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813B1 -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813B1
KR101043813B1 KR1020100129014A KR20100129014A KR101043813B1 KR 101043813 B1 KR101043813 B1 KR 101043813B1 KR 1020100129014 A KR1020100129014 A KR 1020100129014A KR 20100129014 A KR20100129014 A KR 20100129014A KR 101043813 B1 KR101043813 B1 KR 101043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icone
weight
comparative example
bio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욱
김미성
박선기
안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주식회사 래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12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탄올 70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중량% 및 증류수 2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된 생열귀(Rose davurica Pall.) 추출물을 함유하고, 오존에 의한 피부 손상에 대하여 방어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을 하는 화장료 조성물 개시한다.

Description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Rose davurica Pall.}
본 발명은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70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중량% 및 증류수 2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된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의 급격한 팽창, 자동차 보유대수의 증가 및 난방 등으로 인하여 대기오염의 심각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질소화합물에 의한 오존층의 파괴와 대기오염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오존의 대기오염이 증가되어 오존주의보를 발령하는 실정이므로,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대기오염도가 높아질수록 다양한 피부질환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대도시에서의 대기오염 관련 피부질환 환자수가 농어촌 지역보다 많으며 매년 피부질환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전체 환자의 수가 증가함으로 비춰볼 때 알 수 있다. 특히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오존과 이산화질소는 다양한 피부질환을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최근에 와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오존은 피부에서의 비타민C와 E의 파괴를 유도하고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초래하여 피부노화를 촉진하고 결국 피부질환을 유발하며, 이산화질소는 피부에서의 질소아민을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을 유발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오존과 이산화질소에 대한 피부손상 관련 연구는 거의 진행된 바 없으며 이러한 사정으로 관련 기술이나 제품이 개발되어 있지도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생열귀 추출물의 오존에 대한 피부 손상 방어 효능에 대하여 예의연구한 결과,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며 오존에 의한 피부 손상에 대하여 방어효능을 갖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한편, 유화 화장료는 통상적으로 수중유(O/W)형과 유중수(W/O)형으로 크게 대별된다. 이 중 수중유(O/W)형은 사용감이 촉촉하고 부드러우나, 지속성과 내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유중수(W/O)형은 지속성과 내수성은 우수하지만, 끈적임, 유분감 등으로 인하여 피부에 부담을 주며 발림성, 퍼짐성 등의 사용감이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다.
실리콘 오일은 그 분자량과 구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탄력적이며 입체적인 특유의 구조로 인하여 매우 가볍고 전연성, 퍼짐성 등의 사용감 및 피부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내수성과 에몰리언트 효과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화장료에 이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으며, 실리콘 오일을 외상으로 이용한 실리콘중수(W/S)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수용성인 생열귀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유중수(W/O)형 및 수중유(O/W)형의 피부 표현류 및 색조 화장료에 사용시에는 가능량에 한계가 있었다. 최근 소비자들은 점차 밝고 투명한 화장료를 각광하고 있다. 생열귀 추출물은 우수한 효능 성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진한 색상을 띄고 있어 색조 화장료에 효능 농도 이상 사용시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활성탄, 감마선 처리등을 통한 탈색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생열귀 추출물의 생산 단가 상승 초래는 물론이고 효능 성분의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생열귀 추출물의 완제품 적용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가 매우 뛰어난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 오염 방어능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성, 퍼짐성, 부착력 및 보습력이 현저하게 향상된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 70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중량% 및 증류수 2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된 생열귀(Rose davurica Pall.) 추출물을 함유하고 오존에 의한 피부 손상에 대하여 방어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에탄올 70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중량% 및 증류수 2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된 생열귀(Rose davurica Pall.) 추출물이 실리콘 오일에 포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칠사이클로헥사실록산, 아모디메치콘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5.0 내지 2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 폴리알킬 실록산, 폴리알킬아릴실록산 및 폴리에테르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상 분산매를 25.0 내지 55.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디메치콘/디메치콘 피이지-10/15,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디메치콘/디메치코놀,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코놀,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피이지-12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세테아릴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및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리콘 폴리머를 5.0 내지 2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점증제로써 잔탄검을 0.1 내지 2.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유화제로써 HLB( hydrophile lipophile balance) 넘버가 1~6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1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열귀 추출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생열귀나무( Rosa davurica Pall.)는 장미과(Rosacea)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우리나라, 일본, 만주 및 시베리아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식용으로 이용하였으며, 뿌리와 열매의 약용효과로서 건위이기와 양혈조경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소화불량, 기대복사, 위통, 월경부조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유용한 약용식물자원이다[육창수(1989), 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 p272]. 생열귀나무의 열매는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의 함량이 레몬에 비하여 10∼30배 가량 높고, 베타-카로틴(β-carotene)의 함량이 당근에 비하여 8∼10배 가량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신국현 등(1995), 한국약용작물학회, 3, 21-24]. 또한, 생열귀나무 열매의 과피에서는 베툴리닉애시드(betulinic acid), 알피톨릭 애시드(alphitolic acid), 올레아놀릭 애시드(oleanolic acid), 마스리닉 애시드(maslinic acid), 우르솔릭 애시드(ursolic acid), 포몰릭 애시드(pomolic acid), 토르멘틱 애시드(tormentic acid), 유스카픽 애시드(euscaphic acid) 등의 테트라사이클릭 트리테르펜(tetracyclic triterpene)과 케르세틴(quercetin), 하이페린(hyperin), 틸리로사이드(tiliroside)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이 분리되어 보고된 바 있다[Kuang, H. et. al.,(1989), Chem. Pharm. Bull ., 37, 2232-2233].
본 발명은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생열귀 추출물은 에탄올 70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중량% 및 증류수 2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열귀 추출물은 에탄올 70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중량% 및 증류수 2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됨에 따라 오존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매우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대기 오염에 대한 방어효능이 매우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의 재료가 되는 생열귀를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건조법으로는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의 재료가 되는 생열귀를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열귀를 분쇄하여 사용하면 추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열귀 추출물을 액체 상태로 사용할 수 있지만,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에탄올 70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중량% 및 증류수 2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된 생열귀(Rose davurica Pall.) 추출물이 실리콘 오일에 포접된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외상으로 이용하여 수용성 생열귀 추출물을 포접한 것이다.
생열귀 추출물은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진한 색상을 띄고 있어 색조 화장료에 효능 농도 이상 사용시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활성탄, 감마선 처리 등을 통한 탈색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생열귀 추출물의 생산 단가 상승 초래는 물론 효능 성분의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리콘 오일에 포접된 생열귀 실리콘은 본래의 진한 색상이 완화되어 탈색과정 없이 효능 농도로 생열귀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 퍼짐성이 매우 뛰어난 소재인 실리콘 오일로 포접된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수용성 생열귀 추출물에 비하여 퍼짐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항산화 성분을 지속적이고, 넓은 부위에의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불안정한 생열귀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은 대기중의 산소와의 반응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효능 성분을 안정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유화시킨 피부에 통기성 실리콘 유화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대기오염 방어능을 보유한 생열귀 추출물을 상기와 같이 실리콘오일을 통하여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로 제조하면 대기오염 방어능을 가진 실리콘 유화막이 피부에 형성되어 오염물질이 표면에 확산되는 것을 지연 및 차단할 수 있고, 이에 피부를 보호하는 생열귀 추출물의 대기오염 방어효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사용감에 있어서도 실리콘 오일이 함유된 생열귀 실리콘은 수용성 생열귀 추출물만을 적용할 때보다 발림성, 화장 지속성, 장기보존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유상 분산매로써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 폴리알킬 실록산, 폴리알킬아릴실록산,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상 분산매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5.0 내지 55.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유상 분산매가 25.0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생열귀 추출물을 포함한 수상의 중량이 조성물에서 다량을 차지하여 실리콘중수형(W/S)이 수중실리콘형(S/W)으로 전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유상 분산매가 55.0중량%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에는 오일이 용출되어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리콘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실리콘 폴리머로는 디메치콘/디메치콘 피이지-10/15,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디메치콘/디메치코놀,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코놀,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피이지-12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세테아릴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 폴리머를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5.0 내지 2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실리콘 폴리머를 조성물에 5.0중량%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전체 조성물의 분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2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분산상태로 제조하기가 힘들고 사용성 및 안정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로는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칠사이클로헥사실록산, 아모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20.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조성물에 5.0중량%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전체 조성물의 사용성 및 퍼짐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2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 조성물의 휘발성이 지나치게 향상되어 피부 건조로 비롯되는 피부당김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점증제로써 잔탄검과 같은 유화 안정제를 0.1 내지 2.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증제를 0.1중량%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점증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온도 변화에 따른 제형 불안정이 야기될 수 있으며, 2.0중량%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져 조성물 혼합 및 제조가 어렵고, 사용감이 무거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실리콘중수형(W/S) 유화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유화제로써 HLB(hydrophile lipophile balance) 넘버가 1~6으로 낮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피부 표현류 및 색조 화장료에 주로 사용되는 데세스류, 글리세레스, 라네스류, 이소라우레스류, 라우레스류 중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는 제형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생열귀 추출물, 아모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피이지-12 디메치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잔탄검 및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이크, 페이스파우다, 스킨커버 등의 피부 표현류 화장료와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브라우펜슬, 립라이너 펜슬 등의 색조 화장료에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0.5 내지 30중량%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가 매우 뛰어난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 오염 방어능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성, 퍼짐성, 부착력 및 보습력이 현저하게 향상된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 포함한다.
실시예 1 내지 9 : 생열귀 추출물의 제조
생열귀 100g을 세절하여 건조중량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에탄올 70g, 1,3-부틸렌글리콜 10g 및 증류수 20g 혼합하여 하기의 pH 및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에탄올 1,3 부틸렌글리콜 증류수 pH 온도
실시예 1 70 10 20 4 25
실시예 2 70 10 20 4 40
실시예 3 70 10 20 4 60
실시예 4 70 10 20 7 25
실시예 5 70 10 20 7 40
실시예 6 70 10 20 7 60
실시예 7 70 10 20 10 25
실시예 8 70 10 20 10 40
실시예 9 70 10 20 10 60
비교예 1 내지 36 : 생열귀 추출물의 제조
하기와 같이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증류수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9와 동일하게 생열귀를 추출하였다.
에탄올 1,3 부틸렌글리콜 증류수 pH 온도
비교예 1 10 40 50 4 25
비교예 2 10 40 50 4 40
비교예 3 10 40 50 4 60
비교예 4 10 40 50 7 25
비교예 5 10 40 50 7 40
비교예 6 10 40 50 7 60
비교예 7 10 40 50 10 25
비교예 8 10 40 50 10 40
비교예 9 10 40 50 10 60
비교예 10 30 30 40 4 25
비교예 11 30 30 40 4 40
비교예 12 30 30 40 4 60
비교예 13 30 30 40 7 25
비교예 14 30 30 40 7 40
비교예 15 30 30 40 7 60
비교예 16 30 30 40 10 25
비교예 17 30 30 40 10 40
비교예 18 30 30 40 10 60
비교예 19 50 20 30 4 25
비교예 20 50 20 30 4 40
비교예 21 50 20 30 4 60
비교예 22 50 20 30 7 25
비교예 23 50 20 30 7 40
비교예 24 50 20 30 7 60
비교예 25 50 20 30 10 25
비교예 26 50 20 30 10 40
비교예 27 50 20 30 10 60
비교예 28 90 0 10 4 25
비교예 29 90 0 10 4 40
비교예 30 90 0 10 4 60
비교예 31 90 0 10 7 25
비교예 32 90 0 10 7 40
비교예 33 90 0 10 7 60
비교예 34 90 0 10 10 25
비교예 35 90 0 10 10 40
비교예 35 90 0 10 10 60
실험예 1 : 오존에 의한 지질산화 확인실험(오존의 피부 유해성)
오존 발생기로는 '오존텍'에서 구입한 AOZ-1을 사용하였고, 분광 광도계로는 휴렛 패커드(Hewlett Packard) 제품인 HP 8453 UV-비저블 스펙트로포토미터(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였다.
오존은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고 pH와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더 빠른 속도로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장시간 오존 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오존 발생기로 오존을 발생시키면서 pH와 온도가 낮은 증류수(황산으로 pH 2로 맞춤)에 약 15-20분간 오존을 포화시켰다. 증류수(pH 2)를 블랭크로 잡고 여기에 오존수를 희석시켜 나타난 흡광(ε245nm = 3150 M-1cm-1) 수치를 가지고 오존수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실험에 따라 오존 발생기, AOZ-1을 이용해 오존 가스를 시료에 직접적으로 노출시켰으며, 농도는 오존농도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리포솜은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일정량의 아소렉틴(asolectin)을 헥산에 용해시킨 후 헥산을 질소 가스로 제거하였다. 이후, 0.1M 인산완충용액(pH 7.4)으로 지질의 농도가 20mg/㎖이 되게 용해시켜 리포솜으로 사용하였다.
오존수에 의한 리포솜(liposome)의 산화를 지질과산화물의 최종 산물인 말론디알데히드(MDA : malondialdehyde)의 검출로 확인하였다. 오존수의 농도를 50, 100, 200 uM가 되게 리포솜에 처리한 결과 지질산화의 정도가 각각 오존수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100%)에 비해서 232.796%, 489.552%, 1749.210 % 로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리포솜에 처리한 오존수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산화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100 uM 이상의 오존수를 처리한 경우에는 오존에 의한 지질산화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높은 농도의 오존에 의해 촉발된 지질의 산화가 급격한 연쇄반응을 통해 더욱더 많은 지질라디칼(ROO·, RO·)을 생성하여 지질산화를 증폭시킨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존이 지질의 산화를 유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생열귀 추출물의 오존 손상 방어능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36의 생열귀 추출물을 이용하여 오존에 의한 지질 산화 방어능을 평가하였다.
오존의 농도에 따른 리포솜의 지질 산화는 TBARS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인산완충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리포솜을 오존수와 NO2에 노출시켜서 일정시간 배양한 후 1% TBA , 28% TCA 를 첨가한 후 끓는 물에 5분간 반응시킨 후 얼음에 보관하였다. 그 후 부탄올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부탄올층과 수층을 분획한 후 부탄올층에서 소량의 시료를 취해 532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지질 산화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36의 생열귀 추출물을 처리한 리포솜에 160 uM 농도의 오존을 리포솜에 노출시킨 후 상기 방법으로 그 지질 산화의 정도를 측정하여 오존에 의한 지질 산화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추출물 농도 (100㎍/㎖) 지질 산화 억제 효과 (대조군 대비 %)
실시예 1 68.6
실시예 2 60.3
실시예 3 62.5
실시예 4 86.4
실시예 5 89.6
실시예 6 91.5
실시예 7 62.3
실시예 8 79.8
실시예 9 57.8
비교예 1 24.3
비교예 2 19.3
비교예 3 16.5
비교예 4 21.2
비교예 5 19.5
비교예 6 13.1
비교예 7 15.4
비교예 8 17.2
비교예 9 16.9
비교예 10 23.5
비교예 11 29.6
비교예 12 27.3
비교예 13 31.2
비교예 14 32.9
비교예 15 27.6
비교예 16 32.6
비교예 17 26.5
비교예 18 34.5
비교예 19 41.2
비교예 20 42.3
비교예 21 35.6
비교예 22 45.2
비교예 23 39.6
비교예 24 49.6
비교예 25 46.5
비교예 26 43.9
비교예 27 48.8
비교예 28 45.5
비교예 29 49.6
비교예 30 52.5
비교예 31 57.9
비교예 32 56.3
비교예 33 46.2
비교예 34 48.9
비교예 35 50.3
비교예 36 51.2
상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탄올: 1,3-부틸렌 글리콜:증류수 = 70:20:10의 비율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생열귀 추출물이 강력한 지질산화 방어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출시의 pH와 온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한 결과 추출시 온도는 지질산화 방어 효능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인 pH7에서 추출시 오존에 의한 지질산화 방어 효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생열귀 추출물의 오존에 대한 세포 독성 방어 효과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36의 생열귀 추출물의 오존에 대한 세포 보호 효능을 탐색하기 위해, 일정농도의 오존(11-12 ppm)을 처리한 세포(각질화세포, HaCaT)을 이용하여 세포 손상의 정도를 MTT 시험법((MTT : (2,3-bis-(2-methoxy-4-nitro-5-sulfophenyl)-2H-tetrazolium-5-carboxanilide, disodium salt)는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탈수소화효소에 의해 formazen으로 환원되어 파란색의 색을 띄게 된다. 살아있는 세포가 많을수록 푸른색을 많이 띄게 된다)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로 확인하였다.
각각의 세포를 10 % 우태아 혈청, 페니실린 (100 units/㎖), 스트렙토마이신 (100 units/㎖)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를 이용해 37℃, 5 % 탄산가스가 있는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정상적으로 24시간 배양한 뒤 배지를 제거한 후 PBS(phosphate-buffered saline)을 이용해 세포를 세척한 후 일정 농도의 오존수를 노출시킨 후 6시간 후 오존에 노출되지 않은 대조군과 세포사 여부를 MTT 방법으로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오존에 대한 세포 보호능
추출물 농도 (50㎍/㎖) 추출물 농도 (100㎍/㎖)
실시예 1 48.3 87.2
실시예 2 51.2 80.1
실시예 3 56.3 79.9
실시예 4 58.3 88.9
실시예 5 61.3 87.3
실시예 6 59.2 91.2
실시예 7 58.3 87.5
실시예 8 54.2 86.6
실시예 9 60.1 90.1
비교예 1 8.9 9.8
비교예 2 - 2.3
비교예 3 9.3 10.2
비교예 4 3.2 12.3
비교예 5 6.5 15.1
비교예 6 2.3 9.3
비교예 7 6.3 9.6
비교예 8 5.5 12.2
비교예 9 9.3 16.3
비교예 10 12.5 21.2
비교예 11 19.3 29.6
비교예 12 18.3 23.5
비교예 13 17.6 32.5
비교예 14 13.5 29.8
비교예 15 16.3 30.1
비교예 16 10.2 33.2
비교예 17 19.6 29.8
비교예 18 17.9 31.2
비교예 19 31.0 35.6
비교예 20 29.6 38.3
비교예 21 23.2 29.8
비교예 22 36.2 45.5
비교예 23 36.8 42.3
비교예 24 39.0 49.0
비교예 25 32.5 40.2
비교예 26 31.0 41.2
비교예 27 34.1 39.5
비교예 28 48.2 78.3
비교예 29 50.1 80.2
비교예 30 52.3 89.3
비교예 31 47.5 86.3
비교예 32 52.3 87.5
비교예 33 59.6 81.9
비교예 34 49.6 87.5
비교예 35 59.6 78.9
비교예 36 56.3 80.2
오존을 처리한 경우 세포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상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에탄올 : 1,3-부틸렌글리콜:증류수의 비율이 7:1:2의 비율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된 생열귀 추출물은 오존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생존율에 가까우며 가장 우수한 세포손상 방어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성 pH 7에서 추출된 추출물의 경우 그 효능이 좀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생열귀 추출물의 피부 영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5의 생열귀 추출물(에탄올 : 1,3 부틸렌글리콜:증류수 = 7:1:2, 중성 pH, 실온추출)에 대하여 오존에 의한 피부 손상 및 유효 추출물의 방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 각질층에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과 α-토코페롤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피부에 대한 오존의 노출>
오존 발생기에 연결되어 있는 노즐과 주사기가 말단에 연결되어 있는 5 cm * 10 cm * 3cm 크기의 플라스틱 챔버를 사람의 앞 팔의 뒤쪽에 고정시킨 후 일정 농도의 오존(10ppm)을 발생시킨 후 챔버에 연결되어 있는 빈 주사기로 챔버내의 공기를 빼주어 오존을 플라스틱 챔버내로 유입시켜 피부에 오존을 1시간 노출시켰다. 추출물의 방어 효과 측정시에는 미리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오존을 처리하였다.
<피부 각질층의 획득>
피부 각질층의 시료는 테이프 스트리핑(tape-stripp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오존을 처리한 피부에 5 cm * 5cm 크기의 셀룰로판 테이프을 부착시킨 후 떼어내어 각질층을 획득하였다. 부착되어 나온 각질층은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균질성을 확보한 후 그 질량은 스트리핑(stripping) 전 후의 셀룰로판 테이프의 질량차이로 측정하였다. 테이프 스트립당 얻어진 각질층의 양은 2.98 ± 0.17 mg (±SD)이었다.
<각질층의 아스코르브산 농도 측정>
테이프의 질량을 측정한 후 1 mM EDTA가 함유된 2 ㎖ 의 PBS와 50 ㎕의 부틸화된 히드록시톨루엔(1 mg/㎖), 1 ㎖의 2.9 % (v/v) SDS을 첨가하여 보텍싱(vortexing)을 실시하였다. 전처리가 끝난 시료를 막여과(0.45 um)한 후 HPLC 분석을 실시하여 아스코르브산을 정량하였다. HPLC 분석은 워터(Water)사의 모듈 2690 엘시 시스템(Module2690 LC system)과 동일 회사의 전기화학 검출기(electrochemical detector)를 사용하였고, 컬럼은 알테크(Alltech)사의 에코노실 (Econosil) C18(10 um, 250 X 4.6 mm)을 이용하였다. 40 mM 아세트산나트륨 및 0.537 mM EDTA, 5 %의 메탄올을 함유하는 용액을 이동상으로 하였으며 유속은 1.0 ㎖/분으로 하였다.
<각질층의 α-토코페롤의 농도 측정>
테이프의 질량을 측정한 후 1 mM EDTA가 함유된 2 ㎖ 의 PBS와 50 ㎕의 부틸화된 히드록시톨루엔 (1 mg/㎖), 1 ㎖의 2.9 % (v/v) SDS를 첨가하여 보텍싱하였다. 전처리 과정이 끝난 시료에 4 ㎖ 의 헥산을 첨가하여 분획한 후 2 ㎖ 의 에탄올을 헥산층에 첨가하여 테이프의 접착성분을 침전시켜 제거하였다. 그 후 헥산/에탄올층을 질소가스로 말려 그 건조물을 500㎕의 에탄올:메탄올(1:1)에 녹인 후 HPLC 분석을 실시하여 α-토코페롤을 정량하였다. HPLC 분석은 워터(Water) 사의 모듈 2690 엘시 시스템(Module2690 LC system)과 동일 회사의 전기화학 검출기(electrochemical detector)를 사용하였고, 컬럼은 알테크(Alltech)사의 에코노실(Econosil) C18(10 um, 250 X 4.6 mm)을 이용하였다. 20 mM 리튬 퍼클로레이트(lithium perchlorate)를 함유하는 1:9의 메탄올:에탄올 용액을 이동상으로 하였으며 유속은 1.2 ㎖/분으로 하였다.
오존 처리농도 피부 각질층에서의 농도(pmol/mg)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0 ppm 357 ± 19 8.4 ± 1.3
10 ppm 161 ± 29 0.7 ± 0.3
10 ppm + 실시예 5의 생열귀 추출물 10㎍/㎖ 50.9 ± 23 1.3 ± 1.0
10 ppm + 실시예 5의 생열귀 추출물 50㎍/㎖ 180.1 ± 17 5.1 ± 2.9
10 ppm + 실시예 5의 생열귀 추출물 100㎍/㎖ 289 ± 22 5.8 ± 0.5
상기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10 ppm의 오존을 피부에 1시간 처리한 후 테이프-스트리핑 기법으로 획득한 각질층에 함유되어 있는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 161 ± 29 pmol/mg인 반면, 오존을 처리하지 않은 피부 각질층의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 357 ± 19 pmol/mg으로, 오존을 처리한 경우 피부 각질층의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이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질층의 α-토코페롤 함량 또한 대조군은 8.4 ± 1.3 pmol/mg 이었으나, 오존을 처리한 경우에는 0.7 ± 0.3 pmol/mg 으로 오존 처리에 의하여 α-토코페롤이 대부분 손실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오존이 피부에 심각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며 이로 인해 피부가 손상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생열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피부 각질층의 아스코르브산 및 α-토코페롤의 함량이 매우 높아져 본 발명의 생열귀 추출물은 오존에 의한 피부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방법으로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 료 명 함량
1. 정제수 100이 될 때까지
2. 잔탄검 0.5
3. 실시예 5의 생열귀 추출물 10
4. 아모디메치콘 15
5. 사이클로펜타실론산/피이지-12 디메치콘 10
6. 메틸페닐폴리실록산 35
7. 데세스-3/이소라우레스-2/라우레스-1 5
(단위 : 중량%)
1) 원료 1에 2의 원료를 소량씩 투입하여 70℃까지 온도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2) 상기 1)에 원료 3을 투입하여 50℃로 온도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3) 원료 4~6을 각각 계량하여 투입하고 75℃로 온도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4) 상기 3)에 원료 7을 투입하여 용해하였다.
5) 오일상인 상기 4)에 수상인 상기 2)를 투입하여 15분간 호모 믹싱(Homo mixing)을 시행하였다.
6) 조성물의 온도가 30℃ 이하가 될 때까지 냉각 및 탈포하였다.
실험예 5 :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0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의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른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가혹 온도 조건에 6시간씩 정치하여 30일 후의 성상 변화 및 30일간 정치한 후의 성상 변화를 확인하였다. 온도 조건 및 안정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온도 조건 4℃ 30℃ 60℃ 4℃~60℃
실시예 1 O O O O
(변화 없음 : O, 특이 사항 발생 : X)
상기 표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은 온도에 대하여 안정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 및 비교예 37, 38 : 생열귀 실리콘을 함유하는 피부 표현류 화장료 제조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피부표현류 화장류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실시예 11 비교예 37 비교예 38
1. 정제수 100이 될 때까지 100이 될 때까지 100이 될 때까지
2.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03 0.03 0.03
3. 알란토인 0.1 0.1 0.1
4. 판테놀 0.1 0.1 0.1
5. 마그네슘설페이트 1.0 1.0 1.0
6. 부틸렌글라이콜 3.0 5.0 5.0
7. 잔탄검 - 0.05 0.05
8.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0 5.0 5.0
9.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 2.0 2.0
1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3.0 3.0 3.0
1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0.3 0.3 0.3
12. 비즈왁스 0.2 0.2 0.2
13. 사이클로펜타실록산/사이클로헥사실록산 - 5.0 5.0
1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 1.0
15.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3.5 4.5 4.5
16. 실시예 10의 생열귀 실리콘 10
17. 수용성 생열귀 추출물 1
(단위 : 중량%)
1) 원료 1에 2~6의 원료를 각각 계량하여 투입하고 75℃로 온도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2) 상기 1)에 원료 7을 소량씩 투입하여 70℃까지 온도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3) 원료 8~15를 각각 계량하여 투입하고 75℃로 온도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4) 오일상인 상기 3)에 수상인 상기 2)를 투입하여 10분간 호모 믹싱을 시행하였다.
5) 상기 4)의 온도가 50℃이하가 되면 원료 16 또는 17을 각각 투입하여 15분간 호모 믹싱을 시행하였다.
6) 조성물의 온도가 30℃이하가 될 때까지 냉각 및 탈포하였다.
실험예 6 : 사용감에 대한 관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20 내지 30세의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1 및 비교예 37, 38의 피부 표현류 화장료를 사용한 후의 끈적임, 번들거림, 발림성, 커버력, 내피지성을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게 하였다. 각 평가 항목에 대한 속성을 주관적으로 평가하여 1 내지 5점씩 점수를 부여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 항목의 속성이 강하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각각의 피부 표현류 화장료는 얼굴 안면 부위 및 양손에 바르도록 하였으며, 30명의 점수를 평균하여 실시예 11 및 비교예 37, 38의 평가를 비교하였다. 상기 평가 기준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실시예 11 비교예 37 비교예 38
끈적임 3.92 3.78 3.64
번들거림 3.86 3.95 3.53
발림성 4.42 3.81 4.17
커버력 4.35 3.58 3.92
내피지성 4.13 3.39 3.88
상기 표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이 함유된 실시예 11의 피부 표현류 화장료는 수용성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 37에 비하여 끈적임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번들거림, 발림성, 커버력, 내피지성은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비교예 38과 비교하면, 끈적임, 번들거림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발림성, 커버력, 내피지성은 매우 우수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39, 40 : 생열귀 실리콘을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제조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색조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실시예 12 비교예 39 비교예 40
1. 피마자오일 100이 될 때까지 100이 될 때까지 100이 될 때까지
2. 폴리에칠렌 - 5.0 5.0
3. 칸데릴라왁스 5.0 10.0 10.0
4. 세리신 2.0 2.0 2.0
5. 옥틸도데칸올 10.0 10.0 10.0
6. 페닐트리메치콘 - 3.0 3.0
7.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5.0 5.0 5.0
8.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10.0 10.0 10.0
9.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9.0 20.0 20.0
1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 20.0 20.0
1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4.0 4.0 5.0
12. 글리세린 4.5 4.5 4.5
13. 색소 1.0 1.0 1.0
14. 실시예 10의 생열귀 실리콘 10
15. 수용성 생열귀 추출물 1
(단위: 중량%)
1) 원료 1에 2~13의 원료를 각각 계량하여 투입하고 85℃로 온도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2) 상기 4)의 온도가 50℃이하가 되면 원료 14 또는 15를 각각 투입하여 15분간 호모 믹싱을 시행하였다.
3) 조성물을 립스틱 형태로 성형하여 냉각하였다.
실험예 7 : 사용감에 대한 관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20 내지 30세의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39, 40의 색조 화장료를 사용한 후의 보습감, 발림성, 부착성, 입술피부자극 정도를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게 하였다. 각 평가 항목에 대한 속성을 주관적으로 평가하여 1 내지 5점씩 점수를 부여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 항목의 속성이 강하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각각의 색조 화장료는 입술에 바르도록 하였으며, 30명의 점수를 평균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를 비교하였다. 상기 평가 기준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실시예 12 비교예 39 비교예 40
보습감 4.34 3.93 4.08
발림성 4.16 3.78 4.22
부착성 4.12 3.45 4.15
평 점 4.21 3.70 4.15
상기 표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열귀 실리콘을 함유하는 실시예 12의 색조 화장료는 수용성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 39에 비하여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사용감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40과 비교하면, 발림성 및 부착성은 유사하나, 보습감이 매우 우수하였다.

Claims (7)

  1. 에탄올 70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중량% 및 증류수 2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된 생열귀(Rose davurica Pall.) 추출물을 함유하고,
    오존에 의한 피부 손상에 대하여 방어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에탄올 70중량%, 1, 3-부틸렌글리콜 10중량% 및 증류수 2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용매로 추출된 생열귀(Rose davurica Pall.) 추출물이 실리콘 오일에 포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칠사이클로헥사실록산, 아모디메치콘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5.0 내지 2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 폴리알킬 실록산, 폴리알킬아릴실록산 및 폴리에테르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상 분산매를 25.0 내지 55.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디메치콘/디메치콘 피이지-10/15,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디메치콘/디메치코놀,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코놀,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피이지-12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세테아릴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및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리콘 폴리머를 5.0 내지 2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점증제로써 잔탄검을 0.1 내지 2.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유화제로써 HLB( hydrophile lipophile balance ) 넘버가 1~6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1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생열귀 실리콘 조성물.
KR1020100129014A 2010-12-16 2010-12-16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3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014A KR101043813B1 (ko) 2010-12-16 2010-12-16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014A KR101043813B1 (ko) 2010-12-16 2010-12-16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813B1 true KR101043813B1 (ko) 2011-06-27

Family

ID=4440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014A KR101043813B1 (ko) 2010-12-16 2010-12-16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8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0891A1 (en) * 2011-05-02 2012-11-08 Lipidor Ab Composition for administration of a pharmacologically or cosmetically active agent onto a surface of a living organism
KR20150049078A (ko) 2013-10-28 2015-05-11 주식회사 동양생명과학 광천수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생열귀 캘러스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927057B1 (ko) * 2016-11-02 2018-12-1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겔링화를 이용한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7983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4077A (ko) 2020-05-21 2021-11-30 농업회사법인 원삼로즈힙 주식회사 생열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999A (ko) * 2000-07-31 2002-02-07 김석남 항산화 활성이 있는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반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20084429A (ko) * 2001-05-02 2002-11-09 주식회사 콧데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40038243A (ko) * 2002-10-31 2004-05-08 (주)마이코스메틱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999A (ko) * 2000-07-31 2002-02-07 김석남 항산화 활성이 있는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반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20084429A (ko) * 2001-05-02 2002-11-09 주식회사 콧데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40038243A (ko) * 2002-10-31 2004-05-08 (주)마이코스메틱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허지완 학위논문(2004. 2.), "생열귀 나무의 항산화효과와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0891A1 (en) * 2011-05-02 2012-11-08 Lipidor Ab Composition for administration of a pharmacologically or cosmetically active agent onto a surface of a living organism
KR20150049078A (ko) 2013-10-28 2015-05-11 주식회사 동양생명과학 광천수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생열귀 캘러스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927057B1 (ko) * 2016-11-02 2018-12-1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겔링화를 이용한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7983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4077A (ko) 2020-05-21 2021-11-30 농업회사법인 원삼로즈힙 주식회사 생열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4141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KR100882089B1 (ko) 홍경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방법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1009B1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3813B1 (ko)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560127B (zh) 一种天然色素cc霜及其制备方法
US6214352B1 (en) Tyrosinase inhibiting agent
SG186891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n skin containing extracts from paper mulberry flowers and fruits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9847B1 (ko) 피부 보습 및 진정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5675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34484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인 셀리언스를 함유하는 오일형 화장료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4194A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7692A (ko) 홍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7730B1 (ko) 인삼열매,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JP3119622B2 (ja) 化粧料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350577B (zh) 一种护肤组合物及其应用
KR20220087834A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100909768B1 (ko) 감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