감압농축건조시켜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의 최종수율(%)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추출용매량이 증가할수록 추출물의 최종수율(%)이 증가하였다.
추출용매량에 따른 생열귀나무 뿌리의 최종수율
추출용매량 (㎖) 최종수율 (%)(평균±표준편차)
100 10.24±0.42
200 13.31±0.57
300 15.49±0.38
400 16.41±0.33
500 17.38±0.18
제 4단계. 생열귀나무 뿌리의 추출량에 미치는 추출기간의 영향
생열귀나무 뿌리 분말 20g을 75%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기간을 달리하면서 20℃에서 3일간 추출하고, 감압농축건조하여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얻어진 추출물들의 최종수율(%)을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5일동안 추출시 최대로 추출물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기간에 따른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최종수율
추출기간 (일) 최종수율 (%)(평균±표준편차)
1 13.78±0.23
2 14.98±0.13
3 15.73±0.42
5 15.90±0.56
7 15.71±0.21
이상의 실시예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생열귀나무 뿌리를 대상으로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 시료를 분말화하여 시료중량의 10배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20℃ 이상에서, 25∼75%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1〉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작용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따라 항산화 활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0.2mM 1,1-디페닐-2-피크릴 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메탄올 용액 1㎖에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적당한 농도(0∼0.5㎎)로 희석시킨 메탄올 용액 4㎖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OD51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즉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값을 50% 감소시키는 추출물의 양(농도)(IC50: ㎍)으로 나타내었다.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열귀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IC50: 2.9㎍)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부위별 항산화활성은 뿌리 > 줄기 > 잎 > 열매 순으로, 모든 생열귀나무 추출물이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용매별로는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제외하고, 모든 용매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IC50: ㎍)
에탄올 메탄올 클로로포름
생열귀나무 부위 열매 21.5 13.9 >200.0 9.6
11.5 6.4 >200.0 4.8
줄기 5.6 3.9 21.2 5.6
뿌리 3.7 2.9 76.9 5.2
항산화제 BHT 5.4
비타민-C 4.2
비타민-E 3.3
〈시험예 2〉생열귀나무 뿌리 용매분획물들의 자유라디칼 소거작용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 용매분획물들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 용매분획물들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분획물 자유라디칼 소거작용 (IC50: ㎍)
분획물 헥산 >400.0
클로로포름 8.0
에틸아세테이트 1.7
부탄올 2.0
11.3
항산화제 BHT 5.4
비타민-C 4.2
비타민-E 3.2
표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IC50: 1.7㎍)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그 다음이 부탄올 분획물 > 물 분획물 > 클로로포름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헥산 분획물에서는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시험예 3〉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들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상기 시험예 2에서 기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9∼12에 나타내었다. 이때, 항산화활성은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값을 50% 감소시키는 추출물의 농도로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들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추출온도, 추출용매량, 및 추출기간에 의해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에탄올 함량 (%)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IC50: ㎍)
0 7.4
25 4.7
50 3.8
75 3.6
100 3.1
추출온도에 따른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추출온도 (℃)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IC50: ㎍)
4 3.1
20 4.1
40 4.5
60 3.1
80 3.4
추출용매량에 따른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추출용매량 (㎖)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IC50: ㎍)
100 3.7
200 5.0
300 4.2
400 5.3
500 4.3
추출기간에 따른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추출기간 (일)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IC50: ㎍)
1 5.5
2 3.7
3 5.1
5 4.6
7 4.0
〈시험예 4〉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자외선(UV) 흡수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들의 자외선 흡수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외선 UVB와 UVA 영역에서의 흡광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UVB (280∼320nm)는 피부염증 유발영역(erythema action spectrum)으로 308nm가 최대치를 나타내므로, 308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UVB 차단효과를 분석하였으며, UVA(320∼400nm)에서는 35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UVA 차단효과를 분석하였다.
자외선 흡수효과 실험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최종농도가 0.1㎎/㎖가 되도록 메탄올에 용해한 후, 308nm와 350nm에서 흡광도를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이때, UVA 및 UVB의 흡광계수(E%cm)는 1cm cell에서 1% 추출물에 대한 흡광도로 정하였다.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들의 자외선 흡수효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들의 자외선 흡수효과
추출물 E%cm at 308nm E%cm at 350nm
합성 자외선 차단제 Octyl methoxy cinnamate 924.4 16.9
Dioxybenzone 412.6 208.5
Oxybenzone 423.8 216.1
열매 에탄올 36.7 19.3
메탄올 33.3 15.0
클로로포름 43.7 26.0
59.1 30.2
에탄올 56.1 39.2
메탄올 61.0 37.8
클로로포름 61.3 37.5
88.3 57.1
줄기 에탄올 34.6 14.2
메탄올 32.5 11.6
클로로포름 72.8 48.3
39.8 18.3
뿌리 에탄올 48.5 14.1
메탄올 53.2 13.0
클로로포름 35.3 16.9
69.2 36.7
[보기] E%cm은 1cm cell에서 1% 추출물에 대한 흡광도로 나타내었다.
표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의 모든 부위의 추출물이 자외선 흡수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잎의 물 추출물의 UVB 영역에서의 흡광계수가 88.3으로 매우 높게 측정되었다.
〈시험예 5〉생열귀나무 뿌리 분획물들의 자외선(UV) 흡수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 분획물들의 자외선 흡수효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 분획물들의 자외선 흡수효과
분획물 E%cm at 308 nm E%cm at 350 nm
합성 자외선 차단제 Octyl methoxy cinnamate 924.4 16.9
Dioxybenzone 412.6 208.5
Oxybenzone 423.8 216.1
메탄올 추출물 44.7 17.9
헥산 분획물 7.5 2.5
클로로포름 분획물 35.8 13.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75.9 24.2
부탄올 분획물 63.1 24.1
물 분획물 23.1 9.0
[보기] E%cm은 1cm cell에서 1% 추출물에 대한 흡광도로 나타내었다.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자외선 흡수효과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그 다음이 부탄올 분획물 > 클로로포름 분획물 > 물 분획물 순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6〉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생열귀나무 뿌리 분획물 중 항산화 활성성분 카테친의 함량
생열귀나무의 항산화 활성 주성분인 카테친(catechin)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정량을 위하여 추출물 10㎎을 취하여 이동상(H2O-CH3CN-TFA=80:20:0.1) 용매 10㎖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여과한 뒤 HPLC의 검액으로 하였다. 이때, 컬럼은 μ-Bondapack C18(3.9×300mm), 검출기는 UV 280 nm, 유량은 1.0 ㎖/min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생열귀나무 뿌리 분획물 중 항산화 활성성분인 카테친의 함량 분석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부위별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생열귀나무 뿌리 분획물 중 카테친의 함량
시 료 카테친 함량 (%)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 열매 0.70 0.87 0.77
3.49 7.68 8.66
줄기 2.56 2.35 4.47
뿌리 3.97 5.50 4.05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33.4
부탄올 10.5
〈시험예 7〉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조성물 중 사용기간에 대한 항산화 활성성분인 카테친의 확인시험
생열귀나무의 항산화활성 주성분인 카테친(catechin)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정량조건은 시그마(Sigma)사에서 구입한 카테친((+)-Catechin, C15H14O6) 10㎎을 정밀하게 취하여 용매 20% 아세토니트릴 50㎖를 넣고 초음파로 충분히 분산시킨 다음 여과하여 용매 20% 아세토니트릴을 넣어 정확히 100㎖로 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하기 제형예에서 상기 성분들 중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제형예에서 상기 성분들 중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의 양(%)은 각각의 화장료에 대하여 10.0중량%로 하여 제조하고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화장료 조성물 1.0g을 정밀하게 달아 용매 20% 아세토니트릴 50㎖을 넣어 초음파로 충분히 분산시킨 다음 여과하여 용매 20% 아세토니트릴을 넣어 정확히 100㎖로 하여 검액으로 하였고, 화장료의 희석비율은 용해상태에 따라 각각 달리하였다. 이때 컬럼은 μ-Bondapack C18(4.6×250mm), 검출기는 UV 280nm, 이동상은 0.7% 초산수용액 : 메탄올 = 75 : 25, 유량은 1.0 ㎖/min으로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성분 카테친의 함량 분석조건은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기밀용기를 사용하여 보관온도 40±2℃, 상대습도 75±5%에서 보관하여 시험개시 때를 포함하여 6개월 동안 일정한 간격의 3개 시점으로 하여 확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중 항산화 활성성분인 카테친의 함량 분석결과와 함량변화 결과를 표 16 및 표 17에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중 항산화 활성성분인 카테친의 함량
화장료 카테친 함량 (ppm)*
시험시작일 3개월 6개월
스킨 5.699 5.518 4.911
로션 1.291 1.149 1.115
에센스 1.316 1.240 1.198
영양크림 1.159 1.126 1.021
마사지크림 1.062 1.054 1.018
0.883 0.867 0.794
클렌징로션 3.181 2.709 2.587
클렌징크림 2.427 2.421 2.384
클렌징오일 2.600 2.597 2.445
포밍클렌저 2.028 2.024 2.021
[보기]* : 카테친 함량은 시험시작일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중 항산화 활성성분인 카테친의 함량변화
화장료 카테친 함량변화 (%)*
시험시작일 3개월 6개월
스킨 100 98.55 86.17
로션 100 89.04 86.40
에센스 100 94.26 91.00
영양크림 100 97.14 88.13
마사지크림 100 99.28 95.89
100 98.14 89.93
클렌징로션 100 85.17 81.34
클렌징크림 100 99.74 98.25
클렌징오일 100 99.91 94.06
포밍클렌저 100 99.80 99.65
[보기] * : 카테친 함량 변화는 시험시작일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내었고,표시량에 대하여 80%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다양한 화장품 제형에서의 카테친의 함량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크게 감소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스킨)의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스킨)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스킨)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나무 추출물 10.0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1.0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3.0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2
구연산 0.05
구연산나트륨 0.35
라미나리아디기타타(Laminaria Digitata) 추출물 3.0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2
디프로필렌글리콜 3.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2
폴리옥시메칠렌경화피마자유(60E.O.) 0.06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E.O.) 0.1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 가함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스킨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스킨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화장수(로션)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화장수(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로션)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나무 추출물 10.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2
1.3-부틸렌글리콜 0.02
알란토인 3.0
라미나리아디기타타(Laminaria Digitata) 추출물 2.0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5.0
카보머 0.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7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5
소이레시틴 0.2
디메치콘 0.2
세칠옥타노에이트 3.0
쉐어버터 2.0
마카다미아넛오일 4.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트리데세뜨 3.0
트리에탄올아민 0.1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3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 가함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로션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 추출물 0.5
알란토인 0.05
맥아(malt) 추출물 15.0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라미나리아디기타타(Laminaria Digitata) 추출물 0.5
트리에탄올아민 0.2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7.0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15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폴리데세뜨 0.4
카보머 0.2
에탄올 3.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E.O.) 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 가함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에센스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나무 추출물 10.0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알란토인 0.1
라미나리아디기타타(Laminaria Digitata) 추출물 3.0
글리세린 5.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맥아(malt) 추출물 0.2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6.0
카보머 0.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7
폴리데센 2.0
스쿠알란 2.0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 3.0
세틸옥타노에이트 5.0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0.1
트리메칠펜탄디올/아디픽에씨드코폴리머 0.1
쉐어버터 0.2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3
사이클로메치콘 0.3
스테아릴디메치콘 0.5
폴리아크릴아미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스-7 0.55
트리에탄올아민 0.2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3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 가함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크림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마사지크림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마사지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나무 추출물 10.0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알란토인 0.1
라미나리아디기타타(Laminaria Digitata) 추출물 2.0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2.0
피이지-40 스테아레이트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카보머 0.1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0.3
탈크 1.0
산탄검 0.1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스쿠알란 1.0
쉐어버터 0.5
세칠옥타노에이트 10.0
마카다미아넛오일 2.0
호호바에스테르 2.0
사이클로메치콘 4.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폴리데세톤 1.0
트리에탄올아민 0.4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3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 첨가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마사지크림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6〉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팩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나무 추출물 10.0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베타인 3.0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 2.0
알란토인 0.1
라미나리아디기타타(Laminaria Digitata) 추출물 2.0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3.0
글리세린 3.0
디프로필렌글리콜 5.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폴리비닐알코올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E.O.) 0.9
세스퀴올레인산 0.3
호호바에스테르 2.0
세테아릴알코올 1.5
페트로라튬 0.5
폴리아크릴아미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스-7 0.7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2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 가함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팩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7〉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클렌징로션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클렌징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클렌징로션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나무 추출물 10.0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글리세린 4.0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2.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보머 5.0
세테아릴알코올 0.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쉐어버터 1.0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마카다미아넛오일 1.0
세스퀴올레인산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E.O.) 2.0
폴리데센 5.0
미네랄오일 20.0
디메치콘 5.0
스테아릴디메치콘 2.0
트리에탄올아민 0.05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2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을 가함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클렌징로션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클렌징로션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8〉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클렌징크림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클렌징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클렌징크림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나무 추출물 10.0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글리세린 4.0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2.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보머 5.0
세테아릴알코올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쉐어버터 1.0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마카다미아넛오일 1.0
세스퀴올레인산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E.O.) 2.0
폴리데센 5.0
미네랄오일 5.0
디메치콘 10.0
스테아릴디메치콘 4.0
트리에탄올아민 0.05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2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을 가함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클렌징크림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클렌징크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9〉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클렌징오일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클렌징오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클렌징오일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나무 추출물 10.0
올리브오일피이지-7에스테르 56.74
마카다미아넛오일 0.5
폴리데센 4.0
동백유 0.5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 3.0
호호바에스테르 4.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1.3-부틸렌글리콜 2.5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06
소듐락테이트 0.05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0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을 가함.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클렌징오일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클렌징오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0〉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포밍클렌저 제조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포밍클렌저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추출조건으로 제조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포밍클렌저의 제형
성분 함량 (%)
생열귀나무 추출물 10.0
정제스테아린산 7.0
미리스틱산 9.0
라우린산 4.5
팔미틱산 9.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글리세린 5.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3
수산화칼륨 6.5
알란토인 0.1
디프로필렌글리콜 0.1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4.0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100%가 되도록 적량을 가함.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포밍클렌저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포밍클렌저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물질인 카테친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산화제 또는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탁월하여 피부의 노화를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적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항산화 또는 항노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 식물자원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탁월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제조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생열귀나무 추출물(Rosa davuricaPall.)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카테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화장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화장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열매, 잎, 줄기 또는 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를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미세분말로 만든 후, 추출용매를 가하고 1∼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용액을 감압농축시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 메탄올 또는 메탄올 수용액,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1,3-부틸렌글리콜 또는 1,3-부틸렌글리콜 수용액,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노말 부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생열귀나무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여 획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열귀나무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은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 중 어느 하나를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로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클렌징, 보디오일등의 기초화장료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메이크업베이스등의 색조화장료 및 샴푸, 린스, 헤어콘디셔너 또는 헤어젤등의 두발용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10.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산화 또는 노화 방지 방법.
KR1020020067129A 2002-10-31 2002-10-31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040038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29A KR20040038243A (ko) 2002-10-31 2002-10-31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29A KR20040038243A (ko) 2002-10-31 2002-10-31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43A true KR20040038243A (ko) 2004-05-08

Family

ID=3733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129A KR20040038243A (ko) 2002-10-31 2002-10-31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24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54B1 (ko) * 2006-09-01 2010-02-11 (주)아모레퍼시픽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00203175A1 (en) * 2007-07-09 2010-08-12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DEGLYCATION OF AGEs
KR101043813B1 (ko) * 2010-12-16 2011-06-2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8862A (ko) 2014-07-15 2016-01-25 주식회사 래디안 생열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장벽 강화 및 염증 억제용 조성물
CN105997702A (zh) * 2016-07-05 2016-10-12 上海相宜本草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刺玫果提取物及其应用
CN108096118A (zh) * 2018-02-01 2018-06-01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山刺玫果实抗氧化面膜粉
KR20190047983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26653A1 (fr) * 2018-12-20 2020-06-25 L V M H Recherche Extrait de bois de rosier
KR20220013142A (ko) * 2020-07-24 2022-02-04 농업회사법인 원삼로즈힙 주식회사 생열귀 잎 추출물을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043A (ja) * 1992-08-17 1994-03-08 Kose Corp 皮膚外用剤
JPH0665044A (ja) * 1992-08-17 1994-03-08 Kose Corp 皮膚外用剤
KR20020010999A (ko) * 2000-07-31 2002-02-07 김석남 항산화 활성이 있는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반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20084429A (ko) * 2001-05-02 2002-11-09 주식회사 콧데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043A (ja) * 1992-08-17 1994-03-08 Kose Corp 皮膚外用剤
JPH0665044A (ja) * 1992-08-17 1994-03-08 Kose Corp 皮膚外用剤
KR20020010999A (ko) * 2000-07-31 2002-02-07 김석남 항산화 활성이 있는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반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20084429A (ko) * 2001-05-02 2002-11-09 주식회사 콧데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사재훈외,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보 12:47-60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54B1 (ko) * 2006-09-01 2010-02-11 (주)아모레퍼시픽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00203175A1 (en) * 2007-07-09 2010-08-12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DEGLYCATION OF AGEs
KR101043813B1 (ko) * 2010-12-16 2011-06-2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8862A (ko) 2014-07-15 2016-01-25 주식회사 래디안 생열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장벽 강화 및 염증 억제용 조성물
CN105997702A (zh) * 2016-07-05 2016-10-12 上海相宜本草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刺玫果提取物及其应用
KR20190047983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96118A (zh) * 2018-02-01 2018-06-01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山刺玫果实抗氧化面膜粉
WO2020126653A1 (fr) * 2018-12-20 2020-06-25 L V M H Recherche Extrait de bois de rosier
CN113316448A (zh) * 2018-12-20 2021-08-27 Lvmh研究公司 蔷薇木材提取物
KR20220013142A (ko) * 2020-07-24 2022-02-04 농업회사법인 원삼로즈힙 주식회사 생열귀 잎 추출물을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310980B1 (ko) 구기자 나무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704874B1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20100043655A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86669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청미래덩굴 추출물 함유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5505B1 (ko)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38243A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JP2012211120A (ja) 皮膚外用剤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9384A (ko) 레몬버베나 유래 액티오사이드 함유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90824B1 (ko) 색소가 제거된 닥나무 수피 추출물 및 천연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7655B1 (ko) 새싹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928A (ko) 깔라만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9338A (ko) 개나리 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3474A (ko) 폴리페놀계 포도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6234B1 (ko)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유래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KR101608882B1 (ko) 황금땅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6457B1 (ko) 리포익산이 다량 함유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조성물
KR101738009B1 (ko) 개오동나무 및 싸리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35329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